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195A -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in open space - Google Patents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in open sp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0195A KR20160070195A KR1020140175445A KR20140175445A KR20160070195A KR 20160070195 A KR20160070195 A KR 20160070195A KR 1020140175445 A KR1020140175445 A KR 1020140175445A KR 20140175445 A KR20140175445 A KR 20140175445A KR 20160070195 A KR20160070195 A KR 201600701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d
- time
- sensing
- valu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58 sleep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453 Skin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QYSXJUFSXHHAJI-XFEUOLMDSA-N Vitamin D3 Natural products C1(/[C@@H]2CC[C@@H]([C@]2(CCC1)C)[C@H](C)CCCC(C)C)=C/C=C1\C[C@@H](O)CCC1=C QYSXJUFSXHHAJI-XFEUOLMD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7 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3 nox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849 ski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8 sleeping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YSXJUFSXHHAJI-YRZJJWOYSA-N vitamin D3 Chemical compound C1(/[C@@H]2CC[C@@H]([C@]2(CCC1)C)[C@H](C)CCCC(C)C)=C\C=C1\C[C@@H](O)CCC1=C QYSXJUFSXHHAJI-YRZJJW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82 vitamin D3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47 vitamin D3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56 vitamin d3 Drug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42—Ozon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A파장영역대의 UV-A LED와, 자외선 B파장영역대의 UV-B LED가 조합된 LED 어셈블리가 개방된 실내공간내에 설치되어 각 LED가 개별적으로 점등되는 살균조명부와, 상기 살균조명부가 설치된 실내공간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 또는 실내공간내의 밝기를 측정하는 빛감지부 또는 실내공간내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LED의 점멸 및 점등유지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살균소독이 폐쇄된 공간내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자외선 A(UV-A)와 자외선 B(UV-B)를 활용한 자연광으로 개방된 공간에서 다양한 대상물을 살균소독 할 수 있도록 하여, 살균대상 범위가 매우 넓은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장실, 주방, 침실, 현관 등 개방된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각 자외선 LED가 조사되는 시간 또는 조사되는 빛의 양이 제어되도록 하여 살균효과가 높으며, 인체에 자외선이 직접 노출되지 않으면서 장시간 조사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해를 끼지지 않고 살균소독 신뢰도가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Disclosed herein is a space-open disinfection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open disinfection and disinf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ce-open disinfection system comprising a UV- A humidity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provided with the sterilizing illumination unit for sensing the humidity in the indoor space or a light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brightness in the indoor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setting a blinking time and an on time of each LED based on a value sensed by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disinfect various objects in a space opened by natural light utilizing UV-A and UV-B without being sterilized in a closed space. So that the sterilization target range is very wid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space such as a toilet, a kitchen, a bedroom, a door, etc., the time for irradiating each ultraviolet LED or the amount of light to be irradiated is controlled so that the sterilizing effect is high. So that the reliability of sterilization disinfection is very high without harming the us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쇄된 공간내에 대상물품을 넣고 자외선 C(UV-C)를 조사하여 살균소독하는 방법을 벗어나, 자외선 A(UV-A)와 자외선 B(UV-B)를 활용한 자연광으로 개방된 공간에서 다양한 대상물을 살균소독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open disinfection and disinf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ce-open disinfection and disinfection system for disposing a target article in a closed space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 (UV-A) Disclosed is a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various objects in a space opened by natural light utilizing UV-B (UV-B).
일반적으로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살균소독기 제품은 자외선 A,B,C 중 살균선으로 알려져 있는 자외선 C(UV-C) 파장대를 활용하고 있으며, 자외선 C(UV-C) 중에서도 가장 탁월한 살균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256.7nm를 많이 사용한다.Generally, most sterilizer products available on the market use ultraviolet C (UV-C) wavelength band known as sterilizing line of ultraviolet A, B and C, and have the most excellent sterilizing power among UV C 256.7nm is widely used.
이러한 파장대는 자외선 중에서도 단파장인 만큼 세균/바이러스 등의 DNA에 접근이 가능하고 그것을 파괴시킬 만큼의 고에너지를 발휘하기 때문에, 사람에게 직접 빛을 조사할 경우 피부질환과 특히 눈의 망막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어서, 자외선 C(UV-C) 빛에 직접 피부와 눈이 닿지 않도록 살균소독기 제품은 폐쇄된 공간내에 UV-C램프를 설치한 제품으로 만들 수밖에 없게 된다. Since this wavelength band is short wavelength among ultraviolet rays, it can access DNA such as bacteria / viruses and exhibits high energy enough to destroy it. Therefore, when direct light is irradiated to a person, it causes skin diseases and especially eye retina In order to prevent direct contact of skin and eyes with ultraviolet C (UV-C) light, sterilizer products must be made into products with UV-C lamps installed in a closed space.
이는 폐쇄된 좁은 공간내에 다양하고 많은 제품을 넣어 살균하고 싶어하는 소비자의 일반적 이해와 상충하게 된다.This conflicts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consumers who want to sterilize a wide variety of products in a confined space.
아울러, 대중식당에서 자외선 컵 소독기를 보면, 음료용 컵을 살균공간 내에 겹겹이 포개어 ?아놓게 되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러한 경우 전혀 살균력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 이는 자외선 C(UV-C)의 기능상 한계점으로 자외선 C(UV-C)가 자외선 파장대 중 단파장에 속하는 만큼 공기 중 산란율이 높아 유효 조사거리가 짧다. 이에 의해 자외선이 얇은 유리나 섬유도 통과를 못하는 것은 고사하고 공기 중에서 산란되어 대부분의 자외선 C(UV-C) 소독기는 유효 조사거리가 30cm 정도밖에 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if you look at a UV cup sterilizer in a public restaurant, you may find that you put a beverage cup in a sterilization space in a stack, and in this case, it will not have sterilizing power at all. This is a functional limit of ultraviolet C (UV-C), because ultraviolet C (UV-C) belongs to short wavelength of ultraviolet wavelength band. As a result, most of ultraviolet C (UV-C) disinfector has a disadvantage that the effective irradiation distance is only about 30 cm.
이와 같이 유효 조사거리가 짧기 때문에, 더더욱 모든 살균기들은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폐쇄된 공간 내부로 살균대상물을 넣도록 설계될 수 밖에 없다.As such, since the effective irradiation distance is short, all the sterilizers are inevitably designed to insert the sterilizing object into the closed space so as to maintain an appropriate distance.
이러한 폐쇄형을 극복하고 개방형을 표방한 자외선 살균기가 있으나, 광원을 자외선 C(UV-C)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단파장에 의한 단거리 조사밖에 이루어지지 않아,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바람을 일으키는 장치를 추가로 장착하여 바람에 의해 1차로 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자외선 C(UV-C)로 살균 하게 하고 있으나, 바람의 파장 자체가 자외선 C(UV-C)의 조사를 더욱 방해할 가능성이 높게된다. Although there is an ultraviolet sterilizer which overcomes this closed type and expresses as an open type, only a short distance irradiation by a short wavelength is performed by using the light source as the UV C (UV C) as it is. The object is firstly dried by wind and sterilized by ultraviolet C (UV-C), but the wavelength of wind itself is more likely to interfere with the irradiation of ultraviolet C (UV-C).
아울러, 자외선 C(UV-C)를 활용한 공기정화/살균제품의 경우에도, 짧은 조사거리로 인해 바람을 실내에 계속 일으킴으로써, 실내 오염된 공기가 대류에 의해 자외선 C(UV-C) 램프가 장착된 살균기 내 폐쇄된 공간으로 들어오게 함으로써 순간적인 공기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이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n air purification / sterilization product using ultraviolet C (UV-C), air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room due to a short irradiation distance, So that the air is sterilized instantaneously.
그러나 이와 대조적으로 자연상태에서의 일광소독 방법은 상기와 같이 제품화된 자외선 소독기와는 판이하게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in contrast, the method of disinfecting daylight in a natural state is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manufacturing ultraviolet sterilizer as described above.
이는 자연광에 의한 살균소독의 경우에는 자외선 C에 의한 역할은 거의 없다는 점이다. 태양으로부터 출발한 자외선들 중 자외선 C(UV-C)는 지구의 오존층에서 대부분 흡수되어 더 이상 지구의 대기권으로 내려오지 못하며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을 뿐이다. This is because the ultraviolet C does not play a role in disinfection by natural light. Of ultraviolet rays originating from the sun, ultraviolet C (UV-C) is mostly absorbed in the Earth's ozone layer and can no longer descend to the Earth's atmosphere and can only be artificially created in the laboratory.
이와 같이 오랜 세월 전 인류의 소중한 살균소독의 혜택을 줘왔던 것은 자외선 A(UV-A)와 자외선 B(UV-B)로 이루어진 자연광으로서, 살균력은 자외선 C(UV-C)에 미치지 못한다. As such, natural light that has been provided with the benefit of disinfection of human beings for a long time ago is composed of ultraviolet A (UV-A) and ultraviolet B (UV-B), and the sterilizing power does not reach ultraviolet C (UV-C).
자외선 A(UV-A)는 320~400nm 대의 장파장대의 저에너지 자외선이며, 자연광의 약 30%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장파장인 만큼 피부 진피 속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노화의 주범으로 알려져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게 된 주범이지만, 장파장인 만큼 에너지는 약하기 때문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에만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그리고 UV-A는 빛을 쪼인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기능이 있어서, 산업계 등의 영역에서는 경화제 등의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다. Ultraviolet A (UV-A) is a low-energy ultraviolet light with a long wavelength range of 320 to 400 nm. It is known to occupy about 30% of natural light. It penetrates into the skin dermis because of its long wavelength and is known as a major cause of skin cancer and aging. UV-A has a function of drying a light-irradiated object, and it is utilized as a hardening agent system in the field of industry and the like .
그리고 자외선 B(UV-B)는 280~320nm 대의 중파장대 자외선으로써, 자연광의 약 5%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자외선 A(UV-A)보다 세기가 훨신 강해 단시간에 화상을 입혀 일명 '화상광선'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자외선 C(UV-C)만큼 탁월하지는 못하지만 살균과 소독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자외선으로서, 사람과 동물의 피부나 털에 쪼였을 때는 인체에 면역력을 강화시켜주는 비타민D3를 생성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Ultraviolet B (UV-B) is a medium-wavelength ultraviolet light of 280 ~ 320nm, which is known to occupy about 5% of natural light. It is stronger than UV-A and burns in a short time. '. It does not excel as UV C but it can exert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function. When it is applied to skin and hair of human and animal, it is important to produce vitamin D3 which strengthens immunity to human body. It also plays a role.
이러한 자외선 A(UV-A)와 자외선 B(UV-B)를 활용한 자연광에 의한 살균소독처리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기존 자외선 C(UV-C) 살균기에 비해 살균력이 약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살균대상물에 장시간 빛을 조사해야지만 살균효과가 있게 되며, 자외선 A(UV-A)와 자외선 B(UV-B)는 자외선 C(UV-C)만큼은 아니더라더 인체의 눈과 피부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에는 위험하게 된다.The biggest problem in disinfection treatment by natural light using UV-A and UV-B is that the sterilizing power is weaker than the UV-C sterilizer, (UV-A) and UV-B (UV-B) are not as much as UV-C, and they are exposed to the eyes and skin for a long time. It becomes dangerous.
따라서, 이러한 종래 자외선 C(UV-C) 살균기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자외선 A(UV-A)와 자외선 B(UV-B)를 활용한 자연광으로 개방된 공간에서 다양한 대상물을 살균소독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unreasonableness of such a conventional ultraviolet C (UV-C) sterilizer and to sterilize various objects in a space opened with natural light utilizing UV-A (UV-A) and UV-B The need for an open-space sterilizing method of sterilization is increas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쇄된 공간내에 대상물품을 넣고 자외선 C(UV-C)를 조사하여 살균소독하는 방법을 벗어나, 자외선 A(UV-A)와 자외선 B(UV-B)를 활용한 자연광으로 개방된 공간에서 다양한 대상물을 살균소독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ltraviolet-curing UV- Disclosed is a space-open disinfection system for disinfecting various objects in a space opened by natural light utilizing UV-B and UV-B.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자외선 A파장영역대의 UV-A LED와, 자외선 B파장영역대의 UV-B LED가 조합된 LED 어셈블리가 개방된 실내공간내에 설치되어 각 LED가 개별적으로 점등되는 살균조명부와, 상기 살균조명부가 설치된 실내공간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 또는 실내공간내의 밝기를 측정하는 빛감지부 또는 실내공간내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LED의 점멸 및 점등유지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LED assembly including a UV-A LED of a UV-A wavelength range and a UV-B LED of an UV-B wavelength range, A humidity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provided with the sterilizing illumination unit for sensing the humidity in the indoor space or a light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brightness in the indoor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setting a blinking time and an on time of each LED based on a value sensed by the sensing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센싱값을 전송받아 상기 각 센싱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UV-A LED, UV-B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램프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개별점멸 제어모듈과,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시간을 파악하고, 시간대별로 각 센싱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시간대별로 누적하여 카운팅한 값에 기초하여, UV-A LED, UV-B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LED램프가 점등되는 유효시간을 제어하는 자동점멸 제어모듈과, 사용자가 지정하여 UV-A LED, UV-B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LED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된다.Her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n individual flash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at least one sensing value from the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UV-A LED and the UV-B LED to blink based on the sensed value of the sensing unit, A UV-A LED, and a UV-B LED,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counti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respective sensing units by time and by counting the time when signals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 flash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flashing of at least one of a UV-A LED and a UV-B LED by a user's designation; .
아울러, 상기 자동점멸 제어모듈에서는 상기 인체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센싱값의 각 시간값을 시간대별로 카운팅하고, 상기 시간대별 센싱값이 기설정된 수치 범위로 산출되는 경우, 각 시간대별로 각 LED의 점멸을 각각 제어한다.In addition, in the automatic flashing control module, each time value of the sensing value sensed by the human body sensing unit is counted by time zone, and when the sensing value by time zone is calculated in a preset numerical rang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자동점멸 제어모듈에서는 일정 시간대별로 상기 습도감지부에서 습도센싱값을 전송받아, 각 시간대별로 상기 자동점멸 제어모듈로 전송되는 습도센싱값이 기설정된 수치 범위로 산출되는 경우, UV-A LED를 점등시키고, 상기 개별점멸 제어모듈에서는 습도센싱값이 기설정된 수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습도센싱값 크기에 기초하여 UV-A LED 램프의 점등갯수를 제어한다.In the automatic flashing control module, when the humidity sensing value is received by the humidity sens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the humidity sensing value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flashing control module is calculated in a predetermined numerical range in each time slot, LED is turned on, and the individual flashing control module controls the number of lighting of the UV-A LED lamp based on the humidity sensing value size when the humidity sensing value exceeds the predetermined numerical value range.
더욱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살균조명부 점등에 따른 살균소독 완료시간 데이터와, 인체에 자외선이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해가 되는 유해시간 데이터를 생성시켜, 상기 살균조명부의 UV-A LED, UV-B LED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공간내에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상기 살균소독 완료시간까지의 잔여시간과 유해시간을 비교하여 살균소독 완료 잔여시간이 상기 유해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살균조명부의 점등을 유지시키고, 살균소독 완료 잔여시간이 상기 유해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상살균조명부의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를 소등시킨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data on sterilization disinfection completion time according to lighting of the sterilizing illumination unit and harmful time data on which the ultraviolet rays are continuously exposed to the human body so that the UV-A LED and the UV-B LED of the sterilization illumination unit When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in the indoor space is detected in the lighted state, the residual time until the sterilization completion time is compared with the harmful time, and if the remaining time of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is shorter than the harmful time, And at least one of the LEDs of the sterilizing illumination unit is turned off when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completion remaining time is longer than the harmful tim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살균소독이 폐쇄된 공간내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자외선 A(UV-A)와 자외선 B(UV-B)를 활용한 자연광으로 개방된 공간에서 다양한 대상물을 살균소독 할 수 있도록 하여, 살균대상 범위가 매우 넓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disinfect various objects in a space opened by natural light utilizing UV-A and UV-B without being sterilized in a closed space. So that the sterilization target range is very wide.
또한, 화장실, 주방, 침실, 현관 등 개방된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각 자외선 LED가 조사되는 시간 또는 조사되는 빛의 양이 제어되도록 하여 살균효과가 높으며, 인체에 자외선이 직접 노출되지 않으면서 장시간 조사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해를 끼지지 않고 살균소독 신뢰도가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space such as a toilet, a kitchen, a bedroom, a door, etc., the time for irradiating each ultraviolet LED or the amount of light to be irradiated is controlled so that the sterilizing effect is high. So that the reliability of sterilization disinfection is very high without harming the user.
도 1은 각 공간에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시간대별로 실내공간의 일정영역(침실, 주방, 화장실)에서의 시간대별 인체감지센싱 누적 카운팅수를 1개월 동안의 평균값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4는 주방에서의 시간대별 인체감지센싱 누적 카운팅수와 습도 값을 검출하여 1개월 동안의 평균값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pace-open steriliz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each spac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space-open steriliz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able showing an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counts of human body detection sensing counts per one hour in a certain area (bedrooms, kitchens, toilets) of an indoor space by time slot.
FIG. 4 is a table showing the number of cumulative counts of human body detection sensing per time zone in a kitchen, and a mean value for one month by detecting a humidity value.
FIG.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sterilization of the open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각 공간에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pace open type disinfection / disinf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each space,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structure of a space open type disinfection / disinf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은 개방된 실내 공간내에 설치되어 일정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조명부(10)와, 살균조명부(10)가 설치된 실내공간내의 습도, 밝기 정보 또는 살균조명부(10)가 설치된 일정영역 내에서의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20)와, 센싱부(20)에서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살균조명부(10)에 설치된 각 LED의 점멸 및 점등유지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rilizing
살균조명부(10)는 자외선 A 파장영역대의 UV-A LED(11)와, 자외선 B 파장영역대의 UV-B LED(12) 또는 조명용 LED(13)를 조합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LED는 제어부(30)의 제어명령에 의해 개별적으로 점멸되도록 한다.The sterilizing
이러한 살균조명부(10)는 도 1의 (a)에서와 같이 싱크대 선반위에 설치되어 싱크대 위의 그릇이나 싱크대 볼 등 싱크대 상부에 수납되는 물품을 살균소독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b)는 화장실 내부등과 같이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세면대, 욕조 등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c)는 현관입구로서 현관입구의 신발장 내부 또는 벗어놓은 신발 등을 살균처리하도록 하며, (d)에서는 침실에서 침대 및 침대 위에 놓여진 이불 등을 살균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1 (a), the sterilizing
센싱부(20)는 살균조명부(10)가 설치되는 실내공간내의 변화되는 환경정보를 센싱하여 센싱값에 기초하여 살균조명부(10)의 각 LED 점멸을 제어하게 된다.The
센싱부(20)는 살균조명부(10)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영역 내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21)와, 살균조명부(10)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영역의 밝기를 측정하는 빛감지부(22)와, 살균조명부(10)가 설치된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일정영역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제어부(30)는 인체감지부(21), 빛감지부(22) 및 습도감지부(23)로부터 감지된 센싱값을 전송받고 각 센싱부(20)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UV-A LED(11), UV-B LED(12) 및 조명용 LED(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램프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개별점멸 제어모듈(31)과, 센싱부(20)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전송되는 각 시간값을 생성하여, 센싱부(20)에서 전송된 신호를 시간대별로 누적하여 카운팅한 값에 기초하여 UV-A LED(11), UV-B LED(12) 및 조명용 LED(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LED램프가 점등되는 유효시간을 제어하는 자동점멸 제어모듈(32)과, 사용자가 지정하여 UV-A LED(11), UV-B LED(12) 및 조명용 LED(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LED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개별점멸 제어모듈(31)은 센싱부(20)에서 센싱되는 각 센싱값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되는 각 LED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특히 각 종류의 LED의 점멸 이외에도 각 LED의 점멸갯수 또한 센싱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The individual
예를 들자면, 주방 싱크대 선반 상부에 UV-A LED(11), UV-B LED(12) 및 조명용 LED(13)로 구성되는 살균조명부(10)를 설치하고, 센싱부(20)에서 센싱값이 수신되지 않고 모든 LED가 점등되어 자외서인 조사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하고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주방내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어부(30)로 감지값이 전송되고, 제어부(30)에서는 인체감지신호에 의해 UV-A LED(11)와 UV-B LED(12)에 전원공급을 중단시켜, 주방으로 접근하는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For example, a sterilizing
그리고 주방 싱크대 주변에서 습도감지부(23)에서 센싱된 값이 제어부(30)로 전송되고, 제어부(30)로 전송된 습도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에서는 UV-A LED(11)가 기존 점등갯수보다 일정개수로 더 많이 점등되도록 하여 주방 싱크대 주변 습기가 기존에 설정된 일정값 이하가 되도록 습기를 제거한다.A value sensed by the
또한, 습도감지부(23)에서 제어부(30)로 전송된 습도값이 일정값 이하이면 반대로 UV-A LED(11)의 점등갯수를 설정된 갯수로 줄이도록 한다.If the humidity value sent from the
아울러 빛감지부(22)의 경우에는 현관 출입구 등의 장소에서 자동점멸되는 조명등의 빛을 감지하여 UV-A LED(11)와 UV-B LED(12)에 전원공급을 중단시키고, 조명용 LED(13)는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ight sensing unit 22, the power of the UV-
이와 같이 개별점멸 제어모듈(31)은 센싱부(20)에서 센싱되는 주변환경 조건에 따라 각 LED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여, 실시간으로 살균소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In this manner, the individual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33)은 센싱부(20)의 센싱값 영향보다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제어명령에 우선시하여 제어되도록 한다. 예를 들자면, 침실에 살균조명부(10)를 설치한 상태에서 침대 상부 침구를 살균소독하기 위해 사용자가 출근시간대부터 퇴근시간까지 전체 구간동안 살균조명부(10)가 작동되도록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33)을 통해 작동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30)에 다른 센싱값이 전송되더라도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33)의 제어명령을 우선시하여 작동된다.The user-specific
자동점멸 제어모듈(32)은 센싱부(20)에서 감지된 센싱값이 제어부(30)로 전송되는 시간을 파악하고, 시간대별로 각 센싱부(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각각 카운팅하여 시간대별로 센싱된 값의 신호를 카운팅하여 누적한 카운팅수 이력를 파악하여, 일정 카운팅수 이상으로 형성되는 시간대에서 특정 LED램프가 점등되는 유효시간을 설정하도록 한다.The automatic
도 3은 시간대별로 실내공간의 일정영역(침실, 주방, 화장실)에서의 시간대별 인체감지 누적 카운팅수를 1개월 동안의 평균값을 나타낸 테이블로서, 도면을 통해 실질적인 예를 들자면, 각 공간별로 인체감지부(21)에서 감지된 인체센싱값을 제어부(30)로 전송하고, 제어부(30)에서는 센싱신호가 전송되는 시간값을 각 공간별로 생성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시간값은 제어부(30)에서 시간대별로 누적 카운팅되어, 24시간동안 카운팅된 이력정보 테이블로 생성된다. FIG. 3 is a table show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umulative number of human body detection counts per one hour in a certain area (bedroom, kitchen, toilet) of the indoor space over a time period, The human body sensing value sensed by the
도면에서와 같이 주방공간에서는 오후 5시부터 오전 1시까지 인체감지 누적 카운팅값이 생성되며, 오전 1시부터 오전 4시까지는 감지되지 않고 오전 5시부터 다시 인체감지 누적 카운팅값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침실에서는 밤에 취침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저녁 7시 이후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카운팅값이 생성되며, 오후 퇴근시간대(오후 6시 정도)까지는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uman body detection cumulative counting value is generated from 5:00 pm to 1:00 am in the kitchen space, and it is not detected from 1:00 am to 4:00 am and the cumulative human body detection counting value is generated again from 5:00 am hav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edroom sleeps at night, the counting value is generated from 7:00 pm to 9:00 am on the following day, and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is not detected until the afternoon departure time (about 6:00 pm).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살균 조명부의 각 LED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Based on the table generated in this manner, the operation of each LED of the sterilizing illumination unit is controlled.
즉, 자동점멸 제어모듈(32)에서 UV-A LED(11), UV-B LED(12)의 점등기준값을 누적 카운팅값 1 이하로 설정하게 되면 주방의 경우 오전 1시부터 오전 5시,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오후 3시부터 오후 5시에는 UV-A LED(11), UV-B LED(12)가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되게 한다. 그리고 침실의 경우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UV-A LED(11), UV-B LED(12)가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한다. That is, if the lighting reference value of the UV-
아울러, 상기 테이블은 사용자의 생활패턴 변화등에 의해 실시간으로 누적 카운팅값이 갱신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최초 설정한 점등기준값에 따라 제어설정이 자동적으로 바뀌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able allows the accumulated count value to be updated in real time due to a change in the life pattern of the user or the like, so that the control setting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lighting reference value initially set by the user.
또한, 상기 자동점멸 제어모듈(32)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다가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33)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자동점멸 제어상태를 해제시키고 임의로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도 3에서는 인체감지에 따른 자동점멸 제어모듈(32)의 동작관계를 설명하였지만, 이외에 주방에서 시간대별로 습도를 검출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습기를 제거하고 건조기능을 가지는 UV-A LED(11)의 점멸을 제어할 수도 있다. 3,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도 4는 주방에서의 시간대별 인체감지 누적 카운팅수와 습도 값을 검출하여 1개월 동안의 평균값을 나타낸 테이블로서, 시간대별 습도센싱값에 따른 UV-A LED(11)의 점등기준값을 10으로 설정하고, 습도센싱값의 초과값을 20으로 설정하게 되면, 시간대별 습도센싱값이 10 이상일 경우에는 자동점멸 제어모듈(32)에 의해 자동적으로 UV-A LED(11)가 점등되며, 특히, 습도센싱값이 20이상일 경우에는 개별점멸 제어모듈(31)에 의해 UV-A LED(11) 램프의 점등갯수를 습도센싱값 크기에 기초하여 제어되도록 한다.FIG. 4 is a table showing the number of cumulative counts of human body detection counts per hour in the kitchen and the average value for one month by detecting the humidity value. The lighting reference value of the UV-
아울러, 인체감지값을 습도감지값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한 개별점멸 제어모듈(31)에 의해 살균조명부(10)의 작동을 제어하면, UV-A LED(11)의 점등기준값은 습도센싱값에 기초하지 않고, 인체감지센싱값에 기초하게 되며, UV-A LED(11)가 점등된 시간대내에서만 습도센싱값의 초과값에 대한 UV-A LED(11) 램프의 점등갯수를 제어하도록 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ing
즉, 도 3의 설명에서와 같이 시간대별 습도값에 따른 UV-A LED(11)의 점등기준값이 10으로 설정되더라도, 오전 1시부터 오전 5시,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오후 3시부터 오후 5시까지 UV-A LED(11), UV-B LED(12)가 동시에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UV-A LED(11) 작동시간내에서 습도센싱값의 초과값이 20 이상으로 센싱되는 시간대가 오전 1시 습도센싱값 35, 오전 2시 습도센싱값 25 구간에서만 UV-A LED(11) 램프의 점등갯수를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습도값 20 미만까지는 UV-A LED(11) 램프 점등갯수가 UV-A LED(11) 램프 전체갯수의 60%로 되도록 하고, 습도값 20 이상에서는 수치 1 초과당 점등갯수를 1%씩 증가시킨다면, 오전 1시 UV-A LED(11) 램프 점등갯수는 UV-A LED(11) 램프 전체갯수의 75%가 점등되도록 하며, 오전 2시에는 전체갯수의 65%가 점등되도록 제어한다.That is, even if the lighting reference value of the UV-
아울러, 제어부(30)에서는 일정공간내에서 살균조명부(10) 점등에 따른 살균소독 완료시간 데이터와, 인체에 자외선이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해가 되는 유해시간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이러한 시간 데이터는 살균조명부(10)의 LED가 점등되는 갯수에 따라 변화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살균조명부(10)의 UV-A LED(11), UV-B LED(12)가 점등된 상태에서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의 살균소독 완료시간 데이터와 유해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LED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도록 한다.When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is detected in the state where the UV-
즉, 제어부(30)에서 살균소독 완료시간까지의 잔여시간과 유해시간을 비교하여 살균소독 완료 잔여시간이 상기 유해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살균조명부(10)의 점등을 유지시키고, 살균소독 완료 잔여시간이 상기 유해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상살균조명부(10)의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를 소등시켜, 인체에 유해를 가하지 않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remaining time from the
상기에서 LED의 소등은 인체의 유해정도에 따라 소등되는 갯수를 세부적으로 다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30)에서 상기와 같이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살균소독 완료시간까지 점등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경우 유해하다고 판단되면 유해한 초과시간에 따른 UV-A LED(11), UV-B LED(12) 램프의 소등갯수를 별도로 다시 제어하도록 한다. 예를 들자면, UV-A LED(11), UV-B LED(12)의 종류 및 램프의 갯수에 따른 유해등급 변수를 생성시키고, 유해초과 시간과 비교하여 각 램프의 소등순서 및 소등갯수를 시간별로 각각 다시 설정할 수도 있다.The number of lights that are extinguish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harmfulness of the human body can be set again in detail. That is, when the
이와 함께, 실내공간의 환경에 따라 환경 가중치를 더하여 램프 종류별로 소등갯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주방의 경우에는 건조환경의 비중이 더 크므로 UV-A LED(11)가 소등되는 비율을 감소시키도록 환경 가중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dd the environmental weigh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indoor space, and set the number of lights to be turned off for each lamp type. That is, in the case of the kitchen, the weight of the drying environment is larger, so that the environmental weight may be applied so as to reduce the rate at which the UV-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a space-open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자외선이 방출되는 LED와 조명용 LED(13)가 조합된 LED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살균조명부(10)를 살균소독이 필요한 개방된 실내공간내에 설치한다(S510).FIG.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sterilization of the open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sterilizing
아울러, 살균조명부(10)가 설치되는 실내공간내의 습도, 밝기 정보 또는 살균조명부(10)가 설치된 일정영역 내에서의 인체의 움직임 정보등을 센싱하기 위해 센싱부(20)를 설치하고, 센싱부(20)를 통해 설치공간내의 환경정보값을 센싱한다(S520).In addition, the
센싱부(20)에서 센싱된 값은 제어부(30)로 전송되며,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30)는 자동점멸 제어모듈(32), 개별점멸 제어모듈(31) 및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33)을 포함하여 살균조명부(10)의 각 LED 점등을 제어하도록 한다.The sensed value of the
상기에서 센싱부(2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은 먼저, 자동점멸 제어모듈(32)에 의해 1차적으로 살균조명부(10)의 UV-A LED(11), UV-B LED(12) 및 조명용 LED(13)가 기설정된 설정기준에 의해 각 시간대별로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시킨다(S530). 그리고 인체감지부(21), 빛감지부(22), 습도감지부(23)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개별점멸 제어모듈(31)에 의해 각 UV-A LED(11), UV-B LED(12) 및 조명용 LED(13) 램프의 점등 제어명령을 생성시킨다(S540).The sensing value transmitted from the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의 제어모듈에서의 점등제어보다 우선시되도록 사용자가 직접 제어명령을 설정하는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33)에 의해 3차적으로 점등제어하고(S550), 이렇게 3차에 걸쳐 설정된 점등제어명령에 따라 살균조명등의 각 LED를 점등시켜 개방된 실내공간내에서 살균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60).Finally, the lighting control is performed by the user's designated
이와 같이, 주변 환경에 따라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3단계에 걸쳐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개방된 공간내에서 사용자에게 자외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맞춰, 장시간 동안 살균소독 가능하도록 한다.
In this manner, the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in three steps so that more precise control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that the ultraviolet rays are not exposed to the user in the open space.
아래에서는 화장실, 주방, 현관, 침실 등과 같은 특정 공간별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이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the space open type disinfection / disinf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pecific spaces such as a toilet, a kitchen, a front door, a bedroom, et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화장실 내부공간에서 최적의 살균소독을 위한 살균조명부(10)의 조합은 조명용 LED(13), UV-A LED(11), UV-B LED(12)가 5:3:2의 비율로 설계제작됨이 바람직하다. The combination of the sterilizing
화장실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장실에 장시간 머무르는 공간이 아니므로, 살균조명부(10)가 자동점멸 제어모듈(32)에 의해 제어되기 보다는 상시 UV-A LED(11), UV-B LED(12)를 점등시켜 화장실 내부를 살균소독하고, 인체감지부(21)를 통해 화장실 내부로 사용자가 접금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빛감지부(22)에 의해 화장실 내부등이 점등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LED를 OFF시키고, 다시 일정시간 내에 센싱부(20)의 센싱값이 감지되지 않으면 바로 LED를 ON시키도록 하여, 항상 실내가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한다.The
그리고 주방 싱크대 공간이나 현관에서도 화장실과 같이 내부공간에서 최적의 살균소독을 위한 살균조명부(10)의 조합은 조명용 LED(13), UV-A LED(11), UV-B LED(12)가 5:3:2의 비율로 설계제작됨이 바람직하다. The combination of the sterilizing
특히 주방 싱크대 공간에서는 물 사용이 잦으며, 싱크대 주변에 음식찌꺼기 등이 주변 습기에 의해 세균번식을 활발하게 일으켜 습기를 신속하게 제거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주방공간에서 신속하게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습도감지부(23)에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습도값에 따라 개별점멸 제어모듈(31)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specially, water is frequently used in the kitchen sink space, and there is a need to quickly remove the moisture by causing the bacterial propagation actively by the ambient moisture around the sink to actively propagate the bacteria. In order to quickly remove the moisture in the kitchen spac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rying by the individual
즉,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습도값의 변화에 따라 UV-A LED(11) 램프의 점등갯수를 조절하도록 하여 습도가 높을때에는 램프를 더 많이 점등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건조시킨다. 그리고 야간이나 사용자가 주방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자동점멸 제어모듈(32)을 통해 상시 자외선 LED가 장시간 점등되도록 하여 주방 싱크대 상부에 놓여지는 그릇이나, 칼 도마, 행주 등을 살균소독하도록 한다.That is, the number of lighting of the lamp of the UV-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방 싱크대에 놓여질 수 있는 모든 물품을 개방된 공간내에서 상시 살균소독할 수 있으며, 싱크대 볼과 배수공 주변까지 살균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살균을 위해 폐쇄된 공간 내부에 물품을 넣을 필요도 없으며, 원래 집기를 배치하던 상태 그대로 두어도 살균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terilize all the articles that can be placed in the kitchen sink in an open space at all times, and sterilize the sink bowl and the vicinity of the drain hole. Also, there is no need to place an article inside the closed space for sterilization as in the prior art.
그리고 현관의 경우에는 화장실과 같이 사용자가 장시간 머무르는 공간이 아니어서 상기의 화장실 공간에서의 살균방식과 같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entrance h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does not stay in the room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a toilet, so that it is controlled as the sterilization method in the toilet space.
그리고 침실에서 최적의 살균소독을 위한 살균조명부(10)의 조합은 UV-A LED(11), UV-B LED(12)가 5:5의 비율로 설계되고, 침실의 침대 근방 벽면에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The combination of the
침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취침을 위해 밤에 상시 머무르는 공간이며, 오전에는 야외활동을 위해 비워지게 된다. 이에, 침실에서는 1차적으로 취침시간대와 출퇴근 시간 등 시간대별로 자동점멸 제어모듈(32)을 통해 장시간 점등되도록 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침구 살균소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33)을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UV-A LED(11)는 100% 점등시키고, UV-B LED(12)는 50% 정도로 장시간 점등시키도록 하여, 침구 살균소독기의 고유기능을 발휘하도록 한다.Bedrooms are usually reserved for the user to sleep at night, and are vacated for outdoor activities in the morning. Accordingly, in the bedroom, the user is allowed to light up for a long time through the automatic
이러한 침실내의 침구류에는 집먼지진드기가 가장 큰 문제가 되며, 종래 UV-C LED를 장착한 침구 살균기로는 침구류에 장시간 빛을 제공하기 어려우며, 대개 침구 표면에 1~2초 가량 노출시키게 되어 집먼지진드기를 없앨 수 없게 된다. 장시간 조사하기 위해 침구의 전면적을 세분화하여 20초 이상씩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House dust mite is the biggest problem in the bedding in the bedroom,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long-time light to the bedding with the conventional bedding sterilizer equipped with the UV-C LED, and it is usually exposed for 1 to 2 seconds on the bedding surface, The tick can not be removed.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for more than 20 seconds by dividing the entire area of the bedding for a long time.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UV-C에 의해 집먼지진드기를 직접적으로 죽이는 것이 아니라, 집먼지진드기가 습한 환경에서 피부호흡하는 것을 착안하여 침구류에 UV-A LED(11)를 장시간 조사하여 침구류 표면의 미세한 수분을 제거하며, UV-A LED(11)의 장시간 조사에 의해 집먼지진드기의 먹이가 될 수 있는 세균을 직접 죽임으로써 더 이상 침구가 집먼지진드기의 서식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e-mite is not directly killed by the UV-C, but the house-mite is breathing in the humid environment and the UV-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hould include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살균조명부
11 : UV-A LED
12 : UV-B LED
13 : 조명용 LED
20 : 센싱부
21 : 인체감지부
22 : 빛감지부
23 : 빛감지부지
30 : 제어부
31 : 개별점멸 제어모듈
32 : 자동점멸 제어모듈
33 :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10: sterilization illumination part 11: UV-A LED
12: UV-B LED 13: LED for illumination
20: sensing part 21: human body sensing part
22: Light sensing part 23: Light sensing part
30: control unit 31: individual flash control module
32: Automatic flash control module 33: User-specific flash control module
Claims (5)
상기 살균조명부가 설치된 실내공간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 또는 실내공간내의 밝기를 측정하는 빛감지부 또는 실내공간내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LED의 점멸 및 점등유지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
A sterilizing illumination unit in which an LED assembly, in which a UV-A LED in an ultraviolet A wavelength range and a UV-B LED in an ultraviolet B wavelength range are installed in an open space, and each LED is individually lit;
A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provided with the sterilizing illumination unit for sensing the humidity in the interior space or a light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brightness in the interior space or a human body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in the interior space; ;
A control unit for setting a blinking time and a sustaining time of each LED based on a value sensed by the sensing unit; Steriliz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센싱값을 전송받아 상기 각 센싱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UV-A LED, UV-B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램프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개별점멸 제어모듈과,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시간을 파악하고, 시간대별로 각 센싱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시간대별로 누적하여 카운팅한 값에 기초하여, UV-A LED, UV-B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LED램프가 점등되는 유효시간을 제어하는 자동점멸 제어모듈과,
사용자가 지정하여 UV-A LED, UV-B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LED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사용자지정점멸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An individual flashing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at least one sensing value from the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UV-A LED and the UV-B LED to blink based on the sensed value of each sensing unit;
A UV-A LED, and a UV-B LED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counting th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 automatic blink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effective time at which one or more LED lamps are lit,
And a user-specified flash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flashing of at least one of the UV-A LED and the UV-B LED by the user's designation.
상기 자동점멸 제어모듈에서는 상기 인체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센싱값의 각 시간값을 시간대별로 카운팅하고, 상기 시간대별 센싱값이 기설정된 수치 범위로 산출되는 경우, 각 시간대별로 각 LED의 점멸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automatic flashing control module, each time value of the sensing value sensed by the human body sensing unit is counted in each time zone. When the sensed value is calculated in a predetermined numerical range, the flashing of each LED is controlled Wherein the sterilization system is a sterilization system.
상기 자동점멸 제어모듈에서는 일정 시간대별로 상기 습도감지부에서 습도센싱값을 전송받아, 각 시간대별로 상기 자동점멸 제어모듈로 전송되는 습도센싱값이 기설정된 수치 범위로 산출되는 경우, UV-A LED를 점등시키고,
상기 개별점멸 제어모듈에서는 습도센싱값이 기설정된 수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습도센싱값 크기에 기초하여 UV-A LED 램프의 점등갯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automatic flashing control module, when the humidity sensing value is received by the humidity sensing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humidity sensing value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flashing control module is calculated in a predetermined numerical range in each time period, the UV- And,
Wherein the individual blinking control module controls the number of lighting of the UV-A LED lamp based on the humidity sensing value when the humidity sensing value exceeds a preset numerical value range.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살균조명부 점등에 따른 살균소독 완료시간 데이터와, 인체에 자외선이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해가 되는 유해시간 데이터를 생성시켜,
상기 살균조명부의 UV-A LED, UV-B LED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공간내에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상기 살균소독 완료시간까지의 잔여시간과 유해시간을 비교하여 살균소독 완료 잔여시간이 상기 유해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살균조명부의 점등을 유지시키고, 살균소독 완료 잔여시간이 상기 유해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상살균조명부의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sinfection completion time data according to lighting of the sterilizing illumination unit and harmful time data in which the human body is continuously exposed to ultraviolet rays to generate harmful time data,
The UV-A LED and the UV-B LED of the sterilizing illumination unit are turned on,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is detected in the indoor space,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sterilization completion time is compared with the harmful time, Wherein the sterilizing illumination unit is turned on when the sterilizing illumination time is shorter than the harmful time, and the LED is turned off when at least one of the LEDs of the sterilization illumination unit is turned off when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remaining time is longer than the harmful time Disinfection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5445A KR20160070195A (en) | 2014-12-09 | 2014-12-09 |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in open sp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5445A KR20160070195A (en) | 2014-12-09 | 2014-12-09 |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in open spa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0195A true KR20160070195A (en) | 2016-06-20 |
Family
ID=5635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5445A Abandoned KR20160070195A (en) | 2014-12-09 | 2014-12-09 |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in open sp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70195A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21595A1 (en) * | 2016-07-28 | 2018-02-01 | (주)썬웨이브 | Led module for sterilization, mold inhibition, and deodorization, and room sterilizer comprising same |
KR102093720B1 (en) * | 2019-07-25 | 2020-05-29 | 김종진 | Light apparatus for led with sterilization |
KR20200100386A (en) * | 2019-02-18 | 2020-08-26 | 주식회사 씨티랩 | Antibacterial lighting aparatus with uv led clean system |
CN112972720A (en) * | 2021-02-08 | 2021-06-18 | 北京金和网络股份有限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ultraviolet disinfection based on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
WO2021186410A1 (en) * | 2020-03-19 | 2021-09-23 | A.Z.Solutions S.R.L. | Led device for safe sanitizing a room |
WO2021251570A1 (en) * | 2020-06-10 | 2021-12-16 | 킹스타라이팅 주식회사 | System for photodisinfection integrated disease control for securing covid 19-free zone |
KR20210153501A (en) * | 2020-06-10 | 2021-12-17 | 킹스타라이팅 주식회사 | An integrated quarantine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of Corona Virus Disease-19-freezone via photo-bactericidal treatment, and related systems using the same |
JP2022029846A (en) * | 2020-08-05 | 2022-02-18 | 株式会社遠藤照明 | Illumination device equipped with near-ultraviolet irradiating function |
CN114306664A (en) * | 2020-07-13 | 2022-04-12 | 优志旺电机株式会社 | Inactivation device |
KR20220048763A (en) * | 2020-10-13 | 2022-04-20 | 유혁 | Door UV sterilization device |
KR20220063930A (en) * | 2020-11-11 | 2022-05-18 | (주)내일엔 | An ultraviolet sterilizer for kitchen |
WO2022193437A1 (en) * | 2021-03-18 | 2022-09-22 | 上海三思电子工程有限公司 | Disinfection illumination lamp and system |
KR20220164993A (en) | 2021-06-07 | 2022-12-14 | 손승희 | Smart sterilization system for indoor space |
KR20230016954A (en) * | 2021-07-27 | 2023-02-03 | 이미섭 | Sterilizer device for bathroom |
KR20240059993A (en) * | 2022-10-28 | 2024-05-08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Big data-based intelligent sterilizer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7196B1 (en) | 2000-12-15 | 2002-10-1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forming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
-
2014
- 2014-12-09 KR KR1020140175445A patent/KR20160070195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7196B1 (en) | 2000-12-15 | 2002-10-1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forming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21595A1 (en) * | 2016-07-28 | 2018-02-01 | (주)썬웨이브 | Led module for sterilization, mold inhibition, and deodorization, and room sterilizer comprising same |
KR20200100386A (en) * | 2019-02-18 | 2020-08-26 | 주식회사 씨티랩 | Antibacterial lighting aparatus with uv led clean system |
KR102093720B1 (en) * | 2019-07-25 | 2020-05-29 | 김종진 | Light apparatus for led with sterilization |
WO2021186410A1 (en) * | 2020-03-19 | 2021-09-23 | A.Z.Solutions S.R.L. | Led device for safe sanitizing a room |
KR20210153501A (en) * | 2020-06-10 | 2021-12-17 | 킹스타라이팅 주식회사 | An integrated quarantine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of Corona Virus Disease-19-freezone via photo-bactericidal treatment, and related systems using the same |
WO2021251570A1 (en) * | 2020-06-10 | 2021-12-16 | 킹스타라이팅 주식회사 | System for photodisinfection integrated disease control for securing covid 19-free zone |
CN114306664A (en) * | 2020-07-13 | 2022-04-12 | 优志旺电机株式会社 | Inactivation device |
CN114306664B (en) * | 2020-07-13 | 2024-04-16 | 优志旺电机株式会社 | Inactivation device |
JP2022029846A (en) * | 2020-08-05 | 2022-02-18 | 株式会社遠藤照明 | Illumination device equipped with near-ultraviolet irradiating function |
KR20220048763A (en) * | 2020-10-13 | 2022-04-20 | 유혁 | Door UV sterilization device |
KR20220063930A (en) * | 2020-11-11 | 2022-05-18 | (주)내일엔 | An ultraviolet sterilizer for kitchen |
CN112972720A (en) * | 2021-02-08 | 2021-06-18 | 北京金和网络股份有限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ultraviolet disinfection based on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
WO2022193437A1 (en) * | 2021-03-18 | 2022-09-22 | 上海三思电子工程有限公司 | Disinfection illumination lamp and system |
KR20220164993A (en) | 2021-06-07 | 2022-12-14 | 손승희 | Smart sterilization system for indoor space |
KR20230016954A (en) * | 2021-07-27 | 2023-02-03 | 이미섭 | Sterilizer device for bathroom |
KR20240059993A (en) * | 2022-10-28 | 2024-05-08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Big data-based intelligent sterilizer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70195A (en) |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in open space | |
US10463759B2 (en) | Disinfecting vanity mirrors | |
JP5435619B2 (en) | Surface sterilizer | |
US9999699B2 (en) | Chip sanitizing device | |
US10307504B2 (en) | Disinfecting apparatus device | |
EP3354169B1 (en) | Hazard-free disinfecting vanity mirrors | |
JP2017029293A (en) | A device that turns on UV germicidal lamps when human sensors are not detected or when lights are turned off. | |
KR20170120260A (en) | A Sterilization and lighting device | |
US20060120915A1 (en) | Ster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surfaces | |
KR20090003063A (en) | Structure of Sterilizing Toilet Seat with UV Lamp | |
KR20100005393U (en) | Sterilizer using light emitting diode lamp | |
CN113876972A (en) | Deep ultraviolet LED killing device and method for killing new coronavirus | |
CN207267945U (en) | A kind of Intellective airer | |
JP2021185991A (en) | Lighting fixture | |
KR20110077421A (en) |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Associated with Sensor | |
KR102525976B1 (en) | Clothes hang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 |
KR20090011235U (en) | Multi-purpose UV Sterilizer | |
KR100682476B1 (en) | Sensor light with UV sterilization lamp | |
KR20230026426A (en) | Lighting device with function of inactivating germs or viruses | |
KR200406131Y1 (en) | Sterilizing Shower Using Ultraviolet + Infrared | |
KR20210149354A (en) | Space sterilization system | |
KR20150011984A (en) | Piano Key cover shaped sterilizer | |
KR200394702Y1 (en) | Sensor light | |
CN111464910A (en) | Disinfection earphone box | |
CN205386116U (en) | Toilet bowl apron with UVLED efficiency of disinfec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3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