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452A - Led luminescent apparutus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uminescent apparu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d luminescent apparutus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uminescent apparu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2452A KR20160112452A KR1020150038211A KR20150038211A KR20160112452A KR 20160112452 A KR20160112452 A KR 20160112452A KR 1020150038211 A KR1020150038211 A KR 1020150038211A KR 20150038211 A KR20150038211 A KR 20150038211A KR 20160112452 A KR20160112452 A KR 201601124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d
- unit
- charging
- constant current
-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5B33/0863—
-
- H05B33/0815—
-
- H05B33/0827—
-
- H05B37/0227—
-
- H05B37/0272—
-
- F21Y2101/02—
-
- Y02B20/342—
-
- Y02B20/347—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류 구동 방식의 LED 조명장치에 있어, 보상구간 동안 충방전부를 이용해 LED 오프 구간을 제거함으로써 LED 조명장치의 광 출력 편차를 저감하고, 동시에 추가 방전구간 동안 충방전부를 이용해 LED 조명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LED 구동은 직류구동 방식이 일반적이다. 직류구동 방식의 경우 SMPS 등의 AC-DC 컨버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전원 컨버터는 조명기구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고, 조명기구의 소형화를 어렵게 하며, 조명기구의 에너지 효율을 떨어뜨리고, 짧은 수명으로 인해 조명기구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LED driving is generally a DC driving method. An AC-DC converter, such as an SMPS, is indispensably required in the case of a DC driving method. Such a power converter rai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lighting apparatus, makes it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lighting apparatus, lowers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lighting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time of the lighting apparatus is shortened.
이러한 직류구동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LED의 교류구동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따른 회로의 경우 입력전압과 LED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불일치로 인하여 역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LED의 비발광 구간이 길어질 경우, 사용자가 조명의 깜빡거림을 인지하게되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C driving method, an AC driving method of the LED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factor is lowered due to inconsistency between the input voltage and the current output from the LED in the case of the circuit according to this technique, and when the non-light emitting period of the LED becomes long, the flicker There is a problem that a phenomenon occurs.
도 1은 플리커(Flicker)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최근 에너지 스타(Energy Star) 스펙(SPEC)의 플리커 성능의 기준이 되는 플리커의 정의와 규정은 아래와 같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flicker performance. The definition and rules of Flicker, which is the basis of the Flicker performance of the Energy Star Specification (SPEC) recently, are as follows.
(1) 플리커의 정의(1) Definition of Flicker
플리커란 일정 시간 동안 조명의 밝기가 변화하는 현상을 지칭하며, 심할 경우 사용자가 빛이 흔들거리거나 또는 깜박거리는 현상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플리커는 대부분 일정 시간 동안의 최대 광 출력과 최소 광 출력이 달라서 발생하게 되는 현상이다.Flicker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brightness of a light changes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severe cases, a user can recognize a phenomenon in which the light is shaky or flickering. Most of these flickers are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light output and the minimum light out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2) 플리커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의 종류(2) Type of index indicating flicker performance
a) 플리커 인덱스(Flicker Index)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커 인덱스란, 1주기의 광출력 파형도 상에서, 평균 광출력 이상의 면적(Area1)을 전체 광출력 면적(Area1+Area2)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플리커 인덱스는 1주기 동안 평균 광출력 이상의 광이 얼마나 발생되는지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값으로서, 플리커 인덱스가 낮을수록 플리커 수준이 양호하다.a) Flicker Index: As shown in Fig. 1, the flicker index refers to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rea (Area1) of the average light output or more by the total light output area (Area1 + Area2) Lt; / RTI > Therefore, the flicker index is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how much light having an average light output or more is generated during one period, and the lower the flicker index is, the better the flicker level is.
b) 퍼센트 플리커(Percent Flicker) 또는 변조 깊이(Modulation Depth) : 퍼센트 플리커란 일정시간 동안의 최소 광량과 최대 광량을 수치화한 지표를 지칭한다. 이러한 퍼센트 플리커는 100*(최대 광량 - 최소 광량)/(최대 광량 + 최소 광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b) Percent Flicker or Modulation Depth: Percent Flicker refers to a measure of the minimum and maximum amounts of light over a period of time. This percentage flicker can be calculated as 100 * (maximum light amount-minimum light amount) / (maximum light amount + minimum light amount).
(3) 에너지 스타 플리커 인덱스 규정(3) Energy star flicker index regulation
- 광 출력 파형(Light output waveform) ≥ 120Hz- Light output waveform ≥ 120Hz
- 플리커 인덱스 ≤ 주파수 x 0.001 (at Max. Dimmer, 800Hz 이상의 경우 제외)(따라서, 120 Hz에서의 플리커 인덱스 ≤ 0.12 )- Flicker index ≤ Frequency x 0.001 (at Max. Dimmer, except for 800 Hz and above) (therefore, Flicker index ≤ 0.12 at 120 Hz)
(4) 퍼센트 플리커에 대한 연구 결과(4) Studies on percent flicker
퍼센트 플리커에 대한 연구 논문들에 따르면,According to research papers on percent flicker,
퍼센트 플리커 < 0.033 x 2 x 주파수 이하는 영향이 없는 구간으로,Percent Flicker <0.033 x 2 x Frequency less than or equal to the frequency,
퍼센트 플리커 < 0.033 x 2 x 주파수 이하는 저 위험 구간으로 발표되었다. Percent flicker <0.033 x 2 x frequency was published as a low-risk interva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LED 조명장치의 성능에 있어 플리커 수준이 중요한 기준으로 부각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flicker level is highlighted as an important criter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LED lighting device.
한편,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4단 순차구동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4단 순차구동 LED 조명장치의 구동전압 대 LED 구동전류의 관계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문제점을 살펴보도록 한다.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our-stage sequential driving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four-stage sequential driving LED lighting apparatus, Fig. Hereinafter,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LED light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는 정류부(10), LED 발광부(20) 및 LED 구동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의 정류부(1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압(VAC)을 정류하여 정류전압(Vrec)을 생성하고, 생성된 정류전압(Vrec)을 LED 발광부(20) 및 LED 구동 제어부(30)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류부(10)로서 전파 정류회로, 반파 정류회로 등 공지된 다양한 정류회로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도 2에는 4개의 다이오드(D1, D2, D3, D4)로 구성된 브리지 전파 정류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LED 발광부(20)는 제 1 LED 그룹(21) 내지 제 4 LED 그룹(24)까지의 4개의 LED 그룹들로 구성되며, LED 구동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순차적으로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30)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 1 LED 그룹(21) 내지 제 4 LED 그룹(24) 점등 및 소등하는 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rectifying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30)는 입력 전압(즉,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에 따라 LED 구동전류를 증감시켜 순차구동 구간별로 정전류 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LED 구동전류를 정현파에 가까운 계단파 형태를 취하게 함으로써 역률(power factor: PF) 및 전고조파 왜곡률(total harmonics distortion: THD)을 개선함으로써 LED 조명장치의 전력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LED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30)는 LED 그룹들의 순차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제 2 정전류 스위치(SW2), 제 3 정전류 스위치(SW3), 및 제 4 정전류 스위치(SW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30)는 정류전압(Vrec)이 제 1 순방향 전압레벨(Vf1) 이상이고 제 2 순방향 전압레벨(Vf2) 미만인 구간(제 1 단 동작구간)에서는 제 1 LED 그룹(21)만을 턴-온하고 LED 구동전류(ILED)를 제 1 LED 구동전류(ILED1)가 되도록 정전류 제어한다. 유사하게, 종래기술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30)는 정류전압(Vrec)이 제 2 순방향 전압레벨(Vf2) 이상이고 제 3 순방향 전압레벨(Vf3) 미만인 구간(제 2 단 동작구간)에서는,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를 턴-오프하고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턴-온함으로써, 제 1 LED 그룹(21) 및 제 2 LED 그룹(22)만을 턴-온하고 LED 구동전류(ILED)를 제 2 LED 구동전류(ILED2)가 되도록 정전류 제어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30)는 정류전압(Vrec)이 제 3 순방향 전압레벨(Vf3) 이상이고 제 4 순방향 전압레벨(Vf4) 미만인 구간(제 3 단 동작구간)에서는,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턴-오프하고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턴-온함으로써, 제 1 LED 그룹(21) 내지 제 3 LED 그룹(23)을 턴-온하고 LED 구동전류(ILED)를 제 3 LED 구동전류(ILED3)로 정전류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30)는 정류전압(Vrec)이 제 4 순방향 전압레벨(Vf4) 이상인 구간(제 4 단 동작구간)에서는,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턴-오프하고 제 4 정전류 스위치(SW4)를 턴-온함으로써, 제 1 LED 그룹(21) 내지 제 4 LED 그룹(24) 모두를 턴-온하고 LED 구동전류(ILED)를 제 4 LED 구동전류(ILED4)로 정전류 제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 동작구간에서의 LED 구동전류(즉, 제 1 LED 구동전류(ILED1))보다 제 2 단 동작구간에서의 LED 구동전류(즉, 제 2 LED 구동전류(ILED2))가 더 크도록 제어되며, 마찬가지로 제 2 LED 구동전류(ILED2)보다 제 3 LED 구동전류(ILED3)가 더 크도록 제어되고, 제 4 LED 구동전류(ILED4)가 가장 크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의 전체 광 출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파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동작구간에 따라 발광되는 LED들의 총 수 및 구동전류가 상이하기 때문에 동작구간별로 광 출력이 상이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동작구간별 광 출력의 차이로 인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플리커가 열악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순차구동 방식의 LED 조명장치의 경우, 퍼센트 플리커가 100%에 달하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교류 구동 방식의 LED 조명장치에 있어, 비발광 구간을 제거하여 광출력의 편차를 저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광을 제공할 수 있는,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driving circuit improved in flicker performance and capable of providing natural light to a user by reducing variation in light output by eliminating a non-light emitting period in an AC driving type LED lighting devic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LE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충반전부의 추가 방전을 통해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일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LED driving circuit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an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power efficiency through additional discharging of the charge reversing por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chieve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압을 전파정류하고, 전파정류된 제 1 정류전압을 제 1 구동전압으로서 LED 발광부에 제공하는 정류부; 비보상 구간에서 상기 정류부로부터 상기 정류전압을 상기 제 1 구동전압으로서 공급받아 발광하며, 보상구간에서 제 1 충방전부로부터 제 2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 발광부; 충전구간에서 상기 정류전압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충전하며, 상기 보상구간에서 상기 LED 발광부에 상기 제 2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 1 충방전부; 및 상기 LED 발광부 및 상기 제 1 충방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정류전압의 상승구간과 상기 충전구간 사이의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1 충방전부를 추가로 방전시키는 LED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tifying device including: a rectifying part for full-wave rectifying an AC voltage applied to an AC power source and providing a full-wave rectified first rectified voltage as a first driving voltage to an LED light emitting part; An LE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receiving the rectified voltage as the first driving voltage from the rectifying unit in a non-compensation period, receives a second driving voltage from the first charging unit in a compensation period, and emits light; A first charging unit charging the energy using the rectified voltage in a charging period and providing the second driving voltage to the LED light emitting unit in the compensation period; And an LED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ing unit and further discharging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during a rising interval of the rectified voltage and an additional discharge interval between the charging intervals, An LED lighting device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추가 방전구간은 상기 정류전압의 전압레벨이 상기 LED 발광부의 순방향 전압레벨 이상이고 상기 제 1 충방전부의 전압레벨이 상기 정류전압의 전압레벨 이상인 구간일 수 있다.Preferably, the additional discharge period may be a period in which the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forward voltage level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charging un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바람직하게,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LED 발광부 및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상기 LED 구동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driv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LED drive control unit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e period.
바람직하게,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LED 발광부의 캐소드단과 상기 제 1 충방전부 사이의 제 1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1 정전류 스위치; 상기 제 1 충방전부와 접지 사이의 제 2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2 정전류 스위치; 및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충방전부 사이의 제 3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3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3 정전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1 정전류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정전류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LED 발광부와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병렬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추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ligh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irst LED driv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a first node between the cathode end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ing unit, A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for forming a constant current; A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disposed between a second node between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ground and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forming a second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a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disposed between a third node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LED drive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forming a third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e control unit And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turns on the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and the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e interval to cause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to be connected in parallel, So that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is additionally discharged.
바람직하게,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 1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1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1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며, 상기 제 2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고, 상기 제 3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3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3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to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value, and the secon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is set to a second predetermined current value And to control the thir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to a constant current control to a predetermined third current value.
바람직하게,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3 정전류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전류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illumin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restrict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hird node and the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바람직하게,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 전류를 상기 LED 조명장치의 구성요소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supplies a driving voltage to the component by supplying an additional discharging curr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ing period to the component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
바람직하게,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 전류를 이용해 에너지를 충전하며,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LED 조명장치의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제 2 충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LED illumin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dditional discharge current,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portion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and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rging portion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ing interval And a second charge / discharge unit charging the energy and supplying the driving voltage to the elements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charged energy.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LED 조명장치의 LED 발광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LED 구동회로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압을 전파정류하고, 전파정류된 제 1 정류전압을 제 1 구동전압으로서 상기 LED 발광부에 제공하는 정류부; 충전구간에서 상기 정류전압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충전하며, 상기 보상구간에서 상기 LED 발광부에 상기 제 2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 1 충방전부; 및 상기 LED 발광부 및 상기 제 1 충방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정류전압의 상승구간과 상기 충전구간 사이의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1 충방전부를 추가로 방전시키는 LED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구동회로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LED driving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n LED light emitting unit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LED driving circuit for full-wave rectifying an AC voltage applied in connection with an AC power supply, A rectifying part for providing the first rectified voltage as the first driving voltage to the LED light emitting part; A first charging unit charging the energy using the rectified voltage in a charging period and providing the second driving voltage to the LED light emitting unit in the compensation period; And an LED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ing unit and further discharging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during a rising interval of the rectified voltage and an additional discharge interval between the charging intervals, An LED driver circuit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추가 방전구간은 상기 정류전압의 전압레벨이 상기 LED 발광부의 순방향 전압레벨 이상이고 상기 제 1 충방전부의 전압레벨이 상기 정류전압의 전압레벨 이상인 구간일 수 있다.Preferably, the additional discharge period may be a period in which the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forward voltage level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charging un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바람직하게,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LED 발광부 및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상기 LED 구동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driv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LED drive control unit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e period.
바람직하게, 상기 LED 구동회로는: 상기 LED 발광부의 캐소드단과 상기 제 1 충방전부 사이의 제 1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1 정전류 스위치; 상기 제 1 충방전부와 접지 사이의 제 2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2 정전류 스위치; 및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충방전부 사이의 제 3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3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3 정전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1 정전류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정전류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LED 발광부와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병렬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추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driving circuit further comprises: a first driving circuit which is disposed between a first node between the cathode end of the LED light emitting part and the first driving power supply part and the LED driving control part, and selectively drives the first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ing control part A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for forming a constant current; A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disposed between a second node between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ground and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forming a second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a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disposed between a third node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LED drive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forming a third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e control unit And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turns on the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and the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e interval to cause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to be connected in parallel, So that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is additionally discharged.
바람직하게,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 1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1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1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며, 상기 제 2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고, 상기 제 3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3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3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to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value, and the secon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is set to a second predetermined current value And to control the thir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to a constant current control to a predetermined third current value.
바람직하게, 상기 LED 구동회로는,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3 정전류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전류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driving circuit further includes a current limi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third node and the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바람직하게,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 전류를 상기 LED 조명장치의 구성요소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supplies a driving voltage to the component by supplying an additional discharging curr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ing period to the component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
바람직하게, 상기 LED 구동회로는,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 전류를 이용해 에너지를 충전하며,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해 상기 LED 조명장치의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제 2 충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LED driving circu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and uses the additional discharging curr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ing period And a second charge / discharge unit charging the energy and supplying driving voltage to the elements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charged energ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방전부를 이용하여 비발광 구간을 제거함으로써 광출력의 편차를 저감하여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emission period is eliminated by using 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thereby reducing the deviation of the light output and providing natural light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반전부의 추가 방전을 통해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increasing the power efficiency through the additional discharge of the charge reversal unit.
도 1은 플리커(Flicker)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4단 순차구동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구동전압과 LED 구동전류 간의 관계를 나타낸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동작구간별 스위치 제어상태 및 LED 구동전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시간에 따른 정류전압, LED 구동전류, 충방전부 전류, 입력 전류, 및 LED 발광부의 광 출력 관계를 도시한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flicker performance;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four-stage sequential driving LED lighting device. Fig.
FIG. 3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riving voltage and an LED driving current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2. FIG.
4 is a schematic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D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switch control state and an LED driving current for each operation section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6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tified voltage, the LED driving current, the charging current, the input current, and the light output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 schematic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LED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배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arrangement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the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LED 발광부'란 하나 이상의 LED 그룹들을 포함하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게 되는 LED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LED 그룹'이란 복수의 LED들(또는 복수의 발광셀들)이 직렬/병렬/직병렬로 연결되어,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하나의 단위로서 동작이 제어되는(즉, 같이 점등/소등되는) LED들의 집합을 의미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LED light emitting portion' refers to a set of LEDs which include one or more LED groups and emit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ing control portion. In addition, the term 'LED group' means a plurality of LEDs (or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cells) connected in series / parallel / serial / parallel manner so that the operation is controlled as one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e control unit LEDs are turned on / off).
또한, 용어 '제 1 순방향 전압레벨(Vf1)'은 제 1 LED 그룹을 구동할 수 있는 임계 전압레벨을 의미하며, 용어 '제 2 순방향 전압레벨(Vf2)'은 직렬로 연결된 제 1 LED 그룹 및 제 2 LED 그룹을 구동할 수 있는 임계 전압레벨(즉, 제 1 LED 그룹의 순방향 전압레벨과 제 2 LED 그룹의 순방향 전압레벨을 더한 전압레벨)을 의미하고, 용어 '제 3 순방향 전압레벨(Vf3)'은 직렬로 연결된 제 1 내지 제 3 LED 그룹들을 구동할 수 있는 임계 전압레벨을 의미한다. 즉, '제 n 순방향 전압레벨(Vfn)'은 직렬로 연결된 제 1 내지 제 n LED 그룹들을 구동할 수 있는 임계 전압레벨(즉, 제 1 LED 그룹의 순방향 전압레벨 내지 제 n LED 그룹의 순방향 전압레벨들을 모두 더한 전압레벨)을 의미한다. 따라서, LED 발광부가 제 1 LED 그룹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LED 발광부의 순방향 전압레벨(Vf)은 제 1 순방향 전압레벨(Vf1)이 되며, LED 발광부가 제 1 LED 그룹 및 제 2 LED 그룹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LED 발광부의 순방향 전압레벨(Vf)은 제 2 순방향 전압레벨(Vf2)이 되며, 유사하게, LED 발광부가 제 1 LED 그룹 내지 제 n LED 그룹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LED 발광부의 순방향 전압레벨(Vf)은 제 n 순방향 전압레벨(Vfn)이 된다.Further, the term 'first forward voltage level Vf1' refers to a threshold voltage level capable of driving the first LED group, and the term 'second forward voltage level Vf2' refers to a first LED group connected in series and Means a threshold voltage level capable of driving the second LED group (i.e., a voltage level obtained by adding the forward voltage level of the first LED group and the forward voltage level of the second LED group), and the term 'third forward voltage level Vf3 ) Denotes a threshold voltage level capable of driving first through third LED groups connected in series. That is, the 'nth forward voltage level Vfn' is a threshold voltage level capable of driving the first to nth LED groups connected in series (i.e., the forward voltage level of the first LED group to the forward voltage The voltage level at which all the levels are added). Accordingly, when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includes only the first LED group, the forward voltage level Vf of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becomes the first forward voltage level Vf1, and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includes the first LED group and the second LED group The forward voltage level Vf of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becomes the second forward voltage level Vf2 and similarly the forward voltage level of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when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includes the first LED group to the nth LED group Vf becomes the nth forward voltage level Vfn.
또한, 용어 '제 1 구동전압'이란 입력전압 자체 또는 입력전압이 일정하게 처리되어(예를 들어, 정류회로 등의 과정을 통한 처리) LED 그룹들에 1차적으로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제 2 구동전압'이란 입력전압이 에너지 저장 소자에 저장된 후, 에너지 저장 소자로부터 LED 그룹들에 2차적으로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 2 구동전압은, 예시적으로, 입력전압이 캐패시터에 저장된 후, 충전된 캐패시터로부터 LED 그룹들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일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제 1 구동전압' 또는 '제 2 구동전압'으로 구별되어 지칭되는 경우 외에, 용어 '구동전압'은 LED 그룹들에 공급되는 제 1 구동전압 및/또는 제 2 구동전압을 포괄하는 의미이다.In addition, the term 'first driving voltage' refers to a driving voltage that is supplied to the LED groups primarily by the input voltage itself or by processing the input voltage constantly (for example, through a process such as rectifying circuit). Further, the term " second driving voltage " means a driving voltage that is secondarily supplied to the LED groups from the energy storage element after the input voltage is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element. This second driving voltage may be, for example, a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LED groups from the charged capacitor after the input voltage is stored in the capacitor. Therefore, in addition to being specifically referred to as a 'first driving voltage' or a 'second driving voltage', the term 'driving voltage' includes a first driving voltage and / or a second driving voltage supplied to LED groups It means.
또한, 용어 '보상구간'이란 입력전압(정류전압)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의 순방향 전압레벨 미만인 구간으로서 LED 그룹에 구동전류를 공급하지 못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순방향 전압레벨(Vf1) 보상구간은 정류전압의 전압레벨이 Vf1 미만인 구간을 의미한다. 이 경우, 보상구간은 비발광 구간이 된다. 또한, 용어 제 1 순방향 전압레벨(Vf1) 보상이란 제 1 순방향 전압레벨(Vf1) 보상구간에서 제 2 구동전압을 LED 그룹에 공급함으로써 LED 그룹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n 순방향 전압레벨(Vfn) 보상이란 제 n 순방향 전압레벨(Vfn) 보상구간에서 제 2 구동전압을 LED 그룹에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 " compensation period " means a period during which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voltage (rectified voltage) is lower than the forward voltage level of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driving current can not be supplied to the LED group. For example, the first forward voltage level (Vf1) compensation period means a period in which the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is less than Vf1. In this case, the compensation section is a non-emission section. In addition, the term first forward voltage level (Vf1) compensation means supplying a driving current to the LED group by supplying the second driving voltage to the LED group in the first forward voltage level (Vf1) compensation period. Accordingly, the nth forward voltage level (Vfn) compensation means supplying the second driving voltage to the LED group in the nth forward voltage level (Vfn) compensation period.
또한, 용어 '비보상구간'(또는 '정상 동작구간')이란 입력전압(정류전압)의 전압레벨이 미리 설정된 미리 설정된 순방향 전압레벨 이상인 구간으로서, 입력전압(제 1 구동전압)이 LED 그룹에 공급되어 LED 그룹(들)이 발광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제 1 순방향 전압레벨(Vf1) 보상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있어 '비보상구간'(또는 '정상 동작구간')은 입력전압의 전압레벨이 Vf1 이상인 구간을 의미하며, 제 2 순방향 전압레벨(Vf2) 보상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있어 '비보상구간'(또는 '정상 동작구간')은 입력전압의 전압레벨이 Vf2 이상인 구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n 순방향 전압레벨(Vfn) 보상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있어 '비보상구간'(또는 '정상 동작구간')은 입력전압의 전압레벨이 Vfn 이상인 구간을 의미한다.The term 'non-compensation period' (or 'normal operation period') is a period in which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voltage (rectified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forward voltage level, And the LED group (s) emit light. Illustratively, in the embodiment for performing the first forward voltage level (Vf1) compensation, the 'non-compensation period' (or 'normal operation period') refers to a period in which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volt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Vf1, In the embodiment for compensating the voltage level Vf2, the 'non-compensation period' (or 'normal operation period') means a period in which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Vf2. Therefore, in the embodiment for compensating the nth forward voltage level Vfn, the 'non-compensation period' (or 'normal operation period') means a period in which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volt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Vfn.
또한, 용어 '추가 방전구간'이란 제 2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충방전부가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보상구간이 아닌 비보상구간에서 추가로 방전하게 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The term 'additional discharge interval' refers to a period during which the charge / discharge unit for supplying the second drive voltage is further discharged in the non-compensation period, not under the compensation period,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e control unit.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임의의 특정 전압, 특정 시점, 특정 온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V1, V2, V3,..., t1, t2,..., T1, T2, T3, 등의 용어는 절대적인 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대적인 값이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V1, V2, V3, ..., t1, t2, ..., T1, T2, T3, etc. used for expressing a specific voltage, Are not used to represent absolute values but are relative values used to distinguish one another.
LEDLED
조명장치(1000)의 제 1 In th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를 구성하고 있는 전반적인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상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순차구동 방식의 교류 LED 조명장치의 경우, LED 발광부(20)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의 전압레벨에 따라 LED 그룹들이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되기 때문에, 구동전압의 전압레벨이 제 1 순방향 전압레벨(Vf1) 미만인 구간에서 LED 그룹들 중 어떤 LED 그룹도 발광하지 않는 비발광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순차구동 방식의 교류 LED 조명장치의 경우, LED 발광부(20)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의 전압레벨이 상승할수록 점등되는 LED의 수가 증가되며, LED 발광부(20)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의 전압레벨이 하강할수록 점등되는 LED의 수가 감소되게 된다. 순차구동 방식의 교류 LED 조명장치의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특히 플리커 성능이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First, the overall technical idea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LED 조명장치(1000)의 동작 중 LED 조명장치(1000)의 LED 발광부(400)가 발광하지 않는 구간, 즉, 비발광 구간을 제거함으로써, LED 조명장치(1000)의 플리커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루프백(loop back) 방식의 충방전부를 제안하며, 이러한 제 1 충방전부(300)를 통해 비발광 구간 동안 LED 발광부(400)에 제 2 구동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비발광 구간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most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by removing the period in which the LED
또한, 교류 구동방식의 LED 조명장치(1000)에 있어, LED 발광부(400)에 입력되는 전압(즉, 정류전압(Vrec))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그에 따라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 이상인 구간에서 정류전압(Vrec)의 여유분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LED 조명장치(1000)의 전력 효율이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LED 조명장치(1000)가 제 1 충방전부(300)를 이용해 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 방전구간 동안 제 1 충방전부(300)를 추가로 방전시키고 이를 이용해 LED 조명장치(1000) 내의 다른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함으로써, LED 조명장치(1000)의 전력 효율을 더 개선할 수 있는 LED 조명장치(1000)를 제안한다.I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리커 성능이 개선된 LED 조명장치(이하 'LED 조명장치'라 함)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FIG.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LED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는 정류부(200), 제 1 충방전부(300), LED 발광부(400),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제 2 정전류 스위치(SW2), 제 3 정전류 스위치(SW3) 및 LED 구동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정류부(200), 제 1 충방전부(300), LED 발광부(400),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제 2 정전류 스위치(SW2), 및 제 3 정전류 스위치(SW3)가 LED 구동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4, the
먼저, LED 발광부(400)는 복수의 LED 그룹들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LED 발광부(400)는 하나의 LED 그룹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수의 LED 그룹들이 LED 발광부(4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LED 발광부(400)가 복수의 LED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LED 발광부(400)에 포함된 복수의 LED 그룹들은 LED 구동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되고, 순차적으로 소등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발광부(400)가 1개의 LED 그룹으로 구성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irst, the L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있어, LED 발광부(400)는 보상구간에서 제 1 충방전부(300)에 의해 공급되는 제 2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순방향 전압레벨을 가지도록 설계되며, 그에 따라 LED 발광부(400)는 교류 전압(VAC)의 전 주기에서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LED 발광부(4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LED 그룹들을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2개의 LED 그룹들, 즉, 제 1 LED 그룹 및 제 2 LED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제 1 LED 그룹이 교류 전압(VAC)의 전 주기에서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충방전부(300)가 설계될 수 있다. Also,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류부(2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압(VAC)을 정류하여 정류전압(Vrec)을 생성 및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류부(200)로서 전파 정류회로, 반파 정류회로 등 공지된 다양한 정류회로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정류부(200)는 생성된 정류전압(Vrec)을 제 1 충방전부(300), LED 발광부(400), LED 구동 제어부(5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는 4개의 다이오드(D1, D2, D3, D4)로 구성된 브리지 전파 정류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1 충방전부(300)는 충전구간에서 정류전압(Vrec)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충전하며, 보상구간에서 LED 발광부(400)에 제 2 구동전압을 제공하고, 추가 방전구간에서 추가 방전되어 LED 조명장치(1000)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LED 구동 제어부(500), 외부 센서(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외부 제어 회로(미도시))에 구동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 1 커패시터(C1)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충방전부(300)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보상회로들(예를 들어, 밸리필 회로 등) 중 하나가 필요에 따라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충방전부(300)의 일단이 접지(미도시) 및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통해 LED 구동 제어부(500)에 연결되며, 제 1 충방전부(300)의 타단이 LED 발광부(400)의 애노드단 및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통해 LED 구동 제어부(500)에 연결된다. 4, one end of the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충방전부(300)는 충전구간(즉,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 이상인 구간 중 미리 설정된 전압레벨 이상인 특정 구간) 동안 충전되며, 비발광 구간(즉,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순방향 전압레벨(Vf) 미만인 구간)에서 방전되어 제 2 구동전압을 LED 발광부(4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의 LED 발광부(400)가 제 1 LED 그룹 내지 제 4 LED 그룹까지의 4개의 LED 그룹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 1 충방전부(300)는 제 4 동작구간(즉,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제 4 순방향 전압레벨(Vf4) 이상인 구간)에서 충전될 수도 있다. 또한,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가 LED 발광부(400) 내지 제 n LED 그룹(미도시)까지의 n개의 LED 그룹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 1 충방전부(300)는 제 n 동작구간(즉,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제 n 순방향 전압레벨(Vfn) 이상인 구간)에서 충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4,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충방전부(300)는 LED 구동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추가 방전구간 동안 추가로 방전되어 LED 조명장치(1000)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LED 구동 제어부(500), 외부 센서(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외부 제어 회로(미도시))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방전구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추가 방전구간은, 입력전압, 즉, 정류전압(Vrec)이 상승하는 구간 중,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 이상이고 제 1 충방전부(300)의 전압레벨 미만인 구간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LED 조명장치(100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함이다. 즉, 추가 방전구간이 정류전압(Vrec)이 하강하는 구간 중에서 설계되는 경우 보상구간에서 LED 발광부(400)에 안정적으로 제 2 구동전압을 공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추가 방전구간은 정류전압(Vrec)이 상승하는 구간 중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구간으로 설정된다. 또한,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 미만인 구간은 보상구간이기 때문에 추가 방전구간에서 제외되며,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제 1 충방전부(300)의 전압레벨 이상이 구간도 충전구간에 속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방전구간에서 제외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500)는 인가되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에 따라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내지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제어함으로써, LED 발광부(400) 및 제 1 충방전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The L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는 LED 발광부(400)의 캐소드단과 제 1 충방전부(300) 사이의 제 1 노드(node1)와 LED 구동 제어부(500) 사이에 배치되며, LED 구동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제 1 전류경로(P1)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는 제 1 충방전부(300)와 접지 사이의 제 2 노드(node2)와 LED 구동 제어부(500) 사이에 배치되며, LED 구동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제 2 전류경로(P2)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는 제 1 노드(node1)와 제 1 충방전부(300) 사이의 제 3 노드(node3)와 LED 구동 제어부(500) 사이에 배치되며, LED 구동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제 3 전류경로(P3)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4, the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SW1 includes a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500)는 보상구간 동안 제 4 전류경로(P4)를 통해 제 1 충방전부(300)로부터 LED 발광부(400)로 제 2 구동전압이 공급되게 하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제 3 전류경로(P3)를 통해 제 1 충방전부(300)가 추가로 방전되게 하고, 충전구간 동안 제 1 충방전부(300)가 정류전압(Vrec)을 이용해 제 2 전류경로(P2)를 통해 충전되도록,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내지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제어한다. Therefore, the L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추가 방전구간은 정류전압(Vrec)의 상승구간 중 특정 구간으로 설계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500)는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정류전압(Vrec)이 상승구간에 속하는지 또는 하강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 검출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되는 정류전압(Vrec)의 변동 기울기를 검출함으로써 상승구간 또는 하강구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 자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dditional discharge period is designed to be a specific period of the rising period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the 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를 통해 흐르는 제 1 전류(I1) 및 제 4 전류(I4),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I2),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통해 흐르는 제 3 전류(I3)를 각기 미리 설정된 전류값으로 정전류 제어하도록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내지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내지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는 다양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정전류 제어기능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내지 제 3 정전류 스위치(SW3) 각각은 전류 검출하기 위한 센싱 저항, 기준 전류 값과 현재 검출된 전류 값을 비교하기 위한 차동 증폭기, 차동 증폭기의 출력에 따라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며, 또한 경로가 연결된 경우 경로를 통해 흐르는 LED 구동전류 값을 정전류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내지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는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접합형 트랜지스터(BJT),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JFET), 사이리스터(Silicon controlled rectifier), 트라이악(Triac) 중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LED
이하에서,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의 구동제어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동작구간별 스위치 제어상태 및 LED 구동전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시간에 따른 정류전압, LED 구동전류, 충방전부 전류, 입력 전류, 및 LED 발광부의 광 출력 관계를 도시한 파형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D and FIG. 6, the drive control process of the
먼저, 도 5a는 추가 방전구간 동안의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내지 제 3 정전류 스위치(SW3)의 개폐 상태 및 LED 조명장치(1000) 내에서 흐르는 전류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 추가 방전구간은, 입력전압, 즉, 정류전압(Vrec)이 상승하는 구간 중,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 이상이고 제 1 충방전부(300)의 전압레벨 미만인 구간이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추가 방전구간은 시간구간(t2~t3) 및 시간구간(t8~t9)이다. 5A shows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s of the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SW1 to the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SW3 and the current flowing in the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에 기초하여 추가 방전구간의 진입/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내지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LED 구동 제어부(500)는 추가 방전구간에 진입하는 시점, 즉, 정류전압(Vrec)이 상승구간에 있고,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 이상이 되는 시점에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를 닫아 제 1 전류경로(P1)를 형성하고,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닫아 제 3 전류경로(P3)를 형성하며,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는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스위치 제어 상태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The LED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 제어부(500)는 안정적인 LED 조명장치(1000)의 동작을 위하여,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 이상으로 안정화된 시점을 추가 방전구간 진입시점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예에 있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이 되는 시점(예를 들어, 도 6의 시점(t1))을 스위치 제어시점으로 판단하지 않고, 이러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안정화 시간이 경과된 시점(예를 들어, 도 6의 시점(t2))을 스위치 제어시점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를 통해 흐르는 제 1 전류(I1)가 안정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1 전류(I1)가 안정화되는 시점을 추가 방전구간 진입시점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제 1 임계 전압레벨(여기에서, 제 1 임계 전압레벨은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보다 더 높은 값으로 설정됨)에 도달하는 시점을 추가 방전구간 진입시점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추가 방전구간 동안, 제 1 전류경로(P1)를 통해 LED 구동전류, 즉, 제 1 전류(I1)가 흐르게 되며, 제 3 전류경로(P3)를 통해 추가 방전전류, 즉, 제 3 전류(I3)가 흐르게 된다. 이때,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1 전류(I1) 및 제 3 전류(I3)를 각기 미리 설정된 정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게 된다.The LED
한편, 추가 방전구간 동안 제 1 충방전부(300)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전류는 LED 구동 제어부(500)를 통해 LED 구동 제어부(500) 내부의 구성요소 및/또는 LED 구동 제어부(500) 외부의 구성요소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additional discharging current discharged from the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상승하여 제 1 충방전부(300)의 전압레벨 이상이 되는 시점(예를 들어, 도 6의 시점(t3))에 도달하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개방하여 제 1 충방전부(300)의 추가 방전을 중단한다. 이러한 제어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1 전류경로(P1)를 통해 흐르는 제 1 전류(I1)를 미리 설정된 정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rises and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voltage level of the
계속해서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상승하여 충전구간에 진입하는 시점(예를 들어, 도 6의 시점(t4))에 도달하면, LED 구동 제어부(50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를 개방하고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닫음으로써 충전구간에 진입한다.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I2)를 미리 설정된 정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2 전류(I2)는 LED 구동전류이며 동시에 제 1 충방전부(300)의 충전전류이다.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subsequently rises and reaches the charging time point (for example, time point t4 in Fig. 6), the LED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최고점에 도달한 후 하강하기 시작하여 충전구간을 이탈하는 시점(예를 들어, 도 6의 시점(t5))에 도달하면, LED 구동 제어부(500)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개방하고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를 닫음으로써 충전구간을 이탈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 방전구간은 정류전압(Vrec)의 상승 구간 중 일부 구간이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전압(Vrec)의 하강 구간 동안 추가 방전구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5d에 도시된 상태에서,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를 통해 흐르는 제 1 전류(I1)를 미리 설정된 정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한다.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reaches the peak and then begins to fall and reaches the point of departure from the charging section (for example, the point of time t5 in Fig. 6) as time elapses, The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I2)의 전류 값을 모니터링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충전구간 진입 시점 및 이탈 시점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2 전류(I2)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안정화되는 시점을 충전구간 진입 시점으로 판단하고, 제 2 전류(I2)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을 충전구간 이탈 시점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충전구간 진입 시점 및 이탈 시점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 전압레벨(여기에서, 제 2 임계 전압레벨은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 및 제 1 충방전부(300)의 전압레벨 이상으로 설정됨) 이상으로 안정화되는 시점을 충전구간 진입 시점으로 판단하고,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 전압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을 충전구간 이탈 시점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당업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기술들이 필요에 따라 충전구간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LED
계속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 미만이 되면, LED 구동 제어부(500)는 보상구간에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d의 스위치 제어상태에서 별도의 제어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5d와 마찬가지로, 보상구간 동안 제 1 정전류 스위치(SW1)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제 2 정전류 스위치(SW2) 및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 1 충방전부(300)의 전압레벨이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보다 높기 때문에, 별도의 스위치 제어가 없더라도 전위차에 기인하여 제 1 충방전부(300)로부터 제 4 전류경로(P4)를 통해 LED 발광부(400)로 제 4 전류(I4)(즉, 방전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LED 발광부(400)가 계속해서 발광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becomes less than the forward voltage level Vf of the LED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과정이 정류전압(Vrec)의 1주기 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이를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파형도는 LED 조명장치(1000)의 제 1 충방전부(300)가 충전된 상태에서의 정류전압(Vrec)의 2주기의 파형도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정류전압(Vrec)의 파형을 도시하며, 도 6의 (b)는 LED 구동전류의 파형을 도시하고, 도 6의 (c)는 제 1 충방전부(300)의 충방전 전류의 파형을 도시하며, 도 6의 (d)는 입력전류를 도시하고, 도 6의 (e)는 LED 발광부(400)의 광출력을 도시한다.The control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ly performed every one cycle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Referring to FIG. 6, this will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The waveform diagram shown in Fig. 6 shows waveforms of two cycles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in a state in which the
먼저, 정류전압(Vrec)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보다 낮은 구간, 즉, 방전구간(시간구간(0~t1)) 동안 LED 구동 제어부(500)는 도 5e에 도시된 상태로 스위치들 각각을 제어한다. 즉, 방전구간 동안 제 1 정전류 스위치(SW1)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제 2 정전류 스위치(SW2) 및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5E, the LED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류전압(Vrec)이 상승하여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에 도달하는 시점(t1)에, LED 구동 제어부(500)는 비보상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5b에 도시된 상태로 스위치들 각각을 제어한다. 즉, 이러한 구간 동안,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및 제 2 정전류 스위치(SW2)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The LED
계속해서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상승하여 제 1 임계 전압레벨에 도달하는 시점(t2)에, LED 구동 제어부(500)는 추가 방전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5a에 도시된 상태로 스위치들 각각을 제어한다. 즉, 이러한 추가 방전구간 동안,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및 제 3 정전류 스위치(SW3)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추가 방전구간 동안,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를 통해 흐르는 제 1 전류(I1)(즉, LED 구동전류)가 제 1 정전류 스위치(SW1)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정전류 제어되며, 동시에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통해 흐르는 제 3 전류(I3)(즉, 추가 방전전류)가 제 3 정전류 스위치(SW3)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정전류 제어된다.Subsequently, at a time point t2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rises to reach the first threshold voltage level, the LED
계속해서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상승하여 제 1 충방전부(300)의 전압레벨 이상이 되는 시점(t3)에, LED 구동 제어부(500)는 추가 방전구간을 이탈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5b에 도시된 상태로 스위치들 각각을 제어한다. 즉, 이러한 구간 동안,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및 제 2 정전류 스위치(SW2)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일 실시예에 있어, 추가 방전구간의 이탈 여부는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통해 흐르는 제 3 전류(I3)의 값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상승하여 제 1 충방전부(300)의 전압레벨 이상이 되면, 전위차에 기인하여 제 3 전류경로(P3)를 통해 제 3 전류(I3)가 흐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제 3 전류(I3)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을 추가 방전구간 이탈 시점으로 판단하도록 LED 구동 제어부(500)가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을 자체를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제 1 충방전부(300)의 전압레벨과 비교함으로써, 추가 방전구간 이탈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Subsequently, at a time t3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rises and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voltage level of the
유사하게,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상승하여 충전구간에 진입하는 시점(t4)에, LED 구동 제어부(500)는 충전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5c에 도시된 상태로 스위치들 각각을 제어한다. 즉, 이러한 충전구간 동안, 제 1 정전류 스위치(SW1) 및 제 3 정전류 스위치(SW3)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고, 제 2 정전류 스위치(SW2)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충전구간 동안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I2)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정전류 제어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 전압레벨과 비교함으로써, 충전구간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 LED 구동 제어부(500)는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I2)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충전구간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I2)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안정화되는 경우, LED 구동 제어부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이 충전구간에 진입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충전구간 진입 후 제 2 정전류 스위치(SW2)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I2)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LED 구동 제어부는 충전구간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imilarly, at the time point t4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rises and enters the charging section, the LED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류전압(Vrec)이 최고점을 지나 하강하여 충전구간을 이탈하는 시점(t5)에, LED 구동 제어부(500)는 충전구간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5d에 도시된 상태로 스위치들 각각을 제어한다. 즉, 이러한 구간 동안, 제 1 정전류 스위치(SW1)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며, 제 2 정전류 스위치(SW2) 및 제 3 정전류 스위치(SW3)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러한 구간 동안,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를 통해 흐르는 제 1 전류(I1)가 미리 설정된 정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구간의 이탈 여부는 정류전압(Vrec)의 전압레벨을 직접적으로 검출하여 제 2 임계 전압레벨과 비교하여 결정되거나, 또는 제 2 전류(I2)의 전류 값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At a time t5 when the rectified voltage Vrec falls below the maximum point and leaves the charging section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e LED
계속해서 정류전압(Vrec)이 하강하여 LED 발광부(400)의 순방향 전압레벨(Vf) 미만이 되는 시점(t6)에, LED 구동 제어부는 보상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5e에 도시된 상태로 스위치들 각각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시점에 별도의 스위치 제어가 수행되지 않고, 정류전압(Vrec)과 제 1 충방전부(300)의 전압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제 4 전류경로(P4)를 통해 제 2 구동전압이 LED 발광부(400)에 공급될 수도 있다.At a time point t6 when the rectified voltage Vrec falls and becomes less than the forward voltage level Vf of the LED
한편, 도 6의 (b) 및 도 6의 (e)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류전압(Vrec)의 전 구간 동안 LED 구동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그에 따라 LED 발광부(400)의 광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6 (b) and FIG. 6 (e), the LED driving current is maintained constant during the entire period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The light output is kept constan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정류전압(Vrec)의 매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그에 따라 LED 발광부(400)가 계속해서 발광되며, 동시에 제 1 충방전부(300)가 추가 방전구간 동안 추가로 방전되어 LED 조명장치(1000)의 다른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함으로써 LED 조명장치(1000)의 전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every cycle of the rectified voltage Vrec so that the LED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LED 조명장치들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상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며, 실시예별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LED illumination device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FIG. The
제 2 Second
실시예에In the embodiment
따른 Following
LEDLED
조명장치(2000)의 구성 및 기능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20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의 구성에 더하여 제 3 노드(node3)와 제 3 정전류 스위치(SW3) 사이에 배치되는 전류 제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제한부(600)는 추가 방전구간에서 제 3 정전류 스위치(SW3)가 턴-온되어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제 3 전류(I3)가 흐를 때, 제 3 전류(I3)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류 제한부(600)는 과전류, 서지 전류 등으로부터 제 3 정전류 스위치(SW3)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FIG.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 이러한 전류 제한부(600)가 저항(R1)으로 구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커패시터, 인덕터, 추가 저항,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an embodiment in which the
제 3 Third
실시예에In the embodiment
따른 Following
LEDLED
조명장치(3000)의 구성 및 기능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3000)는 이상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와 달리 제 3 정전류 스위치(SW3)가 생략된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3000)의 경우, 제 1 정전류 스위치(SW1)가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의 제 3 정전류 스위치(SW3)의 기능까지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추가 방전구간 동안 제 1 충방전부(300)로부터 추가로 방전되는 전류와 LED 구동전류(즉, 정류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류)가 함께 제 1 정전류 스위치(SW1)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30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에 비해 회로 구성요소가 감소됨에 따라 제조비용을 감소 및 회로구성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LED 구동회로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FIG. 8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 4 Fourth
실시예에In the embodiment
따른 Following
LEDLED
조명장치(4000)의 구성 및 기능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4000)는 LED 구동 제어부(500) 내에 Vcc 전원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4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4000)의 LED 구동회로 자체의 구성 및 기능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와 동일하며, 다만 추가 방전구간 동안 제 1 충방전부(300)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전류(즉, 제 3 전류(I3))가 LED 구동 제어부(500) 내부 전원부인 Vcc 전원부(510)에 사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9에는 제 1 충방전부(300)의 추가 방전에 의해 구동전압을 공급받는 구성요소로서 LED 구동 제어부(500) 내부의 Vcc 전원부(510)가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LED 조명장치(4000) 내의 외부 센서, 무선 통신 모듈, 외부 제어 회로 등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가 제 1 충방전부(300)의 추가 방전에 의해 구동전압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 9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 5 Fifth
실시예에In the embodiment
따른 Following
LEDLED
조명장치(5000)의 구성 및 기능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5000)는 LED 구동 제어부(500) 내의 Vcc 전원부(510) 및 제 2 충방전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5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5000)의 LED 구동회로 자체의 구성 및 기능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1000)와 동일하며, 다만 추가 방전구간 동안 제 1 충방전부(300)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전류(즉, 제 3 전류(I3))가 제 2 충방전부(700)에 충전되며, 제 2 충방전부(700)가 LED 구동 제어부(500) 내부 전원부인 Vcc 전원부(510)에 안정적으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는 제 2 충방전부(700)로부터 구동전압을 공급받는 구성요소로서 LED 구동 제어부(500) 내부의 Vcc 전원부(510)가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LED 조명장치(4000) 내의 외부 센서, 무선 통신 모듈, 외부 제어 회로 등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가 제 2 충방전부(700)로부터 구동전압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 10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1000, 2000, 3000, 4000, 5000 : LED 조명장치
200 : 정류부
300
: 제 1 충방전부
400 : LED 발광부
500 : LED 구동 제어부
510: Vcc 전원부
SW1 : 제 1 정전류 스위치
SW2 : 제 2 정전류 스위치
SW3 : 제 3 정전류 스위치
600 : 전류 제한부
700 : 제 2 충방전부1000, 2000, 3000, 4000, 5000: LED lighting device
200: rectifying part 300: first charging part
400: LED emitting unit 500: LED driving control unit
510: Vcc power supply unit SW1: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SW2: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SW3: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600: current limiting unit 700: second charging unit
Claims (16)
비보상 구간에서 상기 정류부로부터 상기 정류전압을 상기 제 1 구동전압으로서 공급받아 발광하며, 보상구간에서 제 1 충방전부로부터 제 2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 발광부;
충전구간에서 상기 정류전압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충전하며, 상기 보상구간에서 상기 LED 발광부에 상기 제 2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 1 충방전부; 및
상기 LED 발광부 및 상기 제 1 충방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정류전압의 상승구간과 상기 충전구간 사이의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1 충방전부를 추가로 방전시키는 LED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A rectifying unit for full-wave rectifying an AC voltage applied in connection with an AC power source and providing a first rectified voltage, which is full-wave rectified, as a first driving voltage to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 LE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receiving the rectified voltage as the first driving voltage from the rectifying unit in a non-compensation period, receives a second driving voltage from the first charging unit in a compensation period, and emits light;
A first charging unit charging the energy using the rectified voltage in a charging period and providing the second driving voltage to the LED light emitting unit in the compensation period; And
And an LED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ing unit and further discharging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during a rising interval of the rectified voltage and an additional discharging interval between the charging intervals, Lighting device.
상기 추가 방전구간은 상기 정류전압의 전압레벨이 상기 LED 발광부의 순방향 전압레벨 이상이고 상기 제 1 충방전부의 전압레벨이 상기 정류전압의 전압레벨 이상인 구간인, LED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ditional discharge period is a period in which a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forward voltage level of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voltage level of the first charging por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LED 발광부 및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상기 LED 구동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게 제어하는, LED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D driv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LED drive control unit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e period.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LED 발광부의 캐소드단과 상기 제 1 충방전부 사이의 제 1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1 정전류 스위치;
상기 제 1 충방전부와 접지 사이의 제 2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2 정전류 스위치; 및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충방전부 사이의 제 3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3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3 정전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1 정전류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정전류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LED 발광부와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병렬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추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LED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D illumination device comprises:
A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disposed between a first node between the cathode end of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first charge and discharge portion and the LED drive control portion and selectively forming a first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e control portion;
A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disposed between a second node between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ground and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forming a second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And a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disposed between the third node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forming a third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turns on the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and the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e interval so that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is further discharged.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 1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1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1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며, 상기 제 2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고, 상기 제 3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3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3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는, LED 조명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to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value and controls the secon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to a constant current control to a second predetermined current value And the thir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is controlled to be a constant current at a preset third current value.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3 정전류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전류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ED illumin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current restrict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hird node and the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 전류를 상기 LED 조명장치의 구성요소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LED 조명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supplies a driving voltage to the component by supplying an additional discharging curr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ing period to the component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Lighting device.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 전류를 이용해 에너지를 충전하며,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LED 조명장치의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제 2 충방전부를 더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ED lighting device includes:
Charging the energy using an additional discharging current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and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ing perio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harge / discharge unit for supplying a driving voltage to a component of said LED lighting apparatus by using said second charging / discharging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압을 전파정류하고, 전파정류된 제 1 정류전압을 제 1 구동전압으로서 상기 LED 발광부에 제공하는 정류부;
충전구간에서 상기 정류전압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충전하며, 상기 보상구간에서 상기 LED 발광부에 상기 제 2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 1 충방전부; 및
상기 LED 발광부 및 상기 제 1 충방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정류전압의 상승구간과 상기 충전구간 사이의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1 충방전부를 추가로 방전시키는 LED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구동회로.
An LED driving circu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an LED light emitting portion of an LED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tifying device including: a rectifying part for full-wave rectifying an AC voltage applied in connection with an AC power source and providing a full-wave rectified first rectified voltage as a first driving voltage to the LED light emitting part;
A first charging unit charging the energy using the rectified voltage in a charging period and providing the second driving voltage to the LED light emitting unit in the compensation period; And
And an LED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ing unit and further discharging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during a rising interval of the rectified voltage and an additional discharging interval between the charging intervals, Drive circuit.
상기 추가 방전구간은 상기 정류전압의 전압레벨이 상기 LED 발광부의 순방향 전압레벨 이상이고 상기 제 1 충방전부의 전압레벨이 상기 정류전압의 전압레벨 이상인 구간인, LED 구동회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dditional discharge interval is a period in which a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forward voltage level of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voltage level of the first charging por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voltage level of the rectified voltage.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LED 발광부 및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상기 LED 구동 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게 제어하는, LED 구동회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ED driv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LED drive control unit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e period.
상기 LED 구동회로는:
상기 LED 발광부의 캐소드단과 상기 제 1 충방전부 사이의 제 1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1 정전류 스위치;
상기 제 1 충방전부와 접지 사이의 제 2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2 정전류 스위치; 및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충방전부 사이의 제 3 노드와 상기 LED 구동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3 전류경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제 3 정전류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1 정전류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정전류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LED 발광부와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병렬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가 추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LED 구동회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D driving circuit includes:
A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disposed between a first node between the cathode end of the LED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first charge and discharge portion and the LED drive control portion and selectively forming a first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e control portion;
A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disposed between a second node between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ground and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forming a second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And a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disposed between the third node between the first node and the first charging unit and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forming a third current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turns on the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and the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e interval so that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first charge / discharge unit is further discharged.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 1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1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1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며, 상기 제 2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2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고, 상기 제 3 정전류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제 3 전류를 미리 설정된 제 3 전류 값으로 정전류 제어하는, LED 구동회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nstant current switch to a predetermined first current value and controls the secon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nstant current switch to a constant current control to a second predetermined current value And a thir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is controlled to a constant current with a third current value set in advance.
상기 LED 구동회로는,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3 정전류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전류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LED 구동회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LED driving circuit further comprises a current restrict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hird node and the third constant current switch.
상기 LED 구동 제어부는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 전류를 상기 LED 조명장치의 구성요소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LED 구동회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ED driving control unit supplies a driving voltage to the component by supplying an additional discharging curr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ing period to the component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Drive circuit.
상기 LED 구동회로는,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추가 방전구간 동안 상기 제 3 전류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추가 방전 전류를 이용해 에너지를 충전하며,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해 상기 LED 조명장치의 구성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제 2 충방전부를 더 포함하는, LED 구동회로.16. The method of claim 15,
In the LED driving circuit,
Charging the energy using an additional discharging current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and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rging unit through the third current path during the additional discharging period, And a second charge / discharge unit for supplying a driving voltage to the elements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by using the second charging / discharg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8211A KR20160112452A (en) | 2015-03-19 | 2015-03-19 | Led luminescent apparutus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uminescent apparutus comprising the same |
CN201580056064.6A CN107211508B (en) | 2014-10-14 | 2015-10-14 | The LED drive circuit that scintillation properties are improved and the LED light device including this |
EP15850276.5A EP3209096B1 (en) | 2014-10-14 | 2015-10-14 | Led driver circuit having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same |
DE212015000247.0U DE212015000247U1 (en) | 2014-10-14 | 2015-10-14 | LED drive circuit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ighting device containing this |
US15/519,274 US10244596B2 (en) | 2014-10-14 | 2015-10-14 | LED drive circuit having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PCT/KR2015/010832 WO2016060465A2 (en) | 2014-10-14 | 2015-10-14 | Led driver circuit having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8211A KR20160112452A (en) | 2015-03-19 | 2015-03-19 | Led luminescent apparutus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uminescent apparutus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2452A true KR20160112452A (en) | 2016-09-28 |
Family
ID=5710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8211A Withdrawn KR20160112452A (en) | 2014-10-14 | 2015-03-19 | Led luminescent apparutus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uminescent apparutus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1245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0061A (en) * | 2019-05-09 | 2020-11-18 | (주)포인트텍 | Ac direct led driver including capacitor for led driver |
-
2015
- 2015-03-19 KR KR1020150038211A patent/KR20160112452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0061A (en) * | 2019-05-09 | 2020-11-18 | (주)포인트텍 | Ac direct led driver including capacitor for led driv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1318B1 (en) | Led drive apparatus for continuous driving of led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EP3209096B1 (en) | Led driver circuit having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same | |
KR102453820B1 (en) | Driving circuit and light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 |
KR101267278B1 (en) | Led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modulation depth | |
US20120194088A1 (en) | High brightness led driving circuit | |
CN109951920B (en) | LED lighting device | |
US9743479B2 (en) | LED lighting apparatus with improved flicker index | |
CN105578674A (en) | LED driver | |
US10321529B2 (en) | LED drive circuit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ighting device comprising same | |
KR101270711B1 (en) |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 |
KR20150017442A (en) |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 |
KR102092383B1 (en) | Led drive apparatus for continuous driving of led, led luminescent apparutus compri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092382B1 (en) | Led drive apparatus for continuous driving of led, led luminescent apparutus compri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160112452A (en) | Led luminescent apparutus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uminescent apparutus comprising the same | |
KR102634470B1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KR102309840B1 (en) | Led driving circuit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uminescent apparutus the same | |
KR102449566B1 (en) | Led driving circuit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uminescent apparutus the same | |
KR102427793B1 (en) | Led driving circuit with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and led luminescent apparutus the same | |
KR102392256B1 (en) | LED Driver Circuit | |
KR101473917B1 (en) |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 |
KR20150012537A (en) | Led luminescent apparutus | |
KR20160096524A (en) | A high efficiency led lighting apparatus and a led driving circuit thereof | |
KR20180013315A (en) | LED lighting apparatus and LED driving circuit thereof | |
KR20160047324A (en) | Driving circuit for light emitting dio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