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87102A - Animal extirpator - Google Patents

Animal extirp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102A
KR20160087102A KR1020150005291A KR20150005291A KR20160087102A KR 20160087102 A KR20160087102 A KR 20160087102A KR 1020150005291 A KR1020150005291 A KR 1020150005291A KR 20150005291 A KR20150005291 A KR 20150005291A KR 20160087102 A KR20160087102 A KR 2016008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dy
wild animals
speaker
sensor
wi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5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17045B1 (en
Inventor
송종운
Original Assignee
(주)경문엔터테인먼트
송종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문엔터테인먼트, 송종운 filed Critical (주)경문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50005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045B1/en
Publication of KR2016008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1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04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동물에 의한 과수 또는 농작물 등의 피해방지를 위하여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시킬 수 있는 야생동물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야생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110)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기(120)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빛을 출력하는 서치 라이트(130)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모형물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컴퓨레서(140)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150)과; 상기 동작 감지 센서(110)에서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음향 발생기(120), 서치 라이트(130), 에어 컴퓨레서(140) 및 진동판(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생동물이 혐오하는 음향이나 빛, 모형, 진동 등을 이용하여 특정장소에 야생동물이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시킴으로써 과수 또는 농작물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ldlife eliminator capable of effectively exterminating wild animals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fruits or crops by wild animals, and includes a motion detection sensor 11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to detect wild animals; A sound generator 120 for outputting sounds to combat wild animals; A search light 130 for outputting light to combat wild animals; An air compressor 140 for injecting air into the model to prevent wild animals; A diaphragm 150 for generating vibrations to combat wild animals;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ound generator 120, the searchlight 130, the air computer 140 and the diaphragm 150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10 senses an object motion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ild animals from approaching wild animals in a specific place by using sounds, lights, models, and vibrations that are abhorred by wild animals,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wild animals from being damaged by fruits or crops have.

Description

야생동물 퇴치기{ANIMAL EXTIRPATOR}Animal Exterminator {ANIMAL EXTIRPATOR}

본 발명은 야생동물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에 의한 과수 또는 농작물 등의 피해방지를 위하여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시킬 수 있는 야생동물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ldlife elimin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ldlife eliminator that can be effectively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o prevent wild animals such as wild boar or fruit water or crops from being damaged.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생태계가 파괴되고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면서 천적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특정 야생동물의 개체수가 많이 증가하였고 경쟁에 뒤진 야생동물이 생존을 위해 농가로 내려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사례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As the industry develops, the ecosystem is destroyed and the ecosystem is out of balance, the number of enemies sharply shrinks and the number of specific wildlife increases.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cases where competing wild animals fall to the farm to survive and damage crops .

또한, 근래에 친환경농법, 유기농 바람으로 화학비료 대신 퇴비를 많이 쓰면서 굼벵이, 지렁이 등이 늘어나게 되었고, 이를 먹기 위해서 멧돼지 등과 같은 야생동물이 농가의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eco-friendly farming methods and organic winds have increased the use of compost instead of chemical fertilizers, and slugs and earthworms have been increasing. In order to eat them, wild animals such as wild boar are damaging crops of farmers.

특히, 멧돼지는 천적이 없어 개체수가 증가함으로 그 피해 규모가 급증해 농민들에게 가장 큰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wild boar has become a big problem for the farmers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because there is no natural enemy.

또한, 까치와 같은 유해조류는 산간지방이나 농촌 등지에서 먹이를 찾기 위해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시설물을 훼손시키는 일이 발생하고, 더욱이 흠집이 없는 최고급 상품으로 수확하여 출하시켜야 하는 과일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harmful algae such as magpie are destroying facilities such as vinyl houses in order to find food in mountainous areas and rural areas, and also cause damage to fruit which must be harvested as a high-grade product without scratches It is true.

이러한 농작물의 피해는 농촌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인력 수급이 어려워져 피해는 더욱 더 자주 발생하고 최근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우량품종의 농산물을 개발하였으나 이것이 야생동물의 표적이 되고 있다. Damage to these crops has been more frequent due to the rapid decrease in the rural population and difficulties in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In recent years, a large amount of money has been invested to increase the income of the farmers to develop agricultural products of good quality, but this is the target of wild animals have.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방조망 설치와 같은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하나 영세한 농가를 감안하면 이러한 방조망에 대한 부담은 크게 작용을 하며 그물망과 같은 방조망의 경우 인력동원이 많고 설치 및 제거 시 큰 비용이 발생하므로 비용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ame method as the installation of the ventilating net is effective. However, considering the small farmhouse, the burden on the airconditioning network greatly affects. In the case of the net such as the net, labor is mobilized, Problems also arise with regard to cost problems.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전기적인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부; 상기 음파발생부에서 발생된 펄스신호의 공진발생을 유도하기 위해 주파수를 조절하는 주파수조절부1,2; 상기 주파수조절부1를 거쳐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음파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음파출력부; 상기 주파수조절부2를 거쳐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음파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공진발생용음파출력부; 상기 음파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파와 공진발생용음파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동시에 체류하는 공간을 마련하여, 상호 간섭에 의해 공진을 일으키도록 유도하여 음량과 주파수를 증폭시키는 공진발생부; 공진 발생으로 팽창된 음파를 유도경로를 거쳐 자유공간으로 확산시키는 음파확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를 이용한 동물 퇴치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As a related art patented technology, there are a sound wave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lectric pulse signal; Frequency adjusters 1 and 2 for adjusting the frequency to induce resonance of the pulse signal generated by the sound wave generator;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converting a pulse signal output through the frequency controller 1 into a sound wave and outputting the sound wave; A resonance generation sonic wave output unit for converting a pulse signal output through the frequency control unit 2 into a sound wave and outputting the sound wave; A resonance generator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sound waves output from the sound wave output unit and sound waves output from the sound wave output unit for resonance genera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so as to induce resonance by mutual interference to amplify the volume and frequency; And an acoustic wave diffusing unit for diffusing sound waves expanded due to the resonance to a free space through an induction path. (Refer to Patent Document 1).

국내공개특허 10-2013-0033054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3305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야생동물이 혐오하는 음향이나 빛, 모형, 진동 등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특정장소에 야생동물이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시킬 수 있는 야생동물 퇴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eliminating wild animals by totally shielding wild animals from approaching specific places using sounds, ligh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wildlife sanctuary that can be applied to wild animal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야생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기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빛을 출력하는 서치 라이트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모형물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컴퓨레서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과; 상기 동작 감지 센서에서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음향 발생기, 서치 라이트, 에어 컴퓨레서 및 진동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ld-type animal remover comprising: a movement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an object to detect a wild animal; A sound generator for outputting sounds to combat wild animals; A searchlight that outputs light to combat wildlife; An air compressor for injecting air into the model to combat wildlife; A diaphragm for generating vibrations for exterminating wild animal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ound generator, the search light, the air computer, and the diaphragm when the motion sensor senses an object motion.

여기에서,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시하기 위하여 전방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와; 상기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 수신 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기와;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감시 카메라를 원격 제어하는 관리자 시스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Here, a surveillance camera photographing the front to monitor the access of wild animals; An alarm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upon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nd an administrator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urveillance camera while monitoring images taken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또한, 빛 감지를 위한 빛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PIR 센서(열적외선 센서)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음향 발생기는, 초음파 발생기, 야생동물이 혐오하는 복수개의 멜로디를 저장하는 멜로디 IC 및 초음파나 멜로디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퇴치기의 작동 모드로서 모드 1,2,3,4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모드 1인 경우, 상기 빛 감지 센서에 의하여 주야간을 판단하되 주간 판단 시 상기 초음파 발생기, 멜로디 IC 및 스피커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야간 판단 시 상기 초음파 발생기, 스피커 및 서치 라이트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모드 2인 경우, 멜로디 IC, 스피커 및 에어 컴퓨레서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모드 3인 경우 진동판이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모드 4인 경우 야생동물의 습성 및 내성을 고려하여 상기 동작 감지 센서에서 첫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초음파 발생기 및 스피커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두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멜로디 IC 및 스피커가 작동하여 멜로디1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세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멜로디 IC 및 스피커가 작동하여 멜로디2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네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멜로디 IC 및 스피커가 작동하여 멜로디3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motion sensor may be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PIR sensor (thermal infrared sensor), or a microwave sensor, and the sound generator may include an ultrasonic generator, A melody IC for storing a plurality of melodies which the animal dislikes,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n ultrasonic wave or a melody, wherein the operation mode of the eraser is provided with modes 1, 2, 3 and 4, The controller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or, the melody IC, and the speaker to operate in the daytime determination, and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or, the speaker, and the searchlight to operate in the nighttime, , Melody IC, Speaker and Air Compressor to operate, control the diaphragm to operate in Mode 3, and Mode 4 The controller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or and the speaker to operate when the first object mo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in consideration of the wetness and tolerance of wild animals and controls the melody IC and the speaker to operate when the second object is detected to output the melody 1 The melody IC and the speaker are operated to output the melody 2 when the third object movement is detected, and the melody IC and the speaker are operated to output the melody 3 when the fourth object movement is sens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멜로디 IC 작동 시 야생동물의 생태 습성을 고려하여 멜로디 출력 시간을 제어하고, 서치 라이트 또는 진동판 작동 시 야생동물의 생태 습성을 고려하여 서치 라이트 또는 진동판의 출력 세기를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드 1,2,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멜로디 IC에 입력된 복수개의 멜로디 중에서 특정 멜로디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elody outpu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habit of the wild animal during operation of the melody IC, controls the output intensity of the searchlight or the diaphragm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habit of the wild animal during operation of the searchlight or the diaphragm, 2, 3, and 4, and can select a specific melody from a plurality of melodies input to the melody IC.

또한, AC 전원, 배터리 및 건전지 중 어느 하나가 퇴치기 구동 전원으로 사용되고, 배터리 충전을 위한 솔라셀을 구비할 수 있다. Also, any one of an AC power source, a battery, and a battery may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battery, and a solar cell for charging the battery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야생동물이 혐오하는 음향이나 빛, 모형, 진동 등을 이용하여 특정장소에 야생동물이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시킴으로써 과수 또는 농작물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ild animals from approaching wild animals in a specific place by using sounds, lights, models, and vibrations that are abhorred by wild animals,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wild animals from being damaged by fruits or crops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의 구성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발생기의 구성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관련 구성 개념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ildlife era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monitoring relate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의 구성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발생기의 구성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관련 구성 개념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ildlife el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related to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야생동물이 혐오하는 음향이나 빛, 모형, 진동 등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특정장소에 야생동물이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The wildlife el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o as to effectively combat wildlife by totally blocking the approach of wild animals to specific places by using sounds, lights, models, and vibrations, which are disliked by wild animals It is the technical poin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크게 동작 감지 센서(110), 음향 발생기(120), 서치 라이트(130), 에어 컴퓨레서(140), 진동판(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he wildlife el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detection sensor 110, a sound generator 120, a searchlight 130, an air compressor 140, a diaphragm 150, (160).

상기 동작 감지 센서(110)는 야생동물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하여 특정장소에 설치되는데 야생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동작 감지 센서(11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PIR 센서(열적외선 센서) 및 도플러 레이더 방식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10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o block access to wildlife, and detects motion of the object to detect wild animals. At this time, the motion sensor 110 may b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PIR sensor (thermal infrared sensor), and a microwave sensor using a Doppler radar system.

초음파 센서를 적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사람의 귀에 들리지 않을 정도로 높은 주파수(약 20KHz 이상)의 소리인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한다. For example, when an ultrasonic sensor is applied, the approach of a wild animal is detected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ultrasonic waves which are high frequency (about 20 KHz or more) that is not heard by the human ear.

그 원리를 살펴보면, 두께 2∼3μm의 진동막에 전압을 가하면 초음파가 발생하고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다시 이 진동자에 의하여 감지한다. 물체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반사하여 되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물체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이 ON 상태에서 야생동물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거리를 설정한 후 초음파로 야생동물을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 diaphragm having a thickness of 2 to 3 μm, the ultrasonic wave is generated, and the ultrasound wave reflected by the object is reflected back to the object. The longer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the longer it takes to reflect and return to the object. For example, when the power is on, a certain distance can be set to prevent access to wild animals, and ultrasound can be used to detect access to wild animals.

상기 음향 발생기(120)는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소정의 음향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음향 발생기(120)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생기(122), 야생동물이 혐오하는 복수개의 멜로디를 저장하는 멜로디 IC(124) 및 초음파 발생기(122)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나 멜로디 IC(124)의 멜로디를 출력하는 스피커(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ound generator 120 outputs a predetermined sound to kill wild animals. 2, the sound generator 120 includes an ultrasound generator 122, a melody IC 124 for storing a plurality of melodies that the wild animals dislike, and an ultrasound generator 122 And a speaker 126 for outputting a melody of the ultrasonic wave or the melody IC 124. [

참고적으로, 상기 멜로디 IC(124)는 천적의 울음소리나 상위 포식자의 멜로디, 고함소리, 박수소리, 웃음소리, 총소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melody IC 124 may store a cry of a nemesis, a melody of an upper predator, a shout, an applause, a laugh, a gun,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스피커(126)는 초음파용 스피커와 멜로디용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peaker 126 may include an ultrasonic speaker and a melody speaker.

상기 서치 라이트(130)는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야생동물이 혐오하는 소정의 빛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서치 라이트(130)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고휘도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archlight 130 outputs predetermined light that a wild animal dislikes in order to combat wildlife. At this time, the searchlight 130 preferably uses a high-brightness L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상기 에어 컴퓨레서(140)는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특정장소에 설치된 사람 등의 모형물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The air compressor 140 is installed to inject air into a model such as a person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in order to combat wild animals.

상기 진동판(150)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야생동물이 혐오하는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동작 감지 센서(110)에서 야생동물이 움직이는 것이 감지되면 감지 범위에서 1미터 가량의 범위를 설정하여 진동판(150)이 작동함으로써 지진이 발생하기 전 예진이 발생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창출하여 야생동물을 퇴치시킬 수 있다. The diaphragm 150 is installed so as to generate a predetermined vibration which is disgusted by wild animals in order to combat wild animals. For example,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10 senses the movement of wild animals, a range of about 1 meter is set in the detection range, and the diaphragm 150 is operated to create an effect similar to the occurrence of the pre-earthquake before the earthquake occurs So that wild animals can be eliminated.

상기 제어부(160)는 본 퇴치기의 컨트롤러로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110)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음향 발생기(120), 서치 라이트(130), 에어 컴퓨레서(140) 및 진동판(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sound generator 120, the searchlight 130, the air compressor 140, and the diaphragm 150 ) To operate.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날씨나 주변 상황에 따라 AC 전원, 배터리 및 건전지 중 어느 하나가 퇴치기 구동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솔라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솔라셀은 퇴치기 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생산한다. 즉, 반도체 소자인 태양전지(solar cells) 수십 개가 직,병렬로 연결되어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장치이다. 예를 들면, 국내의 평균 일조 시간인 3.5hr을 적용하고 필요 발전량(W)과 발전 효율(1.2) 등을 적용하게 되면 20~40W급 태양광 발전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AC power source, the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used as a driving power source for the fire extinguisher and a solar cell (not shown) for charging the battery. For reference, the solar cell absorbs light energy so that it can be used as a driving power source of the eliminator,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 energy to produce electric energy. In other words, dozens of solar cells, which are semiconductor devic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to convert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For example, 20 ~ 40W class PV modules can be applied if the average sunshine time of 3.5hr is applied and the necessary power generation (W) an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1.2) are appli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감시 카메라(170), 경보기(180) 및 관리자 시스템(1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3, the wildlife el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rveillance camera 170, an alarm 180 and an administrator system 19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monitor the current situation in real time .

상기 감시 카메라(170)는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시하기 위하여 특정장소의 전방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The surveillance camera 170 is installed in order to monitor the approach of wild animals in real time in front of a specific place.

상기 경보기(180)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120)로부터 무선 통신 등을 통하여 감지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소정의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The alarm 180 outputs a predetermined alarm signal when i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like.

상기 관리자 시스템(190)은 상기 감시 카메라(17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감시 카메라(170)를 원격 제어한다. The manager system 190 remotely controls the surveillance camera 170 while monitoring the images photographed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170 in real tim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빛을 감지하여 주야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빛 감지 센서(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wildlife el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 detection sensor 112 for detecting light and determining day and nigh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작동 모드로서 모드 1,2,3,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wildlife el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modes 1, 2, 3, and 4 as operation modes so that the wildlife eliminato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as needed.

먼저, 모드 1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빛 감지 센서(112)에 의하여 주야간을 판단하되 주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초음파 발생기(122), 멜로디 IC(124) 및 스피커(126)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irst, in the mode 1,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he day and night by the light sensor 112. If it is determined as the daytime, the ultrasonic generator 122, the melody IC 124, and the speaker 126 operate Can be controlled.

한편, 야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초음파 발생기(122), 스피커(126) 및 서치 라이트(13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o be the nighttime, the ultrasound generator 122, the speaker 126, and the searchlight 13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둘째로, 모드 2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멜로디 IC(124), 스피커(126) 및 에어 컴퓨레서(14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 고함 소리가 출력됨과 아울러 에어 컴퓨레서(140)에 연결된 사람 모양의 모형물에 에어가 주입됨으로써 야생동물의 청각 및 시각을 통해 야생동물을 아주 효과적으로 퇴치시킬 수 있다. Secondly, in mode 2,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melody IC 124, the speaker 126, and the air computer 140 to operate. For example, air is injected into a human-shaped model connected to the aircomputer 140 in addition to the output of a human shout, so that wild animals can be very effectively eliminated through the hearing and sight of wild animals.

셋째로, 모드 3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진동판(1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야생동물이 지진을 감지하는 능력을 이용하여 야생동물을 퇴치시키기 위함이다. Thirdly, in mode 3,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diaphragm 150 to operate. That is, wildlife is used to fight off wildlife using its ability to sense earthquakes.

넷째로, 모드 4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야생동물의 습성 및 내성을 고려하여 상기 동작 감지 센서(110)에서 첫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에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122) 및 스피커(126)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두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에는 상기 멜로디 IC(124) 및 스피커(126)가 작동하여 멜로디1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세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에는 상기 멜로디 IC(124) 및 스피커(126)가 작동하여 멜로디2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네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에는 상기 멜로디 IC(124) 및 스피커(126)가 작동하여 멜로디3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동작 감지 센서(110)에서 야생동물이 감지되는 순간부터 퇴치기의 작동에 의해 야생동물이 도망가서 감지가 되지 않는 순간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야생동물의 습성 및 내성 등을 고려하여 사이클 1에는 초음파를 출력하고, 사이클 2에는 멜로디1을 출력하고, 사이클 3에는 멜로디2를 출력하고, 사이클 4에는 멜로디3을 출력하는 것이다. Fourth, in mode 4,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or 122 and the speaker 126 to operate when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is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110, considering the wetness and immunity of wild animals. . When the second object movement is detected, the melody IC 124 and the speaker 126 are operated to output the melody 1. When the third object movement is detected, the melody IC 124 and the speaker 126 are operated to output the melody 2. When the fourth object movement is detected, the melody IC 124 and the speaker 126 are operated to output the melody 3.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process from the moment the wildlife is sens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10 to the moment when the wildlife escapes and is not detected by the action of the exterminator, the cycle 1 The melody 1 is outputted in the cycle 2, the melody 2 is outputted in the cycle 3, and the melody 3 is outputted in the cycle 4, respectivel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모드 1,2,3,4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보다 편리하게 야생동물을 퇴치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ildlife el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one of modes 1, 2, 3,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멜로디 IC(124) 작동 시 야생동물의 생태 습성을 고려하여 멜로디의 출력 시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wildlife era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output time of the melody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habit of the wild animal when the melody IC 124 is oper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야생동물의 생태 습성을 고려하여 서치 라이트(130) 또는 진동판(150)의 출력 세기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ldlife era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output intensity of the searchlight 130 or the diaphragm 150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habit of wildlif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사용자가 제어부(160)와 관리자 시스템(190)에서 상기 모드 1,2,3,4 중 어느 하나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멜로디 IC(124)에 입력된 복수개의 멜로디 중에서 특정 멜로디를 선택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wildlife el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select one of the modes 1, 2, 3, and 4 in the controller 160 and the administrator system 190, It is possible to select a specific melody from a plurality of melodies input to the input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감지 센서(110)에서 야생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야생동물이 혐오하는 음향이나 빛, 모형, 진동 등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야생동물이 과수나 농작물 등에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야생동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퇴치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110 senses the movement of wild animals, the wild animals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drinking water,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mbat wildlife by blocking access at its source.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는 제어부(160)에 별도 스위치를 구비하여 스위치 "ON"시 레이저 포인터가 감지 범위의 상,하,좌,우 끝점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퇴치기의 감지 범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wildlife elim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e switch in the controller 160 so that the laser pointer is displayed at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end points of the detection rang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 The range can easily be confirm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퇴치기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may be made.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동작 감지 센서 120 : 음향 발생기
122 : 초음파 발생기 124 : 멜로디 IC
126 : 스피커 130 : 서치 라이트
140 : 에어 컴퓨레서 150 : 진동판
160 : 제어부 170 : 감시 카메라
180 : 경보기 190 : 관리자 시스템
110: Motion detection sensor 120: Sound generator
122: Ultrasonic generator 124: Melody IC
126: Speaker 130: Searchlight
140: Air Compressor 150: Diaphragm
160: control unit 170: surveillance camera
180: an alarm 190: an administrator system

Claims (5)

야생동물 퇴치기로서,
야생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110)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기(120)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빛을 출력하는 서치 라이트(130)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모형물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컴퓨레서(140)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150)과;
상기 동작 감지 센서(110)에서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음향 발생기(120), 서치 라이트(130), 에어 컴퓨레서(140) 및 진동판(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퇴치기.
As a wildlife eradicator,
A motion detection sensor 110 for detecting an object movement to detect a wild animal;
A sound generator 120 for outputting sounds to combat wild animals;
A search light 130 for outputting light to combat wild animals;
An air compressor 140 for injecting air into the model to prevent wild animals;
A diaphragm 150 for generating vibrations to combat wild animals;
A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ound generator 120, the searchlight 130, the air computer 140 and the diaphragm 150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10 senses an object motion The wild-type herbicide according to claim 1,
청구항 1에 있어서,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시하기 위하여 전방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170)와;
상기 동작 감지 센서(120)로부터 감지 신호 수신 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기(180)와;
상기 감시 카메라(17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면서 감시 카메라(170)를 원격 제어하는 관리자 시스템(19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퇴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rveillance camera 170 for photographing the front to monitor the access of wild animals;
An alarm 180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upon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20;
Further comprising an administrator system (190)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urveillance camera (170) while monitoring an image taken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170).
청구항 1에 있어서,
빛 감지를 위한 빛 감지 센서(112)를 더 구비하되,
상기 동작 감지 센서(11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PIR 센서(열적외선 센서)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음향 발생기(120)는, 초음파 발생기(122), 야생동물이 혐오하는 복수개의 멜로디를 저장하는 멜로디 IC(124) 및 초음파나 멜로디를 출력하는 스피커(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퇴치기의 작동 모드로서 모드 1,2,3,4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160)는 모드 1인 경우, 상기 빛 감지 센서(112)에 의하여 주야간을 판단하되 주간 판단 시 상기 초음파 발생기(122), 멜로디 IC(124) 및 스피커(126)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야간 판단 시 상기 초음파 발생기(122), 스피커(126) 및 서치 라이트(13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모드 2인 경우, 상기 멜로디 IC(124), 스피커(126) 및 에어 컴퓨레서(14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모드 3인 경우 상기 진동판(1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모드 4인 경우 야생동물의 습성 및 내성을 고려하여 상기 동작 감지 센서(110)에서 첫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초음파 발생기(122) 및 스피커(126)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두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멜로디 IC(124) 및 스피커(126)가 작동하여 멜로디1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세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멜로디 IC(124) 및 스피커(126)가 작동하여 멜로디2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네번째 물체 움직임 감지 시 상기 멜로디 IC(124) 및 스피커(126)가 작동하여 멜로디3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퇴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ght sensing sensor 112 for sensing ligh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10 is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PIR sensor (thermal infrared sensor), and a microwave sensor,
The sound generator 120 includes an ultrasonic generator 122, a melody IC 124 for storing a plurality of melodies which a wild animal dislikes, and a speaker 126 for outputting an ultrasonic wave or a melody,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e extinguisher is provided with modes 1, 2, 3 and 4,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ultrasound generator 122, the melody IC 124, and the speaker 126 to operate during the day of the week, while determining the day and night by the light sensor 112 in the mode 1, And controls the ultrasonic generator 122, the speaker 126, and the searchlight 130 to operate in the nighttime,
Mode 2, the melody IC 124, the speaker 126, and the air computer 140 are operated,
And controls the diaphragm 150 to operate in mode 3,
Mode 4, the ultrasonic generator 122 and the speaker 126 are controlled to be operated when the first object mo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10 in consideration of the wetness and immunity of the wild animal, and when the second object motion is detected, The IC 124 and the speaker 126 are controlled to output the melody 1 and the melody IC 124 and the speaker 126 are operated to output the melody 2 when the third object movement is detected, And controls the melody IC (124) and the speaker (126) to operate so as to output the melody (3) upon detec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는 멜로디 IC(124) 작동 시, 야생동물의 생태 습성을 고려하여 멜로디 출력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서치 라이트(130) 또는 진동판(150) 작동 시 야생동물의 생태 습성을 고려하여 서치 라이트(130) 또는 진동판(150)의 출력 세기를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드 1,2,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멜로디 IC(124)에 입력된 복수개의 멜로디 중에서 특정 멜로디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퇴치기.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melody IC 124 is operated,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melody outpu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habit of the wild animal,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utput intensity of the searchlight 130 or the diaphragm 150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habit of the wild animal when the searchlight 130 or the diaphragm 150 operates,
Wherein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modes 1, 2, 3, and 4, and can select a specific melody from a plurality of melodies input to the melody IC 124.
청구항 1에 있어서,
AC 전원, 배터리 및 건전지 중 어느 하나가 퇴치기 구동 전원으로 사용되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솔라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퇴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AC power source, the battery, and the battery is used as the power source for the preventer,
And a solar cell for charging the battery.
KR1020150005291A 2015-01-13 2015-01-13 Animal extirpator Active KR101717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291A KR101717045B1 (en) 2015-01-13 2015-01-13 Animal extirp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291A KR101717045B1 (en) 2015-01-13 2015-01-13 Animal extirp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102A true KR20160087102A (en) 2016-07-21
KR101717045B1 KR101717045B1 (en) 2017-03-16

Family

ID=5668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5291A Active KR101717045B1 (en) 2015-01-13 2015-01-13 Animal extirp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04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162A (en) * 2016-12-13 2018-06-2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expelling animals based on image recognition
CN108917936A (en) * 2018-07-05 2018-11-30 佛山正能光电有限公司 A kind of motion detection module and starter
KR102211636B1 (en) * 2019-08-07 2021-02-03 대한민국 Pest control system for emergency shelters
KR20210026730A (en) * 2019-09-02 2021-03-10 이영우 Fence remote administrating system
CN115019796A (en) * 2022-06-01 2022-09-06 惠州市可好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table and intelligent voic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75835B1 (en) * 2023-02-10 2023-09-07 주식회사 금토 Apparatus for preventing wildlife access
KR20230169695A (en) 2022-06-09 2023-12-18 김병필 Harmful animal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982B1 (en) * 2018-06-25 2019-02-01 주식회사 포어스 Apparatus for preventing invasion of wild animal
KR101975477B1 (en)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KR102450393B1 (en) 2020-09-15 2022-09-30 임종민 pest control device
KR102728111B1 (en) 2021-11-05 2024-11-07 임종민 Apparatus for driving away of harmful anim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043A (en) * 2000-03-20 2001-09-29 허상록 Bird control
KR20120008305A (en) * 2010-07-16 2012-01-30 (주)서일 Hazardous Tide Elimination Device
KR20120115669A (en) * 2011-04-11 2012-10-19 한국필터 주식회사 Device for driving away harmful animal and bird
KR20130033054A (en) 2011-09-26 2013-04-03 이승노 The animal extirpator using sound wa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043A (en) * 2000-03-20 2001-09-29 허상록 Bird control
KR20120008305A (en) * 2010-07-16 2012-01-30 (주)서일 Hazardous Tide Elimination Device
KR20120115669A (en) * 2011-04-11 2012-10-19 한국필터 주식회사 Device for driving away harmful animal and bird
KR20130033054A (en) 2011-09-26 2013-04-03 이승노 The animal extirpator using sound wav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162A (en) * 2016-12-13 2018-06-2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expelling animals based on image recognition
CN108917936A (en) * 2018-07-05 2018-11-30 佛山正能光电有限公司 A kind of motion detection module and starter
KR102211636B1 (en) * 2019-08-07 2021-02-03 대한민국 Pest control system for emergency shelters
KR20210026730A (en) * 2019-09-02 2021-03-10 이영우 Fence remote administrating system
CN115019796A (en) * 2022-06-01 2022-09-06 惠州市可好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table and intelligent voic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69695A (en) 2022-06-09 2023-12-18 김병필 Harmful animal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KR102575835B1 (en) * 2023-02-10 2023-09-07 주식회사 금토 Apparatus for preventing wildlife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045B1 (en)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045B1 (en) Animal extirpator
US11793190B1 (en) Automatic animal detection and deterrent system
KR101251867B1 (en) Adaptive apparatus extirpating the nocturnal animal for protecting farm products, and control terminal for adaptive apparatus extirpating the nocturnal animal
KR101986222B1 (en) Vermin Prevention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with Sound Detection
KR101911312B1 (en) Harmful animal repeller having a ultra cardioid directivity loudspeaker being rotated toward a direction of detected sound
US20120286956A1 (en) Bird repelling device
JP3177796U (en) Pest control equipment
KR101740714B1 (en) Apparatus for prohibiting steeling corp produce and repelling animals of farm and the method thereof
KR102295743B1 (en) System of control and remote monitoring for wild animal and bird extermination
JP3187091U (en) Pest repelling device
KR102359626B1 (en) Harmful Tide Eliminator
KR20200096747A (en) Harmful wildlife eradicating equipment
KR101537441B1 (en) Bird fight against the system
KR20090109015A (en) Multifunctional mobile wildlife repellent with unmanned surveillance system
CN102396447A (en) Photoelectric target recognition bird repeller and bird repelling method
Yauri et al.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Bird Repellent System using Sound Emission
Meenakshi et al. Animal intrusion detection and ranging system using YOLOv4 and LoRa
Chitra et al. Animals detection system in the farm area using iot
GB2254464A (en) Audible alarms
Rani et al. AI based scarecrow preventing from crop vandalization
CN113767894A (en) A bird repelling device based on radar detection
KR101447967B1 (en) Harmful animal defeating device using New Renewable Energy
KR20150080070A (en) The wildlife automatic chase system of energy saving mode, mounted with the solar energy generation
JP2012110269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nvasion of wildlife
KR102549455B1 (en) Boar eradication system using LED light-emitting ro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