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21294A - 복주머니 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 - Google Patents

복주머니 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294A
KR20160121294A KR1020150051115A KR20150051115A KR20160121294A KR 20160121294 A KR20160121294 A KR 20160121294A KR 1020150051115 A KR1020150051115 A KR 1020150051115A KR 20150051115 A KR20150051115 A KR 20150051115A KR 20160121294 A KR20160121294 A KR 20160121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bap
rice
roasted
prepared
la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한선
Original Assignee
오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한선 filed Critical 오한선
Priority to KR102015005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294A/ko
Publication of KR2016012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29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김밥속 재료를 양념 및 밥과 혼합하여 김밥속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a)에서 제조된 김밥속을 마른 김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마른 김의 가장자리를 김밥속이 포함되도록 일측면으로 모아 묶음 수단으로 결속시켜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은 다양한 재료를 포함하여 영양분이 풍부하며, 김에 의해 김밥속이 감싸져 김밥속의 쏟아짐이 방지되며, 김밥속의 공기 노출을 방지하여 수분 증발을 방지할 수 있어 김밥속의 건조됨 없이 장시간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섭취를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어 간편하다.
또한, 디자인면에서도 눈에 띄는 미감을 가져 다양한 맛을 즐기기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와 미적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주머니 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Method for preparing Bokjumeoni shaped Gimbap and Bokjumeoni shaped Gimbap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밥은 김에 밥과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싼 음식을 가리키며, 밥과 함께 다양한 반찬을 매우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김과 다양한 속재료에 의해 독특한 맛을 형성하는 간편 식품으로 야외 소풍이나 나들이시에 주요한 식사거리로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오전 출근시간 또는 바쁜 직장인들의 식사 대용으로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김밥은 말이용 김을 펴고, 그 내면에 속밥을 일정 두께로 편 뒤 야채, 단무지 등의 다양한 속재료를 넣고 원통형으로 말아서 일정 두께로 절단한 형태로 제조되어 왔다. 따라서, 김밥은 먹기에 편리하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햄버거, 샌드위치 또는 피자 등의 각종 외래 음식들이 유입되어 우리나라 전체의 식생활 문화가 바뀌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취향이나 입맛이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취향이나 입맛에 맞고 영양의 공급도 충분하여 외래 음식에 대항할 수 있는 간편식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김밥을 제조하여 이를 상업화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도록 재료를 삼각형으로 만들어 김으로 싸고 삼각형의 양끝 모서리를 잡아당기면 절취선 부분이 뜯어지게 되는 형태로 제조된 삼각 김밥, 한입에 들어갈 정도로 크기를 작게 만든 꼬마김밥, 맨밥에 김을 싸고 반찬은 별도로 내는 충무김밥 밥을 제외한 재료를 먼저 김으로 싸고 밥이 겉으로 나오게 만든 누드김밥 등의 형태로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통적인 김밥의 경우, 일정 두께로 절단할 때, 김밥속에 포함된 밥의 끈적임으로 인해 김밥이 터지는 경우가 쉽게 발생하여 취식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상기 삼각 김밥의 경우, 포장의 제거시 잘못 뜯을 경우엔 속안의 김이 찢어지거나, 섭취시 김이 찢어져 삼각 김밥의 김밥속이 쉽게 쏟아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꼬마김밥의 경우, 김밥속에 첨가되는 재료의 종류가 한정적이고, 밥이 과량 첨가되어 영양이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상기 충무김밥의 경우, 밥이 과량 첨가되어 탄수화물을 과량 섭취하게 되고, 별도로 제공되는 반찬을 취식하기 위해 젓가락 또는 포크 등의 도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누드김밥의 경우, 일정 두께로 절단할 때, 김밥속에 포함된 밥의 끈적임으로 인해 김밥이 터지는 경우가 쉽게 발생하여 취식이 용이하지 못하고, 밥이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건조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재료를 포함하여 영양분이 풍부한 김밥속을 포함하고, 김밥속의 쏟아짐을 방지하고, 별도의 섭취를 위한 도구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김밥속의 건조됨 없이 장시간 보관이 용이한 새로운 디자인과 미감을 가지는 형태의 김밥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22520호 (공개일 : 2007.02.27)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94161호 (공개일 : 2005.09.27)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7792호 (공개일 : 2012.04.20)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02828호 (공개일 : 2005.10.27)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해 연구하던 중, 복주머니를 모티브(motif)로 하여, 마른 김의 가장자리를 김밥속의 일측면으로 모아 묶음 수단으로 결속시켜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제조하면, 김에 의해 김밥속이 감싸져 김밥속의 쏟아짐이 방지되며, 김밥속의 공기 노출을 방지하여 수분 증발을 방지할 수 있어 김밥속의 건조됨 없이 장시간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섭취를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어 간편한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제조할 수 있다고 착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a) 김밥속 재료를 양념 및 밥과 혼합하여 김밥속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a)에서 제조된 김밥속을 마른 김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마른 김의 가장자리를 김밥속이 포함되도록 일측면으로 모아 묶음 수단으로 결속시켜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a)의 김밥속 재료는 콩나물, 버섯, 오이, 당근, 우엉, 햄, 맛살, 어묵, 단무지, 꽁치, 참치, 달걀 지단,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또는 오리고기를 세절하거나, 볶은 후 세절하거나, 세절하여 볶아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세절은 가로, 세로 및 높이가 독립적으로 1 내지 10 mm가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b)의 묶음 수단은 시금치, 미나리, 쑥갓, 파 또는 부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방법은, 김밥속을 마른 김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마른 김의 가장자리를 김밥속이 포함되도록 일측면으로 모아 묶음 수단으로 결속시켜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제조할 수 있으며, 마른 김의 가장자리를 일측면으로 모아 오므릴 수 있는 주머니 형태의 성형기을 이용해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반복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은 다양한 재료를 포함하여 영양분이 풍부하며, 김에 의해 김밥속이 감싸져 김밥속의 쏟아짐이 방지되며, 김밥속의 공기 노출을 방지하여 수분 증발을 방지할 수 있어 김밥속의 건조됨 없이 장시간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섭취를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어 간편하다.
또한, 디자인면에서도 눈에 띄는 미감을 가져 다양한 맛을 즐기기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와 미적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주머니 김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주머니 김밥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주머니 김밥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주머니 김밥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주머니 김밥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주머니 김밥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원 실시예에 따른 복주머니 김밥의 실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a) 김밥속 재료를 양념 및 밥과 혼합하여 김밥속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a)에서 제조된 김밥속을 마른 김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마른 김의 가장자리를 김밥속이 포함되도록 일측면으로 모아 묶음 수단으로 결속시켜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a)는 김밥속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김밥속 재료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맛을 연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콩나물, 버섯, 오이, 당근, 우엉 등의 야채류, 햄, 맛살, 어묵 또는 단무지 등의 가공식품류, 꽁치 또는 참치 등의 생선류, 달걀 지단,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또는 오리고기 등의 육류/난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료들은 세절하거나, 볶은 후 세절하거나, 세절하여 볶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콩나물은 머리를 제거하여 삶아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콩나물 머리를 제거하고, 소금을 첨가하여 1 내지 10분 동안 삶은 후, 냉수로 세척하여, 아삭한 식감을 유지하도록 조리할 수 있다.
상기 버섯, 오이, 당근 또는 우엉 등의 야채류는 별도의 조리 과정 없이 그대를 세절하여 사용하거나, 볶은 후 세절하거나, 세절하여 볶아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햄, 맛살, 어묵, 단무지 등은 원상태 그대로인 것을 세절하여 사용하거나, 볶은 후 세절하거나, 세절하여 볶아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꽁치 또는 참치 등의 생선류는 볶은 후 세절하거나, 세절하여 볶아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가공식품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달걀 지단은 통상의 기술자가 사용하는 달걀 지단 제조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되는 달걀 지단은 1 내지 10 mm의 두께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달걀 지단을 원상태 그대로 세절하여 사용하거나, 볶은 후 세절하거나, 세절하여 볶아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또는 오리고기 등의 육류는 별도의 조리 과정 없이 원상태 그대로인 것을 사용하거나, 소금, 참기름, 간장, 고추장 또는 다진 마늘 등으로 양념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육류는 볶은 후 세절하거나, 세절하여 볶아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재료를 볶을 때에는 각종 야채의 특성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볶을 수 있으며, 김밥속 재료가 볶아지는 과정 중에 물러지지 않고, 적절한 씹는 감을 유지하도록 볶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료를 볶기 위해서 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식용유, 카놀라유 등의 오일을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김밥속 재료는 간 배임, 조리의 용이성, 씹는 질감 및 소화의 원활성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가로, 세로 및 높이가 독립적으로 1 내지 10 mm로 세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여 세절할 수 있다.
상기 볶아진 김밥속 재료는 양념 및 밥과 혼합하여 김밥속을 제조할 수 있다. 양념은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참깨, 소금, 참기름, 간장 또는 고추장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설탕, 조미료 등의 첨가물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김밥속 재료와 밥의 혼합물을 추가로 볶아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b)에서는 상기 제조된 김밥속을 이용하여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조된 김밥속을 마른 김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마른 김의 가장자리를 김밥속이 포함되도록 일측면으로 모아 묶음 수단으로 결속시켜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마른 김은 가장자리를 일측면으로 모아 묶을 수 있는 형태의 모양이면 특정 모양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모형, 삼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절단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묶음 수단은 시금치, 미나리, 쑥갓, 파 또는 부추 등의 야채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묶음 수단은 끓는 물에서 1 내지 10분간 데쳐진 것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 또는 부추 등의 경우에는 데쳐지지 않은 것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방법은, 마른 김의 가장자리를 김밥속이 포함되도록 오므릴 수 있는 주머니 형태의 성형기를 이용해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반복 제조함으로써 상업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상기에 기재된 복주머니 김밥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을 제공한다. 상기 복주머니 김밥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자인면에서 눈에 띄는 미감을 가져 소비자의 욕구와 미적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복주머니 김밥은 다양한 김밥속 재료를 포함하여 영양분이 풍부하고, 김에 의해 김밥속이 감싸져 섭취시 김밥속의 쏟아짐이 방지되며, 섭취를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 없어 간편하다.
또한, 상기 복주머니 김밥은 김에 의해 김밥속이 감싸져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감소되어 복주머니 김밥 내부의 습도 및 산소의 변동 범위가 감소하여 품질변화가 적고, 김밥속이 건조됨 없이 장시간 보관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 1
(1) 김밥속의 제조
쌀은 깨끗이 씻은 상태에서 30분 정도 불리고, 압력솥을 이용해 밥을 지은 후, 상온에서 식혀 김밥용으로 적합한 고슬고슬한 밥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밥에 소금 및 참깨를 첨가하여 간을 조절하였다.
그리고, 달걀의 노른자와 흰자가 잘 섞이도록 교반하고 후라이팬에서 부쳐 달걀 지단을 제조하였다.
또한, 콩나물 머리를 제거하고, 깨끗하게 손질하여 냄비에 넣고, 소금을 첨가하여 삶은 후 체에 받쳐서 찬물로 3회 세척하여, 머리가 제거된 삶은 콩나물을 제조하였고, 버섯, 오이, 당근 및 우엉을 깨끗하게 손질한 후 찬물로 수회 세척하였다.
상기 제조된 달걀 지단 및 콩나물과 버섯, 오이, 당근, 우엉, 햄 및 맛살을 2 내지 4 mm 크기로 세절하고, 단무지는 5 내지 7 mm의 크기로 세절하였다. 세절된 각종 김밥속 재료에 소금을 첨가하면서 가열하여 10분간 볶아주었다.
볶아진 김밥속 재료 및 간이 조절된 밥을 골고루 섞어서 10분간 다시 볶아주고 참기름을 추가로 첨가해 골고루 혼합하여 김밥속을 제조하였다.
(2) 김 준비
마른 김을 반으로 절단하고, 반으로 절단된 김을 삼분의 이로 절단하여 복주머니 김밥용 김 조각을 제조하였다.
(3) 묶음 수단 준비
부추를 깨끗하게 손질하여 세척한 후 소금을 약간 넣은 끓는 물에 데쳐 준비하였다.
(4)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
상기 제조된 김 조각 위에 상기 김밥속을 올리고, 김 조각의 네 모서리를 서로 포개서 김밥속을 감싼 상태로 오므려 성형하고, 마른 김의 네 모서리를 포개진 상태에서 데친 부추로 결속한 후, 결속된 복주머니 김밥의 위에 나온 김을 예쁘게 정리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입 크기의 복주머니 김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 2
(1) 김밥속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간이 조절된 밥, 달걀 지단, 버섯, 오이, 당근 및 우엉을 준비하였다.
간장, 고추장, 후추, 설탕, 양파 및 마늘로 양념된 돼지고기를 완전히 익을 때 까지 볶아주고, 볶아진 양념 돼지고기를 2 내지 4 mm 크기로 세절하였다.
상기 세절된 야채를 참기름을 첨가해 10분간 볶아주고, 재료가 거의 익을때쯤 볶아진 양념 돼지고기 및 간이 조절된 밥을 골고루 섞어서 10분간 다시 볶아주고 참기름을 추가로 첨가해 골고루 혼합하여 김밥속을 제조하였다.
(2) 김 준비
마른 김을 둥근 원 형태로 절단하여 복주머니 김밥용 김 조각을 제조하였다.
(3) 묶음 수단 준비
대파를 깨끗하게 손질하여 찬물로 3회 세척하고 5 mm 너비 및 7 cm 길이로 제조하였다.
(4)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
상기 제조된 김 조각 위에 상기 김밥속을 올리고, 김 조각의 가장자리를 서로 포개서 김밥속을 감싼 상태로 오므려 성형하고, 마른 김의 가장자리가 포개진 상태에서 대파 절편으로 결속한 후, 결속된 복주머니 김밥의 위에 나온 김을 예쁘게 정리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입 크기의 복주머니 김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 3
(1) 김밥속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간이 조절된 밥, 달걀 지단, 버섯, 오이, 당근 및 우엉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버섯, 오이, 당근 및 우엉을 참기름을 첨가해 10분간 볶아주고, 재료가 거의 익을때쯤 5 mm 크기로 세절된 훈제 닭가슴살 및 간이 조절된 밥을 골고루 섞어서 10분간 다시 볶아주고 참기름을 추가로 첨가해 골고루 혼합하여 김밥속을 제조하였다.
(2) 김 준비
마른 김을 삼각형의 형태로 절단하여 복주머니 김밥용 김 조각을 제조하였다.
(3) 묶음 수단 준비
미나리를 깨끗하게 손질하여 세척한 후 소금을 약간 넣은 끓는 물에 데쳐 준비하였다.
(4)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
상기 제조된 김 조각 위에 상기 김밥속을 올리고, 김 조각의 가장자리를 서로 포개서 김밥속을 감싼 상태로 오므려 성형하고, 마른 김의 가장자리가 포개진 상태에서 데친 미나리 절편으로 결속한 후, 결속된 복주머니 김밥의 위에 나온 김을 예쁘게 정리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입 크기의 복주머니 김밥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의 수분함량 변화 분석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주머니 김밥과 종래 김밥 2종(전통 김밥 및 삼각 김밥)을 10 ℃의 항온기에서 72시간 동안 저장하면서 주기적으로 시료를 취하여 105 ℃에서 상압건조법으로 수분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최초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주머니 김밥의 수분 함량은 각각 61.0, 64.0 및 66.0%로 나타났으며, 저장 72시간 시점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주머니 김밥의 수분 함량은 각각 56.0, 58.0 및 57.0%로 나타나 수분함량의 차이가 크지 않아 별도의 포장재 없이도 건조됨이 없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최초 전통 김밥의 수분 함량은 전통 김밥의 경우 68.0%, 삼각 깁밥의 경우 63.0%로 나타났으며, 저장 72시간 시점의 전통 김밥의 경우 수분 함량은 49.0%로 나타났고, 삼각 깁밥의 경우 53.0%로 나타나, 종래 김밥 2종은 수분함량이 확연히 감소하여 보관이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 김밥의 경우 김밥속이 노출된 양쪽 끝 부분은 확연히 건조된 상태인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관이 더욱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의 관능변화 분석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주머니 김밥 및 종래 김밥 2종(전통 김밥 및 삼각 김밥)을 10 ℃ 항온기에서 72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저장 전과 후의 품질변화에 의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관능검사에 의한 품질평가는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종합적 기호도를 10점 평점법(저작감 3점, 신선감도 3점, 향미 2점, 섭취용이성 2점)으로 실시하였고,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 직전의 초기 김밥을 10점으로 하여 관능검사를 하였을 때,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복주머니 김밥은 저장 48시간까지 7점을 유지하고 저장 72시간 시점까지 5점을 유지하였고, 실시예 3의 복주머니 김밥은 저장 48시간까지 6점을 유지하고 저장 72시간 시점까지 4점을 유지하였다. 반면에, 전통 김밥은 저장 48시간 시점까지는 종합적 기호도 5점, 삼각 김밥은 저장 48시간까지는 종합적 기호도 6점을 유지하였으나, 저장 72시간 시점에서는 각각 1점 및 3점을 나타내어 기호도가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주머니 김밥이 시판되는 종래 김밥 2종 보다 장기간 보존하였을 때도 기호도(저작감, 신선감도, 향미 및 섭취용이성) 측면에서 변화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의 미생물 개체수 변화 분석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주머니 김밥 및 종래 김밥 2종(전통 김밥 및 삼각 김밥)을 10 ℃ 항온기에서 72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각각의 김밥 시료 1g에 포함된 미생물의 개체수(colony forming unit, CFU)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미생물의 개체수 측정은 플레이트 카운트 한천배지(plate count agar)를 사용하여 표준평판법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 직전의 초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주머니 김밥은 미생물 개체수가 각각 2.03, 2.04 및 2.53 logCFU/g인 것으로 나타났고, 전통 김밥은 4.18 logCFU/g, 삼각 김밥은 3.04 logCFU/g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장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모든 김밥에서 미생물 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초기 미생물 개체수가 높았던 전통 김밥 및 삼각 김밥의 경우 계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여, 저장 72시간 시점에서는 각각 6.98 및 4.94 logCFU/g을 나타냈다.
반면에, 저장 72시간 시점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주머니 김밥은 삼각 김밥에 비해 미생물 개체수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복주머니 김밥은 저장 72시간 시점까지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기준으로 제시되는 미생물 개체수 5 logCFU/g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복주머니 김밥이 시판되는 삼각 김밥 및 전통적인 김밥 보다 장기간 보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장 시간에 초기 미생물 개체수가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밥을 가열하여 볶아 주는 과정에 의해 살균되어 초기 미생물 개체수가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나 저장 72시간 시점까지 미생물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Claims (5)

  1. (a) 김밥속 재료를 양념 및 밥과 혼합하여 김밥속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a)에서 제조된 김밥속을 마른 김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마른 김의 가장자리를 김밥속이 포함되도록 일측면으로 모아 묶음 수단으로 결속시켜 복주머니 형상의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김밥속 재료가 콩나물, 버섯, 오이, 당근, 우엉, 햄, 맛살, 어묵, 단무지, 꽁치, 참치, 달걀 지단,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및 오리고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세절하거나, 볶은 후 세절하거나, 세절하여 볶아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세절이 상기 김밥속 재료의 가로, 세로 및 높이가 독립적으로 1 내지 10 mm가 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묶음 수단이 시금치, 미나리, 쑥갓, 파 및 부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주머니 김밥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
KR1020150051115A 2015-04-10 2015-04-10 복주머니 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 Ceased KR20160121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15A KR20160121294A (ko) 2015-04-10 2015-04-10 복주머니 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15A KR20160121294A (ko) 2015-04-10 2015-04-10 복주머니 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294A true KR20160121294A (ko) 2016-10-19

Family

ID=5725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115A Ceased KR20160121294A (ko) 2015-04-10 2015-04-10 복주머니 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2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7650A (zh) * 2018-05-24 2018-12-18 山东惠发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鱼籽福袋及其制作方法
KR20190039451A (ko) 2018-06-20 2019-04-12 권도형 김밥 제조용 성형틀 및 그 성형틀을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KR20190106899A (ko) 2019-08-29 2019-09-18 권도형 김밥 제조용 성형틀 및 그 성형틀을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161A (ko) 2004-03-22 2005-09-27 채용호 휴대가 간편한 꽃다발형 손말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2828A (ko) 2004-04-23 2005-10-27 최재영 버거형 김밥
KR20070022520A (ko) 2005-08-22 2007-02-27 박춘복 구상 김밥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7792A (ko) 2010-10-12 2012-04-20 이경옥 김밥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김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161A (ko) 2004-03-22 2005-09-27 채용호 휴대가 간편한 꽃다발형 손말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2828A (ko) 2004-04-23 2005-10-27 최재영 버거형 김밥
KR20070022520A (ko) 2005-08-22 2007-02-27 박춘복 구상 김밥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7792A (ko) 2010-10-12 2012-04-20 이경옥 김밥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김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7650A (zh) * 2018-05-24 2018-12-18 山东惠发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鱼籽福袋及其制作方法
KR20190039451A (ko) 2018-06-20 2019-04-12 권도형 김밥 제조용 성형틀 및 그 성형틀을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KR20190106899A (ko) 2019-08-29 2019-09-18 권도형 김밥 제조용 성형틀 및 그 성형틀을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9937A (ko) 김콘컵과 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김콘컵밥
Waters The Art of Simple Food: Notes, Lessons, and Recipes from a Delicious Revolution: A Cookbook
KR20160121294A (ko) 복주머니 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주머니 김밥
KR101708227B1 (ko) 닭 정육을 이용한 햄버거 패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햄버거
Middione The Food of Southern Italy
Grigson Charcuterie and French Pork Cookery
RU236050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котлеты домашние с соусом сметанным с томатом"
CN101120797B (zh) 鸡糕、鸡糕片及其制备方法
Green The Magic of Spice Blends: A Guide to the Art, Science, and Lore of Combining Flavors
CN106135925A (zh) 一种鸡糕、鸡糕片及制备方法
Vetri et al. Mastering Pasta: The Art and Practice of Handmade Pasta, Gnocchi, and Risotto [A Cookbook]
Farr et al. Sausage Making: The Definitive Guide with Recipes
JP2018057373A (ja) 植物性食材用組成物及び植物性食材の調理方法
KR100776051B1 (ko) 라이스샌드위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Waters Chez Panisse Pasta, Pizza, & Calzone: A Cookbook
Van Wyk et al. Traditional South African Cooking
Boiardi et al. Delicious Memories: Recipes and Stories from the Chef Boyardee Family
Good Best of Amish Cooking: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Recipes Adapted From The Kitchens And Pantries Of O
Chung et al. Korean table: from barbecue to bibimbap 100 easy-to-prepare recipes
Boi Classic Asian Noodles
Cuthbert et al. Pizza: Over 90 Innovative Recipes for Crusts, Sauces, and Toppings for Every Pizza Lover
Hamady et al. Lebanese Mountain Cookery
JP3164475U (ja) コンディリナムル入り調理栄養食品
RU2359515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домашние с красным основным соусом"
JP3084245U (ja) イカ利用カレー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8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5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