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63599A -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599A
KR20160063599A KR1020140167030A KR20140167030A KR20160063599A KR 20160063599 A KR20160063599 A KR 20160063599A KR 1020140167030 A KR1020140167030 A KR 1020140167030A KR 20140167030 A KR20140167030 A KR 20140167030A KR 20160063599 A KR20160063599 A KR 2016006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upport
present
finger support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쏘랜드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쏘랜드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쏘랜드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6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599A/ko
Publication of KR2016006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59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휴대단말기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거나, 휴대단말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그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파지나 거치 등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휴대시 회동링을 회동시켜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밀착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휴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더불어, 이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 발명의 손가락 지지대만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영상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분야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Finger support ring for portable terminal}
이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휴대단말기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거나, 휴대단말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그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파지나 거치 등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휴대폰이나 PDA, PMP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를 말하는 것으로, 그 기술의 발전에 의해 음성통화와 더불어 문자전송이나 영상통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성과 더불어, 외형적으로도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은,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더욱 더 큰 비중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영상컨텐츠의 개발 및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물을 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컨텐츠를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들고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를 유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이나 어깨, 목 등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6883호 '거치기능이 구비된 휴대형 플레이어용 커버'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185호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단말기의 케이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일정한 각도로 지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의 경우, 사용자가 실내에서 책상 등에 앉은 경우에는 비교적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실외에서 이동 중이거나 (예를 들어, 차량이나 지하철을 탑승하여 이동) 특정 장소에서 머무르는 상황에서는 이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들은 휴대단말기의 케이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하게 되는 바, 케이스에 해당하는 만큼 휴대단말기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므로, 최근의 추세인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에 역행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6883호 '거치기능이 구비된 휴대형 플레이어용 커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185호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휴대단말기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거나, 휴대단말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그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파지나 거치 등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이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 발명의 손가락 지지대만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영상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를 보장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는, 하부에 접착시트(110)가 구성되어 휴대단말기(S)의 후면에 접착되는 부착구(100); 상기 부착구(1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제1 회동축(Z)을 중심으로 상기 부착구(10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구(200); 및 상기 제1 회동축(Z)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제2 회동축(X)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구(200)를 관통하여 축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회동링(3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착구(100)는, 상기 지지구(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끼움홀(101)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구(100)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홀(101)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구(200)에 결합되는 고정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400)의 상부면에는, 상기 끼움홀(10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탄성부(4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동링(300)은, 상기 지지구(20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구(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에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링(300)의 회동시, 상기 결합부(31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면이, 상기 탄성부(41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410)는, 상기 결합부(310)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2축 회동이 가능한 회동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휴대단말기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거나, 휴대단말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성하지 않고, 고정구의 형상을 변형하여 탄성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이 발명은 그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파지나 거치 등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의 단순화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휴대시 회동링을 회동시켜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밀착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휴대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이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 발명의 손가락 지지대만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영상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를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분야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구성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난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A)는, 부착구(100), 지지구(200) 및 회동링(300)을 포함한다.
부착구(100)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A)를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접착시트(110)가 구성되어 있다.
지지구(200)는 부착구(10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착구(1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제1 회동축(Z)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부착구(100)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구(200)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회동링(300)은 지지구(20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회동축(Z)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제2 회동축(X)을 중심으로 지지구(200)를 관통하여 축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링(300)은, 제1 회동축(Z) 및 제2 회동축(X)의 2축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회동링(300)을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밀착시키거나, 사용자에 따라 다른 다양한 파지방법(예를 들어, 왼손 또는 오른손 파지, 디스플레이의 회전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구성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난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구(300)의 하부에는 결합홀(201)이 관통형성될 수 있고, 회동링(300)의 결합부(310)가 결합홀(201)의 하부에서 끼워지도록 하여, 지지구(300)에 회동링(300)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구(300)는 부착구(100)의 하부면에 구성되는 고정구(400)에 의해, 부착구(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구(300)는 부착구(10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이에, 부착구(100)는 지지구(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끼움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구(40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착구(100)의 하부에서 부착구(100)의 끼움홀(101)을 관통하여, 지지구(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난 지지구(200)와 회동링(300)의 결합관계에 따라 회동링(300)이 가상의 제2 회동축(X)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도 3에 나타난 부착구(100), 지지구(200) 및 고정구(400)의 결합관계에 따라 회동링(300)이 가상의 제1 회동축(Z)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A)가 다양한 각도에서 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회동링(300)이 다양한 각도에서 지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구(400)의 상부면에는 탄성부(4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회동링(300)의 결합부(310)는 지지구(200)를 관통하여, 지지구(200)의 결합홀(201)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구(400)가 부착구(100)의 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구(400)의 탄성부(410)가 부착구(100)의 끼움홀(101)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회동링(300)의 결합부(310)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도 1과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고정구(400)의 탄성부(410)가 결합부(310)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회동링(300)이 회동되면 회동된 결합부(31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회동링(300)의 회동시 결합부(31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면이, 탄성부(41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지지됨으로써, 회동링(300)이 다양한 각도에서 휴대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41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부(310)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부(310)에 대한 가압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미설명부호 '401'은 관통홀이고, '420'는 고정핀으로서, 고정핀(420)을 관통홀(401)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고정핀(420)을 지지구(200)의 하부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420)은 타격에 의해 가압되어 지지구(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나사선을 형성하여 지지구(200)의 하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S)의 후면에 부착된, 이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A)의 회동링(300)을 원하는 각도 및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책상이나 탁자 등에 놓고 휴대단말기(S)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도 5에 나타난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A)의 지지구(200)를 약 90°로 회동시킨 후, 사용자가 손가락을 회동링(300)에 끼운상태에서, 휴대단말기(S)를 손으로 파지하여 휴대단말기(S)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A)의 회동링(300)을 회동시켜, 휴대단말기(S)의 후면에 밀착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S)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100 : 부착구 101 : 끼움홀
200 : 지지구
300 : 회동링 310 : 결합부
400 : 고정구 410 : 탄성부

Claims (4)

  1. 하부에 접착시트(110)가 구성되어 휴대단말기(S)의 후면에 접착되는 부착구(100);
    상기 부착구(1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제1 회동축(Z)을 중심으로 상기 부착구(10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구(200); 및
    상기 제1 회동축(Z)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제2 회동축(X)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구(200)를 관통하여 축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회동링(300);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100)는,
    상기 지지구(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끼움홀(101)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구(100)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홀(101)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구(200)에 결합되는 고정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00)의 상부면에는,
    상기 끼움홀(10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탄성부(4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동링(300)은,
    상기 지지구(20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구(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에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링(300)의 회동시,
    상기 결합부(31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면이, 상기 탄성부(41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410)는,
    상기 결합부(310)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1020140167030A 2014-11-27 2014-11-27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Withdrawn KR20160063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30A KR20160063599A (ko) 2014-11-27 2014-11-27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30A KR20160063599A (ko) 2014-11-27 2014-11-27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599A true KR20160063599A (ko) 2016-06-07

Family

ID=5619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030A Withdrawn KR20160063599A (ko) 2014-11-27 2014-11-27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59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21U (ko) 2016-08-24 2018-03-06 최인수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WO2019022419A1 (ko) * 2017-07-24 2019-01-31 전효진 자동차 에어컨 벤트 그릴에 전자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액세서리
KR101944626B1 (ko) * 2017-08-08 2019-01-31 이진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9059473A1 (ko) * 2017-09-21 2019-03-28 임영찬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KR20200022175A (ko) * 2018-08-22 2020-03-03 백지혜 휴대기기용 받침대
JP2020182062A (ja) * 2019-04-24 2020-11-05 株式会社ギャレリアインターナショナル 携帯情報端末支持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85Y1 (ko) 2011-07-12 2011-12-07 손정호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20086883A (ko) 2011-01-27 2012-08-06 (주)알테크 거치기능이 구비된 휴대형 플레이어용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883A (ko) 2011-01-27 2012-08-06 (주)알테크 거치기능이 구비된 휴대형 플레이어용 커버
KR200457185Y1 (ko) 2011-07-12 2011-12-07 손정호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21U (ko) 2016-08-24 2018-03-06 최인수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WO2019022419A1 (ko) * 2017-07-24 2019-01-31 전효진 자동차 에어컨 벤트 그릴에 전자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액세서리
KR101944626B1 (ko) * 2017-08-08 2019-01-31 이진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9059473A1 (ko) * 2017-09-21 2019-03-28 임영찬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KR20200022175A (ko) * 2018-08-22 2020-03-03 백지혜 휴대기기용 받침대
JP2020182062A (ja) * 2019-04-24 2020-11-05 株式会社ギャレリアインターナショナル 携帯情報端末支持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US9730345B2 (en) Supporting apparatus of housing
USRE48041E1 (en) Supporting apparatus of housing
US8186639B2 (en) Bracket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KR200453437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2010015999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M418323U (en) Protective sheath
US11137797B2 (en) Adjustable stand and mobile computing device system
US8602375B2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US10139866B2 (en) Flexible housing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CN103425196A (zh) 电子装置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150001868U (ko)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20066402A (ko)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KR200457661Y1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200470995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EP3821318A1 (en) Adjustable stand and mobile computing device system
CN205847362U (zh) 新型指环手机支架
KR10174326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KR20160026602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