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26152A -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Google Patents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152A
KR20160126152A KR1020150056650A KR20150056650A KR20160126152A KR 20160126152 A KR20160126152 A KR 20160126152A KR 1020150056650 A KR1020150056650 A KR 1020150056650A KR 20150056650 A KR20150056650 A KR 20150056650A KR 20160126152 A KR20160126152 A KR 20160126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range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6158B1 (en
Inventor
김주연
문기훈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50056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158B1/en
Publication of KR2016012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1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15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safety in a work site, executed in a beacon installed in each process area of a work site, includes: a step of monitoring a terminal device sensed in a communication range;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pre-linked data exist or not if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specific user, is sens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during the monitoring step; and a step of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the specific user, in accordance with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in a construction site by enabling a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in an uncommunicable process area, to receive and use data such as safety management items, measuremen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from a beacon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Description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 construction 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construction 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건설업은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이 진행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In general,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 labor-intensive industry in which a large number of workers are put into operation at the same time, and systematic and effective safety management of the workforce is of the utmost importance.

그러나 종래의 건설현장에서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인한 위험성과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site, safety accidents occur frequently due to various environments inherent in the site itself and minor negligence of workers, resulting in a fatal problem of losing valuable human resources.

특히, 건설현장에는 여러 공구에 걸쳐 다양한 분야의 작업자들이 배치되어 각자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작업자의 인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관리자의 인원이 적고, 실외 작업 시 현장 관리자의 통제와 관리가 제한되는 영역에서는 건설인력에 대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건설현장 인력에 대한 안전사고나 비효율적인 인력관리는 전체적인 공사비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 그리고 공사기간의 연장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site, workers in various fields are assigned to various tools to perform their own tasks. In the area where the number of managers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number of such workers and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field manager is limited in outdoor work , Safety and safety management for construction workforce and ineffective manpower management cause problems such as increase of overall construction cost, decrease of productivity, and extension of construction period.

또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시 작업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의 위성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하지만, 초기 현장 개설 시에는 네트워크 통신 불가능하거나 지하 공간에서는 통신 불통일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n operator's safety accident occurs,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is determined using the satellit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operator.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utilize it because the network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at the time of initial establishment of the field, or communication is unstable in the underground space.

본 발명은 통신이 불가능한 공정 영역에서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해당 위치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안전 관리 항목, 계측정보, 이벤트 정보, 유해상황 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device held by a user in a process area wher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receives data such as safety management items, measurement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nd harmful situation information from a beacon installed at a corresponding location, And to provide a method for implementing a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construction 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that enables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system to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비콘이 계측장치로부터 이벤트 정보 수신 시 다른 비콘에게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여 연쇄적으로 이벤트 정보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현장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에 대응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mart beacon information, which enables even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beacons to beacons in other beacons when a beacon receives event information from a measuring device, And to provide a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construction site using a delivery device and a method for execut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비콘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유형 별 통계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안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construction 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which enables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safety by analyzing statistics for each type of accident using data transmitted from a beacon, and a method for executing the system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 and another problem (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비콘에서 실행되는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통신 범위에 단말 장치가 감지되는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상기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기 링크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for a worksite, which is executed in a beacon installed in each of process areas of a job site, comprising the steps of: monitoring a terminal device in a communication rang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data that is linked to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device is detected in the range; and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 링크된 데이터가 안전 관리 항목인 경우, 상기 안전 관리 항목 중 해당 공정에 대한 항목을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관리 항목은 공정 별 기술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에서 공정 별로 넘버링 되어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는 가장 가까운 비콘의 번호와 링크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may include: when the linked data is a safety management item,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wherein the safety management item is numbered per process in the technical safety management checklist for each process, and information linked with the number of the nearest beacon in which the process is performed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계측장치 중 기 링크된 계측장치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측정보가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되어지는 단계 및 상기 계측장치에 번호가 부여되어지면 상기 계측장치에 가장 가까운 비콘에 그 번호가 링크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의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해당 계측장치의 계측데이터 및 그래프가 자동으로 수신되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may include: measuring from the linked measuring device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Receiving the informati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nd when the measurement device is given a number, the number is linked to a beacon closest to the measurement device, And automatically receiving measurement data and a graph of the measuring device from a user terminal device when a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is detected in a communication range of th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미감지되는 경우에는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소 통신 범위로 설정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계측데이터 및 안전 관리 항목이 제공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비콘에 전달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대 통신 범위로 확대되어짐으로써 최대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경광 모듈에 상기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제공되어지며 상기 경광 모듈에 의해 알림이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 may include: when the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in the measuring device,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afety management item ar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of a specific user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When the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the malfunc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eacon, Wherein the harmful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terminal device and a light modulating module of a specific user located within a maximum communication range by expa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light shielding module to a maximum communication range and that the notification is generated by the light modulating modul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콘은 상기 작업현장의 도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생성된 각각의 구간에 설치되며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가 맵핑되는 것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위치한 공정 영역에 상기 비콘이 설치되어질 경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비콘의 위치에 해당되는 번호모양이 클릭 또는 드래그를 통해 도면 위치에 입력되어짐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서 비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공정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며,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is installed in each section generated by dividing the drawings of the work site at regular intervals, and a number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s mapped, When a beacon is installed, a numb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eacon is input to the drawing position through a click or drag in the terminal device of the user, so that the beacon position is mapp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event is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콘이 설치되어진 위치 이외에 추가 점검이 필요한 임의의 장소에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지는 소형의 비콘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추가된 비콘은 새로운 비콘 번호가 부여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 상기 비콘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상기 비콘이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고,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beacon carried by a us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any place other than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where the additional beacon is required, and the added beacon is given a new beacon number The location of the beacon is mapped on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are stored in the terminal by the user,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되어진 데이터는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에서 조회되어지며, 비콘 맵(map) 상에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한 아이콘이 부여되어 상기 아이콘이 클릭되어지면 해당 이벤트 내용이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 상에 조회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d data is inquired by a safety manager program, and an icon for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is given on a beacon map. When the icon is clicked, And is inquired on a program for a safety manag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진 비콘은 인접한 다른 구역의 비콘과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고, 상기 위험신호가 수신된 단말 장치는 통신 범위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며, 동일한 내용으로 중복 전송되어진 신호는 최초 신호만 수신되어지고 두 번째 신호부터는 차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to which the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is connected to the beacon of another adjacent zone and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zone, and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A risk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to a user terminal located in a communication range, and a signal that is redundantly transmitted with the same contents is received only the first signal and is blocked from the second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기 링크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비콘,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에 위치하면 상기 비콘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며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is detected in a communication range, a check is made to see if there is pre-linked data, and a beacon A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data from the beacon when the beacon is in a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and a server for storing the data and providing the data through a program interface for a safety manag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콘은 상기 기 링크된 데이터가 안전 관리 항목인 경우 상기 안전 관리 항목 중 해당 공정에 대한 항목을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안전 관리 항목은 공정 별 기술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에서 공정 별로 넘버링 되어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는 가장 가까운 비콘의 번호와 링크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provides an item for a corresponding process among the safety management items to the terminal when the previously linked data is a safety management item, Means information to be linked with the number of the nearest beacon to which the corresponding process is numbered by the process in the management check lis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을 계측하여 계측정보를 기 링크된 비콘에 제공하는 계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콘은 기 링크된 계측장치로부터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측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에 번호가 부여되어지면 상기 계측장치에 가장 가까운 비콘에 그 번호가 링크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의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해당 계측장치의 계측데이터 및 그래프가 자동으로 수신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measuring device position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work site to measu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rovid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linked beac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apparatus, and when the measurement apparatus is given a number, the number is linked to the beacon closest to the measurement apparatus, and when the measurement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measurement apparatus And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graph of the measuring device are automatically received at the terminal of the user when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is detec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미감지되는 경우에는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소 통신 범위로 설정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계측데이터 및 안전 관리 항목이 제공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비콘에 전달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대 통신 범위로 확대되어짐으로써 최대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경광 모듈에 상기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제공되어지며 상기 경광 모듈에 의해 알림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armful situation is not detected in the measuring device,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is set to the minimum communication range, so that the terminal device of the specific user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transmits measurement data and safety When a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in the measuring device, harmful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eacon so that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is expanded to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And the harmful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evice and the lightening module, and the notification is generated by the lightening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콘은 상기 작업현장의 도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생성된 각각의 구간에 설치되며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가 맵핑되는 것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위치한 공정 영역에 상기 비콘이 설치되어질 경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비콘의 위치에 해당되는 번호모양이 클릭 또는 드래그를 통해 도면 위치에 입력되어짐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서 비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공정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며,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is installed in each section generated by dividing the drawings of the work site at regular intervals, and a number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s mapped, When a beacon is installed, a numb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eacon is input to the drawing position through a click or drag in the terminal device of the user, so that the beacon position is mapp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event is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콘이 설치되어진 위치 이외에 추가 점검이 필요한 임의의 장소에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지는 소형의 비콘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추가된 비콘은 새로운 비콘 번호가 부여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 상기 비콘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상기 비콘이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고,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beacon carried by a us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any place other than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where the additional beacon is required, and the added beacon is given a new beacon number The location of the beacon is mapped on th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are stored in the terminal by the user,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되어진 데이터는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에서 조회되어지며, 비콘 맵(map) 상에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한 아이콘이 부여되어 상기 아이콘이 클릭되어지면 해당 이벤트 내용이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 상에 조회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d data is inquired by a safety manager program, and an icon for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is given on a beacon map. When the icon is clicked, And is inquired on a program for a safety manag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진 비콘은 인접한 다른 구역의 비콘과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고, 상기 위험신호가 수신된 단말 장치는 통신 범위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며, 동일한 내용으로 중복 전송되어진 신호는 최초 신호만 수신되어지고 두 번째 신호부터는 차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to which the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is connected to the beacon of another adjacent zone and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zone, and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A risk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to a user terminal located in a communication range, and a signal that is redundantly transmitted with the same contents is received only the first signal and is blocked from the second signal.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이 불가능한 공정 영역에서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해당 위치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안전 관리 항목, 계측정보, 이벤트 정보, 유해상황 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device held by a user in a process area wher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can receive and utilize data such as safety management items, measurement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nd harmful situation information from a beacon installed at a corresponding loca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prevent accid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콘이 계측장치로부터 이벤트 정보 수신 시 다른 비콘에게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여 연쇄적으로 이벤트 정보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현장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에 대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beacons receive event information from a measuring device, eve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other beacons so that ev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chained,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pe with various risk situations occurring on the spot in real time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콘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유형 별 통계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안전을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safety more efficiently by analyzing statistics according to an accident type using data transmitted from a beac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과 공정 별 안전 관리 항목을 링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과 계측장치를 링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를 위한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활용하여 관리자에게 위험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 a work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work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beacon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linking beac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processes.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linking a beacon and a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interface of the safety manager program for the technical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at the work site.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risk information to a user utilizing a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livering risk information to an administrator utilizing a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비콘(beacon)을 의미한다. 여기서 비콘이란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서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교신할 수 있으며 또한 5~10㎝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고 전력 소모가 적은 특징이 있다.
First, the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beacon which is generally used. Here, the beacon i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Bluetooth 4.0 (BLE) protocol. The beacon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devices within a maximum distance of 70 m, and is highly accurate and low in power consumption so that it can distinguish between 5 and 10 cm uni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 a work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비콘에서 실행되는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은 통신 범위에 단말 장치가 감지되는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상기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기 링크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aging integrated technical safety of a worksite executed in a beacon installed in each of process areas of a work site includes monitoring a terminal device in a communication range, Checking whether a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is detected, and providing the data to a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도 1을 참조하면,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는 비콘(101_1, 101_2, 101_3)이 설치될 수 있고, 많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102_1, 102_2, 102_3, 102_4)를 보유한 상태에서 작업현장의 서로 다른 공정 영역에 위치하여 근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a job site, and a plurality of users may have different operation sites in a state where they have terminal devices 102_1, 102_2, 102_3, and 102_4. You can work in the process area.

이때, 사용자가 특정 공정 영역에 위치하면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102_1)는 해당 공정 영역에 설치된 비콘(101_1)에 연결되어 비콘(101_1)의 통신 범위에 존재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102_1)는 비콘(101_1)으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정 영역의 안전 관리 항목을 수신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공정 영역을 지나칠 때 비콘의 통신 범위에 존재하게 되어 해당 비콘으로부터 공정 영역의 안전 관리 항목을 수신받아 표시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is located in a specific process area, the terminal device 102_1 held by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beacon 101_1 installed in the process area and exists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101_1. Then, the terminal device 102_1 held by the user receives the safety management item of the process area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from the beacon 101_1 and displays the received safety management item, thereby preventing a user's safety accident occurring at the work site. That is, the user exists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when passing a specific process area, and can receive and display the safety management item of the process area from the beacon.

이를 위해, 비콘(101_1)은 통신 범위 내에 단말 장치가 감지되는지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 과정에서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101_1)가 감지되면 기 링크된 데이터(예를 들어, 안전 관리 항목, 계측정보, 이벤트 정보, 유해상황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안전 관리 항목은 작업 현장의 공정 영역 별로 사용자가 지켜야 하는 항목을 의미하고, 계측정보는 계측장치에 의해 측정된 정보로 계측장치의 종류에 따라 온도 정보에 대한 그래프, 습도 정보에 대한 그래프 등이 될 수 있고, 이벤트 정보는 위험 상황 등이 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beacon 101_1 monitors whether or not a terminal device is detec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and if the terminal device 101_1 held by a specific user in the communication range is detected during the monitoring process, , Measurement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and harmful situation information). Here, the safety management item refers to items to be obeyed by the user in each process area of the operation site, and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and a graph of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graph of humidity information Etc., and the event information may be a dangerous situation or the like.

예를 들어,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비콘(101_1)에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공정 영역의 안전 관리 항목이 링크되어 있는 경우, 비콘(101_1)은 안전 관리 항목을 단말 장치(102_1)에 제공한다.
For example, if the safety management item of the corresponding process area is linked to the beacon 101_1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operation site, the beacon 101_1 provides the safety management item to the terminal device 102_1 do.

이하에서는,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비콘(101_1, 101_2, 101_3)에 데이터를 링크하는 과정을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데이터의 예로 안전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linking data to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installed in respective process areas of a work site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planation will be made using safety management items as an example of data.

먼저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 링크된 데이터가 안전 관리 항목인 경우 상기 안전 관리 항목 중 해당 공정에 대한 항목을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한다.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when the previously linked data is the safety management item, the item of the safety management item is held by the specific user To the terminal device.

이 때, 상기 안전 관리 항목은 공정 별 기술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에서 공정 별로 넘버링 되어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는 가장 가까운 비콘의 번호와 링크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safety management item refers to information linked with the number of the nearest beac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process is performed, which is numbered by process in the technical safety management checklist of each process.

한편 사용자는 작업현장의 도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간을 나누어 비콘(101_1, 101_2, 101_3)의 위치를 설정하며, 비콘(101_1, 101_2, 101_3)에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를 맵핑한다. 사용자는 비콘(101_1, 101_2, 101_3)의 번호와 안전 관리 항목을 링크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sets the positions of the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by dividing the drawing of the work site at regular intervals, and maps the numbers indicating the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to the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The user links the number of the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with the safety management item.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단말 장치에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별로 가시설물 및 구조물의 기술적인 안전 관리 항목을 입력하며, 공정 영역 해당하는 안전 관리 항목을 해당 공정 영역에 설치된 비콘에 제공하여 비콘과 안전 관리 항목을 링크시키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user inputs a technical safety management item of a facility and a structure to a terminal device owned by the user, and provides a safety management item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area to a beacon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process area To link the beacon with safety management items.

이와 같이, 공정 영역에 설치된 비콘과 해당 공정 영역의 안전 관리 항목을 링크함으로써, 비콘은 통신 범위에서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공정 영역의 안전 관리 항목을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에 제공함에 따라 단말 장치를 소유하는 사용자가 안전 관리 항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By linking the beacon in the process area and the safety management item in the process area, the beacon provides the safety management item of the process area to the terminal device in the communication range when the beacon detects the terminal device in the communication range, Allow the owning user to recognize the safety management item.

한편,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계측장치 중 기 링크된 계측장치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측정보가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되어지는 단계 및 상기 계측장치에 번호가 부여되어지면 상기 계측장치에 가장 가까운 비콘에 그 번호가 링크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의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해당 계측장치의 계측데이터 및 그래프가 자동으로 수신되어지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whe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linked measurement device among the measurement devices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The number being linked to a beacon closest to the measuring device when the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number and the number is linked to a beacon closest to the measuring device, And automatically receiving measurement data and a graph of the measurement device from the terminal device of the user when the terminal device is detected.

여기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미감지되는 경우에는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소 통신 범위로 설정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계측데이터 및 안전 관리 항목이 제공되어진다.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when the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in the measuring device,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is set to the minimum communication range,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afety management item are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specific user located within the range.

반대로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비콘에 전달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대 통신 범위로 확대되어짐으로써 최대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경광 모듈에 상기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제공되어지며 상기 경광 모듈에 의해 알림이 발생하여 주위에 유해상황 발생을 전파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in the measuring device, harmful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eacon, and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is expanded to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so that the terminal device and the lightening module of the specific user located in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The harmful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provided and the notification is generated by the light modulating module, thereby propagating the occurrence of the harmful situation around.

이 때, 상기 비콘은 상기 작업현장의 도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생성된 각각의 구간에 설치되며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가 맵핑되는 것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위치한 공정 영역에 상기 비콘이 설치되어질 경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비콘의 위치에 해당되는 번호모양이 클릭 또는 드래그를 통해 도면 위치에 입력되어짐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서 비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진다.
At this time, the beacon is installed in each section generated by dividing the drawings of the work site at regular intervals, and a number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s mapped. When the beacon is installed in a process area in which a specific user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device, a numb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eacon is inputted to the drawing position through clicking or dragging, so that the beacon position is mapped on the user's terminal device.

또한 공정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며,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진다.
Also, an event generated in the process area is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and when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area,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는 비콘(101_1, 101_2, 101_3)이 설치되어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특정 공정 영역에 비콘(미도시됨)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공정 영역에서 활동 시 유해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 비콘을 설치하고, 자신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비콘에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를 맵핑하고, 비콘에 이벤트 정보를 링크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보유한 상태에서 비콘의 통신 범위에 위치하면 비콘으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벤트 정보는 사용자가 작업현장에서 활동 시 특정 위치에서 유해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특정 위치에 설치된 비콘에 링크되는 정보일 수 있다.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but a beacon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a specific process area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a user generates a harmful situation in a specific process area, the user installs a beacon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maps a number indic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eacon using his / her terminal device, Link event information. Accordingly, if the user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while holding the terminal apparatus, event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beacon. That is, the even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is linked to the beacon installed at the specific location by the user when a harmful situation occurs at a specific location when the user is active at the job site.

또한,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102_1, 102_2, 102_3)는 통신이 불가능한 현장에서도 블루투스를 통해 비콘(101_1, 101_2, 101_3)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블루투스를 이용한 비콘의 신호의 강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lso, since the terminal devices 102_1, 102_2, and 102_3 held by the user are connected to the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via Bluetooth even in a field wher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robot.

한편 비콘이 설치되어진 위치 이외에 추가 점검이 필요한 임의의 장소에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지는 소형의 비콘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추가된 비콘은 새로운 비콘 번호가 부여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 상기 비콘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mall beacon carried by the us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any place other than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where the additional beacon is provided, and a new beacon number is assigned to the beacon, Can be mapped.

이 때, 상기 비콘이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고,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진다.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are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by the user. When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area,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또한 상기 전송되어진 데이터는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에서 조회되어지며, 비콘 맵(map) 상에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한 아이콘이 부여되어 상기 아이콘이 클릭되어지면 해당 이벤트 내용이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 상에 조회되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tted data is inquired by the safety manager program, and an icon for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is given on a beacon map. When the icon is clicked, the contents of the event are inquired on the safety manager program have.

한편 상기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진 비콘은 인접한 다른 구역의 비콘과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고, 상기 위험신호가 수신된 단말 장치는 통신 범위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며, 동일한 내용으로 중복 전송되어진 신호는 최초 신호만 수신되어지고 두 번째 신호부터는 차단되어짐으로써, 신호의 중복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혼동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On the other hand, a beacon to which the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is connected to a beacon of a neighboring area and a user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A dangerou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through a network, and a signal that is redundantly transmitted with the same contents is received only at the first signal, and is blocked from the second signal,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confused by overlapping signals.

다음으로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기 링크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비콘,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에 위치하면 상기 비콘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며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Next, a technical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a construction 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checks whether there is pre-linked data when a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is detected in a communication range, A terminal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data from the beacon in a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and a server for storing the data and providing the data through a safety manager program interface .

여기서 비콘은 기 링크된 데이터가 안전 관리 항목인 경우 상기 안전 관리 항목 중 해당 공정에 대한 항목을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안전 관리 항목은 공정 별 기술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에서 공정 별로 넘버링 되어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는 가장 가까운 비콘의 번호와 링크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Here, if the linked data is a safety management item, the beacon provides an item for the corresponding process among the safety management items to the terminal, and the safety management items are numbered by processes in the technical safety management checklist for each process, Which is linked to the number of the nearest beac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개시된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 또는 동작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나, 당업자는 이로부터 도 2의 다른 일 실시예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work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t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will be omitted for the configuration or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t the worksite using the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disclosed in FIG. 2, From this, another embodiment of Fig. 2 will be fully understood.

도 2에 개시된 비콘을 이용한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계측장치(103_1, 103_2, 103_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echnical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a work site using the beacon disclosed in FIG. 2 may further include measurement devices 103_1, 103_2, and 103_3.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는 계측장치(103_1, 103_2, 103_3)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비콘(101_1, 101_2, 101_3)과 링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정 영역에 위치하는 계측장치(103_1)와 비콘(101_1)은 링크되어 있고, 제2 공정 영역에 위치하는 계측장치(103_2)와 비콘(101_2)은 링크되어 있고, 제3 공정 영역에 위치하는 계측장치(103_3)와 비콘(101_3)은 링크되어 있다.
Measuring devices 103_1, 103_2, and 103_3 ar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and are linked to the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installed in th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For example, the measuring apparatus 103_1 located in the first processing region and the beacon 101_1 are linked, the measuring apparatus 103_2 located in the second processing region and the beacon 101_2 are linked, The measuring apparatus 103_3 located in the process area and the beacon 101_3 are linked.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계측장치(103_1, 103_2, 103_3)는 주변 환경을 계측하여 계측 정보를 기 링크된 비콘(101_1, 101_2, 101_3)에 제공한다. 그러면, 비콘(101_1, 101_2, 101_3)은 계측장치(103_1, 103_2, 103_3)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 범위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계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easuring apparatuses 103_1, 103_2, and 103_3 provid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work site measu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rovid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linked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Then, when the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devices 103_1, 103_2, and 103_3, the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can provid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user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즉, 상기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을 계측하여 계측정보를 기 링크된 비콘에 제공하는 계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콘은 기 링크된 계측장치로부터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측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되어진다.
That is, the beacon further includes a measurement device position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operation site to measu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rovid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beacon linked to the beacon. When the beacon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linked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계측장치에 번호가 부여되어지면 상기 계측장치에 가장 가까운 비콘에 그 번호가 링크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의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해당 계측장치의 계측데이터 및 그래프가 자동으로 수신되어진다.
If a number is assigned to the measuring device, the number is linked to a beacon closest to the measuring device. If a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measuring device,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graph of FIG.

예를 들어, 비콘(101_1)은 계측장치(103_1)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 범위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102_1)에 계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비콘(101_2)은 계측장치(103_2)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 범위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102_2)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비콘(101_3)은 계측장치(103_3)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 범위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102_3)에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beacon 101_1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device 103_1, the beacon 101_1 can provid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102_1 held by the user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For another example, when the beacon 101_2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device 103_2, the beacon 101_2 can provide the beacon 101_2 to the terminal device 102_2 held by the user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beacon 101_3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ing device 103_3, the beacon 101_3 can provide the beacon 101_3 to the terminal device 102_3 held by the user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한편,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계측장치(103_1, 103_2, 103_3)는 이벤트 감지 시 링크된 비콘(101_1, 101_2, 101_3)으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비콘(101_1, 101_2, 101_3)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102_1, 102_2, 102_3)에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easuring apparatuses 103_1, 103_2, and 103_3 located in the process areas of the work site provide event information to the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linked when the event is detected. Then, the beacons 101_1, 101_2, and 101_3 provide ev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s 102_1, 102_2, and 102_3 in the communication range.

즉,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미감지되는 경우에는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소 통신 범위로 설정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계측데이터 및 안전 관리 항목이 제공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비콘에 전달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대 통신 범위로 확대되어짐으로써 최대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경광 모듈에 상기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제공되어지며 상기 경광 모듈에 의해 알림이 발생함으로써 주변에 유해상황 발생을 전파한다.
That is, when the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in the measuring device,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is set to the minimum communication range, and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afety management item are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specific user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When the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in the measuring device, the hazardous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eacon so that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is expanded to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so that the terminal device and the lightening module of the specific user located in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provided, and a notice is generated by the light modulating module, thereby propagating the occurrence of a harmful situation to the surroundings.

예를 들어, 제1 공정 영역에 설치된 계측장치(103_1)가 위험을 감지하면 기 링크된 비콘(101_1)에 위험 상황을 제공하고, 비콘(101_1)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102_1)에 위험 상황을 제공한다. 이때, 비콘(101_1)은 다른 비콘(101_2, 101_3)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비콘(101_2, 101_3)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101_2, 102_3)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콘(101_1)이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102_1)에 위험 상황을 제공하면, 단말 장치(102_1)는 다른 단말 장치(102_2, 102_3, 102_4)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easuring device 103_1 installed in the first process area senses a danger, the beacon 101_1 provides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previously linked beacon 101_1, and the beacon 101_1 is dangerous to the terminal device 102_1 in the communication range Provide a situation. At this time, the beacon 101_1 can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to other beacons 101_2 and 101_3, and the other beacons 101_2 and 101_3 can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terminal devices 101_2 and 102_3 having communication range . In addition, if the beacon 101_1 provides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terminal device 102_1 in the communication range, the terminal device 102_1 can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other terminal devices 102_2, 102_3, and 102_4.

즉, 본 발명은 위험 상황 발생 시 비콘이 다른 비콘에게 위험 상황을 제공하거나, 비콘이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하거나, 비콘으로부터 위험 상황을 제공받은 단말 장치가 다른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acon for a beacon in a dangerous situation, a beacon for a beacon in a communication range, a dangerous situation for a beacon in a communication range, You can provide a situation.

이와 같이, 연쇄 제공 시 비콘 또는 단말 장치가 중복된 동일 내용의 위험 상황이 수신되지 않도록 이미 위험 상황이 수신되었다면 다음에 수신된 동일한 내용의 위험 상황은 차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비콘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현장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에 대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if a dangerous situation is already received so that a beacon or a terminal device is duplicated and a same-content dangerous situation is not received, the next received dangerous situation is blocked. As described above, the beacon is used to quickly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various dangerous situations occurring on the spot in real time.

이러한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비콘(103_1, 103_2, 103_3)은 평상시의 통신 범위(예를 들어, 5m)를 최대 통신 범위(예를 들어, 50m)로 확대하여 최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즉,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비콘(103_1, 103_2, 103_3)은 평상시에 최대 통신 범위 중 특정 통신 범위(예를 들어, 5m 반경)에 있는 단말 장치를 감지하며, 계측장치(103_1, 103_2, 103_3)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최대 통신 범위로 확대하여 최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콘의 통신 범위를 구분함으로써 비콘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When such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the beacons 103_1, 103_2, and 103_3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enlarge the communication range (for example, 5m) to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for example, 50m) It can notify dangerous situation to terminal devices in range. That is, the beacons 103_1, 103_2, and 103_3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work site sense terminal devices in a specific communication range (for example, 5m radius) , 103_3), it can expand to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and detect a terminal device in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Thus, by dividing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the power efficiency of the beacon can be increased.

도 1 및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에는 서버가 존재한다. 서버는 계측장치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하여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거나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비콘에 기 링크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은 이하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lthough not shown in FIGS. 1 and 2, a server exists in a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a work 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The server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device and provides it through the safety manager program or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data linked to the beac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ager. Such a safety manager progra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below.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FIG. 3 and FIG. 4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beacon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같이 사용자는 작업현장의 도면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비콘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진 도면을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도면 상의 비콘에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를 클릭하여 드래그하여 도면에 위치시킴으로써 비콘에 위치 정보를 맵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nd FIG. 4, the user can set the position of the beacon by dividing the drawing of the work site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4, the terminal displays on the screen a drawing di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The user can map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eacon by clicking and dragging the number indic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beacon in the drawing and placing it in the drawing.

즉, 상기 비콘은 상기 작업현장의 도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생성된 각각의 구간에 설치되며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가 맵핑되는 것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위치한 공정 영역에 상기 비콘이 설치되어질 경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비콘의 위치에 해당되는 번호모양이 클릭 또는 드래그를 통해 도면 위치에 입력되어짐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서 비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공정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며,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진다.
That is, the beacon is installed in each section generated by dividing the drawings of the job site at regular intervals, and a number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s mapped. When the beacon is installed in a process area in which a specific user is installed, The beacon position is mapped on the user's terminal device by inputting a numb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eacon in the drawing position through a click or a drag, When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area,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이와 같이, 초기에 사용자에 의한 계획에 따라 작업현장의 도면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비콘 위치를 설정하고, 각각의 비콘에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를 위치시킴으로써 비콘에 위치 정보를 맵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eacon position can be initially set by dividing the drawing of the work site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plan by the user,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mapped to the beacon by positioning the number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n each beacon.

사용자는 기 설치된 비콘 이외에 추가적으로 비콘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공정 영역에서 활동 시 유해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 비콘을 설치하고, 단말 장치를 통해 해당 비콘에 번호 모양을 클릭하여 드래그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비콘에 위치 정보를 맵핑할 수 있다.
The user can install an additional beacon in addition to the already installed beacon. For example, when a user creates a harmful situation in a specific process area, the user installs a beacon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clicks and drags the number shape on the beacon through the terminal device to position the beacon. You can map.

즉, 비콘이 설치되어진 위치 이외에 추가 점검이 필요한 임의의 장소에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지는 소형의 비콘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추가된 비콘은 새로운 비콘 번호가 부여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 상기 비콘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상기 비콘이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고,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진다.
That is, a small beacon carried by the us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any place other than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and the beacon may be provided with a new beacon number,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are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by the user. When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area, Lt; / RTI >

이와 같이, 비콘에 위치 정보를 맵핑하는 이유는 비콘의 위치 정보에 따라 데이터(예를 들어, 비콘이 위치하는 공정 영역의 안전 관리 항목, 이벤트 정보) 및 계측장치를 링크시키기 위해서이다. 비콘에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공정 영역의 안전 관리 항목을 링크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비콘의 통신 범위에 있을 때 비콘이 단말 장치에 기 링크된 안전 관리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The reason for ma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eacon is to link the data (for example, the safety management item of the process area where the beacon is located, the event information) and the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beacon location information. The beacon can provide a safety management item linked to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by linking the beacon with the safety management item in the process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여기에서, 안전 관리 항목은 공정 별 기술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에서 공정 별로 넘버링 되어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는 가장 가까운 비콘의 번호와 링크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이벤트 정보는 사용자가 작업현장에서 활동 시 특정 위치에서 유해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특정 위치에 설치된 비콘에 링크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Here, the safety management item is information that is linked with the number of the nearest beacon in which the process is numbered by the process in the process safety management checklist. In addition, the event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linked to a beacon installed at the specific location by the user when a harmful situation occurs at a specific location when the user is active in a job site.

단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유해상황에 대한 내용(예를 들어,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을 저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저장한다. 단말 장치는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서 해당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stores the contents of the harmful situation (e.g., image, moving picture, text, etc.) input by the user, and also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The terminal device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server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한편, 상기 전송되어진 데이터는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에서 조회되어지며, 비콘 맵(map) 상에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한 아이콘이 부여되어 상기 아이콘이 클릭되어지면 해당 이벤트 내용이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 상에 조회되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red data is inquired by the safety manager program, an icon for the event occurrence position is given on the beacon map, and when the icon is clicked, the contents of the event are inquired on the safety manager program .

또한 상기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진 비콘은 인접한 다른 구역의 비콘과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고, 상기 위험신호가 수신된 단말 장치는 통신 범위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며, 동일한 내용으로 중복 전송되어진 신호는 최초 신호만 수신되어지고 두 번째 신호부터는 차단되어짐으로써, 중복된 신호로 인해 사용자가 혼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Also, the beacon to which the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is connected to the beacon of another adjacent area and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device and the signal which is duplicated with the same contents is received only the first signal and is blocked from the second signal so that the user is prevented from being confused by the duplicated signa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과 공정 별 안전 관리 항목을 링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linking beac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processes.

도 5를 참조하면, 작업현장의 도면은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공정 영역에는 비콘(01 내지 3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공정 영역에 설치된 비콘(01 내지 35)에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서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가 맵핑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drawings of the work site are divided at regular intervals, and beacons 01 to 35 are installed in each process area. The beacons 01 to 35 installed in the respective process areas are mapped to the numbers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각각의 공정 영역에 설치된 비콘(01 내지 35)의 위치 정보에 따라 비콘의 번호와 공정 별 안전 관리 항목을 링크시킨다. 이때, 공정 별 기술 안전 체크리스트에서 공정 별로 넘버링을 하고,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는 가장 가까운 비콘에 그 번호를 링크시킨다. 예를 들어, 비콘(03)에는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의 공정 영역의 안전 관리 항목인 흙막이의 번호(1-1)와 비콘의 번호(03)를 링크시킨다.
The beacon number and the safety management item for each process are link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s 01 to 35 installed in the respective process areas. At this time, numbering is performed for each process in the technical safety checklist for each process, and the number is linked to the nearest beacon in which the process is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beacon 03, the number (1-1)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which is the safety management item of the process area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the number 03 of the beacon are lin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이와 같이, 비콘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공정 영역의 안전 관리 항목을 비콘과 링크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비콘의 통신 범위에 있을 때 비콘이 단말 장치에 기 링크된 안전 관리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Thus, by linking the safety management item of the process area with the beacon according to the beacon position information, the beacon can provide the safety management item linked to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is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510)를 보유한 상태에서 특정 공영 영역에 위치하면 단말 장치(510)는 해당 공정 영역에 설치된 비콘(10)의 통신 범위에 위치하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user is located in a specific public area while holding the terminal device 510, the terminal device 510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1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process area.

그러면, 비콘(10)은 기 링크된 안전 관리 항목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안전 관리 항목(520)을 단말 장치(510)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 장치를 보유한 사용자는 해당 공정 영역의 안전 관리 항목을 확인하여 사전에 조심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Then, the beacon 10 confirms whether the linked safety management item is present, and provides the safety management item 520 to the terminal device 510. Therefore, the user having the terminal device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at the construction site by checking the safety management item of the process area and taking care in advanc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과 계측장치를 링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linking a beacon and a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작업현장의 도면은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공정 영역에는 비콘(01 내지 3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공정 영역에 설치된 비콘(01 내지 35)에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서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가 맵핑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rawings of the operation site are divided at regular intervals, and beacons 01 to 35 are installed in respective process areas. The beacons 01 to 35 installed in the respective process areas are mapped to the numbers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또한, 각각의 공정 영역에는 계측장치(610_1, 610_2, 610_3)가 설치되어 각각의 공정 영역을 계측하여 계측 정보를 기 링크된 비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계측장치(610_1, 610_2, 610_3)의 번호와 비콘의 번호를 링크시킨다. 예를 들어, 계측장치(610_1)의 번호는 비콘의 번호(03)와 링크될 수 있고, 계측장치(610_2)의 번호는 비콘의 번호(15)와 링크될 수 있고, 계측장치(610_3)의 번호는 비콘의 번호(13)와 링크될 수 있다.
In addition, measurement apparatuses 610_1, 610_2, and 610_3 may be provided in respective process regions to measure the respective process regions, and provid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linked beacon. To this end, the numbers of the measuring devices 610_1, 610_2, and 610_3 are linked to the numbers of the beacons.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measuring device 610_1 may be linked to the number 03 of the beacon, the number of the measuring device 610_2 may be linked to the number 15 of the beacon, The number may be linked to beacon number 13.

이와 같이 계측장치(610_1, 610_2, 610_3)와 비콘(03, 15, 13)을 각각 링크시킴으로써 계측장치(610_1, 610_2, 610_3)는 계측 정보를 비콘(03, 15, 13)에 제공하고, 비콘(03, 15, 13)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에 계측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계측장치(610_1)는 계측 정보를 비콘(03)에 제공하고, 비콘(03)은 참조번호(620)와 같이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단말 장치에 계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 장치를 통해 해당 공정 영역의 계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By linking the measuring devices 610_1, 610_2 and 610_3 and the beacons 03,15 and 13 in this way, the measuring devices 610_1, 610_2 and 610_3 provide the measuring information to the beacons 03,15 and 13, (03, 15, 13) provid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s in the communication range. For example, the measuring device 610_1 may provid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beacon 03, and the beacon 03 may provid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s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such as the reference number 620. [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measurement data of the process area in real time through his / her terminal device.

또한, 각각의 공정 영역에는 계측장치(610_1, 610_2, 610_3)는 이벤트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기 링크된 비콘(03, 15, 13)으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비콘(03, 15, 13)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에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장치(610_1)는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위험 상황을 비콘(03)에 제공하고, 비콘(03)은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단말 장치에 계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비콘(03)은 다른 비콘(15, 13)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비콘(15, 13)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콘(03)이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하면, 단말 장치는 다른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Also, in each process area, the measuring devices 610_1, 610_2, and 610_3 can detect an event situation and provide event information to the beacons 03, 15, and 13 that are linked to each other. Then, the beacons 03, 15, and 13 can provide ev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s in the communication range. For example, the measurement apparatus 610_1 may detect a dangerous situation,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beacon 03, and the beacon 03 may provid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pparatuses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In this example, the beacon 03 may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other beacons 15 and 13, and the other beacons 15 and 13 may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terminal device in the communication range. In addition, if the beacon 03 provides a dangerous situation to a terminal device in the communication range, the terminal device can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other terminal device.

즉, 본 발명은 위험 상황 발생 시 비콘이 다른 비콘에게 위험 상황을 제공하거나, 비콘이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하거나, 비콘으로부터 위험 상황을 제공받은 단말 장치가 다른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acon for a beacon in a dangerous situation, a beacon for a beacon in a communication range, a dangerous situation for a beacon in a communication range, You can provide a situation.

이와 같이, 연쇄 제공 시 비콘 또는 단말 장치가 중복된 동일 내용의 위험 상황이 수신되지 않도록 이미 위험 상황이 수신되었다면 다음에 수신된 동일한 내용의 위험 상황은 차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비콘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현장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에 대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if a dangerous situation is already received so that a beacon or a terminal device is duplicated and a same-content dangerous situation is not received, the next received dangerous situation is blocked. As described above, the beacon is used to quickly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various dangerous situations occurring on the spot in real time.

도 7 및 도 8은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를 위한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FIGS. 7 and 8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interface of the safety manager program for the technical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at the work sit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은 비콘 맵을 제공하며, 비콘 맵의 비콘 중 비콘의 번호와 기 링크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의 식별자를 표시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쉽게 구분될 수 있도록 한다.
7 and 8, the safety manager program provides a beacon map, displays identifiers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acons in the beacon of the beacon map and the type of the previously linked data, .

예를 들어, 비콘의 번호(04)에는 기 링크된 계측장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연두색의 식별자를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비콘의 번호(06)에는 기 링크된 안전 관리 항목이 존재하기 때문에 주황색의 식별자를 표시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비콘(36)은 사용자가 임의의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여 설치한 비콘이기 때문에 이벤트가 링크되어 있다. 이러한 비콘의 번호(36)에는 보라색의 식별자를 표시한다.
For example, the beacon number 04 indicates an identifier of greenish yellow because there is a linked measuring device. For another example, the beacon number 06 indicates an identifier of orange because there is a previously linked safety management item. As another example, the beacon 36 is linked to the beacon 36 because the beacon 36 is a beacon installed by the user because it is determined that an arbitrary event has occurred. The beacon number 36 indicates an identifier of purple.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은 관리자에 의해 비콘의 번호가 클릭되면 해당 비콘과 연결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관리자에 의해 비콘의 번호(06)가 클릭되면 해당 비콘과 기 링크된 안전 관리 항목이 표시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관리자에 의해 비콘의 번호(04)가 클릭되면 해당 비콘과 기 링크된 계측장치로부터 수신된 계측 정보(예를 들어, 계측 데이터)가 표시된다.
The safety manager program displays the data associated with the beacon when the beacon number is clicked by the administrator. For example, when the beacon number 06 is clicked by the administrator as shown in FIG. 7, the beacon and the linked safety management item are display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beacon number 04 is clicked by the manager as shown in FIG. 8, the beacon and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xample,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linked measurement apparatus are display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risk information to a user utilizing a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는 계측장치(9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위치한 비콘(920)과 링크되어 있다.
9, a measuring device 91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and is linked to a beacon 920 locat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계측장치(910)는 주변 환경을 계측하여 계측 정보를 기 링크된 비콘(920)에 제공한다. 계측장치(910)는 주변 환경을 계측하는 과정에서 이벤트를 계측하면 기 링크된 비콘(920)에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비콘(920)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 및 경광등에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비콘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현장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에 대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measuring device 910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work site measur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rovides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linked beacon 920. The measuring device 910 provides event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linked beacon 920 by measuring the event in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n, the beacon 920 provides ev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in the communication range and the beacon. As described above, the beacon is used to quickly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various dangerous situations occurring on the spot in real time.

이러한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비콘(920)은 최대 통신 범위(예를 들어, 50m)로 확대하여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When such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the beacon 920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worksite may be enlarged to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for example, 50 m) to notify the terminal devices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dangerous situation.

즉,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비콘(920)은 평상시에 최대 통신 범위 중 특정 통신 범위(예를 들어, 5m 반경)에 있는 단말 장치를 감지하며, 계측장치(91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최대 통신 범위로 확대하여 최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콘의 통신 범위를 구분함으로써 비콘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at is, the beacon 920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work site senses a terminal device in a specific communication range (for example, 5 m radius) of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at normal times, receives event information from the measuring device 910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terminal device in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by expanding to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Thus, by dividing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the power efficiency of the beacon can be increased.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활용하여 관리자에게 위험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danger information to an administrator utilizing a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는 계측장치(9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위치한 비콘(920)과 링크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0,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has a metering device 910, which is linked to a beacon 920 locat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계측장치(910)는 주변 환경을 계측하여 계측 정보를 기 링크된 비콘(920)에 제공한다. 계측장치(910)는 주변 환경을 계측하는 과정에서 이벤트를 계측하면 기 링크된 비콘(920)에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계측장치(910)는 서버에 이벤트 정보를 직접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The measuring device 910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work site measur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rovides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linked beacon 920. The measuring device 910 provides event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linked beacon 920 by measuring the event in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measuring device 910 can directly transmit event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notify the administrator thereof.

이때, 비콘(920)은 다른 비콘(930)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비콘(930)은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비콘(920)이 통신 범위에 있는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하면, 단말 장치는 다른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eacon 920 may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to another beacon 930, and the other beacon 930 may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terminal devices in the communication range.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if the beacon 920 provides a dangerous situation to a terminal device in a communication range, the terminal device can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to other terminal devices.

즉, 본 발명은 위험 상황 발생 시 비콘이 다른 비콘에게 위험 상황을 제공하거나, 비콘이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하거나, 비콘으로부터 위험 상황을 제공받은 단말 장치가 다른 단말 장치에 위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acon for a beacon in a dangerous situation, a beacon for a beacon in a communication range, a dangerous situation for a beacon in a communication range, You can provide a situation.

이와 같이, 연쇄 제공 시 비콘 또는 단말 장치가 중복된 동일 내용의 위험 상황이 수신되지 않도록 이미 위험 상황이 수신되었다면 다음에 수신된 동일한 내용의 위험 상황은 차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비콘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현장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에 대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if a dangerous situation is already received so that a beacon or a terminal device is duplicated and a same-content dangerous situation is not received, the next received dangerous situation is blocked. As described above, the beacon is used to quickly provide a dangerous situ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various dangerous situations occurring on the spot in real time.

지금까지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은 다음과 같이 활용되어질 수 있다.
The technology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technolog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so far, can be utilized as follows.

먼저 비콘은 도면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구간이 나누어져 위치가 설정되어지며, 상기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비콘의 위치에 해당되는 번호모양이 클릭 또는 드래그를 통해 도면 위치에 입력되어지며, 임의의 지점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추가적인 비콘 번호가 입력되어짐으로써, 초기 설정 이후에도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현장에서 즉시 추가 비콘 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First, the beacon is divided into sec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drawing, and the position is set. In the terminal, a numb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eacon is inputted to the drawing position through clicking or dragging. An additional beacon number for the location where the event occurs is input, so that it is easy to input an additional beacon number immediately on the spot when an event occurs after the initial setting.

다음으로 계측장치에 번호가 부여되어지면 상기 계측장치에 가장 가까운 비콘에 그 번호가 링크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의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해당 계측장치의 계측 데이터 그래프가 자동으로 수신되어짐으로써, 사용자가 계측장치의 통신 범위 안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계측 데이터가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 장치의 화면으로 자동으로 표시되어 알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a number is assigned to the measuring device, the number is linked to the beacon closest to the measuring device. If a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measuring device, The measurement data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user and can be informed when the user is position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measuring device.

또한 계측장치에 의해 임의의 유해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발생위치에 추가적인 비콘이 설치되어지며,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서 비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상기 이벤트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며,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짐으로써, 유해상황의 내용을 이벤트 발생 지역의 사용자와 서버 관리자 및 조치담당자가 즉시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한다.
Further, when an arbitrary harmful situation occurs by the measurement apparatus, an additional beacon is installed at the corresponding occurrence position, a beacon position is mapped on the user's terminal device, and the event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o that the user of the event occurrence area, the server manager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event immediately check the content of the harmful situation and manage it I can do it.

이때 상기 전송되어진 데이터는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에서 조회되어지며, 비콘 맵(map) 상에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한 아이콘이 부여되어 상기 아이콘이 클릭되어지면 해당 이벤트 내용이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 상에 조회되어짐으로써, 서버 관리자는 비콘 맵(map) 상에서 이벤트 발생 위치와 발생 내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장별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At this time, the transmitted data is inquired by the safety manager program, and an icon for the event occurrence position is given on the beacon map. When the icon is clicked, the contents of the event are inquired on the safety manager program , The server manager can confirm the location and occurrence of an event on a beacon map at a glance, and it is effective to enable efficient safety management on site.

또한 계측장치에 의해 유해상황이 감지되면 계측장치로부터 비콘으로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며, 상기 비콘은 신호 전달 범위가 최대 50m 까지 확장되어져 상기 비콘을 통해 경광등 및 해당 장소에 인접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상기 위험신호가 다시 전송되어짐으로써, 신호 전달범위를 2단계를 구분하여 평상시에는 5m 이내로 통신 범위가 설정된 비콘의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다.
If a hazardous situation is detected by the measuring device,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easuring device to the beacon. The signal transmission range of the beacon is extended up to 50 m, and the beac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user adjacent to the beacon, By transmitting the danger signal agai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wer efficiency of the beacon whose communication range is set within 5m in the normal state by dividing the signal transmission range into two stages.

이때 상기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진 비콘은 인접한 다른 구역의 비콘과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고, 상기 위험신호가 수신된 단말 장치는 통신 범위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며, 동일한 내용으로 중복 전송되어진 신호는 최초 신호만 수신되어지고 두 번째 신호부터는 차단되어짐으로써, 유해발생 지역에 인접한 모든 비콘 및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위험신호가 연쇄적으로 전달되어지며 중복으로 전달된 메시지는 자동적으로 차단되어 효과적으로 유해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t this time, the beacon to which the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is connected to a beacon of a neighboring area and a user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through the network. In the case of overlapping signals transmitted with the same contents, only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and the second signal is blocked. Thus, all the beacons and users adjacent to the hazardous area are rapidly And the message delivered in duplicate is automatically block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ransmit the harmful situation.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_1, 101_2, 101_3: 비콘
102_1, 102_2, 102_3, 102_4: 단말 장치
103_1, 103_2, 103_3: 계측장치
101_1, 101_2, 101_3: Beacon
102_1, 102_2, 102_3, 102_4: terminal device
103_1, 103_2, 103_3: Measuring device

Claims (16)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비콘에서 실행되는 작업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통신 범위에 단말 장치가 감지되는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상기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기 링크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
A method for integrating technical safety in a worksite executed in a beacon installed in each of the processing areas of a work site,
Monitoring a terminal device in a communication range;
Checking if the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during the monitoring process to see if there is linked data; And
And providing the data to a terminal device owne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 링크된 데이터가 안전 관리 항목인 경우, 상기 안전 관리 항목 중 해당 공정에 대한 항목을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관리 항목은 공정 별 기술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에서 공정 별로 넘버링 되어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는 가장 가까운 비콘의 번호와 링크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tep of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And providing an item for a corresponding process among the safety management items to a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when the previously linked data is a safety management item,
Wherein the safety management item refers to information linked with the number of the nearest beacon that is numbered per process in the technical safety management checklist for each process and linked to the number of the nearest beacon.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설치된 계측장치 중 기 링크된 계측장치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측정보가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되어지는 단계; 및
상기 계측장치에 번호가 부여되어지면 상기 계측장치에 가장 가까운 비콘에 그 번호가 링크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의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해당 계측장치의 계측데이터 및 그래프가 자동으로 수신되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tep of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Receiving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a linked measurement device among the measurement devices provid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job sit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eing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nd
If a number is assigned to the measuring device, the number is linked to a beacon closest to the measuring device. If a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measuring device, And a step of automatically receiving measurement data and a graph. The method for integrating technical safety in a construction site using a smart information delivery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미감지되는 경우에는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소 통신 범위로 설정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계측데이터 및 안전 관리 항목이 제공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비콘에 전달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대 통신 범위로 확대되어짐으로써 최대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경광 모듈에 상기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제공되어지며 상기 경광 모듈에 의해 알림이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tep of providing the data to the terminal device hel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When a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in the measuring apparatus,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is set to the minimum communication range, and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afety management item are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specific user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When the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in the measuring device, the hazardous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eacon so that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is expanded to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so that the terminal device and the lightening module of the specific user located in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a situation and generating a notification by the light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은
상기 작업현장의 도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생성된 각각의 구간에 설치되며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가 맵핑되는 것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위치한 공정 영역에 상기 비콘이 설치되어질 경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비콘의 위치에 해당되는 번호모양이 클릭 또는 드래그를 통해 도면 위치에 입력되어짐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서 비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공정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며,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acon
The number of the beacon is set in each section generated by dividing the drawing of the work si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number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s mapped. When the beacon is installed in a process area where a specific user is located, The beacon position is mapped on the user's terminal device by inputting the numb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to the drawing position through clicking or dragging,
Wherein the event generated in the process area is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and when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in the communicable range,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echnical Safety in Construction Site Using
제 1 항에 있어서,
비콘이 설치되어진 위치 이외에 추가 점검이 필요한 임의의 장소에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지는 소형의 비콘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추가된 비콘은 새로운 비콘 번호가 부여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 상기 비콘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상기 비콘이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고,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mall beacon carried by a us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any place where an additional check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The added beacon is assigned a new beacon number, The location is mapped,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are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by the user and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when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in the communicable range. How to manage integrated technology safety at the construction site using devic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어진 데이터는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에서 조회되어지며, 비콘 맵(map) 상에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한 아이콘이 부여되어 상기 아이콘이 클릭되어지면 해당 이벤트 내용이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 상에 조회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ransmitted data is inquired by the safety manager program, and an icon for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is given on a beacon map. When the icon is clicked, the contents of the event are inquired on the safety manager program A Method of Integrating Technological Safety in Construction Site Using Smart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진 비콘은 인접한 다른 구역의 비콘과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고, 상기 위험신호가 수신된 단말 장치는 통신 범위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며, 동일한 내용으로 중복 전송되어진 신호는 최초 신호만 수신되어지고 두 번째 신호부터는 차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eacon to which the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is connected to a beacon of a neighboring area and a user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risk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and only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and the second signal is blocked when the same signal is repeatedly transmitted.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기 링크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비콘;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에 위치하면 상기 비콘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며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A beacon which verifies whether there is already linked data when a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is detected in a communication range and provides the data to a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heck;
A terminal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data from the beacon in a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And
And a server for storing the data and providing the data through a program interface for a safety manag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은
상기 기 링크된 데이터가 안전 관리 항목인 경우 상기 안전 관리 항목 중 해당 공정에 대한 항목을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안전 관리 항목은 공정 별 기술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에서 공정 별로 넘버링 되어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는 가장 가까운 비콘의 번호와 링크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eacon
Providing the terminal device with an item for the corresponding process among the safety management items when the previously linked data is a safety management item,
Wherein the safety management item refers to information linked with the number of the nearest beacon that is numbered per process in the technical safety management checklist for each process and linked to the number of the nearest beacon.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현장의 공정 영역 각각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을 계측하여 계측정보를 기 링크된 비콘에 제공하는 계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콘은 기 링크된 계측장치로부터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측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제공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에 번호가 부여되어지면 상기 계측장치에 가장 가까운 비콘에 그 번호가 링크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의 통신 범위에 특정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 장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해당 계측장치의 계측데이터 및 그래프가 자동으로 수신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measuring device located in each of the process areas of the operation site to measu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rovid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previously linked beacon, wherein the beacon, when receiv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linked measurement device, I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If a number is assigned to the measuring device, the number is linked to a beacon closest to the measuring device. If a terminal device held by a specific user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graph are automatically received by the smart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미감지되는 경우에는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소 통신 범위로 설정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계측데이터 및 안전 관리 항목이 제공되어지며,
상기 계측장치에 유해상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비콘에 전달되어져 상기 비콘의 통신 범위가 최대 통신 범위로 확대되어짐으로써 최대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경광 모듈에 상기 유해상황 발생 정보가 제공되어지며 상기 경광 모듈에 의해 알림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a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in the measuring apparatus,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is set to the minimum communication range, and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afety management item are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specific user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When the harmful situation is detected in the measuring device, the hazardous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eacon so that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beacon is expanded to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so that the terminal device and the lightening module of the specific user located in the maximum communication range Wherein the smart inform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status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the smart light module generates a notific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은
상기 작업현장의 도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생성된 각각의 구간에 설치되며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 번호가 맵핑되는 것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위치한 공정 영역에 상기 비콘이 설치되어질 경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비콘의 위치에 해당되는 번호모양이 클릭 또는 드래그를 통해 도면 위치에 입력되어짐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서 비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공정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며,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eacon
The number of the beacon is set in each section generated by dividing the drawing of the work si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number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s mapped. When the beacon is installed in a process area where a specific user is located, The beacon position is mapped on the user's terminal device by inputting the numb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to the drawing position through clicking or dragging,
Wherein the event generated in the process area is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and when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in the communicable range,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using
제 9 항에 있어서,
비콘이 설치되어진 위치 이외에 추가 점검이 필요한 임의의 장소에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지는 소형의 비콘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추가된 비콘은 새로운 비콘 번호가 부여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 상기 비콘의 위치가 맵핑(mapping)되어지며,
상기 비콘이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지고,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A small beacon carried by a us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any place where an additional check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The added beacon is assigned a new beacon number, The location is mapped,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are stored in the terminal device by the user and the sto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when the terminal device is located in the communicable range.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using device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어진 데이터는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에서 조회되어지며, 비콘 맵(map) 상에 이벤트 발생 위치에 대한 아이콘이 부여되어 상기 아이콘이 클릭되어지면 해당 이벤트 내용이 안전관리자용 프로그램 상에 조회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transmitted data is inquired by the safety manager program, and an icon for an event occurrence position is given on a beacon map. When the icon is clicked, the contents of the event are inquired on the safety manager program Integrated techn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using smart information transfer devi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진 비콘은 인접한 다른 구역의 비콘과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고, 상기 위험신호가 수신된 단말 장치는 통신 범위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어져 위험신호가 전송되어지며, 동일한 내용으로 중복 전송되어진 신호는 최초 신호만 수신되어지고 두 번째 신호부터는 차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beacon to which the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is connected to a beacon of a neighboring area and a user terminal of the use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risk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and only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and the second signal is blocked when the redundantly transmitted signal is transmitted with the same contents.
KR1020150056650A 2015-04-22 2015-04-22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Active KR101736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650A KR101736158B1 (en) 2015-04-22 2015-04-22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650A KR101736158B1 (en) 2015-04-22 2015-04-22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152A true KR20160126152A (en) 2016-11-02
KR101736158B1 KR101736158B1 (en) 2017-05-17

Family

ID=5751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650A Active KR101736158B1 (en) 2015-04-22 2015-04-22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158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792B1 (en) * 2018-08-09 2019-10-25 (주)바인테크 Facility safety check system and method
KR20200001938A (en) * 2018-06-28 2020-01-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WO2020122263A1 (en) * 2018-12-10 2020-06-18 디노플러스 (주)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of aerial work platform by using smart glass
KR102317241B1 (en) * 2021-01-28 2021-10-26 (주)지앤에스 apparatus and system for fall protection apparatus at building openings
KR102438757B1 (en) 2021-04-27 2022-09-0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mart safety management platform
KR20220122227A (en)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대림 Portable safety box for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s
KR20220133620A (en)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이도 Construction site safty control system using video analysis technolog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119B1 (en) * 2017-09-28 2019-02-21 이태훈 Danger warn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site
KR101996017B1 (en) 2017-10-27 2019-07-03 진성규 A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beacon by changing transmitting strength periodically
KR102009898B1 (en) 2018-11-07 2019-08-12 진성규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al site based on beacon
CN111027915B (en) * 2019-12-17 2020-09-15 哈尔滨工业大学 An intelligent logistics safety assistance system based on bluetooth technology
KR102170748B1 (en) 2020-01-07 2020-10-27 (주)영신디엔씨 3-Dimensional Space Information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Platform System for IoT-Based Smart Constuction
KR102519875B1 (en) 2020-12-14 2023-04-11 소프트온넷(주) Collision warning system for industrial site
KR102350668B1 (en) * 2021-09-24 2022-01-12 주식회사 풍국 Smart user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landscap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drone
KR20230103002A (en) 2021-12-30 2023-07-07 소프트온넷(주) System for managing safety in industrial site
KR20230138301A (en) 2022-03-23 2023-10-05 주식회사 피에스 Construction site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240070749A (en) 2022-11-14 2024-05-22 (주)아이씨엔아이티 Integrated safety managementing system for industrial sit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29B1 (en) * 2007-02-28 2008-07-16 울산광역시 Occupational Safety and Disaster Monitoring System in Manufacturing
JP4433001B2 (en) * 2007-06-15 2010-03-17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1483925B1 (en) * 2014-11-25 2015-01-20 이요훈 Smart Safety Administration Service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938A (en) * 2018-06-28 2020-01-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036792B1 (en) * 2018-08-09 2019-10-25 (주)바인테크 Facility safety check system and method
WO2020122263A1 (en) * 2018-12-10 2020-06-18 디노플러스 (주)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of aerial work platform by using smart glass
KR102317241B1 (en) * 2021-01-28 2021-10-26 (주)지앤에스 apparatus and system for fall protection apparatus at building openings
KR20220122227A (en)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대림 Portable safety box for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s
KR20220133620A (en)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이도 Construction site safty control system using video analysis technology
KR102438757B1 (en) 2021-04-27 2022-09-0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mart safety management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158B1 (en)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158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information-transmiss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s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US9691254B2 (en) Real-time alarm system for field safety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807726B1 (en) Use of low energy bluetooth beacons to locate field equipment and personnel
JP6937113B2 (en) Worksite management system
CA2762092C (en) Improved detection and location of wireless field devices
EP3095098B1 (en)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alarm system
KR101615865B1 (en) Management System for working in plac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CN202394086U (en) Process control system
US201800628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control of equipment and facility resources
Li et al. Integrating real time positioning systems to improve blind lifting and loading crane operations
KR102026531B1 (en) System for total managing work-safety based on iot
KR101645139B1 (en) Management System at a work in plac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102391207B1 (en) 3D modeling based worker location management system
EP3028402B1 (en) Dynamic sensor driver loading over a wireless network
KR20220133620A (en) Construction site safty control system using video analysis technology
JP2017004279A (e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information collection terminal equipment, information collection server device, and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CA3144328A1 (en) Board signage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CN10226240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dustrial plant information
CN115668161A (en) Construction site online monitoring equipment, control unit thereof and construction site online monitoring method
CN106354105B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nd facility resources based on location
KR102001736B1 (en) Internet of things cone, operation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7318162A (en) WiFi equipment localiz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based on technology of Internet of things
KR20160099902A (en) Part Life Management System
US20220418073A1 (en) Industrial plant environmental condition map using luminaires
KR20150129337A (en) Fac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customiz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