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68068A -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 및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 및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068A
KR20160068068A KR1020140172967A KR20140172967A KR20160068068A KR 20160068068 A KR20160068068 A KR 20160068068A KR 1020140172967 A KR1020140172967 A KR 1020140172967A KR 20140172967 A KR20140172967 A KR 20140172967A KR 20160068068 A KR20160068068 A KR 20160068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nfc
authentication module
authent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효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8068A/ko
Priority to US14/957,184 priority patent/US20160165444A1/en
Publication of KR2016006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06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6One coil at each side, e.g. with primary and secondary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7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부착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와의 무선 통신을 통한 인증 동작을 위한 무선 인증 모듈이 형성된 악세서리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 동작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NFC 코일과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의 인증 코일 사이의 유도 결합을 통하여 수행되고, 상기 악세서리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인증 코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NFC 코일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배치된 무선 통신 장치.

Description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 및 무선 통신 장치{TERMINAL DEVICE COVER AND RADIO FREQUENCY COMMUICATION DEVICE INCLUDING RADIO FREQUENCY AUTHENTICATION MODUL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NFC 기능을 통해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RFID 시스템은 전파를 이용한 자동 인식 분야에 속하며, 초단파나 장파 등의 전파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정보를 무선으로 인식하는 무선주파수 식별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RFID 시스템의 동작 원리에 따르면, 리더기는 태그(tag)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분석하여 태그가 장착된 물품의 고유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RFID 시스템은 RF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눈, 비, 바람, 먼지 및 자속 등과 같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인식 속도가 빨라 이동 중에도 인식이 가능하며, 일정 정도의 원거리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며 제조과정에서 고유의 ID를 부여하여 위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리더기, 안테나, 태그로 구성되어 있고, 안테나는 태그와 리더기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담당한다. 리더기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태그로 전력과 신호를 전송하여 태그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태그로부터의 응답을 받는다.
한편, RFID의 한 분야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근거리에서 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 ISO 18092에 표준으로 규정되어 있다. NFC는 13.56㎒의 주파수 이외에도 125㎑, 135㎑ 및 900㎒를 비롯하여 다양한 주파수 신호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는 정보 기기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여 휴대용 단말기들 간은 물론 노트북 컴퓨터와 휴대용 단말기들 간에 주소록이나 게임, MP3 파일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 기술은 안정성이 높아 교통카드 등의 모바일 지불 결제에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소정의 정보를 저장한 태그에 접근하면 각종 정보를 얻는 정보단말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NFC용 칩이 내장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보급 초기로서 향후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폭넓게 채택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NFC 칩을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들은 통상적으로 NFC 안테나를 구비하고, NFC 안테나를 통해 외부 리더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탈부착될 수 있는 악세서리들의 인증 동작을 무선 통신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인증 동작을 위해 추가된 코일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NFC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부착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와의 무선 통신을 통한 인증 동작을 위한 무선 인증 모듈이 형성된 악세서리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 동작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NFC 코일과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의 인증 코일 사이의 유도 결합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악세서리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인증 코일이 형성하는 제 1 코일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NFC 코일이 형성하는 제 2 코일 면의 외부에 위치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은 상기 단말기 본체와의 인증 동작시 활성화되고 상기 인증 동작 후 비활성화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상기 인증 동작은 설정된 주기마다 수행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은 인증 코일, 커패시터, 저항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커패시터 및 저항의 크기는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조절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인증 코일, 상기 커패시터 및 상기 저항이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병렬 공진회로를 구성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NFC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 값이 증가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NFC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퀄리티 팩터 값이 감소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인증 동작 후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커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인증 동작을 위한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은, 코일, 커패시터, 저항으로 구성된 병렬 공진회로와;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변경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커버는 상기 커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코일이 형성하는 제 1 코일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NFC 코일이 형성하는 제 2 코일 면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배치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커버의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인증 동작시 활성화되고 상기 인증 동작 후 비활성화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커버는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NFC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커버는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NFC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커버는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퀄리티 팩터 값이 감소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악세서리들의 인증 동작을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어 무선 통신 장치에 별도의 접촉 단자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증 동작을 위한 인증 코일의 추가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NFC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이 장착된 커버와 단말기 본체가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휴대용 단말기의 NFC 모드가 카드 모드인 경우 인증 코일과 NFC 코일의 위치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코일과 NFC 코일의 가능한 위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인증 동작과 비인증 동작시 인증 코일의 주파수 특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앞의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 예시적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청구된 발명의 부가적인 설명이 제공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참조 부호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상세히 표시되어 있으며, 그것의 예들이 참조 도면들에 표시되어 있다. 가능한 어떤 경우에도,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을 참조하기 위해서 설명 및 도면들에 사용된다.
아래에서, 무선 통신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이 본 발명의 특징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한 예로서 사용된다. 하지만, 이 기술 분야에 정통한 사람은 여기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이점들 및 성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을 통해 또한, 구현되거나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 기술적 사상 그리고 다른 목적으로부터 상당히 벗어나지 않고 관점 및 용도에 따라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여기서 다양한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들 요소는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 용어들은 단지 다른 것들로부터 하나의 구성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또는 "구성되는"과 같은 용어는 설명된 특징, 단계, 동작, 성분,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명시하나, 추가적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 단계, 동작, 성분, 구성요소 및/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의 "위(상)/아래(하)(on/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상)/아래(하)는 직접적으로(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한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에 "연결되는", "결합하는", 또는 "인접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때에는, 다른 요소 또는 층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 되거나, 또는 인접하는 것일 수 있고, 혹은 그 사이에 끼워지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 있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는 단말기 본체(BD)와 단말기 본체(BD)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CV)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BD)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위한 NFC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CV)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CV)가 단말기 본체(BD)에 장착되는 경우, 단말기 본체(BD)는 NFC 코일을 통해 커버(VD)의 무선 인증 모듈(100)과의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 타블렛 PC 등은 제조사에서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정품 악세서리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정품 악세서리들은 단말기 본체(BD)에 장착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품 악세서리들이 단말기 본체(BD)에 장착되는 경우 단말기 본체(BD)는 장착된 악세서리가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악세서리와 단말기 본체(BD) 사이에서 인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100)은 상술한 악세서리들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100)이 설치된 악세서리는 단말기 본체(BD)에 장착되어 단말기 본체(BD)와의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100)이 악세서리 예컨대, 커버(CV)에 장착되는 경우 그 위치는 단말기 본체(BD)에 위치한 NFC 코일(NFC coil)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위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커버(CV)가 단말기 본체(BD)에 장착되는 경우, 무선 인증 모듈(100)에 포함된 코일이 단말기 본체(BD)의 NFC 코일(NFC coil)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가장 이상적이다. 이 경우, 무선 인증 모듈(100)에 포함된 코일에 가장 큰 기전력이 유도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BD)와의 통신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인증 동작의 관점에서만 보면, 무선 인증 모듈(100)의 인증 코일이 단말기 본체(BD)의 NFC 코일(NFC coil)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단말기 본체(BD)의 NFC 코일(NFC coil)은 외부 장치의 코일과 리더 모드 또는 카드 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무선 인증 모듈(100)의 위치에 따라 단말기 본체(BD)와 외부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이 장착된 커버와 단말기 본체가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단말기 본체(BD)와 단말기 본체(BD)의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CV)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무선 인증 모듈의 인증 코일(AT coil)과 단말기 본체(BD)의 NFC 코일(NFC coil)의 상호 유도작용에 의해 무선 인증 모듈의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100)은 커버(CV)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CV)가 단말기 본체(BD)에 결합되는 경우, 단말기 본체(BD)의 NFC 모듈은 리더 모드로 설정되어 NFC 코일(NFC coil)을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단말기 본체(BD)는 NFC 코일(NFC coil)이 생성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무선 인증 모듈(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을 통해 단말기 본체(BD)는 장착된 커버(CV)가 인증된 커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 동작은 커버(CV)가 단말기 본체(BD)에 장착될 때 한 번만 수행될 수도 있고 설정된 주기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증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무선 인증 모듈(100)은 비활성화되고, 단말기 본체(BD)의 NFC 코일(NFC coil)과 외부 장치의 대상 코일(OB coil)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상 코일(OB coil)은 휴대용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장치에 존재하는 코일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NFC 모드가 카드 모드인지 리더 모드인지에 따라 그 대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NFC 모드가 카드 모드일 경우, 외부 장치는 대중 교통 수단 등에 장착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운임을 결제하도록 설치된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NFC 모드가 리더 모드인 경우, 외부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카드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의 NFC 모드가 카드 모드 또는 리더 모드로 동작할 때, 외부 장치의 대상 코일(OB coil)은 일반적으로 NFC 코일(NFC coil)의 Z축 상에 위치하게 된다. 대상 코일(OB coil)과 NFC 코일(NFC coil)이 통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와 외부 장치는 상술한 모드에 따라 서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BD)와 무선 인증 모듈(100)이 장착된 커버(CV)의 인증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인증 코일(AT coil)은 NFC 코일(NFC coil)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즉, 이 경우 인증 코일(AT coil)은 NFC 코일(NFC coil)로부터 가장 많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따라서 인증 동작을 위한 통신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CV)의 인증과 관련된 관점에서 보는 경우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의 위치가 상술한 것과 같은 경우에 이상적이나, 이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외부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인증 모듈(100)의 경우 인증 동작의 수행 후 비활성활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인증 코일(AT coil)에 유도 기전력에 따라 전류가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휴대용 단말기(200)의 NFC 모드가 리더 모드일 경우, 외부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시 설정된 매칭(matching)이 어긋날 수 있다. 이는 리더로 동작하는 NFC 코일(NFC coil)의 출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외부 장치와의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휴대용 단말기(200)가 리더 모드에서의 매칭을 조절하여 외부 장치와의 매칭을 최적화하는 경우 해결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의 NFC 모드가 카드 모드일 경우,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외부 장치의 대상 코일(OB coil)에 의해 유도되는 NFC 코일(NFC coil)의 전류와 인증 코일(AT coil)의 전류가 서로 비교가능할 정도의 크기가 되어, 휴대용 단말기(200)의 NFC 코일(NFC coil)의 공진 주파수가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진 주파수의 하강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200)의 카드 모드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범위가 감소하게 된다.
도 3은 휴대용 단말기의 NFC 모드가 카드 모드인 경우 인증 코일과 NFC 코일의 위치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인증 모듈(100)의 인증 코일(AT coil)과 단말기 본체(BD)의 NFC 코일(NFC coil)과의 위치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의 상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a는 인증 코일(AT coil)이 NFC 코일(NFC coil)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생성되는 자기장을 보여준다. 외부 장치의 대상 코일(OB coil)에 의해 NFC 코일(NFC coil)의 내부에는 위쪽 방향을 향하는 자기장이 생성된다. 외부 장치의 대상 코일(OB coil)에 의해 인증 코일(AT coil)의 외부에는 아래쪽 방향을 향하는 자기장이 생성된다. 즉, NFC 코일(NFC coil)의 내부에 생성되는 자기장과 인증 코일(AT coil)의 외부에 생성되는 자기장은 그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NFC 코일(NFC coil) 내부의 자기장의 상당량은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쇄되게 된다. 이와 같이 NFC 코일(NFC coil) 내부의 자기장이 상쇄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외부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를 카드로서 잘 인식하지 못한다.
도 3(b)는 인증 코일(AT coil)이 NFC 코일(NFC coil)의 외부 방향으로 일부분이 겹치는 경우에 생성되는 자기장을 보여준다. 외부 장치의 대상 코일(OB coil)에 의해 NFC 코일(NFC coil)의 내부에는 위쪽 방향을 향하는 자기장이 생성된다. 외부 장치의 대상 코일(OB coil)에 의해 인증 코일(AT coil)의 외부에는 아래쪽 방향을 향하는 자기장이 생성된다. 도 3(b)의 경우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이 일부만 겹치게 되어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NFC 코일(NFC coil)의 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한다. 즉, NFC 코일(NFC coil) 내부의 자기장의 일부만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쇄되게 된다. 이와 같이 NFC 코일(NFC coil) 내부의 자기장이 거의 상쇄되지 않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2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부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를 카드로서 잘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코일과 NFC 코일의 가능한 위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인증 코일(AT coil)은 상술한 커버(CV)의 무선 인증 모듈(100)에 있을 수 있고, NFC 코일(NFC coil)은 단말기 본체(BD)에 있을 수 있다. 커버(CV)가 단말기 본체(BD)에 장착되는 경우,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은 거의 동일 평면에 위치하게 되지만, 직접적으로 접촉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 사이의 거리는 인증 동작이 가능한 거리 즉,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이 서로 통신이 가능한 거리로 한정될 수 있다. 인증 동작의 경우, NFC 코일(NFC coil)을 통해 비교적 강한 자기장이 생성되므로, 인증 코일(AT coil)과의 거리에 어느 정도의 마진이 존재할 수 있다.
도 4(a)는 인증 코일(AT coil)이 NFC 코일(NFC coil)과 서로 겹치지 않는 경우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 사이의 거리(d)는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 사이의 인증 동작시, NFC 코일(NFC coil)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비교적 강하므로, 인증 코일(AT coil)이 NFC 코일(NFC coil)과 겹치도록 위치하지 않아도 서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b)는 인증 코일(AT coil)의 일면이 NFC 코일(NFC coil)의 일면과 서로 겹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4(b)의 경우 상술한 도 3(b)와 같이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NFC 코일(NFC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작다. 도 4(b)의 경우에도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 사이의 인증 동작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4(c)는 인증 코일(AT coil)의 일부가 NFC 코일(NFC coil)의 내부로 들어간 경우를 보여준다. 이 경우에는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NFC 코일(NFC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이 상술한 도 4(a) 및 4(b)에 비해서는 크다. 하지만, 도 4(c)의 경우에도 상술한 도 3(a)와는 다르게 인증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의한 영향이 휴대용 단말기가 카드 모드에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힘들게 할 정도로 크지 않다. 즉,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NFC 코일(NFC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일부를 상쇄하겠지만, 그 에 따른 영향이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 장치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방해할 정도로 크지 않다.
상술한 도 4(a) 내지 4(c)의 경우, 인증 동작의 관점에서 보면 도 4(c)의 경우가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 사이에 가장 강한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인증 동작이 제일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가 카드 모드에서 외부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관점에서 보면 도 4(a)의 경우가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NFC 코일(NFC coil)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이 위치하도록 커버(CV)의 무선 인증 모듈(10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100)은 인증 코일(AT coil), 커패시터(C), 저항(R) 및 제어회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증 모듈(100)은 커버(CV)에 설치되며, 커버(CV)가 단말기 본체(BD)에 결합되는 경우 단말기 본체(BD)의 NFC 코일(NFC coil)과의 통신을 통해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인증 동작이란, 상기 커버(CV)가 단말기 제조 업체가 제공한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인증 코일(AT coil)과 커패시터(C) 및 저항(R)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병렬 공진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커패시터(C)의 커패시턴스와 저항(R)의 레지스턴스는 제어회로(100)에 의해 그 크기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 사이에서 인증 동작에 따른 통신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제어회로(110)는 인증 코일(AT coil)의 공진 주파수가 NFC 코일(NFC coil)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커패시터(C)와 저항(R)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상술한 인증 동작이 종료된 경우,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한 영향은 가급적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회로(110)는 인증 코일(AT coil)의 공진 주파수가 NFC 코일(NFC coil)의 공진 주파수와 서로 다르도록 커패시터(C)와 저항(R)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회로(110) 상술한 병렬 공진회로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 Q)를 변경할 수 있다. 병렬 공진회로의 퀄리티 팩터(Q)는 커패시터(C)와 저항(R)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 사이에서 인증 동작에 따른 통신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제어회로(110)은 병렬 공진회로의 퀄리티 팩터(Q)가 높은 값을 가지도록 커패시터(C)와 저항(R)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에서 전달되는 전력이 증가하여 인증 동작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상술한 인증 동작이 종료된 경우,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한 영향은 가급적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회로(110)는 병렬 공진회로의 퀄리티 팩터(Q)가 낮은 값을 갖도록 커패시터(C)와 저항(R)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에서 전달되는 전력이 감소하여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한 영향이 감소할 수 있다.
도 6은 인증 동작과 비인증 동작시 인증 코일의 주파수 특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인증 동작시의 주파수 특성을, 도 6(b)는 비인증 동작시의 주파수 특성을 보여준다.
도 6(a)의 경우, 인증 코일(AT coil)의 공진 주파수(Fc)가 NFC 코일(NFC coil)의 공진 주파수(Fc)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비해 퀄리티 팩터(Q)가 높은 값을 가져 공진 주파수(Fc)에서 전달되는 전력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동작시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 사이의 통신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도 6(b)의 경우, 인증 코일(AT coil)의 공진 주파수(Fc')가 NFC 코일(NFC coil)의 공진 주파수(Fc)와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인증 코일(AT coil)과 NFC 코일(NFC coil) 사이의 매칭이 틀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비해 퀄리티 팩터(Q)가 낮은 값을 가져 공진 주파수(Fc')에서 전달되는 전력이 더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비인증 동작시 인증 코일(AT coil)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NFC 코일(NFC coil)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비인증 동작시 인증 코일(AT coil)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본 발명은 공진 주파수와 퀄리티 팩터(Q)를 조절하여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공진 주파수 및 퀄리티 팩터(Q)의 조절은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인증 모듈의 상태에 따라 공진 주파수와 퀄리티 팩터를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 인해 무선 인증 모듈의 동작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장치는 모바일 폰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모바일 폰에 제한되지 않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0)는 입출력 블록(1100), 응용 블록(1200), 메모리(1300), 디스플레이(1400),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블록(1500), NFC (Near Feild Communication) 송수신기(1700) 및 무선 인증 모듈(1900)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모바일 폰(1000)은 GSM 블록(1500)을 통한 통신을 위한 안테나(1600), NFC 송수신기(170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1800) 및 무선 인증 모듈(1900)의 무선 인증 동작을 위한 안테나(19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휴대용 단말기(1000)의 구성 요소들/블록들은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1000)는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구성 요소들/블록들을 포함할 것이다. 게다가, GSM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휴대용 단말기(1000)는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른 기술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7의 블록들은 집적 회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또는, 블록들 중 몇몇은 집적 회로 형태로 구현되는 반면에 다른 블록들은 별개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GSM 블록(1500)은 안테나(1600)에 연결되며, 알려진 방식으로 무선 전화기 동작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것이다. GSM 블록(1500)은 내부적으로 수신기 및 송신기(미도시됨)를 포함하여 대응하는 수신 및 송신 동작들을 수행할 것이다.
NFC 송수신기(1700)는 무선 통신을 위해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을 이용하며, 송신기(1720) 및 수신기(1740)를 포함할 것이다. NFC 송수신기(1700)의 송신기(1720)는 NFC 신호들을 안테나(1800)에 제공하고, 안테나(1800)는 유도 결합을 통해 NFC 신호들을 전송할 것이다. 안테나(1800)는 NFC 신호들(다른 NFC 장치(미도시됨)로부터 제공됨)을 수신하고, 수신된 NFC 신호들을 수신기(1740)에 제공할 것이다.
NFC 송수신기(1700)는 NFC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1 (NFCIP-1)과 NFC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2 (NFCIP-2)에 설명되고 ECMA-340, ISO/IEC 18092, ETSI TS 102 190, ISO 21481, ECMA 352, ETSI TS 102 312 등에 표준화된 규정들과 일치하게 동작할 것이다.
응용 블록(1200)은 하드웨어 회로들(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며, 휴대용 단말기(1000)에 의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사용자 응용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것이다. 사용자 응용들은 음성 호출 동작들, 데이터 전송, 등을 포함할 것이다. 응용 블록(1200)은 GSM 블록(1700)과 함께 동작하여 그러한 특징들을 제공할 것이다.
디스플레이(1400)는 응용 블록(1200)으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신호들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할 것이다. 영상은 휴대용 단말기(1000)에 제공되는 카메라(미도시됨)에 의해서 생성될 것이다. 디스플레이(1400)는 픽셀 값들의 임시 저장을 위해서 내부적으로 메모리(예를 들면,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며, 관련된 제어 회로들과 함께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될 것이다. 입출력 블록(1100)은 사용자에게 입력 기능을 제공하며, 응용 블록(1200)을 통해 수신될 출력들을 제공한다.
메모리(1300)는 응용 블록에 의해서 사용될 프로그램 (명령들) 그리고/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RAM, RO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것이다. 따라서, 메모리(1300)는 휘발성 뿐만 아니라 비휘발성 저장 소자들을 포함할 것이다.
안테나(1800)는 유도 결합에 의해서 외부 안테나들과 통신하며, NFC 신호들의 전송 및 수신을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여기에서 안테나(1800)은 코일형태일 수 있다.
무선 인증 모듈(1900)은 안테나(1910)을 통해 NFC 송수신기(1700)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안테나(1910)은 코일형태일 수 있다. 즉, 안테나(1800)은 상술한 NFC 코일(NFC coil)일 수 있고, 안테나(1910)은 인증 코일(AT coil)일 수 있다. 무선 인증 모듈(1900)은 휴대용 단말기(1000)에 장착될 수 있는 악세서리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악세서리가 휴대용 단말기(1000)에 장착되는 경우 안테나(1910)를 통해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1910)와 안테나(1800)의 위치는 도 4(a) 내지 4(c)에서 도시한 배치들 중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배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테나(1910)의 전부가 안테나(18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양한 배치들이 가능할 수 있다.
100, 1900: 무선 인증 모듈 110: 제어회로
200, 1000: 휴대용 단말기 1100:입출력 블록
1200: 응용 블록 1300: 메모리
1400; 디스플레이 1500: GSM 블록
1600, 1800, 1910: 안테나 1700: NFC 송수신기
1720: NFC 송신기 1740: NFC 수신기

Claims (10)

  1.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부착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와의 무선 통신을 통한 인증 동작을 위한 무선 인증 모듈이 형성된 악세서리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 동작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NFC 코일과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의 인증 코일 사이의 유도 결합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악세서리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인증 코일이 형성하는 제 1 코일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NFC 코일이 형성하는 제 2 코일 면의 외부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은 상기 단말기 본체와의 인증 동작시 활성화되고 상기 인증 동작 후 비활성화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은 인증 코일, 커패시터, 저항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커패시터 및 저항의 크기는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조절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코일, 상기 커패시터 및 상기 저항이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병렬 공진회로를 구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NFC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 값이 증가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NFC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퀄리티 팩터 값이 감소하도록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인증 동작 후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커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인증 동작을 위한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은,
    코일, 커패시터, 저항으로 구성된 병렬 공진회로와; 그리고
    상기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 주파수,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를 변경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코일의 코일이 형성하는 제 1 코일 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NFC 코일이 형성하는 제 2 코일 면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무선 인증 모듈이 배치된 단말기 커버.

KR1020140172967A 2014-12-04 2014-12-04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 및 무선 통신 장치 Withdrawn KR20160068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67A KR20160068068A (ko) 2014-12-04 2014-12-04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 및 무선 통신 장치
US14/957,184 US20160165444A1 (en) 2014-12-04 2015-12-02 Terminal cov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wireless authenticat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67A KR20160068068A (ko) 2014-12-04 2014-12-04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 및 무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068A true KR20160068068A (ko) 2016-06-15

Family

ID=5609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967A Withdrawn KR20160068068A (ko) 2014-12-04 2014-12-04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 및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65444A1 (ko)
KR (1) KR201600680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09A1 (ko) * 2018-01-03 2019-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3662B1 (ja) * 2017-06-19 2018-01-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アンテナ回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54559A1 (en) * 1996-09-13 1998-11-16 Hitachi Ltd Power transmission system ic car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ic card
US8527688B2 (en) * 2008-09-26 2013-09-03 Palm, Inc. Extending device functionality amongst inductively linked devices
WO2010146662A1 (ja) * 2009-06-16 2010-12-23 株式会社ビー・アンド・プラス 双方向伝送用コイ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双方向伝送装置
US9088307B2 (en) * 2010-12-29 2015-07-2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Non-resonant and quasi-resonant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multiple receiv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09A1 (ko) * 2018-01-03 2019-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65444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679B1 (ko)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매칭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을 포함한 유저 장치
KR102144360B1 (ko) 스마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매칭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을 포함한 유저 장치
EP3223437B1 (en) Antenna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4604077B (zh) 非接触充电装置以及使用该非接触充电装置的非接触供电系统
US79079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n antenna for frequency modulation (FM)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KR101265234B1 (ko) Nfc 장치
KR20140110389A (ko) 비접촉 통신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한 유저 장치
KR20050024976A (ko) 듀얼 인터페이스 집적회로 카드
KR101485569B1 (ko) 금속 덮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nfc 안테나
KR100968071B1 (ko) 인증 정보 카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로 교통카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US20180277957A1 (en) Rfid antenna structure for increased range when coupled with a mobile device
JP2011015005A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無線機
EP3100364B1 (en) Avoiding nfc communication collisions between accessories and user equipment
KR102533402B1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3419B1 (ko) Rfid 통신 모드 선택 방법 및 근거리장 통신 및 원거리장 통신을 지원하는 rfid 장치
KR20160068068A (ko) 무선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커버 및 무선 통신 장치
JP5287110B2 (ja) 無線装置
JP4022073B2 (ja) 非接触/接触両用icカード通信制御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
JP2013214870A (ja) 無線端末、電力送電システム、近距離無線信号送受信システム
EP3780404A1 (en) Hbc device and method for nfc signal
KR101260940B1 (ko) 휴대단말기의 RF 안테나 장치와 접속되는 Micro-SD 메모리
KR20220122074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517150B (zh) 具天线的用户身份模块卡
US20250111176A1 (en) Nfc accessory detection without magnetometer
KR101597790B1 (ko) 보안 요소 및 그 보안 요소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