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809A -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7809A KR20160087809A KR1020167012936A KR20167012936A KR20160087809A KR 20160087809 A KR20160087809 A KR 20160087809A KR 1020167012936 A KR1020167012936 A KR 1020167012936A KR 20167012936 A KR20167012936 A KR 20167012936A KR 20160087809 A KR20160087809 A KR 201600878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detected
- strip
- width direction
- c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3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3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 B26D5/34—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scanning being effected by a photosensitive devic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ontrol Of Cutting Process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장척의 띠상 필름으로부터, 기능부가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된 필름편 (광학 필름) 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폭 방향으로 2 개 이상 및 길이 방향으로 2 개 이상의 피검출부를 갖는 띠상 필름을, 소정의 길이 방향 이송 피치마다, 그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순차 잘라내는 것을 포함하고, 그 띠상 필름을 잘라낼 때, 그 피검출부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그 피검출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잘라내기 선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고, 검출된 그 피검출부를 갖는 필름편을 1 장씩 얻는 것을 포함한다.Provided are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a film piece (optical film) arranged with a precise function portion from a long strip-shaped film. 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comprising a strip-shaped film having two or more detection sec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wo or more detection s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cutting the strip film, the position of the to-be-detected portion is detected, the cut line is positioned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to-be-detected portion, and the detected portion to be detected And one sheet of film pieces hav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film and an apparatus therefor.
종래부터,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는, 편광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의 여러 가지 광학 필름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광학 필름을 구비함으로써 그 화상 표시 장치는 원하는 화상 표시 특성을 발휘하고 있다. 광학 필름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장척 필름을 제조한 후, 타발 (打拔)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제품 형상을 갖는 필름편으로서 타발됨으로써 제조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various optical films such as a polarizing film and a retardation film are used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By providing these optical film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exhibits desired image display characteristics. The optical film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producing a long film made of a predetermined resin material and then punching it as a film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product shape using a punching devic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
상기 광학 필름의 사용 방법 등에 따라, 광학 필름 표면의 특정 위치에 얼라인먼트 마크 등의 기능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의 화상 표시 장치의 고기능화에 수반하여,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기능부를, 편차가 없도록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Depending on the method of using the optical film or the like, functional portions such as an alignment mark may be form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With the recent enhance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es, it is required to dispose the functional portions of the optical film with good precision so that there is no deviation.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장척의 띠상 필름으로부터, 기능부가 양호한 정밀도로 배치된 필름편 (광학 필름) 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main object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manufacturing a film piece (optical film) arranged with a precise function portion from a long strip- .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폭 방향으로 2 개 이상 및 길이 방향으로 2 개 이상의 피검출부를 갖는 띠상 필름을, 소정의 길이 방향 이송 피치마다, 그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순차 잘라내는 것을 포함하고, 그 띠상 필름을 잘라낼 때, 그 피검출부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그 피검출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잘라내기 선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고, 검출된 그 피검출부를 갖는 필름편을 1 장씩 얻는 것을 포함한다.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comprising a strip-shaped film having two or more detection sec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wo or more detection s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cutting the strip film, the position of the to-be-detected portion is detected, the cut line is positioned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to-be-detected portion, and the detected portion to be detected And one sheet of film pieces having the same.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피검출부의 위치를 검출한다.In one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to-be-detected portion is detected using a camera.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띠상 필름을 잘라내기 전에, 그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편측 단변 (端邊) 을 검출하는 것과, 그 띠상 필름을 잘라낼 때, 잘라내기 수단을 그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검출된 그 편측 단변을 기준으로 그 잘라내기 수단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detect one sid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ilm before cutting the strip film in the width direction, and to cut the strip film, Moving the film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ther side and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tting means based on the detected one side short side.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이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는, 띠상 필름을 소정의 길이 방향 이송 피치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그 띠상 필름이 갖는 피검출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그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또한 검출된 그 피검출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잘라내기 선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잘라내기 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This optical film production apparatus comprises transport means for transporting a strip film at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transport pitch,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to-be-detected portion of the film, and transport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film from one side of the strip- And a cutting means for performing positioning of the cut line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detected portion to be detected.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편측 단변을 추가로 검출하고, 검출된 그 편측 단변을 기준으로 상기 잘라내기 수단의 이동 방향이 결정된다.In one embodiment, the detection means further detects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ilm,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utting means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one side.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부를 피검출부로 하여, 그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그 피검출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잘라내기 선의 위치 결정을 실시함으로써, 피검출부 (기능부) 가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하는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function unit as the to-be-detected unit and performing positioning of the cut line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to-be-detected unit, the detected part (function unit) An optical film can be obtained.
도 1 (a), (a') 및 (b) ∼ (d)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a) ∼ (c)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피검출부의 배치 패턴의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1 (a), (a ') and (b) to (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to 2 (c) are schematic plan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pattern of a portion to be det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a') 및 (b) ∼ (d)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폭 방향으로 2 개 이상 및 길이 방향으로 2 개 이상의 피검출부 (11) 를 갖는 띠상 필름 (100) 을, 소정의 길이 방향 이송 피치마다, 띠상 필름 (100) 의 폭 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순차 잘라내는 것을 포함하고, 띠상 필름 (100) 을 잘라낼 때에는, 피검출부 (11) 의 위치를 검출하고 (도 1(a)), 검출된 피검출부 (11)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잘라내기 선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고 (도 1(b)), 검출된 피검출부 (11) 를 갖는 필름편 (10) 을 1 장씩 얻는 것을 포함한다.1 (a), (a ') and (b) to (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법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는, 띠상 필름을 소정의 길이 방향 이송 피치 (이하, 간단히 이송 피치라고도 한다) 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그 띠상 필름이 갖는 피검출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잘라내기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잘라내기 수단은,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또한 검출된 그 피검출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잘라내기 선의 위치 결정을 실시한다. 도 1(a') 는, 검출 수단 및 잘라내기 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잘라내기 수단 (20) 으로서 사각형상의 잘라내기 칼 (예를 들어, 톰슨칼) 이 사용되고 있다. 또, 검출 수단 (30) 으로서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시예와 같이, 검출 수단 (30) 과 잘라내기 수단 (20) 은 일체로 구성되고, 또한 레일 (40) 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검출 수단과 잘라내기 수단은 각각 설치되며, 검출 수단은 띠상 필름의 소정 영역을 촬상하여 피검출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잘라내기 수단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refore,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an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ransport means for transporting the strip film to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transfer pitch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transport pitch); an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detection portion, and cutting means. Preferably, the cutting means moves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shaped film toward the other side, and positions the cut line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detected portion. Fig. 1 (a ')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cting means and cutting means. In this example, a rectangular cutter (for example, Thomson knife) is used as the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2 개 이상 및 길이 방향으로 2 개 이상의 피검출부 (11) 를 갖는 띠상 필름 (100) 을, 이송 피치마다, 그 띠상 필름 (100) 의 폭 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지면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순차 잘라내고, 피검출부 (11) 를 갖는 필름편 (10) 을 1 장씩 얻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길이 방향이란, 띠상 필름의 반송 방향 (Y) 에 상당할 수 있는 방향이지만, 반송 방향 (Y) 에 평행인 경우뿐만 아니라, 반송 방향 (Y) 을 기준으로 -45 °를 초과하고 45 °미만인 방향을 의미한다. 또, 폭 방향이란, 반송 방향 (Y) 과 직교하는 방향 (X) 을 기준으로 -45 °∼ 45 °의 방향을 의미한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rip-
상기 띠상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광축을 갖는 장척 광학 필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필름편은,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 제품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광축을 갖는 광학 필름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 등을 들 수 있다.The strip film may be, for example, a long optical film having an optical axis. The film piece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used, for example, as an optical film product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Specific examples of the optical film having an optical axis include a retardation film and a polarizing film.
필름편 (10) 에 있어서, 피검출부 (11) 는, 소정의 기능을 발현하는 부분 (기능부) 이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능부를 피검출부로 하여, 그 기능부를 기준으로 잘라내기 선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출부의 위치를 검출한 후에 잘라내는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피검출부 (기능부) 가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하는 필름편을 얻을 수 있다. 또, 띠상 필름 상의 피검출부의 간격에 편차가 있는 경우, 혹은 띠상 필름이 사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피검출부가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하는 필름편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복수 장의 필름편을 동시에 잘라낸다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기능부의 간격의 편차, 띠상 필름의 사행 등의 띠상 필름측의 상태에 따라, 잘라내기 위치를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피검출부가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하는 필름편을 얻을 수 없다. 피검출부 (기능부) 로는, 예를 들어,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에 있어서의, 비편광부 (즉, 모든 편광 성분을 투과할 수 있는 기능을 발현하는 부분) 를 들 수 있다. 피검출부 (기능부) 의 다른 예로는, 얼라인먼트 마크 등을 들 수 있다.In the
피검출부 (11) 는, 띠상 필름 (100) 의 피검출부 (11) 이외의 부분과는, 구별할 수 있는 부분이다. 피검출부 (11) 는, 피검출부 (11) 이외의 부분과 외관상 구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검출부 (11) 는, 피검출부 이외의 부분과 광 투과성이 상이하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검출부 (11) 는, 피검출부 이외의 부분과는 색조 및/또는 농담이 상이하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외관상의 구별을 나타내지 않고, 그 대신에 피검출부 (11) 의 외곽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The detected
도 2(a) 는, 띠상 필름 (100) 에 있어서의 피검출부 (11) 의 배치 패턴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2(b) 는, 피검출부 (11) 의 배치 패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2(c) 는, 피검출부 (11) 의 배치 패턴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상기 피검출부 (11) 는, 필름편의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배치로 될 수 있다. 피검출부 (11) 는, 폭 방향에 있어서, 대략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또, 띠상 필름 (100) 의 폭 방향 단변에 대한 피검출부 (11) 의 배열 방향은, 임의의 적절한 각도일 수 있다. 즉, 피검출부의 배열 방향은, 띠상 필름 (100) 의 폭 방향 단변의 방향과 직교하고 있어도 되고 (도 2(a)), 직교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2(b)). 또,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각각에 있어서, 피검출부 (11) 끼리의 간격은, 동일해도 되고 (도 2(a)) 상이해도 된다 (도 2(c)).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가지 피검출부의 배치 패턴에 대응하여, 피검출부가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하는 필름편을 얻을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칙성이 없는 배열 패턴이라도, 피검출부가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하는 필름편을 얻을 수 있다.2 (a)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detected
띠상 필름 (100) 을 잘라낼 때에는,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검출부 (11) 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후,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된 피검출부 (11)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잘라내기 선 (12) 의 위치 결정이 실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잘라내기 선 (12) 의 위치 결정은, 검출된 피검출부 (11)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잘라내기 선 (12) 이 규정하는 형상에 있어서의 특정 지점의 위치, 그리고 잘라내기 선 (12) 이 규정하는 평면 형상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여 실시될 수 있다. 잘라내기 선 (12) 이 규정하는 형상에 있어서의 특정 지점은, 그 형상의 어느 지점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그 형상의 무게 중심, 꼭지점, 변 상의 1 점 등을 들 수 있다. 잘라내기 선 (12) 의 위치 결정을 실시한 후, 띠상 필름 (100) 을 잘라내고, 검출된 피검출부 (11) 를 갖는 필름편 (10) 을 1 장씩 얻는다. 필름편 (10) 의 형상은, 잘라내기 선 (12) 에 의해 규정된다. 필름편 (10) 의 형상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정방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을 들 수 있다.When the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피검출부 (11) 의 위치를 검출한다.In one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띠상 필름 (100) 을 잘라낼 때의 잘라내기 수단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편 (10) 의 형상에 따른 타발 날 (20) 을 사용하여, 띠상 필름 (100) 을 잘라낸다. 예를 들어, 잘라내기 수단으로서 톰슨칼과 같은 타발 날 (20) 을 사용하는 경우, 잘라내기 선 (12) 의 위치 결정은, 피검출부 (11) 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피검출부 (11)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타발 날 (20) 이 규정하는 평면 형상에 있어서의 특정 지점의 위치 (예를 들어, 그 형상의 무게 중심, 꼭지점, 변 상의 1 점 등), 그리고 타발 날 (20) 이 규정하는 평면 형상의 방향 (즉, 반송 방향 (Y) 및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X) 에 대한 각도) 을 제어하여 실시된다. 잘라내기 선 (12) 의 위치 결정을 실시한 후, 타발 날 (20) 을 띠상 필름 (100) 을 향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띠상 필름 (100) 을 타발하도록 하여, 필름편 (10) 을 얻는다.Any suitable means may be employed as the cutting means when cutting the
상기 잘라내기 수단의 다른 예로는, 레이저 광 조사에 의한 잘라내기, 드릴에 의한 절삭 가공, 라우터 가공, 워터젯 가공 등을 들 수 있다.Other examples of the cutting means include cutting by laser light irradiation, cutting by drilling, router processing, water jet processing, and the like.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띠상 필름 (100) 을 잘라낼 때, 잘라내기 수단 (20) 을, 띠상 필름 (100) 의 폭 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조작에 의해, 1 장의 필름편을 잘라낸 후, 잘라내기 수단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작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다음의 필름편을 잘라낸다 (도 1(b) ∼ (d)). 바람직하게는, 잘라내기 수단 (20) 의 이동은, 직선 이동이다. 잘라내기 수단 (20) 의 이동 방향은, 피검출부 (11) 의 배치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잘라내기 수단 (20) 의 이동 방향은, 띠상 필름 (100) 의 폭 방향의 편측 단변의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90 °±4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3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15 °이다.In one embodiment, when cutting the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띠상 필름 (100) 을 잘라내기 전에, 띠상 필름 (100) 의 폭 방향의 편측 단변을 검출하고, 검출된 그 편측 단변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편측 단변의 방향) 을 기준으로 상기 잘라내기 수단 (20) 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띠상 필름의 폭 방향 단변을 기준으로 잘라내기 수단의 이동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띠상 필름이 사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피검출부 (즉, 기능부) 가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하는 필름편을 얻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efore the
띠상 필름 (100) 의 폭 방향의 편측 단변의 검출에는, 피검출부 (11) 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사용해도 되고, 피검출부 (11) 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는 다른 검출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제조 장치는, 1 이상의 검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to-
폭 방향의 1 열에 있어서, 띠상 필름 (100) 의 잘라내기가 완료된 후에는, 띠상 필름 (100) 을 소정의 이송 피치분 반송하고, 다음의 1 열에 대하여, 폭 방향의 1 열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조작을 실시한다. 폭 방향의 1 열에 있어서의 잘라내기 조작, 및 그 조작 후의 띠상 필름 (100) 의 1 피치분의 반송을 1 사이클로 하여, 소정 횟수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장척상의 띠상 필름 (100) 으로부터 복수 장의 필름편 (10) 을 얻을 수 있다. 이송 피치는, 피검출부 (11) 의 길이 방향 간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피검출부의 배열이 반송 방향 (Y) 과 평행인 경우, 이송 피치는, 피검출부 (11) 의 길이 방향 간격과 동일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After completion of cutting of the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띠상 필름으로서, 장척상이고, 또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비편광부를 갖는 장척상 편광자가 사용된다. 상기 장척상 편광자에 있어서, 비편광부 이외의 부분 (이하, 편광부라고도 한다) 은 특정한 편광을 투과시키는 것에 반하여, 상기 비편광부는, 모든 편광 성분을 투과한다. 이와 같은 장척상 편광자는, 카메라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의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비편광부를 갖는 장척상 편광자로부터 잘라내어진 편광자를 사용하여, 그 비편광부의 위치와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맞춰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다기능화 및 고기능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비편광부를 갖는 장척상 편광자를 잘라내면,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의 위치에 맞춰 비편광부의 위치를 양호한 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통상, 장척상 편광자의 편광부의 흡수축은, 폭 방향 단변에 평행한 방향 또는 폭 방향 단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발현하기 때문에, 비편광부를 적절히 배치하여 (예를 들어, 도 2(b) 와 같이 배치하여), 장척 편광자의 반송 방향에 대한 잘라내기 수단의 이동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잘라내어진 편광자의 흡수축의 방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편광자마다의 흡수축의 방향의 편차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elongated phase polarizer having a non-light-deflected portion that is elongated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s used as the band-shaped film. In the long-axis polarizer, a portion other tha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polarizing portion) transmits a specific polarized light, whereas the non-polarized portion transmits all polarized light components. Such an elongated phase polarizer is preferably used as a material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camera section. More specifically, by using a polarizer cut out from an elongated phase polarizer having the above-mentioned non-light-deflecting portion, and by arranging the position of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camera portion to constitute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camera performance is excellent,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high functionality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can be set with good precis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camera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by cutting out the long-axis polarizer having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n general, since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portion of the long-axis phase polarizer is expres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or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hor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suitably arranged (for example, The directions of the absorption axes of the cut polarizers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tt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long polarizers. It is also possible to remarkably suppress the devi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for each polarizer.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비편광부는, 편광자 중간체의 소정의 부분을 탈색함으로써 형성된 탈색부이다. 탈색부는, 예를 들어, 레이저 조사 또는 화학 처리 (예를 들어, 산 처리, 알칼리 처리 또는 그 조합)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비편광부는 관통공 (대표적으로는, 편광자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이다. 관통공은, 예를 들어, 기계적 타발 (예를 들어, 펀칭, 조각날 타발, 플로터, 워터젯) 또는 편광자 중간체의 소정 부분의 제거 (예를 들어, 레이저 어블레이션 또는 화학적 용해)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a decolorable portion formed by decolor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olarizer intermediate. The decoloring portion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laser irradiation or chemical treatment (for example, acid treatment, alkali treat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In another embodiment,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a through hole (typically,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polariz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through-holes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mechanical punching (e.g., punching, flake punching, plotter, water jet) or removal of certain portions of the polarizer intermediate (e.g. laser ablation or chemical dissolution) have.
상기 비편광부는, 색조 및/또는 광 투과율에 기초하여, 비편광부 이외의 부분과 외관상의 구별을 할 수 있고,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편광부는, 상기의 피검출부 (11) 로서의 기능을 나타낸다.The non-light-deflecting portion can distinguish from the portion other than the non-light-deflecting portion on the basis of the color tone and / or the light transmittance and can be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Therefor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exhibits the function as the above-described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위상차 필름, 편광자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을 제조할 때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 노트형 PC, 태블릿 PC 등의 카메라가 부착된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디바이스) 에 구비되는 편광자를 제조할 때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when producing an optical film such as a retardation film or a polarizer film. Particularly, it is preferably used when a polarizer provid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ganic EL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such as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a notebook PC, or a tablet PC.
10 : 필름편
11 : 피검출부 (기능부)
12 : 잘라내기 선
20 : 잘라내기 수단 (톰슨칼)
30 : 검출 수단
100 : 띠상 필름10: Film film
11: Detected part (function part)
12: Cut line
20: Cutting means (Thomson knife)
30: Detection means
100: strip film
Claims (5)
그 띠상 필름을 잘라낼 때, 그 피검출부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그 피검출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잘라내기 선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고, 검출된 그 피검출부를 갖는 필름편을 1 장씩 얻는 것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Film film having two or more detecte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wo or more detecte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ccessively cut out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nd-shaped film toward the other for every predetermined feeding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to-be-detected portion is detected, the cut line is positioned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to-be-detected portion, and one piece of the film having the detected portion to be detected is obtained one by one ≪ / RTI >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피검출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o-be-detected portion using a camera.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띠상 필름을 잘라내기 전에, 그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편측 단변을 검출하는 것과,
그 띠상 필름을 잘라낼 때, 잘라내기 수단을 그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검출된 그 편측 단변을 기준으로 그 잘라내기 수단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Before the strip film is cut in the width direction, detecting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ilm,
And moving the cutting means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shaped film toward the other side when cutting the strip-shaped film,
And determin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t-off means based on the detected one-side short side.
그 띠상 필름이 갖는 피검출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그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또한 검출된 그 피검출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잘라내기 선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잘라내기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A transport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strip film at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transport pitch;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to-be-detected portion of the film,
And cutting means for moving the film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shaped film toward the other side and positioning the cut line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detected portion.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띠상 필름의 폭 방향의 편측 단변을 추가로 검출하고,
검출된 그 편측 단변을 기준으로 상기 잘라내기 수단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는,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ction means further detects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ip film,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tting means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one-side short s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243855 | 2014-12-02 | ||
JP2014243855A JP6146921B2 (en) | 2014-12-02 | 2014-12-02 |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
PCT/JP2015/083040 WO2016088619A1 (en) | 2014-12-02 | 2015-11-25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optical fil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7809A true KR20160087809A (en) | 2016-07-22 |
KR101757604B1 KR101757604B1 (en) | 2017-07-12 |
Family
ID=5609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2936A Active KR101757604B1 (en) | 2014-12-02 | 2015-11-25 |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devic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146921B2 (en) |
KR (1) | KR101757604B1 (en) |
CN (3) | CN107041131A (en) |
TW (1) | TWI667111B (en) |
WO (1) | WO2016088619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9754A (en) | 2021-06-21 | 2022-12-28 | 최은지 | Mixed Reality Sensory Learning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puzz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72312B2 (en) * | 2015-09-30 | 2021-05-19 | 日東電工株式会社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
JP7555446B1 (en) * | 2023-03-29 | 2024-09-24 | 日東電工株式会社 |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
KR102720761B1 (en) | 2024-04-16 | 2024-10-23 | 주식회사 국보옵틱스 | A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lms that maximizes the visibility improvement effect of display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1129A (en) | 1997-11-17 | 1999-08-27 | Sumitomo Chem Co Ltd | Optical film laminated intermedi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laminated chip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00373A (en) * | 1960-11-22 | 1965-08-10 | Control Data Corp | Handwritten character reader |
FR2570315B1 (en) * | 1984-09-18 | 1988-06-10 | Loriot Jean Marc | METHOD OF IDENTIFYING THE POSITION AND SHAPE OF TEMPLATES ARRANGED ON A PLATE OR SHEET MATERIAL |
DE4100534C1 (en) * | 1991-01-10 | 1992-01-23 | Duerkopp Systemtechnik Gmbh, 4800 Bielefeld, De | |
TW473619B (en) * | 1997-04-16 | 2002-01-21 | Sumitomo Chemical Co |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chip and optical film chip intermediate |
JP3713183B2 (en) * | 2000-04-26 | 2005-11-02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Peeling sheet with polarizing plate, production method thereof, peel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and peeling device therefor |
EP1157793A1 (en) * | 2000-05-26 | 2001-11-28 | Thea Felber |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marker to the surface of a material |
DE20009427U1 (en) * | 2000-05-26 | 2000-09-28 | Felber, Thea, 86709 Wolferstadt | Device for processing a material or an object |
JP2001350130A (en) * | 2000-06-07 | 2001-12-21 | Ricoh Co Ltd | Film cutt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ilm to be used for that device |
US6672187B2 (en) * | 2001-04-05 | 2004-01-06 | Mikkelsen Graphic Engineering,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precision cutting of graphics areas from sheets |
JP2003015120A (en) * | 2001-06-27 | 2003-01-15 |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 Manufactur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JP2003019697A (en) * | 2001-07-06 | 2003-01-21 | Eastern Giken Kk | Feed control device in paper sheet blanking machine |
JP4376558B2 (en) * | 2002-07-04 | 2009-12-02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Polarizing plate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
JP2006337630A (en) * | 2005-06-01 | 2006-12-14 | Sumitomo Chemical Co Ltd |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optical film |
DE102006037432C5 (en) * | 2006-08-09 | 2014-08-14 | Leonhard Kurz Gmbh & Co. Kg | Method for producing at least one window opening in an elongate paper substrate, and device |
JP5221164B2 (en) * | 2008-02-15 | 2013-06-26 | 日東電工株式会社 |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laminate |
US8924002B2 (en) * | 2011-04-22 | 2014-12-30 | I-Cut, Inc. | Adaptive registration during precision graphics cutting from multiple sheets |
JP5945143B2 (en) * | 2011-05-20 | 2016-07-05 | 日東電工株式会社 | Optical film roll set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roll set |
JP5618283B2 (en) * | 2012-02-29 | 2014-11-05 | 住友化学株式会社 | Optical display device production system and optical display device production method |
WO2013151097A1 (en) * | 2012-04-04 | 2013-10-10 | 住友化学株式会社 | Film cutting method and film cutting system |
-
2014
- 2014-12-02 JP JP2014243855A patent/JP6146921B2/en active Active
-
2015
- 2015-11-25 CN CN201580002766.6A patent/CN107041131A/en active Pending
- 2015-11-25 CN CN202210117239.1A patent/CN114236665A/en active Pending
- 2015-11-25 WO PCT/JP2015/083040 patent/WO201608861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1-25 KR KR1020167012936A patent/KR101757604B1/en active Active
- 2015-11-25 CN CN202010293483.4A patent/CN111483004A/en active Pending
- 2015-12-01 TW TW104140113A patent/TWI667111B/en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1129A (en) | 1997-11-17 | 1999-08-27 | Sumitomo Chem Co Ltd | Optical film laminated intermedi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laminated chip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9754A (en) | 2021-06-21 | 2022-12-28 | 최은지 | Mixed Reality Sensory Learning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puzz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7604B1 (en) | 2017-07-12 |
JP6146921B2 (en) | 2017-06-14 |
CN111483004A (en) | 2020-08-04 |
CN107041131A (en) | 2017-08-11 |
WO2016088619A1 (en) | 2016-06-09 |
JP2016109722A (en) | 2016-06-20 |
TWI667111B (en) | 2019-08-01 |
CN114236665A (en) | 2022-03-25 |
TW201627119A (en) | 2016-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7604B1 (en) |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device | |
CN107144908B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 |
TW200730281A (en) | Cutting processing method and production method of a sheet-shaped member, sheet-shaped member, optical element and image display device | |
KR101766575B1 (en) | Method for producing long adhesive film | |
KR20160011217A (en) | Long adhesive film | |
US20150352663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rectangular pieces with high cutting efficiency | |
JP6069842B2 (en) | Optical film chip cutting device, optical film chip manufacturing system, and optical film chip cutting method | |
KR20140139417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roll | |
EP1868016A1 (en) |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equipment | |
JP6232189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 |
KR20140139420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roll | |
JP2014164002A (en) | Production method of optical film | |
TWI541548B (en) | A manufacturing system for an optical film ro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lm roll | |
US8832948B2 (en) | Medium processing device | |
WO2016088600A1 (en) | Method for forming cut line and device for forming cut line | |
JP6695670B2 (en) |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 |
KR102742675B1 (en) |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of optical film | |
TWI877922B (en) |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 |
JP2017090603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laminate having metal wiring | |
KR20140139419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roll | |
JP6556008B2 (en) | Inspection method for long polarizers | |
WO2016208023A1 (en) | Web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 |
KR20220160465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piece | |
KR102006380B1 (en) | System for manufacturing cutting product | |
JP2014164000A (en) | Method for cutting patterned optical film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veling of optical fil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7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4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