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040A - 침몰선 인양장비 - Google Patents
침몰선 인양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2040A KR20160122040A KR1020150065281A KR20150065281A KR20160122040A KR 20160122040 A KR20160122040 A KR 20160122040A KR 1020150065281 A KR1020150065281 A KR 1020150065281A KR 20150065281 A KR20150065281 A KR 20150065281A KR 20160122040 A KR20160122040 A KR 201601220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hip
- sunken ship
- barge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8—Refloating stranded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 B63C7/04—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using pontoons or the like
-
- B63B2738/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상용 바지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물탱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경사면에 쐐기가 놓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쐐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침몰선 인양장비를 사용하여 침몰선을 인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침몰선 고정 본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선미 지지 본체부 및 침몰선 안착 본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침몰선 인양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200 : 물탱크
210 : 보강재
220 : 뚜껑
230 : 공기 흡입구
240 : 배출구
250 : 수중 모터펌프
260 : 사다리
280 : 배수 호스
290 : 공기 호스
300 : 쐐기부
Claims (5)
-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침몰선이 위치되는 직사각 형상의 인양 공간이 중앙에 형성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침전용 바지선;
상기 인양 공간에 배치되며, 수상에 부상되는 수상용 바지선;
상기 침전용 바지선의 내부에 형성되며, 서로 격벽으로 독립적으로 구획되고,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공기가 들어오는 흡입구, 물이 들어오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다수의 물탱크;
상기 수상용 바지선에 다수의 크레인을 통해 승강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어 상기 침몰선을 고정하는 다수의 쐐기부; 및
상기 침전용 바지선의 다수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견인선이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장비.
- 내부에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해저에서 침전 또는 부양되며, 해저에 위치되는 침몰선의 선단이 진입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규제홈부가 형성되는 침몰선 고정 본체부;
내부에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해저에서 침전 또는 부양되며, 상기 해저에서 상기 침몰선 고정 본체부가 일정 높이 부양되어, 상기 침몰선이 경사지도록 위치되며, 상기 침몰선의 저부를 통해 상기 침몰선의 선미부분을 지지하는 선미 지지 본체부;
내부에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해저에서 침전 또는 부양되며, 상기 선미 지지 본체부의 후단에 다수로 연결되는 침몰선 안착 본체부; 및
상기 침몰선 고정 본체부, 상기 선미 지지 본체부, 상기 침몰선 안착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격벽으로 독립적으로 구획되고,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공기가 들어오는 흡입구, 물이 들어오는 주입구로 형성되는 다수의 물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선미 지지 본체부를 통해 상기 침몰선의 선미 부분이 지지된 이후, 상기 침몰선 고정 본체부가 하강되면, 상기 침몰선은 상기 침몰선 안착 본체부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침몰선은 상기 선미 지지 본체부와 상기 침몰선 안착 본체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태로 부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장비.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 지지 본체부는,
상향 경사지도록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송곳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되는 상기 침몰선의 외면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규제하는 이동 규제 돌기물과,
상기 몸체의 양측부에 연결되는 강철 와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강철 와이어는, 수상용 바지선의 크레인에 연결되고, 상기 크레인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선미 지지 본체부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장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물탱크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교차되어 양단이 상기 다수의 물탱크 내부 벽체에 지지되는 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물탱크가 위치되는 상기 바지선 본체부 상단에는 상기 다수의 물탱크 각각을 개방하는 뚜껑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들어오는 공기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 호스를 통해 전선이 상기 물탱크 각각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물탱크 각각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는 수중 모터펌프와 전동개폐벨브 및 내시경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물탱크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물탱크의 내부 저면과 상기 뚜껑을 연결하는 사다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장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쐐기부 각각은,
전면과, 후면이 평행하고, 전면의 단부로부터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는 보조면 및 전면과 후면의 전단을 경사지도록 잇는 저면으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후면 양단부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의 후단 양측부 및, 상기 보조면의 상단 양측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는, 바다 바닥면에서 구르는 다수의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51477 | 2015-04-13 | ||
KR1020150051477 | 2015-04-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2040A true KR20160122040A (ko) | 2016-10-21 |
Family
ID=5725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5281A Ceased KR20160122040A (ko) | 2015-04-13 | 2015-05-11 | 침몰선 인양장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204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4181A (zh) * | 2021-05-08 | 2021-06-29 |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 一种通航隧洞内沉船打捞工具及使用方法 |
CN113044182A (zh) * | 2021-05-08 | 2021-06-29 |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 一种沉船打捞装置及操作方法 |
-
2015
- 2015-05-11 KR KR1020150065281A patent/KR20160122040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4181A (zh) * | 2021-05-08 | 2021-06-29 |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 一种通航隧洞内沉船打捞工具及使用方法 |
CN113044182A (zh) * | 2021-05-08 | 2021-06-29 |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 一种沉船打捞装置及操作方法 |
CN113044181B (zh) * | 2021-05-08 | 2024-05-31 |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 一种通航隧洞内沉船打捞工具及使用方法 |
CN113044182B (zh) * | 2021-05-08 | 2024-06-04 |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 一种沉船打捞装置及操作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66979B (zh) | 浮体式风力发电装置 | |
KR101551888B1 (ko) | 침몰선박 인양장치 및 그 인양방법 | |
KR101140163B1 (ko) |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 |
KR102076497B1 (ko) |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 |
CN105083493B (zh) | 一种自升自航式船坞 | |
KR20160122040A (ko) | 침몰선 인양장비 | |
KR101699056B1 (ko) | 반잠수식 구난 인양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 선체 인양공법 | |
KR101346174B1 (ko) | 분리 유동이 가능한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 | |
KR101587875B1 (ko) | 다기능 독 | |
KR101643730B1 (ko) | 침몰선박 인양장치 | |
KR101444146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KR101411946B1 (ko) | 정선장비 | |
EP3243734B1 (en) |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 |
KR101444149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RU2479460C1 (ru) |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и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 |
RU2510356C1 (ru) | Ограждение спасательных подводных аппаратов, установленных на подводном носителе | |
HRP20031082A2 (en) | Installation for the recovery of polluting fluid contained in at least one transverse section in tanks of a sunken vessel | |
KR101750270B1 (ko) |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 | |
RU2564271C1 (ru) |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и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 |
KR101621086B1 (ko) | 침몰선박 인양장치 | |
KR101513069B1 (ko) | 잠수함의 승조원 출입구조 | |
KR101399605B1 (ko) |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 |
KR20190043975A (ko) |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 |
EP2885201B1 (en) | Method and system for salvage of vessels | |
KR20160005625A (ko) | 잠수 정거장 터미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