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858A -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9858A KR20160069858A KR1020140175989A KR20140175989A KR20160069858A KR 20160069858 A KR20160069858 A KR 20160069858A KR 1020140175989 A KR1020140175989 A KR 1020140175989A KR 20140175989 A KR20140175989 A KR 20140175989A KR 20160069858 A KR20160069858 A KR 201600698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member
- vibration
- present
- electronic device
- sh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 H02N2/046—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for conversion into rotary motion
Landscapes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진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진동요소를 부과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진동부재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 진동요소를 부과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제2 탄성부재에 고정되는 중량체;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bration generator including: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first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inner space and the other end oscillatable to impose a first vibration element;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vibration member to impose a second vibration element; A weight fixed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진동발생장치는 휴대전화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mount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and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한편, 휴대용 전자기기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추세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다양한 전자부품들이 실장된다.On the other h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that various functions are add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진동 발생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mount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그러나, 진동발생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경우 공진 주파수에 변화가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진동발생장치에서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size of the vibration generator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is changed.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a desired resonance frequency can not be obtained in the vibration generator.
따라서, 진동 발생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되 공진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는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study a vibration generator capable of reducing the size of the vibration generator but maintaining the resonance frequenc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소형화의 추세에 부응하면서도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얻을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bration generator capable of obtaining a desired resonance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진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진동요소를 부과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진동부재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 진동요소를 부과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제2 탄성부재에 고정되는 중량체;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bration generator including: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first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inner space and the other end oscillatable to impose a first vibration element;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vibration member to impose a second vibration element; A weight fixed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본 실시예는 외팔보 형상의 제1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제1 탄성부재의 단부에 추가로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제1 진동요소와 제2 진동요소의 진동력이 합체짐에 따라 진동발생장치의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목적하는 진동수를 얻을 수 있는 설계가 가능하다.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irst elastic member in the form of a cantilever and further includes the second elastic member at th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so that the oscillating force of the first oscillating element and the second oscillating element, A design capable of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in spite of miniaturization of the generator is possible.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소형화의 추세에 부응하여 소형이면서도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얻을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ibration generator capable of obtaining a desired resonance frequency in a small size in response to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동발생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generator shown in FIG. 1,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vibration generator shown in Fig. 1,
FIG. 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shown in FIG. 1,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designat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a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동발생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Sectional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제1 탄성부재(120), 제2 탄성부재(130), 압전소자(140), 중량체(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탄성부재(120)가 외팔보 형상으로 매달리도록 하우징(110)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한편, 중량체(150)와 상부 케이스(111) 사이에는 상호 접촉되는 경우의 충격 흡수를 위해 상부댐퍼(미도기)가, 하부 케이스(113)와 제1 탄성부재(120) 사이에도 상호 접촉되는 경우의 충격 흡수를 위해 하부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An upper damper (not shown) is also in contact with the
하우징(110)은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1)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13)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1)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111)는 측면판 및 상면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이하 설명할 제1 탄성부재(120), 제2 탄성부재(130), 압전소자(140), 중량체(150)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부 케이스(111)는 일단은 폭이 일정한 박스 형상이고, 타단은 폭이 일단보다 크고 상부에서 볼 때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인 박스 형상일 수 있다.The
그리고, 측면판에는 하부 케이스(113)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rooves (not shown) for coupling with the
또한, 상면판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밴트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 vent hole (not shown) for air flow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late.
한편,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길이방향은 도 1에서 X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은 도 1에서 Y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높이 방향은 도 1에서 Z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정의한 용어는 이하에서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즉, 각 구성들에 대하여 상기한 용어는 동일한 방향을 나타낸다.If the term for direction is defined he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the X direction in FIG. 1, and the width direction means the Y direction in FIG. The height direction means the Z direction in Fig. The terms defined above are to be used in the same manner in the following. That is, for each configuration, the terms refer to the same direction.
하부 케이스(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13)의 일단부 측에는 제1 탄성부재(120)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160)는 하부 케이스(113)의 일단부의 높이 방향 상면에 블록 형상의 부재가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113)를 덴팅(denting)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60)는 사각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예일 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그리고, 하부 케이스(113)의 양단부에는 상부 케이스(111)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용접 등에 의해 상부 케이스(111)와 결합되는 결합벽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한편, 하부 케이스(113)의 측면에는 상부 케이스(111)의 홈(미도시)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not shown) of the
제1 탄성부재(120)는 탄성변형 가능하고,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도록 일단이 하우징(1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부재(120)는 일단은 고정단이고 타단은 자유단인 외팔보(Cantilever)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1 탄성부재(120)는 탄성력이 있는 판 부재일 수 있다.The first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110)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13)에 구비되는 지지지부재(160)에 일단이 결합되어, 제1 탄성부재(120)는 하부 케이스(113)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매달린 형상이 되므로, 타단부는 자유롭게 진동하면서 제1 진동요소(a)를 형성한다.One end of the first
제1 탄성부재(120)의 타단은 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140)의 진동력 부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부재(120)에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제1 탄성부재(120)에 휨력을 제공할 수 있는 압전소자(140)가 구비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first
제1 탄성부재(120)는 지지부재(160)에 고정되는 일단과, 길이방향으로 일단의 반대방향에 구비되는 타단을 구비한다. 제1 탄성부재(120)의 일단은 폭이 일정한 막대 형상이고, 타단은 이하 상술할 제2 탄성부재(130)의 형상에 대응하고 폭이 일단보다 크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The first
한편, 압전소자(140)는 제1 탄성부재(120)에서 폭이 일정한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서는 압전소자(140)가 제1 탄성부재(120)에서 높이 방향 상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높이방향 하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140)는 제1 탄성부재(12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에 의해 본딩 결합되거나, 제1 탄성부재(120)에 구비되는 돌기나 홈 등에 의해 측면이 고정되거나, 돌기의 절곡에 의해 상면이 눌리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제2 탄성부재(130)는 제1 탄성부재(120)의 타단에 구비되고, 제2 탄성부재(130)의 진동에 따라 추가의 진동인 제2 진동요소(b)를 형성한다. 즉, 제2 탄성부재(130)는 진동력의 극대화를 위해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탄성부재(120)의 타단부 끝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탄성부재(120)의 타단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그리고 도면에서는 제2 탄성부재(120)가 제1 탄성부재의 높이 방향 상면에 구비된 것만 도시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탄성부재(120)는 제2 탄성부재의 높이 방향 하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second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제1 탄성부재(120)와 제2 탄성부재(130)의 진동의 결합에 의해 최종 진동을 형성하게 된다. The
즉, 제1 탄성부재(120)의 진동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진동요소(a)와 제2 탄성부재(130)의 진동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진동요소(b)의 결합에 의해 최종 진동이 형성된다(도 4 참조). That is,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vibration element (a) formed by the vibration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20) and the second vibration element (b) formed by the vibr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30) (See FIG. 4).
그리고, 제1 탄성부재(120)는 외팔보 형상으로 타단부의 끝단의 높이방향 변위가 가장 크게 형성되므로, 제1 탄성부재(120)의 진동이 미소하더라고 타단부의 끝에 구비되는 제2 탄성부재(130)의 진동은 매우 크게 증폭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아울러, 제2 탄성부재(130)에는 진동의 증폭을 위해 소정 중량을 같는 중량체(150)가 장착되므로, 중량체(150)의 중량에 따라 다양한 진동수 내지는 공진주파수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여기서, 제2 탄성부재(130)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은 원 또는 다각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의 높이 방향으로 일측은 제1 탄성부재(12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중량체(150)가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이에 의해, 제1 탄성부재(120)가 진동하면 타단에 구비된 중량체(150)가 관성력에 의해 제2 탄성부재(130)에 힘을 가하게 되고, 제2 탄성부재(130)는 탄성복원력으로 중량체(150)에 반력을 가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진동력이 증폭될 수 있다(도 4 참조).
When the first
중량체(150)는 진동을 증폭하거나 원하는 진동수를 얻기 위해 제2 탄성부재(130)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중량체(150)는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 용접결합 등 추가 결합에 의해 제2 탄성부재(13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150)는 제2 탄성부재(130)의 타단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다각 형상의 제2 탄성부재(130)를 갖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재(120)의 타단도 원형이 아닌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며, 중량체(150)도 다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발생장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have a second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제1 탄성부재(120)와 제2 탄성부재(13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탄성부재(120)의 타단이 그 자체로 제2 탄성부재(130)가 되며, 중량체(150)는 제2 탄성부재(130)에 결합된다.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발생장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7 to 9, th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일 실시형태(10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1400)로 구성될 수 있다. 8, an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의 접촉 압력을 제공하는 터치 패널(1200)과 터치 패널(1200)의 하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3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300)의 하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 장치(100)는 케이스(1400)의 내면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직접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9,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 플레이트의 변위가 가장 높은 지점에 추가의 탄성부재와 중량체를 부가하여 구동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진동 플레이트의 진동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경박 단소화된 진동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ibration force of the vibration plate by adding the additional elastic member and the weight to the point where the vibration plate has the highest displacement to increase the driving force,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can be provid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진동발생장치
110 : 하우징
111 : 상부 케이스
113 : 하부 케이스
120 : 제1 탄성부재
130 : 제2 탄성부재
140 : 압전소자
150 : 중량체
1000 : 전자장치
1200 : 터치 패널
1300 : 디스플레이 패널100: Vibration generator
110: Housing
111: upper case
113: Lower case
120: first elastic member
130: second elastic member
140: piezoelectric element
150: Weight
1000: electronic device
1200: Touch panel
1300: Display panel
Claims (13)
상기 내부공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진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진동요소를 부과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진동부재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 진동요소를 부과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제2 탄성부재에 고정되는 중량체;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first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inner space and the other end oscillatable to impose a first vibration element;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vibration member to impose a second vibration element;
A weight fixed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And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상기 제1 탄성부재는 탄성력이 있는 판 부재인 진동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is a plate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일단은 폭이 일정한 막대 형상이고, 타단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형상에 대응하고 폭이 일단보다 크도록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has a rod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at one end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a shap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at the other end and a width greater than one end.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제1 탄성부재에서 폭이 일정한 일단에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having a constant width.
상기 제2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인 진동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a leaf spring or a coil spring.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원 또는 다각 형상의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인 진동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a leaf spring or a coil spring of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일체로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re integrally provided.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타단을 컷팅하여 판 스프링을 형성한 것인 진동발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cuts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to form a leaf spring.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단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사이에는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일단이 지지된 상태로 매달리도록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upport member is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such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is suspend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항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 case having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isplay modul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mounted inside the case.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면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의 접촉을 입력받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터치 패널의 접촉에 따라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touch panel that receives a touch of a user; And
And a display panel that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and provides a corresponding image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touch pa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5989A KR20160069858A (en) | 2014-12-09 | 2014-12-09 |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5989A KR20160069858A (en) | 2014-12-09 | 2014-12-09 |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9858A true KR20160069858A (en) | 2016-06-17 |
Family
ID=5634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5989A Ceased KR20160069858A (en) | 2014-12-09 | 2014-12-09 |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69858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53050A (en) * | 2022-01-25 | 2022-05-27 | 青岛歌尔智能传感器有限公司 | Piezoelectric motor and electronic equipment |
KR20230163332A (en) * | 2017-11-13 | 2023-11-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
-
2014
- 2014-12-09 KR KR1020140175989A patent/KR2016006985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3332A (en) * | 2017-11-13 | 2023-11-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
CN114553050A (en) * | 2022-01-25 | 2022-05-27 | 青岛歌尔智能传感器有限公司 | Piezoelectric motor and electronic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2055B1 (en) | vibratior | |
KR101932659B1 (en) | vibratior | |
US9859780B2 (en) | Vibration motor | |
KR101685962B1 (en) | Vibrator | |
KR101412919B1 (en) | vibratior | |
US9743166B2 (en) | Device generating sound | |
JP7261875B2 (en) | Modal frequency shift of speaker device | |
KR102138335B1 (en) | Viarator | |
US20170033662A1 (en) | Vibration Motor | |
KR20130125171A (en) | Piezo vibration module | |
US9815086B2 (en) |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60069858A (en) |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1607949B1 (en) | Vibrator | |
US20150214466A1 (en) |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515136B1 (en) | Piezo Actuator | |
KR101316782B1 (en) | Vibrator mounted piezoelectric element | |
KR20140073182A (en) | Piezoelectric vibration module | |
KR101343214B1 (en) | Piezo vibration module | |
KR101653641B1 (en) | Vibrator | |
KR102003372B1 (en) | vibrator | |
KR20180017542A (en) | Piezo Actuator | |
KR20160072684A (en) |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50053644A (en) | vibrator | |
KR20160033430A (en) | Vibrator | |
KR20150059018A (en) | vib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9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2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