KR20160127213A - A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A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7213A KR20160127213A KR1020150057347A KR20150057347A KR20160127213A KR 20160127213 A KR20160127213 A KR 20160127213A KR 1020150057347 A KR1020150057347 A KR 1020150057347A KR 20150057347 A KR20150057347 A KR 20150057347A KR 20160127213 A KR20160127213 A KR 201601272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obile terminal
- battery
- terminal device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은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되어 이동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이동 단말 장치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이동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음향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A mobi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a main body that houses the battery, a housing unit tha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es the mobile terminal,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devic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unit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speaker for externally outputting the acoustic signal signal processed through the controll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최근 들어 음향 출력 기능이나 영상 출력 기능을 갖는 다양한 휴대용 미디어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미디어 기기는 디지털 파일의 형태로 음향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할수 있도록 제작된 기기로, 대표적인 예로는 엠피쓰리(MP3) 플레이어, 휴대용 전화기(예: 스마트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을 들 수 있다.Recently, various portable media devices having sound output function and video output function are being released. Such a portable media device is a device designed to record or reproduce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in the form of a digital file. Examples of the portable media device include an MP3 player, a portable phone (e.g., smart pho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음향 신호 재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미디어 기기는 음향 신호를 반도체 메모리에 디지털 파일의 형태로 저장하기 때문에, 비교적 크기가 작은 기기 내에 많은 양의 디지털 파일들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기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미디어 기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할 때에는 재생되는 음향 신호를 보통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통해 듣게 된다.A portable media device having a sound signal reproducing function stores a sound signal in the form of a digital file in a semiconductor memory, so that a large amount of digital files can be stored in a relatively small device. Therefore,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such a device while carrying it. When a user carries a portable media device while using it, the played sound signal is usually heard through earphones or headphones.
이러한 휴대용 미디어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음향 신호의 음질은 고품질의 오디오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음향신호의 음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지 않기 때문에, 휴대용 미디어 기기를 휴대하지 않고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좋은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재생되는 소리를 듣고 싶어하는 사용자들의 요구가 있어 왔다.Since the sound quality of an acoustic signal reproduced through such a portable media device is relatively inferior to the sound quality of an acoustic signal reproduced through a high quality audio device, There has been a demand from users who want to hear the sound reproduced through.
이와 같은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휴대용 미디어 기기를 장착하여 음향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도킹 스테이션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도킹 스테이션은 도킹 단자를 통해 휴대용 미디어 기기와 결합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을 거실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말한다.
A docking station capable of reproducing a sound signal by mounting a portable media device has been developed and released to meet the demands of users. A docking station is a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portable media device through a docking terminal and allows the user to enjoy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memory in a spacious space such as a living room.
그러나, 최근에는 캠핑, 등산과 같은 아웃도어 문화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실내에서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보다 좋은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재생되는 도킹 스테이션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However, recently, outdoor culture such as camping and mountain climbing has rapidly developed, so that a docking station which is reproduced through a better audio system indoors as well as outside is desperately required.
종래의 도킹 스테이션은 내부에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휴대가 불가능하며, 도킹 스테이션에서 제공하는 도킹 단자가 휴대용 미디어 기기와 호환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를 충전하거나 상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휴대용 미디어 기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docking station, if the docking terminal provided in the docking station is incompatible with the portable media device, the portable media device may be charged or stored in the portable media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a sound source can not be reproduced and a plurality of portable media devices can not be charged at the same time.
하기의 특허문헌 1은 모노 헤드셋이 도킹부에 도킹될 경우 모노 헤드셋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스테이션 스피커가 구비된 도킹 스테이션을 개시하고 있지만, 모노 헤드셋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경우 단지 하나의 모노 헤드셋만을 충전시킨다는 점에서 복수의 휴대용 미디어 기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없다는 점에서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The follow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함으로써, 휴대가 가능하며, 무선 전력 송신 및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단말 장치의 종류와 상관 없이 충전 및 이동 단말 장치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apable of carrying power by including a battery capable of supplying power, And provides a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capable of charging and reproducing sound source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device regardless.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도킹 단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이동 단말 장치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을 제공한다.Also,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devices by having at least one docking terminal or at least one USB terminal.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이동 단말 장치의 충전이 가능하면서도 특정 이동 단말 장치로부터 음원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 이동 단말 장치에서 재생가능한 멀티미디어를 재생가능한, 다기능 충전 스테이션 또는 모바일 스테이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 charging station or a mobile station device capable of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devices while reproducing multimedia data reproducible on a mobile terminal device such as sound source data and moving picture data from a specific mobile terminal devic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은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되어 이동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이동 단말 장치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이동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음향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A mobi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a main body that houses the battery, a housing unit tha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es the mobile terminal,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devic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unit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speaker for externally outputting the acoustic signal signal processed through the controll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음향신호 재생 동작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sound signal reproductio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input unit. The mobile terminal apparatus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는, 리튬폴리머 전지 또는 리튬인산철 전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attery may be either a lithium polymer battery or a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y.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multifunction mobil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universal serial bus (USB)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battery.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단말 장치와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 사이의 전력 전송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킹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multifunction mobil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docking terminal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providing power transmission and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battery and the control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급속 충전을 위한 급속 충전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속 충전 입력부로부터 급속 충전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도킹 단자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를 급속 충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rapid charging input unit for rapid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When the rapid charging signal is provided from the rapid charging input unit, The mobile terminal device can be rapidly charged u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처리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dy may be waterproof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케이블 또는 주변기기를 저장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housed and pulled out to store the cable or the peripheral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pparatus.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조명부 및 상기 LED 조명부를 온/오프 입력을 제공받는 조명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LED illumination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n illumination input unit provided with an on / off input of the LED illuminat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기기로 제공하기 위한 콘센트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multifunction mobil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receptacle connector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or providing power of the battery to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함으로써, 휴대가 가능하며, 무선 전력 송신 및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단말 장치의 종류와 상관 없이 충전 및 이동 단말 장치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battery capable of supplying power, it is portable, and by provid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mobile terminal device, Can be reproduced.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도킹 단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이동 단말 장치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t least one docking terminal or at least one USB terminal,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devices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또한, 아웃도어 환경에서 비상시 조명장치로 활용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기기의 전원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n illumination device in an emergency in an outdoor environment, and can also be used as a power source device of an external power source devic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으로 인한 효과가 전술된 사항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폭넓게 인정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ffect of the invention is broadly recognized and is not limited to the forego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킹 스테이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킹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킹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portabl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발명으로부터 실시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특징 중 일부가 공지되어, 이에 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 해당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고 도면에 예시된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 태양만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수정, 변경, 변형 및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known, and i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modifications, alteration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which fall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속성, 구성, 컴포넌트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들 특징, 속성, 구성, 컴포넌트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속성, 구성, 컴포넌트 및 이들의 조합의 존재가능성이나 추가될 수 있는 여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일 예, 하나의 경우, 또는 한 가지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예시적인" 양상이 다른 양상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구성요소가 특별히 단수인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는 한, 해당 구성요소는 복수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eans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feature, attribute, configuration, or component, but rather includes only one or more of the other features, attribute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limitation up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exemplary" is used herein to mean "serving as an example, instance, or illustration, "and" exemplary " It will not be.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as long as any elem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element may be plur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킹 스테이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킹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ppearance of a portabl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1)은 배터리(10), 본체(20), 수용부(30), 무선 전력 송신부(40), 근거리 무선 통신부(50), 제어부(60) 및 스피커(7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 portable multifunctional
배터리(10)는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무선 전력 송신부(4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10)는 리튬폴리머 전지 또는 리튬인산철 전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0)는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The
본체(20)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20)의 상측에는 이동 단말 장치(2)를 거치시킬 수 있는 수용부(30), 음향신호 재생 동작을 입력받는 입력부(80), 조명 입력부(120) 및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 장치(2)의 케이블 또는 주변기기를 저장하는 수납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이동 단말 장치(2)란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신 기능이 가능한 전자통신기기로서, 기술적으로는 가입자국, 이동국, 사용자 기기, 이동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되며, 통상 휴대전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기기로 시장에서 지칭되는 것을 통칭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 장치(2)의 케이블 또는 주변기기라 함은, 이동 단말 장치(2)를 PC 등의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이어폰, 유선 충전용 케이블, 핸즈프리 또는 블루투스형 마이크로폰 세트 등을 의미하나, 이들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The
또한, 본체(20)의 전면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7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측면에는 복수의 USB 단자(90), 콘센트 커넥터(92) 및 LED 조명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20)는 본체(2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처리될 수 있다.
A
수용부(30)는 본체(20)의 일 측에 마련되어 이동 단말 장치(2)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30)는 이동 단말 장치(1)가 수용부(30) 내부에서 기립된 상태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수용할 수 있다. 이처럼 이동 단말 장치(2)를 지지하는 수용부(30)에 의하여 사용자는 이동 단말 장치(2)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30)에는 이동 단말 장치(2)와 제어부(6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킹 단자(32, 도3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The receiving
무선 전력 송신부(4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수용부(30)에 수용된 이동 단말 장치(2)로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은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PMA(Power Matters Alliance), 그리고 자기공명 방식을 이용하는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에 따른 어느 한 가지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ireless
일 실시예로, 무선 전력 송신부(40)는 수용부(30)에 수용된 이동 단말 장치(2)로 전계 또는 자계를 생성함으로써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코일(미도시)과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코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근거리 무선 통신부(50)는 수용부(30)에 수용된 이동 단말 장치(2)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5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부(60)와 이동 단말 장치(2)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제어부(60)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무선 전력 송신부(40)의 동작을 제어하여 수용부(30)에 수용된 이동 단말 장치(2)에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50)를 통해 이동 단말 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음향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7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킹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1)은 이동 단말 장치(2)의 음향신호 재생 동작을 입력받는 입력부(80),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90), 도킹 단자(32), 급속 충전 입력부(82), 콘센트 커넥터(92), LED 조명부(110) 및 조명 입력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the portable multifunctional
입력부(80)는 수용부(30)에 수용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부(40)를 통해 제어부(60)와 연결되거나, 도킹 단자(32) 또는 USB 단자(90)를 통해 제어부(60)와 연결된 이동 단말 장치(2)의 음향신호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재생, 정지, 탐색, 다음곡, 이전곡, 볼륨업, 볼륨다운과 같은 음향신호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60)로 출력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제어부(60)는 입력부(80)로부터 상기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60)와 이동 단말 장치(2) 사이의 연결방식에 따른 경로를 통해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 장치(2)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signal is input from the
USB 단자(90)는 제어부(60) 및 배터리(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USB 단자(90)를 통해 이동 단말 장치(2b)가 연결되면, 이동 단말 장치(2b)를 충전시키고, 제어부(60)가 이동 단말 장치(2b)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여 스피커(7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USB 단자(90)는 본체(20)의 측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The
도킹 단자(32)는 수용부(3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킹 단자(32)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 장치(2a)와 배터리(10) 사이의 전력 전송 및 상기 이동 단말 장치(2a)와 제어부(6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킹 단자(32)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도킹 단자(32)는 각각 서로 다른 제품군에 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2)의 음향신호 재생을 지원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도킹 단자(32) 중 어느 하나는 A 제품군(미국 Apple사의 휴대용 미디어 장치)에 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의 전기적 접속을 지원하고, 다른 하나는 B 제품군(삼성전자의 갤럭시와 같은 안드로이드용 휴대 단말 장치)에 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의 전기적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The
급속 충전 입력부(82)는 도킹 단자(32) 또는 USB 단자(90)와 연결된 이동 단말 장치(2)에 대하여, 상기 연결된 단자를 통해 이동 단말 장치(2)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무선 전력 송신부(40)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이동 단말 장치(2)에 급속 충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rapid
급속 충전 입력부(82)는 입력부(80)와 함께 본체(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는 급속 충전 입력부(82)로부터 급속 충전 입력이 입력되면, 무선 전력 송신부(40)를 제어하여, 도킹 단자(32) 또는 USB 단자(90)를 통해 유선 전원이 공급되는 이동 단말 장치(2)에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rapid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1)은 기본적으로 급속 충전 입력부(82) 및 무선 전력 송신부(40)에 의하여 도킹된 이동 단말 장치(2)를 충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도킹 단자(32) 또는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90)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1)이 허용가능한 다수의, 이동 단말 장치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The mobile multifunctional
콘센트 커넥터(92)는 본체(2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 전자 기기의 상용 전원 콘센트가 삽입되면, 배터리(10)의 전원을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The
LED 조명부(110)는 본체(2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명 입력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온/오프 입력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다. LED 조명부(110)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20)의 서로 다른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1)은 배터리(10),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20),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되어 이동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30),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수용부에 수용된 이동 단말 장치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40), 수용부에 수용된 이동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50),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음향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무선 전력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 및 제어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70)를 포함하며; 이러한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은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함으로써, 휴대가 가능하며, 무선 전력 송신 및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단말 장치의 종류와 상관 없이 충전 및 이동 단말 장치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도킹 단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USB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이동 단말 장치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The mobile multifunctiona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
2: 이동 단말 장치
10: 배터리
20: 본체
30: 수용부
40: 무선 전력 송신부
50: 근거리 무선 통신부
60: 제어부
70: 스피커
80: 입력부
90: USB 단자
92: 컨센트 커넥터
100: 수납부
110: LED 조명부
120: 조명 입력부1: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2: mobile terminal device
10: Battery
20:
30:
40: wireless power transmitter
50:
60:
70: Speaker
80:
90: USB terminal
92: receptacle connector
100:
110: LED lighting part
120:
Claims (10)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되어 이동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이동 단말 장치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이동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음향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
battery;
A body accommodating the battery therein;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mobile terminal devic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and transmits wireless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devic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A controller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the sound signal to reproduce an acoust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speaker for externally outputting the acoustic signal processed through the control unit;
A portable multifunction mobile station.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음향신호 재생 동작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sound signal reproduc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input unit.
리튬폴리머 전지 또는 리튬인산철 전지 중 어느 하나인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A portable multifunction mobile station that is either a lithium polymer battery or a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y.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universal serial bus (USB) termina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battery.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단말 장치와 상기 배터리 사이의 전력 전송 및 상기 이동 단말 장치와 상기 제어부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킹 단자;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docking terminal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for providing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battery and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control portion; The mobile station further comprising: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급속 충전을 위한 급속 충전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속 충전 입력부로부터 급속 충전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도킹 단자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를 급속 충전하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rapid charging input unit for rapidly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rapidly charges the mobile terminal device using the docking terminal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when the rapid charging signal is provided from the rapid charging input unit.
상기 본체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처리된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waterproofing is performed so that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케이블 또는 주변기기를 저장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orage unit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housed and drawn so as to store cables or peripheral devices of the mobile terminal apparatus.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조명부; 및
상기 LED 조명부를 온/오프 입력을 제공받는 조명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다기능 모바일 스테이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LED illumination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n illumin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on / off input of the LED illumination unit; The mobile station further comprising: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기기로 제공하기 위한 콘센트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모선 도킹 스테이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ceptacle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the battery to an external device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portable busbar docking st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7347A KR20160127213A (en) | 2015-04-23 | 2015-04-23 | A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7347A KR20160127213A (en) | 2015-04-23 | 2015-04-23 | A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7213A true KR20160127213A (en) | 2016-11-03 |
Family
ID=5757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7347A Ceased KR20160127213A (en) | 2015-04-23 | 2015-04-23 | A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7213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9014B1 (en) * | 2020-07-27 | 2020-11-17 | 오희교 | Multi st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7619A (en) | 2008-03-12 | 2009-09-16 |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 Mono headset docking station unit |
-
2015
- 2015-04-23 KR KR1020150057347A patent/KR20160127213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7619A (en) | 2008-03-12 | 2009-09-16 |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 Mono headset docking station uni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9014B1 (en) * | 2020-07-27 | 2020-11-17 | 오희교 | Multi st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51065B2 (en) | Loudspeaker enclosure system having detachable wireless headphon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3714882B2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ging system | |
US9602907B2 (en) | Earbud charging case | |
KR101967631B1 (en) | Docking station | |
US20110116642A1 (en) | Audio System with Portable Audio Enhancement Device | |
KR100694158B1 (en) | Portable speaker device used in portable multimedia devices | |
US20150070835A1 (en) | Modular docking station | |
US20150245126A1 (en) | Earbud charging case for mobile device | |
US9918152B2 (en) | Peripheral audio output device | |
US20130315416A1 (en) | Device connecting multiple audio sources over wireless connections to amplifiers and speakers | |
US20090268922A1 (en) | Personal computer adaptor device,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system, personal computer reproducing method,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program, output device control program, personal computer adaptor device control program, personal computer control program, power line communication connector device, cradle device using the same,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reproducing system | |
US8126182B2 (en) | Sound effect system and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 |
CN112468914B (en) | Multifunctional charging box control method, multifunctional charging box and Bluetooth headset | |
JP4798162B2 (en) | Electronic equipment system | |
US20170126037A1 (en) |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 |
US11063664B2 (en) | Wireless mobile entertainment system | |
KR20160127213A (en) | A multi-functional mobile station | |
CN106506758A (en) | Terminal protection set | |
CN105049988A (en) | Portable sound box with wireless charging device | |
US20100041363A1 (en) | Radio Accessory Having Pass through Connector | |
CN203788016U (en) | Power supply device | |
US10171903B2 (en) | Portable binaural recording, processing and playback device | |
US10085103B2 (en) | Music enhancing device for sound systems | |
CN104953635A (en) | Power supply device | |
KR101561782B1 (en) |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06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6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1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6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