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07690A - 3-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3-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690A
KR20160107690A KR1020150030768A KR20150030768A KR20160107690A KR 20160107690 A KR20160107690 A KR 20160107690A KR 1020150030768 A KR1020150030768 A KR 1020150030768A KR 20150030768 A KR20150030768 A KR 20150030768A KR 20160107690 A KR20160107690 A KR 20160107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dimensional
display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익현
홍수정
배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인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인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인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3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7690A/en
Publication of KR20160107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690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H04N13/04
    • H04N13/04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각뿔 모양의 바디(11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110)의 빗면(M)은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2차원 영상(U)을 출력하는 단말기(T)를 배치하므로 상기 2차원 영상(U)이 바디(110)를 통해서 3차원 영상(D)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효과가 있다.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hedron-shaped body 110, and the oblique surface M of the body 110 is formed to reflect light.
Accordingly, since the terminal T for outputting the two-dimensional image U is disposed on the body 110, the two-dimensional image U is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 through the body 110 .

Description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3-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A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단말기를 통해서 출력되는 2차원 영상을 반사시켜서 입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reflect a two-dimensional image output through a terminal and display the three-dimensional image.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요즘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T)가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상기 휴대단말기(T)를 이용하여 원거리 커뮤니케이션 외에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서치, 게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Nowadays, since a portable terminal T such as a smart phone is widespread widely, most people utilize the portable terminal T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 (SNS), search, game in addition to remote communication have.

이러한 휴대단말기(T)의 경우 휴대성을 강조하다 보니, 스크린의 사이즈가 5인치 안팎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스크린을 보고 감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영업 자리에서 다수의 주문자에게 상기 휴대단말기(T)를 이용하여 제품을 보여줄 때 휴대단말기(T)의 스크린을 통해서 여러 사람에게 어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In the case of such a portable terminal T, emphasis is placed on portability, so that the size of the screen is mostly around 5 inche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many people can not view and listen to the screen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it is not possible to appeal to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 when a product is displayed to a plurality of users at the business plac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배경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portable terminal-mounted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has been proposed.

상기 휴대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1에서처럼, 판상의 바디 (10) 전면에 스크린(20)이 배치되고, 도 2에서처럼, 후면에는 휴대단말기(T)가 상방에서 삽입되도록 상부와 후방으로 개방된 도킹부(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킹부(30)의 하단에는 휴대단말기(T)의 소켓에 삽입되는 연결단자(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제어부가 구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T)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크린(20)을 통해서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20)은 휴대단말기(T)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터치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기(T)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 a screen 20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a plate-shaped body 10, and a rear surface of the screen 20 is provided with an upper portion and a rear portion The docking unit 30 is opened. The connection terminal 4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T at the lower end of the docking unit 30. [ A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in the body 10 to output data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 through the screen 20. The screen 20 outputs a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T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T through a touch.

상기 휴대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1)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use of the portable terminal-mounted display device 1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상기 휴대단말기(T)를 상기 도킹부(30)에 삽입하여 상기 연결단자(40)가 휴대단말기(T)의 소켓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T)의 전원 스위치를 켠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휴대단말기(T)로부터 데어터를 전송받아서 상기 스크린(20)을 통해서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스크린(20)을 터치하여 휴대단말기(T)를 제어하므로 휴대단말기(T)의 영상을 스크린(20)으로 감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20)을 10 인치 이상의 큰 것으로 구비한다면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영상을 볼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4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T by inserting the portable terminal T into the docking unit 30. Then, the power switch of the portable terminal T is turned on. The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T and outputs the data through the screen 20. Then, since the user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T by touching the screen 20, an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T can be viewed on the screen 20. Accordingly, if the screen 20 is provided as being larger than 10 inches,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simultaneously view the image.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스크린(20)을 통해서 휴대단말기(T)의 2차원 영상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3차원 영상을 출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영업석상에서 제품을 주문자들에게 제시할 때 2차원으로만 표시되므로 제품의 모양이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다양한 영상을 감상할 때 3차원 영상을 즐길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mounted display device 1 only transmits the two-dimensional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T through the screen 20 as i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ree-dimensional image can not be output. For example, when presenting a product to a customer in a business, it is displayed only in two dimensions, so that the shape of the product can not be understood in detail. In addition, there was a limitation in enjoying 3D images when viewing various images.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2-0084102호 (2012년 07월 27일)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84102 (Jul. 27, 2012)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결과제는 다음과 같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상기 배경기술에서 휴대단말기의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출력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휴대단말기에 출력되는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시켜서 360도 방향에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background art, a problem that the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not be output as a three-dimensional image is solved. That is, a two-dimensional image output to the portable terminal is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image in a 360-degree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각뿔 모양의 바디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의 빗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gonal pyramid-shaped body, and the oblique surface of the body is formed to reflect light.

또한,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에 단말기가 지지되도록 구성된 거치대를 포함한다.And a cradle connected to the body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terminal on the body.

상기 거치대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트바와, 상기 서포트바의 상단에 연결되어 단말기를 지지하는 사각테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한다.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코너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말기의 각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L형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The support base includes a support bar connected to the body and extending upward, and a frame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to support the terminal. And an L-shaped protrusion for accommodating the legs.

또한, 상기 바디는 삼각형 모양인 다수 개의 측부판이 측방으로 상호 부착되어 다각뿔 모양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ide plates having a triangular shape are laterally attached to each other to form a polygonal pyramid shape.

또한, 상기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어 단말기를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모션센서가 구성된다. Further, a motion sensor mounted on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terminal is constructed.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단말기에 출력되는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시켜서 360도 방향에서 영상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대상의 모양이나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서 영업석상에서 제품을 주문자에게 소개할 때에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3차원 영상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주문자들은 제품의 모양과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imensional image outputted to the terminal can be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the image can be viewed in the 360-degree direction, so that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display object can be easily appreciated. As an example, since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product can be easily displayed using the terminal and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troducing the product to the purchaser, the purchaser can more easily understand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roduct .

또한, 각종 캐릭터와 같은 콘텐츠도 입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유희적인 기능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contents such as various characters can be displayed as a stereoscopic image, amusing functions can be sufficiently provided.

또한, 모션센서를 통해서 단말기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손동작만으로도 상기 단말기를 컨트롤할 수 있기 때문이 조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trolled by only the manual operation without directly controlling the terminal through the motion sensor, the operation is easy.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단말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단말기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단말기에 2차원 영상이 바디의 각 빗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각각의 2차원 영상이 바디의 전후좌우측의 빗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a),(b),(c),(d)는 3차원 영상의 전후좌우측을 각각 도시한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image is displayed in a state where a terminal is mounted on a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terminal is mounted on a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wo-dimensional image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sed in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blique plane of the body.
FIG. 7 shows that each two-dimensional image shown in FIG. 6 is displayed on the oblique surface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respectively. FIGS. 7A, 7B, Fig.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단말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3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단말기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단말기에 2차원 영상이 바디의 각 빗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각각의 2차원 영상이 바디의 전후좌우측의 빗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a),(b),(c),(d)는 3차원 영상의 전후좌우측을 각각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image is displayed in a state where a terminal is mounted on a three- 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a terminal used in a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 (A), (b), (c), and (d) show that the two-dimensional images shown in FIG. 6 are displayed on the oblique surfaces of the front, rear, ) Are explanatory views illustrat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respectively.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시 등과 같은 단말기(T)의 스크린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2차원 영상을 홀로그램 방식에 의해서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wo-dimensional image displayed through a screen of a terminal (T)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is displayed three-dimensionally by a hologram metho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도 3에서처럼, 다각뿔 모양의 바디(11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110)의 측면인 빗면(M)은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단말기(T)가 지지되도록 구성된 거치대(120)가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120)는 단말기(T)의 스크린이 하방을 향하도록 지지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바디(110)는 다각뿔 모양으로서 일례로 사각뿔 모양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the bevel M, which is a side surface of the body 110, includes a polygonal pyramid body 110, and is formed to reflect light. The holder 110 is connected to the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terminal T on the body 110. The cradle 12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creen of the terminal T downward. The body 110 may have a polygonal pyramid shape and may have a quadrangular pyramid shape, for example.

상기 바디(110)는 도 3에서처럼, 빗면(M)을 형성하기 위해 삼각형인 다수 개의 측부판(113)을 측방으로 차례로 부착되도록 구성하므로 다각뿔 모양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하부는 개방되어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개방된 하부를 마감하는 하부판(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body 110 has a plurality of side plates 113, which are triangularly formed to form an oblique side M, so as to be laterally attached. At this time, the lower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a lower plate (not shown)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finish the opened lower part.

상기 측부판(113)은 빛의 반사가 가능한 것으로 구성하는데, 유리판 내지는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조사(照射)되는 빛(태양광)으로 인해 3차원 영상(D)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코팅 처리된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 코팅은 일반적으로 모니터 등의 스크린에 코팅되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코팅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단말기(T)의 영상은 충분히 반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The side plate 113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eflecting light, and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a glass plate or acrylic. In addition, it is made of a coating treatment to prevent disturbance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D) due to light (sunlight) irradiated from the outside. Since the above coating is generally applied to a screen such as a monitor,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image of the terminal T can be sufficiently reflected even if the coating is made.

또한, 상기 측부판(113)의 부착부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부착부를 따라 커버하는 선형의 상부골조(115)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골조(115)는 단면이 L형인 형강 모양인 것으로서 측부판(113)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부골조(115)의 단면이 L형이므로 바디(110)의 모서리부가 되는 측부판(113)의 부착부에 부합될 수 있다. Further, in order to more firmly support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side plate 113, a linear upper frame 115 which covers the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The upper frame 115 is shaped like a L-shaped cross-section and is configured to hold the side plates 113 coupled thereto. That is,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frame 115 is L-shaped, it can be fitted to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side plate 113 at the corner of the body 110.

또한, 상기 상부골조(115)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골조(114)가 더 구성되므로 상기 상부골조(115)가 벌어지지 않고 측부판(113)을 압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Further, since the lower frame 114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115 is further constructed, the upper frame 115 can be kept in a state of pressing the side plate 113 without being opened.

상기 상부골조(115)는 측부판(113)의 부착부를 따라 형성되고, 하부골조(114)는 상부골조(115)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바디(110)와 동일한 다각뿔 모양이 되도록 구성한다. The upper frame 115 is formed along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side plate 113 and the lower frame 11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115 to have the same polygonal cone shape as the body 110.

상기 거치대(120)는 도 3에서처럼, 상기 바디(110)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트바(121)가 구성되는데 일례로서 상기 상부골조(115)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바(121)의 상단에 연결되어 단말기(T)를 지지하는 사각테 형상의 프레임(123)이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cradle 120 may include a support bar 121 connected to the body 110 and extending upward. The support bar 12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15, for example. Further, a frame 123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121 to support the terminal T.

상기 프레임(123)은 코너부(125)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말기(T)의 각부(A)를 수용할 수 있도록 L형으로 형성된 돌출부(127)가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서처럼, 단말기(T)의 각부(A)가 돌출부(127)에 수용되고 프레임(123)에 받쳐지므로 단말기(T)가 외측방으로 이탈되어 낙하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The frame 123 is formed as an L-shaped protrusion 127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orner portion 125 and accommodate the corner portion A of the terminal T. 4, the angular portion A of the terminal T is received in the protruding portion 127 and supported on the frame 123, so that the terminal T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outer room.

상기 프레임(123)에 단말기(T)를 올려놓았을 때 단말기(T)의 스크린 중심은 상기 바디(110)의 꼭지점(F)에 대응하도록 상기 프레임(123)은 배치된다. 따라서, 단말기(T)에 표시되는 각각의 2차원 영상(U)이 각각의 빗면(M) 즉 측부판(113)에 조사(照射)되도록 한다. The frame 123 is arranged so that the screen center of the terminal T corresponds to the vertex F of the body 110 when the terminal T is placed on the frame 123. [ Accordingly, each two-dimensional image U displayed on the terminal T is irradiated to each of the oblique planes M, that is, the side plate 113. [

또한, 상기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어 단말기(T)를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모션센서(130)가 구성되는데, 일례로서 도 3에서처럼, 상기 바디(11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측부판(113) 하방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130)는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서 단말기(T)와 연동될 수도 있고, 케이블로 접속되어 연계될 수도 있다. The motion sensor 13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terminal T mounted on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Can b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13. The motion sensor 13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terminal T through a Bluetooth function, or may be connected by a cable.

상기 모션센서(130)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T)를 온오프시킬 수도 있고, 다음 영상으로 넘어가게 할 수도 있으며, 전화를 받거나 걸 수도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The motion sensor 130 recognizes the hand motion of the user and can turn the terminal T on and off, move to the next image, and control the reception or hanging of the phone.

상기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use of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상기 바디(110)는 편의상 사각뿔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The body 110 is assumed to be a quadrangular pyrami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먼저, 도 6에서처럼 단말기(T)의 스크린에 2차원 영상(U)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데, 상기 바디(110)의 각 빗면(M)에 대응되도록 4개의 2차원 영상(U)이 각각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표시된다. 이때, 각 2차원 영상(U)은 전후좌우측면을 각각 표시하고 있다. 즉, 사람의 머리를 2차원 영상(U)으로 표시한다면 상기 머리의 전후좌우를 각각 표시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6, a two-dimensional image U is displayed on a screen of a terminal T. Four two-dimensional images U are arranged in a cross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blique surface M of the body 110 . At this time, each two-dimensional image U indicates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That is, if the head of a person is represented by a two-dimensional image (U),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are displayed.

따라서, 도 4 및 도 5에서처럼 상기 거치대(120)에 단말기(T)를 올려놓게 되면, 각각의 2차원 영상(U)은 각각의 빗면(M)에 반사되므로 도 4에서처럼, 바디(110) 내부에 3차원 영상(D)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즉, 전후좌우를 표시하는 각각의 2차원 영상(U)이 사용자의 눈에 동시에 비치게 되므로 사용자의 눈은 3차원 영상(D)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홀로그램 방식을 이용하여 2차원 영상(U)을 3차원 영상(D)으로 보이게 하며 둘레를 따라 360도 방향을 따라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 and 5, when the terminal T is placed on the cradle 120, each two-dimensional image U is reflected on each of the oblique planes M, The three-dimensional image D appears as if it were displayed. That is, since each two-dimensional image U indicating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is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user's eyes, the user's eyes are recogniz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two-dimensional image U to be view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D using the hologram method and appreciat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D along the circumference along the 360-degree direction.

또한, 상기 3차원 영상(D)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도 6에서처럼, 전후좌우를 표시하는 각각의 2차원 영상(U)이 회전하게 되므로, 바디(110)에는 회전하는 3차원 영상(D)이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 rotates, as shown in FIG. 6, each two-dimensional image U display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rotates, so that a rotating three- Is displayed.

이외에도 3차원 영상(D)이 동영상일 경우에는 3차원 영상(D)의 전후좌우측을 표시하는 각각의 2차원 영상(U)이 단말기(T)의 스크린에 십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표시된 후에 각각의 2차원 영상(U)은 서로 연동되어 동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즉, 전방을 표시하는 2차원 영상(U)이 오른쪽 다리를 들어올린다면 후방을 표시하는 2차원 영상(U)도 오른쪽 다리를 들어올리는 것으로 표시하고 좌우측방을 표시하는 2차원 영상(U)도 동일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표시된다.In addition, whe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 is a moving image, each two-dimensional image U display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D is displayed in a cross shape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T, Dimensional images U are linked with each other to display moving images. That is, if the two-dimensional image U indicating the front lifts the right leg, the two-dimensional image U displaying the rear is also displayed as lifting the right leg and displaying the left and right rooms It is displayed as moving in the same way.

따라서, 각각의 동영상인 상기 2차원 영상(U)이 바디(110)의 빗면(M)에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에 들어오므로 사용자는 동영상인 3차원 영상(D)으로 인식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two-dimensional image U, which is a moving image, is reflected on the oblique surface M of the body 110 and enters the user's eyes,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e three-dimensional image D as a moving image.

또한, 상기 모션센서(130)를 통해서 손동작만으로도 상기 단말기(T)를 온오프시키거나 상기 2차원 영상(U)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단말기(T)의 조작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various controls can be performed by turning on / off the terminal T or selecting the two-dimensional image U by only the manual operation through the motion sensor 13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 is simple.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T)를 통해서 출력되는 2차원 영상(U)을 3차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되 360도 방향에서 감상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대상의 입체 형상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wo-dimensional image (U) output through the terminal (T) can be display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but can be viewed in a 360-degree direction. Therefore, the stereoscopic shape of the display object can be easily appreciated.

일례로서 영업석상에서 제품을 주문자에게 소개할 때에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T)와 상기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3차원 영상(D)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주문자들은 제품의 모양과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an exa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display a three-dimensional image (D) of the product using the terminal (T) possessed when introducing the product to the purchaser on the business floor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urchaser has an advantage that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roduct can be understood more easily.

또한, 단말기(T)를 통해서 네비게이션 영상이 2차원으로 표현되도록 한 후 본 발명을 통해서 상기 네비게이션 영상이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지하철이나 버스 내지는 기차 등 대중 교통수단을 타고 이동할 때 현재의 이송 방향 및 이동경로를 3차원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navigation image may be displayed in two dimensions through the terminal T, and then the navigation image may be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hen the user travels on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subway, a bus, or a train, the current transport direction and travel path can be confirmed by a three-dimensional image.

또한, 각종 캐릭터와 같은 콘텐츠도 입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유희적인 기능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contents such as various characters can be displayed as a stereoscopic ima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have amusing function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for purposes of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10: 바디
L: 밑면 M: 바디
113: 측부판 115: 골조 120: 거치대 121: 서포트바 123: 프레임 125: 코너부 127: 돌출부 130: 모션센서
100: 3D holographic display device 110: Body
L: Bottom surface M: Body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Claims (6)

다각뿔 모양의 바디(11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110)의 빗면(M)은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Wherein the oblique surface (M) of the body (110) includes a polygonal pyramid shaped body (110) so as to reflect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단말기(T)가 지지되도록 구성된 거치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lder (120) connected to the body (110) and configured to support a terminal (T)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20)는,
상기 바디(110)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트바(121)와,
상기 서포트바(121)의 상단에 연결되어 단말기(T)를 지지하는 사각테 형상의 프레임(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radle (120)
A support bar 121 connected to the body 110 and extending upward,
And a frame (123)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121) to support the terminal (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3)의 코너부(125)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말기(T)의 각부(A)를 수용할 수 있도록 L형으로 형성된 돌출부(1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protrusion 127 protruding upward from a corner portion 125 of the frame 123 and formed in an L shape so as to receive the corner portion A of the terminal T. [ .
제1항에서 제3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0)는 삼각형 모양인 다수 개의 측부판(113)이 측방으로 순차대로 부착되어 다각뿔 모양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110) has a plurality of side plates (113)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the side plates (113) are sequentially attached side by side to form a polygonal pyramid.
제2항에서 제3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어 단말기(T)를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모션센서(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And a motion sensor (130) mounted on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100)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terminal (T).
KR1020150030768A 2015-03-05 2015-03-05 3-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Ceased KR201601076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768A KR20160107690A (en) 2015-03-05 2015-03-05 3-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768A KR20160107690A (en) 2015-03-05 2015-03-05 3-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690A true KR20160107690A (en) 2016-09-19

Family

ID=5710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768A Ceased KR20160107690A (en) 2015-03-05 2015-03-05 3-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7690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18Y1 (en) * 2017-07-17 2018-02-07 주식회사 인텍코리아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displaying hologram image
CN109493760A (en) * 2019-01-03 2019-03-19 合肥工业大学 A kind of multisource synchronization displaying digital sand table system
US20190146607A1 (en) * 2017-11-15 2019-05-16 Fujitsu Component Limited Film and input device
KR20200102239A (en) *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인터브리드 Hologram Display System using PDLCD and voltage controller
KR102236914B1 (en) 2019-10-29 2021-04-06 (주)셀빅 Two-way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3d hologram display device
KR20210055167A (en) 2019-11-07 2021-05-17 이경은 Smart hologram display device based on user-sensiti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4102A (en) 2011-01-19 2012-07-27 지현주 A display mounted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4102A (en) 2011-01-19 2012-07-27 지현주 A display mounted portable termina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18Y1 (en) * 2017-07-17 2018-02-07 주식회사 인텍코리아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displaying hologram image
US20190146607A1 (en) * 2017-11-15 2019-05-16 Fujitsu Component Limited Film and input device
KR20190055722A (en) * 2017-11-15 2019-05-23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m and input device
US10747381B2 (en) 2017-11-15 2020-08-18 Fujitsu Component Limited Film and input device
CN109493760A (en) * 2019-01-03 2019-03-19 合肥工业大学 A kind of multisource synchronization displaying digital sand table system
KR20200102239A (en) * 2019-02-21 2020-08-31 주식회사 인터브리드 Hologram Display System using PDLCD and voltage controller
KR102236914B1 (en) 2019-10-29 2021-04-06 (주)셀빅 Two-way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3d hologram display device
KR20210055167A (en) 2019-11-07 2021-05-17 이경은 Smart hologram display device based on user-sensi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7690A (en) 3-dimensional hologram display device
CN108885803A (en) Virtual object manipulation in physical environment
JP5856651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US20170295926A1 (en) Interactive learning desk with document camera
CN103116859A (en) 3D (Three dimensions) shopping guide machine
CN204028557U (en) The holographic phantom imaging system of a kind of 360 degree
CN104380348A (en) Arrangement for physically moving two dimesional, three dimensional and/or stereoscopic three dimensional virtual objects
CN202696696U (en) Projection mobile phone
US10762812B1 (en) Compact and stand alone holographic device using mobile phone, tablet, or computer screen
KR101848353B1 (en) Hologram projecting apparatus for smart phone
CN102394030A (en) Goods exhibition equipment and exhibition method
JP6583954B2 (en) Exhibition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CN210248997U (en) Infrared touch frame discernment interactive table
CN204045142U (en) A kind of intelligent holographic touches advertisement machine
CN206162689U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of building
CN205334919U (en) Interactive display device of three -dimensional scene
CN202615643U (en) 360-degree float imaging fire-fighting safety education display machine
WO2013156613A1 (en) A housing for an electronic display screen
CN205157968U (en) Holographic imaging system
CN206479777U (en) A kind of realtime holographic projection showcase
CN106205242A (en) 3D geographic projection device
CN205246976U (en) Portable stereo image display device
CN211718689U (en) Holographic projection imaging interaction system
CN202408033U (en) Suspension imaging display cabinet
CN203165018U (en) 3D shopping guid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0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603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