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73052A -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052A
KR20160073052A KR1020140181368A KR20140181368A KR20160073052A KR 20160073052 A KR20160073052 A KR 20160073052A KR 1020140181368 A KR1020140181368 A KR 1020140181368A KR 20140181368 A KR20140181368 A KR 20140181368A KR 20160073052 A KR20160073052 A KR 20160073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ity
center
offset
moment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주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1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052A/ko
Publication of KR2016007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05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24Guiding or controlling apparatus, e.g. for attitude control
    • B64G1/28Guiding or controlling apparatus, e.g. for attitude control using inertia or gyro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24Guiding or controlling apparatus, e.g. for attitude control
    • B64G1/28Guiding or controlling apparatus, e.g. for attitude control using inertia or gyro effect
    • B64G1/281Spin-stabilised space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24Guiding or controlling apparatus, e.g. for attitude control
    • B64G1/28Guiding or controlling apparatus, e.g. for attitude control using inertia or gyro effect
    • B64G1/283Guiding or controlling apparatus, e.g. for attitude control using inertia or gyro effect using reacti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란을 최소화하는 무게중심 옵셋을 검출하여 이동체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는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는, 무게중심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체에 대한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로,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각속도를 이용하여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무게중심 이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연산된 옵셋거리만큼 상기 이동체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ACTIVE CENTER OF GRAVITY AND MOMENT OF INERTIA CONTROL METHOD BY DETECTING CENTER OF GRAVITY OFFSET IN REAL TIME}
본 발명은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지궤도 인공위성을 임무궤도에 도달시키기 위해서는 자세제어용 추력기 이 외에 별도로 큰 추력을 발생하는 추력기를 부가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이 때 이 추력기의 정렬오차, 무게중심 오차 및 불확실성, 그리고 추력기 작동에 따른 연료량 감소로 인한 무게중심 변화 등의 요소는 임무궤도 획득을 위한 추력기 작동시 외란의 형태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외란은 인공위성이 전이궤도 비행을 하는 도중에 경험하는 태양방사 압력(태양복사압) 및 대기 항력 영향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외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보상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183063(등록일: 2012년 9월 10일)에 개시된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위성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축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에 의해 인공위성 본체(10)의 무게중심을 가변시키는 제1 무게중심 이동유닛(100)과, 인공위성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1 무게중심 이동유닛(100)과 동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제1 무게중심 이동유닛(100)과 동일한 축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에 의해 인공위성 본체(10)의 무게중심을 가변시키는 제2 무게중심 이동유닛(200)을 포함하므로, 제1 및 제2 무게중심 이동유닛(100)(200)을 통해 인공위성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면서 인공 위성의 자세 및 관성모멘트를 제어할 수 있는 구조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 장치를 전이궤도 기동시에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란 보상을 위한 무게중심 옵셋(OFFSET) 값을 정확히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무게중심의 옵셋은 큰 추력이 작용할 경우 토크의 형태로 상당한 외란을 발생시켜 자세제어용 추력기로 많은 연료를 사용하여 자세를 유지해 줘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옵셋 값을 실시간으로 예측해서 보상해 줌으로써 큰 추력기 작동에 따른 불 필요한 연료소모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외란을 최소화하는 무게중심 옵셋 값을 검출하여 이동체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는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는, 무게중심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체에 대한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로,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각속도를 이용하여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직선거리인 옵셋 값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무게중심 이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연산된 옵셋 값 만큼 상기 이동체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각속도의 변화는
Figure pat00001
의 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F"는 추력 벡터, "I"는 관성모멘트, "Δt"는 측정시점차이, "d"는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직선으로써 옵셋에 해당한다.
상기 이동체는 인공위성, 비행기, 자동차, 그리고 선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방법은, 무게중심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체에 대한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이동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각속도를 이용하여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 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무게중심 이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연산된 옵셋거리만큼 상기 이동체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속도의 변화는 1-축에 대해서 한정할 경우
Figure pat00002
의 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F"는 추력 벡터, "I"는 관성모멘트, "Δt"는 측정시점차이, "d"는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직선거리인 옵셋 값이다.
상기 이동체는 인공위성, 비행기, 자동차, 그리고 선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각속도를 이용하여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산하고 이 연산된 옵셋만큼 이동체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원지점 점화엔진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력벡터에 이동체의 무게중심이 일치됨에 따라 기존 무게중심에서 옵셋거리만큼 떨어져 발생되던 외란 토크를 방지할 수 있어 불 필요한 연료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가 인공위성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인공위성 본체의 무게중심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인공위성 본체의 무게중심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중심 이동유닛(M)을 포함하는 인공위성(A)에 대한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로, 센서부(310)와, 연산부(320)와, 그리고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무게중심 이동유닛(M)에 대해 살펴본 후,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무게중심 이동유닛(M)은 인공위성(A)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무게중심 이동유닛(M)은 본원의 배경기술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무게중심 이동유닛(100)(2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게중심 이동유닛(100)은 인공위성(A)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레일(110)과, 제1 레일(11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중량체(120)와, 제1 중량체(120)를 제1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1 스텝모터(1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무게중심 이동유닛(200)은 인공위성(A) 내부에 설치되되 제1 레일(110)과 동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2 레일(210)과, 제2 레일(21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중량체(220)와, 제2 중량체(220)를 제2 레일(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2 스텝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레일(110)에 설치된 제1 중량체(120)는 제1 스텝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제1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제2 레일(210)에 설치된 제2 중량체(220)는 제2 스텝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제2 레일(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인공위성(A)에 구비되며 인공위성(A)의 각속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310)에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연산부(320)는 센서부(310)를 통해 측정되는 각속도를 이용하여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거리(d)를 실시간으로 연산한다. 예를 들어, 연산부(320)에서, 각속도의 변화는
Figure pat00003
의 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F"는 추력 벡터, "I"는 관성모멘트, "Δt"는 측정시점 차이, "d"는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거리이다.
따라서, 각속도의 변화가 측정된다면 추력벡터와 관성모멘트 및 측정시점 차이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거리(d)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30)는 무게중심 이동유닛(M)을 제어하여 연산부(320)에 의해 연산된 옵셋값 만큼 인공위성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보정된 인공위성(A)의 무게중심(C2)이 기존의 무게중심(C1)보다 위로 "d"만큼 올라간 것으로 연산부(320)를 통해 연산될 경우, 제1 또는 제2 스텝 모터(130 또는 230)를 이용하여 제1 또는 제2 중량체(120 또는 220)를 위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하여 기존의 무게중심(C1)을 보정된 무게중심(C2)으로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서부(310)에 의해 측정되는 각속도를 이용하여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거리(d)를 실시간으로 연산하고 이 연산된 옵셋거리(d)만큼 이동체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하게 되므로, 원지점 점화엔진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력벡터에 인공위성(A)의 무게중심이 일치됨에 따라 기존 무게중심에서 옵셋거리(d)만큼 떨어져 발생되던 반작용 토크를 방지할 수 있어 불 필요한 연료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무중력상태의 우주에서 추력기 내의 연료의 배치의 불확실성 및 발사충격을 포함한 인공위성 무게중심의 여러 오차 원인들은 지상에서의 정확한 예측이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궤도상에서 실시간으로 무게중심과 추력벡터 사이의 옵셋거리(d)를 예측할 수 있다면 연료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위성(A)에 적용된 것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비행기, 자동차, 또는 선박에도 적용되어 그 무게중심이 추진력 벡터에 일치되도록 하여 외란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센서부(310)를 통해 인공위성(A)의 각속도를 측정한다(S110).
이 후, 센서부(310)에 의해 측정된 각속도를 이용하여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거리(d)를 연산부(3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연산한다(S120). 연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어장치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나서, 무게중심 이동유닛(M)을 제어하여 연산부(320)에 의해 연산된 옵셋거리(d)만큼 인공위성(A)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한다.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상술한 제어장치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위성(A)에 적용된 것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비행기, 자동차, 또는 선박에도 적용되어 그 무게중심이 추진력 벡터에 일치되도록 하여 외란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서부(310)에 의해 측정되는 각속도를 이용하여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거리(d)를 실시간으로 연산하고 이 연산된 옵셋거리(d)만큼 인공위성(A)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원지점 점화엔진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력벡터에 인공위성(A)의 무게중심이 일치됨에 따라 기존 무게중심에서 옵셋거리(d)만큼 떨어져 발생되던 외란 토크를 방지할 수 있어 연료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인공위성 M: 무게중심 이동유닛
100: 제1 무게중심 이동유닛 110: 제1 레일
120: 제1 중량체 130: 제1 스텝모터
200: 제2 무게중심 이동유닛 210: 제2 레일
220: 제2 중량체 230: 제2 스텝모터
310: 센서부 320: 연산부
330: 제어부

Claims (6)

  1. 무게중심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체에 대한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로,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각속도를 이용하여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무게중심 이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연산된 옵셋거리만큼 상기 이동체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각속도의 변화는
    Figure pat00004

    의 식에 의해 표현되고,
    "F"는 추력 벡터, "I"는 관성모멘트, "Δt"는 측정시점차이, "d"는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 거리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이동체는 인공위성, 비행기, 자동차, 그리고 선박 중 어느 하나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4. 무게중심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체에 대한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이동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각속도를 이용하여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거리를 실시간으로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무게중심 이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연산된 옵셋거리만큼 상기 이동체의 무게중심을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연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속도의 변화는
    Figure pat00005

    의 식에 의해 표현되고,
    "F"는 추력 벡터, "I"는 관성모멘트, "Δt"는 측정시점차이, "d"는 추력벡터와 무게중심 사이의 옵셋 거리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방법.
  6. 제4항에서,
    상기 이동체는 인공위성, 비행기, 자동차, 그리고 선박 중 어느 하나인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방법.
KR1020140181368A 2014-12-16 2014-12-16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eased KR20160073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368A KR20160073052A (ko) 2014-12-16 2014-12-16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368A KR20160073052A (ko) 2014-12-16 2014-12-16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52A true KR20160073052A (ko) 2016-06-24

Family

ID=5634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368A Ceased KR20160073052A (ko) 2014-12-16 2014-12-16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05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895A (ko) * 2017-12-27 2019-07-0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무게중심의 이동을 고려한 항공기의 비선형 제어방법
KR20200025890A (ko) * 2018-08-31 2020-03-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세로축 안정성 및 비행성 충족을 위한 파라미터 최적화 방법
KR20200025891A (ko) * 2018-08-31 2020-03-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변화하는 무게중심에 대처하는 항공기의 비행성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한 제어방법
KR20200029160A (ko) * 2018-09-10 2020-03-1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각가속도 정보를 이용한 비행체 제어방법
KR102396412B1 (ko) * 2020-11-10 2022-05-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제 사용에 따른 추력세기 손실 및 위성체 moi 변화 보상 장치 및 방법
US20240280993A1 (en) * 2023-02-17 2024-08-22 The Boeing Company Machine and process for rotating a vehic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895A (ko) * 2017-12-27 2019-07-0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무게중심의 이동을 고려한 항공기의 비선형 제어방법
KR20200025890A (ko) * 2018-08-31 2020-03-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세로축 안정성 및 비행성 충족을 위한 파라미터 최적화 방법
KR20200025891A (ko) * 2018-08-31 2020-03-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변화하는 무게중심에 대처하는 항공기의 비행성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한 제어방법
KR20200029160A (ko) * 2018-09-10 2020-03-1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각가속도 정보를 이용한 비행체 제어방법
KR102396412B1 (ko) * 2020-11-10 2022-05-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제 사용에 따른 추력세기 손실 및 위성체 moi 변화 보상 장치 및 방법
US20240280993A1 (en) * 2023-02-17 2024-08-22 The Boeing Company Machine and process for rotating a vehicle
US12282336B2 (en) * 2023-02-17 2025-04-22 The Boeing Company Machine and process for rotating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3052A (ko) 실시간 무게중심 옵셋 검출을 통한 능동적 무게중심 및 관성모멘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3656575B2 (ja) 衛星追尾用アンテナ制御装置
Acikmese et al. Flight testing of trajectories computed by G-FOLD: Fuel optimal large divert guidance algorithm for planetary landing
US9045240B2 (en) Flight control device, spacecraft, and reference trajectory correcting method
CN103662091B (zh) 一种基于相对导航的高精度安全着陆制导方法
KR20160127734A (ko) 관성 항법 시스템
CN107084743A (zh) 利用gnss/ins数据的六自由度惯性测量单元的偏移和失准补偿
Cho et al. Autonomous ship deck landing of a quadrotor UAV using feed-forward image-based visual servoing
KR101765318B1 (ko) 항공우주 플랫폼의 각도 방향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3488081B (zh) 惯性稳定平台控制方法
CN110304279A (zh) 一种电推进卫星的质心在轨标定补偿方法
JP2012126201A (ja) 飛行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飛行体
JP2002255098A (ja) 人工衛星のマヌーバ制御装置
Telaar et al. Coupled control of chaser platform and robot arm for the e. deorbit mission
KR101208448B1 (ko) 3차원 영상 보조 항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항법 시스템
JP2010261842A (ja) 慣性航法装置、飛翔体及び航法データ算出方法
JP5998881B2 (ja) 追尾装置および追尾方法
JP4644522B2 (ja) 小型無人ヘリコプタの自律飛行制御装置及び自律飛行制御方法
CN103274059B (zh) 一种带运动有效载荷卫星的前馈力矩补偿方法
JPH0958597A (ja) 飛行体の垂直着陸制御指令装置
JP3387430B2 (ja) 宇宙機の誘導制御装置
JP4617990B2 (ja) 自動飛行制御装置、自動飛行制御方法及び自動飛行制御プログラム
US2012023923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Correction Under Steering of a Point on a Towed Object towards a Goal Position
CN108548540B (zh) 一种多波束测速信息融合方法及系统
JP2019207181A (ja) 方位角較正システムおよび方位角較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8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