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533A - Mode Control Method of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ode Control Method of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7533A KR20160097533A KR1020150019310A KR20150019310A KR20160097533A KR 20160097533 A KR20160097533 A KR 20160097533A KR 1020150019310 A KR1020150019310 A KR 1020150019310A KR 20150019310 A KR20150019310 A KR 20150019310A KR 20160097533 A KR20160097533 A KR 201600975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fecation
- patient
- processing apparatus
- pump
- m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둔부를 감싸면서 접촉되어 환자의 배변을 흡입하고 환자의 둔부를 세척하는 세정작용을 수행하는 컵유닛, 상기 컵유닛에 세정수를 공급하거나 배변을 흡수하는 배변처리장치, 상기 컵유닛과 배변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에 있어서, 배변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이후 진공펌프를 모드 종료시까지 가동하는 제2 단계와, 세척펌프를 적어도 한번 가동시키는 제3 단계와, 일정시간 대기후 세정펌프를 가동시키는 제4 단계와, 배변감지센서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이후 진공모터를 가동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e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cup unit for performing a cleaning action of contacting a patient's buttocks while inhaling a defecation of a patient and cleaning the buttocks of a patient,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cup unit to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the mod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detecting defecation; A second step of operating the vacuum pump until the mode is terminated, a third step of activating the cleaning pump at least once, a fourth step of activating the cleaning pump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 fifth step of confirming the bowel movement sensor, , And then a sixth step of operating the vacuum mo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지않고 배변 활동을 보조할 할 수 있도록 하고 배변기를 연결해서 사용함으로써 간병인의 도움 없이도 환자가 직접 배변 또는 배뇨후 플러싱하고, 인체를 세정 및 건조시킬 수 있는 배변기를 구비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에서 환자의 소변이나 대변에 대응되는 모드가 구비됨과 동시에 요실금 모드를 구비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e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defecation apparatus, which is suitably adapted to a patient's body so as to assist in defecation activities without inconvenience to the patient and to connect the defecator, The automatic defecation apparatus having a defecator capable of directly defecating or flushing after urination, and a defecator capable of cleaning and drying the human body, is provided with a mode corresponding to the urine or feces of the patient,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e control method of a new type automatic defibrillator.
중풍환자, 신체 일부 또는 전부가 마비된 환자, 신체장애인, 중환자 등과 같이 스스로 배변 또는 배뇨를 해결하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배변 또는 배뇨 등의 배설물을 처리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설물의 뒤처리는 불쾌감, 육체적 피로, 오염 또는 전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냄새 등으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자리를 비운 경우에는 배설물이 즉시 처리되지 못해서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Patients who are unable to resolve self-defecation or urination themselves, such as patients with paralysis, patients with partial or complete paralysis,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intensive care, must be handled by the caregiver or caregiver for defecation or urination. However, the post-treatment of such excrement may cause problems such as discomfort, physical fatigue, contamination or contagion, and may pollu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e to odor or the like. Furthermore, if the caregiver or caregiver is absent, the excrement can not be treated immediately, which can cause discomfort to the patient and contamina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이와 같이 고통스러운 배변 처리 작업 때문에 간병인의 인건비가 상승하여 보호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지우게 된다. 따라서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인 배변 처리 방법 또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Such painful bowel movements increase the labor costs of the caregiver and put a considerable financial burden on the caregiver.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development of a more hygienic and efficient defecation processing method or devic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국내특허 제 226079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에 누워서 배변, 배뇨를 가능하게 하는 인체에 착탈가능한 인체장착변기를 구비하는 인체장착변기부 팬티와 상기 팬티부에 연결되는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 및 수집하여 일괄처리하고 용변 부위를 세정 및 건조시키는 처리 유니트로 구성된 인체장착 변기부 배변, 배뇨 자동처리 팬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환자가 인체장착변기부 팬티를 하루 종일 입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변기로 인한 이물감으로 불편을 초래하고 냄새 또는 습기로 인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No. 226079 discloses a human-wearing toilet bowl panty having a human-wearing toilet seat which is placed on a bed and can be removed and removed from a human body, And a processing unit for discharging and collecting the excrement connected to the panty to the outside and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edible part and washing and drying the edible part, and an automatic panty for urination. However, in such a device, since the patient must wear the body-mounted toilet panty all day long, the foreign body sensation caused by the toilet may cause inconvenience, and the odor or moisture may cause unsanitary problems.
다른 종래 기술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370142호는 침대 본체의 상면 일측에 등받이와 팔걸이가 설치되고, 침대 본체의 일측면에 샤워기와 슬라이딩식 좌변기를 설치한 환자용 다기능 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침대는 워낙 고가이어서 일반인이 쉽게 구입해서 사용할 수 없고, 이러한 다용도 침대를 병원 또는 요양원 등의 시설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수만큼 구비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24시간 병상에 누워 있어야 하는 환자의 경우 변기 위에서 생활해야 하므로 냄새나 습기로 인해 불편을 겪어야 한다. 또한, 배관을 화장실 또는 욕실로 연결하기 위해 문지방을 넘거나 벽을 관통해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가 복잡하고 고비용을 요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As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70142 discloses a multifunctional bed for patients in which a backrest and an armrest are provided on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a bed body, and a shower and a sliding type toilet seat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ed body. However, such a bed is so expensive that it can not be easily purchased and used by the general public, and when such a multi-purpose bed is used in a hospital or a nursing home, the number of patients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patients who have to stay on the bed for 24 hours should live on the toilet, so they must experience discomfort due to smell or humidity. In addition, since the piping is required to be passed over the threshold or through the wall in order to connect the piping to the bathroom or the bathroom, the installation is complicated and the cost is high.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제10-1285920호(2013년07월08일)(발명의 명칭: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5920 (Jul. 08, 2013) (title of the invention: automatic treatment apparatus for feces and fece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환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지않고 배변 활동을 보조할 할 수 있도록 하고 배변기를 연결해서 사용함으로써 간병인의 도움 없이도 환자가 직접 배변 또는 배뇨후 플러싱하고, 인체를 세정 및 건조시킬 수 있는 배변기를 구비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에서 환자의 소변이나 대변에 대응되는 모드가 구비됨과 동시에 요실금 모드를 구비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patient's body so as to assist in defecation without inconvenience to the patient, The automatic defecation apparatus having a defecator capable of directly cleaning or drying the human body and flushing the defecation or urination without the assistance of the caregiver, and a mode corresponding to the urine or feces of the patient i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And to provide a mode control method of a new type automatic defibrillator capable of improving the patient's satisfa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은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de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환자의 둔부를 감싸면서 접촉되어 환자의 배변을 흡입하고 환자의 둔부를 세척하는 세정작용을 수행하는 컵유닛, 상기 컵유닛에 세정수를 공급하거나 배변을 흡수하는 배변처리장치, 상기 컵유닛과 배변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에 있어서,A cup unit for performing a cleaning action of contacting the patient's buttocks while inhaling the defecation of the patient and washing the buttocks of the patient, a defecation treatment device for supplying the cleansing water to the cup unit or absorbing defecation, And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processing apparatus to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배변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A first step of detecting defecation,
이후 진공펌프를 모드 종료시까지 가동하는 제2 단계와,A second step of operating the vacuum pump until the mode is terminated,
세척펌프를 적어도 한번 가동시키는 제3 단계와,A third step of operating the cleaning pump at least once,
일정시간 대기후 세정펌프를 가동시키는 제4 단계와,A fourth step of activating the washing pump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배변감지센서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A fifth step of checking the bowel movement detection sensor,
이후 진공모터를 가동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n a sixth step of operating the vacuum motor.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소변을 감지하는 제7 단계와,A seventh step of detecting urine,
요실금모드인지를 감지하는 제8 단계와,An eighth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incontinence mode is selected,
요실금모드인 경우 진공펌프를 가동하는 제9 단계와,A ninth step of operating the vacuum pump in the incontinence mode,
세척펌프를 가동하는 제10단계와,A tenth step of operating the cleaning pump,
상기 세척펌프 가동횟수를 판단하여 일정횟수 이상이면 세정펌프 및 세척펌프를 순차적으로 가동하는 제11 단계와,An eleventh step of sequentially operating the washing pump and the washing pump when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of the washing pump is determined and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이후 진공모터를 가동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welfth step of operating the vacuum motor thereafter.
또한 바람직하게는,Also preferably,
상기 제6 단계는 흡입과정을 통해 건조시키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ixth step is a step of drying through a suction process.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단계는Also preferably, the first step is
적외선 센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s performed by an infrared sensor.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7 단계는Also preferably, in the seventh step
염기센서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is carried out through a base senso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에 의하면, 환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지않고 배변 활동을 보조할 할 수 있도록 하고 배변기를 연결해서 사용함으로써 간병인의 도움 없이도 환자가 직접 배변 또는 배뇨후 플러싱하고, 인체를 세정 및 건조시킬 수 있는 배변기를 구비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에서 환자의 소변이나 대변에 대응되는 모드가 구비됨과 동시에 요실금 모드를 구비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d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defecation activities without being inconvenienced by the patient's body and to connect the defecator An automatic defecation apparatus having a defecator capable of directly cleaning or drying a human body and flushing after defecation or urination without the assistance of a caregiver is provided with a mode corresponding to the urine or faeces of the patien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배변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 배변처리장치와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컵유닛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서 컵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서 배변처리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에서의 배변처리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서의 배변처리장치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에서의 배변처리장치의 일부 평면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에서의 배변처리장치의 측면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에서의 컵유닛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에서의 컵유닛내에 장착되는 IR센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에서의 컵유닛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에서의 배변처리장치내에 안착되는 청수통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back portion of Fig. 4.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up unit including the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and the connecting device in Fig. 1. Fig.
Figs. 7 and 8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cup unit in Fig. 1. Fig.
FIG. 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1; FIG.
Figs. 10 to 13 are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1. Fig.
1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15 is a partial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16 and 17 are partial side marginal attempts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18 to 20 are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cup unit in Fig.
2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R sensor mounted in the cup unit in Fig.
2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up unit in Fig.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esh water reservoir which is seated in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Fig.
Fig. 2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to Fig.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대소변 처리장치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의 중복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de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uplicat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xisting waste handler will be omitted.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of such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배변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서 배변처리장치와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컵유닛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에서 컵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에서 배변처리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에서의 배변처리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에서의 배변처리장치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에서의 배변처리장치의 일부 평면사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도 1에서의 배변처리장치의 측면 일부분해사시도이고,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에서의 컵유닛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에서의 컵유닛내에 장착되는 IR센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1에서의 컵유닛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1에서의 배변처리장치내에 안착되는 청수통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defe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the rear part of Fig. 4,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up unit including the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and the connecting device in Fig. 1, and Figs. 7 and 8 are exploded views FIG. 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1, FIGS. 10 to 13 are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1, and FIG. 1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Fig. 15 is a partial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1, Figs. 16 and 17 are a side marginal trial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1, and Figs. 18 to 20 are cross- Fig. 2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2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up unit in Fig. 1,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esh water canal accommodated in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in Fig. 1,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similar to Fig.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배변 처리장치(100)는1 to 24, an automatic
자동배변 처리장치에 있어서,In a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환자의 둔부를 감싸면서 접촉되어 환자의 배변을 흡입하고 환자의 둔부를 세척하는 세정작용을 수행하는 컵유닛(20),A cup unit (20) for performing a cleaning action of contacting the patient's buttocks while inhaling the patient's bowels and washing the patient's buttocks,
상기 컵유닛(20)에 세정수를 공급하거나 배변을 흡수하는 배변처리장치(10),A
상기 컵유닛(20)과 배변처리장치(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A connecting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배변처리장치(10)는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
컵유닛(20)을 통해 환자로부터 흡입되는 오물을 물과 함께 빨아들여 보관하는 오물처리통(110),A
컵유닛(20)에 온수와 냉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청수통(120),A
상기 오물처리통(110)으로 오물을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수단,Suction means for sucking dirt into the
상기 청수통(120)을 통해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hot water and cold water through the
배변처리장치(100)의 장치의 작동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 및 배변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부를 구비한 스위칭수단,A switching means having an on / off switch for operation of the device of the
상기 스위칭수단으로부터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switching unit,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배변처리장치(10)는 힌지결합된 커버(109)를 구비하고, 저면 전방측 양측에는 회동가능한 바퀴(111-1,111-2)가 구비되어 있다. 참조부호 102는 오물처리통(110) 안착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3은 청수통(120) 안착부를 나타낸다. 상기 청수통 안착부(103) 내부는 단차가 형성된 제1 안착부(103a) 및 제2 안착부(103b)로 형성되며, 제2 안착부(103b)가 낮은 상태로 항상 일정량의 청수가 남아있게된다. 따라서 청수통(120)도 상기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에 대응되도록 제1 저면부(121) 및 제2 저면부(122)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물공급수단은 후술하는 컵유닛(20)에 세정수 및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온수 및 세정수 공급호스를 구비하며, 물공급을 위한 모터(온수 및 세정수공급용 모터) 및 온수공급장치(히터 장치등), 솔레노이드, 체크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The water supply means is provided for supplying clean water and hot water to a
참조부호 108은 터치부 LCD 패널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106은 손잡이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14는 연결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07은 전원 온/오프 버튼을 나타낸다.
상기 흡입수단은 진동모터(140) 및 흡입모터(176) 등 다수개의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데 보통 자동배변모드에서는 컵유닛(20)과 연결부재(30) 및 배변처리장치(10)간에 연결부분은 진공상태가 되도록 진공모터(140)가 작동하게 되고 세정수 및 온수는 선택적으로 공급된다.The suction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motors such as a
상기 흡입수단은 후술하는 오물처리호스(31) 및 공기공급호스(32)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를 통해 오물처리통(110)과 연결되는데, 오물처리통(110)은 초기 작동시에는 흡입작용을 하지 않다가 장치가 자동배변모드가 되면 컵유닛(20)의 배변을 처리하기 위한 준비상태로서 오물처리호스(31) 및 공기공급호스(32)와 연결호스를 통해 밀착되어 연결되도록 연결호스(161,162,163) 쪽으로 당겨지면서(모터의 작용에 의해) 밀착되게 된다. 배변처리장치(10)의 상부의 배관설치부(104)에 설치된 연결호스(161,162)가 당겨진다.
The suc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상기 컵유닛(20)은The cup unit (20)
센서부를 구비한 몸체부(210),A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10)에 결합되는 신체접촉부,를 A body contact part formed to have a 'C' shape as a whole and to be coupled to the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유닛(20)의 신체접촉부는 끝부분이 고무(RUBBER)재질로 되어있어서 환자의 둔부에 접착되더라도 손상을 주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측면에는 자바라(211)가 구비되어 환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The body contact portion of the
상기 컵유닛(20)은 몸체부(210)내에 배변이 모일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되어 세정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염기센서 및 적외선 센서가 설치되어 소변 및 대변을 감지할 수 있다.
The
상기 컵유닛(20)은 환자의 둔부를 보호하기 위해 추가로 덧대어진 안착부(240)및 쿠션부(250)가 구비된다.
The
상기 컵유닛(20)내에 장착되는 노즐 중에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수평물 분사 노즐은 물공급을 하되 환자의 신체에 직접닿지 않도록 옆으로 퍼지는 형태로 물이 분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수평물 분사노즐은 수평연결부(231), 수직몸통부(232), 중심부(233) 및 머리부(234)로 이루어지고, 상기 머리부(234)가 중심부(232)보다 더 큰 면적으로 이루어져, 중심부(233)를 통해 나온 세정수 혹은 온수가 상기 머리부(234)의 저면에 부딪히면서 양측면으로 퍼져 나가면서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Among the nozzles mounted in the
상기 연결부재(30)는The connecting member (30)
오물을 처리하는 오물처리호스(31)Sewerage are cleaning hoses (31)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호스(32)The air supply hose (32)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호스(33)The hot water supply hose (33)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호스(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washing water supply hose (34) for supplying washing water.
상기 연결부재(30)는 연결부(30a)를 통해 상기 배변처리장치(10)의 연결부(114)에 연결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배변 처리장치는The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기존의 장치와는 달리 환자의 둔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이 아닌 흡입방식으로 배변을 빨아들여 처리한다.Unlike the existing device, the patient's sucking air is supplied to the buttocks rather than the suction method.
이를 위해 진공모터(140)가 구비되어 있다.
For this purpose, a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둔부를 감싸면서 접촉되어 환자의 배변을 흡입하고 환자의 둔부를 세척하는 세정작용을 수행하는 컵유닛, 상기 컵유닛에 세정수를 공급하거나 배변을 흡수하는 배변처리장치, 상기 컵유닛과 배변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은,A cup unit for carrying out a cleaning action of wrapping the buttocks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inhale the defecation of the patient and washing the buttocks of the patient, a defecation treatment device for supplying cleansing water to the cup unit or absorbing defecation, And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cup unit and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The mod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배변을 감지하고,Detecting bowel movements,
이후 진공펌프를 모드 종료시까지 가동하고,Then, the vacuum pump is operated until the mode is terminated,
세척펌프를 적어도 한번 가동시키고,The cleaning pump is operated at least once,
일정시간 대기후 세정펌프를 가동시키고,After wai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leaning pump is operated,
배변감지센서를 확인하고,Check the bowel movement sensor,
이후 진공모터를 가동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And then actuating the vacuum motor.
즉 배변(대변감지)모드는 감지신호가 센싱되면 진공펌프가 가동되고(모드 종료시까지), 이후 세척펌프가 가동되고,(약 2초) 이후 약 10초간 대기하고 나서, 이 과정을 3회 반복한다.In the defecation mode, when the sensing signal is sensed, the vacuum pump is activated (until the end of the mode), then the cleaning pump is activated (after about 2 seconds), waiting for about 10 seconds, do.
이후에 세정펌프가 가동되고(약 25초), 처리완료시 까지 반복되며, 이후 진공모터가 약 30초간 작동된 후(건조과정) 완료된다.
Thereafter, the cleaning pump is started (about 25 seconds), and the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process is completed, after which the vacuum motor is operated for about 30 seconds (drying process).
또한, 소변을 감지하는 경우, 진공펌프가 가동되고(약 15초), 세정펌프가 가도되며(약 1초) 이후 진공모터가 약 30초간 가동된 후(건조과정) 종료된다.In addition, when the urine is detected, the vacuum pump is started (about 15 seconds), the cleaning pump is turned on (about 1 second), and the vacuum motor is operated for about 30 seconds (drying process).
한편 요실금모드인지를 감지하여, 요실금모드인 경우 진공펌프를 가동하고(약 5초), 이후 세척펌프를 가동하고(약 1초), 상기 세척펌프 가동횟수를 판단하여 (보통 설정 5회) 일정횟수 이상이면(예를 들면 6회 이상) 세정펌프 (약 2초) 및 세척펌프(약 1초)를 순차적으로 가동하고, 이후 진공모터를 가동(건조과정)한다.
Meanwhile, when the incontinence mode is selected, the vacuum pump is operated (about 5 seconds), then the washing pump is operated (about 1 second), the number of times the washing pump is operated is judged (About 2 seconds) and a cleaning pump (about 1 second) sequentially, and then the vacuum motor is operated (drying process).
본 발명에서는 종래 다른 장치와는 달리 건조과정에서 진공모터를 통해 공기를 빨아들여 환자의 피부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kin of the patient is dried by sucking air through a vacuum motor in a drying process unlike other conventional devices.
상기 배변(즉 대변)감지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수행되고, 소변은 염기센서를 통해 수행된다.
The defecation (i.e., bowel) detection is performed by an infrared sensor, and urine is performed through a base sen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배변 처리장치에 의하면,Further, according to the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환자가 자동배변모드를 설정하면, 자동으로 환자의 둔부에 장착된 컵유닛(20)을 통해 대변 및 소변을 염료감지센서와 적외선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감지신호가 전달되게 되면, 세정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세척된 세정수와 함께 대변 또는 소변을 빨아들여 오물처리호스(31)를 거쳐 오물처리통(110)에 흡입되어 보관된다.When the patient sets the automatic defecation mode, the feces and the urine are automatically detected through the dye sensor and the infrared sensor through the
또한 요실금처리모드에서는, 세정수를 통한 세척과정이 종료된 후에 소정시간 예를 들면 20내지 25초 동안 기다렸다가 아무런 신호가 없으면 모드를 종료하게 되며, 그 시간에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게 되면 다시 세정수 공급 및 배변 흡입과정을 되풀이 시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잔변이 생기는 경우에도 쉽게 배변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Also, in the incontinence treatment mode, the user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0 to 25 seconds after completion of the washing process with the washing water. When there is no signal, the mode is terminated. When urine or faeces are detected at that time, The supply and defecation inhalation process will be repea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treat defecation even when residual blood is produc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배변 처리장치에 의하면,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환자의 배변상태를 센싱하여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지않고 배변 활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배변기를 연결해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간병인의 도움 없이도 환자가 직접 배변 또는 배뇨후 신체를 세정 및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변처리장치(10)내부가 항상 다수개의 모터의 가동으로 따뜻한 상태이므로 진공상태에서 공급되는 공기도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대소변 처리장치와는 달리 흡입방식으로 대소변을 처리하게 되고 건조도 흡입방식으로 하게 되어 환자의 피부에 손상을 주지않게 된다.
According to the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ecation state of the patient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patient's body, so that the defecator can be connected and used so as to assist the defecation activity without inconvenience to the patient, Can directly clean and dry the body after defecation or uri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ior of the
환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지않고 배변 활동을 보조할 할 수 있도록 하고 배변기를 연결해서 사용함으로써 간병인의 도움 없이도 환자가 직접 배변 또는 배뇨후 플러싱하고, 인체를 세정 및 건조시킬 수 있는 배변기를 구비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에서 환자의 소변이나 대변에 대응되는 모드가 구비됨과 동시에 요실금 모드를 구비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It is designed to fit the body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 can be assisted without any inconvenience and can be used to connect with the toilet. By using the toilet, the patient can directly flush or flush after urination, A mode corresponding to the urine or faeces of the patient i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continence mode is provid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patient.
10: 배변처리장치
20: (배변처리부)컵유닛
30: 연결부재
101: 배변처리장치 몸체
102,103: 안착부
105; 힌지몸체
106: 손잡이
107: (ON/OFF) 버튼
108: 터치부 LCD 패널
109: 뚜껑
110: 오물처리통
120: 청수통
140: 진공모터
182: 전원부
210: 컵유닛 몸체
211: 자바라
214: 가이드면
221,222,223,224: 노즐
222a,223a,224a: 센서연결부
225,226: 적외선 센서
240: 안착부
250: 쿠션부(연장커버)10: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20: (defecation processing unit) Cup unit
30:
101: defecation device body
102, 103:
105; Hinge body
106: Handle
107: (ON / OFF) button
108: Touch panel LCD panel
109: Lid
110: Sewage treatment tank
120: Cheongsu Buk
140: Vacuum motor
182:
210: cup unit body
211: Bellows
214: guide face
221, 222, 223, 224:
222a, 223a, and 224a:
225,226: Infrared sensor
240:
250: Cushion part (extension cover)
Claims (5)
배변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이후 진공펌프를 모드 종료시까지 가동하는 제2 단계와,
세척펌프를 적어도 한번 가동시키는 제3 단계와,
일정시간 대기후 세정펌프를 가동시키는 제4 단계와,
배변감지센서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이후 진공모터를 가동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A cup unit for performing a cleaning action of contacting the patient's buttocks while inhaling the defecation of the patient and washing the buttocks of the patient, a defecation treatment device for supplying the cleansing water to the cup unit or absorbing defecation, And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processing apparatus to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 first step of detecting defecation,
A second step of operating the vacuum pump until the mode is terminated,
A third step of operating the cleaning pump at least once,
A fourth step of activating the washing pump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 fifth step of checking the bowel movement detection sensor,
And a sixth step of activating the vacuum motor.
소변을 감지하는 제7 단계와,
요실금모드인지를 감지하는 제8 단계와,
요실금모드인 경우 진공펌프를 가동하는 제9 단계와,
세척펌프를 가동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세척펌프 가동횟수를 판단하여 일정횟수 이상이면 세정펌프 및 세척펌프를 순차적으로 가동하는 제11 단계와,
이후 진공모터를 가동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venth step of detecting urine,
An eighth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incontinence mode is selected,
A ninth step of operating the vacuum pump in the incontinence mode,
A tenth step of operating the cleaning pump,
An eleventh step of sequentially operating the washing pump and the washing pump if the number of times the washing pump is operated is determined to be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And then activating the vacuum motor. ≪ RTI ID = 0.0 > [10] < / RTI >
상기 제6 단계는 흡입과정을 통해 건조시키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xth step is a step of drying through an inhalation process.
제 1 단계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is performed by an infrared sensor.
제 7 단계는
염기센서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venth step
Wherein the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a base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9310A KR20160097533A (en) | 2015-02-09 | 2015-02-09 | Mode Control Method of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9310A KR20160097533A (en) | 2015-02-09 | 2015-02-09 | Mode Control Method of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7533A true KR20160097533A (en) | 2016-08-18 |
Family
ID=5687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9310A Abandoned KR20160097533A (en) | 2015-02-09 | 2015-02-09 | Mode Control Method of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97533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52600A (en) * | 2018-06-16 | 2018-11-23 |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cleaning device |
JP2019178890A (en) * | 2018-03-30 | 2019-10-17 |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 Excretion sensor |
KR102434269B1 (en) * | 2021-03-26 | 2022-08-22 | 주식회사 큐라코 |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Operating Method for Faeces Treatment |
-
2015
- 2015-02-09 KR KR1020150019310A patent/KR20160097533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78890A (en) * | 2018-03-30 | 2019-10-17 |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 Excretion sensor |
CN108852600A (en) * | 2018-06-16 | 2018-11-23 |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cleaning device |
KR102434269B1 (en) * | 2021-03-26 | 2022-08-22 | 주식회사 큐라코 |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Operating Method for Faeces Treatment |
WO2022203142A1 (en) * | 2021-03-26 | 2022-09-29 | 주식회사 큐라코 | Method for operating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excrement dispos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9889B1 (en) | Cup Unit Projecting Nozzle of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 |
JP2016523170A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KR101299185B1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KR101093444B1 (en) | Excretion automatic processing device | |
KR102047781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patient's urine and feces automatically | |
KR100226079B1 (en) | Man-made toilet seat defecation, automatic disposal panties | |
KR101072842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patient's urine and feces automatically | |
KR101713547B1 (en) | Automatic excrement processing system for immobilized bedridden patient | |
KR200453814Y1 (en) | Mattress with automatic defecation treatment device | |
KR102467751B1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KR20160097533A (en) | Mode Control Method of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 |
US20070032765A1 (en) |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 |
KR200348639Y1 (en) | Mobile bedpan for patients | |
KR101052024B1 (en) | Fecal ejector | |
KR20160097531A (en) |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Having coupling pipe | |
KR20070006303A (en) | Patient mattress system with toilet | |
JP2001258956A (en) | All-purpose care bed | |
JP2014030511A (en) | Washing device | |
JP6472071B2 (en) | Cleaning device | |
KR20160097534A (en) | Automatic Excretions Remov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Warm Clean Water | |
JP2552575B2 (en) | Bed with toilet | |
KR102134871B1 (en) | Device for automatic excrement processing of bed | |
KR20200089201A (en) | Automatic Cleaning-Type Evacuation Apparatus | |
JP2003319975A (en) | Wheelchair type toilet used for care | |
JPH08289906A (en) | Bed for bedridden person and nurs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9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4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07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1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