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887A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5887A KR20160095887A KR1020150017407A KR20150017407A KR20160095887A KR 20160095887 A KR20160095887 A KR 20160095887A KR 1020150017407 A KR1020150017407 A KR 1020150017407A KR 20150017407 A KR20150017407 A KR 20150017407A KR 20160095887 A KR20160095887 A KR 201600958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magnet
- band
- state
- magne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44C5/147—Watchcase itself used as fastener
-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된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 마그넷은, 상호 다른 극성이 대면하여(facing), 상기 제1,2 마그넷 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2 마그넷이 상호 접촉된 제1 상태와, 상호 동일한 극성이 대면하여, 상기 제1,2 마그넷 간의 척력에 의해 상기 제1, 2 마그넷이 상호 이격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와 밴드부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와 밴드부의 체결 구조를 달리하여, 본체부와 밴드부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wearable)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 타입(glass type), 와치 타입(watch type)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웨어러블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 디자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한정된 공간에 필요한 전자 소자를 배치하여야 하므로 최적화된 설계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밴드부의 체결 구조를 달리하여, 본체부와 밴드부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된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 마그넷은, 상호 다른 극성이 대면하여(facing), 상기 제1,2 마그넷 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2 마그넷이 상호 접촉된 제1 상태와, 상호 동일한 극성이 대면하여, 상기 제1,2 마그넷 간의 척력에 의해 상기 제1, 2 마그넷이 상호 이격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마그넷 극성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 변경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변경 구조체는, 외력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마그넷 극성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하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변경 구조체는, 탄성 부재와, 상기 버튼과 상기 제1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에 대한 상기 외력을 상기 탄성 부재로 전달하는 제1 연결 부재와, 내부에 상기 제1 마그넷을 수용하는 마그넷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 방향과 사각(tilt angle)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 커버에는 상기 회전 홈에 인입되는 회전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커버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 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상기 회전 돌기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제1 마그넷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커버는, 상기 외력이 해제되어,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 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상기 회전 돌기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마그넷이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연장되어 위치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에 위치하는 후크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 통전 패턴을 갖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통전 패턴과 접촉된 접점부를 갖는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넷은, 전자석이며, 상기 제1 마그넷의 극성을 변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상태 중 현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본체부와 밴드부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가 상호 체결된 제1 상태인 경우에 제1 모드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의 체결이 해제된 제2 상태인 경우에 제2 모드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의 상기 체결 및 상기 해제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에 상호 대응되도록 위치한 제1, 2 마그넷의 극성 변화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정보의 출력은, 상기 정보의 출력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극성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제1 마그넷과, 고정된 제2 마그넷을 구비하고, 구비된 마그넷들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본체부와 밴드부를 손쉽게 분리 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밴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결합부에 구비된 위치 변경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연결 부재와 마그넷 커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a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1 상태인 제1, 제2 결합부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b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2 상태인 제1, 제2 결합부의 이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제1 모드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제2 모드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이벤트 표시 시간 변화에 따른 표시 상태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중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26a, 및 도 26b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크래들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9는 크래들 내부의 구성 중 충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밴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결합부에 구비된 위치 변경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연결 부재와 마그넷 커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a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1 상태인 제1, 제2 결합부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b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2 상태인 제1, 제2 결합부의 이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제1 모드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제2 모드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이벤트 표시 시간 변화에 따른 표시 상태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중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26a, 및 도 26b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크래들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9는 크래들 내부의 구성 중 충전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전자 디바이스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전자 디바이스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의 한 종류로서 사용자의 손목에 권취하여 착용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구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와치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형상과 관련한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길이방향으로 곡면을 포함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는 밴드부(130)를 포함하며,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본체부(101)와 탈부착될 수 있다.
밴드부(130)는 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경우 곡면 형태로 형성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손목에 감겨 착용이 가능하다. 밴드부(130)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전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장부에 밴드기판(185),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254) 및 안테나(미도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의 밴드기판(185)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밴드기판(185)은 휘어지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단한 소재의 기판이 복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플렉서블 기판이 개재될 수도 있고, 밴드기판(185) 전체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기판(185)은 밴드부(130)에 실장된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254) 및 무선통신부(110) 등을 제어하는 IC(183)가 실장되고, IC(183)는 본체부(101)와 연결된 경우 본체부(101)도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254) 및 안테나(117) 등은 밴드기판(185)과 별도로 밴드부(130)에 실장될 수도 있으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기판(185)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밴드부(13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는 밴드기판(18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도 있고, 양 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밴드기판(185)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되어 있더라도, 밴드부(130)의 단부가 본체부(101)와 연결되거나, 밴드부(13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분리된 밴드기판(185)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의 밴드기판(185)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광출력부(254) 및 IC(183)가 위치하고, 외장 배터리(191)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위치할 수 있다. 타측의 밴드기판(185)에는 마이크(122), 안테나(117), IC(183) 및 내장 배터리(193)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변경 가능하며, 상기 구성 이외에 더 많은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밴드부(130) 단부에 밴드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132)이 위치하며, 본 실시예에서 슬릿(132)은 밴드부(130)의 양 단부에 하나씩 형성되며 슬릿(132)에 의해 밴드부(130)의 양 단부는 2개의 분할단부(133)로 구획된다. 상기 슬릿(132)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분할단부(133)의 개수도 증가한다.
밴드부(130)가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분할단부(133)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단부(133)는 밴드부(130)의 두께방향으로 상하로 휘어질 수 있으며, 슬릿(132)에 의해 구획된 분할단부(133)는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밴드부(130)의 단부, 즉 분할단부(133)의 측면에서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홀(134)을 더 포함한다. 본체부(101)와 체결을 위해 힌지핀(139)이 상기 체결홀(134)에 체결된다. 본체부(101)는 상기 힌지핀(139)이 관통하는 힌지홀(101b)을 포함한다.
밴드부(130)를 관통하는 힌지핀(139)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134)과 힌지홀(101b)의 내측에 위치하는 접속링(18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링(188)은 밴드부(130)의 체결홀(134) 내측에 구비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부재로 상기 접속링(188)의 단부는 밴드부(130)에 실장된 밴드기판(185)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1)는 전면에 시간 눈금과 시간을 가리키는 시침 초침등을 포함하는 시계 문자판(102)이 위치하고, 상기 밴드부(130)와 상기 힌지핀(139)을 통해 결합되는 밴드 체결부(101a)를 양측에 포함한다. 밴드 체결부(101a)는 밴드부(130)의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밴드부(130) 체결돌기와 상기 밴드부(130) 체결돌기에 형성된 힌지홀(101b)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이 삽입되어 본체부(101)와 밴드부(130)가 체결된다.
본체부(101)는 통상의 손목시계 기능만 하는 시계본체일 수 있다. 통상의 시계도 시계의 줄을 교체할 수 있도록 밴드 체결부(101a)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 체결부(101a)의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밴드부(130)를 교체할 수 있는 바, 통상의 본체부(101)에도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를 체결할 수 있다.
별도의 전자부품가 실장되지 않은 본체부(101)의 경우라도 시계 문자판(102)의 구동을 위해 배터리(192)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2)는 시계 문자판(102)의 구동에만 이용할 수 있고, 밴드부(130)에 구비된 전자 부품의 구동 및 디스플레이부(151)가 추가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동은 밴드부(130)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실장된 본체부(101)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1)는 디스플레이부(151), 제어를 위한 회로부(184)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192)를 구비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되지 않은 카메라(121)와 같은 구성이 본체부(101)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통상의 시계로 이용할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할 때에만 불투명/반투명하게 변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터치센서(125)를 더 구비하여 입력 및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1) 자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된 경우 상기 전자 부품들 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힌지홀(101b) 내측에도 접속링(188)이 구비되어 상기 접속링(188)을 통해 본체부(101) 내부의 회로부(184)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01)와 밴드부(130)가 연결됨으로써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1)에는 디스플레이 기능만 구비된 경우 밴드부(130)를 연결하면 밴드부(130)에 구비된 안테나(117)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이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화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밴드부(130)에 구비된 음향출력모듈(152)를 통해 음향정보도 함께 출력가능하다.
밴드부(130)의 단부를 통해 본체부(101)와 연결하는 것 이외에 힌지핀(139)을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앞서 도 1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NFC 모듈은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NFC 모듈은 카드 모드, 리더 모드 및 P2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기 위해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듈이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 Secure micro SD 및 스티커 등 물리적 매체일 수도 있고, 전자 디바이스에 임베디드되어 있는 논리적 매체(예컨대, embeded SE(Secure element))일 수도 있다. NFC 모듈과 보안 모듈 사이에는 SWP(Single Wire Protocol)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전통적인 IC 카드처럼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용카드 또는 버스 카드 등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요금 결제기에 근접시키면, 모바일 근거리 결제가 처리될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출입 승인기에 근접 시키면, 출입의 승인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출입카드 등의 카드는 애플릿(applet) 형태로 보안 모듈에 탑재되고, 보안 모듈은 탑재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잔액,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번호(예컨대, 사용자의 학번 또는 사번), 출입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의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가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NFC 포럼에서 정하는 데이터 교환 포맷(NFC Data Exchange Format)으로 코딩될 수 있다. 아울러, NFC 포럼에서는 4개의 레코드 타입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NFC 포럼에서는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 텍스트(Text),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일반 제어(General Control) 등 4개의 RTD(Record Type Definition)를 규정한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스마트 포스터 타입인 경우, 제어부(180)는 브라우저(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텍스트 타입인 경우, 제어부(180)는 텍스트 뷰어를 실행할 수 있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URI 타입인 경우, 제어부(180)는 브라우저를 실행하거나 전화를 걸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일반 제어 타입인 경우, 제어 내용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NFC 모듈이 P2P(Peer-to-Peer)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2P 통신에는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가 적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는 커넥션(connection)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커넥션은 1개의 패킷을 교환하고 종료되는 비접속형 모드(connectionless mode)와 연속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접속형 지향 모드(connection-oriented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P2P 통신을 통해, 전자적 형태의 명함, 연락처 정보, 디지털 사진, URL 등의 데이터 및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셋업 파라미터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다만, NFC 통신의 가용 거리는 짧으므로, P2P 모드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본체부(200)와 본체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다양한 전자기기를 내장한 메인기판을 포함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일 수 있다.
본체부(200)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수단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200)의 전면 혹은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버튼(410)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200)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밴드부(300)는 본체부(20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목 등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체부(200)와 밴드부(300)는, 사용자의 팔목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본체부(200), 및 밴드부(300)는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거나,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밴드부(300)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감길 수 있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밴드부(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플렉서블한 소재의 연결부(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본체부(200)와 밴드부(300)가 모두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본체부(200)와 밴드부(300)의 결합 및 분리 시 사용자의 손목 등을 넣거나 뺄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밴드부(300)는 사용자의 팔목 형상 및/또는 자연스럽게 구부러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합성 수지, 금속, 천연/인공 가죽 소재, 신축성이 큰 소재나 그 조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부(2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밴드부(300)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155)과 배터리(600)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55)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153)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200)의 일측, 및 밴드부(300)의 일측은 제1 결합부(400) 및 제2 결합부(5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일측은 제1 결합부(400)와 연결되고, 밴드부(300)의 일측은 제2 결합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00)의 일측단과 제2 결합부(500)의 일측단은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는 본체부(200)와 밴드부(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본체부(200)와 밴드부(300)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제2 결합부(500) 각각은 본체부(200)의 일측과 밴드부(30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본체부(200) 또는 밴드부(3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결합부(500)는 본체부(200) 또는 밴드부(300)의 일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어 그 안에 인입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결합부(400) 및 제2 결합부(500)와 연결되지 않은 본체부(200)의 타측 및 밴드부(300)의 타측은 서로 연결되어 한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200)의 일측에는 제1 결합부(400)가 연결되고, 밴드부(300)의 일측에는 제2 결합부(500)가 연결된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는 각각 제1 마그넷(450)과 제2 마그넷(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450)은 제1 결합부(400) 내에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그넷(510)은 제2 결합부(500) 내에 구비되며, 제1 결합부(400)와 대응되는 제2 결합부(500) 일측단에 하나의 극성을 갖는 부분만 노출되도록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는, 제1 결합부(400)에 구비된 제1 마그넷(450)의 위치 변경을 통해 서로 결합된 제1 상태와, 서로 분리된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상태는 제1, 2 마그넷의 서로 다른 극성이 대면(facing)하여, 제1, 2 마그넷 간의 인력에 의해 제1, 2 마그넷이 상호 접촉된 상태이다. 제2 상태는 제1, 2 마그넷의 서로 동일한 극성이 대면하여, 제1, 2 마그넷 간의 척력에 의해 제1, 2 마그넷이 상호 이격된 상태이다.
예를 들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제1 상태의 경우, 제1 결합부(400) 일측단에 노출된 제1 마그넷(450)의 극성은 S극이고 제2 결합부(500)의 일측단에 노출된 제2 마그넷(510)의 극성은 N극일 수 있다. 이때, 제1, 제2 마그넷(510)은 상호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서로 접촉된다. 외력이 작용하는 제2 상태의 경우, 제1 마그넷(450)의 위치 변경에 의해 제1 결합부(400) 일측단에 노출된 제1 마그넷(450)의 극성은 N극이고, 제2 결합부(500) 일측단에 노출된 제2 마그넷(510)의 극성은 N극으로 서로 동일해져, 상호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제1, 2 마그넷이 이격된다.
이하, 도 7을 더 참조하여, 제1, 제2 상태 변경을 위해, 제1 마그넷의 위치 변경을 가능케 하는 위치 변경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7은 제1 결합부에 구비된 위치 변경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치 변경 구조체는 제1 결합부(400)의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위치 변경 구조체는 제1 마그넷(450)을 수용하는 마그넷 커버(430), 마그넷 커버(430)와 연결되어 마그넷 커버(430)를 회전시키는 제1 연결 부재(420), 제1 연결 부재(420)와 연결되어 제1 연결 부재(420)에 외력을 전달하는 버튼(410), 및 제1 연결 부재(420)와 연결되어 제1 연결 부재(420)를 통해 버튼(410)의 외력을 전달받는 탄성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 커버(430)는 제1 결합부(400)의 일측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 커버(43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되어 제1 마그넷(450)을 수용할 수 있다. 마그넷 커버(430) 끝단에는 제1 마그넷(4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마그넷 커버 마개(4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마그넷(450)은 마그넷 커버(430)에 고정되어, 마그넷 커버(43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마그넷 커버(430)의 내주면 일측에는 내부로 돌출된 회전 돌기(43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420)는 마그넷 커버(430)의 일측에 인입되어, 제1 방향으로 선형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420)의 외주면에는 마그넷 커버(430)에 형성된 회전 돌기(430a)가 인입되는 회전 홈(420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홈(420a)은 제1 방향과 사각(tilt angle)을 이루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홈(420a)은 회전 돌기(430a)가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홈(420a)과 회전 돌기(430a)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제1 연결 부재(420)의 외주면에 회전 돌기(430a)가 형성되고, 마그넷 커버(430)의 내주면에 회전 홈(4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b와 같이, 제1 연결 부재(420)의 내주면에 회전 돌기(430a)가 형성될 수 있고, 마그넷 커버(430)의 외주면에 회전 홈(4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c와 같이, 제1 연결 부내의 내주면에 회전 홈(420a)이 형성될 수 있고, 마그넷 커버(430) 외주면에 회전 돌기(43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연결 부재(420)의 외주면에는 회전 홈(420a)이 형성되고, 마그넷 커버(430)의 내주면 일측에는 회전 돌기(430a)가 형성된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버튼(410)은 제1 연결 부재(420)의 일측에 부착된다. 버튼(410)과 제1 연결 부재(4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버튼(410)은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 결합부(4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제1 결합부(4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버튼(410)은 외력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선형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440)는 제1 연결 부재(420)와 연결되어, 버튼(410)에 작용한 외력을 제1 연결 부재(42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버튼(410)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440)의 탄성력이 제1 연결 부재(420)를 통해 버튼(410)으로 전달되어, 버튼(410)을 제1 결합부(400)의 외부로 돌출시킨다. 탄성 부재(440)는 도 7에서처럼, 마그넷 커버(43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도 9a와 같이 별도의 수납 공간(441)이 마련될 수 있고, 탄성 부재(440)는 상기 수납 공간(441) 안에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9b와 같이, 탄성 부재(440)는 마그넷 커버(430) 내부에서, 제1 연결 부재(420)의 일측단과 제1 마그넷(450)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0a 및 도 10b를 더 참조하여,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즉,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의 결합, 및 분리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도 10a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1 상태인 제1, 제2 결합부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b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2 상태인 제1, 제2 결합부의 이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가 결합되어 있는 제1 상태에서는, 버튼(4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탄성 부재(44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410)이 제1 결합부(400)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420)에 형성된 회전 홈(420a)의 일측에 마그넷 커버(430)에 형성된 회전 돌기(430a)가 위치한다. 이때, 제1 결합부(400)의 제1 마그넷(450)과 제2 결합부(500)의 제2 마그넷(51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면이 대면하도록 위치하며, 인력이 작용하여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를 분리시키기 위한 제2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버튼(410)이 가압된다(①). 버튼(4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은 제1 연결 부재(420)에 전달되며 제 1 연결 부재는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하여 마그넷 커버(430) 내측으로 더 인입된다(②). 이때, 마그넷 커버(430)에 형성된 회전 돌기(430a)는 회전 홈(420a)의 타측으로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회전 돌기(430a)가 이동하면서 마그넷 커버(430)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③). 즉, 마그넷 커버(430)는 회전 홈(420a)을 따라 가이드 되는 회전 돌기(430a)에 의하여 회전한다. 마그넷 커버(430)의 회전 운동을 통해, 마그넷 커버(430)에 고정된 제1 마그넷(450)은 그 위치가 변경된다(④). 이때, 제1 결합부(400)의 제1 마그넷(450)과 제2 결합부(500)의 제2 마그넷(510)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갖는 면이 대면하도록 위치하며, 척력이 작용하여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를 상호 분리시킨다.
버튼(410)에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버튼(410)은 탄성 부재(4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결합부(4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마그넷 커버(430)는 회전 홈(420a)을 따라 가이드 되는 회전 돌기(430a)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마그넷 커버(430)와 함께 회전하는 제1 마그넷(450)의 극성 위치가 다시 변경된다.
이에 본 발명은 버튼(410)의 가압 동작만으로 제1, 제2 결합부(500) 간의 분리가 가능하여, 별도의 추가 동작 없이 손쉽게 결합부를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1은 도 5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10)를 진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는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가 분리된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손목 등에 체결하는 제1 상태와,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체결된 전자 디바이스(100)를 분리시키기 위해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를 이격시키는 제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현 상태는 센싱부(14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가 맞닿는 지점에 구비된 근접 센서, 광 센서, 환경 센서 등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의 체결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현 상태는 자기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400)에 구비된 제1 마그넷(450)과, 제2 결합부(500)에 구비된 제2 마그넷(510) 사이의 자기력을 감지해 전자 디바이스(100)의 체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현 상태는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내부면과 사용자의 손목 등이 접촉되는 지점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의 체결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현 상태는 위치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에 각각 구비된 위치 센서들의 위치를 센싱하여, 일정 거리 근접한 경우 체결 상태로 인식하고 일정 거리 이격된 경우 분리 상태로 인식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100)의 체결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체결 여부를 판단하여(S120), 전자 디바이스(100)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30)를 진행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100)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40)를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각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 광 출력부(154) 등을 포함하는 출력부(150)를 통해 상이한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제1 모드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가 수행하는 제 1모드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손목 등에 체결되지 않았을 때 수신된 새로운 메시지 혹은 콜(call) 등을, 전자 디바이스(100) 체결 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손목 등에 체결 되지 않은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화상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비 활성화 상태에 있게 된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손목 등에 체결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어 화상 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수신되었으나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중 일 영역에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한 새로운 메시지가 있음을 아이콘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 등으로 터치 동작을 수행하여 새로운 메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등에 대응하여, 이에 상응하는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새로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메시지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가 수행하는 제 1모드는, 전자 디바이스(100) 체결 시 배터리 잔여량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배터리가 부족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자 디바이스(100) 체결 시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충전 여부를 고려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가 수행하는 제 1모드는, 전자 디바이스(100) 체결 시, 전자 디바이스(100)와, 이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0) 및/또는 기지국(1010)을 연결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손목 등에 체결 시, 곧바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0) 및/또는 기지국(1010)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가 수행하는 제 1모드는, 전자 디바이스(100) 체결 시, 연동이 가능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20, 1030)들을 서치하고, 서치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20, 1030)들과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체결된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연동이 가능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20, 1030)들을 서치한다. 다른 전자 디바이스(1020, 1030)들은 반경 범위(R1, R2) 혹은 디바이스의 종류(1020, 1030)등에 따라 구별되어 서치될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 체결 시, 연동이 가능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20, 1030)들을 서치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연동이 가능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20, 1030)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치된 다른 전자 디바이스(1020, 1030)들은, 서치 반경 범위, 전자 디바이스의 종류, 기 접속 여부 등 특정 카테고리 별로 나누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중 일 영역에 서치된 전자 디바이스(1020, 1030)들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터치 동작 등을 수행하여 서치된 전자 디바이스(1020, 1030)와의 연결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동작 등을 수행하여, 서치 된 어느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1020, 1030)와 연결 한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서치된 전자 디바이스(1020, 1030)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제2 모드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가 수행하는 제2 모드는, 전자 디바이스(100) 분리 시 배터리 잔여량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의 손목 등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를 분리시킬 때, 배터리의 충전을 유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재사용 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 분리 시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충전 여부를 고려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손목 등에서 분리 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배터리(600)를 충전할 필요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손목 등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외의 출력부(150) 즉, 음향 출력부(152), 햅틱모듈(153), 광출력부(154) 등을 통해서도, 배터리(600)를 충전할 필요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특정한 음성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손목 등 신체에서 인지할 수 있는 진동 등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가 수행하는 제2 모드는, 사용자가 통화 계속 중에 전자 디바이스(100)를 분리시키는 경우,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 시킬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와 전자 디바이스(100)가 서로 근접한 거리에 있지 않게 되기 때문에, 통화를 계속하기 위해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손목 등에서 분리 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시킬지 여부를 확인하는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가락 등으로 터치 동작을 수행하여 모드 전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등에 대응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에,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직접 접촉 혹은 근접한 거리에 있지 않고서도 통화 계속이 가능하다.
도 20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이벤트 표시 시간 변화에 따른 표시 상태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 내지 도 1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수행함에 따라 여러 이벤트가 진행된다. 제어부(180)는 이벤트에 따라 특정된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화상 정보는 당해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인식 시키기 위한 것으로, 장시간 표시 상태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조작이 없으면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상 정보 표시를 표시한 시간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체결되면(t1),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화상 정보가 표시된 이후,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별도의 입력 등을 수행하지 않으면, 일정 시간(t2) 경과 후 화상 정보 표시가 중단될 수 있다. 즉,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상 정보는 표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만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체결되면(t1),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별도의 입력 등을 수행하지 않으면, 일정 시간(t2) 경과 후 화상 정보 표시가 중단될 수 있다. 다만, 화상 정보 표시가 바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t3)을 두고 서서히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는 제1 연결 부재(420)에 연장되어 구비된 후크(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500)의 일측단에는 후크(421)와 체결이 가능한 후크 결합부(422)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422)는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4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크(421)와 체결되어 제1, 제2 결합부(400, 50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후크 구조가 포함된 위치 변경 구조체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400, 500) 사이에 더욱 견고한 결합을 가능케 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는 통전 패턴(415a)을 갖는 회전 부재(415)와, 통전 패턴(415a)과 접촉하는 접점부(460a)를 갖는 제2 연결 부재(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415)는 버튼(41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부재(415)의 일측에는 통전 패턴(41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460)는 통전 패턴(415a)과 접촉하며, 통전 패턴(415a) 및 제1 연결 부재(4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460)는 인쇄회로기판(47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460)의 일측에는 통전 패턴(415a)과 접촉되어 회전 부재(415)의 회전을 감지하는 접점부(460a)가 형성된다. 접점부(460a)는 통전 패턴(415a)을 감지하기 위해 전류가 인가되는 복수 개의 접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회전 부재(415)를 회전시키면, 접점부(460a)는 통전 패턴(415a)의 회전을 감지하여 특정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출력된 신호를 근거로 회전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회전 부재(415)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제공되는 이벤트는 회전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화상 정보를 스크롤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의 (a)를 참조하면, 제한된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 영역에 복수 개의 메뉴들을 모두 함께 표시할 수는 없기 때문에, 먼저 일부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크롤하여 다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4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회전 부재(415)를 회전 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회전 부재(415)의 회전 여부, 회전 방향, 회전량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메뉴들을 스크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전자 디바이스는 회전 부재(415)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메뉴들을 스크롤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도 25, 도 26a, 및 도 26b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25, 26a, 및 도 26b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변경 구조체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를 체결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400)에 구비된 제1 마그넷(450)은 전자석일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손목 등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부(200)의 어느 일측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23)를 조작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입력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의 분리 여부를 확인하는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동작 등을 수행하여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의 분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400)는 제1 마그넷(450), 및 제1 마그넷(450)의 극성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의 결합 상태에서, 제1 결합부(400)의 제1 마그넷(450)과 제2 결합부(500)의 제2 마그넷(510)은 상호 상이한 극성이 대면하도록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넷(450)과 제2 마그넷(510)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26a).
이때, 사용자가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터치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480)는 제1 마그넷(45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전류의 방향이 조절됨에 따라 제1 마그넷(450)의 극성은 변경된다. 이에, 제1 결합부(400)의 제1 마그넷(450)과 제2 결합부(500)의 제2 마그넷(510)은 상호 동일한 극성이 대면하도록 위치하게 되고, 제1 마그넷(450)과 제2 마그넷(510) 사이에는 서로 척력이 작용하여 상호 분리된다(도 26b).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전자 디바이스는 버튼의 가압 동작 없이, 간단한 터치 동작만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제1 결합부(400)와 제2 결합부(500)의 분리가 가능하여, 더욱 손쉽게 사용자의 손목 등으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를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크래들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거치가 가능한 크래들(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700)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디바이스(10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710)와 전자 디바이스(100)가 크래들(7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720)를 포함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크래들(700)은 인터페이스부(800), 충전 모듈(810), 무선 통신 모듈(820), 오디오 모듈(8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80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800)에 전자 디바이스(100)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충전 모듈(810)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충전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모듈(810)은 크래들(700)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8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코일(730, 731) 등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의 배터리(600)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래들(700)의 거치부(710)와 전자 디바이스(100)가 접촉하는 일부 영역이 존재한다. 상기 일부 영역에는, 크래들(700)에 구비된 제1 충전 코일(730), 및 전자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제2 충전 코일(73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충전 코일(730)은 인터페이스부(8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크래들(700)의 제1 충전 코일(730)과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2 충전 코일(731)이 상호간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이 진행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디바이스(100)를 크래들(700)에 거치하는 경우, 충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1 충전 코일(730)과 제2 충전 코일(731)은 상호 정확히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거치부(710) 외주면의 형상은 전자 디바이스(100) 내주면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통신 모듈(820)은 크래들(700)에 거치된 전자 디바이스(100) 및/또는 모바일 폰, 테블릿 PC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30)은 크래들(700)에 거치된 전자 디바이스(100) 및/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로부터 제공된 음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크래들(700)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거치가 가능하면서, 최대한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넓은 공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여, 향상된 오디오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거치된 전자 디바이스(100) 및/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부(151)에서는 해당 음성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음성 정보를 확인하고, 터치 입력 혹은 다른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원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회전 부재(460, 도 22)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 부재(460, 도 22)를 회전시킴으로써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전자 디바이스
110 : 무선 통신부
120 :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인터페이스부
170 : 메모리 180 : 제어부
190 : 전원공급부
120 :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인터페이스부
170 : 메모리 180 : 제어부
190 : 전원공급부
Claims (12)
-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된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마그넷은,
상호 다른 극성이 대면하여(facing), 상기 제1,2 마그넷 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2 마그넷이 상호 접촉된 제1 상태와,
상호 동일한 극성이 대면하여, 상기 제1,2 마그넷 간의 척력에 의해 상기 제1, 2 마그넷이 상호 이격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는 전자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마그넷 극성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 변경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변경 구조체는,
외력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 마그넷 극성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하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변경 구조체는,
탄성 부재와,
상기 버튼과 상기 제1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버튼에 대한 상기 외력을 상기 탄성 부재로 전달하는 제1 연결 부재와,
내부에 상기 제1 마그넷을 수용하는 마그넷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 방향과 사각(tilt angle)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 커버에는 상기 회전 홈에 인입되는 회전 돌기가 형성된 전자 디바이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커버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 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상기 회전 돌기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제1 마그넷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커버는,
상기 외력이 해제되어, 상기 제1 버튼과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 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상기 회전 돌기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마그넷이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연장되어 위치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 결합부에 위치하는 후크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 통전 패턴을 갖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통전 패턴과 접촉된 접점부를 갖는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넷은, 전자석이며,
상기 제1 마그넷의 극성을 변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상태 중 현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본체부와 밴드부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가 상호 체결된 제1 상태인 경우에 제1 모드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의 체결이 해제된 제2 상태인 경우에 제2 모드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의 상기 체결 및 상기 해제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밴드부에 상호 대응되도록 위치한 제1, 2 마그넷의 극성 변화에 따라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정보의 출력은,
상기 정보의 출력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에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7407A KR20160095887A (ko) | 2015-02-04 | 2015-02-04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7407A KR20160095887A (ko) | 2015-02-04 | 2015-02-04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5887A true KR20160095887A (ko) | 2016-08-12 |
Family
ID=5671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7407A Withdrawn KR20160095887A (ko) | 2015-02-04 | 2015-02-04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95887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24618A (zh) * | 2019-03-21 | 2019-06-25 | 瑞信五金(河源)有限公司 | 按底快拆伸缩针自锁表带及其手表 |
KR20200008836A (ko) * | 2018-07-17 | 2020-01-29 | 권광현 | 밴드형 골전도 헤드셋 |
EP4120031A4 (en) * | 2020-03-10 | 2023-08-23 |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
WO2024080552A1 (ko) * | 2022-10-11 | 2024-04-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결착 부재 어셈블리 및 결착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
2015
- 2015-02-04 KR KR1020150017407A patent/KR20160095887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8836A (ko) * | 2018-07-17 | 2020-01-29 | 권광현 | 밴드형 골전도 헤드셋 |
CN109924618A (zh) * | 2019-03-21 | 2019-06-25 | 瑞信五金(河源)有限公司 | 按底快拆伸缩针自锁表带及其手表 |
CN109924618B (zh) * | 2019-03-21 | 2024-04-05 | 瑞信五金(河源)有限公司 | 按底快拆伸缩针自锁表带及其手表 |
EP4120031A4 (en) * | 2020-03-10 | 2023-08-23 |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
WO2024080552A1 (ko) * | 2022-10-11 | 2024-04-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결착 부재 어셈블리 및 결착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9532B1 (ko) | 전자 디바이스 | |
US10284763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n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10628014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CN108076212B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KR20160136676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86229A (ko) | 전자디바이스 | |
KR20150101818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60095887A (ko)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102848A (ko) | 전자 디바이스 | |
KR20170011861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21132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08567A (ko) | 전자 디바이스 | |
KR20180069575A (ko) | 와치타입 단말기 | |
KR101848870B1 (ko) | 전자 디바이스 | |
KR2017003743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20170025231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09946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8000537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02975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19910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131151A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11182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51633B1 (ko) | 와치 타입 단말기 | |
KR10180862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67783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