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265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6265A KR20160106265A KR1020150028900A KR20150028900A KR20160106265A KR 20160106265 A KR20160106265 A KR 20160106265A KR 1020150028900 A KR1020150028900 A KR 1020150028900A KR 20150028900 A KR20150028900 A KR 20150028900A KR 20160106265 A KR20160106265 A KR 201601062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t filter
- duct
- guider
- holder
- 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연결덕트를 거쳐 배출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의 전면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부, 상기 캐비닛은 상기 배출덕트의 공기를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홀을 포함하는 후면커버, 상기 배출덕트의 단부와 상기 공기배출홀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덕트의 인입 인출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하면커버 및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자물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는 전면부에 열쇄홀을 구비하며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자물쇠바디, 상기 자물쇠바디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면을 포함하는 자물쇠가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ch includes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drum accommodating clothes in the cabinet, a connecting duct communicating with the drum, A discharge duct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drum through the connecting duct, a lint filter unit for extracting foreign matter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harge duct, and a cabinet for blowing air from the discharge duct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 lower cover further including at least one guider for guiding in and out of the discharge duct so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air discharge hole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And a lock portion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connection duct, A lock body provided with a thermal hole and rotatable, a shaft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lock body, and a lock guider including at least one curved surface, wherein the lock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curved surface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린트필터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t filter unit provided in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건조기,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총칭이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a collective name of household appliances including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ing, a clothes dryer for drying clothes, and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한편, 의류건조기 혹은 건조겸용 세탁기는 건조 중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류와 같은 건조 대상물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함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lothes dryer or a drying and washing machine may includ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a drying object such as clothes to air discharged from a drum during drying.
이러한 이물질이 의류처리장치 내부 구성에 쌓일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고, 이물질이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면 세탁기가 위치한 실내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 기능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If such a foreign object accumulates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t may cause a failur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if the foreign objec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room air in which the washing machine is located may be contaminated. Therefor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drying function needs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건조기능이 구비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연결덕트,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배출덕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덕트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였다.A gener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drying function includes a connecting duct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um and a discharge duct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and a filter is provided in the connecting duct to filter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
그러나 최근 의류처리장치의 대용량화가 진행되면서, 종래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필터의 용량만으로는 발생하는 이물질을 모두 제거 할 수 없게 되었다.However, recently, as the capacity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s been increased, it has become impossible to remove all th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only by the capacity of the filter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onnecting duct.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크기는 나라마다 설정된 표준화된 규격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필터가 구비되는 연결덕트의 길이를 확장하여 필터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도 쉽지 않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generally conforms to a standardized standard set for each country, it is not easy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filter b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duct in which the filter is provided.
이에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배출덕트상에 구비되어 종래보다 많은 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 의류 건조기가 등장하였다.A clothes dryer is provided on a discharge duct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so as to have a filt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n an amount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lothes dryer.
특히,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필수적인 상업용 의류 건조기의 경우 배출덕트내 구비되어 전면으로 인출 가능한 필터가 일반적으로 적용되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commercial clothes dryer in which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product are essential due to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 filter that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duct and can be drawn out to the front is generally applied.
여기서, 린트필터가 배출덕트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린트필터의 위치고정구조가 없어 풍압에 의해 린트필터가 전면부를 향하여 밀려나와 소음이 발생하고 공기가 누설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lint filter is inserted into the exhaust duct, there is no position fixing structure of the lint filter, so that the lint filter is pushed toward the front part by the wind pressure, noise is generated,
한편, 필터의 여과용량을 확장하기 위하여 필터의 길이를 확장함으로 인하여 필터의 자중에 의해 필터가 아래쪽으로 쳐져 옷감의 이물질의 누설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블로워에 손상을 주어 제품고장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xpand the filter capacity of the filter, the filter is bent downward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filter due to the extension of the filter length, so that the foreign matter of the cloth is leaked, thereby causing damage to the blower, there was.
또한 종래의 상업용 건조기의 필터부에는 필터부의 도난 방지를 위한 자물쇠가 구비되었다.In addition, the filter portion of the conventional commercial dryer is provided with a lock for preventing the filter portion from being stolen.
종래의 린트필터부에 구비된 자물쇠부는 평판형으로 구비되어 회전하여 린트필터부를 잠그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린트필터부와 자물쇠부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의해 자물쇠부가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자물쇠부가 변행됨으로 인하여 필터부가 도난되는 문제가 있었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ck portion is deformed by the gap formed between the lint filter portion and the lock portion because the lock portion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lint filter portion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rotates to lock the lint filter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er portion is stolen due to the change of the lock portion.
한편 상업용 건조기와 같은 대용량 의류 건조기를 제작시에는 드럼을 캐비닛안에 조립하고,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배출덕트를 삽입하는 순으로 공정이 진행되었다. On the other hand, when manufacturing a high capacity clothes dryer such as a commercial dryer, a process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assembling the drum into the cabinet and inserting the discharge du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이 때, 배출덕트 삽입공정시 기 조립된 드럼의 하부로 상기 배출덕트가 후면커버의 공기배출홀을 통과하여 안착되어야 하는데 배출덕트가 삽입시 상기 배출덕트의 가고정 구조가 존재하지 않았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duct is to pass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of the rear cover to the lower part of the drum assembled at the time of inserting the discharge duct, and there is no temporary structure of the discharge duct when the discharge duct is inserted.
배출덕트의 조립시 배출덕트와 드럼과의 간섭에 의해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 및 작업자가 배출덕트의 공기배출구를 공기배출홀에 연통시키기 위한 노력 및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There is a problem that defects are generated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exhaust duct and the drum when the exhaust duct is assembl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effort and time are required for the operator to communicate the air exhaust port of the exhaust duct to the air exhaust hole.
본 발명은 확장된 여과용량을 갖는 필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filter having an expanded filtration capacity.
또한, 본 발명은 확장된 여과용량으로 인하여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필터가 자중으로 인하여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ch prevents a filter, which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due to an expanded filtration capacity, from being stuck due to its own weight.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일측면 뿐만 아니라 양측면을 모두 지지하여 필터의 한측면만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that supports both sides of a filter as well as a side of the filter, thereby preventing a side of the filter from being stuck to only one side.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연결덕트와 자물쇠부 사이에 간극을 제거하여 도난을 예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preventing theft by removing a gap between a connecting duct and a lock unit.
또한, 본 발명은 자물쇠부와 연결덕트에서 발생하는 간극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는 면접촉하며,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되는 축방향에서 힘평형(Force equilibirum)상태가 되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a gap generated in the lock portion and the connecting duct from occurring, the lint filter portion and the connecting duct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force equilibrium state is established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portion is drawn And to provide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덕트의 인입 인출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하면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배출덕트의 단부와 상기 공기배출홀이 간섭되어 배출덕트와 공기배출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wer cover further including at least one guider for guiding in and out of the discharge duct, so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air discharge hole are interfered with each other to damage the discharge duct and the air discharge hole And to provide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a problem.
또한, 본 발명은 배출덕트의 인입 인출을 배출덕트의 양측에서 안내하는 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guider for guiding in and out of a discharge duct from both sides of a discharge duct.
또한, 본 발명은 린트필터가 풍압에 의해 전면부를 향하여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고정구조(홀더, 홀더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position fixing structure (holder, holder guider) for preventing the lint filter from being pushed out toward the front portion by wind pressure.
또한, 본 발명은 린트필터에 구비된 위치고정구조(홀더, 홀더가이더)가 상호 탄성력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a position fixing structure (holder, holder guider) provided in a lint filter has mutual elasticity.
본 발명은 자물쇠부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여 도난을 예방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연결덕트,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부 및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자물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는 전면부에 열쇄홀을 구비하며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자물쇠바디, 상기 자물쇠바디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면을 포함하는 자물쇠가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for preventing aft by removing a gap between lock portions, a drum accommodated in the cabinet for accommodating clothes, a connecting duct communicating with the drum, A lint filter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duc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a lock unit selectively restricting the lint filter unit and the connection duct, wherein the lock unit has a heat hole in a front part thereof, A lock body integrally rotatable with the lock body, and a lock guider including at least one curved surface, wherein the lock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curved surface, And to provide a processing apparatus.
또한, 자물쇠부와 연결덕트에서 발생하는 간극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자물쇠부는 상기 린트필터부가 구속된 상태일 경우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는 면접촉하며,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되는 축방향에서 힘평형(Force equilibirum)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a gap generated in the lock part and the connection duct from occurring, the lock par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int filter part and the connection duct when the lint filter part is constrained, And a force equilibrium state is established in the force equilibrium state.
또한,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가 면접촉하여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되는 축방향에서 힘평형(Force equilibrium)상태가 되도록 상기 자물쇠가이더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가이더홀을 포함하며, 상기 린트필터부의 전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린트필터부의 전면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굴곡면을 포함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Further, the lock guider includes a guider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can pass so that the lint filter unit and the connecting duct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in a force equilibrium state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unit is guided, And a second body including a first body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 portion of the lint filter portion and a curved surface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front portion of the lint filter por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또한, 제2바디가 연결덕트와 면접촉하면서 힘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린트필터부의 전면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굴곡면 및 상기 제1굴곡면에서 상기 린트필터부의 제1바디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굴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The second body may have a first curved surface protruding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lint filter unit to transmit a force while the second body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duct, And a second curved surface provided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extends.
또한, 상기 배출덕트의 단부와 상기 공기배출홀이 간섭되어 배출덕트와 공기배출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덕트의 인입 인출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하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And a lower cover further including at least one guider for guiding in and out of the exhaust duct to prevent the exhaust duct and the air exhaust hole from being damaged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end of the exhaust duct and the air exhaust hole, And the like. [00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또한, 배출덕트의 인입 인출시 배출덕트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더는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Further, in order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duct when the discharge duct is drawn in and out, the guider protrudes from the floor.
또한, 배출덕트의 인입 입출시 한쪽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교하게 배출덕트가 조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더는 상기 배출덕트의 오른쪽면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 및 상기 배출덕트의 왼쪽면을 안내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the exhaust duct from being biased in one direction at the time of inlet / outlet of the exhaust duct, in order to more finely assemble the exhaust duct, the guider includes a first guider for guiding a right side surface of the exhaust duct, And a second guid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또한, 린트필터부가 배출덕트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연결덕트를 거쳐 배출하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린트필터부에 구비되는 홀더 및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는 홀더가이더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홀더와 상기 린트필터부를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홀더바디, 상기 제1홀더바디에서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홀더바디 및 상기 제2홀더바디에서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lint filter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duct, the lint filter may include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drum accommodated in the cabinet for accommodating clothes, a connecting duct communicating with the drum, A discharge duct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drum through the connecting duct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 lint filter unit for drawing foreign matter into the discharge duc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wherein the lint filter unit and the discharge duct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 holder provided in the lint filter unit and a holder guider provided in the discharge duct,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t least one through hole, and the first holder body is provided to couple the holder and the lint filter unit, ,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unit is drawn in or drawn out from the first holder body Wherein the lint filter unit includes a first holder body and a second holder body, and the lint filter unit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unit is drawn in or out from the second holder body. .
또한, 상기 제2홀더바디는 상기 린트필터부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절곡되게 구비되는 제1벤딩부 및 상기 린트필터부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절곡되게 구비되는 제2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The second holder body may include a first bending portion bent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lint filter portion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bent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lint filter portion. And to provide a processing apparatus.
또한, 린트필터부의 인입 인출을 용이하게 하고, 린트필터부의 인입 인출 후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is provided as an elastic member so as to facilitate the pull-out of the lint filter unit an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fter pulling out the lint filter unit.
또한, 상기 홀더가이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홀더가이더를 상기 배출덕트에 결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배출덕트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절곡되게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Wherein the holder guider includes at least one through hole and includes a fixing part for coupling the holder guider to the discharge duct and a protruding part bent toward the inside direction of the discharge duct.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연결덕트를 거쳐 배출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의 전면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부, 상기 캐비닛은 상기 배출덕트의 공기를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홀을 포함하는 후면커버, 상기 배출덕트의 단부와 상기 공기배출홀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덕트의 인입 인출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하면커버 및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자물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는 전면부에 열쇄홀을 구비하며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자물쇠바디, 상기 자물쇠바디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면을 포함하는 자물쇠가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drum accommodating clothes in the cabinet, and a connecting duct communicating with the drum, An exhaust duct for exhausting the air inside the drum through the connecting duct, a lint filter unit for extracting foreign matter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xhaust duct, and a cabinet for exhausting the air of the exhaust duct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 lower cover further including at least one guider for guiding the inlet and outlet of the discharge duct so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air discharge hole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And a lock portion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connecting duct, A lock body integrally rotatable with the lock body, and a lock guider including at least one curved surface, wherein the lock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curved surface, And the like. [00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또한, 필터의 여과용량을 확장하기 위해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필터가 자중에 의해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린트필터부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하부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가 자중에 의해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필터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filt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from being struck by its own weight in order to expand the filtration capacity of the filter, the lint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nd an inclined lower part of the filter, And a filter guider provided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struck by its own weight.
또한, 필터의 일측면만 쳐짐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의 양측면을 모두 지지하여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가이더는 상기 필터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Wherei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ilter guides are provided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filter in order to prevent only one side surface of the filter from being stuck and to maintain balance b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filter.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본 발명은 확장된 여과용량을 갖는 필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filter having an expanded filtration capacity.
또한, 본 발명은 확장된 여과용량으로 인하여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필터가 자중으로 인하여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ich prevents a filt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from being stuck due to its own weight due to an expanded filtration capacity.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일측면 뿐만 아니라 양측면을 모두 지지하여 필터의 한측면만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a filter as well as one side of the filter, thereby preventing the filter from being stuck to only one side of the filter.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연결덕트와 자물쇠부 사이에 간극을 제거하여 도난을 예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preventing theft by removing a gap between a connecting duct and a lock unit.
또한, 본 발명은 자물쇠부와 연결덕트에서 발생하는 간극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는 면접촉하며,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되는 축방향에서 힘평형(Force equilibirum)상태가 되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a gap generated in the lock portion and the connecting duct from occurring, the lint filter portion and the connecting duct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force equilibrium state is established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portion is draw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덕트의 인입 인출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하면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배출덕트의 단부와 상기 공기배출홀이 간섭되어 배출덕트와 공기배출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wer cover further including at least one guider for guiding in and out of the discharge duct, so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air discharge hole are interfered with each other to damage the discharge duct and the air discharge ho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배출덕트의 인입 인출을 배출덕트의 양측에서 안내하는 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guider for guiding in and out of a discharge duct from both sides of a discharge duct.
또한, 본 발명은 린트필터가 풍압에 의해 전면부를 향하여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고정구조(홀더, 홀더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position fixing structure (holder, holder guider) for preventing the lint filter from being pushed out toward the front portion by wind pressure.
또한, 본 발명은 린트필터에 구비된 위치고정구조(홀더, 홀더가이더)가 상호 탄성력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position fixing structure (holder, holder guider) provided in a lint filter has mutual elasticity.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린트필터부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린트필터부와 연결덕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린트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캐비닛과 린트필터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하면커버와 린트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배출덕트와 린트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배출덕트와 린트필터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shows a side view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lint filter unit.
Fig. 3 shows a coupling state of the lint filter unit and the connection duct.
4 shows the lint filter unit.
Fig. 5 shows a coupling state of the cabinet and the lint filter portion.
6 shows a bottom cover and a lint filter unit.
7 shows the exhaust duct and the lint filter section.
Figure 8 shows the combination of the exhaust duct and the lint filter sec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re as defin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shows a side view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n exhaust typ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may be provided as a circulation typ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순환식 의류처리장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배기식 의류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yclic garment disposal apparatus, but can also be applied to the exhaust type garment disposal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0) 및 상기 드럼(200)의 전면부를 개폐능하게 하여 의류의 투입을 가능케 하는 도어부(300), 상기 캐비닛(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히터부(400), 상기 캐비닛(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공기를 상기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배출하도록 압력구배를 공급하는 블로워부(600), 상기 캐비닛(100)의 하부에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부(500),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관한 입력을 받고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7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캐비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커버(130), 의류처리장치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커버(110),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커버(150),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면커버(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후면커버(110)는 의류처리장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유입홀(1101), 의류처리장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공기배출홀(1103)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유입홀(1101)은 상기 후면커버(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기배출홀(1103)은 상기 후면커버(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다만, 상기 공기유입홀(1101)은 상기 히터부(40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가열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히터부(400)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기배출홀(1103)은 상기 블로워부(600)에 의해 형성된 압력구배로 인하여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블로워부(600)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면 족하기 때문에 전술한 조건만 만족된다면 상기 공기유입홀(1101)은 상기 캐비닛(100)의 어느 일면에라도 구비될 수 있다.The
도 2는 린트필터부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2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lint filter unit.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린트필터부(500)에 잠금장치가 필요없으나,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물쇠부(570)와 같은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도난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Whe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household use, the
도 2를 참조하면, 린트필터부(500)는 외관을 형성하고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필터하우징(510), 상기 필터하우징(510)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하우징(510)과 면접촉하도록 구비되어 드럼(200)내부의 공기가 상기 린트필터부(500)로 이동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결덕트(520), 상기 필터하우징(510)의 전면부에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530), 상기 린트필터부(500)가 배출덕트(540)에 인입된 후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자물쇠부(570) 및 자물쇠홀(59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자물쇠홀(590)은 상기 필터하우징(510)의 전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필터하우징(510)의 전면부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필터하우징(510)이 상기 배출덕트(540)에 고정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상기 자물쇠부(570)는 상기 자물쇠홀(590)에 삽입되로고 구비되는 자물쇠바디(571), 일단이 상기 자물쇠바디(571)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샤프트(572), 일면이 중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572)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린트필터부(500)와 상기 연결덕트(520)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자물쇠가이더(574), 상기 자물쇠가이더(571)의 전면에 구비되며 중공형상으로 구비되는 리벳(573), 상기 자물쇠가이더(571)의 후면에 구비되며 중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572)를 고정시키는 너트(5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자물쇠바디(571)은 상기 자물쇠바디(571)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열쇠홀(5705), 상기 열쇄홀(5705)에 삽입되어 상기 자물쇠바디(571)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열쇠(570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자물쇠가이더(574)는 일면에 상기 샤프트(572)가 삽입되는 가이더홀(5743)을 포함하며, 가로길이보다 세로길이가 더 길도록 구비되는 제1바디(5741), 상기 제1바디(574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바디(57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2바디(5745)는 상기 제1바디(5741)로부터 전면을 향하여 돌출되게 굴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굴곡면(5746) 및 상기 제1굴곡면(5746)에서 상기 제1바디(5741)의 세로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굴곡되도록 구비되는 제2굴곡면(57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전술한 구성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 자물쇠부(570)이 상기 린트필터부(500)을 잠그는 원리를 이하 간단히 설명한다.The principle of locking the
사용자는 상기 린트필터부(500)를 상기 배출덕트(540, 도 1)에 삽입한 이후, 상기 자물쇠바디(571)의 전면부에 형성된 열쇠홀(5705)에 열쇠(5706)을 삽입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user inserts the key 5706 into the
상기 자물쇠바디(571)가 회전하면 상기 자물쇠바디(571)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샤프트(57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57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572)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자물쇠가이더(574)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린트필터부(500)가 상기 연결덕트(520)에 면접촉하도록 고정하게 된다.When the
상기 자물쇠가이더(574)가 상기 린트필터부(500)와 상기 연결덕트(520)의 결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ow the
도 3은 린트필터부와 연결덕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 coupling state of the lint filter unit and the connection duct.
보다 자세하게는, 도 3(a)는 린트필터부(50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린트필터부(500)의 잠금이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FIG. 3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린트필터부(50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자물쇠가이더(574)가 후면커버(150)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형태로 위치하게 되어 상기 린트필터부(500)와 연결덕트(520)를 구속하지 않는 상태이다.3 (a), when the
사용자는 열쇄(5706)을 상기 열쇄홀(5705)에 삽입시켜 상기 열쇄(5706)을 시계방향(DW)으로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린트필터부(500)의 잠금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inserts the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자물쇠바디(571)와 상기 자물쇠가이더(574)는 샤프트(572)에 의해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열쇄(5706)을 시계방향(DW)으로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자물쇠바디(571) 및 상기 자물쇠가이더(57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Since the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잠금 설정행위에 의해 상기 자물쇠가이더(574)가 180°회전하면서 상기 린트필터부(500)와 상기 연결덕트(520)를 구속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b),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물쇠가이더(574)가 180°회전하면서 잠금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자물쇠가이더(574)의 회전하는 각도는 상기 자물쇠가이더(574)의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18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otation angle of the
종래의 자물쇠가이더(574)는 본 발명의 자물쇠가이더(574)의 형상과 달리 굴곡면을 포함한 제2바디(5745)가 없이 제1바디(5741)로만 이루어진 형상이었다.The
따라서 종래의 자물쇠가이더(574)로 상기 린트필터부(500)의 잠금을 설정한 경우 상기 린트필터부(500)와 상기 자물쇠가이더(574)가 형성하는 간극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린트필터부(500)의 손잡이(530)를 잡고 인입과 인출을 반복하면 자물쇠가이더(574)가 변형되며 린트필터부(500)의 잠금이 해제되게 되어 도난의 우려가 많았다.Therefore, when the lock of the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물쇠가이더(574)는 제1바디(5741) 및 상기 제1바디(5741)로부터 절곡되게 구비된 제2굴곡면(5747)을 포함하며, 상기 제2굴곡면(5747)이 상기 제1바디(5741)로부터 소정간격 돌출되게 굴곡되어 상기 린트필터부(500)와 면 접촉하도록 구비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종래의 린트필터부(500)와 달리 사용자가 본 발명 린트필터부(500)의 손잡이(530)를 잡고 인입과 인출을 할 때, 상기 제2굴곡면(5747)이 상기 린트필터부(500)에 탄성력(F1)을 가하고, 상기 린트필터부(500)는 상기 제2굴곡면(5747)에 상기 탄성력(F1)의 반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항력(N1)을 가하게 되어 상기 탄성력(F1) 및 상기 수직항력(N1)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탄성력(F1)과 수직항력(N1)이 힘의 평형을 이루게 됨에 따라 상기 린트필터부(500)의 상대운동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자물쇠가이더(574)가 변형되면서 린트필터부(500)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 relative movement of the
도 4는 린트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the lint filter unit.
도 4를 참조하면, 린트필터부(5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하우징(510), 상기 필터하우징(510)의 내부로 드럼(200)내부의 공기를 전달하는 연결덕트(520), 상기 연결덕트(520)에 의해 전달된 공기를 필터링(Filtering)하는 필터(550), 상기 필터(550)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510)의 하부면에 구비된 필터가이더(1501)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연결덕트(520)에 필터(550)를 장착하여 드럼(200)내부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필터링하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필터용량을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200)의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의 필터(550)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가이더(1501)는 상기 필터하우징(51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도시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연결덕트(520)에서 나온 공기가 공기배출홀(1103)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550)을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하는 폐곡면을 형성하기만 하면 족하며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It is enough to form a closed curved surface passing through the
즉, 상기 필터가이더(1501)가 상기 필터하우징(51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비됨으로 인하여 필터(550)가 자중에 의해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도 5는 캐비닛과 린트필터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5 shows a coupling state of the cabinet and the lint filter por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캐비닛(100)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 및 드럼(200)의 하부면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린트필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작업자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조립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우선 작업자는 상기 캐비닛(100)을 먼저 조립하고 그 후에 드럼(200)을 캐비닛(100)내부에 장착한다. 드럼(200)이 장착된 후에 드럼(200)의 하부면에 린트필터부(500)를 삽입하는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First, the operator assembles the
이 때, 린트필터부(500)의 후면부는 후면커버(110)에 구비된 공기배출홀(1103)에 연통되게 조립이 되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rear portion of the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이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린트필터부(500)를 삽입할 때 드럼(200) 및 린트필터부(500)에 의해 공기배출홀(1103)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립시 린트필터부(500)와 공기배출홀(1103)의 간섭에 의해 린트필터부(500)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면커버(150)에 복수개의 가이더(1503,1505)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lurality of
도 6은 하면커버와 린트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bottom cover and a lint filter unit.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하면커버(150)은 제1가이더(1503) 및 제2가이더(15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보다 자세하게는 제1가이더(1503)은 사용자가 캐비닛(100)의 전면을 바라보았을 때 린트필터부(500)의 오른쪽을 지지하도록 상면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제1가이더(1503)는 린트필터부(500)가 삽입될 때 린트필터부(500)가 공기배출홀(1103)에 연통되게 이동하도록 린트필터부(500)의 오른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제1가이더(1503)는 린트필터부(500)가 공기배출홀(1103)로 향하는 경로에서 오른쪽방향으로 벗어나는 것만 방지하면 족하며, 본 실시예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제2가이더(1505)는 린트필터부(500)가 삽입될 때 린트필터부(500)가 공기배출홀(1103)에 연통되게 이동하도록 린트필터부(500)의 왼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제2가이더(1505)의 형상은 제1가이더(1503)와 같이 린트필터부(500)가 공기배출홀(1103)로 향하는 경로에서 왼쪽방향으로 벗어나는 것만 방지하면 족하며,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shape of the
도 7 은 배출덕트와 린트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7 shows the exhaust duct and the lint filter section.
도 7(a)는 린트필터부(500)의 전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배출덕트(540)을 도시한 것이다.Fig. 7 (a) shows the front portion of the
도 7(a)를 참조하면, 린트필터부(500)의 일측면에 홀더(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the
도면에서 상기 홀더(580)은 린트필터부(500)의 우측면에 장착되도록 도시되었으나 홀더(580)는 후술할 홀더가이더(541)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면 족하고, 린트필터부(500)의 어느 면이나 장착 될 수 있으며 본 본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Although the
홀더(580)는 절곡되게 구비되어 홀더(580)와 린트필터부(500)의 전면부를 결합시키는 제1홀더바디(581), 제1홀더바디(581)로부터 린트필터부(5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홀더바디(583), 제2홀더바디(583)로부터 린트필터부(5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벤딩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제3홀더바디(5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홀더바디(58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홀을 관통하여 제1홀더바디(581)와 린트필터부(50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홀더바디(581)는 린트필터부(500)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제3홀더바디(585)는 외측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구비되는 제1벤딩부(5851) 및 내측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구비되는 제2벤딩부(58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후술하겠지만 제1벤딩부(5851)와 제2벤딩부(5853)는 홀더가이더(541)와 접촉하면서 서로 반대 방향의 힘을 주고받으며 결합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도 7(b)를 참조하면, 배출덕트(540)는 린트필터부(500)가 인입, 인출가능케 하도록 구비되는 덕트개구부(543) 및 배출덕트(54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린트필터부(500)의 홀더(580)를 수용하는 홀더가이더(541)를 포함할 수 있다.7 (b), the
홀더가이더(541)는 아치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홀더가이더(541)를 배출덕트(540)의 일면에 장착시키도록 홀더가이더(54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부(5411) 및 홀더가이더(541)의 중앙에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부(54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다만, 도 7(b)에 도시된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가능하며, 홀더가이더(541)의 형상은 홀더(580)와 접촉하여 린트필터부(500)의 인입 내지는 인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힘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면 족하다.7 (b) can be change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the shape of the
도 8은 배출덕트와 린트필터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8 shows the combination of the exhaust duct and the lint filter section.
도 8을 참조하면, 배출덕트(540)의 내부로 린트필터부(500)가 삽입되면서, 홀더(580)와 홀더가이더(541)가 서로 린트필터부(500)의 삽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힘을 주고받으며 힘의 평형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8, when the
전술한바와 같이 홀더(580)는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린트필터부(500)가 삽입되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벤딩되도록 구비되는 제3홀더바디(585)는 홀더가이더(541)와 간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이때,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벤딩되도록 구비된 제2벤딩부(5853)이 홀더가이더(541)의 돌출부(5413)와 접촉하면, 제2벤딩부(5853)은 돌출부(5413)의 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린트필터부(500)가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린트필터부(500)가 완젼히 배출덕트(540)내부로 삽입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580)와 홀더가이더(541)는 린트필터부(500)의 삽입방향과 수직 방향의 힘을 서로 주고 받으며 힘평형 상태가 된다.8, when the
따라서 린트필터부(500)가 배출덕트(5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진동으로 인하여 린트필터부(500)가 배출덕트(540)로부터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보다 자세하게는, 홀더(580)는 홀더가이더(541)를 향하여 복원력(F2)을 가하게 되고, 홀더가이더(541)는 복원력(F2)의 반대방향으로 반력(N2)을 가하게 되어 복원력(F2)과 반력(N2)가 서로 힘평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복원력(F2)과 반력(N2)가 서로 힘평형을 이루면서 린트필터부(500)와 배출덕트(540)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린트필터부(500)가 배출덕트(540)로부터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restoring force F2 and the reaction force N2 are in equilibrium with each other and the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kill and knowledge of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best mod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other embodiments.
캐비닛 100
드럼 200
도어부 300
히터부 400
린트필터부 500
필터하우징 510
연결덕트 520
손잡이 530
배출덕트 540
필터 550
자물쇠부 570
홀더 580
홀더가이더 541
자물쇠바디 571
자물쇠가이더 574
제1홀더바디 581
제2홀더바디 583
제3홀더바디 585
Claims (19)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연결덕트;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부; 및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자물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는,
전면부에 열쇄홀을 구비하며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자물쇠바디;
상기 자물쇠바디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면을 포함하는 자물쇠가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 drum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receive clothes;
A connecting duct connected to the drum;
A lint filter unit provid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communicated with the connection duc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And a lock portion selectively restricting the lint filter portion and the connection duct,
The lock unit includes:
A lock body provided with a thermal hole in a front portion thereof and rotatable;
A shaft integrally rotatable with the lock body; And
And a lock guider including at least one curved surface,
Wherein the lock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curved surface.
상기 자물쇠부는 상기 린트필터부가 구속된 상태일 경우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는 면접촉하며,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되는 축방향에서 힘평형(Force equilibirum)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 portion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int filter portion and the connecting duct when the lint filter portion is in a constrained state and is in a force equilibrium state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portion is inserted. Processing device.
상기 자물쇠가이더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가이더홀을 포함하며, 상기 린트필터부의 전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린트필터부의 전면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굴곡면을 포함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
A first body including a guider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can pass, the first body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front portion of the lint filter portion; And
And a second body including a curved surface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toward a front surface of the lint filter unit.
상기 제2바디는,
상기 린트필터부의 전면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굴곡면; 및
상기 제1굴곡면에서 상기 린트필터부의 제1바디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굴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body may include:
A first curved surface protruding toward a front surface of the lint filter unit; And
And a second curved surface extending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of the lint filter unit extends from the first curved surface.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베출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배출덕트의 공기를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홀을 포함하는 후면커버; 및
상기 배출덕트의 단부와 상기 공기배출홀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덕트의 인입 인출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하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 drum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receive clothes;
A connecting duct connected to the drum; And
And a discharge duct provid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communicated with the connection duct to filter foreign matter,
The cabinet including a rear cover including an air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discharge duct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nd at least one guider for guiding the inlet and outlet of the discharge duct so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air discharge hole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상기 가이더는 상기 하면커버로부터 상기 상면커버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uider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cover toward the upper surface cover.
상기 가이더는,
상기 배출덕트의 오른쪽면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 및
상기 배출덕트의 왼쪽면을 안내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above-
A first guider guiding a right side of the discharge duct; And
And a second guider guiding a left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duct.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연결덕트를 거쳐 배출하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린트필터부에 구비되는 홀더 및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는 홀더가이더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홀더와 상기 린트필터부를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홀더바디;
상기 제1홀더바디에서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홀더바디; 및
상기 제2홀더바디에서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 drum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receive clothes;
A connecting duct connected to the drum;
A discharg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duct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drum through the connection duct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nd a lint filter unit that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duct and is capable of being drawn out to filter foreign matter,
Wherein the lint filter unit and the discharge duct each include a holder provided in the lint filter unit and a holder guider provided in the discharge duct,
Wherein the holder comprises:
A first holder body includ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to couple the holder and the lint filter portion;
A second holder body extending from the first holder bod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unit is drawn in or drawn out; And
And the at least one bent portion is provid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unit is drawn in or drawn out from the second holder body.
상기 제2홀더바디는,
상기 린트필터부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절곡되게 구비되는 제1벤딩부; 및
상기 린트필터부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절곡되게 구비되는 제2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holder body comprises:
A first bending portion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lint filter portion; And
And a second bending part bent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lint filter part.
상기 홀더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holder is provided as an elastic member.
상기 홀더가이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홀더가이더를 상기 배출덕트에 결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배출덕트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절곡되게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holder guider includes:
A fixing part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 coupling the holder guider to the exhaust duct; And
And a protrusion formed to be bent toward an inner side of the discharge duct.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연결덕트를 거쳐 배출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의 전면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부;
상기 캐비닛은 상기 배출덕트의 공기를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홀을 포함하는 후면커버;
상기 배출덕트의 단부와 상기 공기배출홀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덕트의 인입 인출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하면커버; 및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자물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는,
전면부에 열쇄홀을 구비하며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자물쇠바디;
상기 자물쇠바디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면을 포함하는 자물쇠가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 drum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receive clothes;
A connecting duct connected to the drum;
A discharg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duct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drum through the connection duct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 lint filter unit provid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a front surface of the discharge duct to filter foreign matter;
The cabinet including a rear cover including an air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discharge duct to the outsid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guider for guiding in and out of the discharge duct so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air discharge hole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And
And a lock portion selectively restricting the lint filter portion and the connection duct,
The lock unit includes:
A lock body provided with a thermal hole in a front portion thereof and rotatable;
A shaft integrally rotatable with the lock body; And
And a lock guider including at least one curved surface,
Wherein the lock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curved surface.
상기 자물쇠부는 상기 린트필터부가 구속된 상태일 경우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연결덕트는 면접촉하며,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되는 축방향에서 힘평형(Force equilibirum)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ock portion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int filter portion and the connecting duct when the lint filter portion is in a constrained state and is in a force equilibrium state in the axial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portion is inserted. Processing device.
상기 자물쇠가이더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가이더홀을 포함하며, 상기 린트필터부의 전면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린트필터부의 전면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굴곡면을 포함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ock-
A first body including a guider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can pass, the first body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front portion of the lint filter portion; And
And a second body including a curved surface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toward a front surface of the lint filter unit.
상기 린트필터부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하부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가 자중에 의해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필터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int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And
And a filter guider provided at an inclined lower portion of the filter to prevent the filter from being struck by its own weight.
상기 필터가이더는 상기 필터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t least two or more filter gauders are provided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filter.
상기 가이더는,
상기 배출덕트의 오른쪽면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 및
상기 배출덕트의 왼쪽면을 안내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bove-
A first guider guiding a right side of the discharge duct; And
And a second guider guiding a left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duct.
상기 린트필터부와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린트필터부에 구비되는 홀더 및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는 홀더가이더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홀더와 상기 린트필터부를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홀더바디;
상기 제1홀더바디에서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2홀더바디; 및
상기 제2홀더바디에서 상기 린트필터부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nt filter unit and the discharge duct each include a holder provided in the lint filter unit and a holder guider provided in the discharge duct,
Wherein the holder comprises:
A first holder body includ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to couple the holder and the lint filter portion;
A second holder body extending from the first holder bod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unit is drawn in or drawn out; And
And the at least one bent portion is provid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nt filter unit is drawn in or drawn out from the second holder body.
상기 홀더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the holder is provided as an elastic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8900A KR101706962B1 (en) | 2015-03-02 | 2015-03-02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5/042,818 US10443180B2 (en) | 2015-02-16 | 2016-02-12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CN201610086717.1A CN105887410B (en) | 2015-02-16 | 2016-02-16 |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8900A KR101706962B1 (en) | 2015-03-02 | 2015-03-02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6265A true KR20160106265A (en) | 2016-09-12 |
KR101706962B1 KR101706962B1 (en) | 2017-02-27 |
Family
ID=5695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89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6962B1 (en) | 2015-02-16 | 2015-03-02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696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03544A1 (en) * | 2017-11-24 | 2019-05-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Dryer |
WO2022169346A1 (en) * | 2021-02-08 | 2022-08-11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7286A (en) * | 1995-03-28 | 1996-10-08 | Sanyo Electric Co Ltd | Washing/drying machine |
JPH11225838A (en) * | 1998-02-12 | 1999-08-24 | Okamura Corp | Latching device for drawer |
JP2001262875A (en) * | 2000-03-17 | 2001-09-26 | Honda Lock Mfg Co Ltd | Cylinder lock |
KR20140087554A (en) * | 2012-12-31 | 2014-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2015
- 2015-03-02 KR KR1020150028900A patent/KR1017069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7286A (en) * | 1995-03-28 | 1996-10-08 | Sanyo Electric Co Ltd | Washing/drying machine |
JPH11225838A (en) * | 1998-02-12 | 1999-08-24 | Okamura Corp | Latching device for drawer |
JP2001262875A (en) * | 2000-03-17 | 2001-09-26 | Honda Lock Mfg Co Ltd | Cylinder lock |
KR20140087554A (en) * | 2012-12-31 | 2014-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03544A1 (en) * | 2017-11-24 | 2019-05-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Dryer |
US11441257B2 (en) | 2017-11-24 | 2022-09-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ryer |
WO2022169346A1 (en) * | 2021-02-08 | 2022-08-11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6962B1 (en) | 2017-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88539B1 (en) | Filter guide having latch device of filter cover and clothes-drying machine using the same | |
US10443180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20100040478A (en) | Clothing dryer and door of the same | |
US20150145388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EP2990521B1 (en) | Laundry dryer | |
KR102129793B1 (en) | Laundry Machine | |
KR102360050B1 (en) | Clothing dryer | |
KR20170004486A (en) | Dryer | |
KR20170004483A (en) | Dryer | |
KR20230063654A (en) | Washer dryer | |
KR101706962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TW201700822A (en) | Laundry treatment unit | |
EP2881511B1 (en) | Clothes dryer | |
KR102284362B1 (en) | Laundry drying Apparatus | |
KR20140087555A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210076777A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20100094727A (en) | Lifter for cloth dryer | |
KR20120019209A (en) | Dryer | |
TW201700821A (en) | Laundry treatment unit | |
JP7113308B2 (en) | clothes dryer | |
US9644309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WO2020049818A1 (en) | Clothes dryer | |
KR102725693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101227515B1 (en) | Drying device | |
CN222524991U (en) | Filter device and drying equipment including the filt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