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25543A -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 Google Patents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543A
KR20160125543A KR1020150055629A KR20150055629A KR20160125543A KR 20160125543 A KR20160125543 A KR 20160125543A KR 1020150055629 A KR1020150055629 A KR 1020150055629A KR 20150055629 A KR20150055629 A KR 20150055629A KR 20160125543 A KR20160125543 A KR 20160125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ig data
user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렬
나상희
이민선
이승현
정현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543A/en
Publication of KR2016012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543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06F17/3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개인건강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b) 모바일 단말에서 측정된 상기 개인건강정보에 관한 로(RAW)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로 데이터를 빅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빅데이터 서버에서 수신받은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d) 빅데이터 서버가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빅데이터 서버에서 저장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대용량의 데이터를 빅데이터화 하여 보다 효율적을 처리 및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양질의 사용자 중심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A user-centric health care big data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a) measur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a wearable device; (b) obtaining raw (RAW) data related to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at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raw data to a big data server; (c) converting raw data received at the big data server into data of big data; (d) converting the data converted by the big data server into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storing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e) retrieving from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server at the mobile terminal and obtain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quality user-centered healthcare service more conveniently by processing large-capacity data measured from a wearable device into big data and processing and processing the data more efficiently.

Description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 RTI ID = 0.0 >

본 발명은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개인건강정보를 빅데이터화 하여 이를 사용자 중심의 빅데이터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방법, 프로그램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a computer program and a syste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lth care big data service method in which personal health information generated from a wearable device is converted into big data, A service method, a program and a system thereof.

현재의 각종 IT 제품과 케어 서비스(어린이보호 및 성장케어, 노약자 보호케어, 일반인들의 정신적 힐링케어, 급변하는 경세상황에서의 재정예측관리 등)들은 최종 사용자인 "인간"과 그 복합적 특성(사회관계, 심리, 생리, 감성 등)에 대한 이해와 표현 및 정량화가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적용 및 고도화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Currently, various IT products and care services (such as child protection and growth care, care for the elderly, mental healing care of the general public, and financial forecasting management in a rapidly changing situation) , Psychology, physiology, emotion, etc.) are difficult to understand, express and quantify, there is a fundamental limitation in application and advancement.

특히, 라이프 스타일(Lifestyle)로 대변되는 '나'를 결정짓는 요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복합적이고 다양한 특성을 지닌 인간을 특징적으로 표현할 도구나 방식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I' represented by lifestyle, and it faces the difficulty of tools or methods that characteristically express human beings with complex and diverse characteristics.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세계적으로 라이프 로그(Lifelog) 데이터를 활용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라이프 로그 수집을 위한 혁신적 디바이스의 부재와 방대한 데이터의 의미적인 분석의 난제를 여전히 해결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o overcome this problem, various studies using lifelog data have been conducted worldwide, but the lack of innovative devices for lifelog collection and semantic analysis of vast amounts of data have not yet been solved .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라이프 로그 수집을 위한 장치로서, 스마트폰에 내장된 각종의 센서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착용하여 각종의 건강관련 정보 또는 운동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등으 이용하여 라이프 로그 정보를 수집할 수 장치가 개발되고 시판되고 있지만, 여기서 획득되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의미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추출하는 기술은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devices for collecting such life logs, various sensors built in a smart phone have been used, or wearable devices that measure various health-related information or exercise-related information by wearing the device, Although a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log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and marketed, there is still a very limited technology for efficiently analyzing and extracting large amounts of data obtained therefrom and converting the data into meaningful information.

그리고, 현재 많은 제조업체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나, 헬스케어 중심으로 개인건강 측정에만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전용 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나, 이를 구축하여 시스템화 할 수 있는 헬스케어 관련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이나 시스템이 미비한 실정이다.In addition, although many manufacturers currently produce and sell wearable devices, they are only focusing on personal health measurement based on healthcare. In addition, it is urgently required to construct a dedicated system that can utilize the generated data, but there is no system or method for a healthcare-related big data service that can be constructed and systemiz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6748호(공개일자: 2014년12월29일)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46748 (public date: December 29, 2014)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A user-oriented health care big dat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First, a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ly storing and processing large-capacity data measured from a wearable device.

둘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대용량의 데이터를 빅데이터화 하여 보다 효율적을 처리 및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Seco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user-oriented health care service more conveniently by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data measured from a wearable device into big data and processing and processing the data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개인건강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b) 모바일 단말에서 측정된 상기 개인건강정보에 관한 로(RAW)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로 데이터를 빅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빅데이터 서버에서 수신받은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d) 빅데이터 서버가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빅데이터 서버에서 저장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easur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a) measur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a wearable device; (b) obtaining raw (RAW) data related to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at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raw data to a big data server; (c) converting raw data received at the big data server into data of big data; (d) converting the data converted by the big data server into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storing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e) retrieving from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server at the mobile terminal and obtain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여기서, 상기 개인건강정보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한 기록 메시지를 포함하는 개인 기록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개인 건강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a recording message using a wearable device by a user an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a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개인건강정보에 관한 로(RAW)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획득된 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빅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개인건강정보에 관한 로(RAW)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획득된 로 데이터를 일정한 주기로 상기 빅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b), RAW data relating to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in the wearable device is acquired and stored in real time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cquired RO data is transmitted to the big data server in real time (RAW) data related to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in the wearable device is periodically acquired and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obtained raw data is stored at a predetermined cycle To the big data server.

더하여, 상기 (c) 단계는, 파일 분산시스템, 병렬 데이터 처리기법 및 빅 테이블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는 사용자 개인의 의료 데이터와, 상기 개인 건간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건강 상태 데이터와, 상기 의료 데이터 및 건간 상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질병 예방, 치료 및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헬스케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개인건강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사용자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step (c), it is preferable to convert the raw data into big data using a file distribution system, a parallel data processing technique, and a big table technique, Health care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medical data, health state data based on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prevention information, treatment and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health data and the health state data In the step (a),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ay include user voice information measured in the wearable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다.
And,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service method.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개인건강정보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정된 상기 개인건강정보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 저장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 변환하는 빅데이터 서버; 및 상기 측정된 개인건강정보를 로(RAW)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빅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하는 것이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as a wearable device worn by a user for measuring a user'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 big data server for converting the measur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to data of big data and converting the converted data into personalized health care data; And a mobile terminal for acquiring the measur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s raw data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o the big data server, wherein the mobile terminal retrieves from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acquires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

여기서, 상기 빅데이터 서버는, 개인건강기록(PHR)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빅데이터 서버는 의료기관의 PACS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빅데이터 서버는 NoSQL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ig data server includes a personal health record (PHR) server, the big data server is connected to the PACS server of the medical institution to acquire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user, It is desirable to include a NoSQL database.

또한, 상기 빅데이터 서버는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검색 엔진이 탑재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ig data server is equipped with an Elasticsearch search engine, and the wearable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the user's voice.

본 발명에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user-oriented health care big dat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and a syste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방법과, 보다 양질의 헬스케어 정보 및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First, a method of efficiently storing and processing massive data measured from a wearable device, a service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ersonal health by providing better quality healthcare information and updated information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

둘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대용량의 데이터를 빅데이터화 한 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 및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Second, a large amount of data measured from a wearable device is converted into big data and then processed and processed more efficiently, thereby providing a user-oriented health care service conveniently.

셋째, 예방 의학 측면의 실시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일반, 환자, 의사 등)에게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진료가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Third, it provides a service that enables user-oriented personalized care by establishing a real-time database of preventive medicine and providing reliable data to users (general, patient, doctor, etc.).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에서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하고 결과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user-center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user to retrieve information and obtain a result in a user-center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centric health care big dat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herever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a group.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100)에서 개인건강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100); (b) 모바일 단말(200)에서 측정된 상기 개인건강정보에 관한 로(RAW)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로 데이터를 빅데이터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200); (c) 빅데이터 서버(300)에서 수신받은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S300); (d) 빅데이터 서버(300)가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는 단계(S400); 및 (e) 상기 모바일 단말(200)에서 상기 빅데이터 서버(300)에서 저장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user-center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user-oriented health care big dat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ing (S100)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a wearable device 100; (b) obtaining raw data related to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at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raw data to the big data server 300 (S200); (c) converting raw data (RAW) received from the big data server 300 into big data (S300); (d) converting (S400) the converted data into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storing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e) retrieving from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server 300 at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cquir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S5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집한 건강관련 정보 및 운동관련 정보 등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0)에서 로(RAW) 데이터로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다시 빅데이터 서버(300)에서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전환하고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0)에서 용이하게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정보를 취득하고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stores health related information and exercise 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various wearable devices 100 as RAW data from the user's mobile terminal 200, The data server 300 switches and processes the data of the big data and proposes a service system that can easily acquire and confirm user-customized health car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of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각종의 건강 및 운동 측정 센서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특정한 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간략한 분석 및 처리를 통해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는 정도의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정보의 질이나 응용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various health and exercise measurement sensors or wearable devices 100 measure specific information, display it through a mobile device or the like through brief analysis and processing based on the measur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quality and application were limited in that it provided a degree of system.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각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취득한 사용자의 건강 및 운동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서 기록하고 저장한 메시지 정보 등을 취합한 개인건강정보를 획득하여, 하둡(Hadoop) 이나 NoSQL 등의 파일 분산 처리 시스템과 병렬 데이터 처리 기법 등의 빅 데이터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이를 편리하게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검색 및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헬스케어 정보와 실시간 또는 매번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health and exercise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from the various wearable devices 100 used by the user, the health and exercise information of the user, which is col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00, Personalized health car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using a big data processing method such as a file distribution processing system such as Hadoop or NoSQL and a parallel data processing method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large data processing metho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system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health by providing healthcare information of higher quality and information updated in real time or every time.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별로 진행되는 서비스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rvice method that is progressed step by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단계(S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개인건강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시계, 안경, 패치 등의 사용자가 착용하는 장치로, 내부에 사용자의 혈압, 혈당, 등의 건강관련 정보나 사용자가 운동시 발생되는 심박수, 걸음 수 등의 건강정보를 측정하는 각종의 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장치를 말한다. 무선통신장치로서는 근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Zigbee)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터넷 통신을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a) Step (S100) is a step of measur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the wearable device 100. Here, the wearable device 100 is a device worn by a user such as a watch, a glasses, a patch, etc., and stores therein health information such as the blood pressure of the user, blood glucose, etc. and the health information such as the heart rat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measured through a sensor to the outsid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use a Bluetooth or Zigbe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in a short distance, or it may be equipped with an apparatus for Internet communication.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건강 및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포터블한 장치로서, 사용자가 다양하게 개인의 사생활과 관련된 정보를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기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사용자 개인의 라이프 로그(Lifglog)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100 is a portable device that not only measures the health and exercise information of the user but also records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vacy of the user through voice or text messages. It is also possible to acquire lifglog information of the user.

즉, 상술한 개인건강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 개인의 건강정보 또는 운동정보를 포함하고, 이와 더블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기록하거나 저장한 음성 및 문자 메시지 정보 등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건강 상태나 운동 상태 등을 센서를 통해 측정한 육체적인 정보와 더불어 현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생각 또는 감정 등을 표현한 라이프 로그 정보 등이 혼합된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여 가공하게 되면, 보다 정확한 사용자 개인의 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거나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or exercise information of a user measured through a sensor built i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voice and text messages recorded or stor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00 Information such as life log information. This is a method of analyzing information that is mixed with physical information measured by a sensor, such as an individual's health state or exercise state, together with life log information expressing the current user's thoughts or feelings, etc., using a big data analysis method , It is possible to generate or provide more accurate personal healthcare information for the user.

그리고 이와 같은 개인 사용자의 라이프 로그 정보는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개인 사생활 정보이기 때문에 정보 교신에 있어 암호화 등을 통해 보안성과 기밀성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와 같은 개인건강정보의 측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특정한 시간의 주기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Since the life log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user is personal privacy information related to privacy,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should have security and confidentiality through encryp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00, or can be measured at a specific time period.

(b) 단계(S200)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측정된 상기 개인건강정보에 관한 로(RAW)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2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 무선통신장치가 구비된 포터블 컴퓨팅 장치면 모두 가능하다. 즉, (b) 단계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200)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실시간 또는 특정 시간의 주기로 측정된 로(RAW)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로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b) Step (S200) is a step of acquiring raw data (RAW) related to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raw data to the big data server 300 . Her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a port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PDA. That is, in step (b), the mobile terminal 200 such as a smart phone acquires raw (RAW) data measured at a real time or a specific time period i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ransmits it to the big data server 3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측정된 개인건강정보를 외부에서 활용 가능하기 위해 오픈 API를 이용한다. 즉, 모바일 단말(200)에서 이와 같은 오픈 API를 이용하여 개인건강정보에 관한 로(RAW)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빅데이터 서버(300)로 전송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API is used to externally utilize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That is, the mobile terminal 200 obtains RAW data related to personal health information by using the open API and transmits it to the big data server 300 connected to the network.

(c) 단계(S300)는, 빅데이터 서버(300)에서 수신받은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즉, 실시간으로 쌓이는 개인건강정보에 대한 대용량의 로(RAW) 데이터를 파일 분산 및 병렬 처리 기법으로 원하는 데이터로 가공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양질의 건강 및 케어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 처리하는 단계이다.(c) Step S300 is a step of converting the raw data received from the big data server 300 into big data. That is, a large amount of raw data (RAW) data for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ccumulated in real time is processed and analyzed into desired data by a file distribution and parallel processing techniqu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eive high quality health and care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data is processed so that it can be provided.

여기서, 빅데이터란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그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고,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말하는 것으로, 빅데이터 환경은 과거에 비해 데이터의 양이 폭증했다는 점과 함께 데이터의 종류도 다양해져 사람들의 행동은 물론 위치정보와 SNS를 통해 생각과 의견까지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다.Big data refers to large-scale data generated in a digital environment, which is large in size, has a short generation cycle, and includes not only numeric data but also text and image data. As the amount of data is increased, the kinds of data are also diversified. It is possible to analyze and predict the opinions and opinions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NS as well as the behavior of the people.

빅데이터의 특징은 3V로 요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데이터의 양(Volume), 데이터 생성 속도(Velocity), 형태의 다양성(Variety)을 의미한다(O'Reilly Radar Team, 2012). 최근에는 가치(Value)나 복잡성(Complexity)을 덧붙이기도 한다.The characteristic of big data is generally summarized as 3V. (O'Reilly Radar Team, 2012), which means the volume of data, the velocity of data generation, and the varieties of the form. In recent years, we have added value and complexity.

이와 같은 빅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이를 분석 및 가공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도 오픈 소스 형태의 하둡(Hadoop) 또는 NoSQL이나 분석용 패키지인 R(오픈소스 통계 솔루션)과 분산병렬처리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활용하면 기존의 비싼 스토리지와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고비용의 데이터웨어하우스를 구축하지 않더라도 효율적인 시스템 운용이 가능하다.Software and hardware that analyze and process thes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uch big data also use open source Hadoop or NoSQL or R (open source statistical solution) analysis package, distributed parallel processing technology, and cloud computing. Enables efficient system operation without building expensive data warehouses based on existing expensive storage and database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측정된 대용량의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 서버(300)에서 상술한 빅데이터 처리기법으로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파일 분산시스템, 병렬 데이터 처리기법 및 빅 테이블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rge data (RAW) data measur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is stored in the big data server 300 In the step of converting data into data, it is preferable to convert the raw data into big data using a file distribution system, a parallel data processing technique, and a big table technique.

여기서, 분산파일 시스템(GFS)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조합해 대규모 기억장치(storage)를 만드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웹 검색엔진의 경우 전 세계에 존재하는 엄청난 규모의 웹 페이지를 저장해야 하거나, 인터넷 상 데이터는 그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대규모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하드디스크를 조합해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빅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 시스템으로 이와 같은 분산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stributed file system (GFS) is a technique for creating large-scale storag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mputers. In general, in the case of a web search engine, it is necessary to store a huge amount of web pages existing all over the world, or data on the Internet is very rapidly growing. Therefore, in order to securely store and efficiently process large- It is desirable to use such a distributed file system as a system for storing and processing big data.

분산파일 시스템은 이를 위해 항상 파일을 여러 개 복사해 저장한다. 또한 파일의 내용과 위치에 대한 정보도 여러 개의 복사본을 만들어 저장한다. 이렇게 파일의 내용과 정보가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 저장되기 때문에 검색 시간도 단축되고 여러 곳에서 동시에 검색이 이루어져도 어느 한 곳에 작업량이 집중되지 않는다. 또한, 한 대의 컴퓨터가 고장이 나도 거기에 담겨 있는 정보는 다른 곳에 복사본이 존재하기 때문에 데이터 손실의 염려도 없다.Distributed file systems always copy and store multiple files for this purpose. It also saves multiple copies of information about the file's contents and location. Because the contents and information of the files are distributed and stored on several computers, the search time is shortened. Also, even if one computer fails, the information contained therein is not lost because there is a copy elsewhere.

그리고, 병렬 데이터 처리기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빅데이터의 분산 데이터 처리 기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예에서는 분산 데이터의 병렬 데이터 처리기법인 맵리듀스(MapReduce)를 사용한다. The parallel data processing technique is a distributed data processing technique of the big data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pReduce, which is a parallel data processor of distributed data, is used.

맵리듀스는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를 활용하는 분산 데이터 처리 기술이다(Dean & Ghemawat, 2004). 맵리듀스는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맵(Map)과 리듀스(Reduce)의 두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맵 단계에서는 대규모 데이터를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해 병렬적으로 처리해 새로운 데이터(중간 결과)를 만들어내고, 리듀스 단계에서는 이렇게 생성된 중간 결과물을 결합해 최종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생산한다. 리듀스 과정 역시 여러 대의 컴퓨터를 동시에 활용하는 분산처리 방식을 적용한다.MapReduce is a distributed data processing technology that utilizes multiple computers for efficient data processing (Dean & Ghemawat, 2004). As the name implies, MapReduce consists of two processes: Map and Reduce. First, in the map phase, large data is distributed to several computers in parallel to produce new data (intermediate results), and in the redist step, the intermediate results thus generated are finally combined to produce desired results. The redistribution process also applies a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that uses several computers at the same time.

즉, 본 발명이 실시예에서 빅데이터 서버(300)의 데이터 처리 단계는, 대용량의 로(RAW) 데이터를 맵 단계에서 빅데이터 서버(300)를 구성하는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해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처리해 중간결과를 생성하고, 리듀스 단계에서 생성된 중간 결과를 결합해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생성하는 2단계 프로세스로 진행한다. 리듀스 단계 역시 여러 대의 컴퓨터를 동시에 활용하는 분산처리 방식을 전용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cessing step of the big data server 300 distributes a large amount of raw data to a plurality of computers constituting the big data server 300 in the map step, To intermediate results, combining the intermediate results generated in the redesing step, and finally generating the desired result by the user. The Reduce step is also dedicated to a distributed processing approach that utilizes multiple computers simultaneously.

그리고 빅테이블 기법은, 대용량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를 위한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빅테이블은 구조화된 데이터(Structured Data) 처리를 위한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A Distributed Storage System)이다(Fay Chang, 2006). 웹 검색과 같은 대규모의 복잡한 데이터 구조에서 효율적으로 읽고 쓰기 위해 빅테이블은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달리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데이터 처리 측면에서 기존 RDB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Bigtable is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for reading and writing large amounts of data. Bigtable is a distributed storage system for processing structured data (Fay Chang, 2006). In order to efficiently read and write large-scale complex data structures such as web search, BigTable has a complex structure unlike existing relational databases, but has advantages in that it can process faster and more accurately than existing RDBs in terms of data processing.

(d) 단계(S400)는, 빅데이터 서버(300)가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는 상기 측정되어 수집된 개인건강정보의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 서버(300)에서 가공 처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개인에게 가장 알맞는 운동, 건강 및 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d) 단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대용량의 데이터와 기록된 개인 기록 메시지 정보를 수집한 후 빅데이터 서버(300)에서 가공 처리하여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d) Step (S400) is a step of converting the data converted by the big data server 300 into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storing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Here,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is processed by the big data server 300 to measure the RAW data of the collect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provides exercise, health, and care information most suitable for the individual . That is, in the step (d), the large data measured in real time i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recorded personal recorded message information are collected and processed by the big data server 300 to provide personalized health care information to be.

또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정보 또는 빅데이터 서버(300)에서 가공 처리된 각 데이터는 사용자(일반사용자, 환자, 의사)등에게 맞춤형 데이터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데이터의 내용은 사용자에 의거 본안성과 기밀성의 성격을 가지도록 암호화되어 등록 또는 인증된 경우에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ersonalized health care information or each data processed in the big data server 300 can be provided as customized data to a user (general user, patient, doctor), and the content of each data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ly when it is encrypted or registered or authenticated so as to have the nature of "

여기서, 상기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는 사용자 개인의 의료 데이터와, 상기 개인 건간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건강 상태 데이터와, 상기 의료 데이터 및 건간 상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질병 예방, 치료 및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헬스케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may include health care data based on individual medical data,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disease prevention, treatment, and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health data and the health state data It is preferable to include health care information.

(e) 단계(S500)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상기 빅데이터 서버(300)에서 저장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상술한 빅 데이터 서버에 접속해 원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되어 나온 결과를 모바일 단말(200)의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말한다.(e) Step S500 is a step of retrieving from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server 300 at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cquir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is step refers to a step in which a user connects to the big data server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to retrieve desired data or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retrieved result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200. [

즉, 모바일 단말(200)인 스마트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을 통해 다양한 메뉴바, 검색창 및 카테고리 분류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빅데이터 서버(300)에 접속하여 양질의 맞춤형 헬스케어 정보를 획득하고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execute the user-oriented health care big dat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mart phone as the mobile terminal 200, various menu bars, search windows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big data server 300 through a user interface such as category classification to acquire and confirm high-quality customized health care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에서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하고 결과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검색을 수행하면(Search request), 모바일 단말(200)은 빅데이터 서버(300) 또는 개인건강기록(PHR) 서버로 접속하여 검색 결과를 요청하고(Server request), 빅데이터 서버(300)는 빅데이터 분석 처리를 통해 결과를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한다.(Result) 그리고 나서, 모발일 단말은 결과 페이지를 표시창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검색한 정보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Result Page)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user to retrieve information and obtain a result in a user-center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when the user performs a search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Search request), the mobile terminal 200 accesses the big data server 300 or the personal health record (PHR) server, The Big Data Server 300 generates a result through the Big Data Analysis process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mobile terminal 200. Result Then the terminal in the hair displays the result page on the display window Thus,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result of the retrieved information. (Result Pag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모바일 단말(200)에서 이에 따라 빅데이터 서버(300)에 검색 요청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하나의 개인건강정보에 포함되어 빅데이터로 전송되고, 빅데이터 서버(300)에서 이를 분석하여 이상 징후의 판단이나 원격의료용 데이터로 사용되기 위한 처리 및 분석 결과를 다시 모바일 단말(200)로 피드백하는 것이 가능하다.2, the wearable device 100 worn by the user recognizes the voice of the user,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hen transmits the user's voice to the big data server 300 Not only the search request but also the voice data of the recognized user is included in one piec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big data and the big data server 300 analyzes the voice data to be used as the judgment of the abnormal symptom or the remote medical data It is possible to feed back processing and analysis results to the mobile terminal 200 again.

여기서 모바일 단말(2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인식정보를 날짜, 시간, 과거 음성 정보 등을 고려하여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분류하여 기록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모바일 단말(200)에서 외부의 원격의료 서버와 연결하여 원격의료 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빅데이터로 구축된 개인건강기록 데이터 또는 헬스케어정보를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손쉽게 획득할 수 있으며, 특정 상황(이상 징후 등)의 데이터를 알람 및 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전달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mobile terminal 200 can classify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by voice recognition algorithm in consideration of the date, time, and past voice information, and record and store the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It can also be used as remote medical data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remote medical ser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general user, personal health record data or healthcare information constructed with big data can be easily obtained by us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data of a specific situation (abnormality, etc.)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receive messages using the message function.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은,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개인건강정보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측정된 상기 개인건강정보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 저장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 변환하는 빅데이터 서버(300); 및 상기 측정된 개인건강정보를 로(RAW)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빅데이터 서버(300)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200)을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200)은 상기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centric health care big dat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healthcare big dat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is a wearable device 100 that is worn by a user and measures a user'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 A big data server 300 for converting the measur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to big data and converting the converted data into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a mobile terminal (200) for acquiring the measur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s RAW data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o the big data server (300), wherei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cquires and displays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의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모바일 단말(200) 및 빅데이터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performing a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1, including a wearable device 100, a mobile terminal 200 and a big data server 300 .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컴퓨터라고도 부르며, 안경,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가 거부감 없이 신체의 일부처럼 항상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장치를 말한다. 모바일 단말(2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 휴대하기 편리하고 이동성이 높으며 무선통신장치가 구비되어 근거리 무선통신 및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말한다. Here, the wearable device 100 is also referred to as a wearable computer, and refers to a computer or a device that can be worn like a pair of glasses, a watch, clothes, etc., and can be worn by the user at all times, The mobile terminal 200 refers to a computing device that is portable and portabl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PDA, and is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network communication such as the Internet.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빅 데이터 서버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 또는 그 그룹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산 및 병렬 처리할 수 있는 하둡 클러스터 그룹으로 형성된다. 즉, 다수의 NoSQL 데이터 베이와, 마스터 노드 및 다수의 슬래이브 노드로 구성된 하둡(Hadoop) 형식의 클러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빅데이터 서버(300)는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검색 엔진이 탑재되어 대용량 데이터의 검색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ig data server is formed as a Hadoop cluster group capable of distributing and parallelizing a large amount of data into a group of computing devices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or a group thereof. In other words, the large data server 3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SQL databases and a cluster of Hadoop format composed of a master node and a plurality of slave nodes. The big data server 300 is equipped with an Elastics search search engine, Can be enhanced.

또한, 상기 빅데이터 서버(300)는, 개인건강기록(PHR) 서버를 포함하거나 의료기관의 PACS(의료영상정보 시스템)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건강기록(PHR) 서버는 건강센터 혹은 병원 내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 수집, 획득, 가공하여 원격진료 및 예방 의학 측면의 데이터로 사용 가능하며, 보안성 및 기밀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lso, the big data server 300 preferably includes a personal health record (PHR) server or is connected to a medical image information system (PACS) server of a medical institution to acquire medical information of the user. Personal Health Record (PHR) servers can be used as data for telemedicine and preventive medicine data collection, acquisition and processing in real-time in health centers or hospitals, and have the advantage of enhancing security and confidentiality.

그리고, 외부 의료기관의 PACS 서버 등의 의료 관련 서버와 연동하여 의료 정보를 보다 풍부하고 정확하게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정보가 보안성, 정확성 및 예측성이 보다 높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linking with medical-related servers such as PACS servers of external medical institutions, medical information can be used more abundantly and more accurately, so that th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big data service provides high quality service with higher security, accuracy and predictability can do.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개인건강정보를 획득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종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시스템이 아닌 빅데이터 시스템(Hadoop과 MongoDB 등)을 이용하여 빅데이터화한 후 저장하고 처리함으로써, 일반 사용자 중심의 빅데이터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s acquir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it is stored in a large data system (Hadoop, MongoDB, etc.) instead of a conventional relational database ), And then stores and processes the data, thereby providing a big data healthcare service centered on the general us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200: 모바일 단말 300: 빅데이터 서버100: wearable device 200: mobile terminal 300: big data server

Claims (14)

(a)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개인건강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b) 모바일 단말에서 측정된 상기 개인건강정보에 관한 로(RAW)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로 데이터를 빅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빅데이터 서버에서 수신받은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d) 빅데이터 서버가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빅데이터 서버에서 저장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a) measur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a wearable device;
(b) obtaining raw (RAW) data related to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at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raw data to a big data server;
(c) converting raw data received at the big data server into data of big data;
(d) converting the data converted by the big data server into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storing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e) retrieving from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server at the mobile terminal and acquir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nd displaying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건강정보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한 기록 메시지를 포함하는 개인 기록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개인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ay include:
The personal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ording message using the wearable device by the user,
And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개인건강정보에 관한 로(RAW)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획득된 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빅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b)
(RAW) data related to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in the wearable device is acquired and stored in real time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cquired raw data is transmitted to a big data server in real time.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개인건강정보에 관한 로(RAW)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획득된 로 데이터를 일정한 주기로 상기 빅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b)
(RAW) data relating to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easured in the wearable device is periodically acquired and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cquired raw data is transmitted to the big data server at regular intervals. Centraliz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파일 분산시스템, 병렬 데이터 처리기법 및 빅 테이블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로(RAW) 데이터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c)
(RAW) data into data of a big data using a file distribution system, a parallel data processing technique, and a big table techniq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는 사용자 개인의 의료 데이터와,
상기 개인 건간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건강 상태 데이터와,
상기 의료 데이터 및 건간 상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질병 예방, 치료 및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헬스케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includes personal medical data of a user,
Health status data based on the personal dry -ness information,
And health care information including disease prevention, treatment, and manag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health data and the health state data between the user and the health care provid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개인건강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사용자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n the step (a)
Wherein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cludes user voice information measured in the wearable device.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1의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for execution in accordance with claim 1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개인건강정보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정된 상기 개인건강정보를 빅데이터의 데이터로 변환 저장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 변환하는 빅데이터 서버; 및
상기 측정된 개인건강정보를 로(RAW)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빅데이터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A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a user'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by being worn by a user;
A big data server for converting the measur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to data of big data and converting the converted data into personalized health care data; And
And a mobile terminal for acquiring the measur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s raw data and transmitting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o the big data server,
Wherein the mobile terminal retrieves from the personalized healthcare data and acquires and displays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서버는,
개인건강기록(PHR)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big data server,
A personal health record (PHR) serv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서버는 의료기관의 PACS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ig data server is connected to the PACS server of the medical institution to acquire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us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서버는 NoSQL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ig Data Server includes a NoSQL databas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서버는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검색 엔진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ig data server is equipped with an Elastics search search engin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wearable device comprises a voice recognition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voice of a user.













KR1020150055629A 2015-04-21 2015-04-21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Ceased KR201601255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29A KR20160125543A (en) 2015-04-21 2015-04-21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29A KR20160125543A (en) 2015-04-21 2015-04-21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543A true KR20160125543A (en) 2016-11-01

Family

ID=5748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629A Ceased KR20160125543A (en) 2015-04-21 2015-04-21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543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786A (en) * 2016-12-20 2018-06-28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anonymizing user information of Healthcare Smart Home
WO2018117443A1 (en) * 2016-12-23 2018-06-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Cloud-connected visual function-enhancing wearable device system
KR20190076352A (en) 2017-12-22 2019-07-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Hadoop-Based Intelligent Care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9173045A1 (en) * 2018-03-08 2019-09-12 Fronti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peech signal processing
KR20200062737A (en) * 2018-11-27 2020-06-04 디노플러스 (주) Health care information anonymiz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47534B1 (en) 2021-10-20 2022-01-05 유정선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filtering biometric data based on wearable device
KR102375862B1 (en) 2021-03-29 2022-03-17 유정선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managing medical data based on wearable device
KR102525004B1 (en) * 2022-07-26 2023-04-24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User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Medical My Data
KR102545745B1 (en) * 2022-07-26 2023-06-20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Method of providing evidence-based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personal da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748A (en) 2013-06-18 2014-12-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elf-care lifesty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748A (en) 2013-06-18 2014-12-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elf-care lifestyl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786A (en) * 2016-12-20 2018-06-28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anonymizing user information of Healthcare Smart Home
WO2018117443A1 (en) * 2016-12-23 2018-06-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Cloud-connected visual function-enhancing wearable device system
KR20190076352A (en) 2017-12-22 2019-07-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Hadoop-Based Intelligent Care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9173045A1 (en) * 2018-03-08 2019-09-12 Fronti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peech signal processing
US10460734B2 (en) 2018-03-08 2019-10-29 Fronti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peech signal processing
US10909990B2 (en) 2018-03-08 2021-02-02 Fronti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peech signal processing
US11056119B2 (en) 2018-03-08 2021-07-06 Fronti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peech signal processing
KR20200062737A (en) * 2018-11-27 2020-06-04 디노플러스 (주) Health care information anonymiz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75862B1 (en) 2021-03-29 2022-03-17 유정선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managing medical data based on wearable device
KR102347534B1 (en) 2021-10-20 2022-01-05 유정선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filtering biometric data based on wearable device
KR102525004B1 (en) * 2022-07-26 2023-04-24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User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Medical My Data
KR102545745B1 (en) * 2022-07-26 2023-06-20 주식회사 인피니티케어 Method of providing evidence-based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personal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olkov et al. Digital twins, internet of things and mobile medicine: a review of current platforms to support smart healthcare
Dineshkumar et al. Big data analytics of IoT based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Mishra et al. Analysis of the role and scope of big data analytics with IoT in health care domain
KR20160125543A (en)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Greco et al. An edge-stream computing infrastructure for real-time analysis of wearable sensors data
Ma et al.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s assisted by data analytics and mobile computing
KR20160125544A (en)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Celesti et al. Information management in IoT cloud-based tele-rehabilitation as a service for smart cities: Comparison of NoSQL approaches
CN106997421B (en)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health monitoring
Rodrigues et al. Feature-based information retrieval of multimodal biosignals with a self-similarity matrix: Focus on automatic segmentation
Dobbins et al. Towards clustering of mobile and smartwatch accelerometer data for physical activity recognition
CN104715013A (en) Hadoop-based user health data analysis method and system
Su et al. A mobile multi-agent information system for ubiquitous fetal monitoring
Kashyap et al. A systematic survey on fog and IoT driven healthcare: open challenges and research issues
Kinast et al. Telemonitoring of real-world health data in cardiology: a systematic review
Cui et al. Internet of things-based cloud computing platform for analyzing the physical health condition
KR102495086B1 (en) System for providing telemedicine service for health examination and disease prediction using medical ai engine
Maglogiannis et al. An intelligent cloud-based platform for effective monitoring of patients with psychotic disorders
Umar et al. E-Cardiac care: A comprehensiv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Hong et al. Personalized prediction of diabetic foot ulcer recurrence in elderly individuals using machine learning paradigms
Liu et al. Wearable sensors, data proces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pregnancy monitoring: a review
Jersak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mobile health care
Ebada et al. Applying Apache Spark on Streaming Big Data for Health Status Prediction.
Tsampi et al. Extending the Sana mobile healthcare platform with features providing ECG analysis
Aqueveque et al. A novel privacy preservation and quantification methodology for implementing home-care-oriented movement analysis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6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