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98930A - Magnetic sheet, and magnetic material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agnetic sheet, and magnetic material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930A
KR20160098930A KR1020150021207A KR20150021207A KR20160098930A KR 20160098930 A KR20160098930 A KR 20160098930A KR 1020150021207 A KR1020150021207 A KR 1020150021207A KR 20150021207 A KR20150021207 A KR 20150021207A KR 20160098930 A KR20160098930 A KR 20160098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late
flake
resin
anisotrop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진미
이종혁
김소연
배석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8930A/en
Publication of KR2016009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930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 H01F10/08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 H01F10/1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H01F10/12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eing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O)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2관능성 상호연결자가 표면의 일영역상에 도입되도록 표면개질된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크(flake);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자성필름을 적어도 2층 이상 적층하여 수득되는 자성시트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surface-modified (i.e., surface-modified) surface- A magnetic flake including plate-shaped anisotrop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which are obtained by laminating at least two layers of a magnetic film.

Description

자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자성부재{MAGNETIC SHEET, AND MAGNETIC MATERIAL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sheet and a magnetic member for wireless charging including the magnetic shee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성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충전용 자성부재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sheet and a magnetic member for wireless charging using the same.

휴대 단말기,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된 2차 전지의 충전 방법에는, 2가지 타입의 충전 방식, 즉 접촉형 충전 방식과 비접촉형(무선) 충전 방식이 있다. 접촉형 충전 방식은 수전 장치의 전극과 급전 장치의 전극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충전을 행하는 방식이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There are two types of charging methods of a secondary battery mounted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or a video camera, namely, a contact type charging method and a non-contact type (wireless) charging method. In the contact type charging system, charging is performed by bringing the electrode of the water receiving devic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feeding device.

접촉형 충전 방식은 그 장치 구조가 단순하므로 폭넓은 응용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수반하여 각종 전자 기기의 중량이 가벼워짐에 따라, 수전 장치의 전극과 급전 장치의 전극간의 접촉압이 부족하여, 충전 불량(충전 오류)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The contact type charging system has been generally us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However, as the weight of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is reduced due to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electronic apparatuses,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electrodes is insufficient to cause a charging failure (charging error).

반면, 비접촉형(무선) 충전 방식은 소형화 및 박형화를 위해, 평면 코일과 자성 시트를 사용하여 결합을 강화하는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비접촉형(무선) 충전 방식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와전류에 의해 장치 내부가 발열하게 된다. 그 결과, 큰 전력을 송신할 수 없어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non-contact type (wireless) charging method, a structure for strengthening the coupling by using the plane coil and the magnetic sheet has been proposed for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However, such a non-contact (wireless) charg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eddy current The inside of the apparatus is heat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electric power can not be transmitted and the charging time is long.

특히, 이러한 무선 충전용 방식에 적용되는 자성 시트재는 상술한 발열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성 시트재 자체의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자성 시트를 구성하는 자성 분말을 배향하여 열전도율의 향상을 꾀하기 위한 구조로서, 도 1과 같이 얇은 판형의 분말을 혼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판형의 분말이라 할지라도 바인더 수지와 혼합되어 가공되면 분말이 바인더 수지 중에 분산되므로 충분히 배향되지 않아 원하는 수준의 열전도율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Particular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agnetic sheet material itself in order to solve the heat generation problem described above. As a structure for improving the thermal conductivity by orienting the magnetic powder constituting the magnetic sheet, it has been proposed to mix a thin plate-shaped powder as shown in Fig. However, even if a plate-like powder is mixed with a binder resin, the powder is dispersed in the binder resin when the powder is mixed with the binder resin, so that it is not sufficiently oriented and a desired level of thermal conductivity can not be obtain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O)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2관능성 상호연결자가 표면의 일영역상에 도입되도록 표면개질된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크(flake);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자성필름을 적어도 2층 이상 적층하여 수득되는 자성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und having a bifunctional (meth) acrylate structure formed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N) A magnetic flake including plate-shaped anisotropic particles that are surface-modified so that the interconnector is introduced onto one region of the surface; And a magnetic sheet comprising at least two layers of a magnetic film containing a binder resi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형의 자성 분말을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형태가 되도록 박편(薄片)화 하고,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 표면의 일영역상에 선택적으로 2관능성 상호연결자(difuctional linker)가 형성되도록 표면개질된 자성 플레이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herical magnetic powder is made into a thin plate so as to be in the form of plate-shaped anisotropic particles, and a bifunctional A surface modified magnetic flake is provided to form a diffuctional linker.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으로,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O)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2관능성 상호연결자가 표면의 일영역상에 도입되도록 표면개질된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크(flake);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자성필름을 적어도 2층 이상 적층하여 수득되는 자성시트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is embodiment, a bifunctional cross-linker formed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N) or at least one oxygen atom (O) A magnetic flake comprising surface-modified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The magnetic sheet is obtained by laminating at least two layers of a magnetic film containing a binder resin.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O)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2관능성 상호연결자가 표면의 일영역상에 도입되도록 표면개질된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크(flake);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자성필름을 적어도 2층 이상 적층하여 자성시트를 구현하여, 자성 입자의 배향성을 향상시켜 높은 열전도성 및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자성필름을 수득할 수 있으며, 전자기장 차폐의 기능과 방열의 기능을 동시에 가진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bifunctional cross-linker formed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N) or at least one oxygen atom (O) is surface-modified to be introduced onto one region of the surface A magnetic flake comprising non-isotrop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are laminated on at least two layers to form a magnetic sheet to improve the orientation properties of the magnetic particles to obtain a magnetic film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product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at the same time.

도 1은 종래의 자성분말을 포함하는 자성시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자성 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개질된 자성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자성필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개질된 자성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자성필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표면개질 전의 자성 플레이크 및 표면개질된 자성 플레이크의 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개질된 자성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자성시트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7은 표면개질되지 않은 자성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자성시트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gnetic sheet including a conventional magnetic powder.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agnetic flak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gnetic film including a surface-modified magnetic flak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gnetic film including a surface-modified magnetic flak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photograph of a magnetic flake before surface modification and a surface modified magnetic flake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ig. 6 is a photograph of a magnetic sheet including a surface-modified magnetic flak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7 is a photograph of a magnetic sheet including a magnetic flake which is not surface-modifi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stitu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 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aning of each term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본 실시예는 구형의 자성 분말을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형태가 되도록 박편(薄片)화 하고,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 표면의 일영역상에 선택적으로 2관능성 상호연결자(difuctional linker)가 형성되도록 표면개질된 자성 플레이크를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pherical magnetic powder is flaked so as to have a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 shape, and a bifunctional linker is selectively formed on one area of the surface of the anisotropic particles on the plate. Thereby providing a surface-modified magnetic flake.

상기 구형의 자성 분말은 금속계의 자성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자성 분말의 구성성분으로는 철(Fe), 니켈(Ni), 코발트(Co), 망간(Mn), 알루미늄(Al), 아연(Zn), 구리(Cu), 바륨(Ba), 티타늄(Ti), 주석(Sn), 스트론튬(Sr), 텅스텐(W), 크롬(Cr), 비스무스(Bi), 리튬(Li), 이트륨(Y) 또는 카드뮴(Cd) 등의 금속 성분을 바탕으로 하여 또는 인(P), 붕소(B), 질소(N), 탄소(C) 또는 규소(Si) 등의 비금속 성분이 혼합될 수 있다. 특히 자성 분말은 철(Fe)계 합금 또는 페라이트계 합금일 수 있다. 상기 철계 합금은 자성 스테인레스(Fe-Cr-Al-Si 합금), 샌더스트(Fe-Si-Al 합금), 퍼멀로이(Fe-Ni 합금), 규소동(Fe-Cu-Si 합금), Fe-Si 합금, Fe-Si-B(-Cu-Nb) 합금, Fe-Ni-Cr-Si 합금, Fe-Si-Cr 합금, 또는 Fe-Si-Al-Ni-Cr 합금이나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pherical magnetic powder may be a metal-based magnetic powder. The magnetic powd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 Ni, Co, Mn, Al, Zn, Cu, Ba, Based on metal components such as Ti, Sn, Sr, W, Cr, Bi, Li, Y, Or a non-metallic component such as phosphorus (P), boron (B), nitrogen (N), carbon (C) or silicon (Si). In particular, the magnetic powder may be an iron (Fe) based alloy or a ferrite based alloy. (Fe-Si-Al alloy), permalloy (Fe-Ni alloy), silicon copper (Fe-Cu-Si alloy), Fe-Si Fe-Ni-Cr alloy, Fe-Si-Cr alloy, Fe-Si-Al-Ni-Cr allo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페라이트 혹은 순철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비정질 합금(Co계, Fe계, Ni계 등), 전자 연철, 및 Fe-Al계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이 산화물이거나, 일부에 산화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페라이트로는 예를 들면 Mn-Zn 페라이트, Ni-Zn 페라이트, Mn-Mg 페라이트, Mn 페라이트, Cu-Zn 페라이트, 및 Cu-Mg-Zn 페라이트 등의 소프트 페라이트, 혹은 영구 자석 재료인 하드 페라이트일 수 있다. Co계 산화물(Co-Zr-O계, Co-Pb-Al-O계 등)로서는 그래뉼러막을 사용할 수 있으며, Fe 순철 입자로서는 카르보닐 철분을 사용할 수 있다.Ferrite or pure iron particles can also be used. Amorphous alloys (Co-based, Fe-based, Ni-based and the like), electron soft iron, and Fe-Al-based alloys may be used. They may be oxides or partially oxidized structures. Examples of the ferrite include soft ferrite such as Mn-Zn ferrite, Ni-Zn ferrite, Mn-Mg ferrite, Mn ferrite, Cu-Zn ferrite and Cu-Mg-Zn ferrite, or hard ferrite which is a permanent magnet material have. As the Co-based oxide (Co-Zr-O-based, Co-Pb-Al-O-based, etc.), a granuler film may be used. As the Fe pure iron particles, carbonyl iron powder can be used.

일반적으로 상술한 자성 분말은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3차원 입체구조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성 분말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시켜 열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등방성으로 성형된 자성 분말을 사용한다. 이때, 비등방성이라함은 특성 치수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수평 단면이 단일폐곡선을 형성하는 박편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편화 구조란 자성분말의 수평 단면에서 수평방향의 최장길이가 자성분말의 두께보다 큰 입체구조로 정의한다. 따라서 비등방성의 입자는 예를 들어, 섬유(실질적으로 일-차원 형상) 또는 플레이크(실질적으로 이-차원 또는 평평한 형상), 즉 판상(板狀)의 입자이다. 이중에서도 본 실시예에서는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Generally, the above-mentioned magnetic powder is in the form of a spherical or nearly spherical three-dimensional solid structur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gnetic powder is oriented in a certain direction so as to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and uses an anisotropically shaped magnetic powder. Here, anisotropic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 dimension is not the same in all direction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section has a flap structure in which a single closed curve is formed. The flaking structure is defined a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 which the longest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magnetic powder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owder. Thus, the anisotropic particles are, for example, fibers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shape) or flakes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or flat shape), that is, plate-like particles. Of thes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are preferably used in this embodiment.

우선, 상기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자성 분말을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형태가 되도록 박편 가공을 한다. 상기 박편 가공은 일반적으로 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단조, 압연, 천공, 압출 등의 공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를 수득하는 방법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로 가공된 시판의 자성 분말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는 평균 입경(D50)에 대한 두께의 비율이 45:1 내지 230:1일 수 있다. 이는 표면개질 전의 평균 입경(D50)으로 30㎛~80㎛이며,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의 두께는 0.4㎛ 내지 1.5㎛일 수 있다.First, the spherical or spherical magnetic powder is subjected to flake processing so as to have a plate-shaped anisotropic particle form. The slab processing can be generally carried out by a method used in the industry, and among these, forging, rolling, punching, extrusion and the like can be selectively used. However, the method of obtaining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is not limited to a great extent. Further, commercially available magnetic powder processed into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may be purchased and used.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may have a ratio of the thickness to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of 45: 1 to 230: 1.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before surface modification is 30 탆 to 80 탆, and the thickness of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may be 0.4 탆 to 1.5 탆.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의 일영역상을 선택적으로 표면개질하기 전에 표면을 산화시킨다. 이때, 산화의 방법으로는 그래핀의 대표적인 산화방법으로도 알려져 있는 험머스 방법(Hummers method) 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표면을 산화시킨다.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의 표면을 산화시키는 이유는 각 플레이크들의 분산이 용이하도록 하고, 후술한 2관능성 상호연결자(difunctional linker) 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위를 형성하기 위함이다.The surface is oxidized before selectively modifying one region of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At this time, as a method of oxidation, the surface is oxidized by a general method such as a Hummers method, which is also known as a typical oxidation method of graphene. The reason for oxidizing the surface of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is to facilitate dispersion of each flakes and to form a binding site for bonding with a bifunctional linker described later.

이후, 산화된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의 표면에 알칼리 사슬 등의 2관능성 상호연결자를 도입하여 유기용매에 용해되고, 고분자 수지와 복합화가 가능한 자성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관능성 상호연결자는 고분자수지가 자성분말에 접착이 잘 되도록 하는 링커를 의미한다. 상기 2관능성 상호연결자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O)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를 포함하는 상기 2관능성 상호연결자는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EDC) 및 에틸다이아민(ethyldiamine)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O)를 포함하는 상기 2관능성 상호연결자는 다이올(diol), 다이사이클로헥실 카보다이이미드(DiCyclohexylCarbodiimide; DCC) 및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DMAP)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Thereafter, a b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alkali chain is introduced onto the surface of the oxidized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on the plate, thereby obtaining a magnetic powder which is soluble in an organic solvent and can be compounded with a polymer resin. Herein, the bifunctional interconnector means a linker that allows the polymer resin to adhere well to the magnetic powder. The bifunctional cross-linker may be formed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N) or at least one oxygen atom (O). The bifunctional cross-linker compris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Ethyl-3- (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EDC ) And ethyldiamine. ≪ / RTI > Also, the bifunctional cross-linker comprising at least one oxygen atom (O)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ol, DiCyclohexylcarbodiimide (DCC) and 4-DiMethyiminopyridine (DMAP) ≪ RTI ID = 0.0 >

이때, 상기 2관능성 상호연결자는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의 면방향 또는 둘레방향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면방향이라 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의 평평한 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F)을 의미한다. 상기 둘레방향이라 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의 면과 수평한 방향, 즉 둘레(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C)을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bifunctional interconnector may be connected to the plane direction o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The plane direction means a direction (F) perpendicular to the flat surface of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as shown in Fi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C)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that is, the circumference (side),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성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O)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2관능성 상호연결자가 표면의 일영역상에 도입되도록 표면개질된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크(flake);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자성필름을 적어도 2층 이상 적층하여 수득된다. 일예로,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나 산소원자(O)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커플링시약(Coupling reagent)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커플링 시약은 디아조늄염과 결합해서 아조 화합물을 만드는 방향족 아민과 페놀류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로는 α-나프톨, β-나프톨 및 크로모트로프산이 자주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magnetic shee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bifunctional cross-linker formed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N) or at least one oxygen atom (O) A magnetic flake including plate-shaped anisotropic particles which are surface-modified so as to form a magnetic flake; And a binder resin are laminated in at least two layers. For example,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compound having a nitrogen atom (N) or an oxygen atom (O)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coupling reagents. In this case, the coupling reagent includes aromatic amines and phenols which are combined with the diazonium salt to form an azo compound. Examples of this include α-naphthol, β-naphthol and chromotropic acid. Since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개질된 자성 플레이크(110)를 포함하는 자성필름(100)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2관능성 상호연결자 중 질소원자(N)를 포함하는 상호연결자(120)는 상기 자성 플레이크의 면방향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호연결자(120)가 자성 플레이크(110)의 평평한 면과 면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도 2의 F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자성 플레이크(110)의 평균 입경(D50)은 30㎛~100㎛ 미만일 수 있고, 두께는 0.6㎛ 내지 2.2㎛일 수 있다. 또한 겉보기 밀도는 0.4 내지 1.0일 수 있다.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gnetic film 100 including a surface-modified magnetic flak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the interconnector 120 including nitrogen atoms (N) among the bifunctional interconnectors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lane direction of the magnetic flakes. That is, the interconnector 120 is formed in the direction F in FIG. 2 so as to connect the flat surface and the surface of the magnetic flake 110. [ At this time, the average particle size (D 50 ) of the magnetic flakes 110 may be less than 30 탆 to less than 100 탆, and the thickness may be 0.6 탆 to 2.2 탆. The apparent density may also be 0.4 to 1.0.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성필름(100)은 표면에 질소원자 상호연결자(120)가 형성된 자성 플레이크(110)를 바인더 수지(130)에 혼합하여 수득될 수 있다. 바인더 수지(130)로는 자성 플레이크(110)와 균질하게 혼합될 수 있고, 자성필름(100)의 성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인더 수지(130)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의 수지를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agnetic fil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obtained by mixing the magnetic flakes 110 having the nitrogen atomic interconnection 120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into the binder resin 130. The binder resin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homogeneously mixed with the magnetic flakes 110 and has a property capable of forming the magnetic film 100. As the binder resin 130, at least one resin such as a polyvinyl alcohol resin, a silicone resin, an epoxy resin, an acrylate resin, a urethane resin, a polyamide resin or a polyimide resin may be selected and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자성 플레이크(110)와 바인더 수지(130)의 배합비는 (70 : 30) ~ (95 : 5)의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 플레이크(110)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열전도도가 떨어지고 완제품의 무선충전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반면 자성 플레이크(110)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상대적으로 바인더 수지(130)의 배합량이 적어지게 되어 가공이 곤란하고 가공하더라도 자성시트의 내구성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나아가 자성 분말 성분의 함량 증가로 인해 전자기장의 차폐효과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한 범위 내의 비율로 자성 플레이크(110)와 바인더 수지(130)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xing ratio of the magnetic flakes 110 to the binder resin 130 is preferably in a weight ratio of (70: 30) to (95: 5).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magnetic flakes 110 is too small, the thermal conductivity may be lowered and the wireless charging performance of the finished product may be deteriorated. On the other hand,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magnetic flakes 110 is too large, the amount of the binder resin 130 to be blended becomes relatively small, which makes processing difficult and durability of the magnetic sheet weakened even when processed. Further, since the shielding effect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may not be expect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content of the magnetic powder component, it is preferable to blend the magnetic flake 110 and the binder resin 130 at the ratio within the above range.

또한, 바인더 수지(130)에 통상적으로 배합되는 통상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첨가에 의해 자성 플레이크(110)와 바인더 수지(130)의 친화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첨가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함량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중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첨가제로는 실란커플링제, 소포제, 가교제 등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additives ordinarily mixed with the binder resin 130 can be added, and the affinity between the magnetic flakes 110 and the binder resin 130 is improved by the addition of the additives. When such an additive is blended, the content thereof is preferably less than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Examples of such additive include a silane coupling agent, a defoam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gent.

자성 플레이크(110) 및 바인더 수지(130)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자성필름(100)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시트 형성방법은 기판상에 레이저 증착(Laser vapor deposition, LVD), 물리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또는 화학적 증착 (chemical vapor deposition, PVD) 등으로 증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몰딩에 의한 박막 성형 방법의 예로는 조성물의 사출, 압출, 압착, 캐스팅, 블로우 몰딩 등에 의한 박막 형성 방법이 있다.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magnetic flakes 110 and the binder resin 130 may be made of the magnetic film 100 by the following method. The sheet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thin film on a substrate by laser vapor deposition (LVD),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PVD). Examples of the method of forming a thin film by molding include a method of forming a thin film by injection, extrusion, compression, casting, blow molding or the like of a composi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성필름(100)은 배향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 중에서도 압착(pressing) 방식 및 캘린더링(calendaring) 방식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압착 방식은 원하는 크기의 몰딩에 바인더 수지(130) 및 자성 플레이크(110)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압력을 가하여 얇은 시트 또는 필름 형상으로 가공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압착 방식으로 자성필름(100)을 형성할 경우 한 장씩 수득되므로, 각 낱장의 자성필름(100)을 2매 이상 적층하여 자성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캘린더링 방식은 여러 개의 가열 로울을 L형 또는 Z형 등으로 배치하여 필름 또는 시트 형상을 제조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캘린더링 방식은 여러 장의 필름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다른 방식에 비하여 생산력이 높다. 또한 캘린더링 방식에 의하여 제조되는 자성필름(100)은 필름 형성과 동시에 적층하여 자성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The magnetic fil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a pressing method and a calendaring method among them in order to improve the orientation. The pressing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apply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binder resin 130 and a magnetic flake 110 to a molding of a desired size and then applying pressure to a thin sheet or film shape. When a magnetic film 100 is formed by a pressing method, a magnetic sheet 100 can be formed by laminating two or more sheets of the magnetic films 100 of each sheet. The calendering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m or a sheet by arranging a plurality of heating rollers in an L-shape or a Z-shape. The calendering method is capable of producing a large number of films in a large quantity, which is more productive than other methods. Further, the magnetic film (100) produced by the calendering method can be laminated at the same time as the film formation to produce a magnetic sheet.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개질된 자성 플레이크(210)를 포함하는 자성필름(200)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2관능성 상호연결자 중 산소원자(O)를 포함하는 상호연결자(220)는 자성 플레이크(210)의 둘레방향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호연결자(220)가 자성 플레이크(210)의 측면의 말단부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도 2의 C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자성 플레이크(210)의 평균 입경(D50)은 50㎛~150㎛ 미만일 수 있고, 두께는 0.7㎛ 내지 3.0㎛일 수 있다. 또한 겉보기 밀도는 0.6 내지 1.3일 수 있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gnetic film 200 including a surface-modified magnetic flak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 the interconnector 220 including oxygen atoms (O) in the bifunctional interconnector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gnetic flake 210. That is, the interconnector 220 is formed in the direction C in FIG. 2 so as to connect between the distal ends of the sides of the magnetic flakes 210. At this tim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of the magnetic flakes 210 may be less than 50 μm to less than 150 μm, and the thickness may be 0.7 μm to 3.0 μm. The apparent density may also be 0.6 to 1.3.

바인더 수지(220) 및 자성필름(200)을 적층하여 제조되는 상기 자성시트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magnetic sheet produced by laminating the binder resin 220 and the magnetic film 2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o avoid redundancy.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용 자성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O)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2관능성 상호연결자가 표면의 일영역상에 도입되도록 표면개질된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크(flake);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자성필름을 적어도 2층 이상 적층하여 수득되는 자성시트를 포함한다. 판상의 비등방성 자성 입자(플레이크)를 수평방향으로 배향시킴으로써, 폭 방향의 열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전자기장의 차폐기능 및 방열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자성시트로, 무선 충전 제품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A wireless charging magnetic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is embodiment comprises a bifunctional interconnector formed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N) or at least one oxygen atom (O) A magnetic flake including plate-shaped anisotropic particles surface-modified to be introduced onto the region; And a magnetic sheet obtained by laminating at least two layers of a magnetic film containing a binder resin. It is a magnetic sheet which can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in the width direction by orienting the plate-shaped anisotropic magnetic particles (flak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urther has a shielding function and a heat dissipating fun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can do.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any sense.

[[ 실시예Example ]]

실시예Example 1 및  1 and 실시예Example 2 2

구형에 가까운 자성 분말을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형태가 되도록 박편 가공을 하여 플레이크를 제조한다.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의 표면을 험머스 방법등을 이용해 산화시키고 2관능성 상호연결자(difunctional linker) 와 결합을 유도한다. 이때, EDC, DCC, BOP, HOBt 등 coupling agent를 사용할 수 있다. Linker가 붙은 플레이크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압착방식으로 자성시트를 뽑아낸다. Flakes are processed to obtain flake-like magnetic powder in the form of plate-shaped anisotropic particles to produce flakes. The surface of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is oxidized using a Hummus method or the like to induce bonding with a difunctional linker. At this time, coupling agents such as EDC, DCC, BOP, and HOBt can be used. The binder is mixed with the flake attached to the linker, and the magnetic sheet is pulled out by the compression method.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실시예Example 3 및  3 and 실시예Example 4 4

구형에 가까운 자성 분말을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형태가 되도록 박편 가공을 하여 플레이크를 제조한다.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플레이크)의 표면을 험머스 방법등을 이용해 산화시키고 2관능성 상호연결자(difunctional linker) 와 결합을 유도한다. 이때, EDC, DCC, BOP, HOBt 등 coupling agent를 사용할 수 있다. Linker가 붙은 플레이크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압착방식으로 자성시트를 뽑아낸다. 이때 플레이크와 바인더의 혼합비를 조정하여 분말의 함량에 따른 자성시트의 전도도를 측정한다. Flakes are processed to obtain flake-like magnetic powder in the form of plate-shaped anisotropic particles to produce flakes. The surface of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flakes) is oxidized using a Hummus method or the like to induce bonding with a difunctional linker. At this time, coupling agents such as EDC, DCC, BOP, and HOBt can be used. The binder is mixed with the flake attached to the linker, and the magnetic sheet is pulled out by the compression method. 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of the flake and the binder is adjusted to measure the conductivity of the magnetic sheet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powder.

[표 2][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표면개질되지 않은 자성 플레이크를 이용하여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성시트를 제조하였다.
A magnetic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using the non-surface-modified magnetic flakes.

[평가][evaluation]

자성 플레이크의 입자 및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수득된 자성시트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하여 관찰하고, 각각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Particles of the magnetic flakes and cross sections of the magnetic sheet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observed throug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he respective thermal conductivities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3.

[표 3][Table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0, 200: 자성필름
110, 210: 자성 플레이크
120, 220: 상호연결자
130, 230: 바인더 수지
100, 200: magnetic film
110, 210: magnetic flakes
120, 220: Interconnector
130, 230: binder resin

Claims (15)

구형의 자성 분말을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형태가 되도록 박편(薄片)화 하고,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 표면의 일영역상에 선택적으로 2관능성 상호연결자(difuctional linker)가 형성되도록 표면개질된 자성 플레이크(flake).
The spherical magnetic powder is made into a flake so as to have a plate-shaped anisotropic particle form,
A magnetic flake surface-modified to selectively form a bifunctional linker on a region of the anisotropic particle surface on the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는,
평균 입경(D50)에 대한 두께의 비율이 45:1 내지 230:1인 자성 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e-like anisotropic grains are,
Wherein the ratio of the thickness to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is from 45: 1 to 230: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는,
표면개질 후에 평균 입경(D50)에 대한 두께의 비율이 40:1 내지 200:1인 자성 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e-like anisotropic grains are,
Wherein the ratio of thickness to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after surface modification is from 40: 1 to 200: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관능성 상호연결자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O)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자성 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functional interconnector comprises:
A magnetic flake formed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N) or at least one oxygen atom (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 전에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의 표면에 산화층이 형성되는 자성 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xid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before the surface modifi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형의 자성 분말은,
금속계의 자성 분말이고,
Fe, Ni, Co, Mn, Si, Al, Zn, Cu, Ba, Ti, Sn, Sr, P, B, N, C, W, Cr, Bi, Li, Y, 및 C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Fe계 합금, 또는 페라이트 분말인 자성 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herical magnetic powder is a powdery magnetic powder,
A metal-based magnetic powder,
Wherein the met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 Ni, Co, Mn, Si, Al, Zn, Cu, Ba, Ti, Sn, Sr, P, B, N, C, W, Cr, Bi, Li, Y, At least one Fe-based alloy, or a magnetic flake which is a ferrite powd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Fe계 합금은,
Fe-Cr-Al-Si 합금, Fe-Si-Al 합금, Fe-Ni 합금, Fe-Cu-Si 합금, Fe-Si 합금, Fe-Si-B(-Cu-Nb) 합금, Fe-Ni-Cr-Si 합금, Fe-Si-Cr 합금, 및 Fe-Si-Al-Ni-Cr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자성 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6,
The Fe-
Fe-Si-Al alloys, Fe-Ni alloys, Fe-Cu-Si alloys, Fe-Si alloys, Fe-Si- Cr-Si alloy, Fe-Si-Cr alloy, and Fe-Si-Al-Ni-Cr alloy.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O)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2관능성 상호연결자가 표면의 일영역상에 도입되도록 표면개질된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크(flake); 및
바인더 수지;
를 포함하는 자성필름을 적어도 2층 이상 적층하여 수득되는 자성시트.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isotropic particles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 surface-modified so that a bifunctional cross-linker formed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N) or at least one oxygen atom (O) A magnetic flake comprising; And
Binder resin;
And at least two layers of the magnetic film are laminat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2관능성 상호연결자는,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의 면방향 또는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판상의 비등방성 입자 상호간에 연결되는 자성시트.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ifunctional interconnector comprises:
Is formed in a plane direction or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plate-like anisotropic particle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중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인 자성시트.
The method of claim 8,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Wherein at least two kinds of coupling reagents are selected from the coupling reagent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중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인 자성시트.
The method of claim 8,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oxygen atom,
Wherein at least two kinds of coupling reagents are selected from the coupling reagent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자성시트.
The method of claim 8,
The binder resin may contain,
Wherein the magnetic shee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a silicone resin, an epoxy resin, an acrylate resin, a urethane resin, a polyamide resin and a polyimide resi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자성 플레이크 상기 바인더 수지의 배합비는 중량에 대하여 70:30 ~ 95:5인 자성시트.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lending ratio of the magnetic flake to the binder resin is 70:30 to 95: 5 by weigh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자성필름은,
겉보기 밀도가 0.6 내지 1.3 또는 0.4 내지 1.0인 자성시트.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magnetic film,
And an apparent density of 0.6 to 1.3 or 0.4 to 1.0.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의 자성시트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자성부재.A magnetic member for wireless charging comprising the magnetic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4.
KR1020150021207A 2015-02-11 2015-02-11 Magnetic sheet, and magnetic material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the same Withdrawn KR201600989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207A KR20160098930A (en) 2015-02-11 2015-02-11 Magnetic sheet, and magnetic material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207A KR20160098930A (en) 2015-02-11 2015-02-11 Magnetic sheet, and magnetic material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930A true KR20160098930A (en) 2016-08-19

Family

ID=5687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207A Withdrawn KR20160098930A (en) 2015-02-11 2015-02-11 Magnetic sheet, and magnetic material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893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456A (en) * 2019-01-17 2020-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lectronic parts package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5042197A1 (en) * 2023-08-21 2025-02-27 주식회사 아모센스 Magnetic-field shielding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456A (en) * 2019-01-17 2020-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lectronic parts package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5042197A1 (en) * 2023-08-21 2025-02-27 주식회사 아모센스 Magnetic-field shielding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3586B (en) Soft magnetic material,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material, powder compressed magnetic cor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magnetic core
JP5710427B2 (en) Magnetic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ic material, and inductor element using magnetic material
Lavorato et al. Size effects in bimagnetic CoO/CoFe2O4 core/shell nanoparticles
JP6495571B2 (en) Magnetic core of iron oxide and silica
Yang et al. Fe-6.5 wt% Si soft magnetic composites with significant improvement of magnetic properties by compositing nano-MnZn ferrites
EP2157586B1 (en) Sintered soft magnetic powder molded body
CN102971100B (en) Composite magnetic body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WO2008032707A1 (en) Powder magnetic core and iron-base powder for powder magnetic core
CN103314418A (en) Composite soft magnetic material having low magnetic strain and high magnetic flux density,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electromagnetic circuit component
US20140027667A1 (en) Iron cobalt ternary alloy nanoparticles with silica shells
JP2014060183A (en) Soft magnetic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447824A1 (en) Composite magnetic material producing method
JP4968519B2 (en) Permanent magn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584150A (en) Iron powder for powder magnetic core and process for producing powder magnetic core
JP2009060050A (en) High specific resistance and low loss composite soft magnetic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910153B2 (en) Superparamagnetic iron cobalt alloy and silica nanoparticles of high magnetic saturation and a magnetic core containing the nanoparticles
US9093205B2 (en)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and silica nanoparticles of high magnetic saturation and a magnetic core containing the nanoparticles
KR20160098930A (en) Magnetic sheet, and magnetic material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the same
US9831022B2 (en) Magnetic sheet and wirelessly charged magnetic member including same
JP5078932B2 (en) Powder mixture for powder magnetic core and method for producing powder magnetic core using the powder mixture
Mohseni et al. Bonded ferrite-based exchange-coupled nanocomposite magnet produced by Warm compaction
JP2970297B2 (en) High resistance magnetic shield material
US11328848B2 (en) Dust core, powder for magnetic cor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m
JP5453036B2 (en) Composite magnetic material
WO2002080202A1 (en) Composite magnetic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