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135A - Sort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 Google Patents
Sort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6135A KR20160126135A KR1020150056495A KR20150056495A KR20160126135A KR 20160126135 A KR20160126135 A KR 20160126135A KR 1020150056495 A KR1020150056495 A KR 1020150056495A KR 20150056495 A KR20150056495 A KR 20150056495A KR 20160126135 A KR20160126135 A KR 20160126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p
- sorting
- conveying
- conveyor belt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별대상 농작물을 수용하고 이송하는 농작물 공급기와, 이송된 농작물을 선별하는 선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별기는 상기 농작물 공급기로부터 이송된 농작물을 이송하면서 선별하는 좌우 한 쌍의 선별이송부와, 상기 선별이송부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선별이송부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안내판과, 상기 경사안내판에 체결되어 선별된 농작물을 미리 지정된 저장용기로 안내하는 분리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선별이송부와 상기 경사안내판 사이에 설치되는 좌우분리부를 더욱 구비하여, 농작물을 크기에 따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농산물의 중량이나 크기에 의해 이송수단이 파손되거나 이송수단의 장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농작물의 저장이 완료된 저장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선별장치를 중단함이 없이 계속하여 구동시킬 수 있고, 저장용기에 포장할 농수산물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더라도 동일한 선별장치로써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sor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crop feeder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crops to be sorted, and a sorting unit for sorting the transferred crops, wherein the sorting unit transports the crops, A main body frame including a pair of right and left sorting sections and a body section for supporting the sorting section, wherein the body section includes a body frame erected on a floor, and a body frame provided on the body frame, And a separation frame for guiding the crop selected by the slope guide plate to the predetermined storage container and provided between the feeding section and the slope guide plate so that the crop can be separated in size It is possible to select accurately and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weight and size of agricultural produc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means or the weakening of the tension of the conveying means and to easily change the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storage of the crop is completed so that the sorting device can be continuously driven without stopping, Even if the sizes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o be pack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ame sorting apparatus can cope with them appropriat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작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 특히 구형의 농작물을 크기에 따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등급별로 저장용기에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는 농작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농업 분야에서 생력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확 이후의 농산물의 투입, 가공, 선별 및 포장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 가장 중요한 공정은 선별 공정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수확물의 정확한 등급 판별이 핵심이다.
Generally,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input, processing, sorting and packaging of agricultural products must be performed automatically after harvest in order to achieve the hunting and high value-added. The most important process among these processes is the sorting process, Grading is the key.
종래의 선별기는 형상선별 방식과 중량선별 방식으로 나뉘며, 중량선별방식은 무게감지장치 등의 설비를 사용하며, 형상선별방식으로는 드럼(drum)방식, 롤러리프트(Roller lift)식, 캘리퍼스 또는 광학적 측정설비를 이용한 개별 측정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중량선별방식은 고가의 무게감지장치를 필요로 하여 장비가 고가로 되는 단점이 있고, 종래의 형상선별방식은 선별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키기 어렵고 농작물 외피에 상처를 주어 상품가치를 하락시키는 문제점들이 있었다.Conventional sorting devices are classified into a shape sorting method and a weight sorting method. The weight sorting method uses a weight detecting device or the like. As the shape sorting method, a drum type, a roller lift type, a caliper or an optical type There are individual measurement methods using measurement equipment.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bove-mentioned weight discriminating method requires an expensive weight detecting device and thus the equipment becomes expensive. In the conventional shape discriminat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vary the sorting size variously, .
또한, 종래의 구형농산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일측에 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가 상기 공급부로부터 진행방향으로 경사도를 이루면서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 하단에는 선별된 농산물이 낙하시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흡수부와, 선별된 농산물을 수납하는 수납부로 형성된 기술을 사용하였다.Further, a plurality of rollers rotating in one direction by a motor installed on one side are formed so as to be widened while inclining in the direction of progress from the feeding part, and the selected agricultural products are dropped on the lower part of the roller, A shock absorbing part for preventing the shock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and a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selected agricultural produc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롤러를 사용하므로 구형의 농수산물이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뛰어나가는 현상과 농산물이 롤러에 끼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uses a roller,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spherical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leaks outward due to rotational force and agricultural products are caught by the roller and are damag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구형의 농수산물을 이송시키면서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농수산물의 무게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에 손상이 가거나 벨트의 장력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다수의 롤러에 의해 콘베이어 벨트를 지지하는 구조이어서 롤러가 지지하는 부분과 그렇지 아니하는 부분의 틈새가 농작물의 하중에 의하여 불균일하게 되어 균일한 선별이 되지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has been proposed a device for sorting the spherical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using conveyor belts according to the size thereof,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conveyor belt or weakening of the tension of the belt depending on the weight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the conveyor belt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ollers.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portion supported by the roller and the portion supported by the roller is not uniform due to the load of the crop, and the uniform sorting can not be performed.
또한, 종래의 선별장치는 단순히 농수산물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기만 할 뿐이기 때문에, 농수산물의 크기에 따라 등급이 구분될 때에 구분이 되는 기준크기가 상이해지거나, 각각의 포장용기에 포장할 농수산물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거나 할 경우, 이를 적절하게 반영하여 선별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orting device is mere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the reference size to be classified when the classific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is different, or the size of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 and reflect them properly.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작물, 특히 구형의 농작물을 크기에 따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농산물의 중량이나 크기에 의해 이송수단이 파손되거나 이송수단의 장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and effectively selecting crops, especially spherical crops, according to their sizes, A crop sort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problem from occurring in the tension of the transport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수산물의 크기에 따라 등급이 구분될 때에 구분이 되는 기준크기가 상이해지거나 각각의 포장용기에 포장할 농수산물의 크기를 서로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선별장치로써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농작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whi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sizes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to provide a crop sorting apparatus capable of sorting crop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선별장치는, 선별대상 농작물을 수용하고 이송하는 농작물 공급기와, 이송된 농작물을 선별하는 선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별기는 상기 농작물 공급기로부터 이송된 농작물을 이송하면서 선별하는 좌우 한 쌍의 선별이송부와, 상기 선별이송부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선별이송부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안내판과, 상기 경사안내판에 체결되어 선별된 농작물을 미리 지정된 저장용기로 안내하는 분리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rop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rop supply device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crops to be sorted, and a sorting device for sorting the transferred crops, A pair of left and right sorting feeders for feeding and sorting the selected crops, and a main body portion for supporting the feeding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main body frame installed on the floor, A slanting guide plate slanting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portion, and a separation frame coupled to the slanting guide plate to guide the selected crops to a predetermined storage container.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선별이송부와 상기 경사안내판 사이에 설치되는 좌우분리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좌우분리부는 상기 선별이송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선별이송부 중 어느 일측을 향하여 회동이 가능한 좌우분리판과, 상기 좌우분리판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봉과, 상기 고정지지봉을 상기 본체프레임에 체결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left and right separating portions provided between the separating conveying portion and the inclined guide plate, the left and right separating portions ar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long the separating conveying portion, And a fixing plate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eparating plates and a fixing plate for fastening the fixing support rods to the main frame.
여기서, 상기 경사안내판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프레임은 상기 체결구멍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체결플레이트에 체결되며 서로 접철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분리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clined guide plate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astening plate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The fastening plate is fastened to the right and left fastening plates And a pair of separating blades.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선별이송부는 농작물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단면이 V자 형상을 이루고, 농작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점차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선별이송부의 각각은, 무한궤도운동을 하는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지지하는 컨베이어 지지프레임과,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벨트의 양측 끝단 내측에 설치된 메인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메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선별이송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pair of sorting conveying sections are arranged so that the cross section has a V-shape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rop and gradually spreads along the proceeding direction of the crop, and the pair of sorting Each of the conveying sections includes a sorting conveying belt for performing an infinite orbital motion, a conveying support frame disposed and supported inside the selective conveying conveyor belt, a main roller and a driven roller provided inside both ends of the selective conveying belt, And a sorting and conveying drive motor connected to the main rolle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main roller.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홈에 끼워맞추어지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고무소재의 상기 체결돌기가 v형 홈에 체결되어 컨베이어가 45°이상의 기울기로 기울여도 벨트가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없애고, 농작물의 종류 형태에 따라 컨베이어벨트 구동용 좌우 모터의 감속비를 달리하여 전진하는 벨트의 속도를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 농작물형태에 따른 선별력을 높이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support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support frame, and the inner side of the selective conveyance conveyor belt is fastened to the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lective conveyor belt The projections are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of the rubber material are fastened to the v-shaped grooves so that the belt is prevented from sagging even when the conveyor is tilted at an inclination of 45 degrees or more. The speed reduction ratio of the right and left motors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And the speed of the advancing belt is varied to increase the screening powe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rop.
여기서, 상기 농작물 공급기는, 공급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선별대상 농작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선별대상 농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에 일끝단이 삽입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외측에 탄성 칸막이가 형성된 이송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를 무한궤도 회전시키는 이송구동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rop feeder may include a feeder support frame, a receiving part supported by the feeder supporting frame for receiving the crop to be sorted, and a conveying part for conveying the picking target crop contained in the receiving part, And a conveyance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conveyance conveyor belt in an endless orbit manner. The conveyance driving motor includes a conveyance frame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a conveying conveyor belt surrounding the conveying frame and having an elastic partition on the outside thereof.
여기서, 상기 선별기는 상기 이송부의 끝단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는 정렬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정렬부재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농산물 공급기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향하여 한쪽 변은 직선형태이고 다른 쪽 변은 점차 좁아지도록 상기 한쪽 변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넓은공간에서 좁은공간으로 이동시에 생기는 병목현상을 없애고 이송된 농작물을 정렬시키면서 상기 선별기에 공급하는 정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or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ligning member disposed on a lower side of an end of the conveying portion and fastened to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aligning member has a straight shape on one side from the agricultural product feeder toward the main body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an alignment member formed as an asymmetrical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one side so as to be gradually narrowed so as to eliminate a bottleneck phenomenon caused when moving from a large space to a narrow space and to supply the sorted crops to the sorter while aligning the transferred crops.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선별이송부에 의해 농작물, 특히 구형의 농작물을 크기에 따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선별이송 컨베이어벨트의 내측에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하중이 실리더라도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여 농산물의 중량이나 크기에 의해 이송수단이 파손되거나 이송수단의 장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nd effectively sort crops, particularly spherical crops, according to their sizes by the sorting conveyance, to provide a conveyor support frame inside the selection conveying conveyor belt, It is possible to prevent shedding of the selective conveying conveyor belt and to prevent the conveying means from being broken or the tension of the conveying means being weakened due to the weight or size of agricultural produce.
또한, 상기 좌우분리판의 구성에 의해, 투입되는 농작물을 어느 일측의 경사안내판측으로만 낙하되도록 구성하여 농작물의 저장이 완료된 저장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선별장치를 중단함이 없이 계속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left and right separating plates allows the crop to be dropped to fall on only one side of the inclined guide plate, thereby facilitating replacement of the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storage of crops has been completed. Therefore, .
또한, 상기 분리프레임의 체결위치를 조절하거나 상기 분리프레임의 좌우 분리날개를 각각 적절하게 접철하여 구분함으로써 농작물의 크기에 따라 저장용기별로 등급을 매겨 구분할 때에 구분이 되는 기준 크기가 서로 달리하거나 각각의 저장용기에 포장할 농수산물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더라도 동일한 선별장치로써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separation frame, or separating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blades of the separation frame appropriately by folding them appropriately,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storage containers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crops, Even if the sizes of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o be packed in the storage contain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ame sorting device can cope with them appropriately.
또한, 상기 정렬부재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투입되는 농작물이 상기 선별기측으로 공급될 때에, 농작물이 서로 엉켜서 진행되지 않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정렬 및 공급할 수 있다.
Also, when the crops to be fed by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sorting member are fed to the sor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ops from being tangled together and to be aligned and supplied easily and stably.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농작물 선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좌우분리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별이송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분리프레임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분리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농작물 공급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농작물 공급기의 정렬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그 평면도, 도 9b는 그 정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rop separator.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crop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view showing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view showing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pl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eeding of the sor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A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separation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crop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n alignment member of a crop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9A is a plan view thereof and Fig. 9B is a front view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선별기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crop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선별장치(1)는 농작물 공급기(10)와, 선별기(20)와, 정렬부재(14)를 포함한다. 2 to 9B,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공급기(10)와 상기 선별기(20)는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자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별대상 농작물은 사과나 양파와 같은 구형의 형태를 갖는 농작물을 예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rop to be screened is exemplified by a crop having a spherical shape such as apple or onion.
상기 농작물 공급기(10)는 선별대상 농작물을 수용하고 이송한다. The crop feeder (10) receives and transports the crop to be sorted.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농작물 공급기(10)는, 공급기 지지프레임(11)과, 수용부(12)와, 이송부(13)를 구비한다. 2 and 8, the
상기 공급기 지지프레임(11)은, 바닥에 세워 설치되며, 파이프나 ㅁ자 채널 등을 조립하여 설치한다. 상기 공급기 지지프레임(11)에는 수용부(12)가 설치된다. The
상기 수용부(12)는 내부에 농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에는 상기 이송부(13)의 일끝단이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12) 내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농작물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receiving part 12 has a space for receiving crops therein and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수용부(12)에는 후술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132)를 덮는 덮개(1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5)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32) 중 상기 수용부(12)내로 수용되는 부분을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농작물이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15)의 제일 끝부분에 개구부를 설치하여 벨트가 하중을 직접받지 않고 농작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portion 12 is provided with a
상기 이송부(13)는 이송프레임(131)과, 이송컨베이어벨트(132)와, 이송구동모터(133)를 포함한다. The
상기 이송프레임(131)은 일끝단이 상기 수용부에 일끝단이 삽입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32)는 무한궤도 회전을 하며, 그 외부 표면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농작물을 이송할 때에 굴러떨어지거나 탈락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칸막이(13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프레임(131)의 타끝단에는 이송구동모터(13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구동모터(133)에는 구동롤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 내측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를 무한궤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One end of the conveying
상기 이송부(13)의 타끝단에는 정렬부재(14)가 마련된다. 상기 정렬부재(14)는 상기 공급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13)에 의해 이송되는 농작물을 정렬시키면서 상기 선별기(20)에 공급한다. 상기 정렬부재(14)는,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는 부분(14a)과, 평면상에서 볼 때 폭이 점차 좁아지고 측면에서 볼 때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된 병목부(14b)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농작물이 농작물이 서로 엉켜서 진행되지 않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정렬 및 공급할 수 있다.
An
상기 농작물 공급기(10)로부터 상기 정렬부재(14)를 통해 공급된 농작물은 상기 선별기(20)에서 이송되면서 선별 분리된다. The crops supplied from the
상기 선별기(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농작물 공급기로부터 이송된 농작물을 이송하면서 선별하는 좌우 한 쌍의 선별이송부(22)와, 상기 선별이송부(22)를 지지하는 본체부(21)와, 상기 정렬부재(14)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도 4 내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1)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210)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선별이송부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안내판(211)과, 상기 경사안내판에 체결되어 선별된 농작물을 미리 지정된 저장용기로 안내하는 분리프레임(213)을 포함한다.
4 to 5B, the
상기 경사안내판(211)은, 도 4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의 중심선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좌우를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선별이송부로부터 낙하하는 농작물을 저장용기를 향하여 부드럽게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4 and 5A, the
여기서, 상기 경사안내판(211)의 경사진 하부 끝단부근에는 복수의 가이드판(211a)을 설치하여, 각각의 가이드판(211a)에 의해 안내되는 농작물이 복수의 저장용기에 각각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상기 경사안내판(211)에는 복수의 체결구멍(212)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멍(212)에는 상기 분리프레임(213)이 체결된다. A plurality of
상기 분리프레임(213)은, 도 3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플레이트(214)와, 분리날개(215)를 구비한다. The
상기 체결플레이트(214)는 상기 체결구멍(212)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체결플레이트(214)의 끝단에는 좌우 한 쌍의 분리날개(215a, 215b)가 체결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분리날개(215a, 215b)는 서로간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접철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분리프레임(213)은 필요에 따라 상기 경사안내판(211)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분리프레임을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체결구멍(212)에 체결하고, 상기 분리프레임의 상기 분리날개(215a, 215b)를 각각 원하는 각도로 펼쳐서 상기 가이드판(211a)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이로써, 상기 분리프레임의 체결위치를 조절하거나 상기 분리프레임의 좌우 분리날개를 각각 적절하게 접철하여 구분함으로써 농작물의 크기에 따라 저장용기별로 등급을 매겨 구분할 때에 구분이 되는 기준 크기가 서로 달리하거나 각각의 저장용기에 포장할 농수산물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더라도 동일한 선별장치로써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separation frame is adjusted or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blades of the separation frame are appropriately folded and separated, the classification sizes of the contain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crops. Even if the sizes of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o be packed in the storage contain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ame sorting device can cope with them appropriately.
한편, 상기 본체부(21)는 상기 선별이송부와 상기 경사안내판 사이에 설치되는 좌우분리부(230)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The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우분리부(230)는 고정플레이트(231)와, 좌우분리판(232)과, 고정지지봉(233)을 구비한다. 5A and 5B, the left and right separating
상기 좌우분리판(232)은, 상기 선별이송부(22)를 따라 상기 본체부(2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좌우분리판(232)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선별이송부 중 어느 일측을 향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지지봉(233)은 상기 좌우분리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231)는 상기 고정지지봉을 상기 본체부의 본체프레임(211)에 체결하여 지지한다. The left and
상기 좌우분리판의 구성에 의해, 필요에 따라 투입되는 농작물을 어느 일측의 경사안내판측으로만 낙하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농작물을 좌우 양측으로 교대로 낙하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하여, 저장이 완료된 측의 저장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선별장치를 중단함이 없이 계속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and right separating plates, the crops to be injected can be configured to fall only on one side of the slope guide plate, whereby the crops are alternately dropped and stor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sorting device can be easily replaced, so that the sorting device can be continuously driven without interruption.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선별이송부(22)는 상기 본체프레임(210)에 체결된 지지프레임(210a)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농작물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단면이 V자 형상을 이루고, 농작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점차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어, 농작물이 상기 선별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면서 크기에 따라 하부로 낙하하여, 농작물을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sorting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선별이송부(22)의 각각은,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220)와,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21)과, 메인롤러(225) 및 종동롤러(226)와, 선별이송 구동모터(223)를 구비한다. 6, each of the pair of separating / conveying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220)는 무한궤도운동을 하며,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2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21)은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지지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홈(221a)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lection conveying
상기 메인롤러(225)와 상기 종동롤러(226)는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벨트의 양측 끝단 내측에서 맞닿도록 설치된다. 상기 메인롤러(225)는 상기 선별이송 구동모터(223)에 연결된 감속기(224)에 체결되어, 상기 선별이송 구동모터(223)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구동되고, 이에 다라 상기 메인롤러(225)에 맞닿아 배치된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220)가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된다. The
또한,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홈(221a)에 끼워맞추어지는 체결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고무소재의 상기 체결돌기가 v형의 상기 홈(221a)에 체결되어 컨베이어가 45°이상의 기울기로 기울여도 벨트가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In addition, a fastening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lective conveying conveyor belt so as to fit into the
또한, 상기 메인롤러와 상기 종동롤러에도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에 형성된 홈에 상응하는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고무소재의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lso, the main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may be formed with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formed in the selection conveying belt, and the locking protrusions of the rubber material may be fastened thereto.
상기 메인롤러와 상기 종동롤러 사이에는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의 뒷면의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벨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중간롤러(227)가 배치된다. 상기 중간롤러(227)는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A plurality of intermediate rollers (227)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roller and the driven rollers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selective conveying belt on the back side of the conveyor support frame. The
상기 선별이송 구동모터(223)는 농작물의 종류 형태에 따라 좌우 구동모터의 감속비를 달리하여 전진하는 벨트의 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농작물형태에 따른 선별력을 높이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rting and conveying
상술한 바와 같이, 선별이송 컨베이어벨트의 내측에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하중이 실리더라도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여 복수의 중간롤러를 설치하여 농산물의 중량이나 크기에 의해 이송수단이 파손되거나 이송수단의 장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conveyor support frame is provided inside the selective conveying conveyor belt,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rollers are provided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selective conveying conveyor belt even if a load is applied. By the weight or siz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r tension of the conveying means from becoming weak.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 농작물 선별장치
10 : 농작물 공급기
20 : 선별기
21 : 본체부
22 : 선별이송부
230 : 좌우분리부
211 : 경사안내판
212 : 분리프레임1: Crop sorting device
10: Crop feeder
20: selector
21:
22: Screening is sent
230: left and right separating portion
211: warp guide plate
212: separation frame
Claims (8)
상기 선별기는, 상기 농작물 공급기로부터 이송된 농작물을 이송하면서 선별하는 좌우 한 쌍의 선별이송부와, 상기 선별이송부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선별이송부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안내판과,
상기 경사안내판에 체결되어 선별된 농작물을 미리 지정된 저장용기로 안내하는 분리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선별장치.
A crop supply device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the crop to be sorted, and a sorting device for sorting the transferred crops,
Wherein the sorting machine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orting and feeding sections for feeding and sorting the crops fed from the crop supplying section and a main body section for supporting the feeding section,
Wherein,
A main body frame installed upright on the floor,
An inclined guide plate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and incli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orting conveying unit,
And a separation frame coupled to the inclined guide plate for guiding the selected crop to a predetermined storage container.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선별이송부와 상기 경사안내판 사이에 설치되는 좌우분리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좌우분리부는,
상기 선별이송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선별이송부 중 어느 일측을 향하여 회동이 가능한 좌우분리판과,
상기 좌우분리판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봉과,
상기 고정지지봉을 상기 본체프레임에 체결하는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left and right separating portions provided between the separating conveying portion and the inclined guide plate,
The left-
A pair of right and left separating plate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long the feeding section and capable of pivoting toward ei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pairing sections,
A fixed support rod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plates,
And a fixing plate for fixing the fixed support bar to the main frame.
상기 경사안내판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프레임은,
상기 체결구멍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체결플레이트에 체결되며 서로 접철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분리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lined guide plate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separation frame comprises:
A fastening plate detachably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detachable blades fastened to the fastening plate and fastened to each other to be foldable.
상기 한 쌍의 선별이송부는 농작물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단면이 V자 형상을 이루고, 농작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점차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선별이송부의 각각은,
무한궤도운동을 하는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지지하는 컨베이어 지지프레임과,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벨트의 양측 끝단 내측에 설치된 메인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메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선별이송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sorting and feeding sections are arranged so that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V-shape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rop and gradually spreads along the proceeding direction of the crop,
Wherein each of said pair of sorting-
A selective conveying conveyor belt for performing endless track movement,
A conveying support frame disposed inside and supporting the selected conveying conveyor belt,
A main roller and a driven roller provided on both inner ends of the selective conveying belt,
And a sorting and conveying drive motor connected to the main rolle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main roller.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홈에 끼워맞추어지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선별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선별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support frame is formed with a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support frame, and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lection conveying conveyor belt,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selected conveying conveyor belt.
상기 농작물 공급기는,
공급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선별대상 농작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선별대상 농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에 일끝단이 삽입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외측에 탄성 칸막이가 형성된 이송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를 무한궤도 회전시키는 이송구동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op feeder comprises:
A feeder support frame,
A receiving part supported by the feeder supporting frame and accommodating the crop to be sorted,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election target crop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unit,
The conveying unit may include a conveying frame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a conveying conveyor belt provided to surround the conveying frame and having an elastic partition on the outside thereof, and a conveying drive motor rotating the conveying conveyer belt in an endless track Wherein the crop selection device comprises:
상기 선별기는 상기 농작물 공급기의 끝단 하부측에 배치되는 정렬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정렬부재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농산물 공급기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향하여 한쪽 변은 직선형태이고 다른 쪽 변은 점차 좁아지도록 상기 한쪽 변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넓은공간에서 좁은공간으로 이동시에 생기는 병목현상을 없애고 이송된 농작물을 정렬시키면서 상기 선별기에 공급하는 정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rter further includes an alignment member disposed on a lower side of an end of the crop feeder,
Wherein the alignment member is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ne side so as to be linearly formed on one sid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feeder toward the main body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the other side is gradually narrowed, And a sorting member for sorting the transferred crops and supplying the collected crops to the sorting device.
상기 농작물 공급기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 중 상기 수용부내로 수용되는 부분을 덮는 덮개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농작물이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고, 끝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농작물에 의해 하중을 받지 않으면서 농작물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rop feeder further comprises a cover which covers a por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bel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cover is formed at a height allowing the crop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belt to pass therethrough and an opening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veying conveyor belt so that the conveying conveyor belt transports the crop without receiving the load by the crop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crop selection system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495A KR20160126135A (en) | 2015-04-22 | 2015-04-22 | Sort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495A KR20160126135A (en) | 2015-04-22 | 2015-04-22 | Sort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6135A true KR20160126135A (en) | 2016-11-02 |
Family
ID=5751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6495A Ceased KR20160126135A (en) | 2015-04-22 | 2015-04-22 | Sort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6135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86484A (en) * | 2019-09-23 | 2019-12-20 | 湖南雄鹰烟草材料有限公司 | Bead blasting inclined plane screening equipment for cigarettes |
KR20200031378A (en) | 2018-09-14 | 2020-03-24 | (주)조이엠 | Selective packing machine for globe-shaped products |
KR102144962B1 (en) * | 2019-04-29 | 2020-08-14 | (주)슈닉스 | A screening equipment for the globe-shaped farm products |
KR20210090344A (en) | 2020-01-10 | 2021-07-20 | (주)조이엠 | apparatus for sorting and packing globular shaped crops |
KR20220083498A (en) | 2020-12-11 | 2022-06-20 | (주)에스엔피시스템 | Device for alignment supply of agricultural products |
CN119016347A (en) * | 2024-10-25 | 2024-11-26 | 河南尚华堂药业股份有限公司 | Automatic screening and classification device for pinellia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2831B1 (en) | 1996-12-31 | 1999-10-01 | 정몽규 | By-pass appartus for prelubricating |
-
2015
- 2015-04-22 KR KR1020150056495A patent/KR20160126135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2831B1 (en) | 1996-12-31 | 1999-10-01 | 정몽규 | By-pass appartus for prelubricating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1378A (en) | 2018-09-14 | 2020-03-24 | (주)조이엠 | Selective packing machine for globe-shaped products |
KR102144962B1 (en) * | 2019-04-29 | 2020-08-14 | (주)슈닉스 | A screening equipment for the globe-shaped farm products |
CN110586484A (en) * | 2019-09-23 | 2019-12-20 | 湖南雄鹰烟草材料有限公司 | Bead blasting inclined plane screening equipment for cigarettes |
KR20210090344A (en) | 2020-01-10 | 2021-07-20 | (주)조이엠 | apparatus for sorting and packing globular shaped crops |
KR20220083498A (en) | 2020-12-11 | 2022-06-20 | (주)에스엔피시스템 | Device for alignment supply of agricultural products |
CN119016347A (en) * | 2024-10-25 | 2024-11-26 | 河南尚华堂药业股份有限公司 | Automatic screening and classification device for pinelli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26135A (en) | Sort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 |
KR101275482B1 (en) | Agricultural product sorting device | |
JP5487248B2 (en) | Crop sorting mechanism and crop sort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993808B1 (en) | fruit sorter | |
US3628648A (en) | Compact orienting and singulating system for irregular elongated objects such as potatoes | |
KR101530890B1 (en) | High-speed rotary separator | |
KR101836444B1 (en) | Fruit sorting machine | |
KR101656877B1 (en) | sorting device for fruit | |
JP5593020B2 (en) | Sorting device | |
KR101968949B1 (en) | The transfer line up apparatus for sorting device of fruit | |
KR101973659B1 (en) | fruit tray inser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fruit sorting | |
KR200480080Y1 (en) | Apparatus for sorting agricultural products | |
JP5439829B2 (en) | Alignment transport device | |
KR101861301B1 (en) | Fruit sorting device | |
JP2018094453A (en) | Automatic fruit/vegetable sorting method and automatic fruit/vegetable sorting device | |
KR102322317B1 (en) | Feeding device for free tray | |
KR101448432B1 (en) | supply for grader | |
JP2008023422A (en) | Crop sorting device and crop sorting method | |
KR200345755Y1 (en) | a feeder for fruits | |
KR20120106026A (en) | Automatic sorting apparatus for fruits | |
JP6893829B2 (en) | Sorting mechanism and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using it | |
JP5640425B2 (en) | Crop sorting device | |
JP6027057B2 (en) | Sorting machine | |
KR19980070119A (en) | Fruit sorting device | |
KR101738752B1 (en) | A size sorting apparatus for pro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