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11745A - 프론트 엔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프론트 엔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745A
KR20160111745A KR1020150036803A KR20150036803A KR20160111745A KR 20160111745 A KR20160111745 A KR 20160111745A KR 1020150036803 A KR1020150036803 A KR 1020150036803A KR 20150036803 A KR20150036803 A KR 20150036803A KR 20160111745 A KR20160111745 A KR 20160111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nd module
transmission
integrated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정
최효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1745A/ko
Priority to US14/995,951 priority patent/US20160277061A1/en
Publication of KR20160111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74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제1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1 송신 신호 또는 제2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2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제어 집적회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집적회로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론트 엔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FRONTEND MODULE AND WIRELESS CO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게 되고 있다. 특히,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복수의 방식의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 프론트 엔드 모듈도 복수의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프론트 엔드 모듈이 서로 다른 통신 신호를 송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른 경로를 통하여 송신 신호를 안테나로 제공한다. 또한, 증폭이 필요한 경우, 각 송신 신호가 전달되는 복수의 경로 각각에 증폭기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프론트 엔드 모듈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소형화되는 전자 기기의 요구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전원 프론트 엔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22511호 또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4566호 등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22511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456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통신 표준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프론트 엔드 모듈의 일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제1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1 송신 신호 또는 제2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2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제어 집적회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집적회로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측면은 무선 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제1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1 송신 신호 또는 제2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2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제어 집적회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집적회로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통신 표준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0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 엔드 모듈(100)은 제어 집적회로(110), 제1 스위치(120) 및 송신 증폭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론트 엔드 모듈(100)은 제2 스위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집적회로(110)는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송신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안테나(20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 집적회로(110)는 제1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1 송신 신호(TX1) 또는 제2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2 송신 신호(TX2)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집적회로는(110)는 블루투스 방식을 따르는 제1 송신 신호(TX1)와 무선랜 방식을 따르는 제2 송신 신호(TX2)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집적회로(110)는 안테나(200)로부터 제1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1 수신 신호(RX1) 또는 제2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2 수신 신호(RX2)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 집적회로(110)는 송신 또는 수신 여부 및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스위치(120) 및 제2 스위치(14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CS)는 복수의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펄스의 값에 따라, 특정 시점에서 제어 신호는 복수의 비트(n bit)를 가지는 2진수값로서 표현될 수 있다.
제어 집적회로(11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 집적회로(110)는 내부에 메모리를 구비하거나 또는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메모리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송신 신호(TX1) 및 제2 송신 신호(TX2)는 각각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제1 스위치(120)에 입력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20)는 각각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제1 송신 신호(TX1) 또는 제2 송신 신호(TX2)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스위치(120)는 제어 집적회로(11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칭 동작하여, 제1 송신 신호(TX1)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TX2)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120)는 제어 집적회로(11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CS)중 일부 펄스만을 입력받고, 그에 대응하여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제어 집적회로(110)는 n 비트로 구성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예의 경우, 제1 스위치(120)는 n비트 중 일부인 k비트만을 입력받아(CS') 그에 대응하여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송신 증폭기(130)는 제1 스위치(120)의 출력단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송신 증폭기(130)는 제1 스위치(120)에서 출력된 송신 신호-예컨대, 제1 송신 신호(TX1) 또는 제2 송신 신호(TX2)-를 증폭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40)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 증폭기(130)의 출력단과 안테나(200)를 연결하거나 또는 안테나(200)와 제어 집적회로(10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치(140)는 제어 집적회로(11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CS) 전부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제어 집적회로(110)는 n 비트로 구성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예의 경우, 제1 스위치(120)는 n비트 중 일부인 k비트만을 입력받아(CS') 그에 대응하여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치(120)가 1 송신 신호(TX1) 또는 제2 송신 신호(TX2)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스위칭 제어하고, 그러한 제1 스위치(120)의 후단에 송신 증폭기(130)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은 하나의 송신 증폭기만을 사용하므로 모듈의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에 대한 내용 중에서 도 1에서 기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에 상응하는 내용은, 도 1의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도시하는 회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집적회로(110)는 제어 집적회로(110), 제1 스위치(120), 송신 증폭기(130) 및 제2 스위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집적회로(110)는 각각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제1 및 제2 송신 신호(TX1, TX2)를 제1 스위치(120)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20)는 제어 집적회로(110)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 중 일부에 대응하여 스위칭 동작하여 하나의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단극쌍투(Sigle Pole Double Throw, SPDT) 스위치 일 수 있다.
제1 스위치(120)의 출력단에는 송신 증폭기(130)가 구비되며, 송신 증폭기(130)의 출력은 제2 스위치의 하나의 입력단에 입력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40)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200)에 연결하거나, 또는 안테나(200)에서 수신된 제1 또는 제2 수신 신호(RX1, RX2)를 제어 집적회로(110)에 제공할 수 있는 단극쌍투(Sigle Pole Double Throw, SPDT) 스위치 일 수 있다.
제어 집적회로(11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스위치(120) 및 제2 스위치(140)에 송신할 수 있다. 도시된 예의 경우, 제어 신호는 3개의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3개의 펄스를 포함하는 전압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120)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펄스 중 일부(2개)만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여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이하의 표 1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적용 가능한 제어 신호의 값을 예시하는 표로서, 도시된 실시예는 블루투스(BT) 방식과 무선랜(WL) 방식을 지원하는 예에 관한 것이다.
RF 모드 제어 신호
WL_TX BT_TX RX
WL 송신 모드 1 0 0
BT 송신 모드 0 1 0
수신 모드 0 0 1
표 1을 참조하면, 도 3은 제어 신호가 WL 송신 모드인 경우를, 도 4는 BT 송신 모드인 경우를, 도 5는 수신 모드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의 경우, 송신 모드이므로 1 스위치(120)는 제어 신호의 두 개의 펄스 값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WL_TX 또는 BT_TX 중 하나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스위치(140)는 송신 신호가 안테나(200)로 전달되도록 증폭기(130)와 안테나(20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예의 경우, 수신 모드에 해당하므로 제2 스위치(200)는 안테나(200)와 제어 집적회로(11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도시하는 회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집적회로(110)는 제어 집적회로(110), 제1 스위치(120), 송신 증폭기(130) 및 제2 스위치(140)에, 수신 증폭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증폭기(150)는 제2 스위치(140)와 연결되고,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수신 증폭기(150)로서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 신호를 증폭하거나 또는 수신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제어 집적회로(110)에서 처리할 수 있다.
이하의 표 2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적용 가능한 제어 신호의 값을 예시하는 표이다. 제어 신호는 4개의 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펄스의 값은 아래 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RF 모드 제어 신호
WL_TX BT_TX RX LNA_ON
WL 송신 모드 1 0 0 0
BT 송신 모드 0 1 0 0
수신 모드 바이패스 0 0 1 0
수신 증폭 0 0 1 1
도 7은 WL 송신 모드의 예를, 도 8은 BT 송신 모드의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수신모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1 스위치(120)는 제어 신호 중 일부, 즉, 도시된 예에서는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1 및 제2 펄스에 대응하여 스위칭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40)는 제어 집적회로(110) 및 송신 증폭기(130)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1 단자 및 수신 증폭기(150)에 연결되는 한 개의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단극쌍투(SPDT) 스위치일 수 있다.
제2 스위치(140)는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1 내지 제3 펄스에 대응하여 스위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치(140)는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1 및 제2 펄스 중 어느 하나가 하이 값이면, 송신 증폭기(130)의 출력단과 안테나(20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치(140)는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1 및 제2 펄스가 모두 로우이고, 제3 펄스가 하이이면, 안테나(200)와 제어 집적회로(11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수신 증폭기(15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 증폭기(150)는 제어 신호 중 일부를 입력받고, 제어 신호 중 일부에 대응하여 수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증폭기(150)는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4 펄스에 대응하여 증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은 경우, 수신 증폭기(150)는 송신 신호가 송신되는 경로 상에 존재하므로, 송신 모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도시하는 회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0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송신 증폭기(150)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지 않고, 제2 스위치(140)에 의하여 경로가 형성되면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4의 예에서도, 상술한 표 2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동작 가능하다. 즉, 도 11은 WL 송신 모드의 예를, 도 12는 BT 송신 모드의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바이패스 수신 모드의 예를, 도 14는 증폭을 수반하는 수신 모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스위치(140)는 제어 집적회로(110) 및 송신 증폭기(130)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1 단자 및 수신 증폭기(150) 및 안테나(200)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쌍극쌍투(Double Pole Double Throw, DPDT) 스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치(140)는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1 및 제2 펄스 중 어느 하나가 하이 값이면, 송신 증폭기(130)의 출력단과 안테나(20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치(140)는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1 및 제2 펄스가 모두 로우이고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3 펄스가 하이이면, 안테나(200)와 제어 집적회로(11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4 펄스가 로우이면, 안테나(200)와 제어 집적회로(110)가 직접 연결되록 스위칭될 수 있다.
한편, 제4 펄스가 하이이면, 수신 증폭기(150)와 안테나(200)를 연결하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 집적회로(110)는 수신 증폭기(150)에서 증폭된 수신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스위치(140)의 스위칭 동작은 상술한 설명을 통하여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엔드 모듈은 무선 통신 장치에 결합 가능한 별도의 구성일 수도 있고, 또는 무선 통신 장치의 일체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하나의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다만,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외한 무선 통신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므로, 여기에서 별도로 한정하여 설명하지 아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프론트 엔드 모듈
110 : 제어 집적회로
120 : 제1 스위치
130 : 송신 증폭기
140 : 제2 스위치
150 : 수신 증폭기
200 : 안테나

Claims (16)

  1. 제1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1 송신 신호 또는 제2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2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제어 집적회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집적회로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 증폭기;
    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증폭기의 출력단과 안테나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제어 집적회로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집적회로는
    복수의 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의 복수의 펄스 중 일부에 대응하여 스위칭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되고,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수신 증폭기;
    를 더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집적회로는
    4개의 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1 및 제2 펄스에 대응하여 스위칭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에 대응하여 스위칭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1 내지 제3 펄스에 대응하여 스위칭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증폭기는
    상기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4 펄스에 대응하여 증폭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펄스 중 어느 하나가 하이 값이면, 상기 송신 증폭기의 출력단과 안테나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펄스가 모두 로우이고 상기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3 펄스가 하이이면,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제어 집적회로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펄스가 모두 로우이고 상기 제어 신호의 4개의 펄스 중 제4 펄스가 하이이면, 상기 수신 증폭기와 상기 안테나를 연결하도록 스위칭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어 집적회로 및 상기 송신 증폭기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1 단자; 및
    상기 수신 증폭기에 연결되는 한 개의 제2 단자; 를 포함하는 단극쌍투 스위치인 프론트 엔드 모듈.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어 집적회로 및 상기 송신 증폭기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1 단자; 및
    상기 수신 증폭기 및 상기 안테나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제2 단자; 를 포함하는 쌍극쌍투 스위치인 프론트 엔드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증폭기는
    상기 제어 신호 중 일부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신호 중 일부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증폭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지 않고,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하여 경로가 형성되면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16. 제1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1 송신 신호 또는 제2 무선 통신 표준에 따른 제2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제어 집적회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집적회로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송신 신호 또는 상기 제2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 증폭기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150036803A 2015-03-17 2015-03-17 프론트 엔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Withdrawn KR20160111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803A KR20160111745A (ko) 2015-03-17 2015-03-17 프론트 엔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US14/995,951 US20160277061A1 (en) 2015-03-17 2016-01-14 Front end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803A KR20160111745A (ko) 2015-03-17 2015-03-17 프론트 엔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45A true KR20160111745A (ko) 2016-09-27

Family

ID=5692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803A Withdrawn KR20160111745A (ko) 2015-03-17 2015-03-17 프론트 엔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77061A1 (ko)
KR (1) KR201601117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8720B2 (en) * 2017-12-20 2021-08-1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igh-frequency module
CN112533257B (zh) * 2019-09-18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发送装置、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66B1 (ko) 2005-01-17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와 무선랜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안테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22511A (ko) 2009-04-23 2012-03-12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신호, 특히 이동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신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66B1 (ko) 2005-01-17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와 무선랜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안테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22511A (ko) 2009-04-23 2012-03-12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신호, 특히 이동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신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77061A1 (en)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36845A (zh) 射频L-PA Mid器件、射频收发系统和通信设备
KR101662945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의 접속
US20180123621A1 (en) Multi-mode multi-band transceiver,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radio frequency system using the same
US10340959B2 (en) Front-end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30013767A1 (en)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unpowered switching module
US11323193B2 (en) Filter circuit and radio-frequency module
KR2011013202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증폭 장치 및 방법
US10917132B1 (en) Switchless transceiver integrated programmable differential topology
US20160020732A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switchable output stages in power amplifiers
KR20190124448A (ko)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지원 가능한 멀티 입력 및 출력 구조를 갖는 저잡음 증폭회로
EP3131205B1 (en) Multi-path low-noise amplifier and associated low-noise amplifier module and receiver
US20130163577A1 (en) Power amplifying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1424783B2 (en) Transceiver having radio-frequency front-end circuit, dedicated radio-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switchable matching circuit integrated in same chip
KR20170034598A (ko) 통신 모듈 및 그에 포함된 프론트 엔드 모듈
KR102185066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CN114640358A (zh) 射频PA Mid器件、射频收发系统和通信设备
KR20160111745A (ko) 프론트 엔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US9966671B2 (en) High isolation dual antenna RF switch architectures
US9866335B2 (en) Testing circuit with directional coupler
JP4841670B2 (ja) 送受信回路
US20180331713A1 (en) Radio-frequency switch having intermediate shunt
US9887720B2 (en) Front-end circu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US10873359B1 (en) Wireless transceiver device
US8838050B2 (en) Power amplifier for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N216721321U (zh) 射频前端器件、射频系统和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