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93640A - 유압식 텐셔너를 위한 고유량/신속 응답 디스크형 체크 밸브 - Google Patents

유압식 텐셔너를 위한 고유량/신속 응답 디스크형 체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640A
KR20160093640A KR1020167016224A KR20167016224A KR20160093640A KR 20160093640 A KR20160093640 A KR 20160093640A KR 1020167016224 A KR1020167016224 A KR 1020167016224A KR 20167016224 A KR20167016224 A KR 20167016224A KR 20160093640 A KR20160093640 A KR 20160093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sc
seats
discs
valve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더블유. 크럼프
Original Assignee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9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64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체크 밸브(30, 130, 230, 330, 430)는 하우징(132, 232, 332, 432)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하우징은,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를 갖는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 및 공동부(142, 242, 342, 442)를 통해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와 유체 연통하는 출구 통로(140, 240, 340, 440)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는,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대응하는 밸브 자리와 계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일링 표면(146, 246, 346, 446)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는,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서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위치로의 왕복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면서, 통상시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를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 쪽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유압식 텐셔너를 위한 고유량/신속 응답 디스크형 체크 밸브{HIGH FLOW AND QUICK RESPONSE DISK STYLE CHECK VALVE FOR HYDRAULIC TENSIONER}
본 발명은 체크 밸브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내연 기관에 사용되는 구동 스프로켓(sprocket) 및 적어도 하나의 피동 스프로켓을 둘러싸는 타이밍 벨트 또는 타이밍 체인과 같은 무단의 가요적인 동력 전달 부재에 적절한 장력을 가하기 위한 유압식 텐셔너(tensioner)에 관한 것이다.
엔진에 있는 체인 텐셔너는 동력 전달 체인이 복수의 스프로켓 주위를 지날 때 그 동력 전달 체인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체인의 느슨함은, 엔진의 온도가 증가하고 또한 체인이 마모됨에 따라 변하게 된다. 체인이 마모되면, 체인이 길어지고 그 체인의 느슨함이 증가하게 된다. 느슨함이 증가하면, 체인과 스프로켓 치부 사이에 소음, 미끄러짐 또는 치부 점핑이 일어날 수 있다. 체인 구동식 캠축을 갖는 엔진에서 체인의 느슨함의 증가를 예컨대 텐셔너로 막지 않으면, 미끄러짐 또는 치부 점핑 때문에 캠축 타이밍이 몇 도 어긋나기 때문에 엔진이 손상될 수 있다.
유압식 텐셔너의 성능은 체크 밸브의 두 가지 주요 기능에 기반하고 있다. 첫째, 피스톤이 연장되어 체인의 느슨함을 죌 때 오일이 체크 밸브를 관류하여 텐셔너의 고압실 안으로 유입해야 한다. 체크 밸브의 유동 제한이 너무 크면, 피스톤은 그의 연장된 길이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오일량을 갖지 못할 것이다. 둘째, 체인이 피스톤을 텐셔너 안으로 되 밀어내기 시작함에 따라, 오일은 체크 밸브 밖으로 역류하려고 한다. 이때, 오일 통로는 시일링되어 차단되어야 한다. 현재의 기술은 이 통로를 시일링하기 위해 단일 체크 밸브 볼을 이용하고 있다. 응답 시간이 너무 느리면, 피스톤을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을 형성하는 데에 더 긴 시간이 걸리게 되며 체인 제어가 문제가 된다.
유압식 텐셔너 체크 밸브가 이전에 미국 특허 제 7,404,776, 미국 특허 제 7,427,249, 및 미국 출원 공개 공보 제 2008/0261737에 개시되었다. 현재의 단일 체크 밸브 볼 기술은, 유량을 증가시키는 두 가지 방법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제 1 방법은 볼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자리와 볼 사이의 원추형 유동 영역이 증가된다. 볼 직경을 증가시키면, 볼의 질량이 또한 증가하게 되는 역효과가 생긴다. 볼의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구 구멍을 시일링하여 차단하기 위해 볼의 방향을 반대로 하는데에 걸리는 응답 시간이 또한 증가하게 된다. 유량을 증가시키는 제 2 방법은 볼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볼이 자리로부터 더 멀리 이동되게 하면, 원추형 유동 영역이 증가하게 되지만, 이는 또한 응답 시간이 증가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들 방법 중 어떤 것도 가변 유량을 제공하지 못한다.
볼 체크 밸브가 이전에 미국 특허 제 1,613,145, 미국 특허 제 2,308,876, 미국 특허 제 4,018,247, 및 미국 특허 제 4,253,524에 개시되었다. 유사하지 않은 이들 특허는 오일 웰(well)의 케이싱 스트링, 고속 가스 압축기, 및 고압 왕복동 오일 웰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들 특허 중 가장 빠른 것은 1927년에 공고되었지만, 알려져 있는 유압식 텐셔너는 타이밍 체인 또는 타이밍 벨트 어셈블리를 위한 가변적인 밸브 시일링 표면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적응의 결여는, 작고 컴팩트한 가벼운 구성으로 밸브 시일링 표면을 포함시키고 제어하는 비용 효과적인 패키지를 설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의 유압식 텐셔너는, 단일 체크 밸브 볼을 갖는 체크 밸브를 사용하여 텐셔너의 고압실 안으로 들어가는 오일의 일방향 유동을 제어한다. 어떤 텐셔너의 용례에서는 피스톤의 강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유압식 텐셔너의 성능이 개선되도록 입구 오일 통로를 시일링하기 위해 가변 유량 특성을 갖는 유압식 텐셔너를 위한 체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현재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체크 밸브는 피스톤 강성을 변화시키는 수단으로서 다른 입구 유체 압력에서 가변 유량을 얻기 위해 고유한 패턴의 크기, 허용 이동 거리, 및 편향 스프링력을 갖는 복수의 체크 밸브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더 작고 더 가벼운 체크 밸브 디스크를 사용하여, 하나의 큰 체크 밸브 볼과 동일하거나 더 큰 유량을 얻을 수 있다. 추가로, 적절한 수의 체크 밸브 디스크가 선택되면, 이 디스크의 이동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이동 거리 뿐만 아니라 각 디스크의 질량이 크게 감소되므로, 유체 입구를 시일링하여 차단하는 데에 걸리는 응답 시간이 개선된다. 복수의 디스크 체크 밸브는, 작고 컴팩트한 가벼운 구성으로 복수의 디스크를 포함시키고 제어하는 비용 효과적인 설계를 제공한다. 현재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압식 텐셔너용 체크 밸브는 체크 밸브의 내경을 통과하는 유동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 체크 밸브 디스크 또는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디스크 또는 와셔는 체크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최적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갖는 복수의 구멍에 대해 작동 가능하게 계합할 수 있다.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하우징은 복수의 입구 통로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입구 통로와 유체 연통하는 출구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체크 밸브는, 공동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입구 통로에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복수의 밸브 자리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계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밸브 시일링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는 상기 복수의 밸브 자리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에 대해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동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또한 통상시에는 상기 복수의 밸브 자리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하우징의 공동부 내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 편향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가 복수의 밸브 자리 중의 대응하는 적어도 한 밸브 자리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는 비안착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체크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면서, 통상시에는 유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를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 상기 복수의 밸브 자리 중의 대응하는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우징을 형성하여 복수의 입구 통로, 출구 통로, 및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입구 통로와 출구 통로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공동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입구 통로에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 안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는 복수의 밸브 자리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시일링 계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밸브 시일링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는 복수의 밸브 자리 중의 대응하는 적어도 한 밸브 자리에 대해 왕복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통상시에는 상기 복수의 밸브 자리 중의 대응하는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 안에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의 내부에는 각각의 편향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데, 이 편향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가 복수의 밸브 자리 중의 대응하는 적어도 한 밸브 자리로부터 떨어져 있는 비안착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유체 유동을 허용하면서, 통상시에는 유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를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 상기 복수의 밸브 자리 중의 대응하는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모드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으면 본 발명의 다른 용례가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의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몇개의 도 전체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은 각기 대체로 평평한 밸브 시일링 표면을 갖는 복수의 체크 밸브 디스크를 갖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각기 대체로 만곡된 밸브 시일링 표면을 갖는 복수의 체크 밸브 디스크를 갖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대체로 평평한 밸브 시일링 표면을 갖는 단일 체크 밸브 디스크 또는 와셔를 갖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대체로 만곡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일링 표면을 갖는 단일 체크 밸브 디스크 또는 와셔를 갖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5a 는 복수의 체크 밸브 디스크, 복수의 체크 밸브 디스크를 단일체형 밸브 부재로 되게 결합시키는 연결 부재, 및 인접한 쌍의 연결된 체크 밸브 디스크 사이에서 연결 부재의 원주 주위에 각도 이격된 위치에 있는 복수의 스프링 레버를 도시하는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5b 는 대체로 만곡된 밸브 시일링 표면을 갖는 체크 밸브 디스크의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5c 는 도 5a 에 나타나 있는 복수의 스프링 레버 중 하나의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6 은 복수의 입구 통로를 도시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의 저면도이다.
도 7 은 도 5a 및 5c 에 나타나 있는 복수의 체크 밸브 디스크, 연결 부재, 및 복수의 스프링 레버의 상면도이다.
도 8 은 복수의 구획 탭을 갖는 하우징 및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그 하우징 안에 삽입되어 있는 개별적이고 서로 별개인 복수의 체크 밸브 디스크를 도시하는 체크 밸브의 상면도로, 각각의 개별적인 체크 밸브 디스크를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 대응하는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는 서로 다른 스프링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 는 개별적이고 서로 별개인 복수의 체크 밸브 디스크의 상면도이다.
도 10 은 대체로 평평한 밸브 시일링 표면을 갖는 단일 밸브 디스크의 일 부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11 은 대체로 만곡된 밸브 시일링 표면을 갖는 단일 밸브 디스크의 일 부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12 는 대체로 평평한 밸브 시일링 표면을 갖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 중 하나의 상세 측면도이다.
도 13 은 대체로 만곡된 밸브 시일링 표면을 갖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 중 하나의 상세 측면도이다.
도 14 는 내연 기관을 위한 타이밍 체인 또는 타이밍 벨트와 같은 무단 루프형의 가요적인 동력 전달 부재를 위한 유압식 텐셔너로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 디스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식 텐셔너의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15 는 압력(psi)에 대한 유량(cc/sec)을 도시하는 그래프로, 단일 체크 밸브 디스크에 대응하는 곡선, 복수의 밸브 디스크를 갖는 고유량 체크 밸브에 대응하는 곡선, 및 개별적이고 서로 별개인 체크 밸브 디스크 중의 적어도 일부에 작용하여 서로 다른 팝오프(pop off) 압력을 허용하는 서로 다른 스프링 편향력으로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복수의 체크 밸브 디스크를 갖는 가변 유량 멀티플 디스크 체크 밸브에 대응하는 곡선이 나타나 있다.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벨트" 또는 "체인"은, 무단 루프를 형성하는 동력 전달 부재로서, 풀리 또는 스프로켓 구동면의 곡률 반경에 맞게 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료 또는 관절 연결식 강성 링크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사용시 무단 경로에서 구동되고 또한 풀리 또는 스프로켓 구동면과 접촉하여 동력을 풀리 또는 스프로켓에 전달하거나 그로부터 동력을 추출하도록 되어 있는 동력 전달 부재이다.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풀리" 또는 "스프로켓"은, 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벨트 또는 체인과의 의도된 동력 전달 계합을 하여 그 벨트 또는 체인을 무단 경로 상에서 구동시키거나 벨트 또는 체인으로부터 동력을 추출하여 출력 부하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회전 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구동면을 갖는 장치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내 롤"은,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벨트 또는 체인과의 의도된 계합을 하여 그 벨트 또는 체인을 의도된 이동 경로를 따르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주도록 회전 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벨트 또는 체인접촉 면을 갖는 장치이다. 풀리 또는 스프로켓과 구별되는 안내 롤은 구동력을 벨트 또는 체인에 제공하거나 그로부터 동력을 추출하도록 되어 있지는 않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장력 부여 아암"은 벨트 또는 체인과 계합할 수 있는, 풀리 또는 스프로과는 다른 부재인데, 이 부재는 벨트 또는 체인과 풀리 또는 스프로켓 구동면 사이에 바람직한 구동 견인력을 유지하기 위해 벨트 또는 체인에 인장 응력의 증가 또는 감소를 일으키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벨트 또는 체인의 느슨함을 죄는 방향으로 벨트 또는 체인에 대해 조정 가능하거나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안내 롤과 구별되는 장력 부여 아암은 벨트 또는 체인과 접촉하는 비회전 면부를 갖는데, 그래서 벨트 또는 체인은 장력 부여 아암의 면부 위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압식 텐셔너" 또는 "장력 구동 기구"는 장력 부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고 이 힘은 유체에 대한 힘의 작용을 통해 얻어지거나 전달된다.
이제 도 14 를 간략히 참조하면, 차량의 내연 기관용의 가요적인 무단 루프형 동력 전달 부재(12)를 위한 유압식 텐셔너(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력 전달 부재(12)는, 엔진의 크랭크 축과 같은 구동축으로 구동되는 구동 스프로켓(14) 및 엔진의 캠축과 같은 피동 축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동 스프로켓(16)을 둘러싼다. 원하는 경우 안내 롤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12)는, 화살표(18)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구동될 때, 구동 스프로켓(14)과 피동 스프로켓(16) 위를 지나가 느슨한 스트랜드(12a)와 팽팽한 스트랜드(12b)를 형성하게 된다. 동력 전달 부재(12)의 상기 느슨한 스트랜드(12a)와 팽팽한 스트랜드(12b)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력 부여 아암(20)이 위치되어 있는데, 이 아암은 동력 전달 부재(12)와 슬라이딩 계합하기 위한 슈우(shoe)를 포함하는 면 어셈블리를 갖는다. 장력 부여 아암(20)은 장력 구동 기구 또는 유압식 텐셔너(10)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응하여 피봇(2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장력 부여 아암(20)이 피봇(22) 둘레로 회전하면, 동력 전달 부재(12)에 장력이 가해져 과도한 느슨함이 제거된다. 작동시, 과도한 느슨함이 제거되도록 동력 전달 부재(12)에 대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피스톤(10b)을 장력 부여 아암(20)과 작동 계합하게 지지하기 위해 가변 유량 체크 밸브(30)가 유압식 텐셔너(10)의 고압실(10a) 내로의 유압 오일의 일방향 유동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피스톤(10b)이 동력 전달 부재(12)의 느슨함을 죄기 위해 연장될 때, 압력이 체크 밸브(30)의 밸브 디스크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 편향력을 넘어 증가함에 따라, 유압 오일이 체크 밸브(30)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자리 개구를 관류하여 텐셔너(10)의 고압실(10a)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아래에 개시되는 유압식 텐셔너(10)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대안적인 구성의 장력 부여 아암에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도시된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아니됨을 알아야 한다.
이제 도 1 ∼ 13 을 참조하면, 유압식 텐셔너(10)의 고유량/신속 응답 및/또는 가변 유량 체크 밸브(130, 230, 330, 430)에 대한 일 개량예가 도시되어 있다. 체크 밸브(130, 230, 330, 430)는 하우징(132, 232, 332, 432)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하우징은 유압 오일을 받아들이기 위한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와 출구 통로(140, 240, 340, 440) 및 내부 공동부(142, 242, 342, 442)를 형성한다. 상기 출구 통로(140, 240, 340, 440)는 내부 공동부(142, 242, 342, 442)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체크 밸브(130, 230, 330, 430)는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에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는 내부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체크 밸브(130, 230, 330, 430)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 및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일링 표면(146, 246, 346, 446)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대응하는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가고 또한 그 밸브 자리로부터 멀어지는 왕복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우징(132, 232, 332, 432)의 내부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가 또한 상기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데, 이 편향 부재는, 유체 압력의 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가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부터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대응하는 적어도 한 밸브 자리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유체 유동을 허용하면서, 통상시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를 대응하는 적어도 한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및 시일링된 안착 위치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밸브 디스크의 밸브 시일링 표면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이 상기 편향 부재의 스프링력 보다 크면, 그 유체 압력에 의해 밸브 디스크가 안착 위치로부터 비안착 위치로 이동하여, 그 밸브 디스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상기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는 스탬핑(stamping)된 판금 재료로 형성되는 판(152, 252, 352, 45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는 상기 판(152, 252, 352, 452)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판(152, 252, 352, 452)에 위치되는 대응하는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에 대해 오버몰딩되는 사출 성형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2, 232, 332, 432)은 사출 성형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상기 판(152, 252, 352, 452)에 대해 결합되면 상기 공동부(142, 242, 342, 442)를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와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250, 450)이, 서로 결합된 하우징(132, 232, 332, 432)과 판(152, 252, 352, 45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내부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32, 232, 332, 432)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출구 통로(140, 240, 340, 440)는, 적어도 하나의 판(152, 252, 352, 452)에 있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를 통해, 또한 상기 하우징(132, 232, 332, 432)과 판(152, 252, 352, 45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공동부(142, 242, 342, 442)를 통해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는 도 1 ∼ 4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감긴 압축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도 5a 및 5c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leaf) 스프링 또는 외팔보형 스프링과 같은 스탬핑된 판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유압식 텐셔너(10)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의 사용을 포함함으로써 현재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데, 각 밸브 디스크(144, 244)는 대응하는 밸브 자리(148, 248)와 계합할 수 있는 대응하는 밸브 시일링 표면(146, 246)을 갖는다. 하우징(132, 232)은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출구 통로(140, 240), 및 하우징(132, 232)과 판(152, 25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공동부(142, 24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상기 출구 통로(140, 240)는, 더욱 컴팩트한 체크 밸브 구성을 위해 공동부(142, 242) 안으로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132, 232)의 내부 표면(134, 23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원하는 경우 출구 통로(140, 240)는 도 3 및 4 와 유사하게 공동부(142, 24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는 상기 판(152, 252)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에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는 상기 판(52, 252)에 형성될 수 있고 내부 공동부(142, 24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내부 공동부(142, 242)는 또한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및 각 밸브 디스크(144, 244)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 을 참조하면,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중의 적어도 한 밸브 디스크는 대응하는 밸브 자리(148)와 시일링 계합하기 위한 평평한 시일링 표면(146)을 가질 수 있다. 도 12 는 평평한 시일링 표면(146)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의 단면을 도시하는 상세도로, 그 시일링 표면은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체크 밸브(130)에 따른 대응하는 밸브 자리(148)와 시일링 계합하기 위한 대체로 평평한 형상의 표면을 갖는다.
이제 도 2 를 참조하면, 복수의 밸브 디스크(244) 중의 적어도 한 밸브 디스크는, 대체로 만곡된 형상 또는 대체로 컵형인 형상으로 되어 있는 밸브 시일링 표면(246)을 가질 수 있다. 도 13 은 밸브 시일링 표면(246)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244)의 단면을 도시하는 상세도로, 그 밸브 시일링 표면은 대응하는 밸브 자리(248)와 시일링 계합하기 위한 대체로 만곡된 또는 대체로 컵형인 형상의 표면을 갖는다.
도 1 및 2 에 도시되어 있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에 대해 균일한 또는 독립적인 왕복 이동을 할 수 있다. 도 5a 를 참조하면, 밸브 디스크(144, 244)는, 연결 부재(154, 254)에 의해 공동부(142, 242) 내부에서의 밸브 부재들의 균일한 변위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유지되거나 구속될 수 있다. 연결 부재(154, 254)는 스탬핑된 금속 프리폼(preform)일 수 있고, 이 경우, 사출 성형 밸브 부재가 그 연결 부재에 대해 형성되며, 또는 상기 연결 부재는 일체적인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하우징(132, 232)의 공동부(142, 242) 내부에서의 동기화된 왕복 이동을 위해 상기 연결 부재와 밸브 부재는 단일체형 밸브 디스크 부재가 되도록 동시에 형성된다. 각 밸브 디스크(144, 244)는 연결 부재(154, 254)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c 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나타나 있는 체크 밸브에 있는 편향 부재(150, 250)는, 연결 부재(154, 254)와 하우징(132, 232) 사이의 편향 계합을 위해 연결 부재(154, 254)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스프링 레버(156, 256)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 부재(154, 254)를 사용하여,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에 대한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의 균일한 왕복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 레버(156, 256)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에 접하는 안착 위치 쪽으로 균일하게 편향시키고 또한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가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로부터 떨어진 비안착 위치로 균일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연결 부재(154, 254), 및 복수의 스프링 레버(156, 256)는 공동부(142, 24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7 은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연결 부재(154, 254), 및 복수의 스프링 레버(156, 256)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8 및 9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서로 별개인 복수의 개별적인 밸브 디스크(144, 244)는 하우징(132, 232)의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따로 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획화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또는 돌출되어 있는 구획 탭(tab)(158, 258)이 각 밸브 디스크(144, 244)의 독립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구획 탭(158, 258)은 덮개(132)의 일 부분 및/또는 판(152)의 일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32, 232)은 각 밸브 디스크(144, 244)에 인접하는 복수의 구획 탭(158, 258)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구획 탭(158, 258)은 하우징(132, 232) 내부에 몰딩될 수 있다. 각 구획 탭(158, 258)은 대응하는 밸브 자리(148, 248)에 대한 변위 중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안내할 수 있고 또한 대응하는 밸브 자리(148, 248)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의 왕복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탭(158, 258)은 각 밸브 디스크(144, 244)의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상시에는 각 밸브 디스크(144, 244)를 대응하는 밸브 자리(148, 248)에 접하는 안착 위치 쪽으로 편향시키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가 대응하는 밸브 자리(148, 248)로부터 떨어져 있는 비안착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해 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가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와 하우징(132, 232)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계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의 형태일 수 있다. 이 압축 스프링은 밸브 디스크(144, 244)의 표면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에 응하여 압축되어,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가 상기 대응하는 밸브 자리(148, 248)로부터 떨어져 있는 비안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 및 2 에 도시되어 있는 체크 밸브(130, 230)는 유압식 텐셔너(10) 내에서 유량 및 응답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를 시일링하기 위한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사용하여, 하나의 큰 체크 밸브 볼과 비교하여 더 큰 유량을 얻을 수 있다. 복수의 가벼운 밸브 디스크를 사용하면,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중의 대응하는 입구 통로에 대한 밸브 디스크(144, 244)의 이동에 필요한 응답 시간을 또한 줄일 수 있다. 추가로, 선택되는 밸브 디스크(144, 244)의 수에 따라, 각 밸브 디스크(144, 244)의 왕복 이동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밸브 디스크(144, 244)가 주는 이점은, 필요한 하우징(132, 232)이 더 작게 되어 컴팩트한 체크 밸브(130, 230)가 얻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제 도 3 및 4 를 참조하면, 단일 밸브 디스크(344, 444)를 사용하는 체크 밸브(330, 430)가 도시되어 있다. 단일 밸브 디스크(344, 444)는, 도 3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체로 평평한 복수의 밸브 시일링 표면(346), 또는 도 4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체로 만곡되어 있는 또는 대체로 컵형인 복수의 밸브 시일링 표면(446)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332, 432)이 제공되어 밸브 디스크(344, 444)를 에워싼다. 그 하우징(332, 432)은 복수의 입구 통로(338, 438), 출구 통로(340, 440) 및 공동부(342, 442)를 형성할 수 있다. 출구 통로(340, 440)는 공동부(342, 44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332, 432)의 내부 표면(334, 434)에 의해 형성되어, 복수의 입구 통로(338, 438)에서 나오는 유동에 대한 하우징(332, 432)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원하는 경우, 출구 통로(340, 440)는 도 1 및 2 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하게 공동부(342, 442) 안으로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복수의 입구 통로(338, 438)는 판(352, 452)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입구 통로(338, 438)에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348, 448)가 상기 판(352, 452)에 형성될 수 있고, 이 판은 하우징(332, 432)에 대해 결합되어 상기 공동부(342, 442)를 형성한다. 공동부(342, 442)는 단일 밸브 디스크(344, 444) 및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350, 450)를 수용하여 에워쌀 수 있다. 단일 밸브 디스크(344, 444)는, 일 단부에 인접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랜지 또는 와셔를 갖는 실린더의 형태로 되어 적어도 하나의 중앙 개구(360, 46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일 밸브 디스크(344)는, 도 10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일의 대체로 평평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평평한 밸브 시일링 표면(346)을 가져,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348)와 계합하여 그 밸브 자리를 시일링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일 밸브 디스크(444)는, 도 11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체로 평평한 디스크에 대체로 만곡된 또는 대체로 컵형인 복수의 상보적인 밸브 시일링 표면이 위치되어 있는 단일의 대체로 평평한 디스크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밸브 시일링 표면(446)을 가져, 대응하는 밸브 자리(448)와 계합하여 그 밸브 자리를 시일링할 수 있다. 상보적인 만곡된 표면은 대응하는 밸브 자리와의 밸브 시일링 표면 계합을 안내하기 위한 컵형 가장자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통상시에는 단일 밸브 디스크(344, 444)를 복수의 밸브 자리(348, 448)에 접하는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 쪽으로 편향시키고 또한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부터 밸브 자리(348, 448)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또는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여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350, 450)가 제공될 수 있다. 이 편향 부재(350, 450)는 단일 밸브 디스크(344, 444)와 하우징(332, 432) 사이에 계합할 수 있는 단일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단일 밸브 디스크 구성의 이점은, 하우징(332, 432)의 내경을 통해 집중되는 유동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예들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도 3 및 4 에 나타나 있는 도시된 구성은, 단일 밸브 디스크가 이 밸브 디스크 상의 중앙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중앙 개구(360, 460)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중앙 개구(360, 460)는 유동 영역을 최대화하는 어떤 형상 및 위치라도 될 수 있다.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130, 230, 330, 430)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우징(132, 232, 332, 432)을 형성하여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 출구 통로(140, 240, 340, 440) 및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와 출구 통로(140, 240, 340, 440) 사이에 위치되는 공동부(142, 242, 342, 442)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2, 232, 332, 432)은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를 금속 재료 판 내로 스탬핑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금속 재료 판을 가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판(152, 252, 352, 452)은, 금속 재료 판에 가공되어 있는 대응하는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 위에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를 몰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는, 하우징(132, 232, 332, 432)을 판(152, 252, 352, 452)에 결합하여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판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가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에 대해 왕복 이동을 할 수 있게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또한 통상시에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대응하는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시일링 계합하도록 편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와 하우징(132, 232, 332, 432) 사이에 개재되어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 4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는, 통상시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를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시키고 또한 상기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가 상기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부터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a ∼ 5c 및 도 7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연결 부재(154, 254)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연결 부재(154, 254)는 금속 재료 판으로 사출 성형되거나 스탬핑될 수 있으며, 또는 이들 사출 성형과 스탬핑의 조합도 가능하다.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는 연결 부재(154, 254)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및 연결 부재(154, 254)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공동부(142, 242)는 연결 부재(154, 254) 및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수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는 복수의 스프링 레버(156, 256)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복수의 스프링 레버(156, 256)는 스탬핑된 판금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154, 254), 복수의 스프링 레버(156, 256), 및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는 공동부(142, 242)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6, 256)는, 통상시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를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시키고 또한 상기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가 상기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부터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스탬핑된 판금 리프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및 연결 부재(154, 254)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경우, 도 1 ∼ 4 에 나타나 있는 것과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에 의해 편향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8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우징(132, 232)을 몰딩하여 복수의 구획 탭(158, 258)을 형성하고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중의 하나를 각 쌍의 서로 인접하는 구획 탭(158, 258) 사이에 개재되게 공동부(142, 242) 안으로 삽입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별적이고 서로 별개인 밸브 디스크(144, 244)를 공동부(142, 242)의 내부에 결합함으로써, 각 밸브 디스크(144, 244)가 하우징(132, 232)의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탭(158, 258)은, 각 밸브 디스크에 대해 선택된 다를 수 있는 스프링력에 따라 각 밸브 디스크의 왕복 이동이 변할 수 있게 하면서, 개별적이고 서로 별개인 밸브 디스크(144, 244)의 서로에 대한 그리고 대응하는 밸브 자리에 대한 독립적인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서로 다른 스프링력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경우 점진적인 밸브 디스크 작동을 제공하여 체크 밸브(130, 230)의 특정 용도에 맞게 유체 유동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작동시,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130, 230, 330, 430)는 유압식 텐셔너(10)의 고압실(10a) 안으로 들어가는 유압 오일의 일방향 유동을 제어한다. 체크 밸브(130, 230, 330, 430)는 가변 유량을 제공하여 유압식 텐셔너(10)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유압식 텐셔너(10)의 성능은 체크 밸브(130, 230, 330, 430)의 두 가지 주요 기능에 기반할 수 있다. 첫째, 피스톤(10b)이 연장되어 동력 전달 부재(12)에서의 체인의 느슨함을 죌 때 오일이 체크 밸브(130, 230, 330, 430)를 통과해 텐셔너(10)의 고압실(10a) 안으로 유입해야 한다. 체크 밸브(130, 230, 330, 430)의 유동 제한이 너무 크면, 피스톤(10b)은 연장된 길이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오일량을 갖지 못할 것이다. 둘째, 동력 전달 부재(12)의 체인이 피스톤(10b)을 유압식 텐셔너(10) 안으로 되 밀어내기 시작할 때, 오일은 체크 밸브(130, 230, 330, 430) 밖으로 역류하려고 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는,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에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에 접하게 역순으로 다시 안착 위치로 이동하여 복수의 오일 입구 통로(138, 238, 338, 438)를 시일링하여 차단해야 한다.
작동시,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의 사용으로 가변 유량을 제공하여, 단일 볼 체크 밸브 구성의 결점을 극복할 수 있다. 더 작고 더 가벼운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사용하여, 하나의 큰 체크 밸브 볼과 동일하거나 더 큰 유량을 얻을 수 있다. 추가로, 밸브 디스크(144, 244)의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이동 거리 뿐만 아니라 각 밸브 디스크(144, 244)의 질량도 크게 감소되므로,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를 시일링하여 차단하기 위한 응답 시간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고 컴팩트한 가벼운 구성의 체크 밸브(130, 230)에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포함시키고 제어하는 비용 효과적인 설계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디스크 크기, 다른 허용 디스크 이동 거리 및 다른 디스크 편향력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유체 유동 특성들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체 유동 특성을 갖는 밸브 디스크(144, 244) 중 적어도 2개의 밸브 디스크를 제공하여 가변 유량을 얻을 수 있다. 이들 특성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의 허용 가능한 조합으로 다를 수 있다. 예들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체 유동 특성은, 서로 다른 밸브 디스크 크기 또는 직경을 갖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중 적어도 2개의 밸브 디스크; 또는 서로 다른 허용 밸브 디스크 이동 거리를 갖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중 적어도 2개의 밸브 디스크; 또는 서로 다른 편향력이 가해지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중 적어도 2개의 밸브 디스크; 또는 조합으로, 서로 다른 크기 및 서로 다른 허용 이동 거리를 갖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중 적어도 2개의 밸브 디스크; 또한 조합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서로 다른 편향력이 가해지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중 적어도 2개의 밸브 디스크; 또는 조합으로, 서로 다른 허용 이동 거리를 가지며 서로 다른 편향력이 가해지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중 적어도 2개의 밸브 디스크; 또는 조합으로, 서로 다른 크기, 서로 다른 허용 이동 거리를 가지며 또한 서로 다른 편향력이 가해지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중 적어도 2개의 밸브 디스크를 포함한다. 이들 특성 또는 파라미터를 개별적으로 또한 허용 가능한 조합으로 변화시켜, 서로 다른 유량 - 압력 특성을 갖는 많은 수의 곡선을 생성하여, 특정 용도의 설계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5 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그래프는 단일 볼 체크 밸브(곡선 102), 고유량/신속 응답 다중 디스크 체크 밸브(균일한 디스크 크기와 균일한 디스크 이동 거리를 가지며 균일한 편향력이 가해지는 3개의 디스크를 가짐)(곡선 104), 및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유량 다중 디스크 체크 밸브(균일하지 않은 크기 및/또는 균일하지 않은 이동 거리를 가지며 그리고/또는 균일하지 않은 편향력이 가해지는 적어도 2개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가짐)(곡선 100)에 대해 압력(psi)에 대한 유량(cc/sec)을 비교한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유량 - 압력 그래프 곡선은, 선택되는 밸브 디스크(144, 244)의 수, 각 밸브 디스크(144, 244)에 대해 선택되는 디스크 크기, 각 디스크에 대해 선택되는 허용 디스크 이동 거리, 및 각 밸브 디스크(144, 244)에 대해 선택되는 가해질 편향력에 따라, 나타나 있는 곡선과 다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도 15 에서 곡선 100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밸브 디스크(144, 244)는 고유의 유동 특성을 갖고서 다른 압력에서 팝오프(pop-off)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시, 가변 유량을 제공하기 위해 와셔로서 단일 밸브 디스크(344, 444)를 사용해서도, 단일 볼 체크 밸브 구성의 결점을 극복할 수 있다. 와셔 구성의 이점은, 하우징(332, 432)의 내경을 통과하는 유동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작고 컴팩트하며 가벼운 구성의 체크 밸브(330, 430) 안에 단일 밸브 디스크(344, 444)를 포함시켜 제어하는 비용 효과적인 설계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 형태라고 생각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첨부된 청구 범위의 요지와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과 등가 구성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청구 범위는 법령하에서 허용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모든 수정과 등가 구성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130, 230, 330, 430)로서,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를 갖는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 및 공동부(142, 242, 342, 442)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와 유체 연통하는 출구 통로(140, 240, 340, 440)를 형성하는 하우징(132, 232, 332, 432);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계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일링 표면(146, 246, 346, 446)을 가지며,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에 대해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상기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수용되고 또한 통상시에는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가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4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위치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를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를 포함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344)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일링 표면(146, 346)은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3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시일링 계합할 수 있는 평평한 시일링 표면(146, 346)을 더 포함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130, 33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244, 444)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일링 표면(246, 446)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244, 44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2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시일링 계합할 수 있는 만곡된 밸브 시일링 표면(246, 446)을 더 포함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230, 43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344)는, 단일의 대체로 평평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밸브 시일링 표면(346)을 갖는 단일 밸브 디스크(3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시일링 표면(346) 각각은 평평하고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3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시일링 계합할 수 있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33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444)는, 단일의 대체로 평평한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밸브 시일링 표면(446)을 갖는 단일 밸브 디스크(4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 시일링 표면(446)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444)로부터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밸브 자리(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시일링 계합할 수 있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43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더 포함하고, 이 밸브 디스크(144, 244)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시일링 계합할 수 있는 대응하는 밸브 시일링 표면(146, 246)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중의 적어도 2개는 서로에 대해 다른 유체 유동 특성을 가지며, 이 다른 유체 유동 특성은, 서로 다른 밸브 디스크 크기, 서로 다른 허용 밸브 디스크 이동 거리, 서로 다른 밸브 디스크 편향력,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130, 230).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상기 하우징(132, 232)의 공동부(142, 242) 내부에서의 동기화된 왕복 이동을 위해 상기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단일체형 밸브 디스크 부재로 되게 결합하는 연결 부재(150, 250); 및
    상기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쪽으로 편향시키고 또한 상기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위치로의 동기화된 왕복 이동을 허용하여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6, 256)를 더 포함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130, 230).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및
    인접하는 밸브 디스크(144, 24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공동부(142, 242)의 내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구획 탭(tab)(158, 258)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 탭(158, 258)은,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에 대한 왕복 이동 중에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공동부(142, 242)를 구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구획 탭은,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가 상기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위치로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130, 23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2, 232, 332, 432)은,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를 갖는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152, 252, 352, 45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포함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130, 230, 330, 43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와 하우징(132, 232, 332, 432)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계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를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시키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가 상기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위치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130, 230, 330, 430).
  11.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130, 230, 330, 43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를 갖는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 및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공동부(142, 242, 342, 442)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와 유체 연통하는 출구 통로(140, 240, 340, 440)를 갖는 하우징(132, 232, 332, 432)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계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일링 표면(146, 246, 346, 446)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를,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에 대해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상기 공동부(142, 242, 342, 442) 안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132, 232, 332, 432)과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를 편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가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위치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를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가압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위치시키고,
    상기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중 적어도 2개의 밸브 디스크가 서로에 대해 다른 유체 유동 특성을 갖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 사이에 서로 다른 유체 유동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유체 유동 특성은, 서로 다른 밸브 디스크 크기, 서로 다른 허용 밸브 디스크 이동 거리, 서로 다른 밸브 디스크 편향력,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금속 재료 판을 가공하여 상기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및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132, 232)을 형성하여 출구 통로(140, 24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132, 232)을 가공된 상기 금속 재료 판에 대해 결합하여 그 하우징과 금속 재료 판 사이에 공동부(142, 242)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위치시키고,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와 비안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에 대한 동기화된 왕복 이동을 가능하게 해주어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연결 부재(154, 254)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단일체형 밸브 디스크 부재로 되게 서로에 대해 부착시키고, 또한
    상기 연결 부재(154, 254) 및 관련된 복수의 밸브 디스크(144, 244)를 포함하는 상기 단일체형 밸브 디스크 부재를 상기 공동부(142, 242)의 내부에 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의 제조 방법.
  15. 차량의 내연 기관을 위한 무단의 가요적인 동력 전달 부재(12)용 유압식 텐셔너(10)로서,
    개량된 고유량/신속 응답 체크 밸브(30, 130, 230, 330, 430)는,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를 갖는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 및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부(142, 242, 342, 442)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입구 통로(138, 238, 338, 438)와 유체 연통하는 출구 통로(140, 240, 340, 440)를 형성하는 하우징(132, 232, 333, 432);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와 계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일링 표면(146, 246, 346, 446)을 가지며,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에 대해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상기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가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로부터 떨어지는 비안착 위치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해주어 밸브 자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스크(144, 244, 344, 444)를 상기 시일링되는 안착 위치로 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 자리(148, 248, 348, 448) 중의 적어도 한 밸브 자리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공동부(142, 242, 342, 44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150, 250, 350, 450)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부재용 유압식 텐셔너.
KR1020167016224A 2013-12-03 2014-11-20 유압식 텐셔너를 위한 고유량/신속 응답 디스크형 체크 밸브 Ceased KR201600936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11102P 2013-12-03 2013-12-03
US61/911,102 2013-12-03
PCT/US2014/066496 WO2015084592A1 (en) 2013-12-03 2014-11-20 High flow and quick response disk style check valve for hydraulic tens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640A true KR20160093640A (ko) 2016-08-08

Family

ID=5327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224A Ceased KR20160093640A (ko) 2013-12-03 2014-11-20 유압식 텐셔너를 위한 고유량/신속 응답 디스크형 체크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23140A1 (ko)
JP (1) JP6581084B2 (ko)
KR (1) KR20160093640A (ko)
CN (1) CN105765268B (ko)
DE (1) DE112014005029T5 (ko)
WO (1) WO20150845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014A (ko) * 2016-09-07 2018-03-1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텐셔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524B2 (en) 2013-12-03 2018-06-26 Borgwarner Inc.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for hydraulic tensioner
KR102452216B1 (ko) * 2017-03-27 2022-10-06 부르크하르트 콤프레션 아게 피스톤 압축기 밸브를 위한 밸브 폐쇄부 및 밸브 폐쇄부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2394890B1 (ko) * 2017-03-27 2022-05-04 부르크하르트 콤프레션 아게 피스톤 압축기 밸브 및 피스톤 압축기 밸브를 동작시키는 방법
CN109139831A (zh) 2017-06-15 2019-01-04 博格华纳公司 带有刚度可控止回阀的张紧器
WO2019164525A1 (en) 2018-02-26 2019-08-29 Borgwarner Inc Variable force tensioner with internal reservoir technology primary bore
JP2020101279A (ja) * 2018-12-21 2020-07-02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内部チェックバルブを含むピストンが備えられたテンショナ
KR102472316B1 (ko) * 2019-11-01 2022-12-01 김용현 약액 유량 조절 장치
CN117120748A (zh) 2021-04-13 2023-11-24 博格华纳公司 通过液压张紧器中的止回阀的可变刚度功能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811A (en) * 1909-04-30 1910-12-27 Harrison Safety Boiler Works Valve.
US976010A (en) * 1909-11-03 1910-11-15 John C Thompson Valve.
US3415272A (en) * 1965-06-07 1968-12-10 Edward A. Blackhawk Check valve
US3536094A (en) * 1968-03-12 1970-10-27 Flavious E Manley Jr Compressor valve
US3636094A (en) * 1969-07-25 1972-01-18 Searle & Co Norbornanecarboxylic acid amides of anthranilic acid
US4278106A (en) * 1979-09-20 1981-07-14 Cunningham William W Plate check valve
US4526195A (en) * 1980-11-18 1985-07-02 Iic Mechanical Products Limited Reinforced plastic structure such as a valve
US5511583A (en) * 1995-01-24 1996-04-30 Dover Resources, Inc. Compressor valve
JP3752017B2 (ja) * 1996-05-10 2006-03-08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油圧テンショナ
US5819794A (en) * 1996-10-03 1998-10-13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a contoured disc check valve
US5993341A (en) * 1997-11-25 1999-11-30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a position actuated check valve assembly
US6361458B1 (en) * 1998-04-20 2002-03-2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pressure relief valve
AU2939101A (en) * 2000-01-11 2001-07-24 Coltec Industrial Products, Inc. Profiled plate valve
AT412302B (de) * 2000-03-28 2004-12-27 Hoerbiger Ventilwerke Gmbh Selbsttätiges ventil
US6575192B1 (en) * 2000-11-03 2003-06-10 Caterpillar Inc Check valve for a prechamber assembly
US6716124B2 (en) * 2000-11-29 2004-04-0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improved pressure relief valve reactive to peak operating loads
JP3649229B2 (ja) * 2003-06-30 2005-05-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US20100090149A1 (en) * 2008-10-01 2010-04-15 Compressor Engineering Corp. Poppet valve assembly,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in high speed compressor applications
DE102010012918A1 (de) * 2010-03-26 2011-09-2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 Endlostriebmittel mit einem Kombinationsventil
WO2012106093A2 (en) * 2011-02-04 2012-08-09 Borgwarner Inc. High flow and quick response check valve for hydraulic tensioner
KR101943814B1 (ko) * 2011-02-28 2019-01-31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유압 텐셔너를 위한 가변 유량 체크 밸브
ITFI20120048A1 (it) * 2012-03-08 2013-09-09 Nuovo Pignone Srl "automatic valve with a spring holder ring"
JP2013190007A (ja) * 2012-03-13 2013-09-26 Ishizaki Seisakusho:Kk 逆止弁
EP2703647B1 (de) * 2012-08-31 2017-10-04 Burckhardt Compression AG Poppetventil für einen Kompres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014A (ko) * 2016-09-07 2018-03-1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텐셔너
US10634223B2 (en) 2016-09-07 2020-04-28 Tsubakimoto Chain Co. Tens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4592A1 (en) 2015-06-11
CN105765268B (zh) 2019-07-09
JP2016540939A (ja) 2016-12-28
JP6581084B2 (ja) 2019-09-25
DE112014005029T5 (de) 2016-08-11
US20170023140A1 (en) 2017-01-26
CN105765268A (zh)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6524B2 (en)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for hydraulic tensioner
KR20160093640A (ko) 유압식 텐셔너를 위한 고유량/신속 응답 디스크형 체크 밸브
KR101943814B1 (ko) 유압 텐셔너를 위한 가변 유량 체크 밸브
US5577970A (en) Hydraulic tensioner with a pressure relief valve
US5700213A (en) Integral inlet and pressure relief valve for an automotive tensioner
US20170356529A1 (en) Variable force tensioning assembly
WO2018035201A1 (en) Check valve and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controlled by a metallic band
US20100029424A1 (en) Check valve with spring retained ball
JP3719622B2 (ja) 液圧テンショナ
KR20040031609A (ko) 유압 체인 텐셔너
WO2012106093A2 (en) High flow and quick response check valve for hydraulic tensioner
US10900544B2 (en) Tensioner with stiffness controllable check valve
US11326670B2 (en) Tensioner with piston containing an internal check valve
WO2013119412A1 (en) Variable flow hydraulic chain tensioner
KR102809361B1 (ko) 텐셔너
US20200018383A1 (en) Hydraulic tensioner with moving sleeve
JP2009516135A (ja) 油圧式チェック弁組立品
US20020042315A1 (en) Chain or belt tensioner arm
JP2011149466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20210123509A1 (en) Piston side hole orientation in a hydraulic tensioner with an internal reservoir
JP2019074208A (ja) チューナブルチェックバルブを有する油圧式テンショナー
JP2002286103A (ja) 油圧式テンショナ用のチェックバルブおよび油圧式テンショナ
WO2008013129A1 (fr) Tendeur automatique hydraulique
KR20200137993A (ko) 밀봉식 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1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8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