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01477A -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477A
KR20160101477A KR1020150024100A KR20150024100A KR20160101477A KR 20160101477 A KR20160101477 A KR 20160101477A KR 1020150024100 A KR1020150024100 A KR 1020150024100A KR 20150024100 A KR20150024100 A KR 20150024100A KR 20160101477 A KR20160101477 A KR 20160101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display device
folding
slo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수민
이기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1477A/ko
Publication of KR2016010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47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Enclosures for carrying portable computers with peripheral devices, e.g. cases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가 개시되며, 키패드와 마우스휠을 가지는 키보드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키보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일측의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타측의 디스플레이 부착부 및 상기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대면하도록 접히는 상기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폴딩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키보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대면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폴딩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되어, 복수의 슬롯에 소정의 거치 각도로 삽입된다.

Description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ELECTRICAL DEVICE HAVING A KEYBOARD INTERGRATED TABLET COV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슬라이딩 키보드를 이용하여 태브릿 PC를 다양한 거치 각도로 연출할 수 있는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통신의 원활화 및 신속화에 따른 업무 추진을 위하여 이미 많은 개인이나 회사 또는 공공 기관에서는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의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태블릿 PC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되어 별도의 마우스나 키보드 없이도 작동이 가능하기에 노트북 PC에 비해 소형화로 제조될 수 있어 휴대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에, 태블릿 PC는 노트북 PC에 비해 그 사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렇지만, 태블릿 PC에는 별도의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태블릿 PC를 바닥면에 놓은 상태로 작업하거나 아니면 직접 들고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태블릿 PC를 기울인 상태에서 벽면에 기대어 거치시키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태블릿 PC를 잡은 상태에서 동영상 등을 시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태블릿 PC와 연동되는 키보드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하여 일일이 글자나 숫자를 입력해야 되는 작업의 불편함도 있으므로, 별도의 키보드 휴대로서 작업의 불편함은 해소할 수 있지만, 그 대신 별도의 키보드 휴대로 인한 불편한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키보드가 일체형인 전자 장치, 즉 노트북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와 키보드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점을 이용하여 연결 부위에 폴딩 힌지(Folding Hinge)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키보드가 서로 소정의 거치 각도로 유지되도록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폴딩 힌지로 인하여 콤팩트한 사이즈 및 경량화에 방해가 되었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키보드와 항상 고정된 거치 각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었지만, 기타의 거치 각도에서 다양하게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달리, 화면 즉 태블릿(tablet)과 키보드가 분리형인 전자 장치의 경우, 태블릿을 포함하는 메인 장치와 키보드부가 분리되어 있지만, 접점을 통해서 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두 기기가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사용할 때 마다. 세팅을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태블릿을 포함하는 메인 장치와 키보드가 커버로 연결되며, 태블릿의 배면에 거치대가 따로 구비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별도의 거치대가 태블릿의 배면에 있음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였고 또한 복잡한 구조가 외부에 노출되며, 더구나 태블릿의 두께가 두껍고 하나의 거치 각도만을 연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 내지는 불편함을 모두 해소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고, 키보드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상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는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는 키패드와 마우스휠을 가지는 키보드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키보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일측의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타측의 디스플레이 부착부 및 상기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대면하도록 접히는 상기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폴딩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키보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대면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폴딩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되어, 복수의 슬롯에 소정의 거치 각도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는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는 키보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일측의 키보드 부착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타측의 디스플레이 부착부; 및 상기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대면하도록 접히는 상기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폴딩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키보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대면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폴딩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되어, 복수의 슬롯에 소정의 거치 각도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태블릿 PC와 키보드를 커버와 일체로 하되, 태블릿 PC에서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 감상용으로 적합한 15도의 거치 각도와 키보드 작업용으로 적합한 70도의 거치 각도, 그리고 노트북에서 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45도의 거치 각도를 모두 만족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거치 각도를 인식하여 각각의 거치 각도에 어울리고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연출하고 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추천하고자 사용 화면에 적합한 UI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 힌지를 없앰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이즈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태블릿을 키보드를 제외한 본체 부분만 따로 분리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태블릿 커버가 키보드 일체형의 태블릿 커버이므로, 거치 및 사용이 간단하고 휴대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태블릿 PC 배면에 부착되는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없으므로, 복잡한 구조가 밖으로 드러나는 현상을 피하고 태블릿의 두께를 줄어들게 됨으로써 형태적으로도 슬림해 질 수 있고, 다양한 거치 각도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을 가장 큰 효과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하부에 가지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상부에 가지는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전자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접은 상태의 전 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키보드부가 최대로 슬라이딩된 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부가 각 거치 각도에서 슬라이딩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4의 상태에서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의 메인 디바이스를 개방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개방에 의해 메인 디바이스를 제1 거치 각도로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개방에 의해 메인 디바이스를 제 2 거치 각도로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7의 개방에 의해 메인 디바이스를 제 3 거치 각도로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기기와 제 2 사용자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 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청정기, 셋톱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 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 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키보드부(50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와, 상기 키보드부(50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서로 이격되어 접을 수 있도록 부착되는 커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보드부(500)의 상면에는 키패드(520)와 마우스휠(540)을 포함할 수 있고, 키패드(520)와 마우스휠(540)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끼울 수 있는 제 1 슬롯(560)을 제 1 거치홈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보드부(500)의 양측면의 하면에는 커버(700)로부터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58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700)는 키보드부(500)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키보드 부착부(72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부착부(740) 및 키보드 부착부(720)와 디스플레이 부착부(740)가 서로 접히도록 연결하는 폴딩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커버(700)의 디스플레이 부착부(740)에 후크 결합되어 부착될 수 있고,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대략 중간 부근에 접힘이 가능한 접힘홈(742)이 커버(700)의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다.
폴딩부(760)는 키보드부(500)가 슬라이딩되지 않은 도 3상태의 제 1 폴딩부(762)와, 키보드부(500)가 일차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제 1 폴딩부(762)에서 연장되는 제 2 폴딩부(764) 및 키보드부(500)가 최대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제 2 폴딩부(764)에서 연장되는 제 3 폴딩부(76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폴딩부(764)의 타측, 즉 제 1 폴딩부(762)에서 먼쪽으로, 제 2 폴딩부(764)와 제 3 폴딩부(766) 사이에 접힘이 가능한 제 2슬롯(780)을 제 2 거치홈으로서 포함할 수 있고, 제 3 폴딩부(766)의 타측, 즉 제 2 폴딩부(764)에서 먼쪽에 접힘이 가능한 제 3 슬롯(790)을 제 3 거치홈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및 제 3 슬롯(780)(790)은 커버(700)의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슬롯(560), 제 2 슬롯 및 제 3 슬롯(780)(790)에는 접점이 매립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하단부에도 접점이 매립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각각의 슬롯에 거치되면, UI에서 그 거치 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거치 각도의 인식은 메인 디바이스로서의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하단부의 접점이 어느 슬롯의 접점이 예컨대 포고핀 방식으로 서로 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700)의 키보드 부착부(720)에는 키보드부(500)의 슬라이딩홈(580)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돌기부(722)가 형성될 수 있다.
키보드부(500)가 커버(700)에서 슬라이딩되지 않은 도 3 상태에서, 제 1 폴딩부(762)를 중심으로 커버(700)를 접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부(500)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대면하게 된다.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키보드부(500)가 최대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a 내지 도 6c는 키보드부(500)가 각 거치 각도에서 슬라이딩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보드부(500)가 도 3의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 3 폴딩부(766)의 제 3 슬롯(790)을 노출하면서 슬라이딩을 정지하면, 이것이 최대로 슬라이딩된 것으로,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제 3 거치 각도, 즉 45도로 거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키보드부(500)가 일차 슬라이딩되어, 제 2 폴딩부(764)와 제 3 폴딩부(766) 사이의 제 2 슬롯(780)을 노출하면서 슬라이딩을 정지할 수 있고, 이때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제 2 거치 각도, 즉 70도로 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키보드부(500)의 슬라이딩 정지를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580)에는 복수의, 즉 제 1 내지 제 3 체결홈(58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제 1 내지 제 3 체결홈(58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58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722)에는 체결돌기(72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724)가 제 1 체결홈(582)에 삽입되면, 키보드부(500)가 슬라이딩되지 않은 도 3상태가 될 수 있고, 이어서 키보드부(500)가 일차 슬라이딩되어, 제 2 폴딩부(764)와 제 3 폴딩부(766) 사이의 제 2 슬롯(780)을 노출하면서 체결돌기(724)가 제 2 체결홈(582)에 삽입되어 키보드부(500)의 슬라이딩이 정지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키보드부(500)가 최대로 슬라이딩되어, 제 3 폴딩부(766)의 제 3 슬롯(790)을 노출하면서 체결돌기(724)가 제 3 체결홈(582)에 삽입되어 키보드부(500)의 슬라이딩이 정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상태에서 메인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방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700)의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부착부(74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하게 되면, 접힘홈(742)이 커버(700)의 디스플레이 부착부(740)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힘홈(742)을 중심으로 접힘홈(742) 상부의 커버(700)는 회전 개방에 의해 뒤집어지고, 접힘홈(742) 하부의 커버(700)와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분리되어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키패드부(50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하단부를 제 1 슬롯(560)에 삽입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 1 거치 각도 예컨대 15°로 거치될 수 있으며, 이 거치 각도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사용성을 고려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관련 애플리게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부(500)를 1차 슬라이딩시킨 후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하단부를 제 2 슬롯(780)에 삽입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 2 거치 각도 예컨대 70°로 거치될 수 있으며, 이 거치 각도의 경우 인터넷 브라우징, 화상 채팅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부(500)를 최대로 슬라이딩시킨 시킨 수,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하단부를 제 3 슬롯(790)에 삽입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 3 거치 각도 예컨대 45°로 거치될 수 있으며, 이 거치 각도의 경우, 노트북의 사용성을 고려하면, 문서 작업, 이메일 등의 생산성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보드부(500)가 슬라이딩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키보드부(500)의 제 1 슬롯(560)의 접점과 접함을 인식하게 되면 UI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거치 각도를 제 1 거치 각도, 즉 15도로 인식하고, 키보드부(500)가 슬라이딩되어 1차 걸림점에서 정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 2 슬롯(780)의 접점과 접함을 인식하게 되면, UI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거치 각도를 제 2 거치 각도, 즉 70도로 인식하고, 키보드부(500)가 최대로 슬라이딩되어 2차 걸림점에서 정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제 3 슬롯(790)의 접점과 접함을 인식하게 되면, UI에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거치 각도를 제 3 거치 각도, 즉 45도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키보드부(500)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거치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제 1 내지 제 3의 거치 각도를 유저 인터페이스(UI)에서 인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면에는 거치 각도에 어울리고 또한 그 거치 각도에 필요할 만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0 :전자 장치 500 : 키보드부
520 :키패드 540 : 마우스휠
560 : 제 1 슬롯 580 : 슬라이딩홈
582 : 체결홈 600 :디스플레이 장치
700 : 커버 720 : 키보드 부착부
722 : 슬라이딩 돌기부 724 : 체결돌기
740 : 디스플레이 부착부 742 : 접힘홈
760 : 폴딩부 762 : 제 1 폴딩부
764 : 제 2 폴딩부 766 : 제 3 폴딩부
780 : 제 2 슬롯 790 : 제 3 슬롯

Claims (20)

  1.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키패드와 마우스휠을 가지는 키보드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키보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일측의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타측의 디스플레이 부착부 및 상기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대면하도록 접히는 상기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폴딩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키보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대면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폴딩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되어, 복수의 슬롯에 소정의 거치 각도로 삽입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디스플레이 부착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뒤집어 질 수 있도록 접힙 가능하게 형성된 접힘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홈은 상기 커버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부의 양측면의 하면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키보드 부착부에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복수의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에는 상기 체결홈의 각각에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키보드부가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의 제 1 폴딩부와,
    상기 키보드부가 일차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폴딩부에서 연장되는 제 2 폴딩부 및
    상기 키보드부가 최대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폴딩부에서 연장되는 제 3 폴딩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은
    상기 키보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슬롯과,
    상기 키보드부가 1차 슬라이딩되어 노출되는 제 2슬롯 및
    상기 키보드부가 최대 슬라이딩되어 노출되는 제 3 슬롯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슬롯은 상기 커버의 안쪽에 형성되는 전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슬롯에 접점이 매립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에도 접점이 매립되어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각각의 슬롯에 거치되면, 상기 슬롯의 접점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점이 서로 접하여 UI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 각도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 1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거치 각도로 거치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치 각도는 15°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성을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관련 애플리게이션을 추천하는 전자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거치 각도로 거치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거치 각도는 70°로서, 인터넷 브라우징 및 화상 채팅의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전자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3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3 거치 각도로 거치되는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거치 각도는 45°로서, 노트북의 사용성을 고려하여, 문서 작업 및 이메일의 생산성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전자 장치.
  16. 키보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일측의 키보드 부착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타측의 디스플레이 부착부; 및
    상기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대면하도록 접히는 상기 키보드 부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폴딩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키보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대면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폴딩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되어, 복수의 슬롯에 소정의 거치 각도로 삽입되는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디스플레이 부착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뒤집어 질 수 있도록 접힙 가능하게 상기 커버의 바깥쪽에 형성된 접힘홈을 더 포함하는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은
    상기 키보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슬롯과,
    상기 키보드부가 1차 슬라이딩되어 노출되는 제 2슬롯 및
    상기 키보드부가 최대 슬라이딩되어 노출되는 제 3 슬롯을 포함하는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 슬롯에 삽입되면 제 1 거치 각도로 거치되고,
    상기 제 2 슬롯에 삽입되면 제 2 거치 각도로 거치되고,
    상기 제 3 슬롯에 삽입되면 제 3 거치 각도로 거치되는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거치 각도는 각각 15°, 70°,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
KR1020150024100A 2015-02-17 2015-02-17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 Withdrawn KR20160101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00A KR20160101477A (ko) 2015-02-17 2015-02-17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00A KR20160101477A (ko) 2015-02-17 2015-02-17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477A true KR20160101477A (ko) 2016-08-25

Family

ID=5688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100A Withdrawn KR20160101477A (ko) 2015-02-17 2015-02-17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14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861A (ko) * 2017-05-22 2018-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사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71271A1 (ko) * 2019-02-22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861A (ko) * 2017-05-22 2018-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사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71271A1 (ko) * 2019-02-22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2104B (zh) 以多角度支撑的电子设备
US11841744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ual display and keyboard
KR10263664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US9810974B2 (en) Tripod for photographing apparatus
KR102345911B1 (ko) 가상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수신 방법
KR102406091B1 (ko) 전자 장치
KR102463493B1 (ko) 카메라용 광학 부재를 구비한 휴대 장치
CN106462197B (zh) 柔性设备及其折叠单元
KR102395507B1 (ko)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EP3306439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KR102439789B1 (ko) 거치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
US2018035686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housings
US20120188700A1 (en)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10569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64684B1 (ko)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445025B1 (en) Protection cover
US11204630B2 (en) Convertible-type electronic device having double-axis hinge device
KR20160101477A (ko) 키보드 일체형 태블릿 커버를 가지는 전자 장치
US1004450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80068447A (ko) 센서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281880B1 (ko) 접철식 전자 장치
KR102367678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340218B1 (ko)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20150081768A (ko) 전자 장치의 콘텐츠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