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431A -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5431A KR20160055431A KR1020140155203A KR20140155203A KR20160055431A KR 20160055431 A KR20160055431 A KR 20160055431A KR 1020140155203 A KR1020140155203 A KR 1020140155203A KR 20140155203 A KR20140155203 A KR 20140155203A KR 20160055431 A KR20160055431 A KR 201600554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arizing film
- polarizer
- film
- axis
- retard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스를 감축시키고 블랙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필름 및 그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필름은 어느 한 방향의 축을 따라 휘어지는 휨축을 가지며, 또한 편광자와 위상차막을 포함한다. 편광자는 휨축에 대하여 90°±30°의 각도 범위를 갖는 광 흡수축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선편광시킨다. 위상차막은 편광자의 일면에 위치되며, 편광자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의 투과속도를 지연시켜 투과시킨다. 위상차막은 광 흡수측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갖는 슬로우축(slow axis)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capable of reducing stress and preventing a blackout phenomenon,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film. The polarizing film has a bending axis bent along an axis in one direction, and also includes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The polarizer has a light absorption axis having an angle range of 90 占 with respect to the flexural axis and linearly polarizes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The retardation film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speed of external light incident through the polarizer with a delay. The retardation film has a slow axis having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light absorption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딩(folding) 또는 벤딩(bending)시 발생될 수 있는 스트레스(stress)를 감축시키고 블랙아웃 현상(black-out phenomenon)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필름 및 그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최근,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이를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필요성에 부합하여, 대형화가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높은 표시품질(동영상 표현력, 해상도, 밝기, 명암비, 및 색재현력 등)을 갖는 평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and the necessity of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perly displaying the same, it has been desired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hich can be enlarged, is inexpensive, has high display quality (video expression power, resolution, brightness, contrast ratio, color reproducibility, etc.) Has been developed. Accordingl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have been put into practical use.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플라스틱이나 메탈 호일(metal foil)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기판으로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평판 표시장치(이하, 간략히 플레서블 표시장치라 함)가 차세대 평판 표시장치로 급부상중이다.In recent years, a flexible flat panel display devic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 flexible flat panel display device ") which is manufactured so that a display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even if it is bent like paper by using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flexible plastic or a metal foil as a substrate Flexible display device ") is rapidly emerging as a next-generation flat panel display device.
한편 이들 표시장치의 구조적 개선만으로 표시품질의 향상에 대한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편광필름(polarizing film) 등 광학필름의 성능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the display quality can not be sufficiently satisfied due to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se display devices, and thu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optical films such as polarizing films.
이하, 도 1a를 참조하여 종래의 편광필름이 적용된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편광필름이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Hereinafter, a flexible display device to which a conventional polarizing film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A.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olarizing film is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우선,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외부광의 반사방지를 위해, 표시패널(10) 상에 부착되는 편광필름(40)을 포함한다. 편광필름(40)은 표시패널(10)의 외측 표면에 위치되는 위상차막(20)과, 위상차막(20)의 표면 상에 위치되는 편광자(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외부 광이 편광필름(40)에 입사되면, 편광자(30)에 의해 1방향(예를 들면, 도면의 가로 방향)으로 편광되고, 위상차 필름(20)에서 원 편광된다. 그리고, 표시패널(10)에 도달한 외부 광은 다시 반사되고 위상차 필름(20)에서 세로 방향으로 편광되어 편광 축이 다른 편광자(30)를 투과하지 못하고 대부분 흡수된다. 이에 따라, 외부 광이 표시패널(10) 내에 입사되어도, 표시패널(10)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반사광이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A, a conventional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es a polarizing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편광필름(40)이 표시패널(10)의 상면에 부착될 경우, 표시패널(10)이 휘는 방향의 힘과 편광필름(40)의 응력방향의 힘에 의해 편광필름(40)에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표시패널(10)의 소자와 편광필름(40)에 크랙(crack)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polarizing
이하,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여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사용에 따른 휘어짐에 의해 표시패널이나 편광필름이 손상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는 도 1a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폴딩방향(folding direction) 또는 벤딩방향(bending direction)(휘는 방향)과 편광필름의 응력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Hereinafter, the reason why the display panel or the polarizing film is damaged due to warping due to us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B and 1C. Fig. 1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Fig. 1A is bent, Fig. 1C is a view showing a folding direction or a bending direction (bending dire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In the direction of the stress.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힘을 가하면 벤딩라인(BL)을 따라 휘어지는 부분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편광필름(40)을 구성하는 편광자(30)는 편광필름(40)을 통과한 외부 광이 표시패널(10)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투과되지 않도록 기준축(수평방향의 축) a에 대하여 대략 θ=45°의 각도를 갖는 광 흡수축을 갖는다. 그런데 표시패널(10)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게 되면 편광자(30)는 광 흡수축 b의 방향으로 응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편광자(30)와 표시패널(10)은 응력방향의 힘의 추가에 의해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벤딩라인(BL)을 따라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Referring to FIGS. 1B and 1C, a conventional flexible display device has a portion bent along a bending line BL when a user's need is exerted. In general,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폴딩방향 또는 벤딩방향에 따른 응력방향을 조정하여 폴딩 또는 벤딩에 따르는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크랙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필름 및 그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capable of preventing cracks from being generated by reducing stress due to folding or bending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stress along the folding direction or the bending direction,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편광 선글래스를 착용하였을 경우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검게 표시되는 블랙아웃 현상(black out phenomenon)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필름 및 그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capable of preventing a black out phenomenon which is displayed in black when a user wears a polarized sunglass,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film.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편광필름은 어느 한 방향의 축을 따라 휘어지는 휨축을 가지며, 또한 편광자와 위상차막을 포함한다. 편광자는 휨축에 대하여 90°±30°의 각도 범위를 갖는 광 흡수축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선편광시킨다. 위상차막은 편광자의 일면에 위치되며, 편광자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의 투과속도를 지연시켜 투과시킨다. 위상차막은 광 흡수측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갖는 슬로우축(slow axis)을 갖는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ending axis which is bent along an axis in either direction, and also includes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The polarizer has a light absorption axis having an angle range of 90 占 with respect to the flexural axis and linearly polarizes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The retardation film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speed of external light incident through the polarizer with a delay. The retardation film has a slow axis having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light absorption side.
편광필름은 또한 편광자의 일면과 반대쪽의 타면 상에 위치되어 편광자로 부터 출사되는 광을 원 편광투과시키며, 상기 광 흡수축에 대하여 45°±30°의 각도 범위를 갖는 광학 축을 갖는 광학 부재막을 더 포함한다.The polarizing film further comprises an optical member film having an optical axis whic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transmits circul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polarizer and has an angular range of 45 占 占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bsorption axis .
위상차막은 편광자의 일면에 위치되는 일면을 갖는 λ/2 위상차막과, λ/2 위상차막의 일면과 반대쪽의 타면에 위치되는 λ/4 위상차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tardation film may include a? / 2 retardation film having one surface loc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 4 retardation film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 2 retardation film.
광학 부재막은 위상차가 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λ/4 위상차를 형성하는 QWP막이나 반응성 메조겐막(reactive mesogen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tical member film may be made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large retardation, or a QWP film or a reactive mesogen film forming a? / 4 phase difference.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상에 위치되는 상술한 편광필름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편광필름의 제 1 휨축과 일치하는 제 2 휨축을 가질 수 있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above-described polarizing film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may have a second bending axis coinciding with the first bending axis of the polarizing film.
본 발명의 편광필름 및 그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의하면, 편광자의 광 흡수축을 조정함으로써 폴딩방향 또는 벤딩방향에 따른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크랙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larizing film an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ss due to the folding direction or the bending direction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cracks can be obtained.
또한, 편광필름 상에 위상차가 크거나 λ/4 위상차를 일으키는 광학 부재막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가 편광 선글래스를 착용하였을 경우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검게 표시되는 블랙아웃 현상(black out phenomenon)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urther, by adding an optical member film having a large retardation on the polarizing film or causing a retardation of? / 4, it is possible to prevent a black out phenomenon which is displayed in black when the user wears the polarized sunglass Can be obtained.
도 1a는 종래의 편광필름이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폴딩방향(folding direction) 또는 벤딩방향(bending direction)과 편광필름의 응력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편광필름의 폴딩방향 또는 벤딩방향과, 위상차 지연막의 슬로우축 및 편광소자의 광 흡수축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편광필름의 폴딩방향 또는 벤딩방향과 편광필름의 응력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이 적용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편광필름의 폴딩방향 또는 벤딩방향과, 위상차 지연막의 슬로우축, 편광소자의 광 흡수축 및 광학 부재막의 광학축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이 적용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편광필름의 편광자의 광 흡수축에 대한 각도 범위에 따라 힘이 분산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nventional polarizing film is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FIG. 1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FIG.
FIG. 1C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ding direction or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A and the stres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ding direction or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shown in FIG. 2A,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optical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element,
FIG. 2C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ding direction or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shown in FIG. 2A and the stres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to which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ding direction or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shown in FIG. 4A,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the optical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element, and the optical axis of the optical member film,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to which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that the force is dispersed according to the angular range with respect to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편광필름의 폴딩방향 또는 벤딩방향과, 위상차 지연막의 슬로우축 및 편광자의 광 흡수축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편광필름의 폴딩방향 또는 벤딩방향과 편광필름의 응력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2A to 2C,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olding direction or a bend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shown in FIG. 2A and a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and a light absorption axis FIG. 2C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ding direction or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shown in FIG. 2A and the stres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FIG.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POL1)은 위상차막(200)과, 위상차막(200)의 일면 상에 위치되는 편광자(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A, the polarizing film POL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편광필름(POL1)은 1 방향의 축을 따라 폴딩되거나 벤딩될 수 있는 휨축(BL)을 갖는다. The polarizing film POL1 has a bending axis BL that can be folded or bent along one axis.
편광자(300)는 배향된 이색성 물질 또는 배향된 고분자 사슬 자체의 공액 구조에 의하여 비편광 상태인 백색광의 어느 한 성분은 흡수하고, 그와 직각인 다른 성분은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편광자(300)는 예를 들어 요오드계 편광 필름, 염료계 편광 필름 및 폴리엔계 편광 필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요오드계 편광 필름은 요오드 이온 사슬(polyiodide)이 연신 배향된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며, 염료계 편광 필름도 역시 이색성 염료가 연신 배향된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PVA 필름의 탈수반응 또는 PVC 필름의 탈염산 반응에 의해 폴리엔을 형성시켜 편광성을 나타낸다. The
도 2b를 참조하면, 편광자(300)는 광 흡수축(a)과 편광축(도 2b의 휨축(BL)과 동일한 축)을 구비한다. 편광자(300)의 광 흡수축(a)은 요오드 이온 사슬이 연신 배향된 축으로서, 임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의 수직한 두개의 성분 중 한쪽 성분이 편광자(300)의 전자와 상호 작용하여 빛의 전기적 에너지가 전자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에서 빛의 성분을 소멸시키는 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자의 광 흡수축(a)은 편광필름(POL1)의 휨축(BL)에 대하여 90°±30°의 각도 범위를 갖는다. Referring to FIG. 2B, the
편광자(300)의 편광축(도 2b의 휨축(BL)과 동일 축)은 광 흡수축(a)에 수직인 축으로서, 편광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편광자(30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 광을 선 편광하여 투과시킨다.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er 300 (coaxial with the bending axis BL of FIG. 2B) is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bsorption axis a, and transmits light oscill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polarization axis. Therefore, the
위상차막(200)은 복굴적 특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거나 고분자 사슬을 적절히 배향시켜 복굴절 특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위상차막(200)은 편광자(300)의 일면 상에 위치되며, 편광자(300)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은 외측의 표시패널(도시생략)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편광자(300)에 도달할 때 세로 방향으로 광 경로를 변경시켜 편광자(300)를 투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위상차막(200)은 편광자(300)의 타면에 위치되는 일면을 갖는 λ/2 위상차막(200b)과, λ/2 위상차막(200b)의 타면에 위치되는 λ/4 위상차막(200a)을 포함한다. The
λ/2 위상차막(200b)은 광의 투과속도를 지연시키며, 편광자(300)의 광 흡수측에 대해 대략 15°의 각도(θ1)를 갖도록 설정된 제1 슬로우축(slow axis)(b1)을 갖는다. λ/4 위상차막(200a)은 λ/2 위상차막(200b)을 투과한 외부 광의 투과속도를 지연시키며, 편광자(300)의 광 흡수측(a)에 대해 대략 75°의 각도(θ2)를 갖도록 설정된 제2 슬로우축(b2)을 갖는다. The? / 2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외부 광이 편광필름(POL1)에 입사되면, 외부 광은 편광자(300)에 의해 선편광되고, 위상차 필름(200)에 의해 원편광된다. 그리고, 편광필름(POL1) 외부에서 반사된 광이 다시 λ/4 위상차막(200a) 및 λ/2 위상차막(200b)을 투과하여 편광자(300)에 도달하면 이들 광은 원 편광되어 있기 때문에 편광축이 다른 편광자(300)를 투과하지 못하고 대부분 흡수된다. When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polarizing film POL1, external light is linearly polarized by the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POL1)은 편광자(300)의 광 흡수측이 휨축(BL)에 대해 직교하도록 되어 있다. 폴딩방향 또는 벤딩방향과 편광자의 광 흡수측에 의한 응력방향이 직교하게 되면 폴딩방향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에 의하면 휨축을 따라 편광필름이 휘거나 구부러지더라도 스트레스가 완화되어 편광필름에 크랙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C, the polarizing film POL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light absorption side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POL1)이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0)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의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100)은 편광필름(POL1)의 제1 휨축과 일치하는 제2 휨축을 구비한다.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polarizing film POL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2 휨축을 따라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휘거나 구부러지더라도 스트레스가 완화되어 표시패널의 소자나 편광필름(POL1)에 크랙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bent or bent along the second bending axi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the stress can be relaxed, and crack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element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ing film POL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POL1)에 의하면, 휨축을 따라 편광필름이 휘거나 구부러지더라도 스트레스가 완화되어 편광필름에 크랙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larizing film POL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olarizing film is warped or bent along the bending axis, the stress is alleviated and crack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polarizing film.
그러나, 편광필름은 일반적으로 정보통신 기기 등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부가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야외 등에서 표시장치를 보기 위해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한 경우에는 특정 방향에서 표시장치를 보았을 경우 화면이 보이지 않는 블랙아웃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polarizing film is generally used in addition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or the like, when polarizing sunglasses are worn for viewing a display device outdoors or the like, Out phenomenon occu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편광필름의 폴딩방향 또는 벤딩방향과, 위상차 지연막의 슬로우축, 편광소자의 광 흡수축 및 광학 부재막의 광학축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problem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tical axis of the optical member film.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POL2)은 위상차막(200)과, 위상차막(200)의 일면 상에 위치되는 편광자(300)와, 편광자(300)이 타면 상에 위치되는 광학 부재막(400)을 포함한다. 4A, a polarizing film POL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POL2)에서 위상차막(200)과 편광자(30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편광필름(POL1)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제1 실시예의 편광필름(POL1)과 다른 광학 부재막(4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광학 부재막(400)은 편광자(300)의 일면과 반대쪽의 타면 상에 위치되어 편광자로 부터 출사되는 광을 원 편광 투과시킨다. 또한, 광학 부재막(400)은 편광자(300)의 광흡수축(a)에 대하여 45°±30°의 각도 범위(θ3)를 갖는 광학 축(c)을 갖도록 설정된다. The
광학 부재막(40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될 수 있다. PET는 위상차가 큰 물질이기 때문에 편광자(300)를 통해 출사되는 광이 선편광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등을 착용하더라도 선편광에 의한 블랙아웃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이와 달리, 광학 부재막(400)은 QWP막이나 반응성 메조겐막(reactive mesogen film)과 같은 λ/4 위상차막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편광자(300)를 통해 출사되는 광은 λ/4 위상차막에 의해 원편광되므로 사용자가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등을 착용하더라도 선편광에 의한 블랙아웃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Alternatively,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POL2)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등을 착용하더라도 선편광에 의한 블랙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olarizing film POL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lackout phenomenon due to linearly polarized light even if the user wears sunglasses having a polarization func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POL2)이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0)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의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100)은 편광필름(POL2)의 제1 휨축과 일치하는 제2 휨축을 구비한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polarizing film POL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2 휨축을 따라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휘거나 구부러지더라도 스트레스가 완화되어 표시패널의 내부 소자나 편광필름(POL2)에 크랙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bent or bent along the second bending axi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the stress can be alleviated and crack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internal element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ing film POL2 .
다음의 표 1은 종래의 편광필름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편광필름에 대해 폴딩시의 곡률반경에 따라 나타나는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Table 1 below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showing the conventional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radius of curvature at the time of folding.
표 1에서 편광필름의 폴딩실험은 곡률반경 1.0mm, 1.5mm, 2.0mm의 경우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표1 에 기재된 백분율의 수치는 1.0mm의 곡률반경을 갖는 종래의 편광필름을 기준으로 정해진 상대적인 값이다. 곡률반경 1.0mm의 폴딩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편광필름이 종래의 편광필름에 대해 대략 6.7배의 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곡률반경 1.5mm의 폴딩실험에서는 6.2배의 강도를, 곡률반경 2.0mm의 폴딩실험에서는 69.2배의 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편광필름은 편광자의 광흡수축에 의해 편광필름의 휨에 따르는 스트레스가 분산되므로 종래의 편광필름에 비해 크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현저히 상승됨을 알 수 있다. In Table 1, folding experiments of the polarizing film were performed in the case of curvature radii of 1.0 mm, 1.5 mm and 2.0 mm. The values of the percentages given in Table 1 are relative values determined on the basis of a conventional polarizing film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of 1.0 mm. In the folding test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1.0 mm,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strength of about 6.7 times that of the conventional polarizing film. In the folding test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1.5 mm, In the folding test, it was found to have a strength of 69.2 times. As described above, in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ess due to the warping of the polarizing film is dispersed by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the effect of preventing crackin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larizing film is significantly improved hav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편광필름의 편광자의 광 흡수축에 대한 각도 범위에 따라 힘이 분산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that the force is dispersed according to the angular range with respect to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에서 x축은 휨축에 대한 편광자의 광 흡수축의 각도이고, y축은 광흡수축의 각도에 따르는 편광필름의 휨에 대한 편광필름의 응력의 상대값을 나타내고 있다. y좌표에서 1은 휨에 대한 응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며, 숫자가 작아질수록 악화됨을 나타내고 있다.In FIG. 6, the x-axis represents the angle of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with respect to the warp axis,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relative value of the stress of the polarizing film against the warp of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light absorption axis. In the y-coordinate, 1 indicates the state where the stress to warp is relatively best, and it shows that the smaller the number, the worse it is.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편광자의 광 흡수축은 휨축에 대하여 수직일 경우 가장 양호하고, 90°±30°의 각도 범위 내에서도 편광필름의 휨에 대한 응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est when it is perpendicular to the warp axis, and that the stress against the warp of the polarizing film is good even within an angle range of 90 ° ± 30 °.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광필름 또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휨축이 수평방향인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 방향 또는 임의의 다른 방향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film or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shown as be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take a vertical direction or any other direc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표시패널
200: 위상차막
200a: λ/4 위상차막
200b: λ/2 위상차막
300: 편광자
400: 광학 부재막
a: 광 흡수축
b1: 제1 슬로우축
b2: 제2 슬로우축
c: 광학축100: display panel 200: retardation film
200a:? / 4
300: polarizer 400: optical member film
a: light absorption axis b1: first slow axis
b2: second slow axis c: optical axis
Claims (5)
상기 휨축에 대하여 90°±30°의 각도 범위를 갖는 광 흡수축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선편광시키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위치되며, 상기 편광자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의 투과속도를 지연시켜 투과시키며, 상기 광 흡수측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갖는 슬로우축(slow axis)을 갖는 위상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In a polarizing film having a bending axis which is bent along an axis in one direction,
A polarizer having a light absorption axis having an angle range of 90 占 占 with respect to the flexural axis, the polarizer being adapted to linearly polarize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nd
And a retardation film which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transmits a retardation of the transmission speed of external light incident through the polarizer and has a slow axis having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light absorption side Polarizing film.
상기 편광자의 일면과 반대쪽의 타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편광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원 편광투과시키며, 상기 광 흡수축에 대하여 45°±30°의 각도 범위를 갖는 광학 축을 갖는 광학 부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tical member film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and having an optical axis which transmits circul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polarizer and has an angular range of 45 ° ± 30 °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bsorption axis Characterized by a polarizing film.
상기 위상차막은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위치되는 일면을 갖는 λ/2 위상차막과, λ/2 위상차막의 일면과 반대쪽의 타면에 위치되는 λ/4 위상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tardation film comprises a? / 2 retardation film having one sid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 4 retardation film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 2 retardation film.
상기 광학 부재막은 위상차가 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λ/4 위상차를 형성하는 QWP막이나 반응성 메조겐막(reactive mesogen fil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tical member film is made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large retardation, or a QWP film or a reactive mesogen film forming a? / 4 retardation.
상기 표시패널 상에 위치되는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편광필름의 제 1 휨축과 일치하는 제 2 휨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A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i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display panel has a second bending axis coinciding with a first bending axis of the polarizing fil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5203A KR20160055431A (en) | 2014-11-10 | 2014-11-10 |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5203A KR20160055431A (en) | 2014-11-10 | 2014-11-10 |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5431A true KR20160055431A (en) | 2016-05-18 |
Family
ID=5611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5203A Ceased KR20160055431A (en) | 2014-11-10 | 2014-11-10 |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55431A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13762A (en) * | 2016-03-24 | 2017-10-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ptical film and display apparatus |
US20180149785A1 (en) * | 2016-11-28 | 2018-05-31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CN108121103A (en) * | 2016-11-28 | 2018-06-05 | 三星显示有限公司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KR20180069762A (en) * | 2018-06-05 | 2018-06-25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Optical film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200104276A (en) * | 2019-06-27 | 2020-09-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KR20220026563A (en) * | 2020-08-27 | 2022-03-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US20230122614A1 (en) * | 2021-01-25 | 2023-04-20 |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CN116324604A (en) * | 2020-10-26 | 2023-06-23 | 日东电工株式会社 | Polarizer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US12216353B2 (en) | 2016-11-28 | 2025-02-04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
2014
- 2014-11-10 KR KR1020140155203A patent/KR2016005543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13762A (en) * | 2016-03-24 | 2017-10-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ptical film and display apparatus |
US12310211B2 (en) | 2016-03-24 | 2025-05-20 | Samsung Display Co., Ltd. | Anti-reflective optical film and benda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optical film |
US11693272B2 (en) | 2016-11-28 | 2023-07-04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US20180149785A1 (en) * | 2016-11-28 | 2018-05-31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CN108121103A (en) * | 2016-11-28 | 2018-06-05 | 三星显示有限公司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KR20180061484A (en) * | 2016-11-28 | 2018-06-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US10401675B2 (en) * | 2016-11-28 | 2019-09-03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US10551538B2 (en) | 2016-11-28 | 2020-02-04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device |
US11262613B2 (en) | 2016-11-28 | 2022-03-01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US12216353B2 (en) | 2016-11-28 | 2025-02-04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CN108121103B (en) * | 2016-11-28 | 2022-08-12 | 三星显示有限公司 | flexible display device |
KR20180069762A (en) * | 2018-06-05 | 2018-06-25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Optical film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200104276A (en) * | 2019-06-27 | 2020-09-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KR20220026563A (en) * | 2020-08-27 | 2022-03-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CN116324604A (en) * | 2020-10-26 | 2023-06-23 | 日东电工株式会社 | Polarizer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
US20230122614A1 (en) * | 2021-01-25 | 2023-04-20 |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55431A (en) |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US9563000B2 (en) | Polarizing plate for OLED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US8520171B2 (en) | Optical display device having polarizing film | |
JP6929586B2 (en) | Anti-reflection optical fil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US10510988B2 (en) | Anti-reflection film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nti-reflection film | |
KR102084118B1 (en) | Polarizing plate for oled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US11079529B2 (en) | N4 phase retardation film,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12005136B (en) | Elliptical Polarizer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 |
KR20120015942A (en) | Folding display device employing antireflection film and the antireflection film | |
WO2014153852A1 (en) |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 |
TWI639031B (en) | Anti-reflection optical filter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 |
KR20140091363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1966831B1 (en) | Optical filter for anti-reflection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 |
KR20170097597A (en) | Multilayere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 |
US10067277B2 (en) | Compensation film, an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0698146B2 (en) | Polarized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587681B1 (en) |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JP2007298540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 |
KR20160109525A (en) | A retardation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US10338426B2 (en) | Light diffusion member, base material for light diffusion member production,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light diffusion member | |
JP2005326831A (en) | Optical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applying the same | |
KR101955768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
JP7410979B2 (en) |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unevenness inspection device and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unevenness inspection method | |
KR102577329B1 (en) | Polarizing plates and uses thereof | |
JP2018092163A (en) | Compensation film,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