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12469A -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469A
KR20160112469A KR1020150038243A KR20150038243A KR20160112469A KR 20160112469 A KR20160112469 A KR 20160112469A KR 1020150038243 A KR1020150038243 A KR 1020150038243A KR 20150038243 A KR20150038243 A KR 20150038243A KR 20160112469 A KR20160112469 A KR 20160112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medical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화
이창섭
이종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469A/ko
Priority to US14/876,283 priority patent/US20160275249A1/en
Priority to CN201580076458.8A priority patent/CN107251029A/zh
Priority to PCT/KR2015/010958 priority patent/WO2016148363A1/en
Priority to EP15885665.8A priority patent/EP3271842A4/en
Publication of KR20160112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46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06F19/32
    • G06F19/3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사용자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1 의료 정보를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와 구별되는 제2 의료기기 또는 제2 서버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호환 처리하여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하고,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제2 의료기기 및 제2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의 일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제1 의료 정보가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FOR MANAG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개인이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기기를 이용하여 검사를 받은 경우 검사 결과를 처리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의료 서비스 및 의료 정보기술의 발달로 개인이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 서비스 또는 의료기기를 이용한 검사를 받은 경우 검사 결과인 전자 개인의료정보(PHR: Personal Health Record)가 검사를 받은 병원 내부에 저장된다.
개인이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은 결과에 대한 개인 의료 정보가 병원의 EMR 시스템 등과 같은 각각의 병원 내의 서버 등에만 저장되는 경우,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았던 개인이 다른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경우 과거의 검사 기록은 활용할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개인의 과거 의료정보는 오랜 기간에 걸쳐 건강 상태가 어떻게 변화 하였는지 판단하고 이상 징후를 발견하기 위한 검사 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처럼 개인 의료정보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 이렇게 각각의 병원에서 개인 의료정보를 따로 저장하고 있는 경우라면 개인이 과거 방문하였던 병원에 일일이 찾아 다니며 기록을 모아서 새로운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렇다고 하여 병원들 간의 의료정보 통합하기 위한 중앙 집약적 서버를 운용함으로써 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 이런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현재로서는 법적인 이슈와 개인정보보호의 이슈에도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과거 검사 기록 활용 문제 및 개인 정보 보호 문제를 해결하여 환자의 의료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환자의 의료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사용자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1 의료 정보를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와 구별되는 제2 의료기기 또는 제2 서버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호환 처리하여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하고, 수정 제1 의료 정보가 제2 의료기기 및 제2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의료기기로부터 직접 전송되는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의 제1 식별 정보가 서버가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의 제2 식별 정보가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의료기기가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식별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검사를 수행한 경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될 때 의료기기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이전에 수행한 검사에 대한 결과에 대응되는 제2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서버로부터 제2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제1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3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제3 의료 정보가 제1 서버로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1 서버의 의료 정보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제1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의료 정보에서 제1 서버로 전송할 제3 의료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2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4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제2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제2 서버로부터 제2 서버의 의료 정보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제2 보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2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할 제4 의료 정보를 선택하여 제4 의료 정보를 제2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RFID, Barcode, QRCod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Zigbee 및 Ant+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의료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의료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의 일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제1 의료 정보가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1 의료 정보가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는 블루투스, RFID, Barcode, QRCod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Zigbee 및 Ant+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 결과에 대응되는 제2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제 의료기기가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 제1 의료 정보를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의료 정보는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제1 의료 정보의 수신 전에 수행한 검사에 대한 결과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서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의료기기로부터 직접 전송되는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제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의료기기 및 제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의료기기가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검사를 수행한 경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될 때 의료기기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서 제2 의료 정보는 제2 서버 또는 제2 서버와 관련된 의료 기기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제1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제2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제1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의료 정보인 적어도 하나의 제3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서버로 제3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서 제3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의료 정보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제1 보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할 제3 의료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제1 서버의 어플리케이션이 제2 의료 정보를 이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제1 서버로 변환된 제2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의료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의 일 실시예로서, 의료기기가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서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단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의료기기, 병원정보시스템 및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동하여 개인 의료정보를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시키고 필요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병원정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다른 병원에 방문하였을 때 과거 의료정보를 확인하고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본원 발명은 개인의 과거 의료 정보를 후속 시점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개인의 의료 정보를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하여 활용함으로써 개인정보 보호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간의 정보 흐름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1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1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개인 의료 정보의 처리 및 저장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간의 개인 의료 정보의 처리 및 저장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의료기기, 제1 서버 및 제2 서버 간의 정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개인 의료 정보의 처리 및 저장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간의 개인 의료 정보의 처리 및 저장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방문한 병원에 대응하는 제1 서버와의 관계에서 접수를 진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수 과정 수행 시 모바일 디바이스, 제1 서버 및 의료기기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1 의료 정보를 제1 서버 및 의료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5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1 서버로부터 의료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 받아 제1 서버로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1 서버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의료 정보를 호환 처리하여 생성한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블록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의료 영상, 환자 진료 기록, 환자 진단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의료 관련 서버 및 의료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의료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사용자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제어부(120),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및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외의 다른 기기, 예를 들면 의료 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다른 기기에서 의료 정보를 필요로 하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를 다른 기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보유하고 있을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렇게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는 통신부(110)를 통해 다른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의료 정보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 또는 메모리(130)를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사용자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의료 정보는 의료 정보 관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규격에의 정합 여부에 불문하고 저장하도록 메모리(1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메모리(130)에 저장된 의료 정보를 다른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전송될 기기에서 이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 가능하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특징은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제어부(270), 메모리(220), GPS 칩(225), 통신부(230), 비디오 프로세서(235), 오디오 프로세서(1240),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부(250), 촬상부(255), 스피커부(260), 움직임 감지부(26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통신부(230), 제어부(270) 및 메모리(220)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메모리(130)에 동일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표시패널(211) 및 표시 패널(21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11)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211)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사용자 입력부(245)의 터치 패널(247)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은 표시 패널(211)과 터치 패널(247)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미도시)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22)는 도 1의 메모리(130)에 대응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7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동작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에는 잠금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부(27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70)는 도 1의 제어부(120)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RAM(271), ROM(272), CPU(273), GPU(Graphic Processing Unit)(274) 및 버스(2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RAM(271), ROM(272), CPU(273) 및 GPU(274) 등은 버스(27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273)는 메모리(22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2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2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2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273)가 ROM(2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220)에 저장된 OS를 RAM(2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273)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271)에 복사하고, RAM(27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274)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210)의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274)는 컨텐츠, 아이콘, 메뉴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가 표시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274)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GPU(274)는 연산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274)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1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210)의 각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GPS 칩(225)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22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와이파이칩(231), 블루투스 칩(232), 무선 통신 칩(233), NFC 칩(2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30)는 도 1의 통신부(110)에 대응될 수 있다.
와이파이 칩(231), 블루투스 칩(2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231)이나 블루투스 칩(2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23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23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비디오 프로세서(235)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23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240)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24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235) 및 오디오 프로세서(124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스피커부(260)는 오디오 프로세서(124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5)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5)는 키(246), 터치 패널(247) 및 펜 인식 패널(2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246)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47)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247)이 표시 패널(211)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구성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248)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펜의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펜 근접 이벤트 또는 펜 터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248)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248)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248)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248)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248)은 표시 패널(211)의 하부에 일정 면적, 예를 들어, 표시 패널(211)의 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부(25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마이크 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 동작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255)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255)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상부(255) 및 마이크부(25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270)는 마이크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255)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촬상부(255)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마이크부(2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265)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본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움직임 감지부(265)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각도, 기울기 등과 같은 움직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300)에 대한 블록도이다. 의료기기(300)는 환자의 진단에 필요한 의료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기(300)는 X-ray 장치, CT 장치, 초음파 장치, MRI 장치와 같은 의료 장치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외진단기기와 같은 개인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 또는 건강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즉, 의료기기(300)를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 등을 나타내는 의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의료기기(300)에서 생성된 의료정보를 다른 기기, 예를 들면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서버 등에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다른 기기들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의료기기(300)로 하여금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 수행 결과를 다른 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의료기기(300)에 대한 특징은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간의 정보 흐름에 대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410)는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응될 수 있고, 의료기기(420)는 도 3의 의료기기(300)에 대응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병원에 방문한 제1 사용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제1 서버(43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병원 진료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의료기기(420)의 제어부(320)는 모바일 디바이스(410)로부터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고, 수신한 제1 식별 정보 또는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1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의료기기(420)에서 생성된 의료정보를 의료기기(420)로부터 직접 전송 받을 수 있고, 의료기기(420)가 있는 병원의 제1 서버(430)를 통하여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의료기기(420)는 체외진단기기, MRI 장치, CT 장치, 초음파 장치 등의 개인의 건강 정보 또는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의료기기(420)는 임의의 병원 등과 같이 환자의 진료에 관련된 장소에 위치하면서 개인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검사 결과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등의 의료 정보를 해당 병원에 관련된 제1 서버(43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병원 측에서는 현재 개인이 방문하여 검사를 받은 결과에 대한 의료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 등을 진단할 수 있다. 의료기기(420)는 제1 식별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1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410)가 제1 서버(430)로 전송한 제1 식별 정보를 제1 서버(430)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의료기기(420)의 제어부(320)는 수신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검사 결과에 해당하는 제1 의료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10) 또는 제1 서버(43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에서 제1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51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의료기기(420)가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의 송신을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 요청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로서 의료기기(420)의 제어부(320)는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하고 이에 기초하여 검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410)는 의료기기(420)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기에 앞서서, 먼저 접수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접수 단계를 거침으로써,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사용자가 방문한 병원에서 어떤 진료를 받을 것인지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410)에 의한 접수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수동적으로 접수를 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410)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접수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2는 모바일 디바이스(1200)를 이용하여, 방문한 병원에 대응하는 제1 서버(1210)와의 관계에서 접수를 진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모바일 디바이스(1200)와 제1 서버(1210)는 각각 도 4의 모바일 디바이스(410)와 제1 서버(43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0)의 사용자가 병원에 방문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200)와 제1 서버(1210)와의 NFC, Bluetooth, WIFI Direct 및 RFID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한 접수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접수 단계가 진행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상에 팝업하는 방식으로 접수 진행 알림창(120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로서는 접수 진행 알림창(1202)을 통하여 어느 병원에서의 접수가 진행되는지를 확인한 후 모바일 디바이스(1200)에 터치 입력(1204)을 하여 접수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3은 모바일 디바이스(1300)의 접수 과정 수행 시 모바일 디바이스(1300), 제1 서버(1310) 및 의료기기(1312)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의 모바일 디바이스(1300) 제1 서버(1310) 및 의료기기(1312)는 각각 도 4의 모바일 디바이스(410), 제1 서버(430) 및 의료기기(42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0)가 접수 단계를 진행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제1 서버(1310)로 전송할 구체적인 정보를 기재함으로써 어떤 정보를 제1 서버(1310)로 제공하여 접수를 진행할 것인지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300)는 접수를 진행할 것으로 결정한 후 디스플레이 상에 팝업하는 방식으로 접수 정보창(1302)을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300)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전화번호, 생년월일 및 진료과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접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300)는 정보 전송 입력(1304)를 수신하면 제1 서버(1310)로 접수 정보를 제1 서버(13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300)는 접수 과정에서 제1 서버(131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300)와 관련된 네트워크 정보를 제1 서버(13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1310)로 전송된 네트워크 정보는 의료기기(1312)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후에 의료기기(1312)가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제1 서버(1310) 또는 의료기기(1312)가 모바일 디바이스(1300)로 전송하기 위해 이러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10)가 의료기기(420)로 제1 의료 정보를 요청한 경우에는 의료기기(420)로부터 직접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20)가 제1 서버(430)로 제1 의료 정보를 요청한 경우에는 제1 서버(430)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서버(430)로부터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는 제1 서버(430)가 의료기기(420)로부터 수신한 제1 의료 정보일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400)가 제1 의료 정보를 제1 서버(1410) 및 의료기기(141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화 한 것이다. 도 14의 모바일 디바이스(1400) 제1 서버(1410) 및 의료기기(1412)는 각각 도 4의 모바일 디바이스(410), 제1 서버(430) 및 의료기기(42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400)는 검사를 수행하여 생성된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1 서버(1410) 및 의료기기(141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여 달라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400)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전송 요청창(1402)을 팝업하여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400)는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전송 요청 입력(1404)을 수신하여 제1 서버(1410) 및 의료기기(1412)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의료기기(1412)는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생성한 의료 정보인 제1 의료 정보를 전송 요청 수신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4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1410)는 의료기기(1412)로부터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제1 서버(1410)가 수신한 전송 요청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1410) 또는 의료기기(1412)는 제1 서버(1410)가 수신한 모바일 디바이스(1400)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400)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의료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한 제1 서버(1410) 및 의료기기(1412)는 제1 의료 정보 전송 요청을 수락할지에 대한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으며, 팝업창에 의료 정보 전송 요청을 수락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400)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관련된 하나의 예에 해당하며, 제1 서버(1410) 및 의료기기(1412)의 이러한 의료 정보 전송 요청을 수락하는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400)로부터 의료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 측의 요청 수락 동작 없이 자동적으로 의료기기(1412)가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400)의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400)로 전송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S420 단계에서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는 다른 병원에 방문하였을 때 다른 제2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의료 정보를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와 구별되는 제2 의료기기 또는 제2 서버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호환 처리하여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410)는 제1 서버(430) 및 제1 서버(430)와 관련된 의료기기 인 제1 의료기기(420)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인 제1 의료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의료 정보는 제1 서버(430)에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서버(430)와 다른 외부 서버, 예를 들면 제1 서버(430)와 관련된 병원과 다른 병원으로 전송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의료 기관의 과거 진료 기록 또는 의료 정보의 교환은 환자의 건강 상태 확인에 있어서 필수적이기 때문에 환자가 방문한 병원이 변경되는 경우 이전에 생성한 의료 정보들을 이전의 병원으로부터 수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의료 정보에 대한 이력을 통신사나 IT 업체에서 중앙 서버를 활용하여 관리하여왔지만 이러한 서버가 병원이 아닌 곳에 저장되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문제가 생길 수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410)에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사용자에 관련된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병원을 옮길 때마다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다른 병원 측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서로 다른 병원 간에는 진료 기록, 의료 영상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 또는 이와 관련된 규격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서로 다른 시스템 또는 규격 간의 호환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의료 정보에 대응하는 규격과 전송하려는 제2 서버(미도시)에서 사용하는 규격이 서로 호환되도록 제1 의료 정보에 호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S540 단계에서 생성한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미도시) 및 제2 서버(미도시)와 관련된 제2 의료기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수정 제1 의료 정보가 제2 서버(미도시)로 전송되는 경우에 제1 의료 정보와 달리 제2 서버(미도시)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또는 규격에 호환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서버(430)로부터 수신한 제1 의료 정보에 대한 내용을 제2 서버(미도시)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수신 또는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도 2의 도면 부호 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 데이터 생성 병원 또는 의료기기, 데이터 생성 시기,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데이터의 송수신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1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의료기기(420)가 수신된 제1 식별정보 및 제2 식별정보의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10)에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61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식별 정보는 의료기기(420)가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의료기기(420)의 제어부(320)는 제1 식별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1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면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식별 정보가 제1 서버(430)에만 전송된 경우, 제1 서버(430)는 의료기기(420)로 제1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의료기기(420)의 제어부(320)는 제1 서버(430)로부터 수신된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의료기기(420)가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의 송신을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 요청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5의 S510 단계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6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식별 정보가 제1 서버(430)로만 전송된 경우, 제1 서버(430)는 의료기기(420)로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전송된 제1 식별 정보와 S630 단계에서 전송된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모바일 디바이스(410)가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S64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의료기기(420)가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식별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가 일치될 때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의료 정보를 의료기기(420)로부터 직접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고, 의료기기(420)가 제1 서버(430)로 전송한 제1 의료 정보를 제1 서버(430)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S6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가 의료기기(420)로 제1 의료 정보를 요청한 경우라면, 의료기기(420)가 모바일 디바이스(410)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S6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가 제1 서버(430)로 제1 의료 정보를 요청한 경우라면, 제1 서버(430)가 의료기기(420)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1 의료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1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S65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S640 단계에서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650 단계는 도 5의 S530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일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는 다른 병원에 방문하였을 때 다른 제2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S66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의료 정보를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와 구별되는 제2 의료기기 또는 제2 서버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호환 처리하여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 의 S540 단계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67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S660 단계에서 생성한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미도시) 및 제2 서버(미도시)와 관련된 제2 의료기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 의 S550 단계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개인 의료 정보의 처리 및 저장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수신된 제1 의료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10)에서 저장하고, 제1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430)에서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에서는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인 제3 의료 정보를 제1 서버(430)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410)는 현재의 검사 결과에 해당하는 제1 의료 정보 외의, 과거에 검사를 수행한 결과에 해당하는 제2 의료 정보를 제1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제2 의료 정보에는 제1 서버가 저장하고 있지 않은 제3 의료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410)는 제2 의료 정보를 전부 전송할 것을 요청 받아, 제1 서버로 제2 의료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제1 서버(4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제3 의료 정보만을 제1 서버(4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S710 단계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2 의료 정보를 저장하도록 메모리(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의료 정보란 모바일 디바이스(410)에서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당시에 이미 모바일 디바이스(410)에서 저장하고 있던 의료 정보이거나 또는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수행한 검사에 대한 결과에 대응하는 의료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가 현재 병원에 방문하여 의료기기(420)를 이용한 검사를 받은 경우, 제2 의료 정보는 현재 병원에서의 검사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제외한 의료 정보로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에서 이미 저장하고 있는 과거의 의료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S710 단계에서 제2 의료 정보를 저장하도록 메모리(130)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모바일 디바이스(410)에서 제2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도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를 참조하면, 병원에 방문하여 진단을 받는 과정에서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제1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의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6의 S61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7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의료기기(420)가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의 송신을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 요청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6의 S62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74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식별 정보란 S720 단계에서 의료기기(420)가 수신한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 후 모바일 디바이스(410)가 검사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요청할 때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식별 정보이다.
S750 단계에서 S740 단계에서 수신한 제2 식별 정보와 S720 단계에서 수신한 제1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 의료기기(420)가 제1 식별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수행한 검사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의료기기(420)에 의해 검사가 수행되기 전인 S7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식별 정보가 의료기기(420) 및 제1 서버(43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의료기기(420)가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여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직접 또는 제1 서버(430)를 거쳐서 의료기기(420)로 제1 의료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 때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2 식별 정보를 직접 또는 제1 서버(430)를 거쳐서 의료기기(420)로 전송하게 된다.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기(420)의 제어부(320)는 S720 단계에서 수신한 제1 식별 정보와 S740 단계에서 수신한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제1 의료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10)로 전송한다. 즉, 제1 의료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410)로 전송하기에 앞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의 매칭을 통해 인증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S76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의료기기(420)로부터 직접 또는 제1 서버(430)를 통해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도록 메모리(130)를 제어할 수 있다. 수신된 제1 의료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는 다른 병원에 방문하였을 때 다른 제2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S77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서버(430)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제2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제1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3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3 의료 정보는 제1 서버(4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제1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로서, 현재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기기(420)를 이용한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 외에 모바일 디바이스(410)에 저장된 의료 정보인 제2 의료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S78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서버(430)로부터 제1 보유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 보유 정보란 제1 서버(430)가 저장하고 있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의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4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의료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S79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430)로 제1 사용자의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보유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410)가 저장하고 있는 제2 의료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서버(430)가 저장하고 있지 않은 제3 의료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3 의료 정보만을 제1 서버(43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의료 정보를 제1 서버(430)로 전송함에 앞서, 환자 등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사용자의 의료 정보 전송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동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의료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동의 여하에 따라 의료 정보를 다루는 단계에서 위법성이 문제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필요할 수도 있다. 제1 서버(430)에서 제1 의료 정보 및 제3 의료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현재 제1 사용자가 방문하여 검사 받은 결과에 해당하는 제1 의료 정보를 과거 의료 정보 등과 함께 활용하여 제1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변화 양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790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모바일 디바이스(410)의 제어부(120)는 제1 서버(430)로 전송되는 제3 의료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1 서버(430)로 전송되는 제3 정보를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부(도 2의 210)를 제어할 수 있다(단계 미도시).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500)가 제1 서버(1510)로부터 의료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 받아 제1 서버(1510)로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의 모바일 디바이스(1500) 및 제1 서버(1510)는 각각 도 4의 모바일 디바이스(410) 및 제1 서버(43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500)는 제1 의료 정보 수신 전에 저장하고 있던 의료 정보인 제2 의료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1 서버(151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500)는 제1 서버(1510)로부터 의료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 받고, 이러한 요청을 수락하기 위해 도면 부호 1504에 해당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1 서버(1501)로 의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500)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의료 정보 전송 요청 화면(1502)을 표시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전송 요청 화면(1502)은 제1 서버(1510)가 요청하는 구체적인 의료정보요구사항(15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료정보요구사항(1503)에는 의료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서버(1510)에 대응하는 병원 이름, 관련 진료과, 요청 기간, 요청 자료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간의 개인 의료 정보의 처리 및 저장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수신된 제1 의료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800)에서 저장하고, 제1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804)에서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800)에서는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인 제3 의료 정보를 제1 서버(804)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800), 의료기기(802) 및 제1 서버(804) 간의 정보의 흐름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도 4의 모바일 디바이스(410)에 대응될 수 있고, 의료기기(802)는 도 4의 의료기기(420)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서버(804)는 도 4의 제1 서버(430)에 대응될 수 있다.
S81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제2 의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의 S71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81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제1 사용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제1 서버(804)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S72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814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한 제1 서버(804)는 수신한 제1 식별 정보를 의료기기(802)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S72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816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기(802)의 제어부(320)는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818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기기(802)의 제어부(320)는 S816 단계에서 수행한 검사의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제1 서버(804)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의 S740 단계에 대한 내용 중 의료기기(420)가 제1 서버(430)에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내용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819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서버(804)는 의료기기(802)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S820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제어부(120)는 의료기기(802)로 제1 의료 정보를 요청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의 S73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82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제어부(120)는 의료기기(802)에 제1 사용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의 S740 단계 중 모바일 디바이스(410)가 의료기기(420)로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내용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824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기기(802)의 제어부(320)는 제1 서버(804)로부터 수신한 제1 식별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800)로부터 수신한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1 의료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800)로 전송하기 전에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의 매칭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동일한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인지에 대한 인증을 거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에서의 S750 단계에 대한 내용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S825 단계에서 의료기기(802)의 제어부(320)는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할 것을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요청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다시 S822 단계를 거치면서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 제2 식별 정보를 의료기기(802)로 전송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S824 단계에서 의료기기(802)의 제어부(320)는 모바일 디바이스(800)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S828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S826 단계에서 의료기기(802)가 수신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함으로써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도록 메모리(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에서의 S76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830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서버(804)는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저장된 제1 사용자의 제2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제1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3 의료 정보의 전송을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에서의 S77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832 단계에서 제1 서버(804)는 제1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 상황을 나타내는 제1 보유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8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제2 의료 정보와 수신한 제1 보유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제1 서버(804)로 전송할 제3 의료 정보를 선택하기 위해 제1 보유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의 S78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83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S832 단계에서 제1 서버(804)로부터 수신한 제1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804)로 전송할 의료 정보인 제3 의료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 보유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800)에서 저장하고 있는 제2 의료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서버(804)로 전송할 제3 의료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S836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제어부(120)는 제1 서버(804)로 S834 단계에서 선택한 제3 의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의 S79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910), 의료기기(920), 제1 서버(930) 및 제2 서버(940) 간의 정보 흐름에 대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910)는 도 4의 모바일 디바이스(410)에 대응될 수 있고, 의료기기(920)는 도 4의 의료기기(420)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서버(930)는 도 4의 제1 서버(43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2 서버(940)는 제1 서버(930)와 별개의 서버로서, 제1 서버(930)에 대응되는 병원과 다른 병원에 대응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910)는 제1 서버(930)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이미 제2 서버(940)로부터 제2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의료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제1 의료 정보의 수신 전에 수행한 검사에 대한 결과에 대응하는 의료 정보일 수 있다. 제1 서버(930)에 접속한 후에 이루어지는 검사 전에 이미 이루어진 검사에 대한 결과를 제1 서버(930)가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910)는 제1 서버(930)에 제2 의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과거 의료 정보를 이용한 건강 상태 또는 질병 회복 상태 여부 등에 대한 분석은 환자를 진단함에 있어서 필수적이기 때문에 방문한 병원에서의 과거 의료 기록 또는 진료 기록이 필요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910)를 사용하는 사용자로서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910)에서 본인의 의료 정보를 취합하여 관리함으로써 현재 방문한 병원의 서버인 제1 서버(930)에 본인의 모바일 디바이스(910)에 저장된 과거 의료 정보인 제2 의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의료 정보는 사용자가 이전에 방문하였던 다른 병원에 해당하는 제2 서버(940)에 접속하여 검사를 수행한 결과로서 제2 서버(940) 또는 제2 서버(940)와 연동되는 의료기기(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 의료 정보일 수 있다. 제2 의료 정보는 제1 서버(930) 또는 제1 서버(930)와 연동되는 의료기기(920)와 다른 외부 서버 또는 기기로부터 수신한 것이므로, 제1 서버(930) 또는 의료기기(920)에서 사용하는 규격과 다른 규격을 사용하여 생성된 의료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버(930)는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또는 HL7(Health Level 7) 등과 같은 규격을 이용한 의료 영상 및 메시지 생성 및 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910)가 제1 서버(930)로 제2 의료 정보를 전송하여, 제1 서버(930)가 수신한 제2 의료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의료 영상 및 송수신 메시지 등의 의료 정보 관련 데이터가 표준(standard) 및 규격에 맞는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동일한 확장자를 갖는 데이터 형식에 해당하는 등 제1 서버(930)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이용 가능한 형태에 해당해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메모리(130)는 제2 서버(940) 또는 제2 서버(940)와 연동되는 의료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이러한 제2 의료 정보를 제1 서버(930)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서버(930)가 이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서버(930)에서 이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데이터를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제1 서버(9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910)는 제1 서버(930)로부터 제2 의료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서버(930)에서 사용하는 의료 영상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규격 또는 표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규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서버(930)에 대한 규격 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디바이스(910)에서는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930)로 전송할 의료 정보인 제2 의료 정보를 제1 서버(930)에서 이용 가능한 적합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규격 정보에는 제1 서버(930)가 의료 정보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규격 및 규격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910)는 제1 서버(930)가 보유하고 있는 의료 정보에 대한 정보인 제1 보유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의료 정보 중 제1 서버(930)가 보유하지 않은 의료 정보인 제3 의료 정보가 무엇인지 결정할 수 있으며, 제1 서버(930)에서 사용하는 의료 영상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규격 또는 표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규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910)는 제1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930)에 전송할 제3 의료 정보를 결정하고, 수신한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930)로 전송할 의료 정보인 제3 의료 정보를 제1 서버(930)에서 이용 가능한 적합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910)와 제2 서버(940)와의 의료 정보 교환은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제1 사용자가 제1 서버(930)에 대응되는 병원 외의 다른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은 결과에 해당하는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서버(9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의료 정보인 제4 의료 정보의 송수신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개인 의료 정보의 처리 및 저장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제2 보유 정보를 제2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제2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4 의료 정보를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100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제어부(120)는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의료기기(920)가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의 송신을 의료기기(920) 및 제1 서버(930) 중 적어도 하나로 요청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의료 정보란 의료기기(920)가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수행한 검사 결과에 대응될 수 있는 의료 정보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의 S51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101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제어부(120)는 의료기기(920) 및 제1 서버(9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의 S52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10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제어부(120)는 S1010 단계에서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도록 메모리(1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 의료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고,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는 환자가 다른 병원에 방문한 경우와 같이 다른 병원에 대응되는 제2 서버에서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야 할 필요가 생겼을 때, 제2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의 서버들 간에, 데이터 송수신 규격인 DICOM 규격에 따라서 소정 데이터를 경우, 제1 의료 정보는 DICOM, PACS,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PHR(Personal Health Record), RIS(Radiology Information System), HL7 등의 규격에 맞춰 생성 및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병원 의료 시스템 및 의료 정보 규격은 상기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는 병원 시스템과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의료 정보 송수신 및 처리가 가능한 모든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
S10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제어부(120)는 제2 서버(940)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2 서버(9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4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서버(930)와 제2 서버(940)는 서로 다른 의료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930)와 제2 서버(940)는 의료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 서버(930)와 제2 서버(940)는 서로 다른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1 서버(930)에 저장된 의료 정보 중 제2 서버(940)에 저장되지 않은 의료 정보가 존재하며, 제2 서버(940)에 저장된 의료 정보 중 제1 서버(930)에 저장되지 않은 의료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1 서버(930) 또는 제2 서버(940)에 각각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9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서버(930)가 저장하고 있지 않은 의료 정보로서 모바일 디바이스(9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3 의료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910)로부터 제1 서버(9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의 S770 단계 내지 S790 단계에 대한 내용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910)가 의료 기기(920)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제2 서버(940)로부터 제2 서버(9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4 의료 정보의 전송을 요청 받을 수 있다. 제4 의료 정보는 제2 서버(940)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의료 정보를 의미하는 점에서 제1 의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104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제어부(120)는 제2 서버(940)로부터 제2 보유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2 보유 정보는 제2 서버에서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의 보유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S105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제어부(120)는 S1040 단계에서 제2 서버(940)로부터 수신한 제2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서버(940)로 제1 사용자에 대한 제4 의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제어부(120)는 수신한 제2 보유 정보와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910)에서 저장하고 있는 의료 정보로서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서버(940)에서 저장하고 있지 않은 의료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제어부(120)는 제2 서버(940)에서 저장하고 있지 않은 의료 정보를 선택하여 제2 서버(94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910)에서 제2 서버(940)로 전송될 데이터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910)의 제어부(120)는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서버(940)에서 저장하고 있지 않은 의료 정보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미도시)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되는 리스트에서 제2 서버(940)로 전송하고자 하는 소정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소정 정보가 제2 서버(94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간의 개인 의료 정보의 처리 및 저장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100)가 제2 보유 정보를 제2 서버(1106)로부터 수신하고, 제2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서버(1106)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4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106)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100), 의료기기(1102), 제1 서버(1104) 및 제2 서버(1106) 간의 정보 흐름에 관한 흐름도 이다.
S1110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제어부(120)는 제2 의료 정보를 저장하도록 메모리(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의료 정보란 모바일 디바이스(1100)에서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당시에 이미 모바일 디바이스(1100)에서 저장하고 있던 의료 정보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8의 S81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111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제1 서버(1104)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8의 S812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1114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한 제1 서버(1104)는 수신한 제1 식별 정보를 의료기기(1102)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S814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1116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한 의료기기(1102)는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다.
S1118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기기(1102)는 S1116 단계에서 수행한 검사의 결과인 제1 의료 정보를 제1 서버(1104)로 전송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8의 S818 단계에 대한 내용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1119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서버(1104)는 의료기기(1102)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S1120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제어부(120)는 의료기기(1102)로 제1 의료 정보를 요청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8의 S820 단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112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제어부(120)는 의료기기(1102)에 제1 사용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8의 S822 단계에 대한 내용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1124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기기(1102)는 제1 서버(1104)로부터 수신한 제1 식별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800)로부터 수신한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8에서의 S824 단계에 대한 내용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S1125 단계에서 의료기기(1102)의 제어부(320)는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할 것을 모바일 디바이스(1100)에 요청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100)는 다시 S1122 단계를 거치면서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 제2 식별 정보를 의료기기(802)로 전송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S1124 단계에서 의료기기(1102)의 제어부(32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0)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S1128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제어부(120)는 S1126 단계에서 의료기기(1102)가 수신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함으로써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한 경우, 메모리(130)에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도록 메모리(13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는 다른 병원에 방문하였을 때 다른 제2 서버(1106)에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S11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제어부(12)는 제2 서버(1106)로부터 제4 의료 정보의 전송을 요청을 수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4 의료 정보란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2 서버(1106)에서 저장하고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0의 S1030 단계에 대응하는 내용일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S113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제어부(120)는 제2 보유 정보를 제2 서버(1106)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보유 정보란 제2 서버(1106)가 저장하고 있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의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100)는 제2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서버(1106)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의료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0)는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와 수신한 제2 보유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제1 서버(1104)로 전송할 제4 의료 정보를 선택하기 위해 제2 보유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S113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제어부(120)는 S1132 단계에서 수신한 제2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서버(1106)로 전송할 제4 의료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100)는 제2 서버(1106)의 의료 정보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제2 보유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저장하고 있는 제1 의료 정보 및 제2 의료 정보와 비교하여 제2 서버(1106)로 전송할 제4 의료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S1136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제어부(120)는 S1134 단계에서 선택한 제4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106)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서버(1106)에서 제4 의료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2 서버(1106)에 대응하는 병원에서는 다른 병원에서 검사 받은 결과를 포함하는 제4 의료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되고 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610)가 제1 서버(1620)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의료 정보를 호환 처리하여 생성한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630)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의 모바일 디바이스(1610)는 도 9의 모바일 디바이스(91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고, 도 16의 제1 서버(1620)는 도 9의 제1 서버(93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고, 도 16의 제2 서버(1630)는 도 9의 제2 서버(94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의료기기에 의해 촬영된 의료 영상은 제1 서버(1620) 또는 제2 서버(1630)에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기기에 의해 생성된 의료 영상 파일은 DICOM 규격에 대응하는 형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1 서버(1620) 또는 제2 서버(1630)에서 DICOM 규격에 해당하는 영상 포맷을 이용 가능하다면 의료기기로부터 전송되는 DICOM 규격의 의료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제1 서버(1620)로부터 수신한 제1 의료 정보가 DICOM 규격의 영상 포맷에 해당하지 않고 다른 영상 포맷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할 제2 서버(1630)측에서 해당 영상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제2 서버(1630)에서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의료 정보가 제2 서버(1630)에서 호환 가능하지 않은 경우라면 모바일 디바이스(1610)는 제2 서버(1630)에서 호환 가능한 포맷으로 제1 의료 정보를 변경하는 호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제2 서버(1630)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인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DICOM 규격에는 영상 정보뿐만 아니라 환자 데이터(환자 이름, 환자 성별, 환자 ID), 영상 방식(modality) 및 영상화 과정 정보(방사선 량, 조영제, 장치 파라미터 등)과 같은 다양한 자료를 함께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영상 파일 하나에 해당하는 의료 정보는 DICOM 규격에 호환된다고 보기 힘들다. 따라서 이러한 단순 의료 영상 파일에 해당하는 제1 의료 정보를 제1 서버(162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DICOM 규격을 이용하는 제2 서버(1630)에서 제1 의료 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는 바 모바일 디바이스(1610)에서 제2 서버(1630)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호환 처리를 해줌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버(1620)로부터 제1 의료 정보에 해당하는 의료 영상, 환자 데이터, 연구 내용 등에 해당하는 파일들을 별도로 전송 받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610)는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630)로 전송하기 전에 제1 의료 정보로서 수신한 환자 데이터, 영상 방식 및 영상화 과정 정보 등의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들을 인식하여 DICOM 규격에 맞는 형태로 호환 처리된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710)가 제1 서버(1720)로부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의료 정보를 호환 처리하여 생성한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730)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호환 처리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의 모바일 디바이스(1710)는 도 9의 모바일 디바이스(91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고, 도 17의 제1 서버(1720)는 도 9의 제1 서버(93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고, 도 17의 제2 서버(1730)는 도 9의 제2 서버(94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기기에 의해 생성된 의료 영상 파일은 DICOM 규격에 대응하는 형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1 서버(1720) 또는 제2 서버(1730)에서 DICOM 규격에 해당하는 영상 포맷을 이용 가능하다면 의료기기로부터 전송되는 DICOM 규격의 의료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제1 서버(1720)로부터 수신한 제1 의료 정보가 DICOM 규격의 영상 포맷에 해당하지 않고 다른 영상 포맷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할 제2 서버(1730)측에서 해당 영상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제2 서버(1730)에서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710)는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730)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호환 처리함으로써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1710)는 제1 의료 정보 및 입력되는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ICOM 영상 포맷은 의료 영상 자체뿐만 아니라 환자 데이터(환자 이름, 환자 성별, 환자 ID), 영상 방식(modality) 및 영상화 과정 정보(방사선 량, 조영제, 장치 파라미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버(1720)로부터 의료 영상만을 수신한 경우에는 DICOM 규격을 이용하는 제2 서버(1730)에서 의료 영상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710)는 사용자 입력부(245)를 통해 수신되는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호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710)는 제1 의료 정보(1711)를 제1 서버(1720)로부터 수신하여 제2 서버(1730)로 전송하기 전에 환자 이름, 환자 성별, 영상 방식 및 방사선 량 등을 포함하는 규격 정보에 대한 정보창(1712)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창(1712)에 DICOM 규격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1713)이 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710)는 사용자 입력부(245)를 통해 제1 의료 정보(1711)에 관련된 규격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 버튼 영역에서 터치 신호(1714)를 수신한 경우 호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하고,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73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710)는 규격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제2 서버(1730)로부터 제2 서버(1730)가 현재 이용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또는 규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710)는 수신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규격 정보가 무엇인지 결정하고 표시함으로써 제1 의료 정보를 호환 처리함에 있어서 필요한 규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800)가 저장하고 있는 제1 의료 정보를 호환 처리 하여 제2 서버(1804)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8의 모바일 디바이스(1800)는 도 9의 모바일 디바이스(91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고, 도 18의 제1 서버(1802)는 도 9의 제1 서버(93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고, 도 17의 제2 서버(1804)는 도 9의 제2 서버(940)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S181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8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의료 정보를 제1 서버(18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의료 정보는 제1 서버(1802)뿐만 아니라 제1 서버(1802)와 관련된 의료기기인 제1 의료기기(미도시)로부터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는 특징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나 설명상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서버(1802)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S18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800)는 S1810 단계에서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는 다른 병원에 방문한 경우 다른 제2 서버(1804)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규격 상의 차이에 의해 제1 의료 정보를 바로 제2 서버(1804)로 전송할 수 없는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S183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800)는 사용자 입력부(245)를 통해 규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버(1802)로부터 수신한 제1 의료 정보가 제2 서버(1804)에서 사용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또는 규격에 호환되지 않는 포맷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804)에서 수신하더라도 이용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버(1802)로부터 수신한 제1 의료 정보에 해당하는 의료 영상이 DICOM 규격의 영상 포맷에 해당하지 않는 다른 영상 포맷에 해당하고 제2 서버(1804)에서는 이러한 포맷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2 서버(1804)가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이용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800)에서는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804)로 전송하기 전에 적절한 호환 처리를 요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800)는 이러한 호환 처리에 필요한 정보인 규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하는 과정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800)는 환자 이름, 환자 성별, 영상 방식 및 방사선 량 등을 포함하는 규격 정보에 대한 정보창(1712) 및 DICOM 규격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1713)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800)는 규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제2 서버(1804)로부터 제2 서버(1804)가 현재 이용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또는 규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800)는 수신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규격 정보가 무엇인지 결정하고 표시함으로써 제1 의료 정보를 호환 처리함에 있어서 필요한 규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84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800)는 S1820 단계에서 저장한 제1 의료 정보 및 S1830 단계에서 수신한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수정 제1 의료 정보는 제1 서버(1802)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제1 의료 정보의 내용을 포함하면서 제2 서버(1804)에서 사용하는 규격 또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 호환될 수 있는 형태에 해당한다.
S185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800)는 S1840 단계에서 생성한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804)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800)의 사용자는 방문하는 병원을 제1 서버(1802)에 해당하는 병원에서 제2 서버(1804)에 해당하는 병원으로 변경함으로써 제1 서버(1802)에서 수신한 제1 의료 정보를 제2 서버(18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의료 정보에 대한 호환 처리를 함으로써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800)를 이용하는 사용자로서는 의료 정보의 규격 매칭 여부 또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간의 호환 여부에 구애 받지 않으면서 치료 받을 병원을 옮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910)는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부(245)에 포함되는 지문 인식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910)에서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기에 앞서서 제1 의료 정보에 대응하는 피검사자인지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의료 정보에 대한 피검사자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910)는 제1 식별 정보 또는 제2 식별 정보를 제1 서버(930) 또는 제2 서버(9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인식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910)는 제1 식별 정보 또는 제2 식별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자동적으로 생성된 제1 식별 정보 또는 제2 식별 정보는 지문 인식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부터 프로세서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객체 배열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4)

  1. 의료 검사를 받는 피검사자가 관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사용자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와 구별되는 제2 의료기기 또는 제2 서버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호환 처리하여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수정 제1 의료 정보가 상기 제2 의료기기 및 상기 제2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식별 정보가 제1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식별 정보가 상기 의료기기 및 상기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의료기기가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검사를 수행한 경우,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일치될 때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이전에 수행한 검사에 대한 결과에 대응되는 제2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3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3 의료 정보가 상기 제1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서버의 의료 정보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제1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의료 정보에서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할 상기 제3 의료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4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서버의 의료 정보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제2 보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2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할 상기 제4 의료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제4 의료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RFID, Barcode, QRCod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Zigbee 및 Ant+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의료기기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의료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의료기기에 있어서,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의료 정보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제1 의료 정보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RFID, Barcode, QRCod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Zigbee 및 Ant+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
  14. 모바일 디바이스가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제1 의료기기가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제1 의료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의료기기 및 상기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의료기기 및 제1 서버와 구별되는 제2 의료기기 또는 제2 서버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호환 처리하여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제1 의료 정보를 상기 제2 의료기기 및 상기 제2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제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의료기기 및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기기가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검사를 수행한 경우,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일치될 때 상기 의료기기로부터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 결과에 대응되는 제2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의료 정보인 적어도 하나의 제3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버로 상기 제3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서버의 의료 정보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제1 보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할 상기 제3 의료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2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의료 정보인 제4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서버의 의료 정보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제2 보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2 보유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할 상기 제4 의료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의료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의료기기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
  21. 의료기기가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검사를 수행한 결과인 제1 의료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제1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
  24. 제 14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단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38243A 2015-03-19 2015-03-19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eased KR20160112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43A KR20160112469A (ko) 2015-03-19 2015-03-19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4/876,283 US20160275249A1 (en) 2015-03-19 2015-10-06 Method of manag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device thereof
CN201580076458.8A CN107251029A (zh) 2015-03-19 2015-10-16 管理个人健康信息的方法及其设备
PCT/KR2015/010958 WO2016148363A1 (en) 2015-03-19 2015-10-16 Method of manag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device thereof
EP15885665.8A EP3271842A4 (en) 2015-03-19 2015-10-16 Method of manag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43A KR20160112469A (ko) 2015-03-19 2015-03-19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749A Division KR102209072B1 (ko) 2018-02-27 2018-02-27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469A true KR20160112469A (ko) 2016-09-28

Family

ID=5692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243A Ceased KR20160112469A (ko) 2015-03-19 2015-03-19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75249A1 (ko)
EP (1) EP3271842A4 (ko)
KR (1) KR20160112469A (ko)
CN (1) CN107251029A (ko)
WO (1) WO20161483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073A (ko) * 2016-12-19 2018-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신체 정보 관리 방법
KR20220111854A (ko) * 2021-02-03 2022-08-10 신동준 의료영상시스템과 외부 서비스 서버 연계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0452A1 (en) * 2013-02-22 2014-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result of examination of specimen from medical device to destination through mobile device
CN111133521B (zh) * 2017-09-13 2024-05-3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医学记录的自动检索和分析的系统和方法
US11348688B2 (en) 2018-03-06 2022-05-31 Advino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medical instrument patient measurements
CN108597580A (zh) * 2018-04-18 2018-09-28 北京全域医疗技术有限公司 治疗计划系统的文件兼容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9285591A (zh) * 2018-11-02 2019-01-29 南京汇智万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色彩对个人康复治疗大数据采集与分析系统
EP3716567A1 (de) * 2019-03-28 2020-09-30 Tecpharma Licensing AG Sichere kommunikationsverbindung zwischen medizinischen geräten einer datenmanagementvorrichtung
US11690579B2 (en) * 2020-06-16 2023-07-04 Shanghai United Imaging Intelligence Co., Ltd. Attention-driven image domain translation
US20220188453A1 (en) * 2020-12-11 2022-06-16 Hang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ed clinical data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9896B2 (en) * 2001-04-06 2006-08-29 Patientkeeper, Inc. Synchronizing data between disparate schemas using composite version
KR100453503B1 (ko) * 2002-01-08 2004-10-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원격 진료 방법 및 시스템
US7647320B2 (en) 2002-01-18 2010-01-12 Peoplechart Corporation Patient direc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US8719053B2 (en) * 2003-07-17 2014-05-06 Ventana Medical Systems, Inc. Laboratory instrumen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network
CN1996847B (zh) * 2006-12-27 2010-05-19 中国科学院上海技术物理研究所 基于协作网格的图像及多媒体数据通信与存储系统
KR100902359B1 (ko) * 2007-05-15 2009-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속 진료문서 생성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US8850057B2 (en) * 2007-09-20 2014-09-30 Intel Corporation Healthcare semantic interoperability platform
KR20090127480A (ko) * 2008-06-09 2009-12-14 주식회사 엠디웨어 휴대용 개인건강기록장치 및 시스템
US9218454B2 (en) * 2009-03-04 2015-12-22 Masimo Corporation Medical monitoring system
WO2011102309A1 (ja) * 2010-02-16 2011-08-25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医療連携システム
WO2013118926A1 (ko) * 2012-02-08 2013-08-15 (주)중외정보기술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095443A (ko) * 2012-02-20 2013-08-28 서울대학교병원 휴대용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의료 정보 시스템
KR101722688B1 (ko) * 2013-02-22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기기를 통해 의료기기의 알람을 실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3268583B (zh) * 2013-06-14 2016-10-05 山大地纬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跨区域的电子病历快速定位及共享的系统与方法
CN103961069A (zh) * 2014-05-07 2014-08-06 东南大学 一种基于云服务的智能健康监测系统
CN104408677A (zh) * 2014-11-24 2015-03-11 蔡志明 一种基于云计算的医疗数据服务系统
CN104361542A (zh) * 2014-11-26 2015-02-18 王常松 一种智能个人医疗档案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073A (ko) * 2016-12-19 2018-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신체 정보 관리 방법
KR20220111854A (ko) * 2021-02-03 2022-08-10 신동준 의료영상시스템과 외부 서비스 서버 연계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51029A (zh) 2017-10-13
EP3271842A1 (en) 2018-01-24
US20160275249A1 (en) 2016-09-22
EP3271842A4 (en) 2018-08-08
WO2016148363A1 (en)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2469A (ko)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29632B2 (en) Fingerpri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8874271B (zh) 包括多个输入设备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552312B1 (ko) 복수의 지문 센싱 모드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694312B (zh) 用于存储指纹信息的电子设备和方法
CN108376017B (zh) 用于控制显示器的方法和电子设备
CN108388390A (zh) 控制指纹传感器的设备和方法
EP3526959B1 (en) Method of acquiring biometric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50098158A (ko) 지문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50121940A (ko) 의료 기기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4412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정보 획득 방법
KR20150128377A (ko) 지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3017599A (zh) 用于测量与人体有关的信息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469569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7784268B (zh) 基于红外线传感器使用其来测量心率的方法和电子设备
KR20180105927A (ko) 복수의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EP3133517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forming content thereof
KR20170091395A (ko) 데이터를 처리 및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9072B1 (ko)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90524A (ko) 지문 입력을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EP4506957A1 (en) Medical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2018005420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제공 방법
CN107305661B (zh) 用于执行安全登录服务的设备和方法
KR102526959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3411A (ko)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12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125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