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452A -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a method for oprating it - Google Patents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a method for oprat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2452A KR20160082452A KR1020140193294A KR20140193294A KR20160082452A KR 20160082452 A KR20160082452 A KR 20160082452A KR 1020140193294 A KR1020140193294 A KR 1020140193294A KR 20140193294 A KR20140193294 A KR 20140193294A KR 20160082452 A KR20160082452 A KR 201600824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system
- temporary key
- temporary
- key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차량 시스템과 연동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스템 제어에 대한 권한을 나타내는 원본 키를 저장하는 단계; 주변에 위치한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원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시스템의 임시 운행을 위한 인증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임시 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키 데이터를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that is interlocked with a vehicle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a source key representing an authority to the vehicle system control; Identifying a temporary key issuance target terminal located nearby;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key for temporary operation of the vehicle system using the original key; Generating temporary key data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key; And transmitting the temporary key data to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시스템 제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시스템 제어 권한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vehicle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vehicle system control authority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자동차의 보급이 늘면서 자동차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잡아가고 있으며, 차량 시스템 관리 및 유지와 관련하여 편리한 자동차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As the spread of automobiles increases, automobiles are becoming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and the demand for convenient automobile service related to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vehicle system is increasing.
한편, 자동차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의 자동차의 중요부분들의 제어는 대부분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장치들로부터 전자적인 제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technology of automobiles develops, the control of the important parts of the present automobiles is mostly performed by electronic control. Therefore, devices capable of acquiring information of various vehicles as well as electronic control from such devices and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the driver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and used.
특히, 최근에는 운전자를 위한 차량 시스템 옵션들이 세분화 되고 있으며, 다양한 차량 시스템 내 편의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차량 시스템 내 편의 장치는 엔진제어 모듈, 도어 모듈, 메모리 시스템 모듈, AVN 모듈, 공조 시스템 모듈 등에 의해 설정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운전석 조절, AVN의 선호 라디오 기능, 음악 폴더 설정, 실내 온도 설정, 도어 설정, 라이팅 설정 등의 다양한 차량 시스템 내 편의 설정들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천편 일률적이던 기존의 차량 시스템 환경과 달리, 차량 시스템 내 편의 설정들의 세분화로 인해 운전자별로 전혀 다른 환경을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vehicle system options for drivers have been subdivided, and convenience devices in various vehicle systems have been provided. The convenience device in the vehicle system enables setting adjustment by the engine control module, the door module, the memory system module, the AVN modul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module and the like. For example, it has become possible to set various settings in the vehicle system such as user's driver's seat adjustment, AVN's preferred radio function, music folder setting, indoor temperature setting, door setting, lighting setting and the like.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vehicle system environment, which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set a completely different environment for each driver due to the subdivision of settings in the vehicle system.
특히, 차량 시스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와 같은 차량 시스템에 부가되는 기능들이 복잡 다양화 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복잡한 설정 및 기능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통해 차량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Particular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vehicle system technology, functions added to such a vehicle system have been diversified in complexity. In order to facilitate complicated setting and functions in response to this, a vehicle system can be controll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Technology is emerging.
한편, 일반적으로 발렛 주차(Valet Parking)는 숙박시설이나 식음료서비스, 호텔 등의 서비스 객장에서 현관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의 하나로 도착한 차량 시스템을 전용주차장에 대신하여 주차시켜주는 서비스를 일컫는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valet parking is a service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hotel, such as accommodation, food and beverage service, hotel, etc., and refers to a service for parking the arriving vehicle system in place of a private parking lot.
그러나, 발렛 주차에서는 고객인 차주가 단순히 키를 넘겨주고 수기의 종이주차권 또는 별도의 차량 시스템 번호표 등을 전달받은 후, 직원이 운행하여 주차를 하였다가, 고객의 차량 시스템출차 요구에 응하여 차량 시스템을 출차하여 다시 고객에게 안내하는 서비스 방식이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이 임의로 차량 시스템을 운행하거나, 사고를 내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예견되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많은 사고와 손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valet parking, the customer borrows the key simply by handing over the key, hand paper ticket or a separate vehicle system number, etc. After the employee has parked the car, And a service method of informing the customer again is generally performed. This is not only the fact that the employees who run the business operate the vehicle system arbitrarily, and many problems such as an accident are predicted, and in fact, many accidents and damages occur.
또한 발렛 주차뿐만 아니라, 또한, 대리 운전 서비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차량 시스템 운행이 임시로 이루어지는 상황이 관리되지 못함으로써, 발렛 주차 직원이나 대리 운전 기사들을 감시하거나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차주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valet parking as well as the valet parking service, the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system operation is temporarily performed can not be managed, so that the valet parking staff or the surrogate driver can not be monitored or the status can not be grasped. This is a fact that is being weigh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원본 키를 갖는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임시 키를 생성하여, 타인의 휴대용 단말기로 발급하고, 그 임시 키의 권한을 제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generating a temporary key from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ource key and issuing the temporary key to a portable terminal of another person, The purpose of the method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차량 시스템과 연동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스템 제어에 대한 권한을 나타내는 원본 키를 저장하는 단계; 주변에 위치한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원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시스템의 임시 운행을 위한 인증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임시 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키 데이터를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a vehicle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toring a source key representing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system; ; Identifying a temporary key issuance target terminal located nearby;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key for temporary operation of the vehicle system using the original key; Generating temporary key data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key; And transmitting the temporary key data to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 시스템과 연동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스템 제어에 대한 권한을 나타내는 원본 키를 저장하는 저장부; 주변에 위치한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을 식별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원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시스템의 임시 운행을 위한 인증 키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임시 키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임시 키 데이터를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a vehicle system,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ource key representing authority to control the vehicle system; A commun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key for temporary operation of the vehicle system using the original key, and generating temporary key data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key,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temporary key data to the temporary key To the issuing target terminal.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on in a computer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본 키를 갖는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임시 키를 생성하여, 타인의 휴대용 단말기로 발급하고, 그 임시 키의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렛 주차나 대리 운전 등과 같이 타인이 차량 시스템을 제어하게 되는 경우의 차량 시스템 기능제어를 제한하여 임시 운행만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key is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original key, issu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other person, and the authority of the temporary key can be restric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vehicle system function control in the case where the other person controls the vehicle system, such as valet parking, substitute operation, etc., so that only the temporary oper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임시 키로 임시 운행하는 타인이 권한을 위반하거나 또는 차량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임시 운행을 정지하게 하거나, 차주에게 자동적으로 통보할 수 있어 차주에게 심리적 안정을 부여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사고 발생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in case of temporary violation of authority by a temporary operator or a problem with the vehicle system, the provisional operation can be stopped or automatically notified to the borrower, which can give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borrower, Can be prevented.
도 1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화면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Figure 1 shows an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operation screen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all of the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enabl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in any way to the specifically lis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s well as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thereof.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all elements contempla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irrespective of the currently known equivalents as well as the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e., the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block diagrams herein represent conceptual views of exemplary circuits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 code, and the like are representative of various processes that may be substantially represent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including the functional blocks depicted in the processor or similar concept, may be provided by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저장부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Also, the explicit use of terms such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interpreted exclusively as hardware capable of running software,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non-volatile storage. Other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claims hereof, the elements represented as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 all types of software including,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circuit elements performing the function or firmware / microcode etc. , And is coupled with appropriate circuitry to execute the software to perform the func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s not to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any means capable of providing such functionality, as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various listed means are combined and combined with the manner in which the claims require .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다.Figure 1 shows an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100), 임시 키 발급 대상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 및 차량 시스템(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 overall system including a
휴대용 단말기(100)는 기본적으로 차량 시스템(300)에 대응하여 차량 시스템(300)의 기능을 제어하는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차량 시스템 제어를 위한 원본 키를 저장할 수 있으며, 차량 시스템(300)과 통신을 통해 원본 키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 시스템 제어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The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임시 키 발급 대상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를 식별하고, 상기 원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시스템의 임시 운행을 위한 인증 키를 생성하며,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임시 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임시 키 데이터를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여기서,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보안 등급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안 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 시스템의 운행 가능 거리 및 지역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 시스템의 기능 중 일부에 대해 제어가 제한될 수 있다.Here, the temporary key data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level, and at least one of a travelable distance and an area range of the vehicle system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 In addition, control may be limited for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
또한,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상기 차량 시스템을 일정 시간 동안만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초과된 경우,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orary key data may further include authoriza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vehicle system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그리고,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상기 차량 시스템(300)을 일정 지역에서만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가 상기 일정 지역을 이탈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The temporary key data may further include authoriza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100)와 제2 휴대용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예시될 수 있다.The
한편, 차량 시스템(300)은 차량 시스템(300)의 운행을 위한 복수의 전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키 또는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임시 키에 기초하여 각 전장의 기능 및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기(200)는 차량 시스템과의 인증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연결 방식으로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방식에서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The
특히, 차량 시스템(300)과 외부의 서버(미도시) 등이 통신 가능할 경우, 외부의 서버는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시스템 설정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의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차량 시스템(300) 사이,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the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차량 시스템(300) 인증을 통해 차량 시스템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차량 시스템 제어와 관련된 UI 또는 GUI 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키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저장부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을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buzzer holder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또한, 저장부(160)는 차량 시스템(300) 제어를 위한 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키 정보는 암호화되어 보안 영역에 별도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차량 시스템(300) 제어를 위한 다양한 설정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저장되는 키 정보는 원본 키 데이터, 임시 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임시 키 데이터는 보안 등급 및 권한 정보 및 차량 시스템(300)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key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저장부(16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저장부,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storage unit (for example, an SD or XD storage unit)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storage unit, a magnetic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차량 시스템(300) 시스템 및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부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차량 시스템(300)과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키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차량 시스템 제어, 키 인증,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주변에 위치한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거나, 사용자 입력 또는 설정에 따라 주변에 위치한 차량 시스템(300) 제어를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을 위해, 제어부(180)는 저장부(160)를 제어하여 차량 시스템(300) 제어 권한을 나타내는 원본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차량 시스템(300)과의 암호화된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원본 키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의 제어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제어부(180)는 차량 시스템(300) 제어 권한이 획득되면, 차량 시스템(300) 전장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에 탑승한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는 인증이 완료되면 차주로서 차량 시스템(300)의 각 전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 시스템(300) 설정이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에 대응하여 변경되므로, 차량 시스템(300)에 탑승한 사용자는 별도 조작 없이도 편리하게 설정 및 운행을 시작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예를 들어, 차량 시스템(300)은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장 선택 및 설정값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시스템 전장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주변에 위치한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가 식별되거나,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임시 키 발급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원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시스템의 임시 운행을 위한 인증 키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임시 키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임시 키 데이터를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시스템(300)의 임시 운행을 위한 임시 키 발급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이 일정 거리 이내 위치하거나 접촉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일정 거리 이내 위치하거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 상기 임시 키 데이터를 암호화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보안 등급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 등급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시스템(300)의 운행 가능 거리 및 지역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보안 등급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시스템(300)의 기능 중 일부에 대해 제어가 제한될 수 있다. Here, the temporary key data may further include security level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 travelable distance and an area range of the
한편, 차량 시스템(300)은 인증을 통해 제2 휴대용 단말기(200)의 제어 권한 요청이 수신된 경우, 보안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시스템(300)의 기능 중 일부만을 활성화하고, 다른 일부는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안 등급 정보 설정에 의해, 차량 시스템(300)의 본 주인인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 일정 권한만 갖는 임시 키를 발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authority request of the second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상기 차량 시스템(300)을 일정 시간 동안만 제어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시간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일정 시간이 초과된 경우,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 또는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temporary key data may further include time authorit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또한,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상기 차량 시스템을 일정 지역에서만 제어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지역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가 상기 일정 지역을 이탈한 경우, 제1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 또는 차량 시스템(300)으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The temporary key data may further include local authorit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system can be controlled only in a certain area. When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인증 키의 사용 중지 요청을 상기 차량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시 키 권한을 준 차량 시스템의 주인은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제2 휴대용 단말기(200)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행을 강제로 정지시키거나 주변 위치에 주차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The
한편, 임시 키 데이터를 수신한 제2 휴대용 단말기(20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차량 시스템(300)의 제어 권한을 획득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식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과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 기능의 일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차량 시스템(300) 기능의 일부가 활성화되면, 제2 휴대용 단말기(200)의 사용자도 차량 시스템을 임시적으로 운행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제2 휴대용 단말기(200)의 세부 구성은 상술한 지역 설정 또는 시간 설정을 위반한 경우,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구성 외의 기본 구성은 차량 시스템 주인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econ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차량 시스템(300)은 통신부(310), 제어부(320), 복수의 전장 모듈(360), 전장 제어부(ECU, 350) 및 키 인증부(330)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시스템(300)은 사용자 입력부, 센서부 및 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통신부(310)는 차량 시스템(3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차량 시스템(300)과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 user input unit (not shown) generates a user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서부(미도시)는 차량 시스템(300)의 주변에 위치한 탑승자(300)를 센싱할 수 있고, 이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어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not shown) may sense the
또한, 센서부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32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는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을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통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탑승자 식별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Further, the sensor unit can proces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transmitted to the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및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tactile, etc.,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 audio output module, an alarm unit, and a haptic module.
디스플레이부는 차량 시스템(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 시스템 설정에 따른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3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차량 시스템 설정 값, 센싱 데이터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not shown)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제어부(320)는 통상적으로 차량 시스템(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원본 키 데이터 또는 임시 키 데이터를 키 인증부(330)로 전달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인증 결과에 따라 단말기(100 or 200)의 차량 시스템 제어 권한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어 권한 확인에 따라 복수의 전장 모듈(360)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활성화하고, 그 값을 설정하도록 ECU(전장 제어부, 350)를 제어할 수 있다.The
ECU(350)는 제어부(3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대상 전장(360)의 모듈을 특정하고, 상기 대상 전장 모듈로 설정값을 전달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모듈로써, 일반적으로 Electronic Control Module로 호칭될 수 있다.The
여기서, 전장(360)은 복수 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모듈은 각각 차량 시스템(300) 내 편의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장(360)은 엔진제어 모듈, 도어 모듈, 통합 메모리 시스템 모듈, AVN 모듈, 공조시스템 및 TFT 클러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엔진 제어 모듈(Engine management System, EMS) 모듈은 시동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모듈일 수 있다.The Engine Management System (EMS) module may be a module that controls on / off of the start-up.
도어 모듈(Drive Door Module, DDM)은 차량 시스템의 도어를 잠금/해제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The door module (DDM) may be a module for locking / unlocking the door of a vehicle system.
또한, 통합 메모리 시스템 모듈(Integrated Memory System, IMS)은 제어부(320)에서 전달된 설정값에 따라 운전 위치를 조정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메모리 시스템 모듈은 운전자 시트, 사이드 미러, 스티어링 컬럼 의 설정값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통합 메모리 시스템 모듈은 제어부(320)에서 설정된 탑승자 맞춤형 설정값에 따라 운전자 시트, 사이드 미러, 스티어링 컬럼을 조정함으로써, 인증된 휴대용 단말기(100, 200)의 사용자에 맞는 최적의 환경을 매 탑승시마다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emory system module (IMS) may adjust the opera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set value transmitted from the
에이브이엔(AVN) 모듈은 차량 시스템 내 편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음성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AVN 모듈에서 지원하는 차량 시스템 내 편의 기능으로는, 멀티미디어 재생, 경로 탐색, 검색 기능, 운전자 인식 정보 제공 등이 있을 수 있다.AVN (AVN) module can provide display and voice output to support convenience functions in vehicle system. Among the functions in the vehicle system supported by the AVN module are multimedia playback, route search, search function, and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공조 시스템은 운전자별 공조 정보를 자동 세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예로 운전자별 바람 출구, 외기온도에 따른 선호 온도를 미리 세팅하거나, 차량 시스템 내 온도에 따라 에어컨 및 열선 시트/스티어링을 가동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for automatically setting air-conditioning information for each driver.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sets the preferre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wind exit and the outside temperature of each driver in advance, or operates the air conditioner and the hot seat / steering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 the vehicle system. can do.
TFT 클러스터 모듈은 운전 모드에 따라, 스킨 변경 모드, 조명 조절 모드, 고령자 모드 등을 제어하여, 각 모드별로 운전자가 선호하는 유형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e TFT cluster module can control the skin change mode, the illumination adjustment mode, the elderly mod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o that the driver can be controlled to the preferred type for each mode.
키 인증부(330)는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임시 키 발급 대상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암호화된 키 데이터를 수신하고, 키 데이터를 해독하여 복호화된 키 정보를 획득한다. 키 정보는 키가 원본 키인지 또는 임시 키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정보에 임시 키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키 정보는 상기 임시 키에 대응되는 보안 등급 정보, 지역 권한 정보 또는 시간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key authentication unit 330 receives the encrypted key data from the
이와 같은 키 인증부(330)에서 획득되는 키 정보는 제어부(32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보안 등급에 따라 복수의 전장 모듈(360)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거나 일부 모듈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The key information obtained by the key authentication unit 330 may be transmitted to the
또한, 권한 정보를 위반하여 차량 시스템(300)이 이동하거나 동작하는 경우, 차량 시스템(300) 자체적으로도 휴대용 단말기(100)로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지역 권한 정보에 대응하여, 차량 시스템(300)이 지역 권한에 대응되는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310)를 통해 원본 키를 갖는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그리고, 제어부(320)는 지역 권한 정보에 대응하여, 차량 시스템(300)이 지역 권한에 대응되는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310)를 통해 원본 키를 갖는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100)는 원본 키를 저장한다(S101).Referring to FIG. 4, first, the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의 보안 영역에 원본 키에 대응되는 키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키 정보는 예를 들어,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문자 코드 정보이거나, 소수값의 곱으로 이루어진 특정 숫자이거나, 바이너리 코드일 수 있으며, 공개 키 방식 또는 대칭키 방식으로 생성되는 암호화 키에 대응될 수 있다.The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임시 키 발급 요청을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다(S103).Then, the
휴대용 단말기(100)는 차량 시스템을 임시 운행하고자 하는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인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임시 키 발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수신된 임시 키 발급 요청에 따라 임시 키 권한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S105), 확인 결과에 따라 임시 키에 대응되는 권한을 설정한다(S107). The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임시 키에 대응되는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권한 설정에 따라, 임시 키에 대응되는 보안 등급, 시간 권한 또는 지역 권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임시 키 데이터는 보안 등급 정보, 시간 권한 정보 또는 지역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에 따라, 설정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180)는 차량 시스템의 임시 운행을 위한 인증 키를 생성하고(S109), 생성된 인증 키를 전송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임시 키 데이터를 생성한다(S111). Accordingly, 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제어부(180)는 상술한 권한 정보를 인증 키에 포함시켜 암호화 또는 통신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인증 키와 별도로 권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설정된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키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차량 시스템(300)에서 인증 가능한 인증 키를 생성하기 위해, 원본 키의 전부 또는 일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키는 원본 키를 해독 가능한 차량 시스템(300)에서도 해독 가능하도록 암호화될 수 있다. 또한, 임시 키는 원본 키에 저장된 코드 정보의 일부를 포함함으로써, 차량 시스템(300)에서 임시 키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이후, 임시 키 데이터가 생성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임시키 발급 대상 단말(200)로 임시 키 데이터를 전송한다(S113).Thereafter, when the temporary key data is generated, the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 임시 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임시 키 데이터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송되거나,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통신구간의 암호화가 별도로 더 수행될 수 있다.The
이후, 임시 운행이 개시되며, 임시 운행 중 권한 위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경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S115), 이 경우 임시 운행 제어 화면을 표시하고, 그 제어 화면 조작에 따라 임시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S117).Thereafter, when the temporary operation is started and the permission violation occurs during the temporary operation, the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화면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operation screen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임시 운행 권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5, FIG. 5 shows a temporary operation right setting interface of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임시 운행 요청이 수신되면,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보안 등급, 시간 권한 또는 지역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임시 운행 권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5, when the temporary driv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도 5에서의 보안 등급 설정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의 전장 모듈(360)의 일부 기능만 활성화되도록 권한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제어 모듈, 도어 모듈 및 공조시스템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authority may be set to activate only some functions of the
또한 시간 권한 또는 지역 권한 설정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을 운행 가능한 시간 또는 지역 권한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로부터 2시간만 운행 가능하도록 설정되거나, 현재 지역으로부터 반경 2KM이내에서만 운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or area authority for operating the
이에 따라, 각 설정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는 임시 키 발급 버튼을 터치 입력함으로써 제2 휴대용 단말기(200)로 임시 키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each setting is completed, the user can control to transmit the temporary key data to the second
한편, 도 6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임시 운행 제어 화면을 나타낸다.6 shows a temporary operation control screen displayed o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임시 운행 차량 시스템(300)이 보안 등급, 시간 권한 또는 지역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위반하거나 차량 시스템(300) 도난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경고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경고 메시지는 차량 시스템(300)에서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제2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시스템(30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기(200)는 주기적으로 현재 차량 시스템(300)의 위치 정보 및 운행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권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시 운행 제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차주는 임시 운행 제어 화면에서 차량 시스템(3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임시 운행 중단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임시 운행 중단 메뉴가 선택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인터넷망 또는 이동 통신망 등을 통해 제2 휴대용 단말기(200) 또는 차량 시스템(300)으로 임시 운행 중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시스템(300)은 엔진을 중지시키거나, 주변 일정 지역으로 이동하여 주차하도록 차량 시스템(300)을 자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본 키를 갖는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임시 키를 생성하여, 타인의 휴대용 단말기로 발급하고, 그 임시 키의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렛 주차나 대리 운전 등과 같이 타인이 차량 시스템을 제어하게 되는 경우의 차량 시스템 기능제어를 제한하여 임시 운행만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임시 키로 임시 운행하는 타인이 권한을 위반하거나 또는 차량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임시 운행을 정지하게 하거나, 차주에게 자동적으로 통보할 수 있어 차주에게 심리적 안정을 부여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사고 발생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key is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original key, issu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other person, and the authority of the temporary key can be restric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vehicle system function control in the case where the other person controls the vehicle system, such as valet parking, substitute operation, etc., so that only the temporary operation can be performed. Also, in case of temporary violation of authority by a temporary operator or a problem with the vehicle system, the provisional operation can be stopped or automatically notified to the borrower, which can give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borrower, Can be prevented.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 ,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abov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차주의 휴대용 단말기
200: 임시 키 발급 대상 휴대용 단말기
300: 차량 시스템100: Portable terminal of the borrower
200: portable key terminal to which a temporary key is issued
300: Vehicle system
Claims (18)
상기 차량 시스템 제어에 대한 권한을 나타내는 원본 키를 저장하는 단계;
주변에 위치한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원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시스템의 임시 운행을 위한 인증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임시 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키 데이터를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1. A method for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a vehicle system,
Storing a source key indicative of authority to the vehicle system control;
Identifying a temporary key issuance target terminal located nearby;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key for temporary operation of the vehicle system using the original key;
Generating temporary key data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key; And
And transmitting the temporary key data to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보안 등급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key data further includes a security level.
상기 보안 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 시스템의 운행 가능 거리 및 지역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a travelable distance and an area range of the vehicle syste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
상기 보안 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 시스템의 기능 중 일부에 대해 제어가 제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is limited to a part of functions of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상기 차량 시스템을 일정 시간 동안만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key data further includes authoriza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vehicle system on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일정 시간이 초과된 경우,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상기 차량 시스템을 일정 지역에서만 제어할 수 있는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visional key data further includes authoriza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vehicle system only in a certain area.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이 상기 일정 지역을 이탈한 경우,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when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leaves the predetermined area.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시스템의 임시 운행을 위한 임시 키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이 일정 거리 이내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거리 이내 위치한 경우,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 상기 임시 키 데이터를 암호화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temporary key issuing request for temporary operation of the vehicle system from the temporary key issuing terminal,
Wherein the transmitting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d transmitting the temporary key data to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through encrypt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temporary key data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인증 키의 사용 중지 요청을 상기 차량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o the vehicle system, a request to stop using the authentication key according to user input.
상기 차량 시스템 제어에 대한 권한을 나타내는 원본 키를 저장하는 저장부;
주변에 위치한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을 식별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원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시스템의 임시 운행을 위한 인증 키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 키를 포함하는 임시 키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임시 키 데이터를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1. A portable terminal operatively associated with a vehicle system,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ource key representing an authority for the vehicle system control;
A commun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And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key for temporary operation of the vehicle system using the original key and generating temporary key data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key,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temporary key data to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보안 등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 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 시스템의 운행 가능 거리 및 지역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휴대용 단말기.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emporary key data further includes a security level, and at least one of a travelable distance and an area range of the vehicle syste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
상기 보안 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 시스템의 기능 중 일부에 대해 제어가 제한되는 휴대용 단말기.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is limited to a part of the functions of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상기 차량 시스템을 일정 시간 동안만 제어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시간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초과된 경우,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emporary key data further includes time authorit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system can be controll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ceives a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temporary key issuing terminal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상기 임시 키 데이터는 상기 차량 시스템을 일정 지역에서만 제어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지역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이 상기 일정 지역을 이탈한 경우,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emporary key data further includes local authorit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hicle system can be controlled only in a certain area, and when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leaves the predetermined area, the temporary key issuing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상기 통신부는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시스템의 임시 운행을 위한 임시 키 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이 일정 거리 이내 위치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일정 거리 이내 위치한 경우, 상기 임시 키 발급 대상 단말로 상기 임시 키 데이터를 암호화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temporary key issuing request for temporary operation of the vehicle system from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temporary key data to the temporary key issuing target terminal through the encrypted short- .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인증 키의 사용 중지 요청을 상기 차량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quest to stop the use of the authentication key to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 user inp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3294A KR20160082452A (en) | 2014-12-30 | 2014-12-30 |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a method for oprat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3294A KR20160082452A (en) | 2014-12-30 | 2014-12-30 |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a method for oprating 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2452A true KR20160082452A (en) | 2016-07-08 |
Family
ID=5650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3294A Ceased KR20160082452A (en) | 2014-12-30 | 2014-12-30 |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a method for oprat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82452A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8804A (en) * | 2016-12-30 | 2018-07-10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 using temporary authentication in smart car,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
KR20180106258A (en) * | 2017-03-17 | 2018-10-01 | 김광우 | Control system of wireless secondary terminal for controlling vehicle controlled by smart device |
KR20190009474A (en) * | 2017-07-19 | 2019-01-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90128070A (en) * | 2017-03-16 | 2019-11-14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In-vehicle intelligent access systems and methods |
KR20200030136A (en) * | 2018-09-06 | 2020-03-20 | 아이브이테스 엘티디. | Intelligent vehicular electronic key system |
KR20200126175A (en) * | 2019-04-29 | 2020-11-06 | 양영제 | On-site car steam wash service system |
KR20210019613A (en) * | 2019-08-12 | 2021-02-23 | 주식회사 스페셜원 | Apparatus for providing car service using a vertual key |
CN114084097A (en) * | 2021-12-01 | 2022-02-25 | 深圳立欧实业有限公司 |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digital key |
WO2022050447A1 (en) * | 2020-09-03 | 2022-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securing data of vehicle |
US11440503B2 (en) | 2018-01-30 | 2022-09-13 | Lg Electronics Inc. | Vehic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ransportation system including same |
-
2014
- 2014-12-30 KR KR1020140193294A patent/KR2016008245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8804A (en) * | 2016-12-30 | 2018-07-10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 using temporary authentication in smart car,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
KR20190128070A (en) * | 2017-03-16 | 2019-11-14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In-vehicle intelligent access systems and methods |
KR20180106258A (en) * | 2017-03-17 | 2018-10-01 | 김광우 | Control system of wireless secondary terminal for controlling vehicle controlled by smart device |
KR20190009474A (en) * | 2017-07-19 | 2019-01-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1440503B2 (en) | 2018-01-30 | 2022-09-13 | Lg Electronics Inc. | Vehic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ransportation system including same |
KR20200030136A (en) * | 2018-09-06 | 2020-03-20 | 아이브이테스 엘티디. | Intelligent vehicular electronic key system |
KR20200126175A (en) * | 2019-04-29 | 2020-11-06 | 양영제 | On-site car steam wash service system |
KR20210019613A (en) * | 2019-08-12 | 2021-02-23 | 주식회사 스페셜원 | Apparatus for providing car service using a vertual key |
KR20210134257A (en) * | 2019-08-12 | 2021-11-09 | 주식회사 스페셜원 | Apparatus for providing car service using a vertual key |
WO2022050447A1 (en) * | 2020-09-03 | 2022-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securing data of vehicle |
CN114084097A (en) * | 2021-12-01 | 2022-02-25 | 深圳立欧实业有限公司 |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digital ke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82452A (en) |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a method for oprating it | |
US20230186182A1 (en) | Vehicle ride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modules | |
US11145190B2 (en) |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systems and methods | |
JP6857920B2 (en) | Vehicles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 |
US1056254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valet control devices | |
US10081298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renting and controlling occupancy of a vehicle | |
KR20190003194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peripheral electronic apparatus | |
US2014021818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a user to presence of an item in a vehicle | |
US20130090781A1 (en) | Remotely located database for managing a vehicle fleet | |
CN105539357A (en) | Vehicle safety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 |
CN106846563A (en) | Control method for vehicle and system, car key, vehicle and Vehicular system | |
JP6481993B2 (en) | System and program | |
JP2014129037A (en) | On-vehicle information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larm sound output control device, and alarm sound output control method | |
US10525934B1 (en) | Integrated silent vehicle alarm | |
KR20160136166A (en) | Display devid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 |
JP697763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 |
KR20180078804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 using temporary authentication in smart car,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 |
KR20140128806A (en) | An method for configuring of a vehichle and an appratus using it | |
KR101902657B1 (en) | IoT security apparatus for retrieving vehicle in smart car,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 |
KR102255804B1 (en) | Device for restrict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
KR20140128807A (en) | An method for configuring of a vehichle and an appratus using it | |
JP2018079883A (en) | Start-up control device, start-up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KR20140087564A (en) | Auto setting system for a individual driver | |
KR101450079B1 (en) | Safety home-comming service method having function with managing emergency | |
KR20140128810A (en) | An method for configuring of a vehichle and an appratus using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