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96775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775A
KR20160096775A KR1020150018105A KR20150018105A KR20160096775A KR 20160096775 A KR20160096775 A KR 20160096775A KR 1020150018105 A KR1020150018105 A KR 1020150018105A KR 20150018105 A KR20150018105 A KR 20150018105A KR 20160096775 A KR20160096775 A KR 20160096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guide plate
disposed
light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영
강동연
오선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6775A/ko
Priority to US14/980,005 priority patent/US9897738B2/en
Publication of KR2016009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77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02F2001/13331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도광판, 및 광원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도광판의 일 측에 배치되어 광을 도광판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유닛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정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광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과 마주하며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단차부와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장치,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전기습윤 표시장치와 같은 비자발광형 표시장치는 광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백라이트 유닛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에 대한 발광 다이오드의 위치에 따라 엣지형과 직하형으로 구분된다.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형 표시장치의 경우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도광판, 및 광원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패널 측으로 상기 광을 가이드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도광판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도광판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유닛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정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광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과 마주하며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단차부와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상기 도광판 측으로 반사하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도광판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도광판과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원, 상기 단차부 및 상기 점착부 각각이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로 제공된 광원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복수로 제공된 점착부, 및 상기 복수로 제공된 단차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의 두께는 상기 단차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단차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 및 상기 점착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된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는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는 단차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부재 및 상기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단차 보상부재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는 광 반사부 및 광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원 유닛을 수납하는 바텀샤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샤시 위에는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텀샤시는 상기 광원 유닛이 수납되는 오목부, 상기 도광판이 수납되는 바닥부, 상기 오목부를 상기 바닥부에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 위에 배치되는 광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바텀샤시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측면 발광형 광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제공하는 광원 유닛, 상기 광을 수광하여 상기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상기 광원 유닛 및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바텀샤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유닛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정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광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과 마주하며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며 상기 단차부와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상기 도광판 측으로 반사하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도광판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도광판과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는 광 반사부 및 광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샤시는 상기 광원 유닛이 수납되는 오목부, 상기 도광판이 수납되는 바닥부, 및 상기 오목부를 상기 바닥부에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경사부 위에 배치되는 광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샤시 위에는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부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도광판 측으로 반사함으로써, 광이 새어나가는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광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이 새어나감으로 인해 발생되는 핫스팟 현상이 방지되어, 백라이트 유닛은 균일한 휘도의 광을 표시 패널로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광원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절단선 I-I`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광원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10)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습윤 표시 패널(electro we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MEMS 표시 패널(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을 예로서 설명한다.
표시 패널(110)은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10)은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표시 기판(111), 표시 기판(111)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112), 및 표시 기판(111)과 대향 기판(112)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평면에서 볼 때, 표시 기판(111)의 적어도 일 측에는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칩(115)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칩(115)은 외부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110)의 데이터 라인으로 인가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외부 신호는 인쇄회로기판(113)으로부터 공급된 신호이고, 외부 신호에는 영상신호, 각종 제어신호 및 구동 전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3)은 다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114)에 의해 표시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칩(115)은 다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4) 상에 실장 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3)은 바텀샤시(130)의 측벽부(13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4)는 바텀샤시(130)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될 수 있다. 다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4)와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13)은 바텀샤시(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0)는 바텀샤시(130) 하부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113)을 보호하기 위한 쉴드 케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표시 패널(110)에 광을 제공하고, 백라이트 유닛(120)은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바텀샤시(130), 도광판(140), 광학시트들(150) 및 광원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샤시(130)는 수납부(131), 수납부(131)로부터 연장된 측벽부(132), 및 측벽부(132)로부터 수납부(131)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광원 유닛(200)을 커버하는 커버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32)은 수납부(13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텀샤시(130)는 광원 유닛(200) 및 도광판(140)을 수납하며, 수납부(131)에는 광원 유닛(200) 및 도광판(140)이 안착될 수 있다.
광학시트들(150)은 도광판(140)과 표시 패널(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시트들(150)은 도광판(140)으로부터 가이드 된 광의 경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학시트들(150)은 확산 시트(151), 프리즘 시트(152), 및 보호 시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151)는 광을 확산시키고, 프리즘 시트(152)는 확산 시트(151)에서 확산된 광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110)의 법선 방향과 가까워지도록 광을 집광할 수 있다. 보호 시트(153)는 프리즘 시트(152)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광학시트들(150)이 확산 시트(151), 프리즘 시트(152) 및 보호 시트(153)를 한 매씩 구비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광학시트들(150)은 확산 시트(151), 프리즘 시트(152), 및 보호 시트(1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복수 매 겹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의 시트가 생략될 수 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140)에 패턴 등을 형성하여, 광학시트들(150)의 기능이 도광판(140)에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광원 유닛(200)은 도광판(140)의 일 측에 배치되며, 도광판(140)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 유닛(200)은 광원(210), 인쇄회로기판(220), 반사부(230), 단차부(240), 및 점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20)에는 제1 영역(PT1) 및 제2 영역(PT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PT1) 및 제2 영역(PT2)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영역(PT2)은 도광판(140)과 중첩될 수 있고, 예컨대, 제2 영역(PT2)은 도광판(140)과 수납부(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210)은 제1 영역(PT1)에 배치되고, 반사부(230), 단차부(240) 및 점착부(250)는 제2 영역(PT2)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210)이 복수로 제공될 때, 복수로 제공된 광원(210)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단차부(240) 및 점착부(250)가 복수로 제공될 때, 복수로 제공된 단차부(240) 및 점착부(25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될 수 있다.
광원(210)은 인쇄회로기판(220) 위에 실장 되어, 인쇄회로기판(220)으로부터 구동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광원(210)은 측면 발광형 광원일 수 있다. 따라서, 광원(210)은 도광판(140)의 측면에서 인쇄회로기판(220)과 평행하게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반사부(230)는 인쇄회로기판(2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230)는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잉크 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220)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반사부(230)가 제2 영역(PT2)에만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반사부(230)는 인쇄회로기판(220) 전면적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220) 위에 광원(210)이 실장 되기 전에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잉크를 인쇄회로기판(220) 위에 인쇄하여, 반사부(230)가 인쇄회로기판(220) 전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반사부(2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단차부(240)는 광원(210)과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단차부(240)와 인접한 단차부(240) 사이의 피치는 광원(210)과 인접한 광원(210) 사이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단차부(240)는 광원(210)으로부터 출사된 광 중 인쇄회로기판(220)을 향해 출사된 광을 도광판(140)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20)과 도광판(140) 사이에 간격이 단차부(240)에 의해 메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광원(210)에서 출사된 광이 도광판(140)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광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차부(240)는 반사부(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사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단차부(240)는 반사부(230) 위에 재인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차부(240)는 반사부(230)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점착부(250)는 인쇄회로기판(220)을 도광판(140)에 부착할 수 있다. 점착부(25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220)의 제2 영역(PT2)은 도광판(14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점착부(25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 및 접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점착부(250)와 단차부(240)는 교대로 번갈아 가며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점착부(250)는 광원(210)과 광원(210) 사이의 영역과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원(210)에서 광이 출사되는 발광창(미도시)의 앞단에는 점착부(25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광원(210)에서 출광된 광이 점착부(250)가 아닌 단차부(240)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점착부(250)에 의해 광원(210)에서 출광된 광이 산란되는 문제점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입광부(IP)에서 대광부(CP)로의 광의 전달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그 결과, 백라이트 유닛(120)은 균일한 휘도의 광을 표시 패널(110)로 제공할 수 있고, 표시 장치(100)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절단선 I-I`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b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 및 도2b를 참조하면, 단차부(240)와 점착부(25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차부(240)의 두께(TN1)는 10um 내지 50um 일 수 있다. 단차부(240)의 두께(TN1)가 10um 미만일 경우, 도광판(140)과 인쇄회로기판(220) 사이의 틈으로 광이 새어나갈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패널(110)의 입광부(IP)와 대응하는 영역에서 휘도가 높게 나타나는 핫스팟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240)의 두께(TN1)가 50um를 초과할 경우, 광원(210)에서 출사되는 광이 단차부(240)에 반사되어 다시 광원(210) 측으로 진행하여 입광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단차부(240)의 두께(TN1)를 10um 내지 50um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단차부(240)의 두께(TN1)는 광원(210)의 크기나 인쇄회로기판(220)과 도광판(140) 사이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차부(240)의 두께(TN1)는 점착부(250)의 두께(TN2)보다 작을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20)으로부터 점착부(250)가 단차부(240)보다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220)이 도광판(140)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광판(140)과 광원(210)은 점착부(25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140)이 유동되거나 열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광원(210)과 도광판(140)이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광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원 유닛(200a)은 광원(210), 인쇄회로기판(220), 반사부(230), 단차부(240a), 및 점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240a)는 광 반사부(241a) 및 광 흡수부(242a)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반사부(241a)의 명도는 광 흡수부(242a)의 명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고, 광 흡수부(242a)의 명도는 광 반사부(241a)의 명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광 반사부(241a)는 광원(210)에서 출사된 광을 도광판(140)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고, 광 흡수부(242a)는 광원(210)에서 출사된 광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광원(210)의 앞단에 배치된 단차부(240a)에서 반사되는 광의 양을 광 흡수부(242a)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광이 집중되어 휘도가 높게 나타나는 핫스팟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광 반사부(241a)와 광 흡수부(242a)는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광 반사부(241a) 및 광 흡수부(242a) 각각이 스트라이프 형태로 교대로 반복 배열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광 반사부(241a) 및 광 흡수부(242a)는 격자 패턴, 도트 패턴, 및 물결 패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광 흡수부(242a)의 면적, 밀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단차부(240a)에서 반사되는 광의 량을 조절 할 수 있다. 광 흡수부(242a)는 광 반사부(241a) 위에 회색 또는 흑색의 테이프를 부착하여 제공될 수 있고, 광 반사부(241a) 위에 회색 또는 흑색의 잉크를 인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 및 도 4a를 참조하면, 바텀샤시(130) 위에는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층(RL)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텀샤시(130) 위에 반사층(RL)이 인쇄되어 반사층(RL)은 바텀샤시(130)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반사층(RL)이 수납부(131) 위에만 인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반사층(RL)은 수납부(131), 측벽부(132), 및 커버부(133)의 내면에 모두 인쇄될 수도 있다.
상기 광 반사성 물질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K, P, Mg, Li, Ca, Ge, Cr, Ag, Au, Cu, Pd, Ir, Rh, Pt, Al, Ni, Ti, W, Be, Si, Fe, 및 이들 각각의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사층(RL)은 백색을 갖는 잉크를 인쇄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백색을 갖는 잉크는 상기 기재한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TiO2 또는 SiO2 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샤시(130)의 수납부(131)는 오목부(131a), 바닥부(131b), 및 경사부(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131a)에는 광원 유닛(200)이 수납되고, 바닥부(131b)에는 도광판(140)이 수납될 수 있다. 경사부(131c)는 오목부(131a)를 바닥부(131b)에 연결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슬림화를 위해 도광판(140)의 두께는 얇게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바텀샤시(130)도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광원 유닛(200)이 실장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바텀샤시(130)에서 광원 유닛(200)이 실장되는 영역은 오목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광판(140)은 입광 효율 향상을 위해, 입광부(IP)의 두께가 대광부(CP)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140)은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경사부(131c) 위에 광 흡수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흡수 부재(300)는 오목부(131a)와 경사부(131c)가 만나는 영역을 커버하며 배치 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300)는 회색 또는 흑색의 테이프, 및 회색 또는 흑색의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300)에 의해 광원(210)에서 출사된 광 중 일부가 경사부(131c)에서 반사되어 표시 패널(110)을 향해 직접 제공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경사부(131c)에서 반사된 광이 표시 패널(110)을 향해 직접 제공되면 휘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핫스팟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부(131c)로 입사된 광이 광 흡수 부재(300)에 의해 흡수되어, 핫스팟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광판(141)과 바텀샤시(130a) 사이에 반사시트(RS)가 배치될 수 있다. 반사시트(RS)는 도광판(141)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반사하여 누설된 광을 도광판(141) 측으로 재입사시킬 수 있다.
도광판(141)과 인쇄회로기판(220) 사이에는 단차부(240)가 배치된다. 단차부(240)는 광원(210)으로부터 출사된 광 중 인쇄회로기판(220)을 향해 출사된 광을 도광판(141)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20)과 도광판(141) 사이에 간격이 단차부(240)에 의해 메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광원(210)에서 출사된 광이 도광판(141)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100a)의 광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a을 참조하여 설명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원 유닛(200b)은 광원(도 1의 210), 인쇄회로기판(220), 반사부(230), 단차부(240b), 및 점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차부(240b)는 단차 보상 부재(241b) 및 반사층(242b)을 포함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241b)는 단차부(240b)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보상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241b)는 육면체의 구조물일 수 있다. 이 경우, 단차 보상 부재(241b)는 인쇄회로기판(2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차 보상 부재(241b)는 인쇄회로기판(22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220)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단차 보상 부재(241b)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242b)은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242b)은 단차 보상 부재(241b) 위에 인쇄되어, 광원(도 1의 210)으로부터 출사된 광 중 인쇄회로기판(220)을 향해 출사된 광을 도광판(도 1의 140)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광 반사성 물질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반사층(242b)은 백색을 갖는 잉크를 인쇄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백색을 갖는 잉크는 상기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TiO2 또는 SiO2 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240b)는 광원(도 1의 210)으로부터 출사된 광 중 인쇄회로기판(220)을 향해 출사된 광을 도광판(도 1의 140)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20)과 도광판(도 1의 140) 사이에 간격이 단차부(240b)에 의해 메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광원(210)에서 출사된 광이 도광판(도 1의 140)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광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사층(242b) 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흡수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광 흡수부는 반사층(242b) 위에 회색 또는 흑색의 테이프를 부착하여 제공될 수 있고, 반사층(242b) 위에 회색 또는 흑색의 잉크를 인쇄하여 제공될 수 있다. 광 흡수부의 면적, 밀도 및 명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단차부(240b)에서 반사되는 광의 량을 조절 할 수 있다. 광원(도 1의 210)의 앞단에 배치된 단차부(240b)에서 반사되는 광의 양을 광 흡수부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광이 집중되어 휘도가 높게 나타나는 핫스팟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백라이트 유닛 130: 바텀샤시
140: 도광판 150: 광학 시트들
200: 광원 유닛 210: 광원
220: 인쇄회로기판 230: 반사부
240: 단차부 250: 점착부
300: 광 흡수 부재

Claims (18)

  1.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측으로 상기 광을 가이드 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도광판으로 제공하는 광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정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과 마주하며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 및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고, 상기 단차부와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상기 도광판 측으로 반사하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도광판에 부착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도광판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원, 상기 단차부, 및 상기 점착부 각각이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로 제공된 광원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복수로 제공된 점착부 및 상기 복수로 제공된 단차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의 두께는 상기 단차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단차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 및 상기 점착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된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단차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부재, 및 상기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상기 단차 보상부재 위에 배치된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광 반사부 및 광 흡수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원 유닛을 수납하는 바텀샤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샤시 위에는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층이 배치된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샤시는 상기 광원 유닛이 수납되는 오목부, 상기 도광판이 수납되는 바닥부, 및 상기 오목부를 상기 바닥부에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 위에 배치되는 광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바텀샤시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측면 발광형 광원인 표시 장치.
  14. 광을 제공하는 광원 유닛;
    상기 광을 수광하여 상기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상기 광원 유닛 및 상기 도광판을 수납하는 바텀샤시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 유닛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정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과 마주하며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 및
    상기 제2 영역 위에 배치되고, 상기 단차부와 교대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상기 도광판 측으로 반사하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도광판에 부착하는 백라이트 유닛.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도광판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광 반사부 및 광 흡수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샤시는 상기 광원 유닛이 수납되는 오목부, 상기 도광판이 수납되는 바닥부, 및 상기 오목부를 상기 바닥부에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 위에 배치되는 광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샤시 위에는 광 반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층이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KR1020150018105A 2015-02-05 2015-02-05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eased KR20160096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105A KR20160096775A (ko) 2015-02-05 2015-02-05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4/980,005 US9897738B2 (en) 2015-02-05 2015-12-28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105A KR20160096775A (ko) 2015-02-05 2015-02-05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775A true KR20160096775A (ko) 2016-08-17

Family

ID=5656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105A Ceased KR20160096775A (ko) 2015-02-05 2015-02-05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97738B2 (ko)
KR (1) KR201600967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6666S1 (en) * 2015-02-05 2017-01-17 Neonode Inc. Curved light guide frame
KR102509266B1 (ko) * 2015-12-15 2023-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10488705B2 (en) * 2017-04-19 2019-11-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backlit displays
US10859762B2 (en) 2018-09-10 2020-12-08 Minebea Mitsumi Inc. Planar lighting device
US20200090884A1 (en) * 2018-09-17 2020-03-19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keyboard backligh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5106B2 (ja) 2003-06-25 2009-06-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5321586A (ja) 2004-05-10 2005-11-17 Sony Corp 面光源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60035168A (ko) 2004-10-21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07250197A (ja) 2006-03-13 2007-09-27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Ledモジュール
KR100920118B1 (ko) * 2006-06-30 2009-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101517442B (zh) * 2006-09-19 2013-12-1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照明系统、照明设备和显示装置
KR101295358B1 (ko) * 2011-03-16 2013-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엘이디 모듈
JP2012226964A (ja) 2011-04-19 2012-11-15 Sharp Corp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機器
KR101908504B1 (ko) 2011-12-26 2018-1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가용성 인쇄회로 필름 구조
TWI475297B (zh) * 2012-02-10 2015-03-0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及其散熱設計
US9019444B2 (en) * 2012-03-27 2015-04-2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Edge-type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6025444B2 (ja) * 2012-08-03 2016-11-16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KR102096436B1 (ko) * 2014-02-27 2020-04-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31496A1 (en) 2016-08-11
US9897738B2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70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8810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18006254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6009677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170257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US20160062034A1 (en) Display device
KR2019003436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495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353724B2 (ja) 表示装置
JP6180312B2 (ja) Ledバックライト
KR2015000109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10117579A (ko) 액정표시장치
WO2016169173A1 (zh) 导光板、背光源和显示装置
JP6991448B2 (ja) 表示装置
US988035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ower frame having accomodation portion extended from bottom portion
KR20160067274A (ko) 표시 장치
US20200158937A1 (en) Backlight module
KR20200099219A (ko) 곡면형 표시 장치
US20120257119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9230515A1 (ja) 画像表示装置
US20190094614A1 (en) Planar illumination device
WO2012081394A1 (ja) エッジライト型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2012022863A (ja) 導光板及び表示装置
JP2011124026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JPH11176224A (ja) 面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9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3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