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99888A -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888A
KR20160099888A KR1020150022145A KR20150022145A KR20160099888A KR 20160099888 A KR20160099888 A KR 20160099888A KR 1020150022145 A KR1020150022145 A KR 1020150022145A KR 20150022145 A KR20150022145 A KR 20150022145A KR 20160099888 A KR20160099888 A KR 20160099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esent
light emitting
lighting devic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연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조성연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연, 김현수 filed Critical 조성연
Priority to KR1020150022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9888A/ko
Publication of KR2016009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88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의 저면에 발광수단이 설치된 마감판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발광수단에 의해 입사되는 광을 투사시키는 확산판이 결합되는 사각틀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 상,하부에는 일면에 소정의 패턴, 디자인 및 광고가 표현된 장식패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LIGHTING DEVICE HAVING DECK}
본 고안은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디자인, 패턴 또는 광고가 표현된 장식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미감은 물론, 광고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주택, 빌딩 및 작업장 등과 같은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매장 및 진열장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명기구는 이에 적용되는 램프가 전력을 과다하게 소비할 뿐만 아니라 그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크게 점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발광효율은 더 높으면서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LED(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LED는 종래의 광원에 비하여 소형이고 수명이 길뿐만 아니라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소모되어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며, 고속응답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조명기구에 효율적으로 적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는 설치되는 LED의 설치위치에 따라 측면 발광식과, 직하 발광식으로 구분된다.
즉, 측면 발광식은 발광소자들이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는 구조로써, 하우징의 측면에서 중앙으로 광을 유도하기 위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 등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측면 방향으로 유입된 광은 상기 도광판 및 반사판에 의해 방향이 변환되어 외부로 빛을 조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직하 발광식 조명장치는 발광 소자들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써, 광이 하우징의 전면으로 직접 방출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직하 발광식 조명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0094054호(2009.03.20)를 통해 개시된바 있는데, 기존 직하 발광식 조명장치는 광이 출사되는 개구된 출사면, 및 출사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조립면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된 복수개의 기판들로 이루어지고, 이 기판들 각각은 하우징의 조립면과 이격되면서 조립면과의 사이에 방열 공간을 형성하도록 조립면에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열되어, 출사면으로 광을 출사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LED)들 및 출사면에 배치되어,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으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부전원이 발광소자에 인가되면, 발광소자는 발광하며, 그 발광빛은 확산판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직하방식 조명장치는 하우징이 압출 제작되므로 그 표면이 밋밋하며, 단순히 외곽을 커버하는 골격 역할만 할 뿐, 표면상의 디자인, 패턴이 매우 단순하므로 외관상의 미감이 떨어진다.
또한, 설치시, 표면에 흡집이 날 경우, 외관상 미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하우징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상당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양한 디자인, 패턴 또는 광고가 표현된 장식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미감은 물론, 광고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저면에 발광수단이 설치된 마감판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발광수단에 의해 입사되는 광을 투사시키는 확산판이 결합되고, 테두리 단부에는 요홈이 형성된 케이스; 및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표현된 소정의 패턴, 디자인 및 광고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요홈에 장착되는 장식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와 확산판의 단부를 각각 걸어서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둘레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그 테두리 단부에는 상기 요홈이 형성된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디자인, 패턴 또는 광고가 표현된 장식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미감은 물론, 광고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오로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다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사각틀 형상의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둘레에 결합되는 장식패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저면에 LED 패키지와 같은 발광수단(122)이 설치된 마감판(120)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발광수단(122)에 의해 입사되는 광을 투사시키는 확산판(140)이 결합되고, 테두리 단부에형성된 요홈(101)을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요홈(101)은 상기 케이스(100)의 테두리 단부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장식패드(200)가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장식패드(200)의 일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요홈(101)에 상기 장식패드(200)의 상,하 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는 소정간격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0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는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고리(162)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102) 및 상기 확산판(140)의 단부를 각각 걸어서 고정시키는 고정클립(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장식패드(200)는 다양한 디자인, 패턴 또는 광고가 표현된 장식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미감은 물론, 광고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면에 소정의 패턴,디자인 또는 광고가 표현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식패드(200)의 일면에 표현된 소정의 패턴,디자인 또는 광고가 용이하게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요홈(101)에 상기 장식패드(200)의 상,하단부가 삽입 고정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테두리에 장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장식패드(200)의 일면에 표현된 소정의 패턴,디자인은 나무의 겉표면과 같은 우드 패턴 또는 통상의 목재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을 구비한 조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케이스(100)에는 인쇄회로기판(PCB)상에 다수로 실장되는 LED소자로 구성되는 LED 패키지가 결합된 상기 마감판(120)을 케이스(1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일단부가 축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부가 일단부를 중심으로 횡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도록 축에 의해 설치되며, 타단부가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마감판(120)의 상면을 지지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마감판(120)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상기 발광수단(122)에 의해 입사되는 광을 투사시키는 확산판(14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판(140)은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 내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단턱에 안착하는 한편, 상기 걸림돌기(102)와 상기 확산판(140)의 단부측에 상기 고정클립(160)의 걸림고리(162)가 각각 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확산판(140)을 결속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클립(160)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클립(160)의 걸림고리(162)가 각각 상기 걸림돌기(102)와 상기 확산판(140)의 단부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고정클립(1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견고하게 결속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테두리 단부에 형성된 요홈(101)에는 상기 장식패드(200)가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식패드(200)의 일면에 표현된 패턴,디자인 및 광고가 노출되도록 상,하단부가 상기 요홈(101)에 각각 내삽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00)의 둘레를 따라 결합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장식패드(200)의 일면에 표현된 패턴,디자인 또는 광고가 용이하게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패턴 또는 광고가 표현된 장식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미감은 물론, 광고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의 상기 케이스(100)는 상,하로 상기 마감판(120) 및 상기 확산판(140)이 각각 결합고정되되, 상기 케이스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둘레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그 테두리 단부에는 상기 요홈(101)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의 제1 케이스(111) 및 제2 케이스(112)를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며,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제1 케이스(111)가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케이스(111)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측으로부터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케이스(111)의 하부의 저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요홈(101)에는 상기 장식패드(200)의 상부가 내삽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케이스(112)가 상기 제1 케이스(111)와 상,하로 대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 둘레를 커버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케이스(112)의 상부의 상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요홈(101)에 상기 장식패드(200)가 내삽되면서 상기 장식패드(200)가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장식패드(200)가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노출됨은 물론, 식별이 용이하여 미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광고 또는 사용자 기호에 따른, 장식의 교체가 더욱 편리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메인프레임
111. 제1 케이스 112. 제2 케이스
101. 요홈 102. 걸림돌기
120. 마감판 122. 발광수단
140. 확산판 160. 고정클립
162. 걸림고리 200. 장식패드

Claims (4)

  1. 상부의 저면에 발광수단이 설치된 마감판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발광수단에 의해 입사되는 광을 투사시키는 확산판이 결합되는 사각틀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 상,하부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삽입되며, 일면에 소정의 패턴, 디자인 및 광고가 표현된 상기 장식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와 확산판의 단부를 각각 걸어서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되는 제1 및 제2 케이스로 복수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으로 나사에 의해 연결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KR1020150022145A 2015-02-13 2015-02-13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Ceased KR20160099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45A KR20160099888A (ko) 2015-02-13 2015-02-13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45A KR20160099888A (ko) 2015-02-13 2015-02-13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888A true KR20160099888A (ko) 2016-08-23

Family

ID=5687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145A Ceased KR20160099888A (ko) 2015-02-13 2015-02-13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98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918A (ko) * 2020-02-10 2020-06-25 박신애 조립식 화장실의 조명장치
KR20230082782A (ko) * 2021-12-02 2023-06-09 이경철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지지용 조립체
KR20240010563A (ko) * 2022-07-16 2024-01-23 이경철 엘이디 조명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등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918A (ko) * 2020-02-10 2020-06-25 박신애 조립식 화장실의 조명장치
KR20230082782A (ko) * 2021-12-02 2023-06-09 이경철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지지용 조립체
KR20240010563A (ko) * 2022-07-16 2024-01-23 이경철 엘이디 조명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2617B1 (en) Spherical lamp with easy heat dissipation
US20130058075A1 (en) Two-sided lamp
KR20160099888A (ko) 장식이 구비된 조명장치
JP2014120400A (ja) Led照明装置
TW201411031A (zh) 輕鋼架燈具
JP3175555U (ja) 光輪式led灯具
KR102112523B1 (ko) 조명기구
KR20140120088A (ko) 천장직착식 led조명등기구
KR100977970B1 (ko) 버튼 조명용 리플렉터 장치
KR101776004B1 (ko) 직접조명부와 간접조명부로 분할된 도광판 조명장치
KR102112521B1 (ko) 조명기구
KR20120007312U (ko) 엘이디를 이용한 다색 실내등
JP6575620B2 (ja) 照明装置
KR101806387B1 (ko) 장식 조명 기능을 갖는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
KR101822177B1 (ko) 광고 이미지의 교체가 용이하고 방습 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JP4638343B2 (ja) 照明装置
TWM495485U (zh) 用於吊扇的led燈具及具有該燈具的吊扇
KR20160089802A (ko) 엘이디 복합 조명장치
CN205480274U (zh) 一种led面板灯
KR101294376B1 (ko) 평판형 엘이디 등기구
KR200285385Y1 (ko) 조명장치가 내장된 액자
KR20140142881A (ko) Led 조명등
TWM567815U (zh) Cooling fan
CN210860845U (zh) 吊灯
CN213983143U (zh) 具有双层罩体结构的led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