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448A - System for keeping crops from wild animals - Google Patents
System for keeping crops from wild anima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0448A KR20160080448A KR1020140192261A KR20140192261A KR20160080448A KR 20160080448 A KR20160080448 A KR 20160080448A KR 1020140192261 A KR1020140192261 A KR 1020140192261A KR 20140192261 A KR20140192261 A KR 20140192261A KR 20160080448 A KR20160080448 A KR 201600804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ldlife
- wild animals
- central server
- aerial vehicle
- unmanned a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9 erad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6139 Brassica cre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075 Cucumis angur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66675 Cymbopogon nard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791 Cymbopogon nard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79 Mentha X vertici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899 Mentha suaveol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36 Mentha x rotund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76 Ocimum basil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926 Ocimum gratissi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03593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4 anti-cip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880 azadirachta indica flower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QKSKPIVNLNLAAV-UHFFFAOYSA-N bis(2-chloroethyl) sulfide Chemical compound ClCCSCCCl QKSKPIVNLNLA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2508 ginger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08 ginger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5902 mint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257 pepper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농장에 침입한 야생동물의 퇴치를 실행하는 무인비행체, 상기 야생동물이 상기 농장에 침입했음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야생동물의 침입신호를 받아 상기 무인비행체로 정보를 전달하는 중앙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야생동물의 퇴치뿐만 아니라 접근가능성을 차단하고 침입하는 야생동물의 통계를 내려 대비책을 세울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간의 제약이 없고 비용이 저렴하며 야생동물의 위치에 따른 직접적인 조취를 취할 수 있는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생동물의 퇴치를 위한 이중단계를 갖고 침입하는 각각의 야생동물 종류에 대한 통계를 내릴 수 있는 과정을 포함하는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tecting agricultural products from wild animals, The system consists of a central server that receives the intrusion signals of the wild animals from the detection sensor uni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ir vehicles. It can block the accessibility of wild animals as well as prevent accessibility and reduce the statistics of intruding wild animals. To a system for providing data.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that is free of space constraints, is inexpensive and can take direct ac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wild animals.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life, including a process for obtaining statistics for each species of wildlife invading with a dual stage for combating wildlife.
Description
본 발명은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농장에 침입한 야생동물의 퇴치를 실행하는 무인비행체, 상기 야생동물이 상기 농장에 침입했음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야생동물의 침입신호를 받아 상기 무인비행체로 정보를 전달하는 중앙서버로 구성되어, 야생동물의 퇴치뿐만 아니라 접근가능성을 차단하고 침입하는 야생동물의 통계를 내려 대비책을 세울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tecting agricultural products from wild animals, And a central server for receiving the intrusion signal of the wild animal from the detection sensor unit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ir vehicle so as to prevent the access of the wild animal and to prevent the accessibility of the wild animal, To a system for providing data.
종래의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기술로는 허수아비를 세우거나 소리를 내는 장치의 설치 및 강한 냄새가 나는 물질을 농작물 주변에 배포해두는 기술이 있다.Techniques for protecting crops from conventional wildlife include the setting up of scarecrows or the installation of sounding devices and the technology to distribute strong smelling substances around the crops.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그 효과가 미미하여 위의 기술을 실행함과 동시에 해당 농가의 농민들이 경비를 서고 있는 문제점이 있어왔다.However, such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and the farmers of the farmers stand at the expense of implementing the above technology.
이러한 문제점으로 멧돼지 출몰 지역에 1천만원 한도 내에서 철조망과 그물망의 설치지원비를 지원해주고 전기울타리를 설치하는 등 대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농작물을 둘러싼 모든 공간에 설치해야 한다는 점과 망의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점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에 대한 문제점이 있어왔다.As a result of these problems, there are suggestions such as supporting the installation support of barbed wire and mesh within the limit of 10 million won in boar wilderness area, and installing an electric fence, but it is necessary to install it in all spaces surrounding crops,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with the cost due to maintenance.
한편,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련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2568호를 예로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52568 is exemplified as a related art related to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해당 특허 문헌에서는, "본 발명은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님(neem)추출액 50~55중량%, 해조 추출액 10~15중량%, 마늘 추출액 7~10중량%, 고추 추출액 7~10중량%, 후추 추출액 2~7중량%, 겨자 추출액 2~7중량%, 효소유황 10~15중량%, 효력증강제 7~12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효력증강제는 효력증강제 100중량%당 솝넛 추출액 26~34중량%, 양파 추출액 13~20중량%, 생강 추출액 13~20중량%, 강황 추출액 13~20중량%, 바질 추출액 13~20중량%, 민트 추출액 7~15중량% 시트로넬라 추출액 7~15중량%가 혼합되어 살포된 지역에 야생동물과 조류가 근접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가 개시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wildlife and algae, which comprises 50 to 55% by weight of a neem extract, 10 to 15% by weight of a seaweed extract, 7 to 10% by weight of an extract of garlic, Wherein the effective enhancer comprises 7 to 10% by weight of an extract of pepper, 2 to 7% by weight of a pepper extract, 2 to 7% by weight of an extract of mustard, 10 to 15% by weight of an enzyme sulfur and 7 to 12% by weight of an effect enhancer, A ginger extract 13 to 20 weight%, a gherkin extract 13 to 20 weight%, a basil extract 13 to 20 weight%, a mint extract 7 to 15 weight% 7-15% by weight of citronella extract is mixed so that wild animals and birds can not be close to the sprayed area. "
하지만, 해당 특허 문헌 등 종래 조성물을 이용한 야생동물의 퇴치기술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효과가 미미하며, 비가 올 경우 씻겨 내려가 기능을 상실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que of combating wild animals using conventional compositions such as the patent documents has a problem tha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is raining, it may be washed down to lose its function.
또한,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련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3382호를 예로 들 수 있다.Also, as a prior art related to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23382 is exemplified.
해당 특허 문헌에서는, "본 발명은 논, 밭, 과수원, 양어장 등에 설치하여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를 쫓아내는 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해조류나 야생동물들을 놀라게 하는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빛을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 없이 보다 편리하게 설치하여 유해조류와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가 개시되어 있다.In the patent docu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iminator for disposing wild animals and harmful algae by being installed in paddy field, field, orchard, fish farm or the like, and is capable of emitting light by using a laser beam that particularly surprises harmful birds and wild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ld-type animal and a harmful bird alleviating machine using a laser that can be installed more conveniently without any place or time, thereby effectively eliminating harmful algae and wild animals.
하지만, 해당 특허 문헌 등 종래 빛을 이용한 야생동물의 퇴치기술은 그 설치된 위치의 제한적인 반경으로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빛에 적응한 야생동물에 의해 피해를 줄이는데 효과를 상실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fighting wild animals using conventional light such as the patent literature can only show effects with a limited radius of the installed position,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damage by the wild animals adapted to the light over time .
추가로,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련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0341호를 예로 들 수 있다.Further, as a conventional technique related to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90341 is exemplified.
해당 특허 문헌에서는, "본 발명은 농가 등에서 야생동물이 농작물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며, 비용이 저렴하고, 제작, 운반, 설치 및 철거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고, 식생 공간으로서 활용이 가능한 울타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가 개시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atent docu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dge that is installed to prevent wild animals from entering farm products in a farm, etc., and which is inexpensive, easy to manufacture, transport, install and dismantle,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
하지만, 해당 특허 문헌 등 종래 울타리를 이용한 야생동물의 퇴치기술은 유지 및 보수를 위한 농작지 주변의 울타리를 지속적으로 살피는데 비용과 시간이 들고, 울타리로 인해 농작지로의 농민의 출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eliminating wild animals using the conventional fences has a problem in that it is costly and time-consuming to continuously survey the fences around the farmland for maintenance and repair, and it is inconvenient for the farmers to enter the farmland due to the fence hav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공간의 제약이 없고 비용이 저렴하며 야생동물의 위치에 따른 직접적인 조취를 취할 수 있는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that can take direct a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wild animals,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야생동물의 퇴치를 위한 이중단계를 갖고 침입하는 각각의 야생동물 종류에 대한 통계를 내릴 수 있는 과정을 포함하는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life, including a process for obtaining statistics for each species of wildlife invading with a dual stage for combating wildlif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은, 농장에 침입한 야생동물의 퇴치를 실행하는 무인비행체, 상기 야생동물이 상기 농장에 침입했음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야생동물의 침입신호를 받아 상기 무인비행체로 정보를 전달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비행체는, 감시 영역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중앙서버에 송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받는 무인비행체 송수신부, 상기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소리를 내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제 1 단계 퇴치장치 및 상기 제 1 단계 퇴치장치로 초동조치가 취해진 후 후각적 퇴치성분을 분사하는 자동 분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 2 단계 퇴치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야생동물을 감지했을 때 또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제 1 단계 퇴치장치 및 제 2 단계 퇴치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comprising: a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xecuting fighting of wild animals entering a farm; a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that wild animals have entered the farm; And a central server for receiving the intrusion signal of the wild anim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ir vehicle, wherein the unmanned air vehicle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region, image data by the camera to the central server, A first step elimination device including a unmanned aerial vehicle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entral server according to an input of a first server, a light emitting part emitting light for eliminating the wild animals, and a loud speaker part, And an automatic injection system for injecting the olfactory repellent component after the initial action is taken, System includes a fighting device in every predetermined time or when it detects the wildlife is configur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unit combating combating device operation.
또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중앙서버로 상기 감지 센서의 ON/OFF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내고 상기 야생동물을 감지했을 때 신호를 보내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농작물로부터 2m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적외선 감지 센서를 30㎝의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구성하여, 상기 2개의 적외선 감지 센서가 동시에 작동되었을 때 상기 중앙서버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무인비행체의 카메라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상기 야생동물의 종류 및 출현 시간을 태그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무인비행체의 무인비행체 송수신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의 송신부와의 신호를 주고받으며, 관할 센터로 상기 태그된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앙서버 송수신부, 상기 무인비행체의 카메라로부터 받은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display)부, 상기 무인비행체의 위치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의 위치 좌표를 저장하고 있는 위치 좌표 데이터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ter for continuously transmitting an ON / OFF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to the central server and for sending a signal when the wildlife is detected, and two infrared sensors And the central server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to the central server when the two infrared detection sensors are simultaneously operated, and the central server analyzes the image data by the camera of the unmanned air vehicle A center server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for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to / from the transmission s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ody of the unmanned air vehicle and the transmission section of the detection sensor section and providing the tagged image data to the jurisdiction cent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Group to include a position coordinate data that stores the conversion part and the sensor part for converting the coordinate position where the unmanned air vehicle with the actual coordinates.
추가로,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태그된 영상 데이터를 분류하는 패턴 분석부 및 상기 분류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야생동물의 출현 날짜, 출현 시간, 출현 시간에 따른 온도, 습도 및 기압, 훼손된 농작물의 종류, 피해 금액 및 출몰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통계를 내는 통계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인비행체는 상기 통계 처리부로부터 상기 통계 자료를 전달 받아 시간 및 날씨에 따른 출몰 위치 및 훼손위험 농작물을 주로 감시하며, 상기 제 1 단계 퇴치장치는 상기 통계 처리부로부터 상기 통계 자료를 전달 받아 시간, 날씨 및 상기 무인비행체의 위치에 따른 출몰 예상 야생동물이 기피하는 소리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내고, 상기 제 2 단계 퇴치장치는 상기 통계 처리부로부터 상기 통계 자료를 전달 받아 시간, 날씨 및 상기 무인비행체의 위치에 따른 출몰 예상 야생동물이 기피하는 후각적 퇴치성분을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 pattern analyzer for classifying the tagged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entral server and a temperature analyzer for analyz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pressure of the wild animal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ceives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statistical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statistical processing unit, and displays the location and appearance of dangerous crops in accordance with time and weather, And the first step elimination device receives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statistical processing part and outputs a sound of avoiding the expectant wild animals according to the time, the weather and the posi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through the speaker, The step inhibition apparatus receives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statistical processing unit, And spraying the olfactory repellent component avoided by the anticipatory wild anim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공중을 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 범위가 넓고, 야생동물의 위치를 파악하여 직접적인 퇴치를 실행하기 때문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First, it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because it can fly in the air, and it has a great effect because it directly detects the location of wild animals and executes the eradication.
둘째, 야생동물의 퇴치뿐만 아니라 비료, 농약 및 물 등의 살포가 가능하여 시간과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spray not only wild animals but also fertilizer, pesticide and water, saving time and labor costs.
셋째,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야생동물의 출현 시기 및 종류 등의 통계를 확보할 수 있어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야생동물의 침입을 사전에 예방하고 포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irdly, it is possible to acquire statistics such as the time and kind of appearance of wild animals through photographed images, and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accumulated data to help prevent and catch invasions of wild animals in advance.
넷째, 밤에 사람이 직접 감시하지 않아도 자동모드를 통해 무인비행체가 지속적으로 후각, 시각, 청각적 퇴치장치를 작동시켜 침입의 사전예방에 도움이 된다.
Fourth, even if the person does not need to watch at night, the automatic mode will help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ntinuously operate the olfactory, visual and auditory suppression devices to prevent intrus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의 작동 원리에 대한 일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의 작동 원리에 대한 일실시예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은 농장에 침입한 야생동물(100)의 퇴치를 실행하는 무인비행체(10)와 야생동물(100)이 농장에 침입했음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20)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무인비행체(10)와 감지 센서부(20)간의 신호 전달을 위한 중앙서버, 야생동물(100)의 정보습득을 위한 패턴 분석부 및 습득된 야생동물(100)의 정보의 통계를 내기 위한 통계 처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1,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ct that unmanned air vehicles 10 and
무인비행체(10)는 감시 영역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 카메라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중앙서버에 송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중앙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받는 무인비행체 송수신부, 야생동물(100)을 퇴치하기 위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소리를 내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제 1 단계 퇴치장치 및 제 1 단계 퇴치장치로 초동조치가 취해진 후 후각적 퇴치성분을 분사하는 자동 분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 2 단계 퇴치장치를 구비하며, 야생동물(100)을 감지했을 때 또는 일정 시간마다 제 1 단계 퇴치장치 및 제 2 단계 퇴치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The unmanned air vehicle (10) comprises a camera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surveillance area,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image data to the central server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central server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a second step inhibiting device including a first stage inhibiting device including a light emitting portion for emitting light and a speaker portion for emitting sound in order to emit light in response to the initial action, And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stage preventive device and the second stage preventative device is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이때, 무인비행체(10)는 일반적으로 무인 정찰기로 사용되는 경로 저장이 가능하고 비교적 값이 저렴하며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는 비행체로서 예를 들어 쿼드콥터가 있다.At this tim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 is a flight vehicle which can be used as an unmanned reconnaissance aircraft, stores a route,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can be equipped with a camera, for example, a quadcopter.
제 1 단계 퇴치장치는 카메라와 통계 처리부의 분석을 통한 정보에 의해 야생동물(100)의 종류에 따른 대처법을 시행하는데, 예를 들면 멧돼지의 경우 시각이 좋지 않아 발광부의 빛 발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청각이 예민한 것으로 나타나므로 천적의 소리 또는 총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 자극을 주어 퇴치할 수 있으며, 물론 큰 효과는 없더라도 발광부를 통해 위협을 줄 수 있다.The first stage suppression device performs the action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한편, 소리나 빛을 이용한 제 1 단계 퇴치장치는 야생동물(100)에게 일시적인 위협효과를 가져올 수는 있으나 지속적인 노출로 인한 야생동물(100)의 학습효과가 빨라져 야생동물(100)이 적응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으므로 후각적 자극을 통해 야생동물(100)을 퇴치하는 제 2 퇴치장치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age of the system using sound or light may cause a temporary threat effect to the
제 2 퇴치장치는 카메라와 통계 처리부의 분석을 통한 정보에 의해 야생동물(100)의 종류에 따른 후각적 퇴치성분을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멧돼지로 인식된 야생동물(100)에게는 멧돼지가 기피하는 계피, 박하와 같은 향을 분사한다.The second preventive device can automatically inject the olfactory repellent component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감지 센서부(20)는 열 감지 센서 및 적외선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열 감지 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적외선 감지 센서가 본 발명의 목적에 더 부합한다. 감지 센서부(20)는 중앙서버로 감지 센서부(20)의 ON/OFF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내고 야생동물(100)을 감지했을 때 신호를 보내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농작물(200)로부터 2m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적외선 감지 센서를 30cm의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구성하여, 상기 2개의 적외선 감지 센서가 동시에 작동되었을 때 상기 중앙서버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한다.The
이때, 감지 센서부(20)가 ON/OFF 신호를 지속적으로 중앙서버로 송신함으로써 감지 센서부(20)의 작동 여부, 고장 등을 진단할 수 있으며, 농작물(200)에 근접한 위치이되 야생동물(100)이 농작물(200)에 바로 피해를 줄 수 없는 거리인 2m 이내에 설치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야생동물(100)이 적어도 동시에 건드릴 수 있는 길이인 30cm의 간격으로 감지 센서부(20)를 설치함으로써, 낙엽이나 바람 등 농작물(200)에 피해를 입힐 수 없는, 야생동물(100) 외의 외부 요인으로 인한 감지 센서의 작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이중으로 설치된 감지 센서부(20)의 동시 작동으로만 감지가 실행이 됨으로써 감지의 오류를 줄이고 보다 정확하게 야생동물(100)의 출현을 감지 할 수 있다.The
중앙서버는 감지 센서부(20)로부터 야생동물(100)의 침입신호를 받아 무인비행체(10)로 정보를 전달하며, 무인비행체(10)의 카메라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야생동물(100)의 종류 및 출현 시간을 태그하는 영상처리부, 무인비행체(10)의 무인비행체 송수신부 및 감지 센서부(20)의 송신부와의 신호를 주고받으며, 관할 센터로 태그된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앙서버 송수신부, 무인비행체(10)의 카메라로부터 받은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display)부, 무인비행체(10)의 위치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감지 센서부(20)의 위치 좌표를 저장하고 있는 위치 좌표 데이터부를 포함한다.The central server receives the intrusion signal of the
이때, 중앙서버 송수신부는 야생동물(100)의 침입신호를 보낸 감지 센서부(20)의 위치좌표를 파악하고 야생동물(100)을 감지한 감지 센서부(20)의 위치좌표를 무인비행체(10)로 전달함으로써 무인비행체(10)는 야생동물(100)을 감지한 감지 센서부(20)의 위치로 이동하여 야생동물(100)을 추적해 퇴치를 실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serv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grasp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한편, 영상 데이터에 야생동물(100)의 종류 및 출현 시간을 태그함으로써 각 영상에 대한 분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태그된 영상 데이터는 야생동물(100)의 출현과 관련된 정보의 분석을 위해 패턴 분석부로도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cation of each image can be facilitated by tagging the type and the appearance time of the
패턴 분석부는 중앙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태그된 영상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예를 들어 침입한 야생동물(100)의 출현 계절, 날짜 및 시간을 분류한 다음 야생동물(100)의 종류를 나눠 각 종의 출현 위치를 분류한다.The pattern analysis unit classifies the tagged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entral server. For example, the pattern analysis unit classifies the season, date, and time of appearance of the invading
이를 통해 통계 처리부는 분류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야생동물(100)의 출현 날짜, 출현 시간, 출현 시간에 따른 온도, 습도 및 기압, 훼손된 농작물(200)의 종류, 피해 금액 및 출몰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통계를 내고, 무인비행체(10)는 통계 처리부로부터 통계 자료를 전달 받아 시간 및 날씨에 따른 출몰 위치 및 훼손위험 농작물(200)을 주로 감시한다.Accordingly, the statistical processing unit can use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pressure of the
이때, 통계를 내게 됨으로써 각 종에 따른 야생동물(100)의 빈번하게 출현하는 장소, 시간 및 훼손될 것으로 예상되는 농작물(200)을 파악하여 무인비행체(10)의 순찰 빈도 및 위치를 조정해 제 1 단계 퇴치장치 및 제 2 단계 퇴치장치를 통해 출몰 예상 야생동물(100)이 기피하는 소리, 후각적 퇴치 성분을 발생시키고 빛을 깜빡이거나 지속적으로 발광함으로써 야생동물(100)의 농작물(200)로의 접근을 방지하여 야생동물(100)에 의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atistics and the location and time of frequent occurrence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2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 anima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의 동작 순서는 무행비행체(10)의 주기적인 순찰을 통한 야생동물(100) 접근 방지를 위한 순찰모드, 야생동물(100)의 침입 시 감지 센서부(20)를 통해 감지하고 침입에 대한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송신하여 무인비행장치(10)가 야생동물(100)에게 즉각적인 퇴치장치를 발동하도록 하는 적외선 감지, 감지 센서부(20)에 달린 퇴치장치를 통해 즉각적인 초기대응이 가능하여 야생동물(100)의 농장 침입을 차단하는 1 단계 퇴치 및 무인비행장치(10)를 통해 광범위한 지역을 관리하고 농장 내부에 야생동물(100)이 침입한 경우 큰 효과를 갖는 2단계 퇴치로 구성된다.
2, the operational sequence of the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the wild anim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rol mode for preventing access to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무인비행체
20...감지 센서부
100...야생동물
200...농작물
10 ... unmanned
100 ...
Claims (5)
상기 야생동물이 상기 농장에 침입했음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야생동물의 침입신호를 받아 상기 무인비행체로 정보를 전달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executes wildlife extermination on the farm;
A detection sensor unit detecting that the wild animal has entered the farm; And
And a central server for receiving an intrusion signal of the wild animal from the detection sensor unit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ir vehicle,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life.
상기 무인비행체는,
감시 영역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중앙서버에 송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받는 무인비행체 송수신부;
상기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소리를 내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제 1 단계 퇴치장치; 및
상기 제 1 단계 퇴치장치로 초동조치가 취해진 후 후각적 퇴치성분을 분사하는 자동 분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 2 단계 퇴치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야생동물을 감지했을 때 또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제 1 단계 퇴치장치 및 제 2 단계 퇴치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도록 구성된,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surveillance area;
An unmanned aerial vehicl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image data by the camera to the central server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entral server according to a user input;
A first stage avoiding device including a light emitting portion emitting light to emit the wild animal and a speaker portion making a sound; And
And an automatic injection system that injects the olfactory repellent component after the first action is taken by the first-stage preventive device,
Wherein said at least one of said first stage preventive device and said second stage preventive device is configured to operate when said wildlife is sensed 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life.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중앙서버로 상기 감지 센서의 ON/OFF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내고 상기 야생동물을 감지했을 때 신호를 보내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농작물로부터 2m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적외선 감지 센서를 30㎝의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구성하여, 상기 2개의 적외선 감지 센서가 동시에 작동되었을 때 상기 중앙서버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unit,
Further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continuously sending an ON / OFF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to the central server and for sending a signal when the wildlife is detected,
And two infrared detection sensors located within 2 m from the crop are arranged at a distance of 30 cm to send signals to the central server when the two infrared detection sensor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life.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무인비행체의 카메라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상기 야생동물의 종류 및 출현 시간을 태그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무인비행체의 무인비행체 송수신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의 송신부와의 신호를 주고받으며, 관할 센터로 상기 태그된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앙서버 송수신부;
상기 무인비행체의 카메라로부터 받은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display)부;
상기 무인비행체의 위치를 실제 좌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의 위치 좌표를 저장하고 있는 위치 좌표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server comprises: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analyzing the image data by the camera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agging the type and appearance time of the wild animal;
A central server transceiver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to /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ransceiver unit and the sensor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providing the tagged image data to a jurisdiction cent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into actual coordinates; And
And a position coordinate data portion for storing position coordinates of the detection sensor portion.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life.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태그된 영상 데이터를 분류하는 패턴 분석부; 및
상기 분류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야생동물의 출현 날짜, 출현 시간, 출현 시간에 따른 온도, 습도 및 기압, 훼손된 농작물의 종류, 피해 금액 및 출몰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통계를 내는 통계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인비행체는 상기 통계 처리부로부터 상기 통계 자료를 전달 받아 시간 및 날씨에 따른 출몰 위치 및 훼손위험 농작물을 주로 감시하며,
상기 제 1 단계 퇴치장치는 상기 통계 처리부로부터 상기 통계 자료를 전달 받아 시간, 날씨 및 상기 무인비행체의 위치에 따른 출몰 예상 야생동물이 기피하는 소리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내고,
상기 제 2 단계 퇴치장치는 상기 통계 처리부로부터 상기 통계 자료를 전달 받아 시간, 날씨 및 상기 무인비행체의 위치에 따른 출몰 예상 야생동물이 기피하는 후각적 퇴치성분을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을 지키기 위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ttern analyzer for classifying the tagged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entral server; And
A statistics processor for calculating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 humidity and a pressure of the wild animal according to an appearance date, an appearance time, and an appearance time of the wild animal using the classified image data, a type of damaged crop, a damage amount, Further include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ceives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statistical processing unit and mainly monitors the places w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moving,
The first stage avoidance apparatus receives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statistical processing unit, outputs a sound of avoiding the expectant wildlife depending on the time, the weather, and the posi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through the speaker,
Wherein the second step eliminato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statistical processing unit and to inject the olfactory repellent component avoided by the anticipated wild animal according to the time, the weather, and the posi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A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wildlif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2261A KR20160080448A (en) | 2014-12-29 | 2014-12-29 | System for keeping crops from wild anima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2261A KR20160080448A (en) | 2014-12-29 | 2014-12-29 | System for keeping crops from wild animal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0448A true KR20160080448A (en) | 2016-07-08 |
Family
ID=5650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2261A Ceased KR20160080448A (en) | 2014-12-29 | 2014-12-29 | System for keeping crops from wild anima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80448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64328A1 (en) | 2016-06-27 | 2018-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Biometric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JP2018077760A (en) * | 2016-11-11 | 2018-05-17 | 株式会社富士通エフサス |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program |
KR101975477B1 (en) * | 2018-12-26 | 2019-05-09 | 주식회사 광진기업 |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
KR20190065036A (en) | 2017-12-01 | 2019-06-11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crop |
CN114815897A (en) * | 2022-06-02 | 2022-07-29 | 深圳市博铭维系统工程有限公司 | Unmanned aerial vehicle-based park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52568A (en) | 2007-09-28 | 2010-05-19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speed transmission on rach |
KR20120123382A (en) | 2009-12-29 | 2012-11-08 | 트루포지션, 인크. | Cooperating receiver selection for umts wireless location |
KR20140090341A (en) | 2013-01-07 | 2014-07-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ultiple electrode assembly |
-
2014
- 2014-12-29 KR KR1020140192261A patent/KR20160080448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52568A (en) | 2007-09-28 | 2010-05-19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speed transmission on rach |
KR20120123382A (en) | 2009-12-29 | 2012-11-08 | 트루포지션, 인크. | Cooperating receiver selection for umts wireless location |
KR20140090341A (en) | 2013-01-07 | 2014-07-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ultiple electrode assembly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64328A1 (en) | 2016-06-27 | 2018-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Biometric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JP2018077760A (en) * | 2016-11-11 | 2018-05-17 | 株式会社富士通エフサス |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program |
KR20190065036A (en) | 2017-12-01 | 2019-06-11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crop |
KR101975477B1 (en) * | 2018-12-26 | 2019-05-09 | 주식회사 광진기업 | Equipment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IoT deep learning |
CN114815897A (en) * | 2022-06-02 | 2022-07-29 | 深圳市博铭维系统工程有限公司 | Unmanned aerial vehicle-based park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26165B1 (en) | Object image recognition and instant active response | |
US9965850B2 (en) | Object image recognition and instant active response with enhanced application and utility | |
US10937147B2 (en) | Object image recognition and instant active response with enhanced application and utility | |
KR101986222B1 (en) | Vermin Prevention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with Sound Detection | |
US9852362B2 (en) | Object image recognition and instant active response with enhanced application and utility | |
KR20160080448A (en) | System for keeping crops from wild animals | |
US20210209352A1 (en) | Insect and other small object image recognition and instant active response with enhanced application and utility | |
Wang et al. | Bird damage management in vineyards: Comparing efficacy of a bird psychology-incorporated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with netting and visual scaring | |
US11636745B2 (en) | Detection of animal intrusions and control of a repellent mechanism for detected animal intrusions | |
AU2021101929A4 (en) | Pest Management System | |
CN110062873A (en) | For defending crops from the system and method for damaged crops harmful organism via the unmanned vehicles | |
JP2011250745A (en) | Method and system for threatening harmful animal | |
US10339426B2 (en) | Induction system for crowd monitoring | |
Egan | Evaluating the potential utility of drones to deter birds from areas of human-wildlife conflict | |
Stevens et al. | Evaluation of a radar-activated, demand-performance bird hazing system | |
US10185896B2 (en) | Induction system for mold remediation | |
Rani et al. | AI based scarecrow preventing from crop vandalization | |
KR101966898B1 (en) | Auto Security System | |
JP6421390B2 (en) | Animal disposal method and animal disposal apparatus | |
Ramkumar et al. | IOT solution for crop protection from wild boar attack | |
JP2018174757A (en) | Management system for capturing and pasturing wild animal for gibier by drone | |
Raghunandan et al. | AI Based Rebarbative System for Farm Field Invading Animals Using UAV | |
JP2017209057A (en) | Animal disposal device | |
KR20210101382A (en) | System and method for eradicating wild animals | |
Dhital | Smart Farming for Farm Security: Mitigate Wild-Birds Intrusion in Agriculture Far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