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919A - 렌즈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3919A KR20160063919A KR1020140167822A KR20140167822A KR20160063919A KR 20160063919 A KR20160063919 A KR 20160063919A KR 1020140167822 A KR1020140167822 A KR 1020140167822A KR 20140167822 A KR20140167822 A KR 20140167822A KR 20160063919 A KR20160063919 A KR 201600639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member
- lens
- projection
- width
- optical ax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59/00—Optical: systems and elements
- Y10S359/90—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스페이서는, 광축을 따라 배열된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렌즈 스페이서로서,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들과 상기 제1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1 홈부들이 마련된 제1 필름 부재; 및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들과 상기 제2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2 홈부들이 마련된 제2 필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름 부재와 상기 제2 필름 부재는, 상기 광축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2 돌출부들 각각이 상기 제1 홈부들 각각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예들은 렌즈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촬영 장치는 사람, 사물, 풍경 등의 피사체를 사진이나 영상으로 찍기 위한 장치로, 촬상 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파일로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표시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렌즈들 사이에는 렌즈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스페이서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에 따라 그 재질 또는 형성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들 사이의 간격이 클 경우, 금속이나 경질 재질을 가지며, 절삭 가공 등의 기계 가공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블록 타입의 렌즈 스페이서가 사용될 수 있다. 반면, 렌즈들 사이의 간격이 작을 경우, 얇은 필름이나 판재의 형태로서, 프레스 가공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필름 타입의 렌즈 스페이서가 사용될 수 있다.
렌즈들 사이에 배치된 블록 타입의 렌즈 스페이서는, 형상이 거의 변하지 않으며, 렌즈들과 선 접촉한다. 반면, 렌즈들 사이에 배치된 필름 타입의 렌즈 스페이서는, 렌즈들의 형상에 따라 구부러져, 렌즈들과 면 접촉한다.
필름 타입의 렌즈 스페이서는, 제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평면 형상을 가지는 렌즈 스페이서가 곡면 형상을 가지는 렌즈들에 접촉하여 구부러지는 과정에서, 렌즈 스페이서와 렌즈들의 형상 차이로 인해, 렌즈 스페이서에 주름이 생길 수 있다. 그에 따라, 렌즈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의 목적은,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외관 상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렌즈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제조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렌즈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스페이서는, 광축을 따라 배열된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들과 상기 제1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1 홈부들이 마련된 제1 필름 부재; 및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들과 상기 제2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2 홈부들이 마련된 제2 필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름 부재와 상기 제2 필름 부재는, 상기 광축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2 돌출부들 각각이 상기 제1 홈부들 각각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1 홈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부 영역과 상기 제1 홈부의 전체 영역에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2 홈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와 상기 제2 필름 부재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과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이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의 두께와 상기 제2 필름 부재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의 내경과 상기 제2 필름 부재의 내경이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들과 상기 제2 돌출부들에 의해 폐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두께와 상기 제2 돌출부의 두께의 합은 0.03 mm ~ 1.0 mm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는, 광축을 따라 배열된 제1, 제2 렌즈; 및 상기 제1, 제2 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2 렌즈의 간격을 유지하는 렌즈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스페이서는,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들과 상기 제1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1 홈부들이 마련된 제1 필름 부재와,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들과 상기 제2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2 홈부들이 마련된 제2 필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름 부재와 상기 제2 필름 부재는, 상기 광축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2 돌출부들 각각이 상기 제1 홈부들 각각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1 홈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부 영역과 상기 제1 홈부의 전체 영역에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2 홈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와 상기 제2 필름 부재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과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이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의 두께와 상기 제2 필름 부재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의 내경과 상기 제2 필름 부재의 내경이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들과 상기 제2 돌출부들에 의해 폐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두께와 상기 제2 돌출부의 두께의 합은 0.03 mm ~ 1.0 mm 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렌즈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는, 곡면을 가지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고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작이 간편하고 제조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스페이서를 포함한 촬영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렌즈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의 제1 필름 부재 및 제2 필름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의 Va-V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의 Vb-V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의 Vc-V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렌즈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의 제1 필름 부재 및 제2 필름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의 Va-V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의 Vb-V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의 Vc-V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포커스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스페이서(100)를 포함한 촬영 장치(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주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촬영 장치(1)는, 휴대폰, PDA,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단말기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듈로서, 촬영 기능 외에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는 렌즈 배럴(30)과, 렌즈 배럴(30)의 내측에 배치된 적어도 2매의 렌즈들, 예를 들어, 제1, 제2 렌즈(10, 20)를 포함한다.
제1, 제2 렌즈(10, 20)는 광축(Z)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렌즈(10)의 하면과 제2 렌즈(20)의 상면은 곡면 형상을 가진다. 제1 렌즈(10)의 하면과 제2 렌즈(20)의 상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렌즈(10)의 하면과 제2 렌즈(20)의 상면의 곡률 반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에는, 렌즈 스페이서(100)가 배치된다.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의 간격(G)은, 0.03 mm ~ 1.0 mm 일 수 있다.
렌즈 스페이서(100)는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에 접촉하며, 제1 렌즈(10)의 하면과 제2 렌즈(20)의 상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부(101)가 구부러진다. 그에 따라, 렌즈 스페이서(100)의 일부(101)는 광축(Z)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다른 일부(102)는, 광축(Z)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렌즈 스페이서(100)의 일부(101)는, 광축(Z)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20 °(도) 이상의 경사 각도(θ)를 가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렌즈 스페이서(100)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100)의 제1 필름 부재(110) 및 제2 필름 부재(12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스페이서(100)는, 제1 필름 부재(110)와 제2 필름 부재(120)를 포함한다. 제1 필름 부재(110)와 제2 필름 부재(120)는, 광축(Z)을 따라 배열된다.
제1 필름 부재(110)는, 링(ring)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광축(Z)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111)들과, 제1 돌출부(111)들 사이에 형성된 제1 홈부(112)들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필름 부재(120)는,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광축(Z)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121)들과, 제2 돌출부(121)들 사이에 형성된 제2 홈부(122)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필름 부재(110, 120)는, 프레스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필름 부재(110, 120)는,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판형 소재를 프레스 방식에 의해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판형 소재는 다양한 재질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폴리에틸렌(PE)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제2 필름 부재(110, 120)는, 제1, 제2 렌즈(10, 20)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기 전에,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제2 필름 부재(110, 120)는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제1, 제2 렌즈(10, 20)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한다. 제1 필름 부재(110)의 제1 돌출부(111)들과 제2 필름 부재(120)의 제2 돌출부(121)들은, 제1, 제2 렌즈(10, 20)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따라 구부러진다. 제1 돌출부(111)와 제2 돌출부(121)가 구부러지는 과정에서, 제1 돌출부(111)들 사이의 간격과 제2 돌출부(121)들 사이의 간격이 변하게 된다. 즉, 제1 홈부(112)의 폭(W12)과 제2 홈부(122)의 폭(W22)이 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제2 렌즈(10, 20) 사이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렌즈 스페이서(100)가 주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필름 부재(110)와 제2 필름 부재(120)는, 제2 필름 부재(120)의 제2 돌출부(121)들 각각이 제1 필름 부재(110)의 제1 홈부(112)들 각각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름 부재(120)의 제2 돌출부(121)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W21)은, 제1 홈부(112)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W1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121)의 원주 방향으로의 최소 폭이, 제1 홈부(112)의 원주 방향으로의 최대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돌출부(111)의 형상은, 제2 홈부(122)를 가릴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돌출부(121)의 형상은 제1 홈부(112)를 가릴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돌출부(121)는, 제1 돌출부(111)의 일부 영역과 제1 홈부(112)의 전체 영역에 중첩된다. 제2 돌출부(121)에 의해, 제1 홈부(112)를 통해 빛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필름 부재(110)의 내경(D1)과 제2 필름 부재(120)의 내경(D2)이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필름 부재(110)의 내경(D1)은, 제1 돌출부(111)들의 내측변들을 연결한 가상의 원의 직경으로 정의하며, 제2 필름 부재(120)의 내경(D2)은, 제2 돌출부(121)들의 내측변들을 연결한 가상의 원의 직경으로 정의한다.
제1 필름 부재(110)의 제1 돌출부(111)들과 제2 필름 부재(120)의 제2 돌출부(121)들에 의해 폐곡선(closed loop)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들의 내측변들과 제2 돌출부(121)들의 내측변들에 의해 폐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제1 필름 부재(110)만을 사용할 경우, 제1 홈부(112)들을 통해 광이 통과될 수 있으며, 촬영 장치(1)의 외부에서 제1 홈부(112)들이 관찰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촬영 장치(1)의 외관 품위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필름 부재(120)의 제2 돌출부(121)들에 의해 제1 필름 부재(110)의 제1 홈부(112)들을 가려줌으로써, 제1 홈부(112)들에 의한 촬영 장치(1)의 외관 품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필름 부재(110)와 제2 필름 부재(12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제2 필름 부재(110, 120)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예로서, 제1 필름 부재(110)의 제1 돌출부(111)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W11)과 제2 필름 부재(120)의 제2 돌출부(121)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W21)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름 부재(110)의 두께와 제2 필름 부재(120)의 두께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름 부재(110)의 제1 돌출부(111)의 두께와 제2 필름 부재(120)의 제2 돌출부(121)의 두께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제2 필름 부재(110, 120)의 형상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의 금형을 통해 제1, 제2 필름 부재(110, 120) 모두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스페이서(100)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제1 돌출부(111)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W11)은 제1 홈부(112)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W12)보다 클 수 있다. 제2 돌출부(121)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W21)은 제2 홈부(122)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W22)보다 클 수 있다. 제1, 제2 돌출부(111, 121)의 폭(W11, W21)을 제1, 제2 홈부(112, 122)의 폭(W12, W22)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1, 제2 홈부(112, 122)는 제1, 제2 돌출부(111, 121)에 의해 쉽게 가려질 수 있다.
도 5a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100)의 Va-V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100)의 Vb-V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3b의 렌즈 스페이서(100)의 Vc-V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b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스페이서(100)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스페이서(100)에서는, 제2 돌출부(121)의 일부는 제1 돌출부(111)에 중첩되며, 제2 돌출부(121)의 일부는 제1 홈부(112)에 중첩된다. 또한, 제1 돌출부(111)의 일부는 제2 돌출부(121)에 중첩되며, 제1 돌출부(111)의 일부는 제2 홈부(122)에 중첩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111)의 일부와 제2 돌출부(121)의 일부가 중첩된다. 제1 돌출부(111)의 상면은 제1 렌즈(10)의 하면에 접촉되며, 제2 돌출부(121)의 하면은 제2 렌즈(20)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 경우,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스페이서(100)의 두께는, 제1 돌출부(111)의 두께(t1)와 제2 돌출부(121)의 두께(t2)의 합일 수 있다. 제1 돌출부(111)의 두께(t1)와 제2 돌출부(121)의 두께(t2)의 합은 0.03 mm ~ 1.0 mm 일 수 있다. 제1 돌출부(111)와 제2 돌출부(121)가 중첩되는 구간에 의해,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의 간격(G)이 유지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제2 돌출부(121)의 일부는 제1 홈부(112)에 중첩되며, 제1 돌출부(111)의 일부는 제2 홈부(122)에 중첩된다. 이 경우,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스페이서(100)의 두께는, 제1 돌출부(111)의 두께(t1)이거나, 제2 돌출부(121)의 두께(t2)일 수 있다.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스페이서(100)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렌즈 스페이서(100)의 내측변에 의해 빛이 산란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스페이서(100)는, 제1, 제2 돌출부(111, 121)가 중첩되는 영역에 의해서 제1, 제2 렌즈(10, 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제1, 제2 돌출부(111, 121)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의해 렌즈 스페이서(100)의 내측변에 의한 빛의 산란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렌즈 스페이서(100)가 2장의 필름 부재가 중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장 이상의 필름 부재가 중첩될 수도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 : 촬영 장치
10 : 제1 렌즈
20 : 제2 렌즈 30 : 렌즈 배럴
100 : 렌즈 스페이서 110 : 제1 필름 부재
111 : 제1 돌출부 112 : 제1 홈부
120 : 제2 필름 부재 121 : 제2 돌출부
122 : 제2 홈부
20 : 제2 렌즈 30 : 렌즈 배럴
100 : 렌즈 스페이서 110 : 제1 필름 부재
111 : 제1 돌출부 112 : 제1 홈부
120 : 제2 필름 부재 121 : 제2 돌출부
122 : 제2 홈부
Claims (20)
- 광축을 따라 배열된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렌즈 스페이서로서,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들과 상기 제1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1 홈부들이 마련된 제1 필름 부재; 및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들과 상기 제2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2 홈부들이 마련된 제2 필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름 부재와 상기 제2 필름 부재는, 상기 광축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2 돌출부들 각각이 상기 제1 홈부들 각각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렌즈 스페이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1 홈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렌즈 스페이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부 영역과 상기 제1 홈부의 전체 영역에 중첩되는, 렌즈 스페이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2 홈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렌즈 스페이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와 상기 제2 필름 부재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렌즈 스페이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과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이 동일한, 렌즈 스페이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의 두께와 상기 필름 부재의 두께가 동일한, 렌즈 스페이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의 내경과 상기 제2 필름 부재의 내경이 동일한, 렌즈 스페이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들과 상기 제2 돌출부들에 의해 폐곡선이 형성되는, 렌즈 스페이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두께와 상기 제2 돌출부의 두께의 합은 0.03 mm ~ 1.0 mm 인, 렌즈 스페이서. - 광축을 따라 배열된 제1, 제2 렌즈; 및
상기 제1, 제2 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2 렌즈의 간격을 유지하는 렌즈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스페이서는,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들과 상기 제1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1 홈부들이 마련된 제1 필름 부재와,
링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광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들과 상기 제2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2 홈부들이 마련된 제2 필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름 부재와 상기 제2 필름 부재는, 상기 광축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2 돌출부들 각각이 상기 제1 홈부들 각각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촬영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1 홈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촬영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부 영역과 상기 제1 홈부의 전체 영역에 중첩되는, 촬영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2 홈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촬영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와 상기 제2 필름 부재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촬영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과 제2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의 폭이 동일한, 촬영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의 두께와 상기 제2 필름 부재의 두께가 동일한, 촬영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부재의 내경과 상기 제2 필름 부재의 내경이 동일한, 촬영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들과 상기 제2 돌출부들에 의해 폐곡선이 형성되는, 촬영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두께와 상기 제2 돌출부의 두께의 합은 0.03 mm ~ 1.0 mm 인, 촬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7822A KR20160063919A (ko) | 2014-11-27 | 2014-11-27 | 렌즈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US14/952,260 US9645347B2 (en) | 2014-11-27 | 2015-11-25 | Spacer for lense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7822A KR20160063919A (ko) | 2014-11-27 | 2014-11-27 | 렌즈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3919A true KR20160063919A (ko) | 2016-06-07 |
Family
ID=5607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7822A Withdrawn KR20160063919A (ko) | 2014-11-27 | 2014-11-27 | 렌즈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645347B2 (ko) |
KR (1) | KR20160063919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277074B2 (en) | 2018-03-19 | 2025-01-01 | Masakazu Kawada | Spacer ring, lens system, method for forming a spacer r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a lens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13936A (ja) | 1993-10-18 | 1995-05-02 | Fuji Photo Optical Co Ltd | レンズの間隔調整スペーサ |
JP2004287141A (ja) | 2003-03-24 | 2004-10-14 | Fuji Photo Optical Co Ltd | レンズ間隔調整環 |
DE102004032179A1 (de) * | 2004-07-02 | 2006-01-19 | Robert Bosch Gmbh | Objektiv mit Kfz-tauglicher Dichtungskonfiguration |
-
2014
- 2014-11-27 KR KR1020140167822A patent/KR20160063919A/ko not_active Withdrawn
-
2015
- 2015-11-25 US US14/952,260 patent/US964534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154199A1 (en) | 2016-06-02 |
US9645347B2 (en) | 2017-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8054B1 (ko) | 굴절 프리즘들을 이용하는 폴딩되는 광학 어레이 카메라 | |
US20160127646A1 (en) |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or thin cameras | |
US10652458B2 (en) |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6894477B2 (ja) | 押さえ環およびレンズモジュール | |
CN109425917B (zh) | 塑胶透镜、塑胶环形光学元件、镜头模块及电子装置 | |
US20190219741A1 (en) |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JP2017097313A (ja) | レンズモジュール | |
KR102450923B1 (ko) | 렌즈 조립체 | |
US10537037B2 (en) | Electronic device | |
US20150286086A1 (en) | Display device | |
TWM517331U (zh) | 取像鏡頭、鏡頭模組及電子裝置 | |
US11029482B2 (en) | Pressing ring and lens module | |
KR102662948B1 (ko) |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 |
JP6990275B2 (ja) |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 |
JP6810209B2 (ja) | レンズモジュール | |
US20240121491A1 (en) | Camera module | |
KR20160063919A (ko) | 렌즈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
CN208026956U (zh) | 镜头模组 | |
JP2011221244A (ja) | レンズ組立体及びそのレンズの組立方法 | |
US9128239B2 (en) | Optical device | |
US20220221682A1 (en) | Lens assembly | |
CN206523683U (zh) | 镜头模组 | |
TWI808615B (zh) | 透鏡模組及相機模組 | |
CN206339755U (zh) | 一种镜头模组 | |
CN207965302U (zh) | 镜头模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