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71482A - Manufacturing method of paprika jam comprising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paprika jam manufactured by the method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paprika jam comprising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paprika jam manufactured by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482A
KR20160071482A KR1020140177971A KR20140177971A KR20160071482A KR 20160071482 A KR20160071482 A KR 20160071482A KR 1020140177971 A KR1020140177971 A KR 1020140177971A KR 20140177971 A KR20140177971 A KR 20140177971A KR 20160071482 A KR20160071482 A KR 20160071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rika
jam
fructooligosaccharide
sugar
sensory evalu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은
김건오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김건오
임실군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김건오, 임실군,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7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482A/en
Publication of KR2016007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482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4Low calorie, low sodium or hypoallerg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프리카를 준비 및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한 파프리카와 프락토올리고당, 백설탕, 구연산 및 펙틴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파프리카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잼은, 상품가치가 없는 폐기용 파프리카 생과를 재활용함으로써 파프리카 수확 후의 불필요한 폐기물을 줄이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성 성분인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여 식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파프리카를 직접 갈아 사용함으로써 기호도가 증진된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paprika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nd pretreating paprika; Mixing the pretreated paprika with fructooligosaccharide, white sugar, citric acid and pectin; And heating the mixed mixture in the mixing step to prepare a jam.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paprika jam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The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unnecessary waste after paprika harvest by recycling the paprika waste for disposal having no commodity value and contributing to the health promotion of the consumer by containing the health functional ingredient fructooligosaccharid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preference by using paprika directly.

Description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파프리카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파프리카잼{MANUFACTURING METHOD OF PAPRIKA JAM COMPRISING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PAPRIKA JAM MANUFACTURED BY THE METHOD}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paprika jam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and a paprika jam prepared by the metho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rika jam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본 발명은 파프리카를 준비 및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한 파프리카와 프락토올리고당, 백설탕, 구연산 및 펙틴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파프리카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paprika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nd pretreating paprika; Mixing the pretreated paprika with fructooligosaccharide, white sugar, citric acid and pectin; And heating the mixed mixture in the mixing step to prepare a jam.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paprika jam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잼은, 상품가치가 없는 폐기용 파프리카 생과를 재활용함으로써 파프리카 수확 후의 불필요한 폐기물을 줄이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성 성분인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여 식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파프리카를 직접 갈아 사용함으로써 기호도가 증진된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The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unnecessary waste after paprika harvest by recycling the paprika waste for disposal having no commodity value and contributing to the health promotion of the consumer by containing the health functional ingredient fructooligosaccharid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preference by using paprika directly.

잼(jam)은 과실류 또는 과채류를 당류 등과 함께 젤리화 또는 시럽화한 것을 말한다. Jam refers to jellies or syrups of fruits or fruit or vegetables with sugars.

또한 잼은 과실이나 기타 식물성 식품을 미생물에 의한 부패가 일어날 수 없을 정도로 수분을 증발시키고 농축시킨 후 설탕을 가하여 만든 제품으로, 다량의 당분을 함유하는 당으로 인해 삼투압이 높아져 미생물의 생육이 저해되기 때문에 저장성이 높다.In addition, jam is a product made by adding sugar after evaporating and concentrating moisture to such a degree that corruption caused by microorganisms can not occur due to microorganisms. As a result, osmotic pressure is increased due to a suga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ugar an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s inhibited Therefore, the storage stability is high.

잼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펙틴, 산 및 설탕의 세 조건이 갖추어져야 하는데 과일이 미숙하거나 과숙하면 펙틴(pectin)과 산 함량이 부적당하므로 펙틴과 산을 첨가하여 조절하여야 한다.For the jam to be made, three conditions of pectin, acid and sugar should be prepared. If the fruit is immature or overgrown, the pectin and acid content are inadequate, so pectin and acid should be added and controlled.

보통 pH는 2.8~3.3, 당 농도는 60도 이상이면 잼이 만들어진다. 설탕첨가량은 원료의 종류와 품질, 당류의 종류 및 제품의 당도에 따라 다르다. 보통 당과 과실의 배합 비율은 1:1이지만 과실의 성숙에 따라 당도가 다르므로 성숙도를 고려해야만 한다.
Usually, the pH is 2.8 to 3.3 and the sugar concentration is more than 60 degrees. The amount of sugar added depends on the type and quality of the raw material, the type of sugar, and the sugar content of the product. Usually, the ratio of sugar to fruit is 1: 1, but the sugar content varies according to the maturity of the fruit, so maturity must be considered.

일반적인 제조공정은 원료(과일) → 세척 → 전처리(꼭지 따기, 껍질 벗기기, 자르기, 심 제거, 썰기, 자르기 등) → 설탕 넣기 → 조리기 → 담기 → 밀봉 → 식히기 → 제품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The general manufacturing process is done in the following order: raw material (fruit) → washing → pre-treatment (picking, peeling, cutting, shrinking, cutting, cutting, etc.) → sugar loading → cooker → filling → sealing → cooling → product.

잼의 규격은 원료로 과실류가 40 % 이상 함유되어야 하며 고유의 색과 향미를 가지고 이미 및 이취가 없어야 한다. 수분은 55 % 이하, 총당 35 % 이상, 전분 및 젤라틴이 검출되지 않아야 하며 소르브산 또는 소르브산칼륨은 0.5 g/kg 이하 첨가된다.
The standard of jam is raw material, it should contain more than 40% of fruit, it should have its own color and flavor and be free from odor and odor. Moisture should not be more than 55%, not more than 35% of total, starch and gelatin should not be detected, and sorbic acid or potassium sorbate should be added less than 0.5 g / kg.

잼은 원래 원료로서의 과실에 포함되고 있는 펙틴으로 만들어지는 것이었지만 최근에는 과실로부터 추출한 펙틴 분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펙틴 함량이 적은 과실 또는 야채 등의 잎을 이용한 잼이 제조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잼류의 생산량은 딸기를 원료로 한 것이 가장 많고 그 원료의 대부분은 냉동딸기가 사용되고 있다.
The jam was originally made of pectin contained in the fruit as a raw material, but in recent years, since the pectin powder extracted from the fruit can be used, a jam using fruits such as fruits or vegetables with a small pectin content has been produced. Most of the production of jams in Korea is made from strawberries, and most of the raw materials are frozen strawberries.

식품공전에서는 잼류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규격을 정하고 있다.In food industry, jam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standards are set.

1) 잼: 과실류 또는 과채류(생물로 기준하여 40% 이상 단, 딸기 이외의 베리류는 30% 이상)를 당류 등과 함께 젤리화한 것.1) Jam: Fruit or fruit or vegetables (more than 40% based on the organism, but 30% or more of berries other than strawberry) are jellied together with saccharides.

2) 마말레이드: 감귤류(감귤류 30% 이상)의 과실을 원료로 한 것으로 감귤류의 과피가 함유된 것.2) Marmalade: Citrus fruit (30% or more citrus fruit), which contains citrus peel.

3) 프리저브 스타일: 딸기 이외의 베리류의 과실을 원료로 한 것에 있어서는 완전한 형태의 과실, 벨리류 이외의 과실을 원료로 한 것에서는 5 mm 이상의 과육편을 원료로 하여 그 원형을 유지하게 한 것.3) Preserved style: Fruits of berries other than strawberry are used as a raw material. Fruits in full form and fruits other than valleys are used as raw materials. .

4) 기타 잼류: 과실류 또는 과채류를 그대로 또는 당류 등과 함께 가공한 것으로서 시럽(생물로 기준하여 30% 이상), 젤리(생물로 기준하여 20% 이상) 또는 과실파이 필링 등.4) Other jam: Syrup (more than 30% based on biological), jelly (more than 20% based on organisms) or fruit pie filling, processed with fruits or fruit vegetables as they are or with sugars.

규격은 성상(고유의 색택과 향미를 가지고 점조성이 있어야 하며 이미 및 이취가 없어야 한다), 가용성고형분(40.0% 이상, 기타 잼류는 20.0% 이상 단, 젤리는 15.0% 이상), 타르색소(검출되어서는 아니된다, 기타 잼류는 제외) 및 보존료(소르브산류 1.0 g/kg 이하)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The specification should be in the form of an attribute (it should have a unique color and flavor and be viscous and have no already and no odor), soluble solids (more than 40.0%, more than 20.0% but jelly more than 15.0%), And other preservatives such as sorbic acid (1.0 g / kg or less).

그러나 기존의 잼은 과도한 설탕만으로 이루어져, 많은 양을 섭취할 시 과도한 당 섭취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다이어트를 하거나 당뇨병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꺼려질 수 있다.However, conventional jams are made with excess sugar only, which can lead to excessive sugar consumption when consumed in large quantities, especially for people with diabetes or those with diabetes.

그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당 함량을 낮추면서도 단맛을 내고 식용자의 건강에도 이로운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한 파프리카잼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을 고안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ised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prika jam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which has a sweet taste and is beneficial to the health of an edible person while lowering the sugar content.

프락토올리고당은 바나나, 양파, 아스파라거스, 우엉, 마늘, 벌꿀 또는 치커리 뿌리 등과 같은 채소나 버섯 또는 과일류 등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 물질로, 용설란 속 식물 또는 돼지감자 등에서 발견된다. Fructo-oligosaccharides are found in vegetables such as bananas, onions, asparagus, burdock, garlic, honey or chicory roots, and are found in vegetables, mushrooms or fruits.

1950년대에는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미생물 유래의 효소나 사탕무우 잎에 존재하는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전이 반응으로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In the 1950s, enzymes were used for the production of enzymes, and then enzymes derived from microorganisms or enzymes existing in leaves of sugar beet leaves were used to produce biotransformation reactions.

1983년 일본 메이지(Meiji) 제과에서 최초로 상업화하기 시작하였으며, 국내에서는 1987년 CJ 주식회사(당시 제일제당)가 최초로 개발하여 현재까지 판매하고 있다. In 1983, Meiji confectionary started to commercialize for the first time in Japan. In 1987, CJ Corporation (then Cheil Jedang) was the first to develop and sold to date.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원료인 프락토올리고당은 전이효소(invertase, β-fructofuranosidase)를 사용하여 설탕에 과당을 전이시켜 만들거나, 이눌린(inulin)을 inulinase(EC 3.2.1.7)로 부분 가수분해하여 만든 원료로, 기능성분은 GF2(kestose), GF3(nystose) 및 GF4(fructofuranosylnystose)이다.
Fructooligosaccharide, a functional ingredient of health functional foods, is made by transferring fructose to sugar using invertase (β-fructofuranosidase) or partially hydrolyzed inulinase (EC 3.2.1.7) As a raw material, functional ingredients are GF2 (kestose), GF3 (nystose) and GF4 (fructofuranosylnystose).

프락토올리고당 제품의 제조방법에서 전이효소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using the transferase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fructooligosaccharide product is as follows.

(가) 효소 제조 :(A) Preparation of enzyme:

미생물을 배양한 후, 균주에 포함된 전이 효소(β-fructofuranosidase)를 분리한다.After the microorganisms are cultured, the transferase (β-fructofuranosidase) contained in the strain is isolated.

(나) 효소 전이 반응 :(B) Enzyme transfer reaction:

설탕을 녹여서 얻은 당액을 농도 60% 수준으로 조절한다. 고정화 효소 등 효소를 이용하여 설탕액을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전이시킨다.The sugar solution is adjusted to a concentration of 60%. The sugar solution is transferred to the fructooligosaccharide using an enzyme such as an immobilized enzyme.

(다) 순도 50% 이상의 액상 제품 제조 :(C) Liquid product having a purity of 50% or more:

반응이 완료된 전이액을 농축, 여과하여 함량이 약 50%인 액상 제품을 만든다.The reaction mixture is concentrated and filtered to obtain a liquid product having a content of about 50%.

(라) 순도 90% 이상의 액상 제품 제조 :(D) Production of liquid products having a purity of 90% or more:

약 50% 함량의 당액을, 수지를 이용하여 프락토올리고당과 기타 당류로 분리한다. 분리된 프락토올리고당을 농축하여, 순도 90% 이상의 액상 제품을 만든다.About 50% of the sugar solution is separated into fructooligosaccharides and other saccharides using resin. The separated fructooligosaccharide is concentrated to produce a liquid product having a purity of 90% or more.

(마) 순도 90% 이상의 분말 또는 과립 제품 제조 :(E) Powder or granules with a purity of 90% or more.

순도 90% 이상의 프락토올리고당을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10% 이하인 분말을 만든다.
The fructooligosaccharide having a purity of 90% or more is dried to make a powder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0% or less.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프락토올리고당은 오랫동안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까지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된 바 없으므로 안전성이 확보된 원료로 인정될 수 있다.
The fructooligosaccharide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raw material for food, and since serious side effects have not been reported to date, it can be regarded as a safe material.

이러한 프락토올리고당은 단맛을 내면서도 칼로리가 설탕보다 낮고, 충치의 원인인 글루칸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These fructo-oligosaccharides are known to have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synthesis of glucan, which is a cause of tooth decay, while having a sweet taste and lower calorie than sugar.

또한 극히 소량이 위산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과당과 포도당으로 흡수되며 거의 대부분은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대장에서 장내 균에 의해 발효된다. 발효의 결과로 생성된 단쇄지방산은 장내 환경을 산성화하며, 장내 균이 사용할 수 있는 손쉬운 에너지원으로 작용한다.In addition, very small amounts are hydrolyzed by gastric acid and absorbed into fructose and glucose, and most of them are not digested by digestive enzymes but fermented by intestinal bacteria in the large intestine. The short-chain fatty acids produced as a result of fermentation acidify the intestinal environment and serve as an easy energy source for intestinal bacteria.

이외에도 프락토올리고당은, 칼슘의 흡수를 선택적으로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프락토올리고당은 대장 환경을 산성화하여 칼슘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세포사이의 공간(intercellular space)을 통한 단순 투과(simple dispersion)를 촉진시키며, 칼슘 결합 단백질(Ca-binding protein)의 합성을 유도하여 능동 투과(active transport) 또한 증가시킨다는 것이 동물시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식품으로 섭취된 칼슘은 주로 십이지장에서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프락토올리고당을 섭취하는 경우에는 대장을 통한 칼슘 흡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In addition, fructooligosaccharide acts to selectively enhance the absorption of calcium. Fructo-oligosaccharides acidify the colon environment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calcium, promote simple dispersion through the intercellular space, induce the synthesis of Ca-binding protein, Animal testing has also shown that it also increases the active transport. Calcium ingested as food is known to be mainly absorbed from the duodenum, but calcium absorption through the large intestine is increased when fructooligosaccharide is ingested.

또한 본 발명의 소재로 사용된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는 가지과(Solanaceae) 고추속(Capsicum) 고추종(annuum)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이며, 카로티노이드(roteno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비타민 C 및 페놀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파이토케미칼(phytochemical)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색상별로 다양한 색소 성분과 그 효능이 보고되고 있어 항암 및 심혈관계 질병의 감소 및 예방의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In addition, paprika ( Capsicum annuum L.) is an annual plant belonging to the Solanaceae Capsicum annuum and has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phytochemicals such as rotenoids, flavonoids, vitamin C and phenolic compounds. And it is known that various coloring matter components and their effects are reported by color, and thus they have the effect of reducing and preventi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우리나라에는 피망을 개량한 작물이 '파프리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들어왔기 때문에 피망과 파프리카가 다른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매운맛이 나고 육질이 질긴 것을 피망, 단맛이 많고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것을 파프리카라고 부른다. 피망과 파프리카의 구분이 정확하지 않아 한국원예학회(1994)에서 발간한 ≪원예학 용어집≫에는 모두 ‘단고추’로 분류하고 있다.
In Korea, since the crops that have improved the bell pepper have been newly introduced under the name of 'paprika', there is a tendency that bell pepper and paprika are different. It is called paprika, which is generally hot, brittle, bell pepper, sweet and crunchy. Since the distinction between bell pepper and paprika is not accurate, the "horticultural glossary"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Horticulture (1994) is classified as "sweet pepper".

파프리카는 과실이 달린 후 약 7~9주가 지나면 수확이 가능하며 색상, 품종, 계절적인 영향으로 수확 시기는 4~8일 정도 차이가 있다. 과일 전체의 색상이 90% 이상이 착색(과일 등이 햇볕을 받아 제색깔이 나타나는 현상)되었을 때가 수확 시기이다. 너무 빨리 수확하면 상품성이 떨어지고 늦게 하면 저장성이 떨어지면서 전체 생산량이 떨어진다. 수확작업은 겨울철에는 1주일에 2번, 여름철에는 1주일에 3회 실시하는 것이 적당하다.
The paprika can be harvested after about 7 to 9 weeks after the fruit is planted, and the harvest time varies by 4 to 8 days due to color, breed and seasonal effects. It is harvest time when more than 90% of the whole color of the fruit is colored (the fruit appears to be colored by the sun). If it is harvested too soon, the merchantability drops, and if it is late, the storage stability lowers and the overall yield drops. It is advisable to harvest two times a week in winter and three times a week in summer.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샐러드용 등으로 많이 사용되어 일 년 내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재배에는 고온이 필요하므로 겨울철 재배는 남부 지방이나 가온 장치가 되어 있는 재배실에서 한다.
Recently, it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 for salads, etc., and is being produced throughout the year. However, since high temperature is needed for cultivation, winter cultivation is performed in the cultivation room which is made in the southern region or the heating apparatus.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9075호에 단맛이 강하면서 각종 비타민이 풍부한 파프리카를 원료로 하여 기존의 과일잼에 비해 단맛이 덜하고 색도가 우수하면서 응집성이 뛰어난 파프리카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19075 discloses that paprika having a strong sweet taste and rich in various vitamins is used as a raw material, and paprika having excellent sweetness and excellent color, The jam is described.

상기 선행기술의 파프리카잼은 파프리카퓨레 25~40 중량%, 물 30~35 중량%, 설탕 20~26 중량%, 사과과즙 4.5~10 중량%, 물엿 5.3~10 중량%, 구연산 0.05~3 중량% 및 펙틴 0.15~1.5 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The paprika jam of the prior art includes 25 to 40 wt% of paprika puree, 30 to 35 wt% of water, 20 to 26 wt% of sugar, 4.5 to 10 wt% of apple juice, 5.3 to 10 wt% of syrup, 0.05 to 3 wt% And 0.15 to 1.5% by weight of pectin.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파프리카잼의 원료로 설탕만을 사용하고 있어, 과도한 단맛 및 당 섭취가 우려될 수 있으며 특히 다이어트를 하거나 당뇨병을 보유한 사람에게는 꺼려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uses only sugar as a raw material of paprika jam, so that excessive sweetness and sugar consumption may be a concer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be uncomfortable for a person who has dieting or diabete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9075호 (2004.02.04)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419075 (2004.02.04)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프리카를 준비 및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한 파프리카와 프락토올리고당, 백설탕, 구연산 및 펙틴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파프리카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paprika which comprises preparing and pretreating paprika; Mixing the pretreated paprika with fructooligosaccharide, white sugar, citric acid and pectin; And a step of heating the mixed mixture in the mixing step to prepare a jam.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paprika jam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품가치가 없는 폐기용 파프리카 생과를 재활용함으로써 파프리카 수확 후의 불필요한 폐기물을 줄이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성 성분인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여 식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파프리카를 직접 갈아 사용함으로써 기호도가 증진된 효능을 보유한 파프리카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unnecessary waste after paprika harvest by recycling the paprika waste for disposal having no commercial value, and to contain the health functional ingredient fructo-oligosaccharid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health promotion of the consumer And paprika jam which has an effect of increasing preference by directly changing paprika.

본 발명은 파프리카를 파프리카를 준비 및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한 파프리카와 프락토올리고당, 백설탕, 구연산 및 펙틴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파프리카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paprika,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nd pretreating paprika; Mixing the pretreated paprika with fructooligosaccharide, white sugar, citric acid and pectin; And a step of heating the mixed mixture in the mixing step to prepare a ja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paprika jam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본 발명은, 상품가치가 없는 폐기용 파프리카 생과를 재활용함으로써 파프리카 수확 후의 불필요한 폐기물을 줄이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성 성분인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여 식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파프리카를 직접 갈아 사용함으로써 기호도가 증진된 효능을 보유한 파프리카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unnecessary waste after harvesting paprika by recycling waste paprika which has no commercial value, and it contains fructooligosaccharide which is a health functional ingredient,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health of the consumer,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by providing paprika jam having an enhanced taste and an improved taste.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잼은, 상품가치가 없는 폐기용 파프리카 생과를 재활용함으로써 파프리카 수확 후의 불필요한 폐기물을 줄이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The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unnecessary waste after paprika harvesting by recycling disused paprika cultivars having no commercial value.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잼은, 건강기능성 성분인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여 식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The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fructooligosaccharide which is a health functional ingredient and has an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health promotion of an edible person.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잼은, 파프리카를 직접 갈아 사용함으로써 기호도가 증진된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The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palatability by directly using paprika.

도 1은 전처리 공정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에서 실험군으로 사용된 파프리카잼의 제조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도 2는 전처리 공정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파프리카 색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에서 실험군으로 사용된 파프리카잼의 제조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파프리카 색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프락토올리고당과 설탕의 배합비율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에서 실험군으로 사용된 파프리카잼의 제조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프락토올리고당과 설탕의 배합비율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구연산 비율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에서 실험군으로 사용된 파프리카잼의 제조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구연산 비율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펙틴 비율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에서 실험군으로 사용된 파프리카잼의 제조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도 10은 펙틴 비율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파프리카 추출물의 세포생존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파프리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파프리카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파프리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파프리카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table showing production conditions of paprika jam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process.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process.
Fig. 3 is a table showing production conditions of paprika jam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paprika color.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paprika color.
5 is a table showing the preparation conditions of paprika jam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blending ratio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sugar.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blending ratio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sugar.
FIG. 7 is a table showing the preparation conditions of paprika jam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citric acid ratio.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citric acid ratio.
9 is a table showing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paprika jam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pectin ratio.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pectin ratio.
11 is a graph showing the cell viability of the paprika extract.
12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paprika extract.
13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paprika extract.
14 is a graph show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paprika extract.
15 is a graph showing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aprika extract.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참고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and the reference example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Examples should be understood.

실시예Example 1.  One. 프락토올리고당을Fructo-oligosaccharide 함유하는 파프리카잼의 제조방법 Of producing paprika jam

1) 파프리카 준비 및 전처리 단계 1) paprika preparation and pretreatment step

신선한 파프리카를 준비하여 손질한다.
Prepare fresh paprika and trim it.

이때 파프리카는, 파프리카를 수확한 후에 꼭지가 떨어지거나 파프리카 표면에 상처가 남으로써 상품가치가 떨어진 폐기용 파프리카 생과를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paprika can be used for disposal of paprika for disposal after the paprika is harvested and the value of the product drops because the faucet falls or the paprika surface is scratched.

준비된 파프리카를 흐르는 물에 씻어낸 후 파프리카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꼭지와 씨를 제거해준다.
Rinse the prepared paprika in running water and remove the faucets and seeds, taking care not to damage the paprika.

파프리카잼을 제조하기 전 파프리카는 살짝 데쳐 껍질을 제거하거나, 믹서에 갈거나 또는 믹서에 갈아 면포나 체로 거르는 등의 전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Prior to making the paprika jam, the paprika may be pretreated by gently peeling it, removing it from the skin, grinding it into a mixer, or changing it into a mixer and filtering it with cotton or sieve.

바람직하게는 파프리카를 믹서에 갈아 체에 거른 후 사용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aprika can be used after being shaken in a mixer.

2) 재료 배합단계
2) Material mixing step

전처리 단계를 거친 파프리카와 당, 구연산 및 펙틴을 혼합한다.
Pre-treated paprika, sugar, citric acid and pectin are mixed.

이때 당은 프락토올리고당을 주요 소재로 사용하되, 추가적으로 이소말토올리고당, 백설탕, 황설탕, 흑설탕, 자일로스 설탕 또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당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ugar may be fructooligosaccharide as a main material, and may further include isomaltooligosaccharide, white sugar, sulfur sugar, brown sugar, xylose sugar or betacyclodextrin, and two or more sugars may be used together.

프락토올리고당은 분말, 과립 또는 액상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순도 90% 이상의 액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ructooligosaccharide may be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 or liquid phase, preferably a liquid phase having a purity of 90%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분말, 과립 또는 액상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말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Beta cyclodextrin can be in powder, granule or liquid form, preferably in powder form.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β-CD)은 글루코스 분자가 연결된 환형 올리고당으로, 그 외부 표면은 친수성이고 내부는 소수성인 공동이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난용성 물질의 용해성 개선 및 흡수성의 개선 등 물리화학적인 성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eta-cyclodextrin (β-CD) is a cyclic oligosaccharide in which glucose molecules are linked. Its outer surface is hydrophilic and the inside is hydrophobic. It has a cylindrical structure, which improves solubility and improves water absorption It is known to improve the chemical properties.

식품과 의약품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식품의 경우 특히 음료나 기능성식품 또는 냄새 및 쓴맛 제거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의약품으로서 충치예방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It is widely used for foods and pharmaceuticals. It is used for food, especially beverages, functional food, or odor and bitter taste. It is also used as a medicine to prevent tooth decay.

이러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냄새 및 쓴맛 제거 효능 외에도 혈당 강하 또는 비만의 개선 효능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약간의 단맛을 보유함으로써 파프리카잼에 첨가시 잼이 은은한 단맛을 가질 수 있다.
These beta cyclodextrins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 effect of lowering the blood sugar level or improving obesity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removing odor and bitter taste, and having a slight sweet taste, the jam may have a sweet taste when added to paprika jam.

파프리카 100 중량부 기준으로 프락토올리고당 44~55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두 가지 이상의 당이 혼합되는 경우로는, 파프리카 100 중량부 기준으로 프락토올리고당 20~30 중량부 및 백설탕 20~3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44 to 55 parts by weight of fructooligosaccharide per 100 parts by weight of paprika may be mixed. When two or more sugars are mixed, 20 to 30 parts by weight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20 to 30 parts by weight of white sugar can be mix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aprika.

그러나 당의 혼합 비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공 공정 및 기호도에 따라 다르게 첨가될 수 있다.
However, the mixing ratio of the saccharid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d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rocessing step and preference.

구연산은 0.1~0.5 중량% 배합될 수 있으며, 펙틴은 0.1~1.5 중량% 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0.2 중량% 및 펙틴 0.3 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Citric acid may be blended in an amount of 0.1 to 0.5% by weight, and pectin may be blended in an amount of 0.1 to 1.5% by weight. Preferably 0.2% by weight of citric acid and 0.3% by weight of pectin.

추가로 재료 배합단계에서 기호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레몬즙, 감귤주스 또는 사과 등의 부재료가 가미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upplementary material such as lemon juice, citrus juice or apple may be added to enhance the preference in the ingredient blending step.

3) 조리는 단계
3)

배합된 재료를 냄비에 넣고 가열하여 끓여준다. 이때 냄비 바닥부분의 잼이 타지 않도록 주의하며 지속적으로 저어 준다.Put the ingredients in a pan, heat and boil. At this time, be careful not to burn the jam on the bottom of the pan and constantly stir.

상기 혼합물이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변경한 후 졸여 준다.
When the mixture starts to boil, it is changed into flame and is boiled.

조리는 과정은 잼의 중심부 온도가 103~105℃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으며, 잼의 농도가 짙어졌다고 판단될 시, 또는 당도계 기준으로 약 50~60 브릭스(brix)에서 가열을 멈출 수 있다.
The cooking process can be performed until the center temperature of the jam reaches 103-105 DEG C and heating can be stopped at a brix of about 50-60 brix on the basis of the concentration of the jam, .

제조된 파프리카잼은 소독을 마친 병에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다.
The prepared paprika jam can be kept sealed in a sterilized bottle.

참조예Reference Example 1. 전처리 공정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기호도 평가 1. Preference evaluation of paprika jam by pretreatment process

1) 관능 평가 과정1) Sensory evaluation process

전처리 공정의 차이에 따른 기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pretreatment process.

30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제조 조건을 각각 달리한 실험군(살짝 데쳐 껍질을 제거한 파프리카, 믹서기에 갈아 면포로 즙낸 파프리카, 믹서기에 갈아 체에 거른 파프리카 및 믹서기에 갈은 파프리카)의 질감, 단맛, 향, 색 및 기호도 항목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Thirty panelists were selected, and the texture, sweetness, and flavor of the experimental group (paprika slightly peeled off, paprika put on a blender, paprika filtered on a blender, and paprika on a blender) , Color and preference items.

실험군으로 사용된 파프리카잼의 제조 조건은 도 1과 같다.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paprika jam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are shown in Fig.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7점으로 갈수록 선호도가 높아지는 방식을 책정하였다.
Th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7 point scale, and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preference toward 7 points was set.

2) 관능 평가 결과2) Sensory evaluation results

도 2는 전처리 공정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pretreatment process.

관능평가 결과, 질감과 색 항목에서는 믹서기에 갈은 파프리카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단맛과 기호도 항목에서는 믹서기에 갈아 체에 거른 파프리카가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preference of brown paprika in the blender was high in texture and color items, and in paprika in blender was high in sweetness and preference items.

참조예Reference Example 2. 파프리카 색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기호도 평가 2. Preference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paprika color

1) 관능 평가 과정1) Sensory evaluation process

파프리카 색의 차이에 따른 기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paprika color.

30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제조 조건을 각각 달리한 실험군(빨강 파프리카, 주황 파프리카 및 노랑 파프리카)의 신맛, 단맛, 향, 색 및 기호도 항목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Thirty panelists were select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sourness, sweetness, flavor, color, and accept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s (red paprika, orange paprika and yellow paprika) with different manufacturing conditions.

실험군으로 사용된 파프리카잼의 제조 조건은 도 3과 같다.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paprika jam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are shown in Fig.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7점으로 갈수록 선호도가 높아지는 방식을 책정하였다.
Th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7 point scale, and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preference toward 7 points was set.

2) 관능 평가 결과2) Sensory evaluation results

도 4는 파프리카 색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paprika color.

관능평가 결과, 신맛 항목에서는 빨강, 주황 및 노랑 파프리카 모두 비슷한 선호도를 나타냈으나, 전체적으로는 노랑 파프리카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red, orange and yellow paprika showed similar preference in sour taste items, but overall, yellow paprika showed high preference.

참조예Reference Example 3.  3. 프락토올리고당과Fructooligosaccharide 설탕의 배합비율에 따른  Depending on the mixing ratio of sugar 파프리카잼의Paprika 기호도 평가 Likelihood evaluation

1) 관능 평가 과정1) Sensory evaluation process

프락토올리고당과 설탕의 배합비율에 따른 기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fructooligosaccharide and sugar.

30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제조 조건을 각각 달리한 실험군(파프리카, 프락토올리고당 및 설탕의 비율이 2:0:1, 8:1:3, 4:1:1, 8:3:1 및 2:1:0)의 신맛, 단맛, 향, 색 및 기호도 항목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A panel of 30 subjects was selected and the experimental groups (paprika, fructooligosaccharide, and sugar ratio of 2: 0: 1, 8: 1: 3, 4: 1: 1, 8: 3: 1 and 2: : 1: 0) were subjected to sensory evaluation of sour taste, sweet taste, flavor, color, and taste.

실험군으로 사용된 파프리카잼의 제조 조건은 도 5와 같다.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paprika jam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are shown in Fig.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7점으로 갈수록 선호도가 높아지는 방식을 책정하였다.
Th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7 point scale, and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preference toward 7 points was set.

2) 관능 평가 결과2) Sensory evaluation results

도 6은 프락토올리고당과 설탕의 배합비율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the blending ratio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sugar.

관능평가 결과, 파프리카, 프락토올리고당 및 설탕의 비율이 4:1:1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단맛과 색 항목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ratio of paprika, fructooligosaccharide and sugar was the highest at 4: 1: 1. Especially, sweetness and color items showed high preference.

참조예Reference Example 4. 구연산 비율에 따른  4. Depending on citric acid ratio 파프리카잼의Paprika 기호도 평가 Likelihood evaluation

1) 관능 평가 과정1) Sensory evaluation process

구연산 비율의 차이에 따른 기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degree according to difference of citric acid ratio.

30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제조 조건을 각각 달리한 실험군(구연산 0.1%, 0.2% 및 0.3%)의 신맛, 단맛, 향, 색 및 기호도 항목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sourness, sweet taste, flavor, color, and accept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citric acid 0.1%, 0.2% and 0.3%) with different manufacturing condition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30 panelists.

실험군으로 사용된 파프리카잼의 제조 조건은 도 7과 같다.
The preparation conditions of the paprika jam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are shown in FIG.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7점으로 갈수록 선호도가 높아지는 방식을 책정하였다.
Th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7 point scale, and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preference toward 7 points was set.

2) 관능 평가 결과2) Sensory evaluation results

도 8은 구연산 비율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citric acid ratio.

관능평가 결과, 구연산 0.3%에서 신맛과 기호성 항목이 비교적 낮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구연산 0.2%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sourness and palatability items showed relatively low preference in citric acid 0.3%, and the overall preference was 0.2% in citric acid.

참조예Reference Example 5. 펙틴의 비율에 따른  5. Depending on the ratio of pectin 파프리카잼의Paprika 기호도 평가 Likelihood evaluation

1) 관능 평가 과정1) Sensory evaluation process

펙틴 비율의 차이에 따른 기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degree according to difference of pectin ratio.

30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제조 조건을 각각 달리한 실험군(펙틴 0.1%, 0.3% 및 0.5%)의 발림성, 단맛, 향, 색 및 기호도 항목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Thirty panelists were selected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 the productability, sweetness, flavor, color and palat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s (pectin 0.1%, 0.3% and 0.5%) with different manufacturing conditions.

실험군으로 사용된 파프리카잼의 제조 조건은 도 9와 같다.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paprika jam used as an experimental group are shown in Fig.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7점으로 갈수록 선호도가 높아지는 방식을 책정하였다.
Th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7 point scale, and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preference toward 7 points was set.

2) 관능 평가 결과2) Sensory evaluation results

도 10은 펙틴 비율에 따른 파프리카잼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paprika jam according to pectin ratio.

관능평가 결과, 발림성 및 기호성 항목에서 펙틴 0.5%는 가장 낮은 선호도를 나타냈으며, 펙틴 0.1% 및 0.3%에서는 전체적으로 비슷한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pectin 0.5%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and pectin 0.1% and 0.3% showed similar preferences overall.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세포생존력 측정 1. Measurement of cell viability

1-1. 실험 과정1-1. Experimental course

t-BHP(tert-butyl hydroperoxide)는 간 손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화합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작용 기작으로 세포 내 물질 대사계 중 Phase Ⅰ에 해당되는 시토크롬 P450의 효소계인 2E1에 의해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이 NAPQI(N-acetyl-p-benzoquinone imine)의 eletrophile 한 물질로 전환되고, 이 물질이 세포독성을 유발시킨다.
T-BHP (tert-butyl hydroperoxide) is a well-known compound that causes liver damage. As a mechanism of action, acetaminophen is induced by 2E1, an enzyme system of cytochrome P450, NAPQI (N-acetyl-p-benzoquinone imine) eletrophile, which causes cytotoxicity.

파프리카 추출물의 세포생존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상간세포인 Chang 세포에서 t-BHP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후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To determine the cell viability of paprika extract,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in normal hepatocyte Chang cells by t-BHP and MTT assay was performed.

1-2. 실험 결과1-2. Experiment result

도 11은 파프리카 추출물의 세포생존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1 is a graph showing the cell viability of the paprika extract.

실험 결과, t-BHP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후 파프리카 추출물을 처리할 시 세포생존력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 viability was enhanced when the paprika extract was treated after inducing oxidative stress with t-BHP.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항산화 활성 분석 2.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2-1.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2-1. Total polyphenol content analysis

파프리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Folin-Denis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paprika extract was measured using the Folin-Denis method.

도 12는 파프리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2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paprika extract.

실험 결과, 모든 파프리카 추출물은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70% 에탄올로 추출한 노랑 파프리카가 가장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ll paprika extracts showed high polyphenol content and yellow paprika extracted with 70% ethanol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2-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2-2. Total flavonoid content analysis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Nieva Moreno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Total flavonoid content was measured by Nieva Moreno et al.

도 13은 파프리카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3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paprika extract.

실험 결과, 70% 에탄올로 추출한 빨강 파프리카가 가장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sults showed that red paprika extracted with 70% ethanol ha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2-3. 2-3. DPPHDPPH 라디칼Radical 소거능Scatters 분석 analysis

파프리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자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aprika extract was measured by ascorbic acid.

도 14는 파프리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4 is a graph show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paprika extract.

실험 결과, 70% 에탄올로 추출한 파프리카 추출물에서는 노랑 파프리카 64.7%, 주황 파프리카 63.6%, 빨강 파프리카 59.8%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50% 에탄올로 추출한 파프리카 추출물에서는 노랑 파프리카 56.5%, 주황 파프리카 64.3%, 빨강 파프리카 54.7%의 소거활성을 보였다.
The paprika extracts extracted with 70% ethanol showed that the extracts of 64.7% of yellow paprika, 63.6% of orange paprika and 59.8% of red paprika were effective in extracting paprika. In paprika extracts extracted with 50% ethanol, 56.5% of yellow paprika, 64.3% Red paprika showed the scavenging activity of 54.7%.

2-4. 2-4. ABTSABTS 라디칼Radical 소거능Scatters 분석 analysis

파프리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자 ABTS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aprika extract, ascorbic acid was used as a control group.

도 15는 파프리카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5 is a graph showing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aprika extract.

실험 결과, 70% 에탄올로 추출한 파프리카 추출물에서는 노랑 파프리카 75.4%, 주황 파프리카 80.1%, 빨강 파프리카 78.3%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50% 에탄올로 추출한 파프리카 추출물에서는 노랑 파프리카 77.4%, 주황 파프리카 79.2%, 빨강 파프리카 68.9%의 소거활성을 보였다. In the paprika extracts extracted with 70% ethanol, 75.4% of the yellow paprika, 80.1% of the orange paprika and 78.3% of the red paprika were observed. In the paprika extracts extracted with 50% ethanol, Red paprika showed 68.9% scavenging activity.

Claims (5)

파프리카를 준비 및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한 파프리카와 프락토올리고당, 백설탕, 구연산 및 펙틴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파프리카잼의 제조방법.
Preparing and pretreating paprika;
Mixing the pretreated paprika with fructooligosaccharide, white sugar, citric acid and pectin; And
And heating the mixed mixture in the mixing step to prepare a jam. The method for producing paprika jam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according to claim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파프리카 100 중량부 기준으로 프락토올리고당 20~30 중량부, 백설탕 20~30 중량부, 구연산 0.1~0.5 중량부 및 펙틴 0.1~1.5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파프리카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uctooligosaccharide is mixed with 20-30 parts by weight of fructooligosaccharide, 20-30 parts by weight of white sugar, 0.1-0.5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and 0.1-1.5 parts by weight of pect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aprika.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은 순도 90% 이상의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파프리카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uctooligosaccharide is in a liquid phase having a purity of 90% or mo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가열 시간은 중심부 온도가 103~105℃가 될 때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파프리카잼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of producing the jam, the heating time is from the time when the central temperature reaches 103 to 105 DEG C. The method for producing paprika jam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파프리카잼.A paprika jam containing a fructooligosaccharide prepa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20140177971A 2014-12-11 2014-12-11 Manufacturing method of paprika jam comprising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paprika jam manufactured by the method Ceased KR201600714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971A KR20160071482A (en) 2014-12-11 2014-12-11 Manufacturing method of paprika jam comprising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paprika jam manufactured by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971A KR20160071482A (en) 2014-12-11 2014-12-11 Manufacturing method of paprika jam comprising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paprika jam manufactured by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482A true KR20160071482A (en) 2016-06-22

Family

ID=5636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971A Ceased KR20160071482A (en) 2014-12-11 2014-12-11 Manufacturing method of paprika jam comprising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paprika jam manufactured by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148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203A (en) 2022-09-28 2024-04-04 에스피씨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products, bakery products, and sediment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using invertase
KR102733142B1 (en) * 2023-11-15 2024-11-25 농업회사법인 한국농산합자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fruit j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75B1 (en) 2001-11-01 2004-02-18 경상남도 Paprika j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75B1 (en) 2001-11-01 2004-02-18 경상남도 Paprika j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203A (en) 2022-09-28 2024-04-04 에스피씨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products, bakery products, and sediment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using invertase
KR102733142B1 (en) * 2023-11-15 2024-11-25 농업회사법인 한국농산합자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fruit j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udhary et al. Pineapple (Ananas cosmosus) product processing: A review
Dhineshkumar et al. Pomegranate processing and value addition: A review
KR101564810B1 (en) Fruit Jam Comprising Fermented Stevia Extrac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64031B1 (en) The producing method of nutritional vinegar
KR100897188B1 (en) Strawberry brewing method
Bisht et al. A novel approach towards the fruit specific waste minimization and utilization: A review
KR101885684B1 (en) Beverage comprising Radish juice and pear ju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Varshney et al. An analysis of health benefits of beetroot
Mikayilov et al.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OBTAINING JUICE FROM PERSIMMON FRUIT (DIOSPYROS KAKI L.).
CN104543860A (en) Prod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concentrated black jerusalem artichoke juice
KR2007008930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woodworm concentrate material having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and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2016007148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aprika jam comprising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paprika jam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101448544B1 (en) Fermented fruit food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5685909A (en) Aroma producing yeast fermented low-sugar mulberry fruit compound ja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3492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yogurt containing quercetin
KR101195379B1 (en) A manufacture method of health beverage that low sucrose and high content of oligosaccharides
CN106615519A (en) Sucrose-free healthy candies prepared by natural plant fermentation
Sharma et al. Carrot and Carrot Products: A Superb Functional Food
CN105410804A (en) Appetizing ja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60058241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aebong persimmon jelly for anti browning using sodium metabisulfite
CN105685706A (en) Preparation method of concentrated grape juice
Taleb Evaluation of some products from tartufi (Jerusalem artichoke) tubers
KR101883190B1 (en) Miscellaneous Grain Crop Bever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Nurseitova et al. Research of Vegetative Raw Materials for Preparation of Fermented Vegetables
KR100961218B1 (en) Fermentation stock solution using buckwheat spr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7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7101000557

Request date: 2017020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55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02

Effective date: 2018091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70202

Decision date: 20180917

Appeal identifier: 2017101000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