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92813A - 바늘용 안전 캡 - Google Patents

바늘용 안전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813A
KR20160092813A KR1020150013683A KR20150013683A KR20160092813A KR 20160092813 A KR20160092813 A KR 20160092813A KR 1020150013683 A KR1020150013683 A KR 1020150013683A KR 20150013683 A KR20150013683 A KR 20150013683A KR 20160092813 A KR20160092813 A KR 2016009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needle
passage
tube
safety c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778B1 (ko
Inventor
장헌주
Original Assignee
(주)월드씨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씨앤피 filed Critical (주)월드씨앤피
Priority to KR102015001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7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7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용 안전 캡에 관한 것으로서,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서로 결합할 경우 내부에 카테터의 이동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카테터가 진입하는 카테터 진입통로와 튜브가 이동하는 튜브이동통로가 대향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상판에 형성되어 카테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상판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이동통로 방향으로 단부 각각이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력을 갖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늘용 안전 캡{SAFETY CAP FOR NEEDLE}
본 발명은 바늘용 안전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세트용 바늘(needle for IV set), 채혈 침(Blood collection needle), 동정맥류 바늘(AV fistula needle), 나비 침(Winged or butterfly needles) 등과 같은 단부에 바늘을 구비한 니들세트의 처리 시에 관련 종사자들이 오염된 바늘에 찔려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바늘용 안전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행위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수액이나 약물을 주사기를 통하여 인체에 투여하는 행위이다. 통상의 경우에는 실린더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주사기에 약물을 넣고 전단에 설치된 바늘을 사람의 혈관에 끼운 후 피스톤 손잡이에 압력을 가하여 약물을 투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약물이 짧은 시간에 적은 양이 투여될 때 사용된다.
이에 대하여, 링거액과 같이 많은 수액을 주사하게 되는 경우에는 바늘을 인체의 혈관에 끼운 상태에서 그 바늘에 수액, 주사액 등의 연결관을 연결하여 수액, 주사액 등을 투여하게 된다.
이러한 수액 공급장치를 통상적으로 수액세트라고 하는데, 통상 니들 허브에 바늘이 일체로 형성된 카테터가 일단에 구비되고, 플렉시블한 수액용 튜브가 연결되며, 중간에 방울수를 조절하여 주입량을 조절하는 GTT 조절기(점적 방울수 조절기) 등이 구비되고, 타단에 수액이 들어있는 봉지가 연결된다.
사용 전에는 상기 수액세트의 카테터의 바늘에 캡이 씌워져 있으나, 사용시에 캡을 제거하고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수액세트를 사용한 후 폐기 등의 처리를 하고자 할 때 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관련 종사자들이 이를 처리하고자 할 때 오염된 바늘에 찔려 감염이 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오염된 바늘에 찔려 감염이 발생할 위험성은 상기한 수액세트뿐만 아니라 채혈 침(Blood collection needle), 동정맥류 바늘(AV fistula needle), 나비 침(Winged or butterfly needles) 등과 같이 단부에 바늘이 구비된 다양한 니들세트의 처리 시에 상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부에 바늘을 구비한 니들세트의 사용 후 처리 시에 오염된 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바늘을 포함한 카테터를 수납할 수 있는 바늘용 안전 캡을 제공하여 관련 종사자들이 바늘에 찔려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늘용 안전 캡은,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서로 결합할 경우 내부에 카테터의 이동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카테터가 진입하는 카테터 진입통로와 튜브가 이동하는 튜브 통로가 대향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상판에 형성되어 카테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상판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이동통로 방향으로 단부 각각이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력을 갖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에는 서로 결합하거나 해제 가능하도록 결합구조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구조는 제1 및 제2 케이스의 내측 벽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와 대응하는 제2 및 제1 케이스의 내측 벽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부와 상호 작용하여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걸림홈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카테터 진입통로의 인접 위치에 제1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리브와 튜브이동통로 사이에 제2리브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테터 진입통로는 상기 카테터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튜브이동통로는 상기 카테터 진입통로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테터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리브의 각 고정단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리브의 각 자유단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니들세트용 바늘용 안전 캡에 의하면, 수액세트 등과 같이 단부에 바늘을 구비한 니들세트의 폐기 시에 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바늘을 수납함으로써, 의료기구 관련 종사자들의 우발적인 찔림에 의한 감염 우려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니들세트용 바늘용 안전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니들세트용 바늘용 안전 캡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세트용 바늘용 안전 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니들세트용 바늘용 안전 캡을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세트용 바늘용 안전 캡에 바늘을 포함한 카테터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용 안전 캡은 수액세트를 포함하여 단부에 바늘을 구비한 다양한 니들세트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니들세트용 바늘용 안전 캡은, 힌지(2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니들세트에 구비된 카테터(C)가 들어오는 대신 나가지 못하도록 카테터(C)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500)가 형성된 제1 및 제2케이스(110,120)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를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카테터(C)의 이동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카테터(C)가 진입하는 카테터 진입통로(300)와 튜브(T)가 이동하는 튜브이동통로(400)가 대향되게 형성된다.
특히 안전 캡(100)의 일 측면에는 니들세트의 카테터(C)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C)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카테터 진입통로(300)가 형성되고, 상기 안전 캡(100)의 타 측면에는 상기 카테터(C)와 연결된 튜브(T)가 이동하는 상기 카테터 진입통로(3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튜브이동통로(40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는 서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130)과, 상기 상판(1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된 측벽(140)이 형성되어 니들세트의 카테터(C)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는 힌지(20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결합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결합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통상 공지된 기술로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내측 벽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턱부(150)와, 상기 걸림턱부(150)와 대응하는 상기 제2 및 제1 케이스(120,110)의 내측 벽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부(150)와 상호 작용하여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걸림홈부(16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힌지(200)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0,120)를 서로 결합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구조의 채택으로 상기 안전 캡(10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니들세트의 튜브(T)에 안전 캡(100)을 쉽게 설치하거나, 튜브(T)로부터 안전캡(10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 캡(100)의 상판(130)의 바닥에 형성되는 이동 제한부(500)는 제1 및 제2케이스(110,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출 리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500)는 카테터 진입통로(300)와 근접한 위치에 제1리브(5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리브(510)와 튜브이동통로(400) 사이에 제2리브(5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브(510,520)는 상기 상판(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단(530)과, 상기 고정단(5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이동통로(400) 방향으로 단부 각각이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력을 갖는 자유단(5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카테터(C)가 카테터 진입통로(300)를 통해 진입하여 튜브이동통로(400)로 이동할 경우 상기 카테터(C)의 플러그(P)의 폭이 상기 제1 및 제2리브(510,520)의 각 고정단(530)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상기 제1 및 제2리브(510,520)의 자유단(540)이 탄성 변형되어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카테터(C)가 안전 캡(100) 내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늘(N)을 포함한 카테터(C)는 상기 제1리브(510)를 통과하여 진입하고, 다시 제2리브(520)를 통과하여 안전 캡(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데, 상기 튜브이동통로(400)가 형성된 측벽(140)과 제2리브(520)의 자유단(540)의 단부에 카테터(C)의 양쪽 몸체가 걸려 카테터(C)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카테터(C)의 플러그(P) 폭이 상기 제1 및 제2리브(510,520)의 각 자유단(540)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리브(510,520)의 각 자유단(540) 사이의 폭이 상기 카테터(C)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카테터(C)의 니들 허브(H)와 결합하는 플러그(P) 사이의 단턱부에 제2리브(520)의 자유단(540)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이로 인해 상기 튜브이동통로(400)와 제2리브(520) 사이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카테터(C)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이동이 제한되어 안전 캡(100)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캡(100)에 다른 형태의 카테터(C)가 수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에 도시된 카테터(C)는 도 6에 도시된 카테터(C)에 비해 상대적으로 바늘(N)을 포함한 길이가 짧다. 상기 카테터(C)의 플러그(P)는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부위로 중앙부분에 오목하게 오목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리브(520)의 자유단(540)으로 카테터(C)의 플러그(P)가 진입할 경우, 자유단(540)의 단부가 카테터(C)의 플러그(P) 선단에 의해 벌어지면서 오목면에 접촉하여 고정됨으로써, 카테터(C)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테터(C)는 튜브이동통로(400)와 제2리브(520) 사이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지 않고, 제2리브(520)의 자유단(54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테터(C)가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지 않고, 제2리브(520)에 고정되더라도 바늘(N)을 포함한 카테터(C)의 길이가 짧아 카테터(C)의 바늘(N)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며, 안전 캡(100)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카테터는 상기 튜브이동통로(400)와 제2리브(520)의 수용 공간 내에 당연히 수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안전 캡(100)에 대한 프레스 사출 성형시 상판(130)에 압출 성형되는 성형홀(170)에 의해 상기 걸림턱부(150) 및 걸림홈부(160)와, 상기 제1 및 제2리브(510,520)는 원하는 치수와 모양대로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안전 캡 110 : 제1 케이스
120 : 제2 케이스 130 : 상판
140 : 측벽 150 : 걸림턱부
160 : 걸림홈부 170 : 성형홀
200 : 힌지 300 : 카테터 진입통로
400 : 튜브이동통로 500 : 이동제한부
510 : 제1리브 520 : 제2리브
530 : 고정단 540 : 자유단

Claims (5)

  1.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서로 결합할 경우 내부에 카테터의 이동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카테터가 진입하는 카테터 진입통로와 튜브가 이동하는 튜브이동통로가 대향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의 상판에 형성되어 카테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상판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단;
    상기 고정단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이동통로 방향으로 단부 각각이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력을 갖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용 안전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에는 서로 결합하거나 해제 가능하도록 결합구조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구조는 제1 및 제2 케이스의 내측 벽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와 대응하는 제2 및 제1 케이스의 내측 벽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부와 상호 작용하여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걸림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용 안전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카테터 진입통로의 인접 위치에 제1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리브와 튜브이동통로 사이에 제2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용 안전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진입통로는 상기 카테터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튜브이동통로는 상기 카테터 진입통로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용 안전 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리브의 각 고정단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리브의 각 자유단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용 안전 캡.




KR1020150013683A 2015-01-28 2015-01-28 바늘용 안전 캡 Active KR101696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83A KR101696778B1 (ko) 2015-01-28 2015-01-28 바늘용 안전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83A KR101696778B1 (ko) 2015-01-28 2015-01-28 바늘용 안전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13A true KR20160092813A (ko) 2016-08-05
KR101696778B1 KR101696778B1 (ko) 2017-01-16

Family

ID=5671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683A Active KR101696778B1 (ko) 2015-01-28 2015-01-28 바늘용 안전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7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1110A1 (en) * 2019-12-04 2021-06-10 Almac Clinical Services Limited Blinding cap
KR20220128022A (ko) * 2021-03-12 2022-09-20 신명옥 이동이 편리한 수액튜브 거치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670B1 (ko) 2019-04-29 2021-05-25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주사기 바늘 수납용 케이스
KR20200126241A (ko)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주사기 바늘 수납용 케이스
KR102255669B1 (ko) 2019-04-29 2021-05-25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주사기 바늘 수납용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265A (ko) * 1995-06-07 1997-01-21 캐눌라를 보호하기 위한 인터로킹 연속 방호부재를 갖는 카테터 장치
KR20090019762A (ko) * 2006-01-12 2009-02-25 베네텍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만능 카테터 고정장치
JP2012512722A (ja) * 2008-12-19 2012-06-07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瘻針から血ラインとの接続保証デバイス
JP4969247B2 (ja) * 2004-10-25 2012-07-04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ランセ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ランセット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265A (ko) * 1995-06-07 1997-01-21 캐눌라를 보호하기 위한 인터로킹 연속 방호부재를 갖는 카테터 장치
JP4969247B2 (ja) * 2004-10-25 2012-07-04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ランセ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ランセットデバイス
KR20090019762A (ko) * 2006-01-12 2009-02-25 베네텍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만능 카테터 고정장치
JP2012512722A (ja) * 2008-12-19 2012-06-07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瘻針から血ラインとの接続保証デバイ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1110A1 (en) * 2019-12-04 2021-06-10 Almac Clinical Services Limited Blinding cap
KR20220128022A (ko) * 2021-03-12 2022-09-20 신명옥 이동이 편리한 수액튜브 거치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778B1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0598B2 (en) Outer cover of a pen needle for a drug delivery pen
JP4173631B2 (ja) 使い捨て自己遮蔽式単位投与量シリンジガード
RU2645240C2 (ru) Узел колпачка наконечника для закрытия инъек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KR101696778B1 (ko) 바늘용 안전 캡
US20140180258A1 (en) Needle-free connector
MX2007000146A (es) Jeringa de un solo uso.
BRPI0510480B1 (pt) dispositivo de injeção
JP2013138879A (ja) ペン用針を過小におよび過大に回転させることを防止するためのペン型針アセンブリ
BR112015033068B1 (pt) Seringa de segurança
KR20200136054A (ko) 의료용 주입기용 캡
GB2503329A (en) Catheter hub assembly with separable needle retracting assembly
WO2017018076A1 (ja) 針ユニット
KR101536584B1 (ko) 의료용 주사 바늘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
KR102128079B1 (ko) 주사기용 주삿바늘 안전커버
KR101575165B1 (ko) 안전캡이 포함되는 시술용 침.
US6416497B1 (en) Needle protection holder
JP7458140B2 (ja) 薬液注入装置
KR101337008B1 (ko) 혈관접속을 위한 의료용 연결기구
KR102181488B1 (ko) 의료용 주입기용 t자 형상의 캡
JP2022540205A (ja) 注射器先端キャップ
US10702662B2 (en) Syringe needle shield and base for the same
US20220355031A1 (en) Syringe
KR101982004B1 (ko)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KR20190040775A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JPH11262525A (ja) 薬液自己注入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