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06013A -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013A
KR20160106013A KR1020160105946A KR20160105946A KR20160106013A KR 20160106013 A KR20160106013 A KR 20160106013A KR 1020160105946 A KR1020160105946 A KR 1020160105946A KR 20160105946 A KR20160105946 A KR 20160105946A KR 20160106013 A KR20160106013 A KR 20160106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relay
mobile
relay pad
point
pos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47282B1 (en
Inventor
이주상
이지민
천정서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천정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정서 filed Critical 천정서
Priority to KR102016010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282B1/en
Publication of KR2016010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013A/en
Priority to PCT/KR2017/009167 priority patent/WO201803851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28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이나 직렬통신수단들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써 접속되는 POS 단말기와,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들 중 어느 하나로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NFC, BT, WiFi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유닛과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출력 유닛을 구비한 모바일 중계 패드를 구비하고, 각각의 모바일 기기들이 모바일 중계 패드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POS 단말기와 모바일 기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과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including a POS terminal connected by any one of wireles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and serial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BT, WiFi, , BT, WiFi, and the like.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NFC, BT, and WiFi, And a mobile relay pad having a data input / output unit including a keypad, and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POS terminal and the mobile device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each of the mobile devices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And provides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Description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NFC, BT, WiFi 등의 단거리 통신 수단 및 직렬통신수단들 중 어느 하나의 채널로 POS 단말기와 접속되고, 복수의 단거리 통신 수단으로써 모바일 기기들에 대해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모바일 기기들과 점대점(point-to-poin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기술분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which is connected to a POS terminal through any one of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ans and a serial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BT, WiFi, A mobile relay system for provid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capable of performing point-to-point communication with each mobile device as well as providing information on mobile devices a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The driving method is referred to as a technical field.

본 발명의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미국특허 US8630908 B2호의 판매, 전자 물품 감시와 제품 정보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분배 포인트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판매, 전자 물품 감시와 제품 정보 시스템의 분배 포인트 시스템이 중앙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C 통신 기기, RFID와 EAS 태그, 데이터 베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POS/EAS/정보 단말을 구비함으로써, 고객이 RFID와 EAS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단말기 근방에 위치시키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를 수행한다. 상기 터미널은 프로세서, NFC 송수신기, UHF RFID 리더기와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품 구입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NFC 장치(모바일)를 통해 수행된다. 그러나 이 기술은 물품 구매 프로세스 각각에 대해 블루투스(BT), NFC, WiFi, RFID를 동시에 사용하므로 결제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NFC 장치(모바일)만으로 제한된다.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the distribution point technology of the sale,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and product inform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US Patent No. US8630908 B2 shown in FIG. This technology has a POS / EAS / information terminal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entral database an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NFC communication device, an RFID and an EAS tag, a database, a distribution point system of sales,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and product information systems If the customer places an RFID tag and an article tagged with the EAS tag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performs settlement for purchasing the article. The terminal may include a processor, an NFC transceiver, a UHF RFID reader, and a Bluetooth transceiver, and the process for purchasing the product is performed through an NFC device (mobile). However, this technology uses Bluetooth (BT), NFC, WiFi, and RFID simultaneously for each item purchasing process, so that the settlement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device performing the payment process is limited to the NFC device (mobile) only.

본 발명의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2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26153 A호의 다중 접속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포스 크래듈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다중 접속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포스 크래듈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포스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NFC 리더, RFID 리더,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모바일 포스와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다기능접속부를 포함하는 다중 접속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포스 크래듈을 제공한다. 상기 다기능접속부는, 상기 NFC 리더, 상기 RFID 리더,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포스와 복수의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중계하며, 상기 NFC 리더, 상기 RFID 리더, 상기 와이파이 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동시에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포스와 상기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중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접속부는, 상기 NFC 리더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결제정보를 상기 모바일 포스로 전달하며, 상기 와이파이 모듈 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모바일회원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기기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전송한다. 이 기술은, 결제 정보는 NFC 리더를 통하고, 모바일회원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는 와이파이 모듈 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들로 전송되는 구조이므로 도면 제1도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결제 기능은 NFC 리더로만 한정된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 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특정 외부기기로만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설정이 곤란하고 데이터의 보안성이 확보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Another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ellular phone having a multiple access function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26153 A shown in FIG. 2. This technology relates to a mobile POS system having a multiple access function, including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mobile POS system, And a multifunctional connection unit including an NFC reader, an RFID reader, a Wi-Fi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and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forc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the external device. Wherein the multifunctional interface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force and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using the NFC reader, the RFID reader, the Wi-Fi module, and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force and the external device can be relayed using the Bluetooth module at the same time. The multifunctional connection unit transmits the received paym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force when the paym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NFC reader, and transmits the received paym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force from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WiFi module or the Bluetooth module. And transmits the goods or servic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upon receiving the information. Since the bill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NFC reader and the mobile member information and the goods or servic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Wi-Fi module or the Bluetooth modules, the billing function is limited to the NFC reader as in the case of FIG.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et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Wi-Fi module or the Bluetooth module to be transmitted only to a specific external device, and the security of data is not ensur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14217 B1호의 소액결제를 위한 NFC 기반 무선 진동 페이저, 그리고 NFC 관리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소액결제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무선 진동 페이저(20)가, 모바일 단말(10a) 또는 모바일 카드(10b)에 의한 결제요청을 NFC 방식으로 수신하여 결제를 수행하며, 수행된 결제 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3G 통신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NFC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며, 비접촉식 전자화폐단말기용 보안응용모듈에 해당하는 결제용 SAM(Secure Application Module)을 내장하여 상기 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10a) 또는 상기 모바일 카드(10b)의 요청에 따라 상기 결제가 수행된 금액을 표시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10a) 또는 상기 모바일 카드(10b)와의 관계에서 NFC 기반의 리더(reader)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As another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NFC-based wireless vibration phaser for a micropayment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4217 B1 shown in FIG. 3, an NFC management server, and a micropayment method using the same. In this technique, the wireless vibration phaser 20 receives a payment request by the mobile terminal 10a or the mobile card 10b by the NFC method, performs payment, and transmits the payment information to the Bluetooth wireless terminal 10a or the mobile card 10b via a Bluetooth (Secure Application Module) corresponding to a security application module for a non-contact type electronic money terminal, to perform the settlement, and transmits the settlement SAM to the NFC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mobile terminal 10a or the mobile card 10b displays an amount of the settlement performed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10a or the mobile card 10b, .

USUS 86309088630908 B2B2 KRKR 10-2016-002615310-2016-0026153 AA KRKR 10-2161421710-21614217 B1B1 KRKR 10-063292910-0632929 B1B1 USUS 2013022507020130225070 A1A1 WOWO 20090394192009039419 A1A1

본 발명은, 모바일 중계 패드를 이용하여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채널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또한 결제를 수행하는 주체가 POS 단말기인 경우와 모바일 기기에 의한 역결제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broadcasting mode and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for each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NFC, BT, and WiFi using a mobile relay pad, Point point-to-point communication supporting both a POS terminal and a reverse payment method by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이나 직렬통신수단들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써 접속되는 POS 단말기와,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들 중 어느 하나로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NFC, BT, WiFi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유닛과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출력 유닛을 구비한 모바일 중계 패드를 구비하고, 각각의 모바일 기기들이 모바일 중계 패드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POS 단말기와 모바일 기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과 그 구동 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one of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NFC, BT, WiFi, etc., and a POS terminal connected by any one of wireles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ans and serial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BT and WiFi 1. A mobile device to be connected, comprising: a mobile relay pad having a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multi-channel wireles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including NFC, BT and WiFi, and a data input / output unit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 keypad,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rela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OS terminal and the mobile device by determining whether each of the mobile devices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and the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the multi-channel point- As a solution.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중계 패드를 이용하여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채널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또한 결제를 수행하는 주체가 POS 단말기인 경우와 모바일 기기에 의한 역결제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mobile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 broadcasting mode and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for each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NFC, BT, WiFi, And provides a technical effect of supporting both the POS terminal and the reverse payment method by the mobile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의 배경 기술로서, 판매, 전자 물품 감시와 제품 정보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분배 포인트 기술의 구성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배경 기술로서, 다중 접속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포스 크래듈 기술의 구성
제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배경 기술로, 소액결제를 위한 NFC 기반 무선 진동 페이저, 그리고 NFC 관리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소액결제 방법 기술의 구성
제4도는 POS 단말기에 대한 모바일 기기들의 데이터 통신 구성의 일례
제5도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
제6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와 POS 단말기의 접속 관계
제7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와 모바일 기기들의 접속 관계
제8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의 외부 구성
제9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의 세부 구성
제10도는 본 발명의 POS 단말기, 모바일 중계 패드 및 모바일 기기 간의 브로드캐스팅 모드 동작
제11도는 본 발명의 POS 단말기, 모바일 중계 패드 및 모바일 기기 간의 점대점 모드 동작
제12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의 구동 방법
FIG. 1 is a background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distribution point technology of sales,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and product information systems,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POS system with a multiple access function
FIG. 3 is another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FC-based wireless vibration phaser for the micropayment, the NFC management server, and the configura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a dat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of mobile devices for a POS terminal;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basic configura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relay pad and the PO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relay pad and the mobile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relay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bile relay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llustrates a broadcast mode operation between the POS terminal, the mobile relay pad, and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llustrates a point-to-point mode operation between a POS terminal, a mobile relay pad,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mobile relay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 및 구동 방법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and drive methods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even if not explicitly described or illustrated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of the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recited herein are expressly intended to be purely for purposes of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to such specifically reci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POS 단말기는 결제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태블릿 등의 균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될 모바일 중계 패드에 POS 단말기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T(bluetooth), WiFi 등의 통신 채널은, 모바일 기기에서 균등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여타의 통신 채널과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s well as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thereof. For example, the PO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quivalent of a mobile device having a payment function, a tablet, and the like, and it may be equipped with a POS terminal function in a mobile relay pad to be described later.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T (bluetooth), and WiFi include other communication channels and communication methods that can be used as equivalents in mobile devices.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 제4도는 POS 단말기(200)에 대한 모바일 기기(300)들의 데이터 통신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모바일 기기(300)들과 POS 단말기(200)간의 데이터 통신은, POS 단말기(200)로부터 모바일 기기(300)들에 대해 정보(예를 들면 매장 안내 정보, 상품이나 서비스의 정보, 결제를 위한 매장의 정보 등)를 제공하거나, 모바일 기기(300)들로부터 POS 단말기(200)로 정보(예를 들면 상품이나 서비스의 주문, 모바일 가입자의 개인 정보, 신용 카드 등의 결제 수단 정보 등)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통신 채널로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T(bluetooth), WiFi 등의 단거리 통신 수단을 고려할 수 있다. FIG. 4 shows an example of a dat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s 300 for the POS terminal 200.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s 300 and the POS terminal 200 is performed by the POS terminal 200 so as to transmit information (e.g., store guidance information, information on goods or services, Or transmits information (for example, an order of goods or services, personal information of a mobile subscriber, payment means information such as a credit card, etc.) from the mobile devices 300 to the POS terminal 200 . As a communication channel that can be used at this time,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T (bluetooth), WiFi and the like can be considered.

13.56 MHz의 RF를 사용하는 NFC 채널은, 통신 거리 10cm 이내의 ISO/IEC 14443 표준, 통신 거리 10~20cm의 ISO/IEC 18092 표준과, 최대 통신 거리 1m의 ISO/IEC 15693 표준 규격으로 구분되며, 통신 모드에 따라 P2P 모드, read/write 모드, 카드 이뮬레이션 모드로 구분된다. 근래에 들어 상기 NFC 통신 방식은 도달 거리를 확장하기 위한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BT(bluetooth)와 WiFi는 2.4 GHz 대역의 RF 채널로서, 그 구성에 따라 100m 이상의 도달 거리를 제공한다.The NFC channel using 13.56 MHz RF is divided into ISO / IEC 14443 standard with a communication distance of 10 cm, ISO / IEC 18092 standard with a communication distance of 10 to 20 cm, and ISO / IEC 15693 standard with a maximum communication distance of 1 m, P2P mode, read / write mode, and card emulation mode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recent years, a technique for extending the reach distance has been developed in the NFC communication system. BT (bluetooth) and WiFi are RF channels in the 2.4 GHz band, depending on their configuration, provide a reach of more than 100 meters.

상기와 같은 채널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300)들과 POS 단말기(200)를 접속하는 통상적인 모바일 통신의 경우, NFC는 통신 거리 10cm 이내의 도달 거리 특성을 이용하여 보안을 요구하는 개인 정보, 결제 데이터 등을 통신하도록 구성하고, BT(bluetooth)와 WiFi는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POS 단말기(200)에 대해 보안이 요구되지 않는 매장 안내 정보, 상품이나 서비스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도록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응용 환경에서, POS 단말기(200) 및 모바일 기기(300)들이 NFC, BT, WiFi 등의 단거리 통신 수단들 중 하나 또는 일부만을 구비하고 있어 서로 호환되는 통신 채널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NFC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POS 단말기(200) 또는 모바일 기기(300)들의 경우에도 BT 또는 WiFi의 채널로 보안을 요구하는 개인 정보, 결제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s 300 are connected to the POS terminal 200 through the channel, the NFC uses the reach distance characteristics within the communication distance of 10 cm to transmit personal information requesting security, , And the BT (bluetooth) and the WiFi are configured to broadcast information of the shop guide information, the goods and the service, which are not required to be secured, to a plurality of POS terminals 200 located within a relatively wide area Has been applied. In this application environment, POS terminal 200 and mobile devices 300 have only one or a part of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BT, WiFi, etc., . Also, in the case of the POS terminal 200 or the mobile devices 300 that do not have the NFC communication means, the payment can be performed using personal information or settlement data requiring security through the channel of BT or WiFi .

또한 POS 단말기(200)와 모바일 기기(300)들 간에 BT 또는 WiFi 채널이 구비되는 경우, 디바이스 연결 정보 내지 IP 주소 등의 접속 정보가 통신 영역(≒100m) 내로 제공되므로 각각의 POS 단말기(200) 간의 점대점(point-to-point) 통신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When BT or WiFi channels are provided between the POS terminal 200 and the mobile devices 300, since the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the device connection information or the IP address is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area (100 m) Point-to-point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s is virtually im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 및 직렬통신수단들 중 어느 하나의 채널로 POS 단말기(200)와 접속되고, 복수의 단거리 통신 수단으로써 모바일 기기(300)들에 대해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모바일 기기(300)들과 점대점(point-to-poin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a POS terminal 200 through any one of wireless short- And provides a mobile relay system that supports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capable of performing point-to-point communication with each mobile device 300 as well as providing a driving method thereof.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은, 모바일 중계 패드(100)가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이나 직렬통신수단(미도시)으로써 POS 단말기(200)와 접속되고, 또한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으로써 모바일 기기(300)들과 접속된다.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으로써 모바일 기기(300)들로 브로드캐스팅 (broadcasting)한다. 또한, 각각의 모바일 기기(300)들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면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채널의 출력을 제어하여 모바일 기기(300)들 각각에 대한 점대점(point-to-point)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FC, BT, WiFi 등의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각각의 채널에 대해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를 지원한다.
FIG. 5 shows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the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relay pad 100 is connected to the POS terminal 200 as wireles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BT, WiFi or the like or serial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And the mobile relay pad 1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s 300 as multi-channel wireles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NFC, BT, WiFi, and the like. The mobile relay pad 100 broadcast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to the mobile devices 300 as multi-channel wireles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NFC, BT, and WiFi. In addition, when each mobile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the mobile relay pad 100 controls the output of a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channel including NFC, BT, WiFi, Point-to-point communication for each of the mobile stations 300. Therefore, the mobile relay p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FC, BT, and WiFi, and has a broadcasting mode and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와 POS 단말기(200)의 접속 관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POS 단말기(200)에 접속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POS 단말기(200)는 균등한 기능을 구비한 다른 모바일 기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도 접속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과 직렬통신수단을 구비하므로, POS 단말기(200)는 모바일 중계 패드(100)에 구비된 통신 수단들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함으로써 접속할 수 있다. 접속된 POS 단말기(200)는, 모바일 중계 패드(100) 측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매장 안내 정보, 상품이나 서비스의 정보, 결제를 위한 매장의 정보 등)를 전송한다. 또한 POS 단말기(200)는, 모바일 기기(300)들로부터 점대점(point-to-point) 통신으로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전송된 정보(예를 들면 상품이나 서비스의 주문, 모바일 가입자의 개인 정보, 신용 카드 등의 결제 수단 정보 등)를 전송받으며 반대로 POS 단말기(2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통해 점대점(point-to-point)으로 연결된 모바일 기기(300)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POS 단말기(200)와 모바일 중계 패드(100) 간은 양측이 약속된 암호화 방식(Tokenization)으로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 6 show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the POS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mobile relay pad 100 is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POS terminal 200 in the drawing, the POS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other mobile devices, tablets, personal computers Connection i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bile relay p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BT, WiFi, and serial communication means, the POS terminal 200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relay pad 100,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m by having only one of them. The connected POS terminal 200 transmits information for broadcasting to the mobile relay pad 100 side (for example, store guidance information, information on goods or services, information on stores for payment, etc.). The POS terminal 200 may also receive information (e.g., order of goods or services, personal information of a mobile subscriber, etc.)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s 3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by point-to- Information of payment means such as a credit card or the like) and transmits information from the POS terminal 200 to the mobile device 300 connected point-to-point through the mobile relay pad 100 ha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 terminal 200 and the mobile relay pad 100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a promised cipher system.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와 모바일 기기(300)들의 접속 관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매장 안내 정보, 상품이나 서비스의 정보, 결제를 위한 매장의 정보 등을 모바일 기기(300)들에 대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각각의 모바일 기기(300)들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면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채널의 출력을 제어하여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로 모바일 기기(3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FIG. 7 show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the mobile devices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relay 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the stor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the information of the goods or services, the information of the store for settlement, etc. to the mobile devices 300 in a broadcasting mode send. The mobile relay pad 100 controls output of a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channel including NFC, BT, and WiFi when each mobile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may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mobile device 300 in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상기와 같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는, 각각의 모바일 기기(300)들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모바일 중계 패드(100)에서 제어된다.
The broadcasting mode and the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whether or not each mobile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유닛(102)과 데이터 입출력 유닛(104)으로 구성된다. FIG. 8 shows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relay p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relay p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2 and a data input / output unit 104.

상기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유닛(102)은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모바일 기기(300)들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부(110)를 구비한다. 상기 근접 센서부(110)는, 모바일 중계 패드(100) 내부로부터 상면의 센서창(113)으로 빛을 송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L(111)과, 센서창(113) 외부로부터 반사되는 발광 다이오드 L(111)의 빛을 감지하는 포토 다이오드 P(112)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면의 센서창(113)에 모바일 기기(300)가 위치하면 발광 다이오드 L(111)의 빛이 모바일 기기(300)에 의해 반사되고 포토 다이오드 P(112)로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의 변화에 의해 모바일 기기(300)가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 다이오드 L(111)과 포토 다이오드 P(112)는 적외선 대역의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주변의 빛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2 performs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NFC, BT, WiFi, and the like, and detects whether the mobile devices 300 are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a proximity sensor unit 110 for detecting the proximity sensor. The proximity sensor unit 110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 111 for emitting light from the inside of the mobile relay pad 100 to a sensor window 113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ight emitting diode L And a photodiode P (112) for sensing the light of the photodiode (111). When the mobile device 300 is positioned in the sensor window 11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relay pad 100,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 111 is reflected by the mobile device 300 and output to the photodiode P 112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mobile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by a change of the electric signal.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diode L (111) and the photodiode P (112) may use an infrared band element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ambient light.

모바일 중계 패드(100)에 구비되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 유닛(104)은, 디스플레이부(114)와 키패드(115)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4)는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정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한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또는 키패드(115)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키패드(115)는,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정보 내지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한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대한 부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며,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ata input / output unit 104 provided in the mobile relay pad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14 and a keypad 115.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pad 100, or data input from the keypad 115. [ The keypad 115 is a means for inputting additional data fo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o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input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mobile station.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5); 상기 제어부(125)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부가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패드를 구비한 데이터 입출력 유닛(104);과, 상기 데이터 입출력 유닛(104)과 제어부(125)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I/O 인터페이스(120); NFC, BT, WiFi 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의 통신 방식 설정값을 저장하는 통신설정부(130); 모바일 중계 패드(100)와 POS 단말기(200) 간의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호스트 정보 저장부(135); POS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패킷과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POS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패킷을 저장하는 호스트 패킷 버퍼(140);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는 패킷과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전송되는 패킷을 저장하는 모바일 패킷 버퍼(145); 모바일 기기(300)가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송수광부(160);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NFC, BT, WiFi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의 RF 이득을 조절하는 RF 이득 콘트롤부(165); NFC 통신부(172), BT 통신부(174), WiFi 통신부(176)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 케이블을 통한 유선 직렬 통신을 위한 직렬통신부(180);를 구비한다.9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bile relay p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relay p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roller 125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mobile relay pad 100; A data input / output unit 104 having a key pad for displaying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125 and receiving additional data, an I / O unit for controlling data input / output between the data input / output unit 104 and the control unit 125, O interface 120; A communication setting unit 130 for storing communication method setting values of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NFC, BT, and WiFi; A host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for storing information for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the POS terminal 200; A host packet buffer 140 for storing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POS terminal 200 and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POS terminal 200; A mobile packet buffer 145 for storing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mobile device 300 and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A transmission light receiving unit 160 for sens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An RF gain control unit 165 for controlling the RF gain of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NFC, BT, and WiF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5; A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that perform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NFC communication unit 172, the BT communication unit 174, and the WiFi communication unit 176; And a serial communication unit 180 for wired serial communication via a cabl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 구성에 대해, POS 단말기(200)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의 NFC 통신부(172), BT 통신부(174), WiFi 통신부(176)와 직렬통신부(180)들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와 접속된다. 이때 상기 POS 단말기(200)와 모바일 중계 패드(100) 간은 양측이 약속된 암호화 방식(Tokenization)으로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S terminal 20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NFC communication unit 172, the BT communication unit 174, and the WiFi communication unit 176 of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70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relay p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relay pad 100 through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s 18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 terminal 200 and the mobile relay pad 100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a promised cipher system.

또한 상기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 구성에 대해, 모바일 기기(300)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의 NFC 통신부(172), BT 통신부(174), WiFi 통신부(176)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채널을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에 접속할 수 있다. 모바일 중계 패드(100)와 모바일 기기(300)의 접속은, 모바일 기기(300)가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송수광부(160)를 통해 제어부(125)에서 감지하여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제어부(125)는, NFC 통신부(172), BT 통신부(174), WiFi 통신부(176)를 구비한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에 대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를 전환하며, 모바일 기기(300)가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경우 RF 이득 콘트롤부(165)로써 RF 이득을 감쇄시켜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 한정된 점대점(point-to-point)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를 통신 채널별로 예를 들면;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NFC 채널에서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이니시에이터(initiator)로 하는 P2P(peer to Peer) 모드로써 브로드캐스팅하고, 리드 라이트 모드(read/write mode)나 카드 이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를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방식으로 채택할 수 있다. BT(bluetooth)와 WiFi는 비콘(beacn)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팅이 가능하며, 모바일 기기(300)가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경우 RF 이득을 감쇄시켜 점대점 프로토콜(point to point protocol)이나 WPA personal 방식으로 점대점(point-to-point)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모바일 기기(300)가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의 RF 이득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통신 채널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의 설정이 용이하다.
The mobile device 300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NFC communication unit 172, the BT communication unit 174, and the WiFi communication unit 176 of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7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relay pad 100 throug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hannel.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the mobile device 300 i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125 through the transmit and receive unit 160 whether the mobile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Switching between a broadcasting mode and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125 controls the broadcasting mode and the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for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including the NFC communication unit 172, the BT communication unit 174, and the WiFi communication unit 176, point communication mode and when the mobile device 300 is position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the RF gain control unit 165 attenuates the RF gain and transmits the attenuated RF gain to the mobile device 1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 (Point-to-point) communication limited to the base station 300. For example, the broadcasting mode and the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may be set for each communication channel; In a peer to peer (P2P) mode in which the mobile relay pad 100 is an initiator in an NFC channel of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broadcasts it in a read / write mode or a card emulation mode card emulation mode can be adopted as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method. BT and WiFi can be broadcasted in a beacon manner. When the mobile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the RF gain is attenuated to generate a point-to-point protocol, Or point-to-point communication in WPA personal manner. The mobile relay p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etects whether the mobile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but also can control the RF gain of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part, It is easy to set the broadcasting mode and the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POS 단말기(200), 모바일 중계 패드(100) 및 모바일 기기(300)간의 브로드캐스팅 모드 동작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브로드캐스팅 모드는;FIG. 10 illustrates the broadcasting mode operation between the POS terminal 200,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the mobile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adcasting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01 : POS 단말기(200)와 모바일 중계 패드(100)가 접속되는 단계;S01: connecting the POS terminal 200 and the mobile relay pad 100;

S02 : POS 단말기(2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다수의 불특정 모바일 기기(300)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매장 안내 정보, 상품이나 서비스의 정보, 결제를 위한 매장의 정보 등)를 전송하는 단계;S02: information (for example, store guidance information, information on goods or services, information on stores for payment, etc.) to be provided to a plurality of unspecified mobile devices 300 from the POS terminal 2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

S03 :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로 동작한다.
S03: The mobile relay pad 100 operates as a step of broadcas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POS 단말기(200), 모바일 중계 패드(100) 및 모바일 기기(300)간의 점대점(point-to-point) 모드 동작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점대점 모드는;FIG. 11 illustrates a point-to-point mode operation between the POS terminal 200,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the mobile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to-poin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11 : 모바일 중계 패드(100)상에 위치한 모바일 기기(300)의 사용자에 의해 점대점 통신 기능이 수행되고,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점대점 통신 접속을 위한 정보(고유 ID, PW 등)를 요청하는 단계;Point communication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the information for the point-to-point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ID, PW, etc.);

S12 :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상에 위치한 모바일 기기(300)로 점대점 통신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2: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S13 :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결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3: request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S14 :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POS 단말기(200)로 결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4: request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POS terminal 200;

S15 : POS 단말기(2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요청된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5: transmitting the payment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POS terminal 2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S16 :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모바일 기기(300)로 요청된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S16 단계에서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제공받은 모바일 기기(300)는 역결제 방식으로 결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S16: Transmitting payment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mobile device 300. At this time, in step S16, the mobile device 300 receiving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can process the payment information using the reverse payment method.

======================================================================================================= ===

상기 S16 단계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주체가 POS 단말기(200)인 경우에는;If the POS terminal 200 performs the settlement in step S16,

S20 : 상기 S16 단계에 이어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응 정보(예를 들면 모바일 가입자의 개인 정보, 신용 카드 등의 결제 수단 정보 등)를 전송하는 단계;S20: transmit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e.g., payment information of a mobile subscriber, personal information of a mobile subscriber, etc.) for performing settlement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in step S16 ;

S21 :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POS 단말기(200)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1: transmit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settlement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POS terminal 200;

S22 : POS 단말기(200)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전송하는 단계;S22: performing settlement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POS terminal 200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mobile relay pad 100;

S23 :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모바일 기기(300)로 결제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S23: transmitting the settlement result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mobile device 300. FIG.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구동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채널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또한 결제를 수행하는 주체가 POS 단말기(200)인 경우와 모바일 기기(300)에 의한 역결제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구동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method of the mobile relay 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relay p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broadcasting mode and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for each communication channel as described above, ) And the reverse payment method by the mobile device (300).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relay pa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tep by step.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구동 방법은;A method of driving a mobile relay pa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 S100 :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동작이 개시되는 단계;S100: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elay pad 100 is started;

- S110 :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NFC 통신부(172), BT 통신부(174), WiFi 통신부(176)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가 제어부(125)에 의해 브로드캐스팅 모드로 설정되어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S110: A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the NFC communication unit 172, the BT communication unit 174, and the WiFi communication unit 176 of the mobile relay pad 100 is broadcast by the control unit 125, Transmit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which is set as a mode, to the host;

- S120 :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근접 센서부(110)를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가 감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is detect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unit 110 of the mobile relay pad 100;

상기 단계에서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한다.If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is not detected, the process repeats from step S110.

- S130 : 상기 단계 S120에서 근접 센서부(110)를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가 감지되면,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제어부(125)는 RF 이득 콘트롤부(165)를 통해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의 RF 이득을 감쇄시키고,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130: When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is detect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unit 110 in step S120, the control unit 125 of the mobile relay pad 100 controls the RF gain control Attenuating the RF gain of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through the antenna unit (165) and switching to the reception mode;

- S140 : 제어부(125)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패킷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수신 패킷이 없으면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S140: The control unit 125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acket received through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If there is no received packet, it repeats from step S110.

- S150 : 상기 단계 S140에서 패킷이 수신되면, 역결제 여부와 접속 정보 요청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접속 정보 요청 패킷이 아닌 경우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S150: if the packet is received in step S140,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reverse payment and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packet, and if it is not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packet, repeating the process from step S110;

- S160 : 상기 단계 S150에서 접속 정보 요청 패킷이 수신된 경우,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제어부(125)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송신 모드로 전환하고, 접속 정보를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는 단계;S160: When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packet is received in step S150, the controller 125 of the mobile relay pad 100 switches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to the transmission mode, To a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device (100);

- S170 : 상기 단계 S160에서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125)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170: Upon completion of the transmission in step S160, the controller 125 switches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to the reception mode;

- S180 : 수신 모드로 설정된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결제 정보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25)가 판단하고 결제 정보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S180: The controller 125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aym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via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set in the reception mode, Repeating the process from step S110 if there is no request;

- S190 : 상기 단계 S180에서 결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25)는 모바일 기기(300)의 결제 정보 요청을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 S190: If payment information is requested in step S180, the controller 125 transmits a payment information request of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POS terminal 200 as a host;

이 단계에서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결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모바일 기기(300)로 결제 정보를 직접 전송하거나 데이터 입출력 유닛(104)의 키패드로 정보를 입력하여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bile relay pad 100 transmits the paym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300 when the pay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as a host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as a host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transmit or input information to the keypad of the data input / output unit 104 and transmit it to the mobile device 300,

- S200 : 제어부(125)가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부터 결제 정보의 전송을 대기하는 단계;S200: waiting for transmission of settlement information from the POS terminal 200, which is the host, to the control unit 125;

- S210 : 상기 단계 S200에서 POS 단말기(200)로부터 결제 정보가 전송되면 제어부(125)는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송신 모드로 전환하고,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결제 정보를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는 단계;S210: When the pay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POS terminal 200 in step S200, the controller 125 switches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transmission mode and transmits the pay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to a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device (300);

- S220 : 제어부(125)는 모바일 기기(300)에 의한 역결제 방식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역결제 방식인 경우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S220: The control unit 125 determines whether the reverse payment is performed by the mobile device 300 and repeats the process from the step S110 if the reverse payment is performed.

- S230 : 상기 단계 S230에서 역결제 방식이 아닌 경우, 제어부(125)는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30: If the reverse payment is not made in step S230, the controller 125 switches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reception mode.

- S240 : 제어부(125)에 의해 수신 모드로 설정된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40: receiving correspondence information for performing settlement from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through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set to the receive mode by the control unit 125 ;

- S250 :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제어부(125)가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응 정보를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250: the control unit 125 of the mobile relay pad 100 transmits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payment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POS terminal 200 as a host;

- S260 :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부터 결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260: receiving payment result from POS terminal 200 as a host;

- S270 :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결제 결과를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로 구성된다.
S270: The settlement result received from the host POS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through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and the process is repeated from the step S110 ; .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이용하여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채널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를 지원하고, 또한 결제를 수행하는 주체가 POS 단말기(200)인 경우와 모바일 기기(300)에 의한 역결제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the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relay system, the mobile relay pad 100 can be used for broadcasting by wireles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NFC, BT, WiFi broadcasting mode and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mode and supports both the POS terminal 200 and the reverse payment method by the mobile device 300 have.

본 발명의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the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모바일 중계 패드 102 :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유닛
104 : 데이터 입출력 유닛 110 : 근접 센서부
111 : 발광 다이오드 L 112 : 포토 다이오드 P
113 : 센서창 114 : 디스플레이부
115 : 키패드 120 : I/O 인터페이스
125 : 제어부 130 : 통신설정부
135 : 호스트 정보 저장부 140 : 호스트 패킷 버퍼
145 : 모바일 패킷 버퍼 160 : 송수광부
165 : RF 이득 콘트롤부 170 :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
172 : NFC 통신부 174 : BT 통신부
176 : WiFi 통신부 180 : 직렬통신부
200 : POS 단말기 300 : 모바일 기기
100: mobile relay pad 102: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4: data input / output unit 110: proximity sensor unit
111: light emitting diode L 112: photodiode P
113: Sensor window 114:
115: Keypad 120: I / O interface
125: control unit 130: communication setting unit
135: Host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Host packet buffer
145: Mobile packet buffer 160: Transmitter / Receiver
165: RF gain control unit 170: Multi-channel wireles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nit
172: NFC communication unit 174: BT communication unit
176: WiFi communication unit 180: Serial communication unit
200: POS terminal 300: mobile device

Claims (9)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이나 직렬통신수단들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써 접속되는 POS 단말기(200)와,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들 중 어느 하나로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300)간의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NFC, BT, WiFi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유닛(102),과
디스플레이부(114)와 키패드(115)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출력 유닛(104);
을 구비한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구비하고,
각각의 모바일 기기(300)들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POS 단말기(200)와 모바일 기기(300)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NFC, BT, WiFi, and the like, and a POS terminal 200 connected by any one of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BT, Point mobil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s 300, the mobile relay device comprising:
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2 that performs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NFC, BT, and WiFi, and
A data input / output unit 104 including a display unit 114 and a keypad 115;
And a mobile relay pad (100)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each mobile device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and rela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OS terminal and the mobile device. Supported mobile rela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모바일 중계 패드(100) 내부로부터 상면의 센서창(113)으로 빛을 송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L(111)과, 센서창(113) 외부로부터 반사되는 발광 다이오드 L(111)의 빛을 감지하는 포토 다이오드 P(112)로 구성된 근접 센서부(110);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The mobile relay pad (100) according to claim 1,
A light emitting diode L 111 for emitting light from the inside of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sensor window 113 on the upper surface and a photodiode for detec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 111 reflected from the outside of the sensor window 113 A proximity sensor 110 composed of P 112;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5);
상기 제어부(125)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부가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패드를 구비한 데이터 입출력 유닛(104);과,
상기 데이터 입출력 유닛(104)과 제어부(125)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I/O 인터페이스(120);
NFC, BT, WiFi 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의 통신 방식 설정값을 저장하는 통신설정부(130);
모바일 중계 패드(100)와 POS 단말기(200) 간의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호스트 정보 저장부(135);
POS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패킷과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POS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패킷을 저장하는 호스트 패킷 버퍼(140);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는 패킷과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전송되는 패킷을 저장하는 모바일 패킷 버퍼(145);
모바일 기기(300)가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송수광부(160);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NFC, BT, WiFi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의 RF 이득을 조절하는 RF 이득 콘트롤부(165);
NFC 통신부(172), BT 통신부(174), WiFi 통신부(176)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
케이블을 통한 유선 직렬 통신을 위한 직렬통신부(180);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The mobile relay pad (100)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ler 125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of the mobile relay pad 100;
A data input / output unit 104 having a keypad for displaying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125 and receiving additional data;
An I / O interface 120 for controlling data input / output between the data input / output unit 104 and the control unit 125;
A communication setting unit 130 for storing communication method setting values of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NFC, BT, and WiFi;
A host information storage unit 135 for storing information for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relay pad 100 and the POS terminal 200;
A host packet buffer 140 for storing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POS terminal 200 and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POS terminal 200;
A mobile packet buffer 145 for storing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mobile device 300 and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A transmission light receiving unit 160 for sens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An RF gain control unit 165 for controlling the RF gain of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NFC, BT, and WiF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5;
A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that perform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NFC communication unit 172, the BT communication unit 174, and the WiFi communication unit 176;
A serial communication unit 180 for wired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a cable;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5)는,
모바일 기기(300)가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송수광부(160)를 통해 감지하여,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모드와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모드의 전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125)
It is detect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60 whether the mobile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To-point communication mode of the mobile relay pad (100). The mobile re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relay pad (100) is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a broadcasting mode and a poi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5)는,
송수광부(160)를 통해 모바일 기기(300)가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RF 이득 콘트롤부(165)로써 RF 이득을 감쇄시켜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 한정된 점대점(point-to-point)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125)
If the mobile device 300 is detected to be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60,
To-point communication limited to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by attenuating the RF gain by an RF gain control unit (165)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point-to-point communication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이나 직렬통신수단들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써 접속되는 POS 단말기(200)와,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들 중 어느 하나로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300)간의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통한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S01 : POS 단말기(200)와 모바일 중계 패드(100)가 접속되는 단계;
S02 : POS 단말기(2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다수의 불특정 모바일 기기(300)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S03 : 모바일 중계 패드(100)는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
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NFC, BT, WiFi, and the like, and a POS terminal 200 connected by any one of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BT, To-point communication via a mobile relay pad (100) between mobile devices (300), the method comprising:
S01: connecting the POS terminal 200 and the mobile relay pad 100;
S02: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providing to a plurality of unspecified mobile devices (300) from the POS terminal (2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S03: the mobile relay pad 100 broadcasts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이나 직렬통신수단들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써 접속되는 POS 단말기(200)와,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들 중 어느 하나로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300)간에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통한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S12 :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상에 위치한 모바일 기기(300)로 점대점 통신 접속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S13 :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결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S14 :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POS 단말기(200)로 결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S15 : POS 단말기(2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요청된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S16 :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모바일 기기(300)로 요청된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
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NFC, BT, WiFi, and the like, and a POS terminal 200 connected by any one of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BT, To-point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300) through a mobile relay pad (100), the method comprising:
S12: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a point-to-point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S13: request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S14: request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POS terminal 200;
S15: transmitting the payment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POS terminal 2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S16: transmitting the requested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mobile device 300;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6 단계는;
S20 : 상기 S16 단계에 이어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S21 :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POS 단말기(200)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S22 : POS 단말기(200)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 전송하는 단계;
S23 : 모바일 중계 패드(100)로부터 모바일 기기(300)로 결제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S16 comprises:
S20: transmit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settlement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in step S16;
S21: transmit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settlement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POS terminal 200;
S22: performing settlement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POS terminal 200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mobile relay pad 100;
S23: transmitting the settlement result from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mobile device 300;
And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NFC, BT, WiFi 등의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이나 직렬통신수단들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써 접속되는 POS 단말기(200)와, NFC, BT, WiFi 등을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 수단들 중 어느 하나로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300)간에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통한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 S100 :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동작이 개시되는 단계;
- S110 :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NFC 통신부(172), BT 통신부(174), WiFi 통신부(176)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가 제어부(125)에 의해 브로드캐스팅 모드로 설정되어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S120 :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근접 센서부(110)를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가 감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 S130 : 상기 단계 S120에서 근접 센서부(110)를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가 감지되면,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제어부(125)는 RF 이득 콘트롤부(165)를 통해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의 RF 이득을 감쇄시키고,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 S140 : 제어부(125)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패킷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수신 패킷이 없으면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 S150 : 상기 단계 S140에서 패킷이 수신되면, 역결제 여부와 접속 정보 요청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접속 정보 요청 패킷이 아닌 경우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 S160 : 상기 단계 S150에서 접속 정보 요청 패킷이 수신된 경우, 상기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제어부(125)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송신 모드로 전환하고, 접속 정보를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는 단계;
- S170 : 상기 단계 S160에서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125)는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 S180 : 수신 모드로 설정된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결제 정보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25)가 판단하고 결제 정보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 S190 : 상기 단계 S180에서 결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25)는 모바일 기기(300)의 결제 정보 요청을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
- S200 : 제어부(125)가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부터 결제 정보의 전송을 대기하는 단계;
- S210 : 상기 단계 S200에서 POS 단말기(200)로부터 결제 정보가 전송되면 제어부(125)는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송신 모드로 전환하고, POS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결제 정보를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는 단계;
- S220 : 제어부(125)는 모바일 기기(300)에 의한 역결제 방식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역결제 방식인 경우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 S230 : 상기 단계 S230에서 역결제 방식이 아닌 경우, 제어부(125)는 모바일 중계 패드(100)를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 S240 : 제어부(125)에 의해 수신 모드로 설정된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S250 : 모바일 중계 패드(100)의 제어부(125)가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대응 정보를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
- S260 :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부터 결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 S270 : 호스트인 POS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결제 결과를 다채널 무선 단거리 통신부(170)를 통해 모바일 중계 패드(100) 상에 위치하는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단계 S110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점대점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
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NFC, BT, WiFi, and the like, and a POS terminal 200 connected by any one of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NFC, BT, To-point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300) through a mobile relay pad (100), the method comprising:
S100: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elay pad 100 is started;
- S110: A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the NFC communication unit 172, the BT communication unit 174, and the WiFi communication unit 176 of the mobile relay pad 100 is broadcast by the control unit 125 Transmit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which is set as a mode, to the host;
S12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is detect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unit 110 of the mobile relay pad 100, If the mobile device 300 is not detected, repeating the process from step S110;
S130: When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is detect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unit 110 in step S120, the control unit 125 of the mobile relay pad 100 controls the RF gain control Attenuating the RF gain of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through the antenna unit (165) and switching to the reception mode;
S140: The control unit 125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acket received through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If there is no received packet, it repeats from step S110.
- S150: if the packet is received in step S140,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reverse payment and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packet, and if it is not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packet, repeating the process from step S110;
S160: When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packet is received in step S150, the controller 125 of the mobile relay pad 100 switches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to the transmission mode, To a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device (100);
S170: Upon completion of the transmission in step S160, the controller 125 switches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to the reception mode;
- S180: The controller 125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ayment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via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set in the reception mode, Repeating the process from step S110 if there is no request;
- S190: If payment information is requested in step S180, the controller 125 transmits a payment information request of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POS terminal 200 as a host;
S200: waiting for transmission of settlement information from the POS terminal 200, which is the host, to the control unit 125;
S210: When the pay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POS terminal 200 in step S200, the controller 125 switches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transmission mode and transmits the pay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OS terminal 200 to the mobile relay pad 100 to a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device (300);
S220: The control unit 125 determines whether the reverse payment is performed by the mobile device 300 and repeats the process from the step S110 if the reverse payment is performed.
S230: If the reverse payment is not made in step S230, the controller 125 switches the mobile relay pad 100 to the reception mode.
S240: receiving correspondence information for performing settlement from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through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set to the receive mode by the control unit 125 ;
S250: the control unit 125 of the mobile relay pad 100 transmits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payment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POS terminal 200 as a host;
S260: receiving payment result from POS terminal 200 as a host;
S270: The settlement result received from the host POS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0 located on the mobile relay pad 100 through the multi-channel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70, and the process is repeated from the step S110 ;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KR1020160105946A 2016-08-22 2016-08-22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1847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46A KR101847282B1 (en) 2016-08-22 2016-08-22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PCT/KR2017/009167 WO2018038511A1 (en) 2016-08-22 2017-08-22 Mobile relay system for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dri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46A KR101847282B1 (en) 2016-08-22 2016-08-22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013A true KR20160106013A (en) 2016-09-09
KR101847282B1 KR101847282B1 (en) 2018-04-10

Family

ID=5693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9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7282B1 (en) 2016-08-22 2016-08-22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7282B1 (en)
WO (1) WO2018038511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47B1 (en) * 2017-01-13 2018-06-19 나이스정보통신 주식회사 Payment system using an intermediating apparatus having serial communication and 2way wireless connection
KR102425689B1 (en) * 2021-03-26 2022-07-28 (주)에이아이큐브 IoT kiosk system
KR102615284B1 (en) * 2023-01-31 2023-12-19 주식회사 터치앤고 Multi-mode nfc payment support method and device therefor
WO2023249403A1 (en) *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터치앤고 Method for supporting nfc payments and authentication, and device theref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29B1 (en) 2004-06-03 2006-10-12 리누딕스 주식회사 Payment terminal system
WO2009039419A1 (en) 2007-09-21 2009-03-26 Wireless Dynamics, Inc. Wireless smart card and integrated personal area network,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contactless payment system
US20130225070A1 (en) 2012-02-24 2013-08-29 Htc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circuit thereof
US8630908B2 (en) 2011-11-02 2014-01-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Distributed point of sale,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and product inform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26153A (en) 2014-08-29 2016-03-09 전자부품연구원 Mobile pos cradle having multiple access function
KR101614217B1 (en) 2014-11-17 2016-04-29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Wireless vibration pager for payment small sum based on NFC, NFC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for small sum payment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8454B2 (en) * 2012-07-23 2014-05-27 Wal-Mart Stores, Inc. Transferring digital receipt data to mobile devices
KR102037416B1 (en) * 2012-12-17 201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of external devices, method for operating of an external device, host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the external device
KR101675619B1 (en) * 2013-02-18 2016-11-22 박종권 Mobile receip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bluetooth relay apparatus with automatic pairing function
KR20150044330A (en) * 2013-10-16 2015-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s an access poi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KR101597303B1 (en) * 2014-03-24 2016-03-0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ayment terminal apparatus,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payment relay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29B1 (en) 2004-06-03 2006-10-12 리누딕스 주식회사 Payment terminal system
WO2009039419A1 (en) 2007-09-21 2009-03-26 Wireless Dynamics, Inc. Wireless smart card and integrated personal area network,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contactless payment system
US8630908B2 (en) 2011-11-02 2014-01-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Distributed point of sale,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and product inform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20130225070A1 (en) 2012-02-24 2013-08-29 Htc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circuit thereof
KR20160026153A (en) 2014-08-29 2016-03-09 전자부품연구원 Mobile pos cradle having multiple access function
KR101614217B1 (en) 2014-11-17 2016-04-29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Wireless vibration pager for payment small sum based on NFC, NFC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for small sum payment us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47B1 (en) * 2017-01-13 2018-06-19 나이스정보통신 주식회사 Payment system using an intermediating apparatus having serial communication and 2way wireless connection
KR102425689B1 (en) * 2021-03-26 2022-07-28 (주)에이아이큐브 IoT kiosk system
WO2023249403A1 (en) *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터치앤고 Method for supporting nfc payments and authentication, and device therefor
KR102615284B1 (en) * 2023-01-31 2023-12-19 주식회사 터치앤고 Multi-mode nfc payment support method and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282B1 (en) 2018-04-10
WO2018038511A1 (en)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218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information receiving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387111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program related to the method
US200100078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short-range radio link
US9071971B2 (en) Adaptive and context based NFC access control filtering
KR101847282B1 (en)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US9344154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in a local network
CN111130957A (en) Network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for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equipment
US20140256249A1 (en) Method and system to automatically establish nfc link between nfc enabled electronic devices based on proximate distance
JP2007522564A5 (en)
US20170344976A1 (en) Simple mobile payment system
US9084116B2 (en) Detector logic and radio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terminal operations
KR1017264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yment Authorisation by Using Beacons
EP3058792B1 (en) Wireless protocol message conversion method and corresponding device
TW201214296A (en) Detector
KR1013881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using NFC ta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6058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led communic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KR101993959B1 (en) Unificated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using mobile, and the method therefor
KR20140082949A (en) Access control system using NFC communication and data exchange methods
US120040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scriminating one of a group of NFC transmitters
KR1013881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 pairing using NFC tag
JP6166748B2 (en) Transaction settlement system, transaction settlement method, and transaction settlement program
WO2021140984A1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and article management method
KR101825299B1 (en) Mobi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infra-code,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60026153A (en) Mobile pos cradle having multiple access function
RU2325042C1 (en) Long distanced data transmission to mobile phones and fixed electronic devices supported by bluetooth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