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21293A -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293A
KR20160121293A KR1020150051114A KR20150051114A KR20160121293A KR 20160121293 A KR20160121293 A KR 20160121293A KR 1020150051114 A KR1020150051114 A KR 1020150051114A KR 20150051114 A KR20150051114 A KR 20150051114A KR 20160121293 A KR20160121293 A KR 20160121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xtract
weight
mixing
natu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Priority to KR102015005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293A/ko
Publication of KR2016012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29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쑥(Asteraceae), 파슬리(Petroselinum crispum), 당근(Daucus carota), 들국화(Aster yomena), 세이지(Sage), 수세미(Luffa cylindrica), 알로에(Aloe)로 구성된 천연 생약원료를 초음파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은 천연 한방식물추출물과 월견초오일, 동백오일, 로그힙오일, 코코넛오일, 아보카도오일, 피마자오일, 호호바오일 을 혼합하여 얻어진 복합오일을 서로 혼합한 천연한방복합추출물에는 인체에 유요한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보습효과, 항염효과는 물론 아토피 피부의 치료나 유발 억제, 예방 등의 효과에 매우 적합한 아토피성 피부를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topic skin cosmetic composi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proved}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쑥(Asteraceae), 파슬리(Petroselinum crispum), 당근(Daucus carota), 들국화(Aster yomena), 세이지(Sage), 수세미(Luffa cylindrica), 알로에(Aloe)로 구성된 천연 생약원료를 초음파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은 천연 한방식물추출물과, 월견초오일 동백오일 , 로그힙오일, 코코넛오일, 아보카도오일, 피마자오일, 호호바오일을 섞어서 얻어진 천연 복합오일을 서로 혼합한 천연한방복합추출물에는 인체에 유효한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환부에 사용시 보습효과, 항염효과는 물론 아토피 피부의 치료나 유발 억제, 예방 등의 효과에 매우 적합하면서도 피 사용자들의 피부 건조로 인한 가려움에 대한 아토피성 피부를 개선하기 위한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토피”는 1925년 코카(Coca)라는 학자가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 음식물이나 기타 흡입성 물질에 대한 선천성 알러지(allergy) 반응을 의미한다. “아토피(atopy)"는 그리스어로 "알 수 없는", "괴상한" 이라는 뜻으로 그 의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고, 치료가 힘든 난치성 질환이다.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보통 습진(eczema), 고초열(hayfever), 천식(asthma), 알레르기(allergy) 등을 잘 일으키는 유전적 경향을 보이는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되는 만성 피부염으로 흔히 태열이라 부르고 유아습진으로 시작, 만성, 재발성 경과를 보인다.
아토피의 발생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유전적, 면역학적 요인이 깊숙이 관계되리라 생각되며 동시에 환경적, 사회적, 정신적 요인 등 다양한 주변인자들도 연관이 있으리라고 생각되고 있다.
소아와 성인기의 면역 체계의 특성이 아토피의 발생 및 병리적 특성과 연관될 수 있다. 우리나라 신생아의 70∼80%가 태열을 경험한다. 이들 중의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소아기에 접어들면서 치료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일부 보고에 의하면 이들 중의 20∼30%는 소아 아토피로 진행이 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면역계의 자연스러운 변화인데, 즉 유아기의 특이면역이 소아기에 접어들면서 자연면역이 회복이 되면서 아토피는 치유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시기의 면역학적인 특징은 자연면역이 활발하게 성장을 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즉, 아이들이 감기와 같은 발열증상들을 경험하면서 자연 면역계가 성장하는 과정인 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들이 감기나 발열증상이 있을 때 해열제나 항생제를 오·남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성인의 경우, 이 시기는 자연면역계와 특이 면역 모두 어느 정도는 성숙하여 있는 시기다. 다시 말하자면 건강하든 건강하지 않든 간에 면역계는 어느 정도는 고착화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성인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에는 특이면역 중에서 TH2 세포가 활성화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성인 아토피 환자들이 소아들에 비교해서 치료와 예후에 있어서 어려운 면역학적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즉 소아들은 아직은 미성숙한 단계이기 때문에 건강한 면역시스템으로 변화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지만, 성인의 경우에는 이미 면역계가 고착화 되어가는 과정에 있으므로 어려운 것이다.
오늘날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는 약물투여 방법에 따라 외용 방법, 내복 방법, 그리고 면역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외용 방법으로는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스테로이드 계열의 연고제를 바르는 방법, 그리고 보습제를 바르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테로이드는 일종의 부신피질 호르몬제로써 효과는 매우 우수하나 장시간 사용시 부작용이 크므로 유의해야 한다. 보습제는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공급 및 유지하기 위한 화장품류를 바르는 것을 말한다. 내복 방법으로 주로 사용하는 아토피 치료약은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계 의약품 혹은 한방 소재 치료약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면역 방법은 신체의 면역력을 자연적으로 길러줄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조정하거나 유도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한의학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이 생기는 원인에 대해 '몸 안에 뭉친 열이 독을 만들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몸속 깊숙이 숨어 있던 열독이 피부층까지 올라와 각종 트러블을 일으키는 것이다. 따라서 열독이 풀리지 않는 한 아토피 피부염은 계속 재발할 수밖에 없다. 특히, 임신 중에 맵고 짠 음식이나 과도한 카페인, 알코올, 인스턴트, 기름진 음식 등을 많이 섭취했거나, 자궁 안에 노폐물이 많이 쌓였거나, 자궁이 약한 경우 태내에 열이 쌓여 태아에게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다고 보고 있다. 열독은 피부 이상만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몸의 면역력을 떨어뜨려 각종 합병증을 유발시키므로 단순히 증상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을 찾아 근본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이 되는 열독을 풀어 주고, 알레르기에 대항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우는 등 근본치료를 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관한 종래 특허로는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0-0007277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1998-0063331호 "아토피성 피부염 치유용 조성물",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0-0075653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4-0104673호 "아토피성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등 다수의 특허출원이 존재하나,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4-0002701호 "아토피 피부질환에 효과적인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감초, 창이자, 홍화를 혼합하고, 돈지를 첨가하여 얻는 한방 조성물이나, 상기 한방 혼합물들을 가열만 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는 자극 인자들이 같이 추출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0-0007277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1998-0063331호 "아토피성 피부염 치유용 조성물", 3.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0-0075653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4-0104673호 "아토피성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5.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4-0002701호 "아토피 피부질환에 효과적인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한방식물추출물과 천연 복합오일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을 초음파 증착하여 여과함으로써, 사용에 따른 피부 트러블이나 과민 반응 현상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 신속한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토피와 무좀 등에 효과적이고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쑥 100g, 파슬리 100g, 당근 100g, 들국화 100g, 세이지 100g, 수세미 100g, 알로에 100g을 각각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에 혼합하여 각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하여 생성된 각각의 원료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여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얻은 각각의 원료추출물 100g~500g을 서로 혼합기에 혼합하여 얻어진 천연 한방식물추출물과,
월견초오일 10~500mL, 동백오일 10~500mL, 로그힙오일 10~500mL, 코코넛오일 10~500mL, 아보카도오일 10~500mL, 피마자오일 10~500mL, 호호바오일 10~500mL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천연 복합오일과,
상기 한방식물추출물과 복합오일을 정제수에 각각 1:1중량부로 혼합하여 얻은 천연한방복합추출물 100중량부에 보전제 1~10중량부와, 유화제 1~10중량부 및 바디클렌저성분 1~10중량부와 각각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쑥 100g, 파슬리 100g, 당근 100g, 들국화 100g, 세이지 100g, 수세미 100g, 알로에 100g의 원료를 칭량하는 단계,
상기 칭량한 원료들 각각에 대하여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을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각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하여 생성된 각각의 원료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각각의 원료혼합물을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얻어진 각각의 원료추출물 100g~500g을 서로 혼합기에 혼합하여 천연 한방식물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월견초오일 10~500mL, 동백오일 10~500mL, 로그힙오일 10~500mL, 코코넛오일 10~500mL, 아보카도오일 10~500mL, 피마자오일 10~500mL, 호호바오일 10~500mL의 원료를 칭량하는 단계와,
상기 칭량된 원료를 각각 혼합하여 천연 복합오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한방식물추출물과 복합오일을 정제수에 각각 1:1중량부로 혼합하여 천연한방복합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한방복합추출물 100중량부에 보전제 1~10중량부와, 유화제 1~10중량부 및 바디클렌저성분 1~10중량부와 각각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한방식물추출물과 천연 복합오일을 혼합한 천연한방복합추출물에는 인체에 이로운 성분을 함유하여 아토피, 무좀 등에 효과적이고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다. 특히, 천연 한방식물추출물이 표피와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미네랄 공급과 함께 피부세포간 물질을 활발하게 교류시켜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난치병으로 알려진 아토피, 무좀, 각질제거, 닭살, 가려움증, 잡티, 피부탄력, 미백효과, 노화방지, 클렌징 효과가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쑥, 파슬리, 당근, 들국화, 세이지, 수세미, 알로에를 혼합한 천연 한방식물추출물과, 월견초오일, 포도씨오일, 호호바오일, 아보카도오일을 혼합한 천연 복합오일을 서로 혼합하여 얻어지는 천연한방복합추출물에 보전제와, 유화제 및 바디클렌저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각 성분 및 혼합공정과 제조방법을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식물추출물 중에서 쑥은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약 쑥과 사철 쑥이 있다. 약쑥은 (학명 :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Hara) 애엽(艾葉)이라 하여 우리나라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약 쑥은 성미가 쓰고 따뜻한데 지혈, 진통, 수렴, 지사, 소염 등의 작용을 한다. 한방에서 탕으로 해서 지혈제로 사용하고 있다. 작은 출혈에 잎이 으깨서 바르는 것은 현재에도 계속 되고 있다. 사철 쑥(학명 : 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부분별로 말려 한방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여름철에 이삭 모양으로 모인 머리꽃의 봉우리를 말린 것을 한방에서 인진호(茵蔯蒿)라고 부르며 겨울철에 무명털이 난 잎을 말린 것을 면인진(綿茵蔯)이라 부르는데 소염, 이뇨, 해열 작용이 있어서 담낭이나 피부의 두드러기에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돈버짐, 쇠버짐 등의 환부에 바르거나 더운 찜질을 하면 효과가 있다. 종래 주로 한방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쑥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을 대상으로 연구하던 중 아줄렌(azulene)이란 성분이 우수한 작용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쑥의 아줄렌(azulene)은 세포막에 대한 안정화 작용과 유해한 자외선 흡수 작용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쑥에는 항산화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및 항염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쑥 추출물은 샴푸, 린스 제제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 보호 제품에 배합되면 아줄렌이 함유되어 있어서 상처 치유 작용을 나타내며 점막 보호와 항염증 작용도 있다. 또한, 쑥의 유효 성분에 의해 피부의 재생과 탄력성을 증진시켜 피부의 건강을 유지시킨다.
과거 쑥 추출물은 비누 조성물 외에 토닉제, 청량제, 치료제, 자극제 등으로서도 사용되어 왔다. 과학적인 견지에서 볼 때 이러한 것들에 대한 효능 효과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데이타는 별로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성분이 가상적이거나, 알려진 생리 활성과 더불어 오랫 동안 민간 요법이나 한방에서 사용되어온 사실은 일부 이러한 추출물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연구해 볼 가치를 부여해 왔다.
최근 쑥 추출물에 대한 연구에서 쑥 추출물의 주요 성분은 아줄렌(azulene)이며, 아줄렌은 피부 및 구강내 소염 효과, 항균 작용을 하며 또한 270∼310㎚의 자외선의 흡수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성질에 바탕을 두고 종래 아줄렌을 화장품 원료로 크림, 로션류, 선탠 크림 등에 사용한 적이 있었다. 아줄렌은 물에 불용이며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화장품에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미리 아줄렌에 유화제를 가하고 유화 분산하여 이용하여 왔다.
쑥잎은 그 자체로 욕조에 넣고 사용하여 쑥탕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냉대하증, 신경통, 요통, 치질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요법으로는 상처가 나서 피가 날때 상처난 곳에 쑥잎을 으깨 바르면 지혈, 살균 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쑥은 비교적 손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쑥을 파우더 상태로 한 쑥차와 쑥엑기스를 정제화한 건강 식품이 시판되고 있다.
종래 공지된 쑥 비누에 관한 특허로는 약 쑥(한방명 : 艾葉)을 비롯하여 각종, 생약재가 함유된 생약 배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특허문헌(日本特許公開昭 55-127317)이 있다.
[실시예 1 : 쑥]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쑥을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쑥을 세절하여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에 혼합하여 쑥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쑥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여 50~400메쉬의 여과막으로 이루어진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쑥추출물을 생성한다.
또한, 파슬리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으로서 Petroselinum sativum Miller(산형과 Umbelliferae)의 잎을 약용으로 사용하며, 원산지는 유럽 중 남부 및 아프리카의 북부연안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파슬리는 잎이 몹시 곱슬 거리는 것으로 향이 강해서 장식용 채소로 쓰이고, 잎파슬리는 잎이 활짝 넓게 퍼져 있는 것으로 은은한 향을 풍긴다.
파슬리는 비타민 A, B1, B2, C를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비타민 C의 함량이 높다. 일반적으로 파슬리는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뇨, 혈액정화, 건위, 해독 등에 쓰이며 피부에서의 효능은 여드름에 효과가 있는 천연 향료를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로써 파슬리 씨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특허(한국공개특허 1997-032818)가 출원된 바 있다.
[실시예 2 : 파슬리]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파슬리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파슬리를 세절하여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에 혼합하여 파슬리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파슬리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여 50~400메쉬의 여과막으로 이루어진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파슬리추출물을 생성한다.
또한, 당근에 함유되어 있는 β 카로틴의 효과에 대해서는 1989 년 10월 영국 런던의 퀸 엘리자베스 Ⅱ세 국제 회의장에서 개최한 「항산화 비타민 및 β 카로틴과 질병예방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주목을 받았는데, 특히 환경오염으로 인해 증가일로에 있는 물질로써 암이나 심장병 등의 원인이 되고 있는 프리래디컬 ( free - radical ; 유기화합물의 유리기 ) 의 해로움을 막는데 β 카로틴이 크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β 카로틴은 자연계에 400 종류 이상 존재하는 카로티노이드 ( carotinoid ) 라는 물질의 하나이다. 카로티노이드는 황색이나 적색의 색소로서 식물 중에 존재하며 이 β 카로틴 1 분자가 분열하면 비타민 A 가 2 분자 생기기 때문에 β 카로틴은 프로비타민 A ( 비타민 A 전구체 )라고도 부르고 있다. 체내에 들어가면 그 일부가 비타민 A로 변화한다. 카로티노이드 중, 약 50종류가 프로비타민 A의 활성을 담당하는데, 그 중에서도 β 카로틴은 활성이 가장 높다.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품 중에서 β 카로틴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당근이다. β 카로틴은 황색이나 오렌지색 야채나 과일, 녹색의 잎채소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100g 당 β 카로틴의 함유량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면, 야채로는 당근이 7.3mg, 시금치가 3.1 mg, 브로콜리가 0.72 mg, 토마토가 0.39 mg, 과일에서는 망고가 1.6 mg, 멜론 0.07 mg, 살구가 1.0 mg, 오렌지가 0.075 mg 으로 당근이 얼마나 많은 β 카로틴을 함유하고 있는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르면, 이와 같이 β 카로틴의 보고라 할 수 있는 당근의 이용도를 높여 일상적인 식생활로부터 미용 또는 건강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3 : 당근]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당근을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당근을 세절하여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에 혼합하여 당근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당근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여 50~400메쉬의 여과막으로 이루어진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당근추출물을 생성한다.
또한, 국화속 식물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특성은 지역 및 종류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국화속 식물로는 번식력이 강하여 산과 들에 많이 자생하는 일반적 들국화라 부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 산국(Chysanthemum Zawadski Var Leiophyllum), 산구절초(Chysanthemum Zawadski Herbich), 구절초(Chysanthemum Zawadski Var Lotilobum Kitamura)등이 이에 속한다.
이들 들국화류는 그 특성이 유사하며 추출물의 유효성분으로는 주로 정유, 아미노산,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다. 함유된 정유에는 폴레놀(Polenol), 캄파(Camphor), 글루산테논(Glusantenone) 등이 있으며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로서는 루테오린글루코사이드(Luteolin-7-glucoside), 코스모신(Cosmosin), 아카신(Acasin) 등이 있는데 이 플라보노이드는 배당체로서 존재하며 비이온성 계면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포닌이라고도 하는데 기포력이 우수하고 세정성도 있다. 일반적으로 국화속 식물은 꽃이 아름답고 국화로 몸을 가꾸면 장수하고 몸이 가벼워진다고 하였으며 이중 감국은 일종의 재배국으로도 생산되어 생엽, 건엽, 꽃따위가 식용되고 있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또 문헌 등에 나타난 국화의 약효에 대하여 살펴보면 국화는 청열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소염효과와 모세혈관의 저항력을 증강시켜주며, 항염증작용 등의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국화의 효과에 축안하여 연구한 결과 국화 중 특히 산과 들에 자생하는 소위 말하는 들국화가 피부세정료에 응용되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 국화]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국화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국화를 세절하여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에 혼합하여 국화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국화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여 50~400메쉬의 여과막으로 이루어진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국화추출물을 생성한다.
또한, 세이지(sage/Salvia officinalis)는 통화식물목 광대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 50∼90㎝. 줄기의 밑동은 목질화하여 관목모양으로 된다. 줄기에 나 있는 잎의 뒤쪽은 벨벳 모양의 흰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5∼7월에 보라·파랑·흰색 등의 꽃이 핀다. 잎은 피넨·시네올 등의 정유(精油)를 함유하여 향기가 좋으며, 예로부터 약용되어 약용샐비어라 하였다. 현재의 주요 용도는 소스 등에 첨가하는 향료이다.
일반적으로 재배되는 것은 이 종의 변종인 가는 잎 샐비어로서, 잎이 이 종보다 긴 7∼10㎝이고, 향도 더 강하며, 꽃은 담청색이다 이 생약은 동서의약에 만병 통치약으로 널리 알려져 온 역사가 오래된 약용식물이다. 세이지는 차, 향수원료, 약용, 목욕제, 화장품(린스,로션) 포플리, 염색, 비네거 밀원식물, 육류가공 부황제(고기냄새를 없애고 지방분 분해작용)등으로 쓰이고 있다. 잎을 말린 것을 향신료로서 이용한다. 두뇌활동을 자극하고 심신(心身)의 강장제로서, 장수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유고슬라비아·알바니아·이탈리아·그리스·터키·미국에서 생산된다. 건조한 잎은 언뜻 보기에 곰팡이가 나 있는 것 같은 짧고 가는 섬모로 덮여 있고 회록색을 띠고 있다. 향신료로서는 상쾌하고 약간 씁쓸한 맛, 장뇌(樟腦)와 같은 시네올 냄새와 쑥과 같은 신선하고 강한 향이 특징이다. 고기의 냄새를 없애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돼지고기요리와 소시지에 잘 어울린다. 향이 강하므로 약간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남유럽·지중해연안 원산이다. 주요 효능으로는 강장효과, 방부효과, 항균효과, 항염효과, 살균소독효과, 해열효과, 구풍효과, 정혈작용효과, 수렴작용효과, 신경계통효과, 소화기계통효과, 구내염효과 등이 있다.
[실시예 5 : 세이지]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세이지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세이지를 세절하여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에 혼합하여 세이지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세이지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여 50~400메쉬의 여과막으로 이루어진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세이지추출물을 생성한다.
또한, 수세미(Luffa)는 박과의 1년생 덩굴성 식물로, 수세미외, 사과락 (sponge gourd), 수과락, 수과, 만과, 천락사(天絡絲) 또는 천라(天羅) 라고도 불리운다. 지금까지 밝혀진 수세미 성분으로는, 각종 세포에 영양소를 공급하며 삼투압을 조절하는 회분, 열을 내리고 해독작용을 하는 카로틴, 면역작용과 혈액의 생성 및 정혈작용을 하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 밖에도 식이섬유, 칼슘, 칼륨, 철, 마그네슘, 필수 아미노산 등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수세미는 성질이 차서 몸에 열이 많아 생기는 가래를 삭히고. 뜨거운 피를 식혀줌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여드름 등의 염증, 땀띠 등에 효과가 있어 소염작용을 하며, 변비 예방 및 축농증 증상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고, 폐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숙취, 여름감기, 두통에 효과가 있고, 피부진정 효과가 있으며, 피지의 과잉분비를 막아주고, 모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해주며, 피부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 주고, 가려움방지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비만, 항산화, 항균, 피부세포재생 효과에 대하여 알려져 있다. 또한, 수세미 종자와 잎은 이뇨작용과 해독작용이 있으며, 껍질과 뿌리는 진통 소염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수세미 줄기의 절단면에서 나오는 수액은 식용이 가능하며 화장품의 원료로 쓰이기도 한다.
[실시예 6 : 수세미]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수세미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수세미를 세절하여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에 혼합하여 수세미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수세미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여 50~400메쉬의 여과막으로 이루어진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수세미추출물을 생성한다.
또한, 알로에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다육식물로 중동, 마다가스카르, 아프리카 남부가 원산지로 약 200여 종류가 있다. 알로에의 잎에서 나오는 즙은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는데, 여기에는 안트론글리코시드인 앨로인, 안트라퀴논에 속하는 앨로에모딘의 글리코시드, 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하제(下劑)로서 변비에 쓰이며 통경제에도 배합된다. 소량을 사용하면 강장제가 되며, 민간약으로 베인 상처, 화상, 터지거나 튼 곳에 외용되고 최근에는 각종 화장품 재료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알로에는 알로에 베라(Aloe vera Linne, Aloe bradesis Miller)와 알로에 아보레센스(Aloe arborescens) 등이다. 알로에는 독성과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병증을 치유하면서 각종 성인병, X선 조사 부작용 등의 문제점을 해결해 주고 있다.
알로에에는 건위정장, 소화기계통을 비롯한 각 내장에 작용하는 알로인, 알로에 에모딘, 강알킬리성으로서 체액개선 및 항암작용을 갖는 분자량 약 45만의 고분자 다당체, 항균작용을 갖는 알로에틴, 궤양에 작용하는 알로에 울신, 항종양 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알로미씬 등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알로에의 여러 성분들로 인해 알로에는 살균 작용, 항궤양 세포부활작용, 강심 혈액순환 촉진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내분비의 안정 촉진작용, 건위완하(緩下) 식용증진작용, 항암작용, 체액의 알칼리화작용, 교원(膠原)의 개선작용, 피부미용작용, 해독작용, 내병력(耐炳力) 항염증대작용, 항알레르기 항히스타민 작용 등을 나타내며 이러한 효과로 인해 많이 애용되고 있다.
[실시예 7 : 알로에]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알로에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알로에를 세절하여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에 혼합하여 알로에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알로에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여 50~400메쉬의 여과막으로 이루어진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알로에추출물을 생성한다.
[실시예 8 : 천연복합오일 생성]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천연복합오일인 월견초오일 10~500mL, 동백오일 10~500mL, 로그힙오일 10~500mL, 코코넛오일 10~500mL, 아보카도오일 10~500mL, 피마자오일 10~500mL, 호호바오일 10~500mL의 원료를 구입한다.
[월견초오일]
상기 천연 복합오일 중에서 월견초오일에서는 성분으로서 γ-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 노화를 일으키는 활성산소 피부염증 등을 억제하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동백오일]
또한, 동백오일은 oleic acid 등과 같은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의 씨(seed)를 추출에 이용하는 것으로,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inne)는 중국 중약대산전에 동백나무를 산다화라고 하여 맛은 달고 약간 매우며 약성은 약간 차며, 무독하고, 경혈, 지혈, 코피 등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고 본초강목활도에는 식용으로 먹을 수 있고, 동백유는 머리에 바르면 윤기가 난다고 하였다. 또 머리에 바르면 머리칼이 끊어지는 것과 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목욕 후 몸에 바르면 피부건조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상기 동백유는 감기를 예방하고 기관지염, 항진균성 피부염 화상 등에 쓰이며 인체의 면역 기능을 증강시킨다고도 하였다. 동백 씨앗에는 70% 이상의 높은 지방이 함유되어 있어 우리 고유의 식물성 기름으로 지방의 조성은 중성지질 94.2%, 당지질 4.4% 그리고 1.4%의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다. 동백 씨앗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은행이나 수박씨, 해바라기씨에 비해 훨씬 높고 호두와 유해와 유사한 수준이다.
상기 동백유의 두드러진 특징은 총지방산의 조성중에 80% 이상 함유된 oleic acid 함량으로 올리브유 64%에 비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동백유의 85~90%를 차지하는 올레익산(Oleic Acid)은 뛰어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그 밖에 팔미틴산을 포함하는 포화산(9~12%)과 리놀레인산(1~3%)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로즈힙오일은 많은 양의 비타민C가 함유되어 있어서 피부건강에 좋고, 비타민 C뿐만 아니라 A성분도 포함되어 있고 수분공급과 PH밸런스 조절을 해주고, 보습과 재생, 치유, 노화억제에도 효과적이다.
그리고 쇄골마사지 할 때에는 림프순환을 도와서 노폐물을 제거해주기 때문에 쇄골라인이 살아나고, 차로 마실 경우에는 신진대사를 촉진시켜서 다이어트 효과에도 도움을 준다.
[코코넛오일]
또한, 코코넛오일은 비누를 단단하게 해주는 역할과 함께 향균, 보습 작용으로 피부염증을 완화시켜 주고, 유분을 공급하여 피부와 머릿결을 부드럽게 하고 비누의 풍부한 거품과 세정력을 부여한다.
[아보카도오일]
또한, 아보카도의 가장 대표적인 효능을 보면, 아보카도에는 지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인 토코페롤이라 부르는 비타민E가 풍부하여 우리 몸에서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노화를 억제하며 심장병과 암을 예방하는 효능을 지녔고, 또한 아보카도는 콜레스테롤의 산화와 분해를 막아주어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뇌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주어 치매예방에도 좋은 효능을 발휘한다. 특히 아보카도는 눈 건강에 필수 비타민으로서 루테인 성분이 함유되어 각종 시력장애를 막아주는 효능을 지녔다.
그리고 아보카도 오일의 지방은 대부분이 리놀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이기 때문에 콜레스테롤이 없는 것이 특징으로 영양 면으로는 염분 함량이 적고 혈압을 조절해 주는 칼륨이 열대과일 중 가장 많이 들어 있어 고혈압과 동맥경화에 좋은 효능을 보인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아보카도 오일의 가장 대표적인 효능인 당뇨에 좋은 효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또한, 아보카도 껍질에 있는 항산화와 항암작용의 뛰어난 효능이 주목받고 있지요. 특히 아보카도 오일은 피부에 바르게 되면 다양한 효능들을 볼 수 있다.
[피마자오일]
또한, 피마자오일은 캐스터 오일(Castor Oil)이라고도 불리며 천연화장품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피마자의 종자를 압착하여 얻는 지방유로, 아주까리 기름이라고도 한다. 머릿기름이나 등잔기름으로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다른 지방유와는 달리 알코올에 녹는 성질이 있다.
피부 자극이 없으며 알러지도 거의 유발하지 않으나 종자에는 독성이 있는데, 압착하여 얻는 기름에는 없으며, 독성은 짜고 남은 찌꺼기에 남아있다.
담황색의 걸쭉한 형태로 향이 강하고 점도가 높으며, 보습성이 강한 오일이다.
[호호바오일]
그리고 호호바오일은 우리 몸 피지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습뿐만 아니라 노화방지에 매우 효과적이고, 보습의 이탈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콜라겐 조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임산부의 배나 다리 튼살을 방지하고 치료하는데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아토피 치료보습은 물론 건강한 유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유수분 발란스를 맞출 수 있다. 또한, 모근을 튼튼하게 하고 오히려 피지를 확장시켜 머리결을 좋게 한다.
[정제구입]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전제는 연교추출물을 사용하고, 유화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디클렌저성분은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CPCOYL APPLE AMINO ACID, 폴리글루타믹애씨드를 중량비 1:1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
[단계 1] 천연한방추출물 제조공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서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한방식물인 쑥(Asteraceae), 파슬리(Petroselinum crispum), 당근(Daucus carota), 들국화(Aster yomena), 세이지(Sage), 수세미(Luffa cylindrica), 알로에(Aloe) 성분을 각각 100g을 계량한 후 세척하여 건조시킨다.
이때 건조시간은 15~80℃에서 1~30시간 건조한 후, 에탄올 정제수를 통해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각각의 원료추출물을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에 혼합하여 각각의 원료혼합물인 쑥혼합물, 파슬리혼합물, 당근혼합물, 들국화혼합물, 세이지혼합물, 수세미혼합물, 알로에혼합물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하여 생성된 각각의 원료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여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얻은 쑥혼합물, 파슬리혼합물, 당근혼합물, 들국화혼합물, 세이지혼합물, 수세미혼합물, 알로에혼합물 100g~500g을 서로 혼합기에 혼합하여 천연 한방식물추출물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가열은 초음파를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여과기는 50~400메쉬에서 여과한 것이다.
[단계 2] 천연 복합오일 제조공정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오일인 [실시예 8]에서 수득한 월견초오일 10~500mL, 동백오일 10~500mL, 로그힙오일 10~500mL, 코코넛오일 10~500mL, 아보카도오일 10~500mL, 피마자오일 10~500mL, 호호바오일 10~500mL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단계 3] 천연한방복합추출물 제조공정
상기와 같이 얻어진 한방식물추출물과 복합오일을 정제수에 각각 1:1중량부로 혼합하여 얻은 천연한방복합추출물 100중량부에 보전제 1~10중량부와, 유화제 1~10중량부 바디클렌저성분 1~10중량부와 각각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전제는 연교추출물이고, 유화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디클렌저성분은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CPCOYL APPLE AMINO ACID, 폴리글루타믹애씨드를 중량비 1:1중량부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험한 실시예를 실험대상자들에게 실험한 자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험대상은 5명의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한 것이고, 이들 실험대상에 대하여 비교예 샘플로 A와, B와, C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의 실험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실험대상의 5명 중에서 2명은 33세와 28세의 남성이고, 3명은 27세와 29세와 3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대상]
Figure pat00001
상기 실험대상들에게 초기피부상태에 대한 보습실험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그리고 상기 실험에 대한 실험대상들의 각각에 대한 보습효과를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A 실험대상자]
Figure pat00003
[B 실험대상자]
Figure pat00004
[C 실험대상자]
Figure pat00005
[D 실험대상자]
Figure pat00006
[E 실험대상자]
Figure pat00007

상기 실험대상자들에 대한 보습효과를 한 눈에 대비하여 알아 볼 수 있도록 선그래프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Figure pat00008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의 보습효과는 비교예 A와, B와, C보다 더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7)

  1. 쑥 100g, 파슬리 100g, 당근 100g, 들국화 100g, 세이지 100g, 수세미 100g, 알로에 100g을 각각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에 혼합하여 각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하여 생성된 각각의 원료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여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얻은 각각의 원료추출물 100g~500g을 서로 혼합기에 혼합하여 얻어진 천연 한방식물추출물과,
    월견초오일 10~500mL, 동백오일 10~500mL, 로그힙오일 10~500mL, 코코넛오일 10~500mL, 아보카도오일 10~500mL, 피마자오일 10~500mL, 호호바오일 10~500mL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천연 복합오일과,
    상기 한방식물추출물과 복합오일을 정제수에 각각 1:1중량부로 혼합하여 얻은 천연한방복합추출물 100중량부에 보전제 1~10중량부와, 유화제 1~10중량부 및 바디클렌저성분 1~10중량부와 각각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초음파를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50~400메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추출물은 세척하고, 건조하여 추출할 때 15~80℃에서 1~30시간 에탄올 정제수로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전제는 연교추출물이고, 유화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클렌저성분은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CPCOYL APPLE AMINO ACID, 폴리글루타믹애씨드를 중량비 1:1중량부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7. 쑥 100g, 파슬리 100g, 당근 100g, 들국화 100g, 세이지 100g, 수세미 100g, 알로에 100g의 원료를 칭량하는 단계와,
    상기 칭량한 원료들 각각에 대하여 1,3-부틸렌글리콜 35~45%의 수용액 400g을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각각의 원료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하여 생성된 각각의 원료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96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원료혼합물을 여과기에서 여과하여 얻어진 각각의 원료추출물 100g~500g을 서로 혼합기에 혼합하여 천연 한방식물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월견초오일 10~500mL, 동백오일 10~500mL, 로그힙오일 10~500mL, 코코넛오일 10~500mL, 아보카도오일 10~500mL, 피마자오일 10~500mL, 호호바오일 10~500mL의 원료를 칭량하는 단계와,
    상기 칭량된 원료를 각각 혼합하여 천연 복합오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한방식물추출물과 복합오일을 정제수에 각각 1:1중량부로 혼합하여 천연한방복합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한방복합추출물 100중량부에 보전제 1~10중량부와, 유화제 1~10중량부 및 바디클렌저성분 1~10중량부를 각각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051114A 2015-04-10 2015-04-10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eased KR20160121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14A KR20160121293A (ko) 2015-04-10 2015-04-10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14A KR20160121293A (ko) 2015-04-10 2015-04-10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293A true KR20160121293A (ko) 2016-10-19

Family

ID=5725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114A Ceased KR20160121293A (ko) 2015-04-10 2015-04-10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2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904B1 (ko) * 2020-01-02 2020-06-23 김명곤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3224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쌀추출물, 귀리커넬추출물 및 코코넛야자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2255B1 (ko) * 2021-12-28 2023-02-23 주식회사 뷰티맥스 상처 치유, 피부 재생 또는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아줄렌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9055570A (zh) * 2024-08-30 2024-12-03 艾美新材料(南通)有限公司 含有山茶油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在化妆品中的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331A (ko) 1996-06-12 1998-10-07 가미야마사시 비등 및 응축 냉매 이용 냉각 장치
KR20000007277A (ko) 1998-07-02 2000-02-07 윤종용 드럼 세탁기의 벨트 장력 조절구조
KR20000075653A (ko) 1997-02-24 2000-12-26 고또오 슈운기찌 일축 연신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KR20040002701A (ko) 2002-06-28 2004-01-0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자회로장치 및 집적회로장치
KR20040104673A (ko) 2002-04-30 2004-12-10 가부시키가이샤 디나벡크 겐큐쇼 헤마글루티닌 활성을 저하시킨 약제 또는 유전자 운반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331A (ko) 1996-06-12 1998-10-07 가미야마사시 비등 및 응축 냉매 이용 냉각 장치
KR20000075653A (ko) 1997-02-24 2000-12-26 고또오 슈운기찌 일축 연신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KR20000007277A (ko) 1998-07-02 2000-02-07 윤종용 드럼 세탁기의 벨트 장력 조절구조
KR20040104673A (ko) 2002-04-30 2004-12-10 가부시키가이샤 디나벡크 겐큐쇼 헤마글루티닌 활성을 저하시킨 약제 또는 유전자 운반 조성물
KR20040002701A (ko) 2002-06-28 2004-01-0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자회로장치 및 집적회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904B1 (ko) * 2020-01-02 2020-06-23 김명곤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3224A (ko) *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쌀추출물, 귀리커넬추출물 및 코코넛야자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2255B1 (ko) * 2021-12-28 2023-02-23 주식회사 뷰티맥스 상처 치유, 피부 재생 또는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아줄렌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9055570A (zh) * 2024-08-30 2024-12-03 艾美新材料(南通)有限公司 含有山茶油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在化妆品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urjai et al. Plants used in cosmetics
CN104825351B (zh) 一种沉香美白洗面奶及其制备方法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CN102805722B (zh) 一种含天然成分提取物的嫩白精华乳液及其制备方法
KR102030021B1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2860976B (zh) 一种滋养护发洗发液及其制备方法
CN104434618B (zh) 兼具美白、祛斑印功效的九草绿霜及其制备方法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CN104027399A (zh) 精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20299B1 (ko) 천연 기능성 비누 조성물
CN105997827A (zh) 复方山茶油保湿液及其制备方法
KR101089879B1 (ko) 자외선차단 테이프
CN105132219A (zh) 一种淡化萎缩纹的香皂及其制备方法
KR20160121293A (ko)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García et al. Importance and Properties of Aloe vera in the Production of Hair Shampoo
KR102323659B1 (ko)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CN105213279A (zh) 一种消除萎缩纹的身体乳及其制备方法
Trak et al. Skin care secrets from herbal world
KR101223683B1 (ko) 동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
CN107714597A (zh) 一种美白保湿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097048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441230A (zh) 一种茶油冷制皂
CN108836903A (zh) 一种舒缓疲劳的沐浴露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31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61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1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1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1705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