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462A - hanger - Google Patents
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0462A KR20160120462A KR1020150049488A KR20150049488A KR20160120462A KR 20160120462 A KR20160120462 A KR 20160120462A KR 1020150049488 A KR1020150049488 A KR 1020150049488A KR 20150049488 A KR20150049488 A KR 20150049488A KR 20160120462 A KR20160120462 A KR 201601204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rail
- supporting
- support
- trave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6—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maintaining alignment between wheels and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행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는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휠; 주행휠을 지지하며 물체의 연결을 위한 물체지지부가 마련된 몸체부; 레일의 하면을 지지하며 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휠; 및 지지휠을 레일 하면 쪽으로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The hanger is started. A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veling wheel traveling along a rail; A body portion supporting the driving wheel and having an object support portion for connecting an object; A support wheel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rail and being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on the body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for giving an elastic force to raise the supporting wheel toward the rail.
Description
본 발명은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등을 지지한 상태로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굴곡부가 존재하는 레일에서도 원활히 주행할 수 있는 행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er which runs along a rail while supporting a cable or the like, and can be smoothly run even on a rail on which a bent portion exists.
행거(Hanger)는 이송하고자 하는 물체를 매단 상태로 천장 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장치로 각종 산업현장, 부두, 선박 등에서 광범하게 이용되고 있다.A hanger is a device that travels along a rail installed on a ceiling in a state where an object to be transferred is placed in a state of being used, and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docks and ships.
예를 들면, 중량물 운반을 위해 산업현장에서 이용하는 호이스트 크레인은 천장 쪽에 설치된 I형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중량물을 걸어서 들어 올릴 수 있는 호이스트와, 호이스트로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로 역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행거를 포함한다.For example, a hoist crane used in an industrial field to transport heavy objects is a hoist that travels along an I-shaped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can lift a heavy object, a cable that supplies power to the hoist,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hangers that move along the rails.
행거들은 몸체부와,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몸체부에 연결된 케이블지지부와,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몸체부에 설치된 복수의 주행휠을 구비하며, 호이스트의 주행할 때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로 호이스트에 이끌려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The hanger is provided with a body portion, a cable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to support the cable, and a plurality of traveling wheels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to run along the rails. When the hoist is running, .
한편, 행거들이 주행하는 레일은 현장의 특성이나 설비의 위치에 따라 곡선이나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의 행거는 굴곡부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레일에 끼여 주행이 정지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었다. 이처럼 행거의 주행이 정지된 상태에서 호이스트가 주행을 하면 케이블의 파손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ails on which the hanger runs can include curves or bend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or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In the case of a normal hanger, the hanger may be caught in the rail and stopped traveling. If the hoist is driven while the hanger is stopped, an accident such as breakage of the cable may occu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레일의 굴곡부에서도 원활히 주행할 수 있는 행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hanger which can smoothly run even at a bent portion of a rai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휠; 상기 주행휠을 지지하며 물체의 연결을 위한 물체지지부가 마련된 몸체부; 상기 레일의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휠; 및 상기 지지휠을 상기 레일 하면 쪽으로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veling vehicle comprising: a traveling wheel traveling along a rail; A body portion supporting the traveling wheel and provided with an object support portion for connecting an object; A support wheel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rail and being vertical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raise the support wheel to the underside of the rail.
상기 주행휠은 상기 레일의 양측을 따라 주행하는 제1주행휠과 제2주행휠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주행휠의 축에 각각 연결되는 세로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veling wheel may include a first traveling wheel and a second traveling wheel that travel along both sides of the rail, the body portion includes a lateral memb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ail, And longitudinal members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transvers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ax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ing wheels, respectively.
상기 행거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휠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휠의 승강을 구현하는 승강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connection portion supporting the support wheel while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implementing a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pport wheel by rotation.
상기 지지휠은 주행방향으로 상기 가로부재의 전방과 후방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지지휠과 제2지지휠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승강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휠을 지지하는 제1승강연결부와, 상기 제2지지휠을 지지하는 제2승강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wheel may include a first support wheel and a second support whee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front of and behind the transverse member in the running direction, And a second lifting connection for supporting the second support wheel.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제1승강연결부와 상기 제2승강연결부에 각각 연결된 인장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tension spring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rst lifting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lifting connection part,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승강연결부는 양단이 상기 두 세로부재를 연결된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joints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a support shaft to which the two longitudinal members are connected.
상기 몸체부는 주행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stopper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running direction.
상기 물체지지부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ject support may include a cab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ca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는 레일의 곡선이나 굴곡부를 주행할 때 제1지지휠과 제2지지휠의 높이가 레일의 상황에 따라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행거가 레일에 끼여 정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wheel and the second support whee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rail when the 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un on the curve or bend of the rail, can do.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는 레일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된 제1주행휠과 제2주행휠이 레일의 형태를 따라 쉽게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일에 곡선이나 굴곡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원활히 주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ivoted along the form of the rail because the first traveling wheel and the second traveling wheel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rail can smoothly run even when there is a curved line or a curved portion on the rail.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가 적용된 호이스트 크레인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의 주행횔과 지지휠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 - 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가 레일의 곡선부를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1 shows a hoist crane to which a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hanger is installed on a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rail.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placement relationship between a running wheel and a support wheel of a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a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unning on a curved portion of a rai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parts of the drawing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가 적용된 호이스트 크레인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호이스트 크레인은 산업현장 등의 천장 쪽에 설치된 I형 레일(10)과, 레일(10)을 따라 주행하며 중량물을 들어 올릴 수 있는 권상기(21)를 갖춘 설치된 호이스트(20), 호이스트(20)의 전원공급 및 제어를 위해 호이스트(20)에 연결된 케이블(30), 호이스트(20)를 따라 움직이면서 케이블(30)을 지지하도록 레일(10)에 설치된 복수의 행거(100)를 구비한다.1 shows a hoist crane to which a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hoist crane includes an I-
도 2를 참조하면, 행거들(100)은 그 하부에 마련된 케이블지지부(150)에 각각 케이블(30)을 지지한 상태로 레일(10)을 따라 주행하며, 인접한 행거(100) 간의 간격유지를 위한 스토퍼부(124,125)를 구비한다. 인접한 행거(100) 간에는 당김줄(40)이 연결됨으로써 호이스트(20)가 이동할 때 이끌려 이동한다.2, the
각 행거(1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0)의 양측에 각각 걸리도록 설치되는 제1주행휠(111)과 제2주행휠(112), 제1 및 제2주행휠(111,112)을 지지하며 주행휠들(111,112)의 이동에 의해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몸체부(120), 레일(10)의 하면을 지지하며 몸체부(120)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제1지지휠(131) 및 제2지지휠(132), 제1지지휠(131) 및 제2지지휠(132)을 레일(10)의 하면 쪽으로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40), 그리고 케이블(30)의 지지를 위해 몸체부(120)의 하부에 연결된 케이블지지부(150)를 포함한다. 3 to 6, each
여기서는 행거(100)가 케이블(30)을 지지하는 용도로 호이스트 크레인에 적용되기 때문에 몸체부(120)에 케이블지지부(150)가 연결된 경우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행거(100)는 다른 중량물이나 물체를 운반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행거(100)의 몸체부(120)에는 케이블지지부(150) 대신 다른 물체를 지지하는 물체지지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Here, since the
제1주행휠(111)과 제2주행휠(112)은 각각 레일(10)의 양측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10)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 예는 행거(100)가 I형 레일(10)을 따라 주행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두 개의 주행휠(111,112)을 채용한 경우를 제시하고 있지만, 레일(10)의 형태가 달라질 경우 주행휠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traveling
몸체부(120)는 레일(10)의 하부에 배치되며 레일(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로부재(121)와, 가로부재(12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1주행휠(111)과 제2주행휠(112)의 축에 각각 연결되는 두 세로부재(122,123)를 포함한다. 또 몸체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향방향으로 향하여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되는 두 스트퍼부(124,125)를 구비한다. 스토퍼부(124,125)는 두 세로부재(122,123)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The
제1지지휠(111)과 제2지지휠(11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주행방향으로 가로부재(121)의 전방과 후방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지지휠(111)과 제2지지휠(112)은 승강이 가능하도록 몸체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소정길이의 제1승강연결부(133)와 제2승강연결부(134)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5, the
제1승강연결부(133)는 일단이 지지축(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1지지휠(131)의 축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지지휠(131)은 제1승강연결부(133)가 지지축(135)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승강할 수 있다. 제2지지휠(132) 및 제2승강연결부(134)의 설치방식도 마찬가지다.One end of the
제1승강연결부(133)와 제2승강연결부(134)를 지지하는 두 지지축(135,136)은 가로부재(121) 상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양단이 두 세로부재(122,123)에 연결될 수 있다.The two supporting
여기서는 제1승강연결부(133)와 제2승강연결부(134)의 설치를 위해 두 개의 지지축(135,136)을 이용하고 있지만, 제1승강연결부(133)와 제2승강연결부(134)의 설치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승강연결부(133,134)가 가로부재(121)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Although two
도 5를 참조하면, 제1승강연결부(133)와 제2승강연결부(134)는 제1지지휠(131)과 제2지지휠(132)이 레일(10)의 하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V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들 두 승강연결부(133,134)가 탄성부재(140)에 의해 상호 지탱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양단이 제1승강연결부(133)와 제2승강연결부(134)에 각각 연결된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5, the
이러한 구성은 탄성부재(140)의 인장력이 제1승강연결부(133)와 제2승강연결부(134)에 작용하여 제1승강연결부(133)와 제2승강연결부(134)에 각각 상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부여함으로써 행거(100)가 주행할 때 제1지지휠(131)과 제2지지휠(132)이 레일(10)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름운동을 하고, 이를 통해 행거(100)의 안정된 주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본 실시 예는 승강이 가능한 두 개의 지지휠(131,132)을 채용한 경우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휠이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지지휠이 가로부재(121)의 중심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10) 하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 case in which two
몸체부(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부(1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30)의 안정된 지지를 위해 반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본 실시 예에 따른 행거(100)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행휠(111)과 제2주행휠(112)이 레일(10)의 양측에 걸린 상태에서 구름운동을 하고, 제1지지휠(131)과 제2지지휠(132)이 두 주행휠(111,112)의 전방과 후방 위치에서 각각 레일(10) 하면을 지지한 상태로 구름운동을 하기 때문에 안정된 지지를 구현하여 들뜨거나 흔들리지 않고 원활히 주행할 수 있다. 5 and 6, the
행거(100)가 레일(10)의 곡선이나 굴곡부를 주행할 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휠(111)과 제2지지휠(112)의 높이가 레일(10)의 상황에 따라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행거(100)가 레일에 끼여 정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설령 걸리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제1 및 제2지지휠(131,132)의 높이가 변하면서 쉽게 걸림이 해제된다. 또 레일(10)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된 제1주행휠(111)과 제2주행휠(112)이 레일(10)의 형태를 따라 쉽게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일(10)에 곡선이나 굴곡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원활히 주행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10: 레일,
30: 케이블,
100: 행거,
111: 제1주행휠,
112: 제2주행휠,
120: 몸체부,
131: 제1지지휠,
132: 제2지지휠,
133: 제1승강연결부,
134: 제2승강연결부,
140: 탄성부재.10: rail, 30: cable,
100: hanger, 111: first driving wheel,
112: second traveling wheel, 120: body portion,
131: first support wheel, 132: second support wheel,
133: first elevating connection, 134: second elevating connection,
140: Elastic member.
Claims (8)
상기 주행휠을 지지하며 물체의 연결을 위한 물체지지부가 마련된 몸체부;
상기 레일의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휠; 및
상기 지지휠을 상기 레일 하면 쪽으로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행거.A traveling wheel traveling along the rail;
A body portion supporting the traveling wheel and provided with an object support portion for connecting an object;
A support wheel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rail and being vertical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And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raise the support wheel to the underside of the rail.
상기 주행휠은 상기 레일의 양측을 따라 주행하는 제1주행휠과 제2주행휠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주행휠의 축에 각각 연결되는 세로부재들을 포함하는 행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veling wheel includes a first traveling wheel and a second traveling wheel traveling along both sides of the rail,
The body portion includes a transverse memb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il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ail, and a vertical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transverse member and connected to shafts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ing wheels, Hanger.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휠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휠의 승강을 구현하는 승강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행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connection for supporting said support wheel in a rotatably connected state to said body and for lifting said support wheel by rotation.
상기 지지휠은 주행방향으로 상기 가로부재의 전방과 후방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지지휠과 제2지지휠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휠을 지지하는 제1승강연결부와, 상기 제2지지휠을 지지하는 제2승강연결부를 포함하는 행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wheel includes a first support wheel and a second support wheel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front of and behind the transverse member in the running direction,
Wherein the lifting connection includes a first lifting connection for supporting the first supporting wheel and a second lifting connection for supporting the second supporting wheel.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제1승강연결부와 상기 제2승강연결부에 각각 연결된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행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tension spring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rst lifting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lifting connection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승강연결부는 양단이 상기 두 세로부재를 연결된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행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joints are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a support shaft connected to the two longitudinal members.
상기 몸체부는 주행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행거.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 stopper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running direction.
상기 물체지지부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부를 포함하는 행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bject support comprises a cab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c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9488A KR20160120462A (en) | 2015-04-08 | 2015-04-08 | han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9488A KR20160120462A (en) | 2015-04-08 | 2015-04-08 | hang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0462A true KR20160120462A (en) | 2016-10-18 |
Family
ID=5724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9488A Ceased KR20160120462A (en) | 2015-04-08 | 2015-04-08 | 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046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79207A (en) * | 2018-10-24 | 2019-01-11 | 太原科技大学 | A kind of track obstacle avoiding type lifting transportation system |
CN117277170A (en) * | 2023-10-17 | 2023-12-22 | 中建四局安装工程有限公司 | Cable hanger of building machine |
-
2015
- 2015-04-08 KR KR1020150049488A patent/KR2016012046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79207A (en) * | 2018-10-24 | 2019-01-11 | 太原科技大学 | A kind of track obstacle avoiding type lifting transportation system |
CN109179207B (en) * | 2018-10-24 | 2024-03-22 | 太原科技大学 | Rail obstacle avoidance type lifting conveying system |
CN117277170A (en) * | 2023-10-17 | 2023-12-22 | 中建四局安装工程有限公司 | Cable hanger of build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84655B2 (en) | Vehicle for moving a container and system allowing such vehicle to move the container | |
US20050025612A1 (en) | Mobile lifting device | |
JP5018598B2 (en) | Lifting type overhead carrier | |
KR101752450B1 (en) | gantry crane | |
CN101547854B (en) | Turning device for hoist | |
US10246296B2 (en) | Control cable guide device for elevator | |
JP2009184544A (en) | Suspending conveyor device | |
CN101397014B (en) | Conveying apparatus | |
KR101715302B1 (en) | Latching devices for hoist crane | |
KR20160120462A (en) | hanger | |
CN104787686A (en) | Partition assembling device | |
JP2016172614A (en) | Carrying-in device | |
RU2672309C1 (en) | Crane truck | |
JP2009057183A (en) | Stacker crane | |
CN103144699B (en) | A kind of vehicle body lifting appliance erection device and vehicle body lifting appliance | |
RU106625U1 (en) | LOADING DEVICE FOR LOADING / UNLOADING RAIL RAILS | |
CN105540443A (en) | Portal crane | |
JP6905334B2 (en) | Crane equipment installed on the middle floor of the building | |
JP5343740B2 (en) | Track carriage with lifting mechanism | |
KR20130057545A (en) | Operator boarding type ceiling crane | |
JP5168321B2 (en) | Carrier lifting device | |
JP2010202357A (en) | Overhead crane | |
JP3862634B2 (en) | Overhead traveling crane | |
KR20110023721A (en) | 2-car large meander lift | |
CN222684202U (en) | Loading and unloading RGV dol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