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21403A - 낚시용 릴의 와셔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와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403A
KR20160121403A KR1020160036820A KR20160036820A KR20160121403A KR 20160121403 A KR20160121403 A KR 20160121403A KR 1020160036820 A KR1020160036820 A KR 1020160036820A KR 20160036820 A KR20160036820 A KR 20160036820A KR 20160121403 A KR20160121403 A KR 20160121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drag
flat surface
main body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716B1 (ko
Inventor
바이하키 빈 삽뚜
아부 스피안 빈 아맛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16012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7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7Axially engaged
    • A01K89/059Axially engaged on adjustable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변형하는 일 없이 회전축으로부터의 토크(torque)를 받을 수 있는 드래그 와셔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1 드래그 와셔(61)는,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취부(取付)된다. 이 제1 드래그 와셔(61)는, 와셔 본체(61a)와 제1 절기부(切起部)(61b)를 구비하고 있다. 와셔 본체(61a)는, 중앙부에 관통공(61d)을 가진다. 관통공(61d)은, 제1 평탄면(61e)을 가지는 내벽면(內壁面)에 의하여 획정(劃定)되어 있다. 제1 절기부(61b)는, 제1 평탄면(61e)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와셔{WASHER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와셔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 및 스피닝 릴은, 일반적으로,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축에 취부(取付)된 와셔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은, 핸들축(회전축의 일례)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와셔를 가지고 있다. 이 와셔의 관통공에 핸들축이 감합(嵌合)하는 것에 의하여, 와셔는 핸들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와셔의 관통공을 획정(劃定)하는 내벽면(內壁面)이, 핸들축의 계합면(係合面)과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와셔와 핸들축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3934호
상기 와셔는, 관통공을 획정하는 내벽면을 통하여, 핸들축으로부터의 토크(torque)가 전달된다. 여기에서, 부품의 경량화 및 프레스 가공에 의한 부품의 정도(精度)를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와셔의 두께는 얇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와셔의 두께를 얇게 하면, 핸들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토크에 의하여 와셔의 내벽면이 변형하여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변형하는 일 없이 회전축으로부터의 토크를 받을 수 있는 와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측면에 관련되는 와셔는,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취부되는 낚시용 릴의 와셔이다. 와셔는, 와셔 본체와, 제1 절기부(切起部)를 구비하고 있다. 와셔 본체는, 관통공을 중앙부에 가진다. 관통공은, 제1 평탄면을 가지는 내벽면에 의하여 획정되어 있다. 제1 절기부는, 제1 평탄면을 가진다.
상기 와셔를 회전축에 취부하였을 때, 제1 절기부가 회전축과 당접(當接)한다. 이 때문에, 제1 절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와셔에 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와셔의 쪽이, 회전축과 접촉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 결과, 와셔를 얇게 한 경우이고, 회전축으로부터의 토크를 충분히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절기부는, 관통공이 개구(開口)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셔는 제2 절기부를 더 구비한다. 내벽면은, 제2 평탄면을 가진다. 제2 절기부는, 제2 평탄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절기부와 제2 절기부에 의하여, 회전축으로부터의 토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와셔를 보다 얇게 하여도 변형하는 일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절기부는, 제1 절기부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평탄면은, 제1 평탄면과 평행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와셔 본체는, 원뿔대 형상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와셔에 의하면, 변형하는 일 없이 회전축으로부터의 토크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드래그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드래그 와셔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
도 6은 드래그 와셔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와셔를 이용한 양 베어링 릴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2), 스풀(3), 핸들(4), 회전 전달 기구(5), 및 드래그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는,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를 가지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릴 본체부(21)는 스풀(3)의 제1 단부(端部) 측에 배치되고, 제2 릴 본체부(22)는 스풀(3)의 제2 단부 측에 배치된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서로 연결부(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풀(3)은,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3)의 외주면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3)은, 스풀축(30)에 고정되고, 스풀축(3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덧붙여, 스풀축(30)은,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와의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30)은, 베어링 부재 등을 통하여, 제1 및 제2 릴 본체부(21, 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4)은, 제1 릴 본체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핸들(4)은, 제1 릴 본체부(21)로부터 돌출한 구동축(51)의 제3 회전 멈춤부(51c)(도 3 참조)에 취부되어 있다. 핸들(4)의 회전은, 회전 전달 기구(5)를 통하여 스풀(3)에 전달된다.
회전 전달 기구(5)는, 핸들(4)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하는 기구이다. 회전 전달 기구(5)는, 제1 릴 본체부(21)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 전달 기구(5)는, 구동축(51), 구동 기어(52), 및 피니언 기어(53)를 가진다.
구동축(51)은, 핸들(4)과 연결되어 있고, 핸들(4)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덧붙여, 구동축(51)은, 원웨이 클러치(54)에 의하여,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금지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51)은, 제1 ~ 제3 회전 멈춤부(51a ~ 51c)를 가지고 있다. 각 회전 멈춤부(51a ~ 51c)는,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탄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52)는, 구동축(51)에 장착되고, 구동축(51)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53)는, 구동 기어(52)에 맞물린다. 덧붙여, 피니언 기어(53)는 통상(筒狀)이다. 피니언 기어(53)는, 클러치 기구(55)를 통하여 스풀축(30)과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55)가 온(on) 상태일 때, 피니언 기어(53)와 스풀축(30)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클러치 기구(55)가 오프(off) 상태일 때는 피니언 기어(53)와 스풀축(30)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클러치 기구(55)는, 스풀축(30)을 경(徑)방향으로 관통하는 계합 핀과, 피니언 기어(53)에 형성된 계합 오목부에 의하여 구성된다. 피니언 기어(53)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55)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전환한다.
드래그 기구(6)는, 스풀(3)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기구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 기구(6)는, 복수의 드래그 와셔(61 ~ 64), 및 복수의 라이닝(lining)재(65 ~ 67)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와셔(61 ~ 64)와 라이닝재(65 ~ 67)는,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드래그 와셔(61 ~ 64)의 사이에 라이닝재(65 ~ 67)가 배치되어 있다.
각 드래그 와셔(61 ~ 64)는, 구동축(51)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 기어(52)를 향하여, 제1 드래그 와셔(61), 제2 드래그 와셔(62), 제3 드래그 와셔(63), 제4 드래그 와셔(64)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3 드래그 와셔(61, 63)는, 구동축(51)에 계합하고, 구동축(51)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제2 및 제4 드래그 와셔(62, 64)는, 구동 기어(52)에 계합하고, 구동 기어(5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각 드래그 와셔(61 ~ 64), 및 각 라이닝재(65 ~ 67)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압압 기구(8)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6)는 구동 기어(52)를 향하여 압압되어 있다. 이 압압력에 의하여, 각 드래그 와셔(61 ~ 64)가 라이닝재(65 ~ 67)를 통하여 서로 마찰 계합하고 있다. 이 결과, 구동축(51)으로부터의 토크가 드래그 기구(6)를 통하여 구동 기어(52)에 전달된다.
제1 드래그 와셔(61)(본 발명의 와셔의 일례)는, 구동축(51)(본 발명의 회전축의 일례)과 계합하여, 구동축(51)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상세하게는, 제1 드래그 와셔(61)는, 구동축(51)의 제1 회전 멈춤부(51a)와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축(51)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1 드래그 와셔(61)는, 구동 기어(5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드래그 와셔(61)는, 와셔 본체(61a)와, 제1 절기부(61b), 제2 절기부(61c)를 가지고 있다. 와셔 본체(61a)는, 원판(圓板) 형상이고, 중앙부에 관통공(61d)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61d)을 획정하는 내벽면은, 제1 평탄면(61e) 및 제2 평탄면(61f)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61d)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비원형상(非圓形狀)이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공(61d)은, 대략 십자형상(十字形狀)이다. 또한, 와셔 본체(61a)는, 원뿔대 형상이다.
제1 및 제2 절기부(61b, 61c)는, 와셔 본체(61a)의 내연부(內緣部)의 일부를 절기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절기부(61b, 61c)는, 관통공(61d)이 개구하는 방향(도 5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절기부(61b, 61c)는, 와셔 본체(61a)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절기부(61b, 61c)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절기부(61b)는, 제1 평탄면(61e)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절기부(61c)는, 제2 평탄면(61f)을 가지고 있다.
제1 절기부(61b)와 제2 절기부(61c)는,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절기부(61b)의 제1 평탄면(61e)과, 제2 절기부(61c)의 제2 평탄면(61f)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평탄면(61e)과 제2 평탄면(61f)은,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평탄면(61e) 및 제2 평탄면(61f)이, 구동축(51)의 제1 회전 멈춤부(51a)와 계합한다. 제1 평탄면(61e) 및 제2 평탄면(61f)의 높이 h는, 와셔 본체(61a)의 두께보다도 크다. 덧붙여, 제1 평탄면(61e) 및 제2 평탄면(61f)의 높이 h란, 관통공(61d)이 개구하는 방향의 치수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셔 본체(61a)의 저면으로부터의 높이 h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드래그 와셔(61)와 제1 회전 멈춤부(51a)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드래그 와셔(61)는, 원웨이 클러치(54)의 내륜(54a)과 일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드래그 와셔(61)의 관통공(61d)은, 한 쌍의 계합 오목부(61g)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계합 오목부(61g)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각 계합 오목부(61g)에, 원웨이 클러치(54)의 내륜(54a)의 계합 볼록부(54b)가 계합한다. 이 결과, 제1 드래그 와셔(61)는, 원웨이 클러치(54)의 내륜(54a)과 일체 회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드래그 와셔(63)는, 구동축(51)과 계합하여, 구동축(51)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상세하게는, 제3 드래그 와셔(63)는, 구동축(51)의 제2 회전 멈춤부(51b)와 계합하여, 구동축(51)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3 드래그 와셔(63)는, 구동 기어(5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제2 및 제4 드래그 와셔(62, 64)는, 구동 기어(5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2 및 제4 드래그 와셔(62, 64)는, 구동축(5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상세하게는, 제2 드래그 와셔(62)는, 한 쌍의 계합 볼록부(62a)를 외주연부(外周緣部)에 가지고 있다. 각 계합 볼록부(62a)는, 구동 기어(52)의 계합 오목부(52a)와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드래그 와셔(62)는, 구동 기어(5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제4 드래그 와셔(64)는, 한 쌍의 계합 볼록부(64a)를 외주연부에 가지고 있다. 제4 드래그 와셔(64)의 각 계합 볼록부(64a)도, 구동 기어(52)의 계합 오목부(52a)와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4 드래그 와셔(64)는, 구동 기어(5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스타 드래그(7)는, 드래그 기구(6)의 드래그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타 드래그(7)는, 압압 기구(8)를 통하여, 드래그 기구(6)의 드래그력을 조절한다. 덧붙여, 압압 기구(8)는, 구체적으로는, 원웨이 클러치(54)의 내륜(54a), 베어링 부재(81), 접시 용수철(82), 및 코일 스프링(83) 등을 가지고 있다. 스타 드래그(7)는, 구동축(51)의 수나사부(51d)와 나합(螺合)하고 있다. 스타 드래그(7)를 회전시키면, 스타 드래그(7)는, 축 방향에 있어서 이동한다. 이 스타 드래그(7)의 이동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6)에 대한 압압 기구(8)의 압압력이 변화하고, 이 결과, 드래그 기구(6)의 드래그력이 조절된다.
상기 실시예에 관련되는 제1 드래그 와셔(61)에 의하면, 제1 절기부(61b)가 구동축(51)과 당접한다. 이 때문에, 관통공(61d)의 내벽면이 구동축(51)과 당접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동축(51)과 접촉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 결과, 제1 드래그 와셔(61)를 얇게 한 경우이고, 변형하는 일 없이 구동축(51)으로부터의 토크를 충분히 받을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변형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드래그 와셔(61)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제3 드래그 와셔(63)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3 드래그 와셔(63)의 와셔 본체의 내연부를 절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절기부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변형예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양 베어링 릴(100)의 제1 드래그 와셔(61)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스피닝 릴의 드래그 와셔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61: 제1 드래그 와셔
61a: 와셔 본체
61b: 제1 절기부
61c: 제2 절기부
61d: 관통공
61e: 제1 평탄면
61f: 제2 평탄면

Claims (6)

  1.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취부(取付)되는 낚시용 릴의 와셔이고,
    제1 평탄면을 가지는 내벽면(內壁面)에 의하여 획정(劃定)되는 관통공을 중앙부에 가지는 와셔 본체와,
    상기 제1 평탄면을 가지는 제1 절기부(切起部)
    를 구비하는, 와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기부는, 상기 관통공이 개구(開口)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절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벽면은, 제2 평탄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절기부는, 상기 제2 평탄면을 가지는,
    와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기부는, 상기 제1 절기부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셔.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탄면은, 상기 제1 평탄면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와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본체는, 원뿔대 형상인,
    와셔.
KR1020160036820A 2015-04-09 2016-03-28 낚시용 릴의 와셔 Active KR102573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9950 2015-04-09
JP2015079950A JP6542567B2 (ja) 2015-04-09 2015-04-09 釣り用リールのワッシャ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403A true KR20160121403A (ko) 2016-10-19
KR102573716B1 KR102573716B1 (ko) 2023-09-04

Family

ID=5711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820A Active KR102573716B1 (ko) 2015-04-09 2016-03-28 낚시용 릴의 와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45519B2 (ko)
JP (1) JP6542567B2 (ko)
KR (1) KR102573716B1 (ko)
CN (1) CN106050885B (ko)
TW (1) TWI6679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1467A1 (en) * 2021-05-12 2022-11-17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8015B2 (en) 2020-01-22 2022-03-22 DQC International Corp. Fishing reel drag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2032A (ja) * 1982-11-02 1984-05-11 大丸興業株式会社 釣り用リ−ルのドラグ機構
JP3005412U (ja) * 1994-06-20 1994-12-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JP2002238421A (ja) * 2001-02-16 2002-08-2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ライニング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23934A (ja) 2001-07-19 2003-01-28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リール
KR100466532B1 (ko) * 2003-01-16 2005-01-15 주식회사 바낙스 플라이 릴
KR20120010564A (ko) * 2010-07-26 2012-02-0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사운드 발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1474A (en) * 1935-02-04 1937-02-23 Bronson Reel Company Fishing reel
US3892031A (en) * 1972-04-05 1975-07-01 Southco Method of capturing screw fastener
JPS56101214U (ko) * 1979-07-02 1981-08-08
US4402469A (en) * 1981-07-31 1983-09-06 Brunswick Corporation Self-aligning drag drive for fishing reels
JPH0569411U (ja) * 1992-02-27 1993-09-21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ロックナットの緩み止めワッシャ
JP3672330B2 (ja) * 1993-04-05 2005-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振構造体
US5915902A (en) * 1997-09-19 1999-06-29 Illinois Tool Works Inc. Undeformed lock nut with slot
US6669419B1 (en) * 2002-01-25 2003-12-30 Radio Systems Corporation Probe locking washer
US7326017B2 (en) * 2004-03-17 2008-02-05 Metallwarenfabrik Hermann Winker Gmbh & Co.Kg Fastening element, washer and fastening means therefrom
US8092129B2 (en) * 2006-04-21 2012-01-10 Hubbell Incorporated Bonding washer
US8534583B2 (en) * 2006-08-04 2013-09-17 Accurate Fishing Products Dra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US7654483B1 (en) * 2007-04-12 2010-02-02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 Disengagable adjustable drag system for a fishing reel
US7552886B2 (en) * 2007-07-10 2009-06-30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Double drag, pre-set adjust and unitary end assembly for trolling reel
ES2293860B1 (es) * 2007-10-01 2009-02-01 Hierros Y Aplanaciones, S.A. (Hiasa) Sistema de anclaje fusible directo para poste de soporte de una barrera de seguridad o pretil en un terreno rigido.
JP4717055B2 (ja) * 2007-12-18 2011-07-06 神鋼ボルト株式会社 座金
JP5198083B2 (ja) * 2008-02-05 2013-05-15 ミネベアモータ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JP4903181B2 (ja) * 2008-06-20 2012-03-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292152B2 (ja) * 2009-03-26 2013-09-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アーム取付構造
TWM391262U (en) * 2010-05-24 2010-10-2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and interference member of the same
JP5536594B2 (ja) * 2010-09-02 2014-07-0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20120206852A1 (en) * 2011-02-10 2012-08-16 Honda Motor Co., Ltd. Notched washer to improve surface area for grounding of conductive plastics
US9133869B2 (en) * 2011-08-01 2015-09-15 Elringklinger Ag Shielding device with a shielding element and at least one temperature and oscillation-decoupled fastening device
KR101380666B1 (ko) * 2012-02-22 2014-04-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드래그파워 정밀 조절이 가능한 낚시릴
US9689411B2 (en) * 2012-07-05 2017-06-27 Ironridge, Inc. Assembly for clamping and grounding objects
US8888431B2 (en) * 2013-03-15 2014-11-18 Hubbell Incorporated Adjustable bonding wash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2032A (ja) * 1982-11-02 1984-05-11 大丸興業株式会社 釣り用リ−ルのドラグ機構
JP3005412U (ja) * 1994-06-20 1994-12-2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JP2002238421A (ja) * 2001-02-16 2002-08-2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ライニング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23934A (ja) 2001-07-19 2003-01-28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リール
KR100466532B1 (ko) * 2003-01-16 2005-01-15 주식회사 바낙스 플라이 릴
KR20120010564A (ko) * 2010-07-26 2012-02-0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사운드 발생 장치
JP2012024037A (ja) * 2010-07-26 2012-02-0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1467A1 (en) * 2021-05-12 2022-11-17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US11659825B2 (en) * 2021-05-12 2023-05-30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95845A1 (en) 2016-10-13
JP2016198032A (ja) 2016-12-01
KR102573716B1 (ko) 2023-09-04
US10045519B2 (en) 2018-08-14
JP6542567B2 (ja) 2019-07-10
CN106050885B (zh) 2021-12-17
TW201700009A (zh) 2017-01-01
TWI667957B (zh) 2019-08-11
CN106050885A (zh)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2171B (zh) 滚柱式离合器
KR102442021B1 (ko) 양 베어링 릴
EP2245926B1 (en) Spool for dual-bearing reel
TWI638604B (zh) 雙軸承捲線器及雙軸承捲線器的離合機構
EP3033941B1 (en) Dual-bearing reel
US10219501B2 (en) Dual-bearing reel
EP2711590B1 (en) Drive gear
KR20160121403A (ko) 낚시용 릴의 와셔
KR102703966B1 (ko) 양 베어링 릴
KR20190039848A (ko) 회전 전달 기구, 및 그것을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 릴
KR102562262B1 (ko) 양 베어링 릴
KR102615173B1 (ko)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KR102505157B1 (ko) 듀얼 베어링 릴
JP2013226055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両軸受リール
JP5204631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6198032A5 (ko)
JP6235445B2 (ja) 魚釣用リール
KR20190011661A (ko) 낚시용 릴의 롤러 클러치
US11241000B2 (en) Dual-bearing reel
JP687115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30055348A (ko) 양 베어링 릴
EP1977132B1 (en) Support piece for brak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