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25286A - Test device - Google Patents

Tes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286A
KR20160125286A KR1020160031319A KR20160031319A KR20160125286A KR 20160125286 A KR20160125286 A KR 20160125286A KR 1020160031319 A KR1020160031319 A KR 1020160031319A KR 20160031319 A KR20160031319 A KR 20160031319A KR 20160125286 A KR20160125286 A KR 20160125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shielding member
transparent wall
camera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나부 쓰지무라
마사토시 다나베
준야 시노즈카
야스시 와타나베
오사무 마쓰구마
Original Assignee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286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16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for photographing the track of moving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과제] 시험실 안을 촬영하거나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를 설치 가능한 시험 장치이고, 외부의 빛 등이 찍혀 들어가기 어려운 시험 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창부(21)는 개폐문(20)의 단열벽(23)에 개구(25)가 설치되고, 개구(25)에 내측 투명벽(26)과 외측 투명벽(27)이 장착된 것이다. 창부(21)에 내부 차광 부재(40)와, 외부 차광 부재(41) 및 카메라(43)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차광 부재(40)는 내부가 공동으로서 앞뒤가 개구하고 있다. 내부 차광 부재(40)는 외측 투명벽(27)과 내측 투명벽(26)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외부 차광 부재(41)는 카메라 수용부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며, 한 면만이 개구하는 상자이다. 난반사광이나 회절광이 카메라(43)에 들어가기 어려우므로 잡광이나 음영이 찍히기 어려워, 시험실(5) 안의 모습을 정확하게 모니터하거나 촬영할 수 있다.
[ PROBLEMS ] To develop a test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mount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or observing the inside of a test room and in which external light is hardly captured.
[MEANS FOR SOLVING PROBLEMS] window portion 21 is an inner transparent wall 26 and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s mounted to, and the opening 25 provided on the heat insulating wall 23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 the opening 25 . An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an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and a camera 43 are provided in the window portion 21. [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has an inner cavity open front and rear.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mounted betwee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also functions as a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and is a box having only one opening. Since the reflected light or the diffracted light is difficult to enter into the camera 43, it is difficult for the light or shade to be imaged, so that the inside of the test room 5 can be accurately monitored or photographed.

Description

시험 장치{TEST DEVICE}TEST DEVICE

본 발명은 시험실을 갖는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환경 시험 장치와 같이 시험실을 갖고, 시험실 내에 고온 환경이나 저온 환경 등을 인공적으로 만들어내는 기능을 갖춘 시험 장치로서 적합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apparatus having a test chamber.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as a test apparatus having a test chamber such as an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and having a function of artificially generating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r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in the test chamber.

제품이나 소재 등의 성능이나 내구성을 시험하는 장치로서, 특허문헌 1과 같은 환경 시험 장치가 알려져 있다. 환경 시험 장치는 시험 대상인 피시험물이 놓이는 시험실을 갖추고, 시험실 내의 온도나 습도를 원하는 시험 환경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As an apparatus for test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a product or material, an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known. The environmental test equipment is equipped with a test room in which the test subject is placed,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test room can be adjusted to the desired test environment.

환경 시험 장치의 시험실은 대략 밀폐된 공간이며, 가운데는 보이지 않는다. The test room of the environmental test equipment is an approximately enclosed space, and the center is not visible.

그래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환경 시험 장치에서는, 시험실 안의 모습을 외부에서 들여다보기 위한 창이 설치되어 있다.Thus, in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 window for inspecting the inside of the test room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환경 시험 장치에 의하면, 시험실 내에서의 피시험물의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state of the test object in the test room can be visually observed from the outside.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53464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53464

최근, 비디오 장치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카메라에 대한 기술 혁신이 현저하고, 소형의 카메라가 대량 생산되어 있어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technological innovations for cameras such as video devices and digital cameras have been remarkable, and small-sized cameras have been mass-produced, so that they can be obtained at low cost.

또한 영상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에 대해서도, 대용량의 것을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다.Also, with respect to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an image, a large-capacity storage medium can be obtained at low cost.

따라서, 환경 시험 장치의 분야에서는, 시험실 안의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외부에서 모니터하거나, 시험실 안의 모습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기록해 두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Therefore,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testing apparatus, there is a demand that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test room is photographed with a camera and monitored from the outside, or that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test room is continuously photographed and recorded.

하지만 환경 시험 장치의 시험실 안은 고온 고습 환경이거나, 저온 환경이 되는 경우가 있어, 이것들은 카메라에게 있어서는 극히 가혹한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However, the test room of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may be a high-temperature, high-humidity environment or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and these are extremely severe environments for cameras.

따라서, 피시험물의 모습을 촬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카메라를 시험실 안에 설치하면, 단기간에 카메라가 고장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Therefore, if the camera is installed in a test room for the purpose of taking a picture of the test object, the camera may fail in a short period of time.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카메라를 창문 밖에 부착하여, 창문 밖에서 시험실 안을 촬영하는 것을 생각하였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thought of attaching a camera outside a window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examination room outside the window.

하지만, 이 방책에 의하면, 외부의 잡광이 카메라에 입사하여 빛이 찍혀 들어가, 시험실 전체를 선명하게 촬영하거나 모니터할 수 없을 경우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measure, the outside light is incident on the camera and the light is shot, and the entire test room can not be clearly photographed or monitored.

또한, 사람 그림자나 실내의 조도 등이 카메라에 찍혀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In addition, human shadows and the illuminance of the room are sometimes imprinted on the camera.

이하, 그 이유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ason will be explained.

상기한 바와 같이, 환경 시험 장치의 시험실은 고온 환경이나 저온 환경에서 유지되는 것이므로, 안팎의 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부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st chamber of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is maintained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or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the window has a double structure in order to prevent heat transfer inside and outside.

도 13은 시험 제작한 환경 시험 장치의 창부(106)의 단면도이고, 시험실(5)의 문(100) 등에 개구(101)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101)에 적층 이중 유리(내측 투명벽)(103)와, 화장 유리(외측 투명벽)(105)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ow 106 of the environment test apparatus manufactured by the test. The window 101 is provided in the door 100 of the test chamber 5 and the laminated double glass (inner transparent wall) (Outer transparent wall) 105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01,

적층 이중 유리(103)는 주로 시험실(5)의 안팎을 단열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투명하면서 개구(101) 내의 시험실(5)측에 설치되어 있다.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is installed mainly for heat insulation inside and outside the test chamber 5 an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st chamber 5 in the opening 101 with transparency.

화장 유리(외측 투명벽)(105)는 사용자가 적층 이중 유리(103)에 닿아서 화상 등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된 것으로, 투명하면서 개구(101) 내의 시험실(5)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있다.The cosmetic glass (outer transparent wall) 105 is provided to prevent a user from touching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and wearing an image or the like,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test chamber 5 in the opening 101 while being transparent have.

또한, 적층 이중 유리(103)의 열이 직접 화장 유리(105)에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층 이중 유리(103)와 화장 유리(105) 사이에는 틈이 있어, 양자는 직접적으로 접하진 않는다.There is a gap between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and the cosmetic glass 105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of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from being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osmetic glass 105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

이와 같이, 적층 이중 유리(103)와 화장 유리(105) 사이에는 고의로 공극부(110)가 형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oid portion 110 is intentionally formed between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and the cosmetic glass 105.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43)는 창부(106) 밖에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43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window portion 106.

그리고, 도 13에 부호번호 A로 나타내는 원추형의 통과 영역을 빛이 통과하여 카메라(43)의 입광부(42)에 빛이 들어가고, 빛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Light passes through a conical passing area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A in Fig. 13, light enters the light-incident part 42 of the camera 43, and light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 signal.

하지만, 창부(106)에 부착된 화장 유리(105)는 투명하기 때문에, 환경 시험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의 형광등(111)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한 빛이 창부(106)에 부착된 화장 유리(105)를 통과하여 화장 유리(105)와 적층 이중 유리(103) 사이의 공극부(110)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부호번호 B로 나타내는 빛의 궤적과 같이, 빛의 일부가 적층 이중 유리(103)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카메라(43)에 입광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However, since the decorative glass 105 attached to the window 106 is transparent,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such as a fluorescent lamp 111 in the room in which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is installed is transmitted to the decorative glass 105 And enters the space 110 between the decorative glass 105 and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in some cases. Like the locus of light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B, a part of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surface of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and enters the camera 43 in some cases.

또한, 부호번호 C로 나타내는 빛의 궤적과 같이, 적층 이중 유리(103)의 이면측에서 반사하거나, 부호번호 D로 나타내는 빛의 궤적과 같이, 적층 이중 유리(103)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리 안, 제 1 층의 유리(107)를 통과한 빛이 제 2 층의 유리(108)나 제 3 층의 유리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카메라(43)에 입광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Further, like the locus of the light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C, th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back side of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or reflected by the plurality of glass lenses 103 constituting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 The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glass 107 of the first layer may be reflected by the glass 108 of the second layer or the surface of the glass of the third layer and may enter the camera 43.

또한, 부호번호 E로 나타내는 빛의 궤적과 같이, 형광등(111)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한 빛이 직접 창부(106)의 화장 유리(105)에 반사하여 카메라(43)에 입광해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such as the fluorescent lamp 111 directly reflects on the cosmetic glass 105 of the window portion 106 and enters the camera 43 like the locus of the light indicated by the symbol E.

그 때문에 외부로부터 잡광이 입사하여 부분적으로 노광 오버가 되고, 영상에 빛의 선이 찍혀 들어가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시험실(5)의 전체를 선명하게 촬영하거나 선명하게 모니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case where a light beam enters from the outside and partly undergoes over exposure. As a result, the whole of the test chamber 5 can not be clearly photographed or can not be monitored clearly.

또한, 카메라(43)의 뒷면측을 사람이 통과하거나, 카메라(43)의 뒷면측에 사물이 있는 경우, 사람 그림자나 사물 그림자의 음영이 부호번호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43)와 평행하게 화장 유리(105)에 들어가고, 빛이 약간 굴절해서 적층 이중 유리(103)에 비춰져, 적층 이중 유리(103)에 사람 그림자나 사물 그림자의 음영이 엷게 찍히는 경우가 있다.When a person passes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camera 43 or there is an object on the back side of the camera 43, the shade of human shadows or object shadows is parallel to the camera 43 The light enters the decorative glass 105 and the light is slightly refracted to be reflected on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so that the shadow of the human shadow or the object shadow is lightly shaded on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그 때문에 카메라(43)는 적층 이중 유리(103)에 찍힌 음영을 촬영해 버려, 화면에 고스트(ghost) 이미지의 그림자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었다.For this reason, the camera 43 photographs shadows imaged on the laminated double glass 103, and a shadow of a ghost image is sometimes entered on the screen.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시험실 안을 촬영하거나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한 시험 장치이며, 외부의 빛 등이 찍혀 들어가기 어려운 시험 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velop a test apparatus hav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or observing the inside of a test room, and to develop a test apparatus in which external light is hardly captur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형태는, 대략 폐쇄된 공간으로서 피시험물이 설치되는 시험실과, 외부에서 시험실 안을 들여다보는 것이 가능한 창부를 갖고, 창부는 투명하면서 시험실측에 설치된 내측 투명벽과, 투명하면서 외부측에 설치된 외측 투명벽을 갖고, 상기 내측 투명벽과 외측 투명벽 사이에 공극부가 존재하는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에 내부 차광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 차광 부재는 내측 투명벽 및 외측 투명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배치된 내부 차광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이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st apparatus for testing an object to be tested, comprising: a test chamber in which a test object is installed as a substantially closed space; a window portion capable of being viewed from outside the test chamber; And an inner transparent wall provided on the outer side and an air gap between the inner transparent wall and the outer transparent wall, wherein an inner shield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gap, And an inner light shielding wall arranged in a posture having a vertical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본 형태의 시험 장치는 외부에서 창부를 통하여 시험실 안을 촬영하거나 모니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것으로, 시험 장치 그 자체에 카메라를 부착하거나, 삼각 받침대 등으로 외부에 카메라를 고정하여 사용된다.The tes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hooting or monitoring the inside of the test room through the window from outside. It is used by attaching a camera to the test apparatus itself or fixing the camera to the outside with a tripod stand or the like.

따라서 사용하는 카메라는 촬영용의 것이라도 모니터용의 것이라도 좋다.Therefore, the camera to be used may be a camera or a monitor.

「대략 폐쇄된 공간」이란 완전히 밀폐된 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대략 폐쇄된 공간」이란 외부와 어느 정도의 통기성이나 환기성이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Quot; Approximately closed space " is a concept including a completely closed state. &Quot; Approximately closed space " is a concept that includes a space with a certain degree of ventilation or ventilation.

「투명」이란 육안으로 안팎을 내다보는 것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무색이라도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Quot; Transparent "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look inside and outside with the naked eye, and it may be colorless or colored.

또한, 내측 투명벽 및 외측 투명벽은 보강을 위한 선이나,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Further, the inner transparent wall and the outer transparent wall may be lines for reinforcement or have a built-in heater.

본 형태에서는 내측 투명벽과 외측 투명벽 사이에 공극부가 있는데, 상기 공극부에 내부 차광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차광 부재는 내측 투명벽 및 외측 투명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ir gap between the inner transparent wall and the outer transparent wall, and an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air gap portion. And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is disposed in an attitude having a compon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transparent wall and the outer transparent wall.

따라서, 외부의 빛이 내측 투명벽에 닿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시험 장치 자체에 카메라를 부착하거나, 삼각 받침대 등으로 외부에 카메라를 고정하여 사용되었을 때, 카메라에 잡광이 입광하는 것이 방지되어, 외부의 빛이나 그림자가 찍혀 들어가기 어렵다.Therefore, external light is prevented from reaching the inner transparent wall. Therefore, when a camera is attached to the test apparatus itself or when the camera is fixed to the outside with a tripod, etc., it is prevented that the camera receives a light beam, so that it is difficult to capture light or shadows from the outside.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카메라 설치부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camera installation portion for installing a camera is provided outside the outer transparent wall.

본 형태에 의하면, 카메라를 시험 장치의 본체 부분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amera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test apparatus.

상기한 각 형태에 있어서,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입광부를 갖는 카메라를 설치 가능하고, 카메라가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입광부에 입사되는 빛의 통과 영역이 있고, 내부 차광 부재는, 적어도 상기 통과 영역에 대하여 상부측 및 측면측의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aspects, it is preferable that a camera having a light-incident portion is provided outside the outer transparent wall, and there is a passage region of light incident on the light-incident portion of the camera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light is prevented from being incident on a part or all of the upper side and the side face with respect to the passing area.

본 형태에서는 시험 장치가 설치된 실내의 조명에 기인하는 빛이 내측 투명벽에 닿는 것이 저지된다.In this embodiment, light caused by illumination of the room where the test apparatus is installed is prevented from reaching the inner transparent wall.

즉, 실내의 조명은 통상 실내의 높은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조명의 빛은 윗쪽에서 조사된다. 여기에서, 본 형태에서는 빛의 통과 영역에 대하여 상부측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것이 저지되기 때문에, 조명에 기인하는 잡광이 내측 투명벽에 닿는 것이 저지되어, 찍혀 들어가는 대부분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lighting in the room is usually attached at a high position in the room, the light of the lighting is irradiated from the upper side. Here, in this embodiment, since light is prevented from being incident on the passage region of the light from the upper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most of the imprinted light from being struck by interference with the inner transparent wall due to illumination.

또한, 본 형태에서는 빛의 통과 영역에 대하여 측면측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것도 저지되기 때문에, 조명에 기인하여, 반사를 반복해서 공극부로 돌아 들어간 잡광이 외측 투명벽에 닿는 것이 저지된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light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light passing area from the side surface, it is prevented that the light falling back to the cavity repeatedly repeats the reflection due to the illumination from touching the outer transparent wall.

상기한 각 형태에 있어서, 내부 차광 부재는 통 형상 또는 대략 통 형상이며, 상기 공극부의 일부를 환상(環狀)으로 둘러싸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aspect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is cylindrical or substantially cylindrical and surrounds a part of the air gap part in an annular form.

본 형태에서는 내부 차광 부재는 통 형상 또는 대략 통 형상에 의해 공극부의 일부를 환상으로 둘러싸 버리므로, 설치되는 카메라에 대한 빛의 통과 영역에 빛이 들어가는 것이 저지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annularly surrounds a part of the air gap part by a cylindrical or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light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light passing area of the installed camera.

상기한 각 형태에 있어서, 시험실의 외부에 외부 차광 부재가 있고, 상기 외부 차광 부재는 외측 투명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배치된 외부 차광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preferable that an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est chamber, and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has an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arranged in a posture having a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external transparent wall.

본 형태에 의하면, 설치되는 카메라의 근방으로부터 외측 투명벽을 통과하는 빛이 차단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light passing through the outer transparent wall from the vicinity of the installed camera is blocked.

상기한 각 형태에 있어서, 시험실의 외부에 외부 차광 부재가 있고,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입광부를 갖는 카메라를 설치 가능하며, 외부 차광 부재의 외부 차광벽은 적어도 설치되는 카메라의 입광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mod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mera having an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on the outside of the test room and a light entrance portion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transparent wall, and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of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As shown in Fig.

본 형태에 의하면, 외측 투명벽의 표면에서의 반사광이나 회절광이 설치되는 카메라에 입광하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surfac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from entering the camera provided with the diffracted light.

상기한 각 형태에 있어서, 시험실의 외부에 외부 차광 부재가 있고,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카메라를 설치 가능하며, 외부 차광 부재는 상자형이고, 설치되는 카메라의 주위를 둘러싸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modes, it is preferable that an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est chamber, a camera can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external transparent wall, and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is box- .

본 형태에 의하면, 설치되는 카메라의 근방으로부터 내측 투명벽을 통과하는 빛이 차단되어, 외측 투명벽의 표면에서의 반사광이나 회절광이 카메라에 입광하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light passing through the inner transparent wall is blocked from the vicinity of the installed camera, so that reflected light or diffracted light from the surfac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camera.

또한, 본 형태에 의하면, 설치되는 카메라의 뒷면에 있는 조도(調度) 등의 그림자가 카메라에 찍혀 들어가기 어렵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difficult for the camera to imprint the shadow of the illuminance on the back side of the installed camera.

또한, 또 하나의 형태는 대략 폐쇄된 공간으로서 피시험물이 설치되는 시험실과, 외부에서 시험실 안을 들여다보는 것이 가능한 창부를 갖고, 창부는 투명하면서 시험실측에 설치된 내측 투명벽과, 투명하면서 외부측에 설치된 외측 투명벽을 갖고, 상기 내측 투명벽과 외측 투명벽 사이에 공극부가 존재하는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에 내부 차광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 차광 부재는 내측 투명벽 및 외측 투명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배치된 내부 차광벽을 갖고,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입광부를 갖는 카메라를 설치 가능하며, 카메라가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입광부에 입사되는 빛의 통과 영역이 있고, 내부 차광 부재는 적어도 상기 통과 영역에 대하여 상부측 및 측면측의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시험실의 외부에 외부 차광 부재가 있고, 상기 외부 차광 부재는 외측 투명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배치된 외부 차광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이다.Another form is a substantially closed space having a test chamber in which an object to be tested is installed and a window that allows the inside of the test chamber to be seen from the outside. The window is transparent and has an inner transparent wall provided on the test chamber, And an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transparent wall and the outer transparent wall, wherein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has an inner transparent wall and an outer transparent wall, A camera having an inner light shielding wall arranged in a posture having a compon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and having a light entrance portion outside the outer transparent wall, , And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has a light incident from at least a part or all of the upper side and the sid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passing area Characterized in that an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est chamber and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has an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arranged in a posture having a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external transparent wall to be.

내부 차광 부재는 형상 및 또는 자세 변경이 가능해서, 외부로부터 내부 차광 부재의 형상 및 또는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라도 좋다.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may be changeable in shape and / or attitude, and may change the shape or postur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from the outside.

본 형태에 의하면,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서, 내부 차광 부재의 형상 및 또는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지 않고, 육안으로 창으로부터 직접 시험실의 내부가 보고 싶은 경우에, 내부 차광 부재가 방해가 되기 어렵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hape and postur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can be changed when the camera is not attached and when the camera is attached. Therefore, when the user does not attach the camera and wants to see the inside of the test room directly from the window with the naked eye,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is less likely to interfere.

상기한 각 형태에 있어서,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modes, it is preferable that a camera is provided outside the outer transparent wall.

본 형태에 의하면, 설치된 카메라로 시험실 안을 촬영하거나 모니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test room can be photographed or monitored by the installed camera.

본 발명의 시험 장치는, 카메라를 사용해서 시험실 안을 촬영하거나 관찰할 때에, 외부의 빛이나 그림자가 카메라에 찍혀 들어가기 어렵고, 사용하기 편하다.The tes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external light or shadow to be imprinted on the camera when the inside of the test room is photographed or observed using a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경 시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환경 시험 장치의 창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환경 시험 장치의 창부를 시험실측에서 관찰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환경 시험 장치의 창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환경 시험 장치의 창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시험실측에서 관찰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환경 시험 장치의 창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외부측에서 관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의 창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의 내측 투명벽과, 외측 투명벽 및 내부 차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의 내측 투명벽과, 외측 투명벽 및 내부 차광 부재의 사시도로서, (a)는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카메라가 부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의 내측 투명벽과, 외측 투명벽 및 내부 차광 부재의 사시도로서, (a)는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카메라가 부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의 내측 투명벽과, 외측 투명벽 및 내부 차광 부재의 사시도로서, (a)는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카메라가 부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시험 제작한 환경 시험 장치의 창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anatory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of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window of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of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window of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of Fig. 1 observed from the test chamber side. Fig.
5 is a dis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ow portion of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of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ndow of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of Fig. 1, and shows a state observed from the test chamber side.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ndow of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of Fig. 1, and shows a state observed from the outsid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ow of an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transparent wall, an outer transparent wall, and an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of an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transparent wall, an outer transparent wall and an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of an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hows a state in which no camera is attached, It shows the state when it was attache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transparent wall, an outer transparent wall and an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of an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attache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transparent wall, an outer transparent wall and an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of an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a) Is attached.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ow of an environment test apparatus manufactured by a test.

이하,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환경 시험 장치(1)는 시험실(5) 내에 원하는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장치이다. 환경 시험 장치(1)의 기본 구성은 종래 기술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먼저 간단하게 설명한다.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1 is a device that can create a desired environment in the test chamber 5. [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1 is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it will be briefly described first.

환경 시험 장치(1)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벽(2)에 의해 덮여진 단열조(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조(3)의 일부에 시험실(5)이 형성되어 있다. 시험실(5)은 피시험물(4)을 설치하는 공간이다.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1 has a heat insulating tank 3 covered with a heat insulating wall 2 as shown in Fig. A test chamber (5) is formed in a part of the heat insulating bath (3). The test room (5) is a space for installing the test object (4).

환경 시험 장치(1)는 또한 공조 기기(10)와 송풍기(11)를 구비하고 있다. 공조 기기(10)는 가습 장치(6), 냉각 장치(7) 및 가열 히터(가열 장치)(8)로 구성되어 있다.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1 also includes an air conditioner 10 and a blower 11. [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 is constituted by a humidification device 6, a cooling device 7 and a heating heater (heating device) 8.

환경 시험 장치(1)에는 시험실(5)과 환상으로 연통하는 공조 통풍로(15)가 있고, 상기 공조 통풍로(15)에 상기한 공조 기기(10)와 송풍기(11)가 내장되어 있다.The environment test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path 15 communicating with the test room 5 in an annular manner and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 and the air blower 11 are built in the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path 15.

공조 통풍로(15)는 단열조(3)의 일부에 형성되고, 공기 취출부(16)와 공기 도입부(18)의 2개소에서 시험실(5)과 연통하고 있다.The air conditioning vent path 15 is formed in a part of the adiabatic tank 3 and communicates with the test chamber 5 at two points of the air blowing portion 16 and the air blowing portion 18.

따라서, 송풍기(11)를 기동하면, 시험실(5) 안의 공기가 공기 도입부(18)로부터 공조 통풍로(15) 안으로 도입된다. 그리고 공조 통풍로(15)가 통풍 상태가 되고, 공조 기기(10)에 공기가 접촉해서 열 교환이나 습도 조정이 이루어져, 공기 취출부(16)로부터 시험실(5) 안으로 조정 후의 공기가 취출(吹出)된다.Therefore, when the blower 11 is started, the air in the test chamber 5 is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path 15 from the air introducing portion 18. Then, the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path 15 is in a ventilation state, ai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 to perform heat exchange and humidity adjustment, and air after adjustment is taken out from the air extraction unit 16 into the test chamber 5 )do.

또한, 공조 통풍로(15)의 공기 취출부(16)의 근방에 온도 센서(12)와 습도 센서(13)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12 and a humidity sensor 13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air blow-out section 16 of the air-conditioning ventilation path 15.

환경 시험 장치(1)를 사용할 때에는, 송풍기(11)를 운전해서 공조 통풍로(15) 안을 통풍 상태로 하고, 온도 센서(12) 및 습도 센서(13)의 검출값이 설정 환경의 온도 및 습도에 가까와지도록 공조 기기(10)를 제어한다.When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1 is used, the blower 11 is operated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path 15 is ventilated and the detection values of the temperature sensor 12 and the humidity sensor 13 are set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10 so that the air conditioner 10 is close to the air conditioner 10.

환경 시험 장치(1)의 시험실(5)에는 개폐문(20)이 설치되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 is provided in the test room 5 of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1. [

그리고, 개폐문(20)에는 도 1, 도 2와 같이 창부(21)가 설치되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 is provided with a window portion 21 as shown in Figs.

창부(21)에는 투명한 유리가 끼워 넣어져 있어, 외부에서 시험실(5) 안을 들여다볼 수 있다.Transparent glass is embedded in the window portion 21 so that the inside of the test chamber 5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이하, 창부(21) 및 이것에 부속하는 기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indow portion 21 and the device attached thereto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창부(21)는 개폐문(20)의 단열벽(23)에 사각형의 개구(25)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25)에 내측 투명벽(26)과 외측 투명벽(27)이 장착된 것이다.The window portion 21 is provided with a quadrangular opening 25 in the heat insulating wall 23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 and an inner transparent wall 26 and an outer transparent wall 27 attached to the opening 25.

내측 투명벽(26)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층 이중 유리가 사용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is a double-layer double glass.

내측 투명벽(26)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와 같이, 3장의 내열 유리(28a, 28b, 28c)가 변부(邊部)에 스페이서(30a, 30b)을 사이에 두어 겹쳐진 것이다.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three heat-resistant glass members 28a, 28b and 28c with the spacers 30a and 30b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내열 유리(28a, 28b, 28c)는 모두 직사각형이다. 스페이서(30a, 30b)는 테두리 형상이고, 내열 유리(28a, 28b, 28c)끼리의 사이에서, 그 변부에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내열 유리(28a, 28b, 28c)의 중앙부는 아주 조금 틈을 벌린 상태로 겹쳐져 있다.The heat-resistant glasses 28a, 28b and 28c are all rectangular. The spacers 30a and 30b are in the shape of a rim and are interposed between the heat-resistant glasses 28a, 28b, and 28c at their edges. Therefore, the central portions of the heat-resistant glasses 28a, 28b, and 28c overlap with each other with a slight gap.

또한, 내열 유리(28a, 28c)에는 히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는 예를 들어 내열 유리(28a, 28c)의 표면에 열선이 되는 도체가 인쇄된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a heater is attached to the heat-resistant glass 28a, 28c. The heater is, for example, a conductor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heat-resistant glass 28a, 28c as a heat ray.

히터의 열선은 가늘며 얇다. 또한, 3장의 내열 유리(28a, 28b, 28c)는 모두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가 부착되어 있어도, 내측 투명벽(26)은 전체적으로 투명하다.Hot wire of heater is thin and thin.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ll of the three heat-resistant glasses 28a, 28b and 28c are transparent. Even if the heater is attache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is entirely transparent.

외측 투명벽(27)은 구체적으로는 화장 유리이며, 투명하다. 외측 투명벽(27)은 무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투명벽(27)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s specifically a cosmetic glass, and is transparent.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s preferably colorless. The shap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s rectangular.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투명벽(27)은 도 6과 같이 4개소에 장공(長孔)(1)이 설치되어 있다. 장공(31)은 천지(天地) 방향으로 길다. 또한 구멍의 형상이나 위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s provided with elongated holes 1 at four places as shown in Fig. The long hole 31 is long toward the top.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holes are not limi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도 4, 도 5와 같이 개구(25)의 시험실(5) 근처의 부분에 내측 투명벽(2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개구(25)의 외측 근처의 부분에 외측 투명벽(27)이 장착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 4, and 5, an inner transparent wall 26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opening 25 near the test chamber 5. Further, an outer transparent wall 27 is attached to a portion near the outer side of the opening 25.

외측 투명벽(27)과 내측 투명벽(26)은 밀접하고 있지 않고, 양자 간에는 공극부(32)가 존재한다.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void portion 32 exists between them.

외측 투명벽(27) 및 내측 투명벽(26)은 모두 투명한 유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창부(21)는 투명하며, 창부(21)를 통하여 외부에서 시험실(5) 안을 관찰할 수 있다.Since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are all made of transparent glass, the window portion 21 is transparent and the inside of the test chamber 5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portion 21. [

본 실시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1)에서는, 특징적 구성으로서 내부 차광 부재(40)와, 외부 차광 부재(41) 및 카메라(43)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n in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0, an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and a camera 43 are provided as characteristic features.

내부 차광 부재(40)는 도 6, 도 7 과 같이 단면 형상이 사각형의 통 형상 부재이다. 내부 차광 부재(40)의 정면 형상은 정사각형이며, 창부(21)에 비하여 작다. 특히 내부 차광 부재(40)는 도 1과 같이 높이 방향에는 창부(21)의 절반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a tubular member having a rectangular 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s. The front surface shap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square, and is smaller than the window portion 21.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preferably less than half of the height of the window 21 in the height direction.

내부 차광 부재(40)의 크기, 특히 높이를 창부(21)에 비하여 작게 함으로써, 창부(21)의 창으로서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reducing the size, especially height,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relative to the window 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ndow 21 from functioning as a window.

내부 차광 부재(40)의 길이는 외측 투명벽(27)과 내측 투명벽(26) 사이의 공극부(32)의 폭과 대략 같다.The length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width of the gap portion 32 betwee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내부 차광 부재(40)의 길이는 공극부(32)의 폭과 같은 것이 권장되지만, 공극부(32)의 폭보다도 짧아도 좋다. 내부 차광 부재(40)의 길이는 공극부(32)의 폭의 50퍼센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권장되는 것은 80퍼센트 이상이다.The length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preferably equal to the width of the void portion 32, but may be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void portion 32. The length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preferably at least 50 percent of the width of the void portion 32,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80 percent.

내부 차광 부재(40)는 도 6, 도 7과 같이 불투명한 벽에 의해 4면이 환상으로 둘러싸이고, 앞뒤가 개구하는 것이며, 사각형의 전장(全長)이 짧은 테두리이다. 즉 내부 차광 부재(40)는 내부가 공동이고 앞뒤가 개구하고 있다. 내부 차광 부재(40)는 상기한 외측 투명벽(27)과 내측 투명벽(26) 사이에 장착되는 부재이며, 외측 투명벽(27)측과 내측 투명벽(26)측에 개구(45, 48)가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annularly surrounded on four sides by an opaque wall, and the front and rear are opened, and the rectangular overall length is short. That is, the inner light-shielding member 40 is hollow inside and opens front and back. The inner shielding member 40 is a member mounted betwee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and has openings 45 and 48 at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side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side. ).

내부 차광 부재(40)의 내면은 흑색으로 착색되어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colored black.

내부 차광 부재(40)를 구성하는 4면의 벽면은 내부 차광벽(50)으로서 기능한다.The wall surfaces of the four surfaces constituting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function as the inner light shielding wall 50.

도 6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면, 내부 차광 부재(40)는 상부측 내부 차광벽(50a), 하부측 내부 차광벽(50b), 측면측 내부 차광벽(50c, 50d)을 갖고 있다.6,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has the upper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 50a, the lower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 50b, and the side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s 50c and 50d.

내부 차광 부재(40)의 외측 투명벽(27)측의 개구(45)에는 개구단에 외(外)플랜지(flange)(46)가 설치되어 있다. 외플랜지(46)에는 부착용의 나사 구멍(47)이 설치되어 있다.An outer flange 46 is provided at an opening 45 i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side of the inner shielding member 40. The outer flange 46 is provided with a screw hole 47 for attachment.

한편, 내부 차광 부재(40)의 내측 투명벽(26)측의 개구(48)에는 내(內)플랜지(51)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n inner flange 51 is provided in the opening 48 on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sid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다음에, 외부 차광 부재(41)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 차광 부재(41)는 카메라 수용부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며, 한 면만이 개구하는 상자이다.Next,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will be described.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also functions as a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and is a box having only one opening.

외부 차광 부재(41)는 도 5, 도 6, 도 7과 같이 사각 절두체 형상이고, 사각 절두체 형상의 바닥면에 상당하는 부분만이 개구하고, 다른 부위(5면)는 폐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5, 6 and 7,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is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frustrum, and on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quadrangular frustum shape is opened and the other portions (five surfaces) are closed.

외부 차광 부재(41)의 개구의 크기 및 형상은 상기한 내부 차광 부재(40)의 개구(45,48)와 대략 동일하다.The size and shape of the opening of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penings 45 and 48 of the in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0 described above.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차광 부재(41)를 구성하는 5면의 벽면은 외부 차광 벽(55)으로서 기능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ll surfaces of the five surfaces constituting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function as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55.

도 7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면, 외부 차광 부재(41)는 상부측 외부 차광벽(55a), 하부측 외부 차광벽(55b), 측면측 외부 차광벽(55c, 55d) 및 정면측 외부 차광벽(55e)을 갖고 있다.7,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includes an upper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55a, a lower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55b, side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s 55c and 55d, (55e).

도 7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면, 상부측 외부 차광벽(55a)과 하부측 외부 차광벽(55b) 및 측면측 외부 차광벽(55c, 55d)은 경사벽이다. 또한, 정면측 외부 차광벽(55e)은 수직벽이다.7, the upper outer light-shielding wall 55a, the lower outer-side light-shielding wall 55b, and the side-side outer light-shielding walls 55c and 55d are inclined walls. Further, the front-side external light-shielding wall 55e is a vertical wall.

개구부에는 외 플랜지(57)가 설치되어 있다. 외 플랜지(57)에는 부착 구멍(58)이 설치되어 있다.An outer flange 57 is provided at the opening. An attachment hole 58 is provided in the outer flange 57.

외부 차광 부재(41) 중에는 도 3과 같이 카메라(43)를 설치하는 대좌(5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좌(56)에는 카메라(43)가 부착되어 있다. 대좌(56)는 외측 투명벽(27)의 외측에 카메라(43)를 설치하기 위한 카메라 설치부로서 기능한다.3, a pedestal 56 for mounting the camera 43 is provided in the external light-shielding member 41. As shown in Fig. A camera (43) is attached to the pedestal (56). The pedestal 56 functions as a camer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camera 43 on the outsid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카메라(43)는 디지털식의 카메라이다. 또한, 하부측 외부 차광벽(55b)에는 카메라(43)의 신호선(도시 생략) 등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52)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52)에는 입광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59)가 설치되어 있다(도 6).The camera 43 is a digital camera. A hole 52 for inserting a signal line (not shown) of the camera 43 or the like is provided in the lower side outer light-shielding wall 55b. The hole 52 is provided with a cap 59 for preventing light from entering (FIG. 6).

카메라(43)의 신호선(도시 생략) 등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52)은 다른 부위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The hole 52 for inserting the signal line (not shown) of the camera 43 or the like may be provided in another portion.

다음에, 각 부재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member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1)에서는 외측 투명벽(27)과 내측 투명벽(26) 사이의 공극부(32)에 내부 차광 부재(40)가 내장되어 있다.In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built in the air gap portion 32 betwee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또한, 외측 투명벽(27)에 외부 차광 부재(41)가 부착되고, 외부 차광 부재(41)에 카메라(43)가 내장되어 있다.An external shielding member 41 is attached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a camera 43 is embedded in the external shielding member 41. [

내부 차광 부재(40)와 외부 차광 부재(41)는 모두 외측 투명벽(27)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Both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and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are screwed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즉, 외측 투명벽(27)의 외면측에 외부 차광 부재(41)의 외 플랜지(57)가 접하고, 외측 투명벽(27)의 내면측에 외 플랜지(46)가 접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 차광 부재(41)의 구멍(58)과, 외측 투명벽(27)의 장공(31)에 나사(60)가 삽입되고, 상기 나사(60)가 내부 차광 부재(40)의 나사 구멍(47)과 결합하고, 외부 차광 부재(41)와 내부 차광 부재(40)가 외측 투명벽(27)의 내외면에 부착되어 있다.The outer flange 57 of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outer flange 46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The screw 60 is inserted into the hole 58 of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and the elongated hole 31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screw 60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47 and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and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are attached 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60)는 두부(頭部)에 널링 공구(knurling tool)(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있고, 사용자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널링 공구가 형성된 나사에 한정되지 않고, 나비형 나사라도 좋고, 통상의 볼트나 원형 나사 등이라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rew 60 is formed with a knurling tool (not shown) on the head, and the user can rotate the tool without using a tool. Needless to sa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rew having the knurled tool, but may be a butterfly screw, a normal bolt, a circular screw, or the like.

또한, 나사(60)의 선단에는 C링이나 E링 등이 장착되어 있어, 나사(60)가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Further, a C ring or an E ring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screw 60, so that the screw 60 is prevented from slipping out.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투명벽(27)에 설치된 구멍이 장공(31)이므로, 외부 차광 부재(41)와 내부 차광 부재(40)의 부착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ole provided i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s the long hole 31, the attachment height of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and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can be adjusted.

또한, 내부 차광 부재(40)의 내측 투명벽(26)측의 개구(48)는 내측 투명벽(26)의 근방에 열려 있다.The opening 48 on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sid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open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

내부 차광 부재(40)는 외측 투명벽(27)에 캔틸레버(cantilever; 외팔보)형상으로 부착되어 있고, 내측 투명벽(26)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attached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n the form of a cantilever and is not fixed to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외측 투명벽(27) 및 내측 투명벽(26)의 자세와, 내부 차광 부재(40)의 각 내부 차광벽(50)과의 관계에 주목하면, 내부 차광 부재(40)의 각 내부 차광벽(50)은 외측 투명벽(27) 및 내측 투명벽(26)에 대하여 수직 자세이다. 적어도 내부 차광 부재(40)의 각 내부 차광벽(50)은 외측 투명벽(27) 및 내측 투명벽(26)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부착되어 있다.Attention is pai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ures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and the respective inner light shielding walls 50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50 are in a vert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At least the inner light shielding walls 50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are attached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in a posture having component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외측 투명벽(27)의 자세와, 외부 차광 부재(41)의 상부측 외부 차광벽(55a), 하부측 외부 차광벽(55b), 측면측 외부 차광벽(55c, 55d)의 관계에 주목하면, 외부 차광 부재(41)의 외부 차광벽(55)의 정면측 외부 차광벽(55e) 이외에는 외측 투명벽(27)에 대하여 수직에 가까운 자세이다. 적어도 외부 차광 부재(41)의 상부측 외부 차광벽(55a), 하부측 외부 차광벽(55b), 측면측 외부 차광벽(55c, 55d)은 외측 투명벽(27)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부착되어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of the upper external side light shielding wall 55a, the lower side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55b and the side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s 55c, 55d of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Note that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has an attitude close to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transparent wall 27 except for the front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55e of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55. [ At least the upper outer side light shielding wall 55a, the lower side outer light shielding wall 55b and the side outer side light shielding walls 55c and 55d of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have vertical components with respect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s shown in Fig.

본 실시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1)에서는 외부 차광 부재(41)에 내장된 카메라(43)에 의해 시험실(5) 안이 모니터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녹화 장치에 시험실(5) 안의 모습이 녹화된다.In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test chamber 5 is monitored by the camera 43 built in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inside of the test room 5 is recorded on a recording apparatus (not shown).

이때, 도 3과 같이 실내의 조명광 B는 종래와 같이 창부(21)에 들어가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43)에 입광하는 빛의 원추형의 통과 영역 A는 사각통형의 내부 차광 부재(40)에 의해 전 주위가 둘러싸여 있다.3, the illumination light B in the room enters the window 21 as in the conventional case.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conical passing area A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camera 43 is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of the rectangular tube shape. Is surrounded by the front periphery.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차광 부재(40)는 환상이며, 공극부(32)의 공간으로서 빛의 원추형의 통과 영역 A에 상당하는 영역을 터널과 같이 환상으로 둘러싸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annular and annularly surround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ical passing area A of light as a space of the air gap portion 32 like a tunnel.

그 때문에 창부(21)에 들어간 빛으로서, 내측 투명벽(26)에서 반사하였다면 카메라(43)에 입사되야할 각도로부터 들어온 빛은 내부 차광 부재(40)로 가로막혀서, 내측 투명벽(26)에 도달하지 않고, 내측 투명벽(26)에서 반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창부(21)에 들어간 빛으로서, 내측 투명벽(26)에서 반사하였다면 카메라(43)에 입사되야할 각도로부터 파고들어간 빛은 카메라(43)에 입광하지 않는다.The light entered from the angle to be incident on the camera 43 is blocked by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so that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is reflected by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And does not reflect from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Therefore, if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as the light entering the window 21, the light that has entered from the angle to be incident on the camera 43 does not enter the camera 43.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차광 부재(40)의 상부측 내부 차광벽(50a)은 외측 투명벽(27) 및 내측 투명벽(26)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부착되어 있고, 수평 자세에 가깝다. 그 때문에, 상부측 내부 차광벽(50a)은 상부측으로부터 입광하여 내측 투명벽(26)에 닿을 것인 빛을 가린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밖에 하부측 내부 차광벽(50b), 측면측 내부 차광벽(50c, 50d)을 갖고 있으므로, 난반사광이나, 회절광에 대해서도 통과 영역 A에 들어가기 어렵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 50a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attached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in a posture having a vertical component, . Therefore, the upper-side inner light-shielding wall 50a shields the light that will enter from the upper side and reach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ower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 50b and the side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s 50c and 50d are provided, it is difficult to enter the passage area A with respect to unfiltered light or diffracted light.

따라서, 카메라(43)에 형광등의 빛 등이 찍혀 들어갈 일은 없다.Therefore, the light of the fluorescent lamp is not imprinted on the camera 43.

또한, 카메라(43)의 뒷면이나, 상면, 측면 등은 외부 차광 부재(41)로 둘러싸여 있다. 따라서, 카메라(43)의 근방으로부터 빛이 공극부(32)에 들어갈 일은 없다. The back surface, top surface, side surface, and the like of the camera 43 are surrounded by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Therefore, light does not enter the cavity portion 32 from the vicinity of the camera 43. [

즉, 외부 차광 부재(41)의 상부측 외부 차광벽(55a)은 수평 자세에 가깝다. 따라서, 상부측 외부 차광벽(55a)은 상부측으로부터의 잡광이 외측 투명벽(27)에 닿는 것을 저지한다.That is, the upper outside-side light-shielding wall 55a of the external light-shielding member 41 is close to a horizontal posture. Therefore, the upper-side external light-shielding wall 55a prevents the mis-light from the upper side from touching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

특히, 카메라(43)의 입광부(42)의 근방에도 외측 투명벽(27)이 있으므로, 잡광이 입광부(42)에 들어가기 어렵다.Particularly, since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light incoming portion 42 of the camera 43, it is difficult for the light to enter the light incoming portion 42.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밖에 하부측 외부 차광벽(55b) 및 측면측 외부 차광벽(55c, 55d)을 갖고 있으므로, 난반사광이나 회절광에 대해서도 카메라(43)가 입광부(42)에 들어가기 어렵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ower side outer light shielding wall 55b and the side outer side light shielding walls 55c and 55d are provided, the camera 43 is hard to enter the light incident portion 42 with respect to the non-reflected light or diffracted light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43)의 뒷면측이 정면측 외부 차광벽(55e)으로 덮여 있으므로, 카메라(43)의 뒷면측의 인물이나 조도의 음영이 외측 투명벽(27)이나 내측 투명벽(26)에 찍히기 어렵고, 이것들의 그림자가 카메라(43)에 찍혀들어가기 어렵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back side of the camera 43 is covered with the front-side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55e, the shadow of the person or the illuminance on the back side of the camera 43 is shielded by the external transparent wall 27, It is difficult for them to be imaged on the camera 26, and these shadows are hardly captured on the camera 43. [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메라(43)에 잡광이나 음영이 찍히기 어렵고, 시험실(5) 안의 모습을 정확하게 모니터하거나 촬영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monitor or photograph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test chamber 5,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camera 43 to impinge on a light source or a shadow.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창부(21)의 면적은 외부 차광 부재(41) 및 내부 차광 부재(40)가 차지하는 면적보다도 상당히 크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창부(21)의 외부 차광 부재(41) 및 내부 차광 부재(40)가 없는 부분으로부터 시험실(5) 안을 직접 볼 수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area of the window portion 21 is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area occupied by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and the in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0. Therefore, the operator can directly see the inside of the test chamber 5 from the portion where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and the in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0 of the window portion 21 are not present.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차광 부재(40)의 외측 투명벽(27)측에 외 플랜지(46)가 설치되고, 내측 투명벽(26)측에 내 플랜지(51)를 설치하였다. 또한 외부 차광 부재(41)에도 외 플랜지(57)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outer flange 46 is provided o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sid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and the inner flange 51 is provided on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side.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is also provided with an outer flange 57.

이 구성은 유리 안에서 굴절한 빛이 카메라측으로 회절하는 것을 저지하는 효과가 있어 권장된다.This configuration is recommended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iffracted light from diffracting into the camera side in the glass.

즉, 도 3의 원 안의 확대도와 같이, 창부(21) 안에 들어간 빛은 일부가 내측 투명벽(26)의 내열 유리(28a)의 표면에서 반사하여(화살표 a), 잔부가 내열 유리(28a) 안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내열 유리(28a)에 들어간 빛은 그 직후에 굴절하여 진행 방향이 변하고, 또한 내열 유리(28a)에서 나올 때에 일부가 반사(화살표 b)한다.3, a part of the light entering the window 21 is reflected by the surface of the heat-resistant glass 28a of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arrow a) I go inside. The light entering the heat-resistant glass 28a is refracted immediately thereafter to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and part of the light is reflected (arrow b) when it comes out of the heat-resistant glass 28a.

화살표 b의 반사광은 내열 유리(28a)에 입광한 위치로부터 오프셋한 위치에 반사하여 돌아간다.The reflected light of the arrow b is reflected at a position offse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reflected light enters the heat-resistant glass 28a.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차광 부재(40)의 내측 투명벽(26)측에 내 플랜지(5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사광이 오프셋한 위치로 돌아가도 내 플랜지(51)로 가로막혀, 카메라(43)측으로 돌아 들어갈 일은 없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ner flange 51 is provided on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sid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even if the reflected light returns to the offset position, it is blocked by the inner flange 51, (43).

내부 차광 부재(40)의 외측 투명벽(27)측에 설치된 외 플랜지(46)와, 외부 차광 부재(41)에 설치된 내 플랜지(57)도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며, 외측 투명벽(27)의 내부에서 반사한 빛이 카메라(43)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잇다.The outer flange 46 provided o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side of the inner shielding member 40 and the inner flange 57 provided on the outer shielding member 41 have the same function. Thereby preven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side from being directed to the camera 43 side.

내부 차광 부재(40)에 내 플랜지(51)를 설치하는 구성은 도 8과 같이 내부 차광 부재(40)가 내측 투명벽(26)으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는 경우에 특히 권장되는 구성이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ner flange 51 is provided on the inner shielding member 40 is a structure particularly recommended when the inner shielding member 40 is largely separated from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as shown in Fig.

플랜지의 방향은 외측 투명벽(27)측이 바깥쪽을 향하고, 내측 투명벽(26)측이 안쪽을 향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반대라도 좋다. 또한, 쌍방이 바깥쪽을 향하는 플랜지라도 좋고, 쌍방이 안쪽을 향하는 플랜지라도 좋다.Although it is recommended that the direction of the flange is such that the sid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faces outward and the side of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faces inward, it may be reversed. Further, both flanges may be directed outward, or both flanges may be directed inward.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내부 차광 부재(40)의 내측 투명벽(26)측을 내 플랜지(51)라고 하고, 외 플랜지라고 하지 않은 이유는 창부(21)의 시야를 좁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지만, 내 플랜지(51) 대신에 외 플랜지로 해도, 반사광이 오프셋한 위치로 돌아가, 카메라(43)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sid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referred to as the inner flange 51 and the outer flange is not referred to as the inner shielding member 40 in order to prevent narrowing of the field of view of the window 21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eflected light from returning to the position offset and returning to the camera 43 can be expected even if the outer flange is used instead of the inner flange 51. [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차광 부재(4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이지만, 다른 다각형이나 원형이라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a quadrangle, but other polygons or circles may be used.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차광 부재(40)의 각 내부 차광벽(50)은 외측 투명벽(27) 및 내측 투명벽(26)에 대하여 수직 자세였지만, 다소의 경사가 있어도 좋다. 결국, 내부 차광 부재(40)의 각 내부 차광벽(50)은 외측 투명벽(27) 및 내측 투명벽(26)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부착되어 있으면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ner light shielding walls 50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are in a vertical posture with respect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but may have a slight inclination. As a result, each inner light shielding wall 50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in a posture having a vertical component.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차광 부재(40)는 통 형상이고, 카메라(43)에 입광하는 빛의 통과 영역을 푹 덮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요한 잡광을 선택적으로 배제하는 것이라도 좋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of a tubular shape and covers the passage region of light incident on the camera 4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It may be excluded.

잡광의 광원은 주로 실내의 조명이고, 실내의 천정부에 있어, 잡광은 위로부터 조사된다. 그 때문에, 도 9에 도시된 내부 차광 부재(70)와 같이, 상부로부터의 잡광과 돌아 들어가는 빛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여, 상부측 내부 차광벽(71a)의 전부와 측면측 내부 차광벽(71c, 71d)의 일부만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is mainly indoor, and the light source is in the ceiling of the room. For this reason, in order to remove the unnecessary light from the upper portion and the light to be turned back, the entire inner side light shielding wall 71a and the inner side light shielding wall 71c , And 71d, may be employed.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투명벽(27)에 장공(31)을 설치했지만, 원형 구멍이라도 좋고 오뚝이 형상의 구멍이라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elongated hole 31 is provided i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but it may be a circular hole or a staggered hole.

외측 투명벽(27)에 구멍을 복수 설치하고, 내부 차광 부재(40)와 외부 차광 부재(41)의 부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It is conceivable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i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so tha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and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can be changed.

예를 들어 외측 투명벽(27)에 구멍을 세로 2열로 다수 설치하고, 나사(60)를 삽입하는 구멍을 선택함으로써 내부 차광 부재(40) 및 외부 차광 부재(41)의 부착 높이를 바꿀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ttachment height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and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by arranging a plurality of holes i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n two rows and selecting the hole for inserting the screws 60 Configuration may be employed.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창부(21)의 창으로서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내부 차광 부재(40)의 크기, 특히 높이를 창부(21)에 비하여 작게 설계하고 있다. 하지만, 내부 차광 부재(40)가 존재함으로써, 시험실(5)의 내부가 잘 안보이게 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is designed to have a smaller size, particularly a height, than the window 21, in order to prevent the function of the window 21 as a window. However, it can not be denied that the inside of the test chamber 5 becomes invisible due to the presenc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가령, 외부 차광 부재(41)를 떼어냈다고 해도, 외측 투명벽(27)과 내측 투명벽(26) 사이의 공극부(32)에 내부 차광 부재(40)가 남기 때문에, 내부 차광 부재(40)가 방해가 되어 시험실(5)의 내부는 다소 보기 어려워진다.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remains in the gap portion 32 betwee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even if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is removed. The inside of the test chamber 5 becomes somewhat difficult to see.

이 대책으로서, 내부 차광 부재(40)의 형상이나 자세를 외부에서 변경이 가능하게 하는 방책을 생각할 수 있다.As a countermeasure therefor,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way to change the shape and postur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from the outside.

즉,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차광 부재(40)의 형상이나 자세는 고정적이었지만, 필요에 따라 변형하는 것이라도 좋다.That is, although the shape and postur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are fix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y may be modified as necessary.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내부 차광 부재(72)와 같이, 상부측 내부 차광벽(73a)은 판상이지만, 측면측 내부 차광벽(73c, 73d)은 직물 형태나 주름 형태와 같은 신축 변형 가능한 것을 소재로 하고 있다. 물론 다른 신축 또는 변형 가능한 소재라도 좋다.For example, like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72 shown in Fig. 10, the upper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 73a is plate-shaped, but the side-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s 73c and 73d are formed of a flexible deformation It is made possible. Of course, other stretchable or deformable materials may be used.

측면측 내부 차광벽(73c, 73d)의 하변부는 다른 부재에 고정되어 있어 상하로 움직일 일은 없다.The lower side portions of the side-surface-side internal light-shielding walls 73c and 73d are fixed to the other members, so that they do not move up and down.

또한, 상부측 내부 차광벽(73a)의 단부에 자석(77)이 설치되어 있다.Further, a magnet 77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upper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 73a.

도 10에 도시된 내부 차광 부재(72)에서는, 카메라(43)에 의한 촬영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측 내부 차광벽(73a)이 자중(自重)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측면측 내부 차광벽(73c, 73d)은 접혀진 상태가 된다.In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72 shown in Fig. 10, when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3 is not required, the upper inner light shielding wall 73a moves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The inner light shielding walls 73c and 73d are in a folded state.

한편, 카메라(43)에 의한 촬영을 수행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자석을 외부에서 꽉 눌러서 외측 투명벽(27) 너머로 상부측 내부 차광벽(73a)을 자착(磁着)하고, 외부의 자석을 이동시켜서 상부측 내부 차광벽(73a)을 상승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3 is performed, a magnet (not shown) is pressed from the outside to magnetize the upper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 73a over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Side inner light-shielding wall 73a.

그 결과, 도 10(b)와 같이, 측면측 내부 차광벽(73c, 73d)이 넓어지고, 측면으로부터의 빛의 입사를 저지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 (b), the side-surface-side internal light-shielding walls 73c and 73d are widened and the incidence of light from the side surface is prevented.

또한, 외부 차광 부재(41)의 개구부의 외 플랜지(57)에 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자석에 의해 외부 차광 부재(41)를 외측 투명벽(27)에 고정해도 좋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부측 내부 차광벽(73a)의 이동과, 외부 차광 부재(41)의 고정을 외부 차광 부재(41)에 설치한 자석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된다.A magnet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flange 57 of the opening of the outer shielding member 41 and the outer shielding member 41 may be fixed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by the magne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movement of the upper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 73a and fixing of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are performed by a magnet provided on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1. [

또한, 자석 대신에 외측 투명벽(27)에 슬릿을 형성하고, 부착용의 나사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내부 차광 부재(72)를 이동시켜 자세를 변형시켜도 좋다.Instead of the magnet, a slit may be formed i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the attachment screw may be moved up and down to move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72 to deform the posture.

또한, 와이어 등으로 내부 차광 부재(72)의 일부를 매달고, 와이어 등을 조작 함으로써 내부 차광 부재(72)를 이동시키거나 자세를 변형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It is also conceivable to suspend a part of the inner shielding member 72 with a wire or the like to move the inner shielding member 72 or to change its posture by operating a wire or the like.

다른 방법으로서, 외측 투명벽(27)에 세로로 구멍을 다수 설치하고, 내부 차광 부재(72)의 적어도 일부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를 삽입하는 구멍을 선택함으로써, 내부 차광 부재(7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동시켜도 좋다.As another method,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longitudinally in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and a hole for inserting a screw for attaching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72 is selected so that a part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72 All of them may be moved.

도 10에 도시된 내부 차광 부재(72)는 카메라(43)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서 높이가 낮아지고, 창부(21)는 넓은 시야가 확보된다. 그 때문에 카메라(43)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험실(5)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다.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72 shown in Fig. 10 is folded down when the camera 43 is not used, and the window 21 has a wide view. Therefore, when the camera 43 is not used, it is easy to visually confirm the inside of the test chamber 5.

또한, 도 11에 도시된 내부 차광 부재(75)와 같이, 각 내부 차광벽(76)을 힌지(78)로 결합하고, 카메라(43)에 의한 촬영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차광벽(76)을 세로 자세로 해 둔다.When the respective internal light shielding walls 76 are joined by the hinge 78 like in the case of the in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75 shown in Fig. 11 and no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3 is required, (76) in the vertical posture.

한편, 카메라(43)에 의한 촬영을 할 경우에는, 상부측 내부 차광벽(80a)과 하부측 내부 차광벽(80b)을 수평 자세로 변경하고, 테두리 형상의 내부 차광 부재(75)를 구성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photographing by the camera 43, the upper inner side light shielding wall 80a and the lower inner side light shielding wall 80b are changed to a horizontal posture so as to form a rim-shaped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75 .

본 구성에 의해서도,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넓은 시야가 확보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oo, a wide field of view is ensured when a camera is not used.

또한, 도 12에 도시된 내부 차광 부재(81)와 같이, 건착(巾着; 두루주머니)과 같은 개구(82)가 확대 수축하는 구조로 하고, 카메라(43)에 의한 촬영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측 투명벽(27)측의 개구(82)를 넓혀 둔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81 shown in Fig. 12, when the opening 82 such as a donut or the like is enlarged or contracted and the camera 43 does not need to photograph The opening 82 on the sid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s widened.

한편, 카메라(43)에 의한 촬영을 할 경우에는, 외측 투명벽(27)측의 개구(82)를 오므리고, 깔때기형상의 내부 차광 부재(81)를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aking an image by the camera 43, the opening 82 on the sid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27 is pinched down to constitute a funnel-shaped in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81.

본 구성에 의해서도,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넓은 시야가 확보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oo, a wide field of view is ensured when a camera is not used.

이상, 내부 차광 부재(4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외부 차광 부재(41)에 대해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체 형상은 4각 절두체 형상일 필요는 없고, 4각뿔, 5각 이상의 뿔형, 직육면체, 정육면체, 원기둥형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외부 차광 부재는 카메라(43)의 전 둘레를 덮는 것이 아니라도 좋다.Although the modified exampl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4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4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the overall shape need not be a quadrangular truncated quadrangular truncated quadrangular truncated quadrangular truncated quadrangular truncated quadrangular truncated quadrilateral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uncated tr The external shielding member may not c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amera 43. [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투명벽(26)으로서 복층 이중 유리를 채용했지만, 내측 투명벽(26)은 투명하기만 하면 좋고, 단층의 유리라도 좋고, 수지 등이라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is a double-layer double glass. However, the inner transparent wall 26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glass, a resin, or the like.

또한, 유리에는 히터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Further, the glass may not be provided with a heater.

본 발명은 온도나 습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춘 환경 시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시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nvironmental test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r the humidity and is also applicable to other test apparatuses.

1: 환경 시험 장치
5: 시험실
20: 개폐문
21: 창부
25: 개구
26: 내측 투명벽
27: 외측 투명벽
28a, 28b, 28c: 내열 유리
40: 내부 차광 부재
41: 외부 차광 부재
43: 카메라
50: 내부 차광벽
55: 외부 차광벽
70: 내부 차광 부재
71a: 상부측 내부 차광벽
73a: 상부측 내부 차광벽
73c, 73d: 측면측 내부 차광벽
75: 내부 차광 부재
76: 내부 차광벽
81: 내부 차광 부재
1: Environmental test equipment
5: Laboratory
20: Opening and closing door
21: window
25: aperture
26: Inner transparent wall
27: outer transparent wall
28a, 28b, 28c: Heat-resistant glass
40: Inner shielding member
41: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43: Camera
50: Inner shielding wall
55: External shading wall
70: Inner shielding member
71a: upper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
73a: upper side inner light shielding wall
73c, 73d: Side-side inner light-shielding wall
75: Inner shielding member
76: Inner shielding wall
81: Inner shielding member

Claims (10)

대략 폐쇄된 공간으로서 피시험물이 설치되는 시험실과, 외부에서 시험실 안을 들여다보는 것이 가능한 창부를 갖고,
창부는 투명하면서 시험실측에 설치된 내측 투명벽과, 투명하면서 외부측에 설치된 외측 투명벽을 갖고, 상기 내측 투명벽과 외측 투명벽 사이에 공극부가 존재하는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에 내부 차광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 차광 부재는 내측 투명벽 및 외측 투명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배치된 내부 차광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A test room in which an object to be tested is installed as a substantially closed space, and a window capable of looking into the test room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window portion is transparent and has an inner transparent wall provided on the test chamber side and an outer transparent wall which is transparent and provided on the outer side and in which there is a gap between the inner transparent wall and the outer transparent wall,
Wherein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has an inner light shielding wall disposed in a posture having a vertical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inner transparent wall and the outer transparent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카메라 설치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Th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mera installation section for installing a camera outside the outer transparent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입광부를 갖는 카메라를 설치 가능하고, 카메라가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입광부에 입사되는 빛의 통과 영역이 있고, 내부 차광 부재는 적어도 상기 통과 영역에 대하여 상부측 및 측면측의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The camer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amera having a light-incident portion is provided outside the outer transparent wall, and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there is a passage region of light incident on the light-incident portion of the camera, Is provided at a position for preventing light from being incident on a part or all of the upper side and the sid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차광 부재는 통 형상 또는 대략 통 형상이며, 상기 공극부의 일부를 환상으로 둘러싸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Th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is cylindrical or substantially cylindrical, and surrounds a part of the air gap portion in an annular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시험실의 외부에 외부 차광 부재가 있고,
상기 외부 차광 부재는 외측 투명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배치된 외부 차광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shielding member on the outside of the test chamber,
Wherein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has an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arranged in a posture having a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external transparent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시험실의 외부에 외부 차광 부재가 있고,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입광부를 갖는 카메라를 설치 가능하고,
외부 차광 부재의 외부 차광벽은 적어도 설치되는 카메라의 입광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shielding member on the outside of the test chamber,
And a camera having a light-incident por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Wherein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of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surrounds at least the periphery of the light incoming portion of the camera to be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시험실의 외부에 외부 차광 부재가 있고,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카메라를 설치 가능하고, 외부 차광 부재는 상자형이며, 설치되는 카메라의 주위를 둘러싸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shielding member on the outside of the test chamber,
Wherein the camera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outer transparent wall, and the outer light shielding member is box-shaped and surrounds the camera to be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차광 부재는 형상 및 또는 자세 변경이 가능하여, 외부에서 내부 차광 부재의 형상 및 또는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Th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is changeable in shape and / or attitude, so that the shape and posture of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can be changed from the outside. 대략 폐쇄된 공간으로서 피시험물이 설치되는 시험실과, 외부에서 시험실 안을 들여다보는 것이 가능한 창부를 갖고,
창부는 투명하면서 시험실측에 설치된 내측 투명벽과, 투명하면서 외부측에 설치된 외측 투명벽을 갖고, 상기 내측 투명벽과 외측 투명벽 사이에 공극부가 존재하는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에 내부 차광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 차광 부재는 내측 투명벽 및 외측 투명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배치된 내부 차광벽을 갖고,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입광부를 갖는 카메라를 설치 가능하며, 카메라가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카메라의 입광부에 입사되는 빛의 통과 영역이 있고, 내부 차광 부재는 적어도 상기 통과 영역에 대하여 상부측 및 측면측의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시험실의 외부에 외부 차광 부재가 있고,
상기 외부 차광 부재는 외측 투명벽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성분을 갖는 자세로 배치된 외부 차광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
A test room in which an object to be tested is installed as a substantially closed space, and a window capable of looking into the test room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window portion is transparent and has an inner transparent wall provided on the test chamber side and an outer transparent wall which is transparent and provided on the outer side and in which there is a gap between the inner transparent wall and the outer transparent wall,
Wherein the inner light shielding member has an inner transparent wall and an inner light shielding wall disposed in a posture having a vertical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outer transparent wall,
A camera having a light-incident portion on the outside of the outer transparent wall is provided, and when the camera is installed, there is a passage region of light incident on the light-incident portion of the camera, Side surface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There is an external shielding member on the outside of the test room,
Wherein the external light shielding member has an external light shielding wall arranged in a posture having a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external transparent wall.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 투명벽의 외측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장치.10. Th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a camera is provided outside the outer transparent wall.
KR1020160031319A 2015-04-21 2016-03-16 Test device Withdrawn KR2016012528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6956 2015-04-21
JP2015086956A JP6410661B2 (en) 2015-04-21 2015-04-21 Test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286A true KR20160125286A (en) 2016-10-31

Family

ID=5741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319A Withdrawn KR20160125286A (en) 2015-04-21 2016-03-16 Test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10661B2 (en)
KR (1) KR20160125286A (en)
CN (1) CN10606629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0726A (en) * 2016-12-25 2018-07-03 黄邦擎 A kind of Automobile Parts Inspection fast freezing case
JP6913593B2 (en) * 2017-09-29 2021-08-04 エスペック株式会社 Environment forming device and window structure
JP7394589B2 (en) * 2019-11-12 2023-12-08 エスペック株式会社 Environment shap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for environment shaping device
CN113720753A (en) * 2021-08-08 2021-11-30 中国飞机强度研究所 Movable heat preservation room for wide temperature range environment of climate environment laborator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8337A (en) * 1990-09-29 1992-05-12 Idemitsu Kosan Co Ltd Apparatus for testing corrosion prevention and rust prevention
US5601364A (en) * 1994-06-14 1997-02-1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rmal warpage
JP2001098860A (en) * 1999-09-29 2001-04-10 Asahi Glass Co Ltd Multi-layer window glass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567541B1 (en) * 2000-02-25 2003-05-20 Ahbee 1,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dhesion testing of thin film materials
JP3409259B2 (en) * 2000-10-02 2003-05-26 山陽精工株式会社 High temperature observation device
US20050160794A1 (en) * 2004-01-26 2005-07-28 Sonntag Donald W.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 leakage testing
JP2005227188A (en) * 2004-02-13 2005-08-25 Cores:Kk Observ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6299A (en) 2016-11-02
JP6410661B2 (en) 2018-10-24
JP2016205966A (en)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5395B2 (en) Compound dome camera assembly
KR20160125286A (en) Test device
CN102016944B (e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s and/or signs of fire
CN109255924A (en) particle detection
KR101868094B1 (en) Signal Simulator for Infrared counter measure
US11092479B2 (en) Sensor assembly and a device comprising such sensor assembly
CN210899286U (en) Monitoring camera and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KR102126870B1 (en) Security camera
US9277143B2 (en) Thermal imaging camera with repositionable active portions of focal plane array
EP4026401A1 (en) Domestic microwave appliance having a dome-shaped microwave shield
KR101870170B1 (en) Hyperspectral image acquisition apparatus for acquiring hyperspectral image of rock or mineral sample
JPH116770A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temperature field
JPH05256704A (en) Radiation heat temperature sensor
JP2019028023A (en)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GB2459374A (en) Fire monitor using camera with narrow field of view and using a remote marker
JP6422191B2 (en) Oblique illumination imaging device
CN222979267U (en) An integrated video extensometer
JP202150467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voiding infrared reflection
JP4771267B1 (en) Imaging device
TWI246626B (en) Protecting cover device of monitoring video camera
CN118424660A (en) Space camera point source transmittance test device and method based on reverse light path principle
KR20230108172A (en) Bird collision prevention test device
JPH0222563A (en) Detecting method for flow direction of air at periphery of body
JP2021096347A (en) Imaging device
CN103916571B (en) Image acquisi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