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55631A - 차체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차체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631A
KR20160055631A KR1020140155688A KR20140155688A KR20160055631A KR 20160055631 A KR20160055631 A KR 20160055631A KR 1020140155688 A KR1020140155688 A KR 1020140155688A KR 20140155688 A KR20140155688 A KR 20140155688A KR 20160055631 A KR20160055631 A KR 2016005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floor
longitudinal direction
side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균
오주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5631A/ko
Priority to US14/727,312 priority patent/US9598119B2/en
Priority to CN201510319778.3A priority patent/CN106184384B/zh
Priority to DE102015211018.4A priority patent/DE102015211018B4/de
Publication of KR2016005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3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B62D25/147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with adjustable connection to the A-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체 보강구조는, 엔진룸을 형성하는 대쉬패널; 차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체 바닥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차체 바닥에 밀착된 플로어 멤버; 및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대쉬패널에서 상기 플로어 멤버와 중첩되어 연결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체보강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for 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체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상하고 중량을 감소시키는 차체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승객 안전성 확보을 위해 점점 더 열악한 충돌시험 조건에 대응해야 하는 환경에 놓여 있으며 특히 전방충돌(옵셋/스몰오버랩)시 실내공간의 침입량을 최소화 하기 위한 충돌 로드 패스상의 보강재도 계속해서 추가되고 있다. 반면에 연비개선을 위해 차체의 경량화도 동시에 요구되는 상황에서 승객 안전성과 차체 경량화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 구조를 도출하는 노력이 어느때 보다 절실한 시점에 놓여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방충돌에 대응하는 기존의 보강개념에서 벗어나 충돌에너지의 효과적인 분산을 유도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기존 보강부재를 최소화 대응하되 요구성능은 만족하는 차체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체 보강구조는, 엔진룸을 형성하는 대쉬패널; 차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체 바닥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차체 바닥에 밀착된 플로어 멤버; 및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대쉬패널에서 상기 플로어 멤버와 중첩되어 연결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체 보강구조는, 차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체 바닥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차체 바닥에 밀착된 플로어 멤버; 및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멤버와 중첩되어 연결되며, 연결된 단면이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방충돌에 대응하는 기존의 보강개념에서 벗어나 충돌에너지의 효과적인 분산을 유도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둘째, 기존 보강부재를 최소화 대응하되 요구성능은 만족하는 차체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체보강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어 멤버와, C-C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체보강구조의 효과를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차체보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체보강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체 보강구조는, 엔진룸을 형성하는 대쉬패널(1); 차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체 바닥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차체 바닥에 밀착된 플로어 멤버(3); 및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대쉬패널(1)에서 플로어 멤버(3)와 중첩되어 연결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체 보강구조는, 차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체 바닥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차체 바닥에 밀착된 플로어 멤버(3); 및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플로어 멤버(3)와 중첩되어 연결되며, 연결된 단면이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체보강구조는, 대쉬패널(1)의 2 피스화 및 판넬 일체형 멤버 구조 적용으로 기존 대쉬 크로스 멤버 삭제, 승객룸측 멤버와 엔진룸측 사이드 멤버간 직접 결합을 통한 실내측 어퍼 사이드 멤버를 삭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체보강구조는, 기존구조의 실내측 보강재인 UPR S/MBR를 삭제하고 대신에FR S/MBR 두께를 증대하여 실내측 골격강도를 확보하였다. 따라서, 기존구조 대비 3.8Kg 경량화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체 보강구조는, 대쉬패널(1)의 엔진 룸에 배치되고, 대쉬패널과 연결된 엔진룸 사이드멤버(8)를 더 포함하고, 패널 사이드 멤버(7)와 프런트 사이드 멤버(5)와 플로워 멤버(3)는 3중첩 되어 연결된 3중 연결부(9)를 형성한다. 이 경우, 3중 연결부(9)는 좌, 우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3중 연결부(9)는 대쉬 크로스멤버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3중 연결부(9)는, 단면이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어 멤버와, C-C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로어 멤버(3)는, 하측방향으로만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 하측에만 존재한다. 빈 공간에는 굽힘 모멘트를 저항하도록 격벽(10)이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체보강구조의 효과를 설명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중 연결부(9)로 인해 종래의 불연속적인 단면이 연속적으로 된다. 또한 각 멤버가 오버랩이 증대되어 하중 전달 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격벽(10)은 플로어 멤버(3)의 꺽임량을 감소시켜, 대쉬 패널의 변형량을 감소시킨다.
차체 골격에 설정된 적절한 충돌 로드패스가 정의 됐다면 로드패스상의 응력 집중현상을 최소화하고 로드패스 전구간의 응력 밸런스 유지를 위해 멤버간 단면 연속성이 확보된 결합구조가 중요하다.
또한, 실, 내외를 경계로 설정되는 충돌 부재인 멤버간 충분한 오버랩과 직접적인 결합을 우선 고려되어야 하중 분산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DASH X/MBR 삭제에 따른 보완책으로 DASH 판넬을 2 피스화 하고 판넬 자체에 멤버 형상을 추가한 일체성형으로 등가 성능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체보강구조를 통해 최근 강화되고 있는 충돌 평가기준을 만족함과 동시에 차체 경량화로 3.8kg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부품수 축소로 인한 조립공정 단순화 및 그에 상응하는 원가절감도 가능하다.(1,500원/Kg 적용시 5,700원/대 절감효과)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대쉬패널
3: 플로어 멤버
5: 프런트 사이드 멤버
7: 패널 사이드 멤버
9: 3중 연결부
10: 격벽

Claims (7)

  1. 엔진룸을 형성하는 대쉬패널;
    차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체 바닥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차체 바닥에 밀착된 플로어 멤버; 및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대쉬패널에서 상기 플로어 멤버와 중첩되어 연결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는 차체보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에 배치되고, 상기 대쉬패널과 연결된 엔진룸 사이드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플로어 멤버는 3중첩 되어 연결된 3중 연결부를 형성하는 차체보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멤버는,
    하측방향으로만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 하측에만 존재하는 차체보강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빈 공간에는 굽힘 모멘트를 저항하도록 격벽이 배치된 차체보강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중 연결부는 좌, 우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3중 연결부는 대쉬 크로스멤버로 연결되지 않은 차체보강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중 연결부는 단면이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 차체보강구조.
  7. 차량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체 바닥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차체 바닥에 밀착된 플로어 멤버; 및
    차체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멤버와 중첩되어 연결되며, 연결된 단면이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는 차체보강구조.
KR1020140155688A 2014-11-10 2014-11-10 차체보강구조 Ceased KR20160055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688A KR20160055631A (ko) 2014-11-10 2014-11-10 차체보강구조
US14/727,312 US9598119B2 (en) 2014-11-10 2015-06-01 Vehicle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CN201510319778.3A CN106184384B (zh) 2014-11-10 2015-06-11 车身增强结构
DE102015211018.4A DE102015211018B4 (de) 2014-11-10 2015-06-16 Fahrzeugkörperverstärkungsstruk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688A KR20160055631A (ko) 2014-11-10 2014-11-10 차체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31A true KR20160055631A (ko) 2016-05-18

Family

ID=5580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688A Ceased KR20160055631A (ko) 2014-11-10 2014-11-10 차체보강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98119B2 (ko)
KR (1) KR20160055631A (ko)
CN (1) CN106184384B (ko)
DE (1) DE10201521101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663B1 (ko) * 2016-02-05 2020-02-03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전방부 구조
JP6838432B2 (ja) * 2017-03-06 2021-03-03 日本製鉄株式会社 自動車の耐衝撃部材
KR102354133B1 (ko) * 2017-07-12 2022-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대쉬 패널 지지 구조체
CN115107881B (zh) * 2021-03-18 2024-09-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体面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6877B2 (ja) 1992-03-25 1999-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3200853B2 (ja) 1996-02-09 2001-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及び車体前部構造による衝撃吸収方法
KR20040051171A (ko) * 2002-12-12 2004-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레일 후부 보강구조
KR100622213B1 (ko) 2003-08-25 2006-09-13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차체 구조
JP4483592B2 (ja) 2005-01-14 2010-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ダッシュパネル補強構造
JP4286796B2 (ja) * 2005-03-02 2009-07-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のフロアパネル
TWI361766B (en) * 2007-07-12 2012-04-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JP5180877B2 (ja) 2009-03-02 2013-04-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骨格構造
CN102574552B (zh) * 2009-11-05 2015-09-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身构造
EP2514655A4 (en) * 2009-12-16 2013-08-21 Honda Motor Co Ltd ASSEMBLY STRUCTURE OF VEHICLE BODY PANELS
EP2514656B1 (en) * 2009-12-16 2014-05-07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JP5560328B2 (ja) * 2010-05-25 2014-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前部車体構造
JP2013010424A (ja) 2011-06-29 2013-01-17 Toyota Motor Corp 車両前部構造
JP6019735B2 (ja) * 2011-08-29 2016-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および車体の製造方法
CN103998273B (zh) * 2011-12-15 2017-05-1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身构造
JP5497814B2 (ja) 2012-02-17 2014-05-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FR2989053B1 (fr) * 2012-04-05 2014-03-21 Renault Sa Chassis d'un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s moyens d'absorption d'un choc frontal
US8985681B2 (en) * 2012-06-21 2015-03-24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84384A (zh) 2016-12-07
US20160129942A1 (en) 2016-05-12
US9598119B2 (en) 2017-03-21
DE102015211018A1 (de) 2016-05-12
CN106184384B (zh) 2020-03-13
DE102015211018B4 (de)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705B2 (en) Vehicle connecting member and vehicle front section structure
JP6449562B2 (ja) 車両用骨格構造
US10597091B2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JP5348547B2 (ja) 車体後部構造
KR101462915B1 (ko) 차량용 카울 구조
US20190084512A1 (en) Bumper reinforcement
KR20190078755A (ko) 측방 차체 보강구조
US10919472B2 (en) Load distribution structure for vehicle
KR20160055631A (ko) 차체보강구조
US9676268B2 (en) Vehicle front section structure
KR102699017B1 (ko) 차량의 전방 바디
CN112298366A (zh) 车身的横梁结构
JP5825220B2 (ja) 車体前部構造
KR101734580B1 (ko) 자동차용 센터필러 패널
KR20240060950A (ko) 차량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CN213008402U (zh) 车身以及具有其的车辆
KR101724897B1 (ko) 리어 사이드 멤버
KR101855755B1 (ko) 차량용 사이드 실
KR20170064426A (ko) 전방 충돌 대응 차체 보강구조
US9840285B2 (en) Front vehicle body and method of fabricating front vehicle body
JP2012240528A (ja) 車両衝撃吸収構造
JP6575366B2 (ja) 車両側部構造
JP5745291B2 (ja) 自動車車体の骨格部材
KR101231257B1 (ko) 쿠페형 차량의 센터필러 구조
KR20170000911A (ko) 차체 하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