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04515A - 조립식 바닥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515A
KR20160104515A KR1020150028244A KR20150028244A KR20160104515A KR 20160104515 A KR20160104515 A KR 20160104515A KR 1020150028244 A KR1020150028244 A KR 1020150028244A KR 20150028244 A KR20150028244 A KR 20150028244A KR 20160104515 A KR20160104515 A KR 20160104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groove
groove portion
bottom material
rece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석
Original Assignee
오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석 filed Critical 오광석
Priority to KR1020150028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4515A/ko
Publication of KR2016010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51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7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connected by tongues and grooves, the centerline of the connection being inclined to the top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connected by tongues and grooves with triang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그리고 두 쌍의 마주보는 측면으로 형성되며, 두 쌍의 마주 보는 측면에는 서로 쌍을 이루는 기계적인 조립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 구조는 홈부와 혀부로 형성되며 용이한 조립과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바닥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층은 측면이 홈부의 내부를 향하여 혀부의 제2경사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1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층에는 바닥부와 이음부 그리고 이음부의 상부에 위로 돌출한 걸림부를 형성하며, 상기 혀부는 측면이 상기 홈부의 제1경사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2경사부와, 하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돌출부의 뒷편에 홈부의 걸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홈부의 받침부는 바닥재의 하부 표면과 평행하고, 상기 이음부는 경사진 직선으로 상기 받침부와 분명한 각도로 연결되어 받침부와 이음부의 접촉면이 혀부가 회전하는 피봇점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바닥재 {SECTIONAL FLOORINGS}
본 발명은 바닥재의 조립을 위한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결합 요소를 구비한 바닥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건물의 바닥을 치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못과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에 직접 부착하는 바닥재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종래의 설치 방법이 너무 전문적이거나 또한 친환경적이지 못한 접착제의 사용을 기피 하는 등의 추세로 인하여 바닥재를 바닥에 고정하지 않고 바닥재 자체에 체결 장치를 구비하여 바닥재를 서로 연결함으로 설치가 완료되는 플로팅 공법(floating installation)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바닥재의 조립은 복수개의 바닥 패널을 서로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바닥패널 간의 체결은 시공의 편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패널의 네 측면에 기계적 체결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닥패널 간의 인접한 측면을 체결하는 구조들이 공지되어 있다.
즉 일측 바닥재의 한 측면에 홈(groove)를 만들고 일측 바닥재의 한 측면에 상기 홈에 삽입되는 혀(tongue)를 형성하여 서로를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끼워 넣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시공 구조를 갖는 바닥재는 바닥재의 재료에 따라서 각각 본래의 장점을 상실하고 또한 습기, 온도변화 등의 영향으로 결합력이 감소되어 틈이 벌어지거나, 홈과 혀의 체결 요소들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 때문에 소음이 자주 발생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 중 홈과 혀의 결합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EP 1026341이 개재되어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 중 일 실시예는 바닥재가 서로를 향하여 측방향으로 평탄하게 진입하여 체결이 되는 특징이 있다.
즉 바닥재 B가 바닥재 A의 측면을 향하여 평탄하게 진입(D11)할 때 바닥재 B의 혀부에 형성된 돌출턱(506)이 바닥재 A의 홈부에 형성된 걸림턱(505)을 압박하여 상기 걸림턱(505)이 하방향(507)으로 휘어지고, 이때 바닥재 B는 바닥재 A의 걸림턱(505)을 통과하여 체결된다.
그러나 지나치게 바닥재의 변화에 의존을 함으로써 아주 작은 가공의 오차로 인하여 상기 돌출턱(506)과 걸림턱(505)이 약속된 도면 보다 크다면 적은 힘으로 는 걸림턱(505)의 휘어짐을 충분히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도구를 이용하여 바닥재에 무리한 힘(F)을 가해야 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때 바닥재 내부의 변곡점(508)이 찢어지는 등 파손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 중 다른 실시예는 바닥재 B가 P10를 피봇점으로 하여 바닥재 A의 내부로 회전하여 삽입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도 역시 바닥재 B의 돌출턱(506)이 바닥재 A의 걸림턱(505)을 압박하여 상기 걸림턱(505)이 하 방향(507)으로 휘어지고, 이때 바닥재 B는 바닥재 A의 걸림턱(505)을 회전에 의하여 통과하여 체결된다.
그러나 홈부의 걸림턱(505)의 경사부(512)가 완만하고(45°-50°) 상기 돌출턱(506)과 걸림턱(505)의 접촉 면적(512)이 너무 좁아서 습도와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바닥재가 팽창할 때 바닥재의 걸림턱(505)이 하 방향으로 휘어지며 체결된 바닥재가 쉽게 빠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결합된 두 바닥재 사이에 서로를 당기는 강한 장력이 작용하여 체결 상태를 유지하며, 홈부의 가장 깊은 곳(511)과 혀부의 뾰족한 접촉부(513)가 상호 압력을 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은 움직임에도 두 바닥재의 마찰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재를 구성하는 바닥패널 간의 맞춤 체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체결된 바닥재의 결합력을 향상 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이 가능하며,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제1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혀부와, 혀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제2 바닥재 패널의 일측에 마련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바닥재에 있어서,
특별히 상기 홈부는 종래의 결합 구조에 일반적으로 형성된 구조와는 다르게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단순하게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층은 오직 경사진 측면만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일부 경사진 측면으로 형성되며, 종래의 결합 구조에 구성된 측면부와 천정부의 구분을 없애고 홈부의 내부 까지 직선으로 된 제1경사부를 구성하여 혀부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부드러운 체결을 유도하며, 상기 바닥재의 제1경사부는 별도의 내벽부를 형성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홈부의 하부층과 연결되고,
상기 하부층은 하부층의 상부 표면을 이루는 바닥부, 그리고 상기 바닥부와 받침부를 연결하는 이음부, 상기 이음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향연결 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음부는 경사진 직선으로 형성되어 받침부와 만나 정확한 에지를 이루며 상기 에지를 혀부가 회전하는 피봇점으로 제공하고, 상기 받침부는 바닥재의 하부 표면과 평행을 이루어 혀부로 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고르게 수용하여 체결 요소들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며, 이음부와의 접촉선으로 형성된 정확한 에지를 피봇점으로 하여 체결시 혀부가 불필요하게 홈부의 내부로 너무 깊숙히 진입하여 회전에 방해가 되는 요인을 제거하고, 상기 걸림부의 상부면은 혀부의 천정부와 평행하게 형성하여 역시 혀부로 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골고루 수용하여 체결 요소들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혀부는 바닥재의 일측면에서 상기 홈부의 제1경사부와 상보적인 형상이며, 체결 후 상기 제1경사부와 빈틈없이 접촉하는 제2경사부와, 상기 혀부의 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홈부의 걸림부와 함께 작용하여 바닥재의 수평 방향이동을 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홈부의 걸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평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천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의 바닥부는 홈부의 받침부보다 아래에 형성 하는 것 이며 상기 바닥부와 받침부는 이웃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 하단면은 바닥재 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홈부의 받침부와 서로 틈이 없이 평평하게 접촉하여 혀부로부터 전해지는 힘을 홈부의 받침부에 고르게 전달하여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혀부와 홈부에 경사각이 일치하는 제1,제2 경사부가 형성되고, 홈부의 바닥부가 받침부의 내측 하단에 형성됨으로써 혀부가 홈부의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닥재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체결이 가능하다.
즉 체결시 바닥재에 일체의 무리를 가하지 않음으로써 바닥재의 형상이 변하지 않아 우수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와 돌출부 하단을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접촉면을 일치시킴으로써 혀부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소음을 방지하며, 상기 걸림부의 상부면은 혀부의 천정부와 평행하게 형성하여 역시 혀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골고루 수용하여 체결 요소들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를 갖는 바닥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또 다른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0 도 11은 종래의 체결 구조를 갖는 바닥재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종래의 체결 구조를 갖는 바닥재의 평면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홈부와 혀부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홈부 101: 상부 표면
110: 하부층 112: 걸림부
113: 걸림부 상부면 114: 바닥부
115: 걸림부 내벽 116: 엣지
120: 하부표면 130: 제1경사부
150: 상부층 200: 혀부
210: 제2경사부 212: 혀부의 단부
213: 상단모서리 220: 수용부
221: 천정부 222: 돌출부
223: 돌출부 하부면 224: 돌출부 외벽
225: 하단모서리 505: 걸림턱
506: 돌출턱 513: 접촉부
620: 수직면 630: 수평부
640: 상부립 650: 내벽부
660: 하부립 680: 돌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목재, 합판, MDF, HDF, PB, OSB, PVC, 기타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이들의 혼합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복수개의 바닥 패널이 상호간의 조립을 통해 시공되는데, 하나의 바닥재 패널은 네 측면으로 구성되며, 두 쌍의 마주보는 측면에는 서로 쌍을 이루는 기계적인 조립구조가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어느 한 바닥재 패널의 일 측면은 조립 구조상 쌍을 이루는 다른 바닥재 패널의 일 측면과 반복적으로 결합되어 전체 바닥재를 이루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재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체결 구조의 형상이다.
즉 본 발명의 바닥재는 일 측면에 홈부(100)가, 그리고 마주보는 다른 일 측면에는 혀부(20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특별히 본 발명의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홈부(100)는 종래의 결합구조에 일반적으로 형성된 구조와는 다르게 상부층(150)과 하부층(110)으로 단순하게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체결 구조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형상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결합 구조들에 있어서 홈부는 표면(610), 바닥재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수직에 가까운 수직면(620), 표면의 반대 방향에 거의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부(630) 등으로 구성된 상부립(640)과, 내벽부(650) 및, 하부립(6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거의 원칙이며, 기본으로 여겨져 왔다.
이 중에서 특히 상기 상부립(640)의 구성(표면, 수직면, 수평부)은 홈부와 혀부의 접근성을 떨어뜨려 상술한 바와 같이 부드러운 체결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을 알면서도 다른 기술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부층(150)은 오직 경사진 측면(130:제1경사부)만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경사진 측면으로 형성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결합 구조에 형성된 수직부(620)와 수평부(630)의 구분을 없애고 바닥재의 내부(131) 까지 직선으로 된 제1경사부(130)를 형성하여 혀부(200)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부드러운 체결을 유도한다.
이러한 효과는 별도로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홈부의 하부층(110)은 하부층의 상부 표면을 이루는 바닥부(114),상기 바닥부(114)와 받침부(111)를 연결하는 이음부(118), 상기 이음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향 연결 되는 받침부(111), 상기 받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걸림부(112)를 포함하되, 상기 이음부(118)는 경사진 직선으로 형성되어 받침부(111)와 만나 정확한 엣지를 이루며 상기 엣지를 혀부가 회전하는 피봇점으로 제공하고, 상기 이음부(118)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향 계단식으로 이어지고 바닥부(114)와 이웃하지 않으며 바닥재의 하부 표면(115)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받침부(111)를 형성한다.
상기 이음부(118)와 받침부(111)가 접촉하여 이루는 엣지는 정확한피봇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종래의 완만하고 불확실한 피봇점에 비하여 혀부의 과도한 진입을 차단하고 혀부가 회전할 때 그의 궤적을 명확히 규정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바닥재의 손상을 막아준다.
이때 받침부의 너비(B)는 혀부의 돌출부(222) 하부면(223)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받침부(111)의 너비(B)가 넓어지면 혀부의 회전 각도가 커져서 체결이 어려워지고, MDF와 같이 갈라지기 쉬운 바닥재에서는 상부층(150)과 하부층(110)이 갈라지며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받침부(111)가 하부 표면(120)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혀부(200)의 돌출부(222)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넓고 고르게 분산시켜 바닥재 상호간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체결시 혀부가 불필요하게 홈부의 내부로 너무 깊숙히 진입하여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받침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걸림부(112)를 형성하며, 그의 상부에 상기 받침부(11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면부(113)를 형성한다.
이때 평면부(113)는 혀부(200)의 수용부(220) 내부로 진입하여 천정부(221)를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113)와 천정부(221)가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때로는 서로 접촉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체결 구조는 상기 평면부(113)와 천정부(221)의 기능과 역할을 중요시 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평면부(113)와 천정부(221)를 평탄하며, 때로 접촉되게 구성함으로써 혀부로 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넓고 고르게 수용하여 체결된 홈부와 혀부의 마찰을 줄여 소음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결합 구조들에 있어서 혀부는 바닥재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수직에 가까운 수직면(670)과, 바닥재의 상부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680)로 구성된다.
역시 이러한 구성은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거의 원칙이며, 기본으로 여겨져 왔다.
이 중에서 특히 별도로 구성된 수직면(670)과 돌출부(680)는 홈부와 혀부의 접근성을 떨어뜨려 상술한 바와 같이 부드러운 체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혀부의 측면(210: 제2경사부)은 오직 경사진 측면(210: 제2경사부)이거나 혹은 거의 경서진 측면으로 구성된다.
즉 도 12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결합 구조에 형성된 수직면(670)과 돌출부(680)의 구분을 없애고 측면의 단부(212) 까지 직선으로 된 제2경사부(210)를 구성하여 홈부(100)와 혀부(200)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부드러운 체결을 유도한다.
이러한 효과는 별도로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즉 상기 혀부는 아무런 돌출과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단순한 경사를 이루거나 주로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홈부의 제1경사부(130)와 동일한 각도 및 상보적인 형상으로 제2경사부(210)를 구비한다.
또한 체결이 완료되면 제1경사부(130)와 제2경사부(210)의 접촉면은 빈 틈이 없다.
그리고 혀부의 하단에는 돌출부(222)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223)은 바닥재의 하부 표면(120)과 평행이 되게 구성하며, 상기 돌출부(222)는 홈부의 받침부(111)에 평탄하게 접촉하여 놓여진다.
돌출부(222)와 받침부(111)가 평탄하게 놓여지면 혀부로 부터 전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체결된 바닥재들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주는 특징이 있다.
돌출부의 뒷 부분에는 홈부의 걸림부(112)를 수용하는 수용부(220)를 형성하고 수용부의 천정부(221)는 홈부의 평면부(113)와 평행하고 때로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의 천정부(221)와 홈부의 평면부(113)가 같은 형상으로 평평하게 접촉하면 역시 혀부로 부터 전해지는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체결된 바닥재들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주는 특징이 있다.
상기의 구성을 바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결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바닥재 2의 혀부(200)의 돌출부 하부면(223)을 바닥재 1의 홈부(100)의 평면부(113) 상단에 올려놓고 혀부(200)를 홈부(100)에 가까이하면 제1경사부(130)와 제2경사부(210)는 빈틈이 없이 접촉한다(H3). 그러므로 상기 하부면(223)과 평면부(113)가 접촉하는 부분(H)은 작아진다.
게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면(223)과 평면부(113)의 단부에 모따기(G4)를 하면 접촉 부분(H5)은 더 좁아진다.
이때 바닥재 2에 힘을 가하면 혀부의 제2경사부(210)는 홈부의 제1경사부(130)을 밀면서 미끄러져 홈부의 내부로 진입하여 도 5와 같이 체결이 완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체결방법을 설명한다.
바닥재 2의 혀부(200)를 비스듬히 바닥재 1의 홈부(100)에 진입시키면 혀부의 상단모서리(213)가 홈부의 제1경사부(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돌출부(222)의 하단모서리(225)는 홈부의 걸림부 내벽(115)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들고 있던 바닥재 2를 놓으면 바닥재 2의 무게 때문에 별도의 힘을 주지 않아도 스스로 아래 방향으로 회전(W)하며 체결이 이루어진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11)와 이음부(118)가 접촉하여 이루는 엣지(PP)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하단모서리(225)는 내벽(115)을 따라 하강(W1)하고, 혀부의 상단모서리(213)은 홈부의 제1경사부(130)를 밀면서 위로 상승(W2)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제1경사부(130)와 제2경사부(210)는 빈틈없이 접촉하고, 돌출부 하부면(223)은 받침부(111) 위에 놓여 체결이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부(111)의 너비(B)가 넓어지면 바닥재 2의 진입각이 커져서 상단모서리(213)가 제1경사부의 깊은 내부까지 진입하기때문에 회전의 궤적이 광범위해져서 홈부의 상부층(150)에 무리를 주어 바닥재의 갈라짐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마찬가지로 받침부(111)가 바닥재와 하부면(120)과 평행하지 않으면 혀부의 돌출부(222)가 미끄러져 홈부의 제1경사부의 깊은 내부 까지 진입하여 상기와 같이 회전의 궤적이 커짐으로 바닥재의 갈라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받침부(111)를 하부표면(120)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그의 너비를 규정하여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함과 동시에, 혀부(200)의 돌출부(222)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넓고 고르게 분산시켜 바닥재 상호간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한다.
즉 받침부의 너비(B), 받침부(111)의 형상, 이음부(118)의 형상, 엣지(PP) 등에 관한 정의는 본 발명의 바닥재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들이다.
이와 같은 체결 방법은 바닥재에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바닥재의 형상이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체결할 때 바닥재가 전혀 손상을 받지 않으며 또한 혀부의 회전(W)은 바닥재의 자체 무게만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혀부의 단부(212)는 홈부 내부로부터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으므로 부드러운 회전으로 용이한 체결 방법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바닥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닥재와 동일하고 다만 홈부(100)의 상부 모서리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의 상부 모서리를 경사지게 가공하는 베벨부(190)를 더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베벨부(190)를 형성할 경우 홈부(100)에 혀부(200)가 조립되면 혀부의 제2 경사부(210)와 함께 실질적으로 "V"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바닥재 시공 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상기한 베벨부(190)에 관한 사항 이외에 나마지 부분들은 모두 도 2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다른 부분들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바닥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닥재와 동일하나 다만 홈부와 혀부의 상부 모서리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즉 홈부의 상부 모서리에 바닥재 표면에 대하여 수직이나 혹은 수직에 가깝게 홈전면부(170) 형성하고, 혀부의 상부 모서리 역시 바닥재 표면에 대하여 수직이나 혹은 수직에 가깝게 혀전면부(270)를 형성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두 바닥재에 있어서 혀부의 돌출부 외벽(224)과 홈부의 걸림부 내벽(115)은 밀착되지 않는 것(271)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부의 내벽(115)과 돌출부의 외벽(224)은 다소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홈전면부와(170) 혀전면부(270)의 충돌로 인하여 혀부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원활한 혀부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바닥재의 혀부(200)가 홈부(100)의 내부로 더 이상 진입(D15)하지 못하도록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두 바닥재는 경사진 두 측면(130,210)으로 인하여 혀부(200)가 홈부(100)의 내부로 진입(D6)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혀부(200)가 홈부(100)의 내부로 진입하면 두 바닥재가 접촉한 상부면(E6)이 어긋나서 턱이 생긴다.
그러나 홈부와 혀부에 위와 같이 홈전면부(170)와 혀전면부(270)를 형성함 으로써 혀부의 홈부 진입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도 1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바닥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닥재와 동일하고 다만 혀부의 단부에 NOSE(280)를 형성하고 홈부의 내부에 NOSE 수용부(18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바닥재의 혀부(200)가 상방향으로 이탈(D16)하려는 힘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두 바닥재는 오로지 경사진 두 측면(130,210)으로 인하여 혀부가 홈부의 외부로 이탈(D16)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부의 NOSE가 홈부의 NOSE 수용부에 삽입되면 혀부의 윗 방향 이탈(D16)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같이 체결된 두 바닥재에 있어서 혀부의 돌출부 외벽(224)과 홈부의 걸림부 내벽(115)은 밀착되지 않는 것(271)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의 내벽(115)과 돌출부의 외벽(224)은 다소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

  1.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그리고 두 쌍의 마주보는 측면으로 형성되며, 두 쌍의 마주 보는 측면에는 서로 쌍을 이루며 기계적인 조립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 구조는 홈부와 혀부로 형성되는 조립식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측면에 형성된 홈부는,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층은,
    측면이 홈부의 내부를 향하여 혀부의 제2경사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고, 혀부의 제2경사부와 상보적으로 형성된 제1경사부;
    상기 하부층은,
    홈부의 하부층에서 가장 낮게 형성되며 별도의 체결 요소가 없는 바닥부;
    완전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홈부의 외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바닥부와 받침부를 이어주는 이음부;
    상기 이음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바닥부와 이웃하지 않고, 상기 바닥재의 하부 표면과 평행을 이루며, 그의 너비가 혀부의 하단면보다 좁게 형성되고, 혀부의 하단면과 접촉하여 갭(틈)을 형성하지 않도록 형성된 받침부;
    상기 혀부가 회전할 때 피봇점이 되며, 받침부 모서리와 이음부 모서리가 접촉하여 형성된 엣지;
    상기 받침부의 외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그의 상부면이 바닥재의 하부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혀부는,
    홈부의 제1경사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고, 홈부의 제1경사부와 상보적으로 형성된 제2경사부;
    혀부의 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되 그의 하단면이 바닥재의 하부표면과 평행을 이루는 하단면;
    상기 하단면의 내측에 형성되되 그의 천정부가 바닥재 하부 표면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홈부의 걸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를 포함하고,
    제1 바닥재의 홈부에 제2 바닥재의 혀부를 삽입한 후 제2 바닥재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제2 바닥재의 무게에 의해서 스스로 회전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재.
KR1020150028244A 2015-02-26 2015-02-26 조립식 바닥재 Withdrawn KR20160104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244A KR20160104515A (ko) 2015-02-26 2015-02-26 조립식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244A KR20160104515A (ko) 2015-02-26 2015-02-26 조립식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515A true KR20160104515A (ko) 2016-09-05

Family

ID=5693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244A Withdrawn KR20160104515A (ko) 2015-02-26 2015-02-26 조립식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45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4602A (zh) * 2018-06-28 2018-10-12 太仓新浏精密五金有限公司 压铸板材
WO2021045612A1 (en) * 2019-09-06 2021-03-11 Riflock B.V. Floor panel and floor
CN113502997A (zh) * 2021-06-08 2021-10-15 陈忠毅 一种木塑地板
KR102723751B1 (ko) * 2023-06-23 2024-10-31 이건산업 주식회사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4602A (zh) * 2018-06-28 2018-10-12 太仓新浏精密五金有限公司 压铸板材
WO2021045612A1 (en) * 2019-09-06 2021-03-11 Riflock B.V. Floor panel and floor
KR20220074883A (ko) * 2019-09-06 2022-06-03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바닥 패널 및 바닥
JP2022548828A (ja) * 2019-09-06 2022-11-22 アイ4エフ・ライセンシング・エヌヴィ 床パネルおよび床
US11891817B2 (en) 2019-09-06 2024-02-06 I4F Licensing Nv Floor panel and floor
CN113502997A (zh) * 2021-06-08 2021-10-15 陈忠毅 一种木塑地板
KR102723751B1 (ko) * 2023-06-23 2024-10-31 이건산업 주식회사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83173A1 (en) Hard Floor Panel for Floating Installation with the Formation of a Flooring Panel Network
US8281549B2 (en) Floor panel, flooring system and method for laying flooring system
JP6553651B2 (ja) 仕上げ材を形成するための同様のパネルと相互結合可能なパネル
KR100596190B1 (ko) 패널부재
CN104831899B (zh) 地板和由多个此类地板组成的地面覆盖物
US20080216435A1 (en) Interlocking Member
US20100024341A1 (en) High Friction Joint, And Interlocking Joints For Forming A Generally Planar Surfa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HRP20020724A2 (en) Mechanical connection of panels
KR20160104515A (ko) 조립식 바닥재
JP7189885B2 (ja) パネルおよびカバーリング
WO2012159162A1 (en) Clip for coupling two substrates together
US20060096223A1 (en) Floor board
EP1338722B1 (en) A flooring system comprising floorboards and a method fo joining such floorboards
WO2008088239A1 (fr) Unité de raccordement de panneaux de construction
WO2014088391A1 (en) Interlocking joint for wooden multilayer laminated panel board
US20050144879A1 (en) Strip for forming floor coverings
JP7016029B2 (ja) 床材
KR100862668B1 (ko) 조립형 바닥재
EP1516977A1 (en) Panel, in particular for wood floors
RU2808776C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с соединительными боковыми кромками
JP7479165B2 (ja) 蹴込板の固定構造、蹴込板の施工方法、これらに用いられる蹴込板固定部材および蹴込板
JP2575238Y2 (ja) 化粧板
WO2021019811A1 (ja) 床材
JP3442510B2 (ja) 床下地構造
JP2590228Y2 (ja) 床下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