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07592A -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592A
KR20160107592A KR1020150030525A KR20150030525A KR20160107592A KR 20160107592 A KR20160107592 A KR 20160107592A KR 1020150030525 A KR1020150030525 A KR 1020150030525A KR 20150030525 A KR20150030525 A KR 20150030525A KR 20160107592 A KR20160107592 A KR 20160107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antenna pattern
frame
bridge
radiato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홍하룡
박성준
이윤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7592A/ko
Priority to US14/982,384 priority patent/US20160261028A1/en
Priority to CN201610027752.6A priority patent/CN105938938A/zh
Publication of KR2016010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592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측에서 절곡 구비되는 지지부가 구비된 방사체 및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일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절곡된 단부가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사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방사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타면에는 상기 지지부의 노출된 단부로부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가장자리까지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된 브릿지 그루브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조 방법{Antenna pattern fram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핸드폰, PDA, 네비 게이션, 노트북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무선랜, DMB등의 기능이 부가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가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와 안테나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안테나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체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안테나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체화 시키는 방법으로 제조금형 내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방사체를 고정시키고 수지재를 주입하여 제작하는 몰드 사출성형법이 있다.
다만, 몰드 사출 성형법의 경우 방사체에 가이드핀 홀을 제작하고, 상기 가이드핀홀에 금형에 구비되는 가이드핀을 삽입하여 방사체를 고정하였는데, 제품 제작후 가이드핀 홀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외관이 개선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외관이 개선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측에서 절곡 구비되는 지지부가 구비된 방사체 및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일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절곡된 단부가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사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방사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타면에는 상기 지지부의 노출된 단부로부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가장자리까지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된 브릿지 그루브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몰드 사출 성형시 브릿지와 연결되고, 상기 브릿지에는 고정홀이 구비된다. 이때, 금형에 구비되는 고정핀을 상기 브릿지에 구비되는 고정홀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방사체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몰드 사출 성형이 완료되는 경우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외면에는 고정홀에 의한 흔적이 남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결합되는 형상을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에 제공되는 방사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작방법에서 금형사이에 방사체가 배치되고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작방법에서 금형사이에 방사체가 배치되고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작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결합되는 형상을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500)는 회로기판(100), 하우징(200) 및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500)는 일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회로기판(100)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판(예를 들어, 세라믹 기판 또는 인쇄회로기판(PCB)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실장용 전극이나 실장용 전극들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패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회로기판(100)은 후술할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에 구비되는 방사체(310)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사체(310)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100)에는 방사체(310)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사체(310)는 회로기판(100)의 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회로기판(100)에 전달하거나 회로기판(1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여 안테나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전자장치(5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프론트 케이스(210)와 리어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10)에는 전자장치(5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전자소자 및 상기 회로기판(100)이 결합된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210)의 일측에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의 상부에는 리어 커버(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프론트 케이스(210)와 리어 커버(220)는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전자장치(5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자소자, 회로기판(100) 및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이 장착된다.
리어 커버(220)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프론트 케이스(210)와 리어 커버(220)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리어 커버(220)는 프론트 케이스(21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케이스(210)와 리어 커버(22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지재(resin)를 몰드 사출 성형하여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프론트 케이스(210)와 리어 커버(220)의 재질은 제안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소자, 회로기판(100),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 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하게 변경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에 제공되는 방사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은 방사체(310) 및 방사체 프레임(330)을 포함한다.
방사체(310)는 안테나 패턴부(311), 연결부(312), 연결 단자부(313) 및 지지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체(310)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장치(500)내에 구비되는 신호 처리장치(미도시)로 전달하거나 전자장치(500)의 신호를 외부 수신처로 전달한다.
또한, 방사체(310)는 다양한 대역의 외부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미앤더 라인(Meander line)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사체(310)는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311)와 수신된 신호를 전자장치(500)에 전송하거나 전자장치(500)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안테나 패턴부(311)와 회로기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부(31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체(310)는 안테나 패턴부(311)와 연결 단자부(313)가 절곡된 3차원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안테나 패턴부(311)와 연결 단자부(313)는 연결부(3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12)는 안테나 패턴부(311)가 후술할 방사체 프레임(330)의 일면에 형성되고, 연결 단자부(313)는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에 형성되도록 안테나 패턴부(311)와 연결 단자부(313)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체 프레임(330)의 일면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방사체 프레임(330)의 리어 커버(220)와 대향하는 면을 의미하며,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이라 함은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회로기판(100)과 대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지지부(314)는 안테나 패턴부(311)의 일측에서 절곡 구비될 수 있으며, 절곡된 단부는 몰드 사출 성형 후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지지부(314)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311)의 일측에서 방사체 프레임(330)을 관통하도록 절곡 구비될 수 있으며, 절곡된 단부는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14)는 브릿지(11)와 연결되는 부분에 해당하며, 몰드 사출 성형 완료시 별도의 절단 공정에 의해 브릿지(11)와 분리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314)는 안테나 패턴부(311)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방사체 프레임(330)은 사출 구조물로서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330)에는 방사체(310)의 일부가 매립될 수 있다.
일예로서, 방사체 프레임(330)은 방사체(310)를 인서트 몰드 사출 성형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방사체 프레임(330)의 일면에는 상기 방사체(310)의 안테나 패턴부(311)가 노출되며, 타면에는 상기 방사체(310)의 연결 단자부(313) 및 지지부(314)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사체 프레임(330)은 사출 구조물로서, 안테나 패턴부(311)는 방사체 프레임(33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 단자부(313) 및 지지부(314)의 단부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방사체 프레임(330)이 몰드 사출 성형된 후에 방사체(310)의 연결 단자부(313)는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체(310)의 몰드 사출 성형이 완료되면 연결 단자부(313)를 방사체 프레임(330)에서 이격되도록 회전 절곡 할 수 있다.
이때, 방사체(310)가 탄성체로 구비되므로 자연스럽게 연결 단자부(313)는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단자부(313)는 회로기판(100)의 단자부(110)와 탄성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방사체 프레임(330)이 사출 성형된 후에 안테나 패턴부(311)에는 별도의 보호피막(미도시)이 도포될 수 있다.
비록, 리어 커버(220)까지 덮은 상태에서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문제가 없으나, 배터리 등의 교환을 위해 리어 커버(220)을 열었을 경우에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러한 경우에 외형 디자인 및 안테나 패턴부의 보호를 위함이다.
여기서 보호피막은 방사체 프레임(33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의 액체를 도장, 도색 등에 의해 살포하여 즉석에서 형성하거나, 별도의 필름, 코팅 등의 기성품을 부착하여 형성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의 경우 안테나 패턴부(311)에 방사체(310)의 고정설치를 위한 별도의 홀(hole)이 구비되지 않기 때 별도의 홀 라인(hole line)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방사체 프레임(330) 타면에는 상기 지지부(314)의 노출된 단부로부터 방사체 프레임(330)의 가장자리까지 브릿지 그루브(331)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릿지 그루브(331)는 지지부(314)의 노출된 단부로부터 상사체 프레임(330)의 측면(330a)까지 연장형성되 될 수 있으며, 방사체 프레임(330)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L1)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브릿지 그루브(331)가 인입된 깊이는 상기 지지부(314)의 두께(L2)와 동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 그루브(331)는 브릿지(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릿지 그루브는(331)는 방사체 프레임(330)의 사출 성형 후에 브릿지(11)를 지지부(314)로부터 제거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 그루브(331)는 지지부(314)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314)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브릿지 그루브(331) 또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브릿지 그루브(331)를 형성하는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에는 돌출 형성된 돌기부(3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332)는 브릿지 그루브(331)가 형성되지 않은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과 동일한 높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릿지 그루브(331)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332)는 브릿지(11)에 구비되는 고정홀(11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방사체 프레임(330)의 사출 성형 후 브릿지(11)를 제거 하게 되는데 이때 브릿지(11)의 고정홀(11a) 내부에 채워진 수지재(resin)가 돌기부(33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과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고, 방사체 프레임(330)에 결합되는 방사체(310)의 구성만이 차별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설명에 갈음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은 방사체(310) 및 방사체 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체(310)는 안테나 패턴부(311), 연결부(312), 연결 단자부(313) 및 지지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체(31)는 안테나 패턴부(311)와 연결 단자부(313)가 절곡된 3차원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안테나 패턴부(311)와 연결 단자부(313)는 연결부(3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12)는 안테나 패턴부(311)가 방사체 프레임(330)의 일면에 형성되고, 연결 단자부(313)가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에 형성되도록 안테나 패턴부(311)와 연결 단자부(313)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부(311)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 홀(311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핀 홀(311a) 내부 및 상측에는 수지재가 충진되어 오버 몰딩부(333)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314)는 안테나 패턴부(311)의 일측에서 절곡 구비될 수 있으며, 절곡된 단부는 몰드 사출 성형 후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지지부(314)는 안테나 패턴부(311)의 일측에서 방사체 프레임(330)을 관통하도록 절곡 구비될 수 있으며, 절곡된 단부는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방사체 프레임(330)은 사출 구조물로서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방사체 프레임(330)에는 방사체(310)의 일부가 매립될 수 있다.
일예로서, 방사체 프레임(330)은 방사체(310)를 인서트 몰드 사출 성형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일면에는 상기 방사체(310)의 안테나 패턴부(311)가 노출되며, 타면에는 상기 방사체(310)의 연결 단자부(313) 및 지지부(314)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방사체 프레임(330)의 일면에는 안테나 패턴부(311)의 가이드핀 홀(311a)을 관통하고, 관통된 단부가 상기 가이드핀 홀(311a)을 형성하는 안테나 패턴부(311)의 상면 중 일부를 덮도록 돌출 연장된 오버 몰딩부(333)가 구비될 수있다.
이때, 안테나 패턴부(311)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330)의 일면에서 소정간격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오버 몰딩부(333)의 상면은 방사체 프레임(330)의 일면의 높이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오버 몰딩부(333)는 가이드핀 홀(311a)의 경계라인을 가리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핀 홀(311a)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을 감추게 되어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작방법에서 금형사이에 방사체가 배치되고 수지재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작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작방법은 고정홀(11a)이 형성된 브릿지(11)가 구비되는 방사체(310)를 제공하는 단계, 합형되어 상기 방사체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고정핀(22a)이 구비된 상부 및 하부 금형(21, 22)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정핀(22a)이 상기 고정홀(11a)을 관통하도록 상기 방사체를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에 수지재를 주입하여 상기 방사체(310)를 몰드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 몰드 사출 성형이 완료된 후에 상기 브릿지(11)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사체(310)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311)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311)의 일측에서 절곡 구비되는 지지부(314) 및 상기 지지부(314)에 연결된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금형(20)의 내부공간에 방사체(310)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311)는 상부 또는 하부 금형(21, 22)의 일면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브릿지(11)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311)가 접하지 않은 상부 또는 하부 금형(21, 22)의 일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몰드 사출 성형이 완료된 후에 안테나 패턴부(311)는 방사체 프레임(330)의 일면으로 노출되고, 지지부(314)의 단부 및 브릿지(11)는 방사체 프레임(330)의 타면으로 노출된다.
또한, 방사체(310)를 금형(20)의 내부공간에 배치하는 경우, 상부 또는 하부 금형(21, 22)에 구비되는 고정핀(22a) 은 브릿지(11)의 고정홀(11a)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몰드 사출 성형시 방사체(31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22a)은 사출이 진행되면서, 사출액의 압력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돌기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몰드 사출 성형하는 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브릿지(11)를 제거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 이로 인해 방사체 프레임(330)에는 브릿지 그루브(331)가 형성될 수 있다(도 6참조).
또한, 브릿지(11)가 제거되는 경우, 브릿지(11)의 고정홀(11a)에 충진된 수지재에 의해 방사체 프레임(330)에는 돌기부(3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310)의 안테나 패턴부(311)에는 가이드핀 홀(311a)이 구비될 수도 있다.
안테나 패턴부(311)에 가이드핀 홀(311a)이 구비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부 또는 하부 금형(21, 22)에는 가이드 핀(21a)이 구비되며, 방사체를 금형(20) 내부공간에 배치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핀(21a)은 상기 가이드핀 홀(311a)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핀(21a)에 의해 사출 진행시 방사체(31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핀(21a)은 사출 진행되면서, 사출액의 압력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방사체 프레임(330)에는 오버 몰딩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회로기판 110: 단자부
200: 하우징 210: 프론트 케이스
220: 리어 커버 300: 안테나 패턴 프레임
310: 방사체 330: 방사체 프레임
500: 전자장치

Claims (16)

  1.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측에서 절곡 구비되는 지지부가 구비된 방사체; 및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일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절곡된 단부가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사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방사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타면에는 상기 지지부의 노출된 단부로부터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가장자리까지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된 브릿지 그루브가 구비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그루브를 형성하는 방사체 프레임의 타면에는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구비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상기 브릿지 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은 타면과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브릿지 그루브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구비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그루브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타면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그루브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측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그루브의 인입된 깊이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 홀이 구비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일면에서 인입되어 구비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핀 홀을 관통하고, 관통된 단부가 상기 가이드핀 홀을 형성하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상면 중 일부를 덮도록 돌출 연장된 오버 몰딩부가 구비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몰딩부의 상면은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일면의 높이 이하로 구비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의 안테나 패턴 프레임;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체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방사체로 신호를 송신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과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4. 고정홀이 형성된 브릿지가 구비되는 방사체를 제공하는 단계;
    합형되어 상기 방사체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고정핀이 구비된 상부 및 하부 금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방사체를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에 수지재를 주입하여 상기 방사체를 몰드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
    몰드 사출 성형이 완료된 후에 상기 브릿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측에서 절곡 구비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브릿지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의 일면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접하지 않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금형의 일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0150030525A 2015-03-04 2015-03-04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bandoned KR20160107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25A KR20160107592A (ko) 2015-03-04 2015-03-04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4/982,384 US20160261028A1 (en) 2015-03-04 2015-12-29 Antenna pattern fram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610027752.6A CN105938938A (zh) 2015-03-04 2016-01-15 天线图案框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25A KR20160107592A (ko) 2015-03-04 2015-03-04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92A true KR20160107592A (ko) 2016-09-19

Family

ID=5685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525A Abandoned KR20160107592A (ko) 2015-03-04 2015-03-04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61028A1 (ko)
KR (1) KR20160107592A (ko)
CN (1) CN1059389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875A (ko) * 2015-01-28 2016-08-05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621845B1 (ko) * 2019-03-26 2024-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접속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201937B (zh) * 2020-09-30 2023-02-28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天线组件的制作方法、天线组件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8072A2 (ko) * 2008-12-11 2010-06-17 Ma Sang-Yong 안테나 인서트형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935954B1 (ko) * 2009-04-23 2010-0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25964B1 (ko) * 2009-08-10 2011-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101468B1 (ko) * 2010-03-15 2012-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87025B1 (ko) * 2010-09-07 2016-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패턴부를 구비하는 사출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824B1 (ko) * 2012-12-14 2014-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방사체 프레임의 제조금형
KR101952852B1 (ko) * 2013-06-28 2019-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8938A (zh) 2016-09-14
US20160261028A1 (en)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1366B2 (ja) アンテナパターンフレーム、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金型、電子装置のケースの製造方法及び電子装置
US8120539B2 (en) Antenna formed with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44932B1 (ko)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이동통신 단말기
US8618989B2 (en) Electronic device case,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US9266266B2 (en) Case of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pattern frame embedded therein, mold there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9370886B2 (en) Radiator frame having antenna pattern embedded therei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260932A1 (en) Antenna pattern frame, electronic device case provided with antenna pattern fr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device case
KR20160107592A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8293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9381688B2 (en) Antenna pattern frame having antenna pattern embedded therei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30126B1 (ko)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113346B1 (ko) 안테나 방사체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101179357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및 전자장치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580296B1 (ko)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사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2888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방사체 프레임 제조 금형
KR101952852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328245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100966981B1 (ko) 안테나 일체형 케이스
KR101179363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매립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이의 제조금형 및 제조방법
KR101952851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14013297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011855A (ko) 인서트 안테나 모듈의 제조방법
KR20160012421A (ko) 방사체를 포함하는 케이스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0594A (ko)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4670A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이의 제조금형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3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9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