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75354A - 바이어스된 피봇팅 슬라이드 치과 교정의 브래킷 - Google Patents

바이어스된 피봇팅 슬라이드 치과 교정의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354A
KR20160075354A KR1020150180793A KR20150180793A KR20160075354A KR 20160075354 A KR20160075354 A KR 20160075354A KR 1020150180793 A KR1020150180793 A KR 1020150180793A KR 20150180793 A KR20150180793 A KR 20150180793A KR 20160075354 A KR20160075354 A KR 20160075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closed position
arch wire
liga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스. 후앙 스탠리
Original Assignee
오름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름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름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7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5Locking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 교정의 브래킷브래킷 바디 및 결찰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브래킷 바디 개구 및 아치와이어 슬롯을 포함한다. 결찰 슬라이드는 개방된 위치와 제1패쇄된 위치 사이에서 아치와이어 슬롯과 관련해서 슬라이드가능하고, 제2패쇄된 위치에서 각도의 위치로 피봇가능하다. 치과 교정의 브래킷은 결찰 슬라이드에 결합되고 개구 내에서 슬라이드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결찰 슬라이드는 제1값을 갖는 베이스 표면으로부터의 제1높이를 규정하고, 제2패쇄된 위치에서, 결찰 슬라이드는 제1값보다 큰 베이스 표면으로부터의 제2높이를 규정한다. 브래킷 바디는 이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윙을 갖는 슬라이드 지지 부분을 포함한다. 윙은 두께로 테이퍼된다. 슬라이드 지지 부분은 결찰 슬라이드가 피봇가능한 피봇 포인트를 규정한다.

Description

바이어스된 피봇팅 슬라이드 치과 교정의 브래킷{Biased Pivoting Slide Orthodontic Bracket}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 2014년 12월 19일 출원된 U.S. 예비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62/094,451호의 우선권을 청구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치과 교정의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가능한 폐쇄 부재를 갖는 자기-결찰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치과 교정의 브래킷은, 환자의 교합(occlusion)을 개선하기 위해 전념하는 모든 교정하는 치과 교정 치료의 중요한 구성요소를 대표한다. 통상적인 치과 교정 치료에서, 치열 교정 의사 또는 조수는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시키고, 아치와이어를 각각의 브래킷의 슬롯에 체결한다. 아치와이어는 정확한 위치 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치아를 강제하는 교정하는 힘을 인가한다. 작은 엘라스토머의 O-링 또는 미세한 금속 와이어와 같은 전통적인 결찰물이 각각의 브래킷 슬롯 내에서 아치와이어를 유지하기 위해서 채용된다. 개별 결찰물을 각각의 브래킷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들에 기인해서, 자기-결찰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은 브래킷 슬롯 내에 아치와이어를 유지하기 위해서, 래치 또는 슬라이드와 같은 이동가능한 부분 또는 부재에 의존하는 결찰물의 대한 필요를 제거하는 것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자기-결찰 브래킷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성공이면서도, 몇몇 단점을 남긴다. 예로서, 치아의 회전을 제어하는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치과 교정 치료를 마무리하는 스테이지에 근접하는 것과 같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회전 제어에서 감소를 일으키는 다수의 팩터가 있는 한편, 중대한 원인들 중 하나는 이동가능한 부재가 패쇄될 때 브래킷의 아치와이어 슬롯 내에서 아치와이어의 느슨한 고정으로 믿어진다. 이동가능한 부재가 패쇄될 때, 브래킷 바디 및 이동가능한 부재는 아치와이어를 포획하기 위한 패쇄된 루멘(lumen)을 집합적으로 형성한다. 루멘과 아치와이어 사이의 패쇄 고정은, 치과 교정 치료 동안 우수한 회전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것으로 믿어진다.
이동가능한 부재가 패쇄될 때 아치와이어와 아치와이어 슬롯 사이의 패쇄 고정은, 예를 들어 브래킷 바디 및 이동가능한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제조 공정의 공차를 포함하는, 다수의 팩터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치과 교정의 브래킷이 조립될 때, 다양한 공차는 "층첩(stackup)"되므로, 브래킷 바디 및 이동가능한 부재에 의해 제공된 아치와이어와 패쇄된 루멘 사이에 비교적 느슨한 고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이러한 느슨한 고정은 치아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감소된 능력으로 귀결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더욱이, 개방된 및 패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부재가 브래킷 바디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허용하기 위해서, 브래킷 바디와 이동가능한 부재 사이에 몇몇 클리어런스가 있어야 한다. 즉, 클리어런스를 제공하는 제조 공정에서, 전형적으로 몇몇 공차들이 있다. 아직, 이들 공차는 층첩되어 브래킷들 사이의 그 입술의-혀의 디멘젼에서 상당히 변화될 수 있는 루멘을 제공하고, 그러므로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아치와이어와의 비교적 느슨한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결찰 브래킷이 일반적으로 성공적이 되어 온 한편, 이러한 브래킷의 제조자는 그들의 사용 및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연속적으로 노력한다. 이에 관해서, 그 마무리하는 스테이지 동안과 같은 치과 교정 치료 동안, 개선된 회전 제어를 제공하는 자기-결찰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에 대한 필요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은, 바이어스된 피봇팅 슬라이드 치과 교정의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존재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아치와이어를 치아와 결합하기 위한 치과 교정의 브래킷은 브래킷 바디 및 결찰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브래킷 바디는 개구 및 그것 내에 아치와이어를 수취하기 위한 아치와이어 슬롯을 포함한다. 결찰 슬라이드는, 아치와이어가 아치와이어 슬롯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개방된 위치와 결찰 슬라이드가 아치와이어 슬롯 내에 아치와이어를 유지하는 제1패쇄된 위치사이에서 아치와이어 슬롯과 관련해서 슬라이드가능하다. 결찰 슬라이드는 결찰 슬라이드가 아치와이어 슬롯 내에 아치와이어를 유지하는 제2패쇄된 위치로 아치와이어 슬롯과 관련해서 피봇가능하다. 제2패쇄된 위치는 제1패쇄된 위치와 다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패쇄된 위치는, 제1패쇄된 위치에서 결찰 슬라이드와 아치와이어 슬롯의 베이스 표면 사이의 입술의-혀의 높이보다 큰 결찰 슬라이드와 아치와이어 슬롯의 베이스 표면 사이의 입술의-혀의 높이를 규정한다. 결찰 슬라이드는, 존재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정상적인 공차 층첩을 초과하는 각도의 위치로, 브래킷 바디와 관련해서 피봇가능하다. 치과 교정의 브래킷은 결찰 슬라이드에 결합되고 개구 내에서 슬라이드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는 제1패쇄된 위치와 제2패쇄된 위치 사이에서, 대략 5° 내지 대략 20° 보다 큰 각도로 피봇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는 제1패쇄된 위치와 제2패쇄된 위치 사이에서, 대략 10°로부터 대략 20°인 각도로 피봇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치와이어 슬롯은 베이스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대항하는 슬롯 표면을 포함하고, 제1패쇄된 위치에서, 결찰 슬라이드는 제1값을 갖는 베이스 표면으로부터의 제1높이를 규정하며, 제2패쇄된 위치에서, 결찰 슬라이드는 제1값보다 큰 적어도 대략 0.002 인치인 베이스 표면으로부터의 제2높이를 규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바디는 이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윙을 갖는 슬라이드 지지 부분을 포함한다. 윙은 그 길이를 따라 두께로 테이퍼된다. 슬라이드 지지 부분은 제1패쇄된 위치와 제2패쇄된 위치 사이에서 결찰 슬라이드가 피봇가능한 피봇 포인트를 규정한다. 테이퍼된 윙은 제1패쇄된 위치에서 슬라이드 지지 부분과 결찰 슬라이드 사이의 제1갭 및 제2패쇄된 위치에서 슬라이드 지지 부분과 결찰 슬라이드 사이의 제2갭을 결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는 균일한 디멘젼으로 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결찰 슬라이드의 슬라이딩 운동 동안 윙은 리세스 내에 상주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패쇄된 위치에서 리세스와 윙 사이에 갭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세스는 숄더를 규정하고, 제2패쇄된 위치에서, 숄더는 윙과 접촉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바디는 지지 표면을 포함하고, 결찰 슬라이드는 지지 표면과 대면하는 슬라이딩 표면을 포함하며, 결찰 슬라이드가 제1패쇄된 위치 내일 때, 및 결찰 슬라이드가 제2패쇄된 위치로 피봇될 때, 지지 표면 및 슬라이딩 표면은 피봇 포인트에서 접촉하고, 대략 5°보다 큰 각도가 피봇 포인트에서 지지 표면과 슬라이딩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봇 포인트는 아치와이어 슬롯로부터 지지 표면의 주변 에지에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제1패쇄된 위치 및 제2패쇄된 위치에서 탄성 부재가 바이어싱 힘을 결찰 슬라이드 상에 부과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는 탄성 부재에 관해서 피봇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어스된 피봇팅 슬라이드 치과 교정의 브래킷을 제공한다.
명세서의 부분에 통합되고 이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은, 패쇄된 위치로 나타낸 슬라이드 부재로, 치아에 부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사시도;
도 2는, 개방된 위치로 나타낸 슬라이드 부재로, 도 1에 나타낸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분해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치과 교정의 브래킷 바디의 전방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치과 교정의 브래킷 바디의 측면의 정면도;
도 5A는 도 5의 둘러싼 영역 5A의 확대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나타낸 슬라이드 부재의 후방 정면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측면의 정면도;
도 9A는, 개방된 위치 내의 슬라이드 부재를 묘사하는, 도 2의 섹션 라인 9A-9A를 따라 취한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단면도;
도 9B는, 도 1의 패쇄된 위치와 도 2에 나타낸 개방된 위치 사이의 위치 내의 슬라이드 부재를 묘사하는, 도 2의 섹션 라인 9A-9A를 따라 취한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단면도;
도 9C는, 도 1의 패쇄된 위치와 도 2에 나타낸 개방된 위치 사이의 도 9B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 내의 슬라이드 부재를 묘사하는, 도 2의 섹션 라인 9A-9A을 따라 취한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단면도;
도 9D는, 패쇄된 위치 내의 슬라이드 부재를 묘사하는, 도 2의 섹션 라인 9A-9A을 따라 취한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단면도;
도 10은, 섹션 라인 10-10을 따라 취한 도 8에 나타낸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섹션 라인 11-11을 따라 취한 도 8에 나타낸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단면도;
도 11A는 도 10의 섹션 라인 11A-11A을 따라 취한 도 8에 나타낸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단면도;
도 12는, 다른 패쇄된 위치로 나타낸 슬라이드 부재로, 도 10의 섹션 라인 11-11을 따라 취한 도 8에 나타낸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단면도;
도 12A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으로 피봇된 슬라이드 부재를 묘사하는, 도 10의 섹션 라인 11A-11A을 따라 취한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단면도이다.
이제 도면, 특히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치과 교정의 브래킷(10)은 브래킷 바디(12) 및 브래킷 바디(12)에 결합된 이동가능한 폐쇄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폐쇄 부재는, 브래킷 바디(12)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결찰 슬라이드(14)와 같은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브래킷 바디(12)는, 치아에 교정하는 힘을 인가하기 위한(투명하게으로 나타낸) 아치와이어(18)를 수취하기 위해 구성된 형성된 아치와이어 슬롯(16)을 포함한다. 결찰 슬라이드(14)는 아치와이어(18)가 아치와이어 슬롯(16) 및 결찰 슬라이드(14)에 의해 규정된 루멘 내에 유지되는 패쇄된 위치(도 1)와 아치와이어(18)가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에 삽입가능한 개방된 위치(도 2) 사이에서 슬라이드가능하다. 또한, 결찰 슬라이드(14)는, 결찰 슬라이드(14)의 슬라이딩 모션에 일반적으로 수직일 수 있는, 아치와이어 슬롯(16)에 대해서 외부 방향으로, 제2패쇄된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제2패쇄된 위치는 브래킷 바디(12) 및 결찰 슬라이드(14)에의해 사전에 규정된 고정된 스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패쇄된 위치는 그것 내에 아치와이어(18)를 유지하기 위한 루멘을 규정할 수 있다. 그런데, U-형상 클립 또는 다른 고정가능한 유지하는 부재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결찰 슬라이드(14)는 정상적인 치과 교정 치료 동안 관찰된 부하에서 현저하게 굽히지 않는다. 브래킷 바디(12) 및 결찰 슬라이드(14)는 교정하는 치과 교정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해 치과 교정의 브래킷(10)을 집합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 더해서, 치과 교정의 브래킷(10)은 결찰 슬라이드(14)에 결합된 및 브래킷 바디(12)의 적어도 부분에 체결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 형상 핀(20)(도 1 및 2에 나타낸)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는, 결찰 슬라이드(14)의 슬라이딩 또는 병진 모션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찰 슬라이드(14)를 바이어싱하기 위한 힘을 제공한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관 형상 핀(20)은 결찰 슬라이드(14)를 아치와이어 슬롯(16)을 향해 바이어스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관 형상 핀으로서 명세서에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 특정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탄성 부재는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치과 교정의 브래킷(10)의 구조적 특징과 협력해서 바이어싱 힘을 제공하는 것은, 이하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공차와 조합해서, 아치와이어 슬롯(16)에서 공차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공차의 전체적인 영향을 제한함으로써, 아치와이어 슬롯(16)의 제작하는 디멘젼은 더 정확하게 알게 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임상의가 치과 교정의 브래킷(10)과 함께 치아 운동을 더 정확하게 예측 및 제어하게 허용한다. 치아 운동의 임상의에 의한 제어를 개선하는 것은, 특정 환자에 대한 치료 시간을 상당히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하 상세히 기술된, 브래킷 바디(12)의 다른 구조적 특징과 협력해서, 탄성 부재(20)는 브래킷(10)이 아치와이어 슬롯(16)의 높이(예를 들어, 입술의-혀의 디멘젼)보다 더 큰 아치와이어를 활동적으로 결찰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임상의는, 치료 동안, 오버사이즈의 아치와이어를 선택 및 아치와이어를 슬라이드(14)와 활동적으로 결찰할 수 있다. 이는, 치과 교정 치료의 최종 스테이지 동안 전형적으로 요구된 회전 제어 요구조건을 개선할 수 있고, 수동 결찰만 할 수 있는자기-결찰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보다 더 신속하게 치과 교정 치료를 완료하게 한다.
다르게 가리켜지지 않는 한, 치과 교정의 브래킷(10)는, 하부 턱 상의 앞의 치아의 입술의 표면에 부착된 기준 프래임을 사용해서 기술된다. 결과적으로, 여기서 사용됨에 따라, 브래킷(10)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입술의, 혀의, 중간의, 말단의, 폐색의(occlusal), 및 잇몸의(gingival)와 같은 용어는, 선택된 기준프래임과 관련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10)이 구강(oral cavity) 내에서 다른 치아 상에서 및 다른 배향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선택된 기준 프래임 및 기술하는 용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브래킷(10)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한 치아의 혀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서 사용된 기술하는 용어가 기준 프래임에서의 변경이 있을 때 직접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구강 내에서의 위치 및 배향에 독립적이 되는 것으로 의도되고, 치과 교정의 브래킷의 실시형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관련 용어는 도면에서 실시형태의 명백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만 이다. 이와 같이, 관련 용어 입술의, 혀의, 중간의, 말단의, 폐색의, 및 잇몸의는, 본 발명을 특정 위치 또는 배향에 한정시키지 않는 방식이다.
환자의 하부 턱(도 1 내에 라벨이 붙은) 상에서, 특히 도 3을 참조해서, 유지되는 치아 T의 입술의 표면에 탑재될 때, 브래킷 바디(12)은, 입술의 측면(22), 폐색의 측면(24), 잇몸의 측면(26), 중간의 측면(28), 말단의 측면(30), 및 혀의 측면(32)을 갖는다. 브래킷 바디(12)의 혀의 측면(32)은, 예를 들어 적합한 치과 교정의 시멘트 또는 점착체 또는 이웃 치아 주위의 밴드와 같은, 소정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치아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도 1-3에 나타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혀의 측면(32)은 치아 T의 표면에 고정된 접합하는 베이스를 규정하는 패드(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패드(34)는 분리 피스 또는 엘리먼트로서 브래킷 바디(12)에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패드(34)가 브래킷 바디(12)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패드(34)는 특정 치아 표면의 표면상에 고정하기 위한 특정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패드(34)는 도 1-3에 나타낸 것과 다른 다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패드(34)의 소정의 특정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 및 2를 참조로, 브래킷 바디(12)는, 아치와이어 슬롯(16)을 집합적으로 규정하는, 베이스 표면(36) 및 베이스 표면(36)으로부터 입술로 돌출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슬롯 표면(38, 40)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중간의 측면(28)으로부터 말단의 측면(30)으로 중간의-말단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베이스 표면(36) 및 슬롯 표면(38, 40)은 브래킷 바디(12)의 재료 내에서 실질적으로 캡슐화되거나 또는 매립된다.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브래킷 바디(12) 및/또는 결찰 슬라이드(14)는, 일반적으로 소유된 2013년 11월 19일 발행된 U.S. 특허 번호 제8,585,398호 및 2010년 7월 8일 공개된 U.S. 공개 번호 제2010/0173256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세라믹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그들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그들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바디(12)는 결찰 슬라이드(14)를 그것 상에 수취하기 위해 구성된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을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은, 패드(34)로부터 입술로 돌출하거나 또는 패드(34)에 수직하게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은 일반적으로 아치와이어 슬롯(16)에 대해서 수직하게 연장된다.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은, 개방된 위치로부터 패쇄된 위치로 그 병진 모션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서 결찰 슬라이드(14)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해서, 지지 표면(50) 내의 그 입술의-대 부분 상에서 종료될 수 있다. 입술의 적용(도 1에 나타낸)에 있어서, 지지 표면(50)은 아치와이어 슬롯(16)의 잇몸에 위치되고, 일반적으로 폐색의-잇몸의 방향으로 종으로 연장한다.
이제, 도 4 및 5를 참조해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은, 중앙 부분(48)으로부터 연장하는대항하는 중간의 및 말단의 돌출 또는 윙(44, 46)과 함께, 일반적으로 T-형상 구성(도 4에 가잘 장 나타낸)을 갖는다.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중간의 및 말단의 윙(44, 46)은 폐색의-잇몸의 방향(도 5 및 5A에 가잘 장 나타낸)으로 두께로 테이퍼할 수 있다. 나타낸 특정 테이퍼된 윙(44, 46)에 관해서, 각각의 윙(44, 46)은 잇몸의-최 에지로부터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의 폐색의-최 에지로 두께를 균일하게 감소할 수 있다. 예로서,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의 잇몸의-최 에지에서 각각의 윙(44, 46)의 두께 T1은 대략 0.015 인치가 될 수 있고,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의 폐색의-최 에지에서 각각의 윙(44, 46)의 두께 T2는 대략 0.010 인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퍼는, 중간의 및 말단의 윙(44, 46)의 잇몸의-폐색의 길이에 걸쳐서, 두께의 대략 30%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윙(44, 46)의 두께의 변경은, 이하 가장 잘 기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14)가 도 1에 나타낸 패쇄된 위치에 있을 때, 아치와이어 슬롯(16)의 베이스 표면(36)와 관련해서 슬라이드(14)가 외부으로(예를 들어, 입술로) 이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5를 연속 참조해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표면(50)은 베이스 표면(36)에 대해서 각도로 될 수 있다. 특히, 지지 표면(50)은, 아치와이어 슬롯(16)에 가장 근접한 윙(44, 46)의 가장 얇은 부분과 아치와이어 슬롯(16)을 향해 틸트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윙(44, 46)은 나타낸 대향하는 방향으로 테이퍼할 수 있고, 이하 기술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도 5 및 5A에 나타낸,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은 중간의-말단의 방향으로 관통 보어로서 형성된 개구(52)를 포함한다. 개구(52)는, 탄성 부재(20)의 길이방향 축이 아치와이어 슬롯(16)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중간의-말단의 방향으로 연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52)는 도 2에 나타낸 화살표(54)로 가리켜진 바와 같이 슬라이드 모션의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관해서 일반적으로 비대칭 보어이다. 개구(52)는 불규칙적인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개구(52)는 탄성 부재(20)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결찰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일 때 특정 방향으로 결찰 슬라이드(14)를 바이어스하게 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일 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 및 슬라이드(14)와 협력해서, 개구(52)는, 패쇄된 위치에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 알짜 힘을 슬라이드(14) 상에 생성한다. 그러면, 이 알짜 힘은, 이하 기술된 다른 힘에 부가해서,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로부터 이격해서 이동될 수 있기 전에 또는, 잇몸의 방향으로 또는 개방된 위치를 향해 도 1에 따라서 극복되어야 한다. 알짜 힘은 슬라이드(14)를 브래킷 바디(12)와 관련해서 고정된, 더 안정한 위치로 유지시키므로, 이에 의해 더 일치된 입술의-혀의 아치와이어 슬롯 디멘젼을 유지한다. 장점으로, 입술의-혀의 방향의 층첩 공차가 감소 또는 제거된다.
도 5 및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52)는 잇몸의 측면(26)에 인접한 제1로우브 부분(5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만으로서, 제1로우브 부분(56)은 개구(52)의 부분을 따른 일반적으로 원형의 둘레를 규정할 수 있다. 로우브 부분(56)은 축(58) 및 반경 R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개구(52)는 아치와이어 슬롯(16)에 가장 근접한 제2로우브 부분(6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제1로우브 부분(56)의 폐색으로 위치된다. 제1로우브 부분(56)에 유사하게, 제2로우브 부분(60)은 축(62) 및 반경 R2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둘레에 의해 규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52)는 제1로우브 부분(56)과 제2로우브 부분(60) 사이에 위치되어 연결하는 중앙 부분(64)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부분(64)은 제1로우브 부분(56)에 대해 탄젠트 및 또한 제2로우브 부분(60)에 대해 탄젠트인 제1세그먼트(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우브 부분(56), 제2로우브 부분(60) 및 제1세그먼트(66)는, 탄성 부재(20)를 위한 슬라이드 트랙(70)을 일반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일반적으로 가리킨 바와 같이, 슬라이드 트랙(70)의 돌출은 아치와이어 슬롯(16)의 베이스 표면(36)과 예각 θ1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 트랙(70)은 지지 표면(50)과 평행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트랙(70)은
지지 표면(50)과 베이스 표면(36)을 포함하는 평면 사이의 각도와 비교됨에 따라, 베이스 표면(36)을 포함하는 평면과 약간 더 작은 각도에서 배향될 수 있다.
더욱이, 중앙 부분(64)은 제1세그먼트(66)에 대향하는 제2세그먼트(6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세그먼트(68)는 제1로우브 부분(56)에 대해 탄젠트가 될 수 있지만, 제2세그먼트(68)의 연장이 제2로우브 부분(60)(에 탄젠트에 대해서 보다)을 교차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세그먼트(68)를 더 연장함으로써, 이는 제1세그먼트(66)의 연장을 교차한다. 제1 및 제2세그먼트(66, 68)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대략 60°와 같거나 작게 될 수 있고, 브래킷(10)이 부착된 특정 치아에 의존할 수 있다. 예로서, 제2세그먼트(68)는 제1세그먼트(66)에 대해서 대략 10°와 대략 30° 사이의 각도로 될 수 있고, 또 다른 예에 의해서, 제2세그먼트(68)는 제1세그먼트(66)에 대해서 대략 19°로부터 대략 21°의 각도로 될 수 있다.
도 5 및 5A를 연속 참조해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앙 부분(64)의 제1세그먼트(66) 및 제2세그먼트(68)의 배향은, 제1로우브 부분(56) 및 제2로우브 부분(60) 사이에서 속박 또는 핀치 포인트(72)를 형성한다. 핀치 포인트(72)는,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로우브 부분(56, 60) 사이에서의 개구(52)의 좁힘이다. 이는, 제1 및 제2로우브 부분(56, 60)에 대한 각각의 가장 큰 높이(또는 입술의-혀의) 디멘젼보다 작은 디멘젼으로의 개구(52)의 좁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만으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각각의 제1 및 제2로우브 부분(56, 60)가 반경 R1 및 R2를 각각 갖는 원형의 보어를 일반적으로 규정하는 곳에서, 핀치 포인트(72)는 제1세그먼트(66)와 중앙 부분(64)의 가장 근접한 대항하는 부분사이의 수직 거리로서 측정될 수 있다. 이 수직 거리는 제1로우브 부분(56)의 직경보다 작게 될 수 있거나 또는 제2로우브 부분(60)의 직경보다 작게 될 수 있거나 또는 제1로우브 부분(56) 및 제2로우브 부분(60)의 각각의 직경보다 작게 될 수 있다. 더욱이, 이 디멘젼은 제1 또는 제2로우브 부분(56, 60)의 어느 직경 보다 적어도 5% 작게 되거나 또는 대략 10% 내지 대략 20% 작은 범위 내에 있게 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경 R2는 반경 R1보다 작고, 핀치 포인트(72)는 2배의 R2 보다 작은 사이즈로 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반경 R2는 반경 R1보다 대략 5% 내지 대략 15% 작게 가 될 수 있다. 일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경 R1는 대략 0.010 인치가 될 수 있고, 반경 R2는 대략 0.009 인치가 될 수 있으며, 핀치 포인트(72)는 대략 0.017 인치를 측정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개구(52)는 비대칭적이 될 수 있다. 비대칭은 개구(52)의 전체 길이의 중간 포인트로부터 오프셋인 핀치 포인트(72)의 결과가 될 수 있다. 도 5 및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치 포인트(72)는 제2로우브 부분(60)을 향해 시프트된다. 이 시프트에만 기반해서, 개구(52)는 개구(52)의 전체 길이의 수직 이등분선을 형성하는 평면에 관해서 비대칭적이다. 더욱이, 제1 및 제2로우브 부분(56, 60)이 일반적으로 원형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반경 디멘젼에서의 차이는, 또한 생성한다 개구(52)에서의 비대칭. 개구(52)에서의 비대칭은 슬라이드(14)의 운동에서 구별되는 촉각의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개구(52)에서의 비대칭은,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 내인 것을 가리키기 위해서 구별되는 "클릭" 또는 "스냅"을 임상의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5를 연속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바디(12)는 슬라이드 트랙(70)과 관련한 각도에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숄더(74)를 갖는다.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래킷 바디(12)는, 중앙 부분(48)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중간의 또는 말단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아치와이어 슬롯(16)에 이웃하는, 중간의 및 말단의 숄더(74, 76)를 갖는다. 예로서, 각각의 숄더(74, 76)는 대향하는 슬롯 표면(38)에서 아치와이어 슬롯(16)을 교차한다. 그런데, 실시형태는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숄더(74, 76)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4 및 5를 참조로, 중간의 숄더(74) 및 말단의 숄더(76)는 슬라이드 트랙(70)과 관련해서 각도에 있고, 일반적으로 입술의 방향으로 대면한다. 숄더(74, 76) 중 하나 또는 양쪽의 상대 배향은 베이스 표면(36)의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숄더(74, 76)는 베이스 표면(36)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베이스 표면(36) 위의 높이 H1(도 9D에 라벨이 붙은)를 규정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숄더(74, 76)는, 이것이 패쇄된 위치 내에 있고,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에서 아치와이어를 활동적으로 결찰하지 않을 때, 이에 대항해서 슬라이드(14)가 상주하는 접촉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로, 브래킷 바디(12)는 아치와이어 슬롯(16)의 입술로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폐색의 측면(24)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툴 리세스(130)를 더 포함한다. 툴 리세스(130)는,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일 때, 브래킷 바디(12)의 폐색의 측면(24)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패쇄된 함몰부 또는 리세스된 영역을 제공한다. 툴 리세스(130)는 결찰 슬라이드(14)를 개방하기 위한 툴(도시 생략)을 수취하기 위해 구성된다. Ormco Corporation으로부터의 Spin TekTM과 같은 툴 또는 유사한 툴은, 일반적으로 아치와이어 슬롯(16)과 정렬된 방향으로 툴 리세스(13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의 방향으로부터 90°의 툴의 회전은 슬롯 표면(40)에서 또는 근처에서 브래킷 바디(12)에 대항해서 툴을 레버리지(leverage)하고, 슬라이드(14)를 개방된 위치를 향해 민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및 도 8을 참조로, 브래킷 바디(12)는 폐색의 타이 윙(134) 및 잇몸의 타이 윙(136)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항하는 타이 윙(134, 136)은, 치료 동안 이것을 브래킷 바디(12)에 대항해서 패쇄된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슬라이드(14) 상에 부가적인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임상의는 결찰을 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3, 6, 및 7을 참조로, 결찰 슬라이드(14)는 (도 7에 가장 잘 묘사된) 일반적으로 U-형상 구성이다. 결찰 슬라이드(14)는 제1레그 또는 중간의 부분(80) 및 제2레그 또는 말단의 부분(82)을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이들 사이에 슬라이드 채널(84)을 규정한다. 슬라이드 채널(84)은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와 슬라이드가능하게 협동하기 위한 디멘젼으로 된다.
이에 관해서, 중간의 및 말단의 부분(80, 82)은 내측으로 돌출하는 및 일반적으로 형상에서 중앙 부분(48)에 대응하는 숄더(86, 88)를 가질 수 있다. 숄더(86, 88)는 윙(44, 46)을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취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리세스 영역(90, 91)을 규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세스 영역(90, 91)은 그들의 잇몸의-폐색의 길이를 따라서 디멘젼에서 균일하게 될 수 있다. 즉, 리세스 영역(90, 91)은 테이퍼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균일한 리세스 영역(90, 91) 및 테이퍼된 윙(44, 46)에 제한되지 않고, 역전 구성, 즉 테이퍼된 리세스 영역 및 균일한 윙, 또는 테이퍼된 리세스 영역 및 테이퍼된 윙의 조합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채널(84)은 브래킷 바디(12)의 지지 부분(42)의 형상을 따르거나 또는 대응하는 T-형상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6을 참조로, 각각의 중간의 및 말단의 부분(80, 82)은 탄성 부재(20)를 수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보어를 포함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의 부분(80)은 중간의 관통-보어(92)를 포함하고, 말단의 부분(82)은 말단의 관통-보어(94)를 포함한다. 보어(92, 94)는 공통 축(95)을 공유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 축(95)은, 패쇄된 위치 내에서 결찰 슬라이드(14)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아치와이어 슬롯(16)의 입술의 에지를 포함하는 평면의 혀로로 위치된다.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 배향은, 결찰 슬라이드(14)가 피봇함에 따라, 탄성 부재(20)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어(92) 및 보어(94)는 탄성 부재(20)의 직경 또는 동등한 디멘젼보다 약간 더 크게 되는 사이즈로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로서, 보어(92, 94)는 탄성 부재(20)의 가장 큰 대응하는 외부 디멘젼보다 디멘젼에서 더 큰 대략 0.002 인치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의해서, 보어(92, 94)는 탄성 부재(20)의 대응하는 외부 디멘젼 보다 대략 10% 내지 대략 20% 더 큰 것을 측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어(92, 94)는 부재(20)의 외측 디멘젼(예를 들어, 외측 직경)과 갖거나 작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어(92, 94)는 부재(20)의 외측 직경 보다 더 작은 내측 직경에서 대략 0.0002 인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재(20)는 각각의 보어(92 및 94) 내에 압착 고정될 수 있다.
도 6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의 및 말단의 부분(80, 82)은 슬라이딩 표면(98) 및 외부 표면(100)을 규정하는 커버 부분(96)으로부터 연장한다. 나타낸 예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부 표면(100)은 결찰 슬라이드(14)의 입술의-대부분의 표면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14)는 각각의 중간의 및 말단의 부분(80 및 82)을 따라 형성된 중간의 결찰 부분(102) 및 말단의 결찰 부분(104)을 각각 포함한다. 나타낸 예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간의 및 말단의 결찰 부분(102, 104) 각각은 포함 a 대응하는 리딩 표면(106, 108) 및 대응하는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을 포함한다.
결찰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일 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은 베이스 표면(36)에 대향하고, 이에 의해 아치와이어 슬롯(16)의 제4측면을 형성하고 그것 내에 아치와이어(18)를 유지하는 루멘을 규정한다. 특히, 표면(110, 112)은 치과 교정 치료 동안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에 아치와이어를 포획하기 위해서 아치와이어 슬롯(16)의 입술의 바운더리를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은 결찰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일 때 중간의 및 말단의 숄더(74, 76)와 접한다.
더욱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14)는 중간의 및 말단의 결찰 부분(102, 104) 사이에서 커버 부분(96) 내에 툴 리세스(132)를 포함한다. 툴 리세스(132)는 리세스(130)(도 1에 나타낸)에 대향해서 위치될 수 있으므로, 툴 리세스(130 및 132)는 결찰 슬라이드(14)를 개방하기 위한 툴을 집합적으로 수취한다. 특히, 툴(도시 생략)은 각각의 리세스(130 및 132) 내에서 결찰 슬라이드(14)와 브래킷 바디(1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툴 리세스(130 및 132) 내에 삽입함에 따라 자체 배향으로부터 90°로 툴의 전체 회전은, 패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를 향해 결찰 슬라이드(14)의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도입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관 형상이 될 수 있다. 단면은 연속될 수 있는데, 즉 관 형상 탄성 부재(20)는 자체의 측벽 내에서 슬롯 또는 다른 불연속 없이 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 및 슬롯 형성된 관 형상 스프링 핀과 달리, 탄성 부재(20)의 둘레는, 탄성 부재(20)가 탄성으로 변형될 때, 일반적으로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a)는 길이방향 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한 종으로 연장하는 자체의 측벽을 통해서 단일 슬롯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20a)는 이하 기술된 탄성 부재(20)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공통으로 소유한 U.S. 특허 번호 제8,033,824호에 기술되는, 이는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하지 않는 한, "탄성 부재(20)"를 참조하는 것은 각각 도 3에 나타낸 탄성 부재(20) 또는 탄성 부재(20a)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는 것이다.
탄성 부재(20)는 보어(92, 94) 내에 고정하고 개구(52)를 관통하기 위한 디멘젼으로 될 수 있다. 일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20)는 니켈 티타늄(NiTi) 초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한 NiTi 조성은 미량의 불순물과 함께 대략 55 wt.% 니켈(Ni), 및 대략 45 wt.% 티타늄(Ti)을 포함하고, Fremont, California의 NDC으로부터 이용가능하다. NiTi 합금의 기계적인 성질은 대략 155 ksi 보다 큰 궁극적인 신장 강도, 대략 55 ksi 보다 큰 상부 평탄역, 및 대략 25 ksi 보다 큰 하부 평탄역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20)의 디멘젼은 브래킷 자체의 사이즈에 의존해서 변화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20)는 축(140) 및 길이에서 대략 0.50 인치로부터 대략 0.125 인치로인 대략 0.016 인치의 직경을 갖는 직원, 중공 실린더이다. 벽 두께는 대략 0.001 인치로부터 대략 0.004 인치로 측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0.002 인치 내지 대략 0.003 인치로 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및 도 3을 참조로, 슬라이드(14)는, 아치와이어 슬롯(16)을 향하는 방향으로 브래킷 바디(12)의 잇몸의 측면(26)을 넘어서부터 슬라이딩 모션에 의해, 브래킷 바디(12)로 조립된다. 결찰 슬라이드(14)가 브래킷 바디(12)로 조립될 때, 슬라이딩 표면(98)은 이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서 슬라이드 지지 부분(42)(도 3에 가잘 장 나타낸)의 지지 표면(50)을 슬라이드가능하게 체결한다.
슬라이드 채널(84)의 역으로 성형된 구성과 협동해서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의 T-형상 구성은, 탄성 부재(20)가 고장인 경우 외부으로 또는 입술의 방향으로 슬라이드(14)가 브래킷 바디(12)로부터 잘못하여 체결 해제되는 경우들을 억제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탄성 부재(20)는 개방된 위치에서 및 모든 패쇄된 위치들에서 결찰 슬라이드(14)를 브래킷 바디(12)에 잠금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20)는 브래킷 바디(12)와 협동하고, 특히 각각의 개방된 및 패쇄된 위치들에서 슬라이드(14)를 브래킷 바디(12)에 고정하기 위해서 개구(52)를 관통해서 연장하다.
도 3 및 6을 참조로, 결찰 슬라이드(14)가 브래킷 바디(12) 상에 위치된 후, 탄성 부재(20)가 삽입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는 관통-보어(94) 내에서, 개구(52)를 관통해서 축(95)을 따라 대항하는 보어(92) 내에 위치된다. 조립 동안, 탄성 부재(20)는 보어(92, 94) 내에 압착 고정 또는 슬립 고정될 수 있고, 및/또는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테이킹(staking), 가용점, 레이저 용접, 점착체,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정을 사용해서, 그것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조립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은 아치와이어 슬롯(16)의 전체 폭 또는 수직 거리를 연장하지 않는다. 이에 관해서, 폐색으로 배향된 리딩 표면(106, 108)는 브래킷 바디(12)의 대항하는 표면에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106, 108)은 슬롯 표면(40)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 브래킷 바디(12)과 결찰 슬라이드(14) 사이에 갭(114)이 남는다. 갭(114)은 의도적이 될 수 있고, 탄성 부재(20)에 의해 부과된 부하 하에서 결찰 슬라이드(14)가 베이스 표면(36)와 관련해서 하나 또는 양쪽 숄더(74, 76)와 접촉해서 일치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위치에서 갭을 빌트함으로써, 치료 동안 결찰 슬라이드(14)의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와 브래킷 바디(12)의 숄더(74, 76) 사이의 접촉은, 더 개연성이 있고 공산이 크다. 결찰 슬라이드(14)와 브래킷 바디(12) 사이의 접촉의 다수의 다른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것은, 결찰 슬라이드(14)가 브래킷 바디(12)와 관련해서 더 일치되게 위치되는 공산을 증가시킨다. 특히, 다른 위치로 제한하는 접촉 또는 다른 위치에 빌트-인 갭을 제공하는 것은,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과 숄더(74, 76) 사이의 일치된 접촉의 확률을 증가시킨다. 예로서, 갭(114)은 적어도 대략 0.001 인치가 될 수 있고, 또 다른 예에 의해서, 갭(114)은 대략 0.001 인치 내지 대략 0.005 인치의 범위 내에서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갭(114)의 최대 디멘젼은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에서 아치와이어(18)를 포획하기 위해 요구된 결찰 부분(102, 104)의 최소 연장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7 및 8을 더 참조해서, 다른 갭 또는 클리어런스는 슬라이드(14)와 브래킷 바디(12) 사이에 빌트 인 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중간의 및 말단의 부분(80, 82)은, 브래킷 바디(12)과 대향하는 표면(116 및 118)에 의해 규정되지만, 나타낸 바와 같이, 결찰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일 때 브래킷 바디(12)와 슬라이드가능하게 체결 또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관해서, 결찰 슬라이드(14)와 브래킷 바디(12) 사이에 빌트-인 갭(120)이 있다. 특히, 중간의 숄더(122)에서의 표면(116)과 브래킷 바디(12) 사이 및 말단의 숄더(124)(도 4에 나타낸)에서 표면(118)과 브래킷 바디(12) 사이. 예로서 및 제한인 아닌, 갭(120)은, 상기된 바와 같이, 표면(106, 108)과 슬롯 표면(40) 사이의 갭(114)과 유사한 디멘젼으로 될 수도 있다. 특히, 갭(120)은 적어도 대략 0.001 인치를 측정할 수 있고, 및 또 다른 예에 의해서, 결찰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일 때, 대략 0.001 인치로부터 대략 0.005 인치로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14)는 2개의 표면만을 따라 브래킷 바디(12)와 접촉한다. 한 접촉 표면은 지지 표면(50)이고, 다른 표면은 숄더(74 또는 76)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양쪽 숄더(74, 76)가 슬라이드(14)가 접촉하는 곳에서, 슬라이드(14)와 브래킷 바디(12) 사이에 접촉의 3개의 표면만이 있다. 제한된 수의 접촉 포인트만을 제공함으로써, 브래킷 바디(12)와 관련해서 슬라이드(14)의 위치가 더 일치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결찰 슬라이드(14)는 다수의 패쇄된 위치를 가질 수 있고; 탄성 부재(20)는 각각의 패쇄된 위치로 결찰 슬라이드(14)를 바이어스 할 수 있다. 예로서, 탄성 부재(20)는 슬라이드(14)를 슬라이드(14)의 병진 모션의 방향으로 바이어스할 수 있다. 결찰 슬라이드(14) 상에 탄성 부재(20)에 의해 부과된 바이어스에 관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공통으로 소유한 2013년 11월 5일 출원된 U.S. 공개 번호 제2014/0127638호 및 2014년 3월 12일 출원된 U.S. 출원 번호 제14/205,674호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내고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바이어스된 결찰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그들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또한, 슬라이드(14)를 바이어싱하는 것은, 아치와이어 슬롯(16)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것을 포함한다. 결찰 슬라이드(14)가 탄성 부재(20)에 의해 바이어스될 수 있기 때문에, 결찰 슬라이드(14)에서의 공차 변동은 일반적으로 입술의-혀의 방향으로 아치와이어 슬롯(16)의 깊이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더 이상 관련이 없다. 이는, 공차의 크기에 관계없이, 결찰 슬라이드(14)가 브래킷 바디(12)의 숄더(74, 76)와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이스 표면(36)과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 사이의 디멘젼과 같거나 작은 입술의-혀의 디멘젼을 갖는 아치와이어와 함께 치과 교정 치료 동안, 결찰 슬라이드(14)는 중간의 및 말단의 숄더(74, 76)와 접촉하고 바이어스되는 한편, 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동안 더 고려 및 감시되어야 하는 공차 변동은, 아치와이어 슬롯(16)의 베이스 표면(36)와 관련해서 숄더(74, 76)의 위치 조정에서의 공차이다. 장점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입술의-혀의 방향으로 아치와이어 슬롯(16)의 깊이를 궁극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 층첩하는 다수의 공차를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브래킷 바디(12) 및 결찰 슬라이드(14)에 의해 생성된 루멘과 아치와이어(18) 사이의 더 일치된 고정을 제공한다. 치아의 회전 제어는, 치과 교정 치료 동안, 더 일치되게 유지될 수 있고, 예측가능한 것으로 믿어진다.
특히, 사용 동안, 및 도 9A-9D의 시퀀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찰 슬라이드(14)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탄성 부재(20)는 개구(52)의 제1로우브 부분(56)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보어(92, 94)의 공통 축(95)은 제1로우브 부분(56)의 축(58)과 정렬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0)의 축(140)은, 탄성 부재(20)의 단면 디멘젼에 의존해서 축(58)과 정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위치에서, 및 각각의 제1로우브 부분(56) 및 보어(92, 94)가 탄성 부재(20) 보다 디멘젼에서 일반적으로 더 큰 곳에서, 탄성 부재(20)는 이완된, 변형되지 않은 상태이고, 소정의 주어진 방향으로 결찰 슬라이드(14)를 바이어스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런데, 탄성 부재(20)는 도 9A에서 화살표 142로 가리켜진 방향으로 슬라이드(14) 상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에 저항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 아치와이어가 아치와이어 슬롯(16)으로부터 제거될 때 및 새로운 아치와이어가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에 삽입되지 전에, 결찰 슬라이드(14)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패쇄된 위치 부주의로 밀어지는 것에 저항할 수 있다. 중앙 부분(64)이 세그먼트(68)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는 탄성 부재(20)의 외측 직경 보다 작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클리어런스 디멘젼을 제공기 때문에, 중앙 부분(64)은 화살표 142로 가리켜진 방향으로 탄성 부재(20)의 운동과 간섭한다. 장점으로, 세그먼트(68)와 탄성 부재(20) 사이의 간섭은, 최상위 힘이 요구되기 전에 슬라이드(14)의 운동 거리를 제한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14)는 의도하지 않은 힘에 저항하고, 의도적으로 패쇄될 때까지 실질적으로 개방된 위치에 남는다. 슬라이드(14)를 개방된 위치로 위치 조정한 후, 임상의는, 아치와이어 슬롯(16)으로부터 존재하는 아치와이어를 제거할 수 있고, 결찰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를 향해 부주의로 이동하게 될 것에 관계없이, 다른 아치와이어를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에 삽입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더욱이, 이에 관해서, 부재(20)와 개구(52) 사이의 상호 작용은, 결찰 슬라이드(14)를 패쇄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 힘의 의도적 적용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소 문턱 힘이, 이를 패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서 슬라이드(14) 상에 요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소 문턱 힘은 슬라이드(14)의 슬라이딩 웨이트 보다 크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14) 상의 힘이 최소 문턱 힘이 수행하는 것을 초과할 때만, 탄성 부재(20)가 패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최소 문턱 힘을 초과하는 슬라이드(14) 상의 힘은, 탄성 부재(2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한다. 탄성 부재(20)의 탄성 변형은 개구(52)의 중앙 부분(64)의 형상에 의해 구술된다. 이에 관해서, 부재(20)의 탄성 변형은 개구(52)와의 접촉의 영역으로 국지화될 수 있다. 탄성 변형에 의해, 탄성 부재(20) 내에서 생성된 스트레인은 완전히 복구되고, 및 부재(20)는 변형하는 힘의 제거에 따라, 그 본래 형상으로 복귀한다.
도 9B는, 슬라이드(14) 상의 힘이 패쇄된 위치를 향해 슬라이드(14)를 이동시키기 위해 요구된 최소 문턱 힘을 초과하는, 예시의 실시형태를 묘사한다. 슬라이드(14) 상의 힘이 탄성 부재(20)의 탄성 변형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곳에서, 슬라이드(14)는 패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특히 개구(52)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20)의 중앙 부분이 결찰 슬라이드(14) 상에 인가된 부하에 기인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한다. 제2세그먼트(68)의 구성에 의존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힘이 패쇄된 위치를 향해 슬라이드 트랙(70)을 따라 슬라이드(14)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요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증가하도록 힘이 요구되는 레이트는 중앙 부분(64)의 형상 및 탄성 부재(20)의 성질에 의해 구술된다.
도 9B에 나타낸 예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제2세그먼트(68)는 일반적으로 평면적인 표면이고,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를 변형하기 위해서, 개방하는 운동의 부분에 적어도 걸쳐서 슬라이드(14) 상의 힘에 있어서의 일반적으로 선형 증가를 요구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탄성 부재(20)는, 이것이, 탄성 부재(20)와 제1세그먼트(66) 사이의 접촉의 영역과 탄성 부재(20)와 제2세그먼트(68) 사이의 접촉의 영역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규정된 형상을 따르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변형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는 부재(20)의 단면 프로파일에서의 변경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는, 탄성 부재(20)와 개구(52) 사이의 접촉의 영역에서, 거친 에그-형상 단면으로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52)의 외측 탄성 부재(20)의 부분은 상당히 탄성적으로 변형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그들의 본래 단면 프로파일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보어(92, 94) 내의 탄성 부재(20)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20)의 탄성 변형은, 개구(52)와의 슬라이딩 접촉으로 탄성 부재(20)의 영역을 이산시키기 위해서 국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탄성 부재(20)의 소정의 특정 형태 또는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개구(52)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20)의 단면에 관한 탄성 변형에 부가해서, 탄성 부재(20)는 결찰 슬라이드(14)에 인가된 부하에 응답해서 그 길이방향 축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즉, 결찰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를 향해 밀리고, 탄성 부재(20)가 제2세그먼트(68)와 마주칠 때, 탄성 부재(20)는 그 길이방향 축(140)을 따라 휨(bowing)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예로서, 중간의 및 말단의 관통-보어(92, 94) 내의 탄성 부재(20)의 각각의 단부는 개구(52)와 접촉해서 탄성 부재(20)의 중앙 부분 보다 아치와이어 슬롯(16)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탄성 부재(20)는 결찰 슬라이드(14)의 운동 동안 자체의 축을 따라 굽힌다.
도 9C를 참조로, 결찰 슬라이드(14)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를 변형하기 위해 요구된 힘 보다 큰 힘 하에서 패쇄된 위치에 더 근접하게 이동한다. 패쇄된 위치를 향해 슬라이드(14)를 초기에 이동하기 위해 요구된 문턱 힘 보다 큰 몇몇 힘에서, 슬라이드(14)에 인가된 힘은 탄성 부재(20)가 핀치 포인트(72)의 디멘젼을 따르도록 충분하게 된다. 힘의 이 크기에서, 탄성 부재(20)는 개구(52)와의 접촉의 영역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므로, 탄성 부재(20)는 핀치 포인트(72)를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는 에그-형상 단면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핀치 포인트(72)에서, 탄성 부재(20)의 리딩 부분(144)은 제2로우브 부분(60) 내에 상주하는 한편 탄성 부재(20)의 나머지 부분(146)은 중앙 부분(64) 내로 연장한다. 탄성 부재(20)는 각각의 제2로우브(60) 및 중앙 부분(64) 내에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탄성 부재(20)가 제2로우브 부분(60)으로 부분적으로 진입하는 위치로 슬라이드(14)를 이동하기 위해 요구된 힘은, 대략 0.1 kgf(킬로그램 힘)을 초과할 수 있고, 및 부가적인 예에 의해, 이 힘은 대략 0.2 kgf로부터 대략 0.8 kgf 또는 대략 0.5 kgf로부터 대략 0.7 kgf, 바람직하게는 대략 0.6 kgf로 될 수 있다.
도 9A-9C를 연속 참조해서, 결찰 슬라이드(14)가 개방된 위치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문턱 힘 및/또는 문턱 슬라이딩 힘을 극복하기 위해 요구된 힘의 크기는, 개구(52)의 구성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이 힘은 개구(52)의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변화된다. 이에 관해서, 제2세그먼트(68)와 제1세그먼트(66) 사이의 교차의 각도는 요구된 개방하는 힘 및/또는 슬라이딩 힘 및 힘이 증가될 수 있는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증가될 수 있다. 게다가, 핀치 포인트(72)의 위치는, 이에 의해 힘 증가의 레이트가 변경될 수 있는 더 짧은 또는 더 긴 중앙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서 선택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세그먼트(66, 68)의 형상은, 탄성 부재(20)가 중앙 부분(64) 내일 때, 선형으로 증가하는 슬라이딩 힘을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평면적이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세그먼트(66, 68) 중 하나 또는 양쪽은 가변하는 슬라이딩 힘을 제공하기 위해서 윤곽으로 되거나 만곡(도시 생략)된다. 개방하는 및/또는 슬라이딩 힘을 변화시키기 위한 상기된 방법은 예시이다.
이제, 도 9D를 참조하면, 개방하는 및/또는 슬라이딩 힘이 탄성 부재(2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핀치 포인트(72)를 통과하는(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요구된 힘을 충족 또는 초과하면, 탄성 부재(20)는 제2로우브 부분(60) 내로 거리의 나머지를 자발적으로 슬라이드 또는 이동할 수 있다. 즉, 리딩 부분(144) 및 나머지 부분(146)은, 부가적인 외부의 힘의 부재시, 제2로우브 부분(60) 내로 완전히 자발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탄성 부재(20)의 문턱 부분이 제2로우브 부분(60)에 진입하면, 제2로우브 부분(60) 내로의 탄성 부재(20)의 슬라이딩 운동은 자발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운동은, 탄성 부재(20)가 제2로우브 부분(60) 내로 확대될 때, 가청의 및/또는 촉각의 "클릭" 또는 "스냅"에 의해 동반될 수 있다. 그러면, 이 특징에 의해, 임상의는, 결찰 슬라이드(14)가 자체의 패쇄된 위치에 도달하고, 치과 교정 치료 동안 관찰된 정상적인 힘 하에서 패쇄된 위치 내에 남게 될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탄성 부재(20)의 탄성 성질은 자연 경사도가 탄성 부재(20)를 핀치 포인트(72)의 근처 내의 탄성 부재(20)의 변형된 구성보다 변형되지 않은 또는 적어도 덜 변형된 구성으로 복귀하게 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탄성 부재(20)의 문턱 부분이 개구(52)의 제2로우브 부분(60)에 진입할 때, 부재(20)는 자발적으로 내부 탄성 에너지(자체의 변형된 조건에 의해)를 해방한다. 이러한 해방은, 핀치 포인트(72)의 근처의 탄성 부재(20)가, 부가적인 외부의 힘의 적용 없이, 제2로우브 부분(60) 내로 이동 및 이를 충전하게 한다. 즉, 탄성 부재(20)의 단편의 부분만이, 외부의 힘이 슬라이드(14)를 핀치 포인트(72)에 이동시키기 위해서 슬라이드(14)에 인가될 때, 제2로우브 부분(60)에 진입할 수 있다. 탄성 부재(20)는, 덜한 또는 없는 탄성 변형을 갖는 구성으로 복귀하기 위해서, 거리의 나머지를 제2로우브 부분(6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불충분한 힘이 탄성 부재(20)에 인가되므로, 이것이 제2로우브 부분(60)에 진입하는 것에 실패하게 되면, 탄성 부재(20)가 제1로우브 부분(56)에 인접한 중앙 영역(64)의 더 큰 영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14)는, 외부의 힘의 부재시, 개방된 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탄성 부재(20)는 제1로우브 부분(56)에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및 도 9D 및 10를 참조로, 결찰 슬라이드(14)는 패쇄된 위치로 나타낸다. 그런데, 보어(92, 94)는 개구(52)의 제2로우브 부분(60)과 완전히 정렬되지 않는다. 특히,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 내인 동안, 보어(92, 94)는 제2로우브 부분(60)으로부터 오프셋이다. 오프셋은 폐색의-잇몸의 방향으로 될 수 있다. 특히, 보어(92, 94)는 제2로우브 부분(60)보다 아치와이어 슬롯(16)으로부터 더 이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어(92, 94)의 축(95)은, 결찰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 내일 때, 제2로우브 부분(60)의 축(62)보다 아치와이어 슬롯(16)으로부터 더 큰 거리에 있다. 그럼에도, 오프셋 관계임에도, 핀치 포인트(72)에 의해 생성된 몇몇 탄성 변형을 해방하기 위해서, 탄성 부재(20)는 제2로우브 부분(60) 내로 자발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즉, 100%보다 작은 탄성 변형이 해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탄성 부재(20)의 중앙 부분이 제2로우브 부분(60) 내일 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62 및 95) 사이의 오프셋에 기인해서, 탄성 부재(20)는 자체의 축(140)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보어(92, 94)와 제2로우브 부분(60) 사이의 정렬의 부족은, 탄성 부재(20)는 휘거나 또는 만곡(도 10에 가잘 장 나타낸)된 것으로 믿어진다. 축(62 및 95)에서의 오프셋에 기인해서 탄성 부재(20)가 약간 휘게 될 수 있으므로, 결찰 슬라이드(14)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20)의 어느 단부는 아치와이어 슬롯(16)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그러므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핀치 포인트(72)로 강제된 운동으로부터 저장된 탄성 변형 에너지를 해방하기 위해서, 탄성 부재(20)가 제2로우브 부분(60) 내로 자발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동안, 탄성 부재(20)는 패쇄된 위치 내로 몇몇 탄성 변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탄성 변형의 양은 핀치 포인트(72)에서 관찰된 양 보다 작게 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 내이면(도 9D), 탄성 부재(20)의 탄성 변형은, 예를 들어 아치와이어 슬롯(16)의 방향으로 슬라이드(14)의 모션의 방향으로 슬라이드(14) 내에서 바이어스를 생성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20)에서의 바이어스는 슬라이드 트랙(70)의 방향으로이다. 이에 관해서, 바이어스는 아치와이어 슬롯(16)의 베이스 표면(36)을 포함하는 평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될 수 있다. 탄성 부재(20)에서의 바이어스는, 슬라이드(14)가 개방된 위치를 향해 이동가능하기 전에 극복되어야 한다. 인가된 힘은 탄성 부재(20)의 탄성 변형의 결과인 바이어스를 먼저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20)는 슬라이드(14)와 브래킷 바디(12) 사이의 더 일치된 접촉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는 혀로- 대면하는 표면(110, 112) 및 숄더(74, 76) 사이의 더 일치된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장점으로, 일반적으로 입술의-혀의 방향으로 아치와이어 슬롯(16)의 깊이가 아치와이어 슬롯(16)의 베이스 표면(36)과 관련해서 숄더(74, 76)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숄더(74, 76)에 대항하는 결찰 슬라이드(14)의 바이어싱에 기인해서, 다른 공차 변동은 아치와이어 슬롯 루멘과 아치와이어(18) 사이의 패쇄 고정 상에서 베어링을 더 이상 갖지 않을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및 도 11을 참조로, 결찰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이고, 아치와이어(18)가 H1보다 작게 되는 디멘젼으로 될 때,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은 나타낸 바와 같이 아치와이어(18)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표면(110, 112)은 숄더(74, 76)와 접촉한다. 이 구성은, 이것이 아치와이어(18)를 수동으로 결찰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곳에서 치료 동안 관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한이 아닌 예만으로서, H1는 대략 0.018 인치 내지 대략 0.022 인치가 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된 윙(44)과 숄더(74)에 이웃한 숄더(86) 사이의 클리어런스 또는 갭(150)이 있다. 갭(150)은 테이퍼된 또는 ?지-형상으로 될 수 있고, 테이퍼된 윙(44)과 균일 리세스(90) 사이에서 형상의 차이에 대응한다(도 7). 더욱이, 이에 관해서, 갭(150)의 테이퍼링은 테이퍼된 윙(44)의 테이퍼에 대향하는 잇몸의-폐색의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갭(150)은 숄더(86)의 폐색의-최 에지와 윙(44) 사이에서 가장 크게 될 수 있고, 잇몸의 측면(26)에서 가장 좁을 수 있다. 유사한 갭(도시 생략)이 테이퍼된 윙(46)과 숄더(88)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숄더(86, 88)와 대응하는 테이퍼된 윙(44, 46) 사이에 갭이 있는 동안, 결찰 슬라이드(14)는 슬라이드 지지 부분(4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다. 특히, 커버 부분(96)은 지지 표면(5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는 아치와이어 슬롯(16)의 방향으로 및 특히 베이스 표면(36)을 향한 방향으로 결찰 슬라이드(14)를 바이어스할 수 있다. 탄성 부재(20)에 의해 생성된 바이어스는, 패쇄된 위치를 향한 개방된 위치로부터의 슬라이딩 운동의 적어도 부분에 걸쳐서 지지 표면(50)에 대항해서, 커버 부분(96)를 강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 표면(50)과 커버 부분(96) 사이의 접촉은, 지지 표면(50)과 슬라이드 트랙(70) 사이의 소정의 각도의 차이에 의존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14)가 숄더(74, 76) 중 하나 또는 양쪽과 접촉함에 따라, 슬라이딩 표면(98)의 부분은 지지 표면(50)으로부터 약간 변위될 수 있다. 이것이 숄더(74, 76) 중 하나 또는 양쪽과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 사이의 접촉을 보증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결찰 슬라이드(14)는 아치와이어 슬롯(16)과 관련해서 슬라이드가능하고, 또한 아치와이어 슬롯(16)과 관련해서 피봇가능하다. 그러므로, 결찰 슬라이드(14)는, 그것 내에 아치와이어(18)가 유지되는 다수의 패쇄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찰 슬라이드(14)는,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 중 하나 또는 양쪽이 대응하는 숄더(74, 76)와 접촉하는 한 패쇄된 위치를 을 가질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는 숄더(74, 76) 중 하나 또는 양쪽에 대항해서 결찰 슬라이드(14)를 바이어스할 수 있다.
결찰 슬라이드(14)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쇄된 위치로 피봇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및 도 11-12A를 참조로, 결찰 슬라이드(14)는 아치와이어 슬롯(16)의 베이스 표면(36)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이격해서 외부로 또는 입술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 외부 방향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표면(36)을 횡단 및 슬라이드 트랙(70) 및/또는 지지 표면(50)을 횡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운동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표면(36) 및/또는 슬라이드 트랙(70)에 수직하다. 피봇의 모션은 도 12에서 화살표 152로 나타낸다. 더욱이, 피봇의 모션은 탄성 부재(20)의 바이어스에 대항한다. 즉, 결찰 슬라이드(14) 상의 힘은, 피봇하기 위한 결찰 슬라이드(14)가 탄성 부재(20)에 의해 저항하게 한다.
결찰 슬라이드(14)가 아치와이어 슬롯(16)과 관련해서 입술로 피봇 또는 이동하는 적어도 2개의 이유가 있다. 하나에 따라서, 피봇팅 모션은, 결찰 슬라이드(14)에 대항해서 입술로 당기는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에서 아치와이어(18)의 결과가 될 수 있다. 이는 도 12에 묘사된다. 치료 동안, 아치와이어 슬롯(16)으로부터 아치와이어(18)를 당기는 경향이 있는 힘이 탄성 부재(20)에 의해 결찰 슬라이드(14) 상에 부과된 바이어스보다 크면, 결찰 슬라이드(14)는 아치와이어 슬롯(16)과 관련해서 피봇할 수 있다.
특히, 결찰 슬라이드(14) 상에 아치와이어(18)에 의해 생성된 힘이 문턱 값에 도달할 때, 결찰 슬라이드(14)는 탄성 부재(20)에 의해 생성된 바이어스에 대항해서 결찰 슬라이드(14)와 브래킷 바디(12) 사이의 접촉 포인트에 관해서 피봇할 수 있다. 중간의 및 말단의 결찰 부분(102, 104)은 접촉 포인트에 관해서 회전할 수 있어,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이 숄더(74, 76)의 이륙 또는 이로부터 분리하도록 한다. 예로서, 결찰 슬라이드(14)는 포인트(154)에 관해서 피봇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 포인트(154)는 브래킷(10)의 잇몸의 측면(26)에서 또는 근처에서 테이퍼된 윙(44)과 커버 부분(9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나타내지 않았지만, 유사한 피봇 포인트가 테이퍼된 윙(46)과 결찰 슬라이드(14)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다. 피봇 포인트가 기술되는 한편, 이들 접촉 위치들은, 서로 접촉하는 2개의 표면의 결과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피봇 포인트는 포인트 접촉로서 엄격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게다가, 접촉은 2개의 표면 사이에서 이고, 이 접촉은 받침점(fulcrum)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결찰 슬라이드(14)가 베이스 표면(36)으로부터 이격해서 피봇함에 따라 부하가 결찰 슬라이드(14)로부터 브래킷 바디(12)로 통과한다.
접촉 포인트(154)에 관한 피봇팅 모션 동안, 숄더(86)는 갭(150)을 충전하기 위해서 입술로 회전한다(도 11). 이 운동은 슬라이딩 표면(98)을 따른 커버 부분(96)과 테이퍼된 윙(44) 사이의 클리어런스 또는 갭(156)을 생성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접촉 포인트(154)에 관한 결찰 슬라이드(14)의 피봇팅 모션은 갭(150)을 감소하는 한편 갭(156)을 비례해서 증가시킨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숄더(86)가 테이퍼된 윙(44)과 접촉할 때, 갭(156)은 최대 값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의 접촉은, 숄더(86)의 입술의-대부분의 표면이 테이퍼된 윙(44)의 혀로 대면하는 표면과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접촉이 숄더(86)와 브래킷 바디(12)(예를 들어, 숄더(76)에서 또는 근처에서 테이퍼된 윙(44) 상에서) 사이에서 일어나면, 피봇팅 모션은 스톱한다. 따라서, 피봇 포인트(154)에 관한 몇몇 사전에 규정된 양의 각도의 운동에서, 결찰 슬라이드(14)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예로서, 각도의 운동은 대략 5° 내지 대략 20°보다 크게 될 수 있고, 또 다른 예에 의해서, 대략 10° 내지 대략 20°가 될 수 있다. 이 각도의 운동은 소정의 입술의 운동을 초과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타입의 운동은 대략 5° 정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이 만들어지면, 피봇의 운동은 스톱하고, 결찰 슬라이드(14) 상의 소정의 부가적인 부하는 접촉 포인트(154)에서 및 숄더(86)와 테이퍼된 윙(44) 사이의 다른 접촉 포인트에서, 결찰 슬라이드(14)로부터 브래킷 바디(12)로 전달된다. 결찰 슬라이드(14)의 역 회전 운동이 또한 일어날 수 있다.
이에 관해서, 치아를 자체의 심미적으로 즐거운 위치에 더 근접해서 이동함에 따라, 아치와이어(18)는 베이스 표면(36)을 향해 되돌려 이동할 수 있고,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아치와이어(18)가 이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갭(156)은 감소하고, 동시에 갭(150)은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이 대응하는 숄더(74, 76)와 접촉할 때까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례해서 증가한다. 또한, 슬라이딩 표면(98)은, 특히 테이퍼된 윙(44)의 잇몸의-대부분에서에서 또는 근처에서 지지 표면(50)과 접촉한다.
결찰 슬라이드(14)는 다른 조건으로 외부로 피봇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H1보다 더 큰 디멘젼을 갖는 아치와이어는, 브래킷(10)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선행하는 절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외부로 피봇하기 위해서 결찰 슬라이드(14)를 요구한다. 상대적으로 큰 아치와이어는, 디멘젼 H1으로 나타낸 사전에 규정된 아치와이어 사이즈보다 디멘젼에서 더 크게 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H1은 베이스 표면(36)으로부터 숄더(74, 76)로 입술의-혀의 디멘젼이다. 결찰 슬라이드(14)의 피봇팅 특징의 관점에서, 및 도 12를 참조로, 상기된 바와 같이, 접촉 포인트(154)에서 결찰 슬라이드(14)와 커버 부분(96) 사이 및 숄더(86)와 테이퍼된 윙(44) 사이에서 접촉이 일어날 때, 결찰 슬라이드(14)는 아치와이어 슬롯(16)으로부터 자체의 최대 피봇의 변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배향에서,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은 베이스 표면(36)으로부터 디멘젼 H2로(도 12에서 라벨이 붙은) 변위될 수 있는데, 이는 아치와이어 슬롯(16) 내로 삽입가능한 아치와이어의 최대 구강의-혀의 디멘젼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10)은 H2보다 더 작은 구강의-혀의 디멘젼을 갖는 결찰 아치와이어일 수 있다.
예로서, H1보다 큰 H2의 디멘젼을 갖는 아치와이어(160)는, 결찰 슬라이드(14)가 피봇하게 할 것이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H1은 대략 0.020 인치로 측정하고, 상대적으로 큰 아치와이어(160)는 0.020 인치보다 더 크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아치와이어(160)는 대략 0.022 인치의 구강의-혀의 디멘젼 또는, 대략 0.025 인치의 구강의-혀의 디멘젼을 가질 수 있다. H1보다 큰 구강의-혀의 디멘젼을 갖는 아치와이어가 사용될 때, 결찰 슬라이드(14)는, 개방된 및 패쇄된 위치 사이에서 결찰 슬라이드(14)의 슬라이딩 운동 동안 아치와이어 상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 결찰 슬라이드(14)의 리딩 표면(106, 108)은 라운드되어, 결찰 슬라이드(14)가 패쇄된 위치를 향한 병진의 운동 동안 아치와이어(160)에 걸쳐서 올라가게 허용하다.
그러므로, 임상의는, 아치와이어(18)를 수동으로 결찰하는 것이 바람직한 치료의 초기 스테이지 동안, 도 11에 나타낸 아치와이어(18)와 같은 작은 아치와이어를 사용한다. 비교적 작은 아치와이어(18)는, 치과 교정 치료의 초기 스테이지 동안 요구된 모두 합친(gross) 치아 운동을 감안한다. 치과 교정 치료의 마지막의 스테이지 동안, 임상의는 아치와이어(18)를 제거할 수 있고, 아치와이어(160)와 같은 상대적으로 큰 아치와이어를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아치와이어(160)는 아치와이어 슬롯(16)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충전하여, 결찰 슬라이드(14)에 의해 연속적으로 활동적으로 결찰하게 된다. 아치와이어(160)는 치과 교정 치료의 나중의 스테이지 동안 전형적으로 요구된 치아의 개선된 회전의 또는 다른 미세한 위치 조정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14)가 숄더(74, 76)와 접촉할 때 획득된 변형보다 더 큰 정도로 탄성 부재(20)가 탄성적으로 변형하게 아치와이어(160)가 H1보다 더 크게 되기 때문에, 결찰 슬라이드(14)는 아치와이어(160)를 활동적으로 결찰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1A 및 12A에 묘사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의 탄성 변형은 입술의-혀의 방향으로 될 수 있다. 예만으로서, 소정의 이론에 묶이지 않고, 탄성 변형은, 제2로우브 부분(60) 내의 탄성 부재(20)의 부분과 관련해서 입술로 굽은 중간의 및 말단의 관통-보어(92, 94) 내에서, 탄성 부재(20)의 대항하는 단부와 함께 길이방향 축(140)을 따라 종으로이다. 도 11A에 관해서, 결찰 슬라이드(14)가 대응하는 숄더(74, 76)와 접촉해서 혀로-대면하는 표면(110, 112)과 함께 패쇄된 위치일 때, 탄성 부재(20)는, 개구(52) 내에 위치된 탄성 부재(20)의 부분의 입술로 위치되는 탄성 부재(20)의 대항하는 단부와 함께,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 축(140)을 따라 약간 굽혀질 수 있다.
도 11A 및 12A를 참조로, 탄성 부재(20)는, 결찰 슬라이드(14)가 피봇함에 따라, 도 11A와 비교해서 도 12A 내에 더 큰 정도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탄성 부재(20)의 대항하는 단부는 입술로 더 편향될 수 있어서, 숄더(74, 76) 사이의 거리와 숄더(86, 88)와 대응하는 테이퍼된 윙(44, 46) 사이의 접촉 위치와 관련된 양으로, 축(95)이 제2로우브 부분(60)의 축(62)의 입술로 더 변위될 수 있도록 한다. 탄성 부재(20)의 탄성 변형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더 커진 아치와이어가(사전에 규정된 최대까지) 아치와이어 슬롯(16)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각각의 대응해서 더 큰진 아치와이어 상의 바이어싱 핌이 증가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도 11A와 12A 사이의 비교에 의해 도시되는데, 탄성 부재(20)는, 도 11A에서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의 아치와이어(18)와 비교함에 따라,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의 큰 아치와이어(160)에 의해 도 11A에서보다 도 12A에서 더 큰 정도로 변형된다.
피봇팅 모션 동안 탄성 부재(20)의 종으로의 탄성 변형에 부가해서, 탄성 부재(20)는 자체의 단면을 통해서 또한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는 도 11과 12의 비교에 의해 최상으로 나타낸다. 결찰 슬라이드(14)가 숄더(74, 76)에 대항해서 안착할 때, 탄성 부재(20)는 자체의 단면을 가로질러 약간만 변형될 수 있다. 결찰 슬라이드(14)가 도 11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12에 나타낸 완전히 피봇된 위치를 향해 상승함에 따라, 탄성 부재(20)는, 압축되는 입술의-혀의 방향에서의 직경 디멘젼 및 대응해서 확대되는 폐색의-잇몸의 방향에서의 직경 디멘젼으로, 자체의 단면을 가로질러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찰 슬라이드(14)가 자체의 최대 피봇 위치에 도달할 때, 탄성 부재(20)는 오벌(oval)-같은 또는 에그-형상 단면 구성(도 12에 과장해서 나타낸)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단면의 변형은 보어(92, 94) 및 개구(52)의 바로 근접한 영역으로 국지화될 수 있다. 결찰 슬라이드(14)이 완전히 피봇될 때, 탄성 부재(20)가 아치와이어 슬롯(16) 내에서 아치와이어 상에 최대 바이어스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형태의 기술에 의해 도시되고, 이들 실시형태이 상세하게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자의 의도는, 이러한 세부 사항에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가적인 장점 및 변형들이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이 단독 또는 유저의 필요 및 선호도에 의존하는 소정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아치와이어를 치아와 결합하기 위한 치과 교정의 브래킷으로서:
    개구 및 아치와이어 슬롯을 포함하는 브래킷 바디와;
    개방된 위치와 제1패쇄된 위치 사이에서 아치와이어 슬롯과 관련해서 슬라이드가능하고, 아치와이어 슬롯과 관련해서 제2패쇄된 위치로 피봇가능한 결찰 슬라이드로서, 제2패쇄된 위치가 제1패쇄된 위치와 다른 결찰 슬라이드와;
    결찰 슬라이드에 결합되고 개구 내에서 슬라이드가능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는 제1패쇄된 위치와 제2패쇄된 위치 사이에서, 대략 5° 내지 대략 20° 보다 큰 각도로 피봇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3. 제1항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가 제1패쇄된 위치와 제2패쇄된 위치 사이에서, 대략 10°로부터 대략 20°인 각도로 피봇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아치와이어 슬롯은 베이스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대항하는 슬롯 표면을 포함하고, 제1패쇄된 위치에서, 결찰 슬라이드는 제1값을 갖는 베이스 표면으로부터의 제1높이를 규정하며, 제2패쇄된 위치에서, 결찰 슬라이드는 제1값보다 큰 적어도 대략 0.002 인치인 베이스 표면으로부터의 제2높이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5. 제1항에 있어서,
    브래킷 바디는 결찰 슬라이드가 제1패쇄된 위치로부터 제2패쇄된 위치로 피봇하는 피봇 포인트를 규정하고 이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윙을 갖는 슬라이드 지지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윙은 그 길이를 따라 두께로 테이퍼되며, 윙의 테이퍼는 제1패쇄된 위치에서 슬라이드 지지 부분과 결찰 슬라이드 사이의 제1갭 및 제2패쇄된 위치에서 슬라이드 지지 부분과 결찰 슬라이드 사이의 제2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6. 제5항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는 균일한 디멘젼으로 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결찰 슬라이드의 슬라이딩 운동 동안 윙은 리세스 내에 상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7. 제6항에 있어서,
    리세스는 숄더를 규정하고, 제2패쇄된 위치에서 숄더는 윙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8. 제7항에 있어서,
    제1갭은 숄더와 윙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9. 제1항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가 제1패쇄된 위치 내일 때, 브래킷 바디는 지지 표면을 포함하고, 결찰 슬라이드는 지지 표면과 대면하는 슬라이딩 표면을 포함하며, 결찰 슬라이드가 제2패쇄된 위치로 피봇될 때, 지지 표면 및 슬라이딩 표면은 피봇 포인트에서 접촉하고, 대략 5°보다 큰 각도가 피봇 포인트에서 지지 표면과 슬라이딩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10. 제9항에 있어서,
    피봇 포인트는 아치와이어 슬롯로부터 지지 표면의 주변 에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패쇄된 위치 및 제2패쇄된 위치에서 탄성 부재가 바이어싱 힘을 결찰 슬라이드 상에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12. 제1항에 있어서,
    결찰 슬라이드는 탄성 부재에 관해서 피봇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의 브래킷.
KR1020150180793A 2014-12-19 2015-12-17 바이어스된 피봇팅 슬라이드 치과 교정의 브래킷 KR201600753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94451P 2014-12-19 2014-12-19
US62/094,451 2014-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354A true KR20160075354A (ko) 2016-06-29

Family

ID=5485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793A KR20160075354A (ko) 2014-12-19 2015-12-17 바이어스된 피봇팅 슬라이드 치과 교정의 브래킷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43383B2 (ko)
EP (1) EP3034030A1 (ko)
JP (1) JP6681706B2 (ko)
KR (1) KR20160075354A (ko)
CN (1) CN105708567B (ko)
RU (1) RU2708205C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390A (ko) * 2017-08-11 2019-02-20 김복동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2349739B1 (ko) * 2021-07-20 2022-01-12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KR102537855B1 (ko) * 2021-12-02 2023-05-31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7995A1 (en) 2012-10-30 2021-07-1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9655694B2 (en) * 2013-12-06 2017-05-23 Christopher C. Cosse Adjustable-prescription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US9999481B2 (en) 2013-12-06 2018-06-19 Christopher C. Cosse Adjustable-prescription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US20160051343A1 (en) * 2014-08-20 2016-02-25 Orthoarm, Inc. Kit of self-ligating brackets
KR101538007B1 (ko) * 2015-04-15 2015-07-22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열 교정용 브라켓
WO2017008183A1 (zh) * 2015-07-10 2017-01-19 杭州星辰三比齿科器材有限公司 一种被动自锁托槽
WO2018005072A1 (en) 2016-06-30 2018-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O2018102588A1 (en) 2016-12-02 2018-06-07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EP3576667B1 (en) 2017-01-31 2023-12-06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US11612458B1 (en)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EP4282376A3 (en) 2017-04-21 2024-01-24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bonding tray having several handles
US11246681B2 (en) 2017-06-22 2022-02-15 Christopher C. Cosse Adjustable-prescription orthodontic brackets
CN107714206B (zh) * 2017-11-09 2021-05-14 广州欧欧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正畸托槽及其生产加工方法
US11076936B2 (en) * 2018-02-02 2021-08-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eramic self-ligating bracket with high labial pull strength
EP3764939B1 (en) 2018-03-12 2023-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ckaged orthodontic appliances
US11166789B2 (en) 2018-09-26 2021-11-09 Christopher C. Cosse Adjustable-prescription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CN113710191A (zh) 2019-03-01 2021-11-26 斯威夫特健康系统有限公司 具有咬合附件和正畸辅助物集成的间接粘接托盘
KR102137000B1 (ko) * 2019-04-22 2020-07-24 주식회사 메디센 치과 교정용 브라켓
CN112237487B (zh) * 2019-07-17 2022-05-06 广州欧欧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弓丝槽可变的滑盖式正畸托槽
CN110478062B (zh) * 2019-07-31 2021-06-29 浙江新亚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结构可靠的托槽
US20210068929A1 (en) * 2019-09-05 2021-03-11 Ortho Mogul, LLC Orthodontic Appliance with Increased Torsional Control
EP4034029A4 (en) 2019-10-31 2023-09-06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WO2021252675A1 (en) * 2020-06-11 2021-12-16 Swift Health Systems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non-sliding archform
KR102230273B1 (ko) 2021-01-11 2021-03-19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결찰 교정용 브라켓
US12053345B2 (en) 2021-09-03 2024-08-06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administering adhesive to bond orthodontic brackets
WO2023033869A1 (en) 2021-09-03 2023-03-09 Swift Health Systems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non-sliding archform
USD1043994S1 (en) 2022-01-06 2024-09-24 Swift Health Systems Inc. Archwire
BR102022007855A2 (pt) * 2022-04-25 2023-10-31 Orthometric -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Médicos E Odontológicos Ltda Bracket ortodôntico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3423A (en) 1977-03-04 1978-08-01 Kessel Stanley P Orthodontic bracket
US4492573A (en) 1984-03-27 1985-01-08 Augusta Developments Inc. Orthodontic bracket
US5094614A (en) 1991-03-08 1992-03-10 Wildman Alexander J Miniature self-locking labial bracket
US5322435A (en) 1992-07-23 1994-06-21 Pletcher Erwin Carroll Orthodontic bracket
US5356288A (en) 1992-12-07 1994-10-18 Howard Cohen Dual orthodontic bracket
US5466151A (en) 1993-04-08 1995-11-14 Damon Family Limited Partnership Spring-locked orthodontic bracket
US5275557A (en) 1993-04-08 1994-01-04 Damon Dwight H Self-locking orthodontic bracket
US5474445A (en) 1994-03-07 1995-12-12 John Voudouris Self-engaging twin edge-wise orthodontic bracket with pivotal latch
US5857850A (en) 1994-03-07 1999-01-12 Voudouris; John C. Orthodontic appliance
US5857849A (en) 1996-12-06 1999-01-12 Kurz; Craven Self-ligating low profile orthodontic bracket
US6071118A (en) 1998-02-17 2000-06-06 Damon Family Limited Partnership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EP1063936B1 (en) 1998-02-17 2004-05-19 Damon Family Limited Partnership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5890893A (en) 1998-02-26 1999-04-06 Heiser; Wolfgang Orthodontic bracket
US6071119A (en) 1998-12-22 2000-06-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al mod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7419375B2 (en) 2002-08-19 2008-09-02 Ormco Corporation Aestheti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7621743B2 (en) 2002-11-26 2009-11-24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Orthodontic bracket
JP4233949B2 (ja) * 2002-12-09 2009-03-04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およびグリップ開放ツール
US7186114B2 (en) * 2004-03-30 2007-03-06 Navarro Carlos F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US7267545B2 (en) 2005-01-11 2007-09-11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EP1858422A4 (en) 2005-02-23 2011-12-28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YSTEM
US7674110B2 (en) * 2006-03-23 2010-03-09 Ormco Corporation Low profi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such orthodontic brackets
US7704072B2 (en) 2006-04-19 2010-04-27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bracket
US7585171B2 (en) * 2006-05-04 2009-09-08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Orthodontic bracket with rotary ligating cover
US20070269763A1 (en) 2006-05-18 2007-11-22 Claus Schendell-Groling Orthodontic bracket
US8376739B2 (en) 2011-05-12 2013-02-19 Rmo, Inc. Self ligating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rotatable member
WO2008047175A1 (en) * 2006-10-19 2008-04-24 Renault Trucks Vehicle with improved double leafed door system
AU2008270025A1 (en) 2007-06-28 2009-01-08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devices for deploying same
US7857618B2 (en) 2007-11-27 2010-12-28 Ultradent Products, Inc. Orthodontic bracket including mechanism for reducing slot width for early torque control
EP2349063B1 (en) 2008-08-13 2015-03-04 Ormco Corporation Aesthetic orthodontic bracket
US7963768B2 (en) 2008-09-05 2011-06-21 Jack Keith Hilliard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U2009238317B2 (en) 2008-11-14 2011-10-06 Ormco Corporation Surface treated polycrystalline ceramic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00285420A1 (en) 2009-05-07 2010-11-11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lingually biased closure member and associated method
US8162660B2 (en) 2009-11-20 2012-04-24 Robert T Rudman Rotating clip orthodontic bracket
US9345558B2 (en) * 2010-09-03 2016-05-24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615897B2 (en) * 2010-09-10 2017-04-11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8998607B2 (en) 2010-11-24 2015-04-07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having undercuts and related methods
WO2012145144A1 (en) 2011-04-19 2012-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 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and related methods
US9364298B2 (en) 2012-11-08 2016-06-14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biased slide member
US9532853B2 (en) * 2013-03-15 2017-01-03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3007642B1 (en) * 2013-06-14 2020-02-19 Robert T. Rudma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rotatable closure memb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390A (ko) * 2017-08-11 2019-02-20 김복동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2349739B1 (ko) * 2021-07-20 2022-01-12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KR102537855B1 (ko) * 2021-12-02 2023-05-31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08205C2 (ru) 2019-12-04
CN105708567B (zh) 2020-02-28
US9943383B2 (en) 2018-04-17
JP2016116861A (ja) 2016-06-30
EP3034030A1 (en) 2016-06-22
US20160175073A1 (en) 2016-06-23
CN105708567A (zh) 2016-06-29
RU2015154492A3 (ko) 2019-04-01
RU2015154492A (ru) 2017-06-22
JP6681706B2 (ja)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5354A (ko) 바이어스된 피봇팅 슬라이드 치과 교정의 브래킷
AU2017261584B2 (en)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biased slide member
US9943384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20200760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EP2269537B1 (en)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lingually biased closure member
US20160175072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rotatable closure member
US10123854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positive rotation lock
WO2018005072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2020511266A (ja) 結紮部材を備えた自己結紮ブラケット
CN105073061A (zh) 自锁正畸器具
CN212547220U (zh) 一种正畸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