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415A - 내화학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내화학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5415A KR20160075415A KR1020160070400A KR20160070400A KR20160075415A KR 20160075415 A KR20160075415 A KR 20160075415A KR 1020160070400 A KR1020160070400 A KR 1020160070400A KR 20160070400 A KR20160070400 A KR 20160070400A KR 20160075415 A KR20160075415 A KR 201600754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compound
- resin composition
- thermoplastic resin
- alkyl es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2—Polymerisation in bulk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0—Polya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분 | 그라프트 공중합체(A) | 공중합 수지(B) | 폴리에테르-아미드 공중합체(C) | |||||||||
A-1 | A-2 | A-3 | A-4 | A-5 | A-6 | B-1 | B-2 | B-3 | B-4 | C-1 | C-2 | |
실시예1 | 60 | 40 | 4 | - | ||||||||
실시예2 | 50 | 50 | 6 | - | ||||||||
실시예3 | 55 | 45 | - | 5 | ||||||||
비교예1 | 30 | 70 | 5 | - | ||||||||
비교예2 | 50 | 50 | 5 | - | ||||||||
비교예3 | 50 | 50 | 5 | - | ||||||||
비교예4 | 50 | 50 | 5 | - | ||||||||
비교예5 | 50 | 50 | 5 | - | ||||||||
비교예6 | 50 | 50 | 0 | - | ||||||||
비교예7 | 60 | 40 | 4 | - | ||||||||
비교예8 | 100 | 4 | - |
구분 | 분자량 | 충격강도 | 가공성 | 투명도 | 내화학성 | 잔류아크릴로니트릴 |
실시예1 | 13.5만 | 25 | 3 | 2.5 | No Change Pass | Pass |
실시예2 | 13만 | 21 | 4 | 2.4 | No Change Pass | Pass |
실시예3 | 13.3만 | 23 | 3 | 2.5 | No Change Pass | Pass |
비교예1 | 15만 | 7 | 5 | 2.0 | Break | Pass |
비교예2 | 13만 | 22 | 3 | 45 | No Change Pass | Pass |
비교예3 | 13만 | 20 | 3 | >50 | No Change Pass | Pass |
비교예4 | 6.5만 | 15 | 11 | 2.0 | Break | Pass |
비교예5 | 13만 | 25 | 3 | 2.4 | No Change Pass | Fail |
비교예6 | 13.5만 | 20 | 3 | 2.2 | Crack | Pass |
비교예7 | N/A | N/A | N/A | N/A | N/A | |
비교예8 | 15만 | N/A | N/A | N/A | N/A | N/A |
Claims (14)
-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50 내지 60 중량% 및 비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40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진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및 폴리에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4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300,000 g/mol이며,
상기 비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300,000 g/mol이고,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 비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굴절율 차이는 0.01 이하이며,
상기 베이스 수지는 총 공액디엔 고무 함량이 25 내지 40 중량%이고, 총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함량이 49.2 내지 52.7 중량%이며, 총 방향족 비닐 화합물 함량이 10 내지 18.3 중량%이고, 총 비닐시안 화합물 함량이 0 내지 4 중량%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US FDA 21 CFR 181.32에 의거하여 측정한 잔류 비닐시안 화합물이 3 mg/inch2 이하이며 1.2% 지그 위에 인장 시편을 고정한 후 70% IPA 용액으로 도포한 후 1시간 후 변화가 없고 식품용, 화장품용 및 의료용 제품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공액디엔 고무 20 내지 70 중량%에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2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7 내지 3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와 이에 그라프팅되는 중합체와의 굴절율 차이가 0.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30 내지 7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5 내지 5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및 비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0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은,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3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UV안정제, 활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1003에 의거하여 측정한 투명도(Haze Value)가 2.4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Ⅰ) 공액디엔계 고무 라텍스에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혼합한 후 공중합시켜 그라프트층을 형성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A)를 제조하되,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A)의 중량평균분자량을 80,000 내지 300,000 g/mol로 제조하는 단계; II)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괴상중합시켜 공중합 수지(B)를 제조하되, 상기 공중합 수지(B)의 중량평균분자량을 80,000 내지 300,000 g/mol로 제조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A) 50 내지 60 중량% 및 상기 공중합 수지(B) 40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진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및 폴리에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C) 4 내지 6 중량부;를 혼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수지는 총 공액디엔 고무 함량이 25 내지 40 중량%이고, 총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함량이 49.2 내지 52.7 중량%이며, 총 방향족 비닐 화합물 함량이 10 내지 18.3 중량%이고, 총 비닐시안 화합물 함량이 0 내지 4 중량%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US FDA 21 CFR 181.32에 의거하여 측정한 잔류 비닐시안 화합물이 3 mg/inch2 이하이며 1.2% 지그 위에 인장 시편을 고정한 후 70% IPA 용액으로 도포한 후 1시간 후 변화가 없고 식품용, 화장품용 및 의료용 제품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식품용, 화장품용 또는 의료용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2857 | 2014-10-02 | ||
KR20140132857 | 2014-10-02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8514 Division | 2014-10-02 | 2015-06-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5415A true KR20160075415A (ko) | 2016-06-29 |
KR101902060B1 KR101902060B1 (ko) | 2018-09-28 |
Family
ID=5636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0400A Active KR101902060B1 (ko) | 2014-10-02 | 2016-06-07 | 내화학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2060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6301A (ko) | 2018-09-28 | 2020-04-07 |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 고분자 수지 조성물 |
KR20210144564A (ko) | 2020-05-21 | 2021-11-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WO2022080631A1 (ko) * | 2020-10-16 | 2022-04-21 | (주)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KR20220050751A (ko) * | 2020-10-16 | 2022-04-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WO2022085899A1 (ko) | 2020-10-22 | 2022-04-28 | (주)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KR20220053462A (ko) | 2020-10-22 | 2022-04-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CN115335230A (zh) * | 2020-06-12 | 2022-11-11 | 凸版印刷株式会社 | 多层膜、包装材料及包装体 |
-
2016
- 2016-06-07 KR KR1020160070400A patent/KR101902060B1/ko active Active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6301A (ko) | 2018-09-28 | 2020-04-07 |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 고분자 수지 조성물 |
KR20210144564A (ko) | 2020-05-21 | 2021-11-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CN115335230A (zh) * | 2020-06-12 | 2022-11-11 | 凸版印刷株式会社 | 多层膜、包装材料及包装体 |
WO2022080631A1 (ko) * | 2020-10-16 | 2022-04-21 | (주)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KR20220050751A (ko) * | 2020-10-16 | 2022-04-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CN114641528A (zh) * | 2020-10-16 | 2022-06-17 | 株式会社Lg化学 | 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模制品 |
EP4011971A4 (en) * | 2020-10-16 | 2022-11-30 | LG Chem, Ltd.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same |
WO2022085899A1 (ko) | 2020-10-22 | 2022-04-28 | (주)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KR20220053462A (ko) | 2020-10-22 | 2022-04-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2060B1 (ko) | 2018-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2060B1 (ko) | 내화학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EP3026082B1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transparenc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 |
EP1778785B1 (en) |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 |
KR101802021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101905939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EP3409702B1 (en) | Graft copolyme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olded product | |
CN101469120B (zh) | 一种低光泽、高抗冲、高流动聚碳酸酯组合物 | |
EP3848414A1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
KR100792122B1 (ko) | 고경도 열가소성 투명 abs 수지 조성물 | |
KR102311952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1555085B1 (ko) |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이용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의 연속 제조 방법 | |
KR102080714B1 (ko) | 열가소성 투명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EP3287492B1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 |
KR101827613B1 (ko) |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20130029826A (ko) | 고투명 저온 무백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 |
CN111218086A (zh) | 电焊机塑件用高耐热阻燃abs材料及其注塑工艺 | |
KR102009313B1 (ko) |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EP4011957B1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
KR101742361B1 (ko)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 |
JP4386772B2 (ja) | ゴム変性共重合樹脂及び製造方法 | |
KR102382545B1 (ko) | 사출 성형용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 |
KR100461524B1 (ko) | 내스팀성이우수한열가소성수지조성물 | |
KR102149011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JP3724591B2 (ja) | 高光沢樹脂組成物 | |
KR20180065097A (ko) |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60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60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785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60607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7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3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