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52249A -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249A
KR20160052249A KR1020140152310A KR20140152310A KR20160052249A KR 20160052249 A KR20160052249 A KR 20160052249A KR 1020140152310 A KR1020140152310 A KR 1020140152310A KR 20140152310 A KR20140152310 A KR 20140152310A KR 20160052249 A KR20160052249 A KR 20160052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delivery
recipient
post office
se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5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2249A/ko
Priority to US14/630,175 priority patent/US20160125351A1/en
Publication of KR20160052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24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은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배달함에 우편물을 배송하고자 하는 발송자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의 수령자의 정보 및 상기 무인 우체국의 주소를 통해서 상기 우편물이 특정되고, 우체국으로 발송되는 단계, 상기 주소를 통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우체국의 다른 복수의 우편물과 함께 분류되어 상기 무인 우체국에 배달될 배달물량에 포함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이 상기 무인 우체국으로 배달되는 단계, 및 상기 수령자의 정보의 인증을 통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POSTAL MATTER AUTOMATICALLY}
본 발명은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우체국으로 배달을 위한 분류 작업 및 배달준비 방법, 우편물 회원/비회원 우편물 배달, 부재 중 우편물 배달, 수령, 배달함의 우편물에 대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쇼핑과 같은 온라인 거래의 폭발적인 증가로 우편 수화물의 물동량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나, 우편 회사의 업무 흐름은 신속한 물품발송을 원하는 발송자의 요구를 충족할 만큼 신속하지 못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택배 수화물을 발송하기 위해, 발송자는 택배회사를 선정하여, 택배회사에 유선 또는 온라인으로 수화물 집화(集貨)를 요청하고, 택배 기사의 방문을 통해 수화물을 발송하게 된다. 택배 기사의 방문은 택배 회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수 시간에서 하루 가까운 시간이 허비되기도 한다. 또한, 택배 기사 방문시, 발송될 주소와 같은 택배정보는 PDA와 같은 개인 단말기로 입력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택배 기사가 수기로 작성하고, 이후 수화물이 모이는 집화 터미널에서 전산으로 재차 입력된다. 이 과정에서, 택배 기사 또는 전산 입력과정의 오류가 발생할 경우, 수화물이 엉뚱한 곳으로 발송될 수도 있으며, 전산 입력 등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배송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발송자가 직접 수화물을 발송할 수 있는 무인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기존에 제안된 무인장치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영상 획득 결과를 통해서 무인으로 우편물을 배달하는 경우, 2대 이상의 카메라로 영상을 회득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위한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우편물을 배달하는 방법 및 제어하기 위한 장치 등에 대하여 구체적인 내용이 명시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수령자가 소지한 무선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을 통해서 우편물을 수령하는 경우, 휴대폰 분실로 인하여 수령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와 수령인이 아닌 제3자가 휴대폰 획득하여 접근할 경우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배달함이 개인별로 1개가 배정되어 있는 경우, 동일한 개인에게 추가로 우편물을 배달하게 될 경우 이전에 배달된 우편물의 분실 및 도난의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주소체계를 무인 우체국에 적용하여 배달 준비 작업이 용이하고, 1차 배송지의 무인 우체국 배달함이 부족한 경우, 2차 및 3차 무인 우체국 또는 배달 가능 주소로 우편물을 배달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인 우체국 배달함에 장기 보관되는 우편물에 대하여 보관기간 연장이 가능하고, 수령인에게 재배달이 가능하도록 원하는 주소지로 우편물 배달을 요청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달원 및 수집 작업자에 의해 배달결과 등록, 부가서비스 내용의 관리, 수령내역의 제공 등을 위한 데이터를 별도로 등록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기존과 같이 우편물 처리 결과를 등록하는 통신비용이 절감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 수령인에게 복수의 우편물이 배달되는 경우에도, 우편물의 분실 및 도난 등의 우려가 없도록 하고, 배달함의 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설치 공간 최소화에 도움이 되어 설치비용 또한 최소화가 될 수 있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은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배달함에 우편물을 배송하고자 하는 발송자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의 수령자의 정보 및 상기 무인 우체국의 주소를 통해서 상기 우편물이 특정되고, 우체국으로 발송되는 단계, 상기 주소를 통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우체국의 다른 복수의 우편물과 함께 분류되어 상기 무인 우체국에 배달될 배달물량에 포함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이 상기 무인 우체국으로 배달되는 단계, 및 상기 수령자의 정보의 인증을 통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발송 또는 수령 무인 우체국의 주소는, "N 자리의 정수 - M 자리의 정수"로 구성되고, 상기 N 및 M은 자연수이며, 상기 N 자리의 정수는 상기 발송 또는 수령 무인 우체국이 설치된 위치의 위치번호 및 관리번호이고, 상기 M 자리의 정수는 상기 고객정보 관리부를 통해서 상기 발송자에게 부여되는 회원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는 상기 발송자에게 상기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기 위한 약관에 관한 동의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송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무인 우체국을 설정하고, 상기 무인 우체국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배달 장소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발송자의 정보를 통해서 상기 발송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의 수령자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발송자에게 부여되는 회원번호가 상기 발송자에게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는 발송자들의 회원 데이터로 상기 발송자의 정보 및 상기 회원번호가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의 정보 및 상기 수령자의 정보 각각은 상기 발송자 및 수령자가 소지하는 무선 단말기의 정보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 또는 상기 수령자에게 상기 우편물과 관련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배달함에 배달된 우편물에 대한 보관일 연장, 다른 배달 장소로의 전송 신청, 반품 신청, 상기 우편물의 이미지의 제공 요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무인 우체국으로 배달되는 단계는 상기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배달함의 사용현황을 조회하여 상기 우편물의 제1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우편물의 배달이 가능한 경우, 상기 무인 우체국으로 상기 우편물을 배달하고, 상기 우편물의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무인 우체국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배달 장소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다른 배달 장소에 상기 우편물의 제2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우편물의 배달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다른 배달 장소로 상기 우편물을 배달하고, 상기 우편물의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수령자 또는 상기 발송자에게 상기 우편물의 배송지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지가 변경된 경우, 상기 우편물은 상기 변경된 배송지로 배달되고, 상기 배송지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우편물은 상기 우체국에 보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의 배송지 변경의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수령자 또는 상기 발송자의 무선 단말기 및 이메일을 통해서 상기 우편물의 배송지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되는 단계는 상기 수령자의 상기 무인 우체국의 회원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령자의 회원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회원번호를 통해서 상기 수령자를 인증하고, 상기 수령자의 회원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령자에게 상기 우편물을 수령하기 위한 임시ID 및 비밀번호를 전달하고, 상기 임시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서 상기 수령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수령자에게 상기 우편물의 물량 및 보관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우편물이 배달된 배달함이 선택되고,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된 후, 상기 배달함에 구비된 문이 닫힌 상태인지 여부 및 상기 우편물 외에 다른 우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발송자 및 상기 수령자의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수령자 또는 상기 무인 우체국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발송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배달함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수령자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관리자에게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시간 중 상기 제1 시간이 가장 짧은 시간이고, 상기 제3 시간이 가장 긴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은 별도의 주소체계를 무인 우체국에 적용하여 배달 준비 작업이 용이하고, 1차 배송지의 무인 우체국 배달함이 부족한 경우, 2차 및 3차 무인 우체국 또는 배달 가능 주소로 우편물을 배달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우체국 배달함에 장기 보관되는 우편물에 대하여 보관기간 연장이 가능하고, 수령인에게 재배달이 가능하도록 원하는 주소지로 우편물 배달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배달원 및 수집 작업자에 의해 배달결과 등록, 부가서비스 내용의 관리, 수령내역의 제공 등을 위한 데이터를 별도로 등록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기존과 같이 우편물 처리 결과를 등록하는 통신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동일 수령인에게 복수의 우편물이 배달되는 경우에도, 우편물의 분실 및 도난 등의 우려가 없도록 하고, 배달함의 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설치 공간 최소화에 도움이 되어 설치비용 또한 최소화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에 이용되는 무인 우체국에 구비되는 배달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에 이용되는 무인 우체국의 우편번호 및 주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의 발송자 회원 가입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의 우편물 배달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의 우편물 수령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에 이용되는 무인 우체국에 구비되는 배달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인 우체국은 복수의 배달함을 구비하고, 해당 복수의 배달함은 배달된 우편물을 보관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크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무인 우편국에 구비된 배달함은 소형등기통상, 대형등기통상, 소포크기별 배달함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배달함의 공간 활용도와 배달함의 배치에 따른 재구성이 용이하도록 2개의 행 단위(11, 12; 13, 14; 16, 17)로 높이를 같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 및 대형 등기통상 배달함은 폭 50cm에 4개의 함(12, 13)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달함의 문을 자동으로 열리게 하거나 또는 닫히게 하기 위한 장치(20, 18)가 배달함의 하단 또는 상단에 설치 될 수 있고, 4개의 배달함 및 그 배달함의 아래 또는 위에 위치한 2개 이하의 배달함이 존재하는 경우, 4개로 구성된 배달함의 문이 고정되도록 하며, 배달함의 문이 열림 상태로 될 경우, 문이 고정되지 않아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문을 고정하는 고정 틀(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형 및 대형 소포 보관함은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하여 한 방향으로 배달함의 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달함으로 우편물이 투입되는 상태 및 배달함 내부에 우편물의 존재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배달함 내부에는 2개 이상의 센서(3, 4, 7, 8, 9, 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배달함의 우편물 투입 여부 및 우편물의 존재여부에 관한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무인 우체국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통합제어 시스템에 해당 식별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배달함의 깊이는 배달될 우편물의 최대 길이를 고려하여 칸막이(4)를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우편물의 배달시에 우편물이 배달함에 투입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상태의 식별이 용이하며, 우편물의 수령자가 우편물을 수령하는 경우, 배달함 내의 우편물 존재 유무 확인 및 수령이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에 이용되는 무인 우체국의 우편번호 및 주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인 우체국은 우편번호 및 주소를 통해서 다른 여러 무인 우체국과 구분되어 특정된다.
우편번호는 각 국가별로 사용하는 현재의 방법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주소의 경우, 우편물의 배달을 위한 분류 작업이 용이한 체계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인 우체국의 주소는 "N 자리의 정수 - M 자리의 정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N 및 M은 자연수이다. 먼저 앞의 N 자리의 정수는 무인 우체국이 설치된 위치의 위치번호 및 관리번호이고, 뒤의 M 자리의 정수는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는 발송자에게 부여되는 회원번호이다. N 및 M이 4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앞의 4자리는 우편물의 집배구역과 무인 우체국의 위치번호를 나타내고, 뒤 4자리는 회원번호이기 때문에, 이후 무인 우체국의 배달함에 우편물을 투입할 때, 우편물을 투입하기 위한 정보도 사용할 수 있다.
서울 강남 무인 우체국의 주소가 "1001-0001"인 경우, 서울 강남은 무인우체국 설치 위치된 배달 지역명이며, 앞의 4자리는 서울 강남에서 해당 무인 우체국이 설치된 위치 및 해당 무인 우체국의 관리번호 역할을 한다. 뒤 4자리는 회원번호로서 발송자의 무인 우체국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할 때 승인된 고객의 순번을 적용할 수 있다. 만일 무인 우체국 발송자가 회원으로 가입되지 않은 비회원의 경우에는 뒤 4자리를 제외한 주소를 사용하여 우편물 배달을 접수할 수 있고, 그 경우 앞 4자리만이 해당 무인 우체국으로 우편물을 배달하기 위한 주소로 사용될 수 있다.
무인 우체국의 우편번호는 우편번호 검색결과를 사용하여 발송자를 통해서 설정될 수 있고, 무인 우체국 주소의 앞 4자리는 무인우체국을 선택하면 해당 무인 우체국이 해당 지역에 설치된 순번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해당 무인 우체국 주소는 현행 국가 우편번호 DB에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은 S310 내지 S400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무인 우체국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배달함에 우편물을 배송하고자 하는 발송자의 정보가 획득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정보의 획득은 발송자가 스스로의 무인 우체국 시스템에 회원가입을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S310).
그 후, 발송자를 통해서 우편물을 수령하기 위한 수령자에 관한 정보가 획득된다. 그리고,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무인 우체국의 주소 및 우편번호를 통해서 무인 우체국으로 배달될 우편물이 특정된다. 해당 우편물이 특정된 후, 우체국으로 해당 우편물이 발송된다(S330).
그 후, 발송되어 우체국에 도착한 우편물은 S320 단계의 주소를 통해서, 우체국에 도착한 다른 여러 우편물과 함께 분류(S350)되어 발송자에 의해서 설정된 무인 우체국으로 배달될 배달물량에 포함된다(S370).
그 후, 우편물은 분류되어 배달물량에 포함된 다른 우편물들과 함께 무인 우체국으로 배달(S390)되고, 수령자의 정보를 통해서, 우편물의 수령자로 설정된 사람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이 된 경우, 우편물은 수령자에게 수령된다(S4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의 발송자 회원 가입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원 가입 단계는, S311 단계 내지 S317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발송자에게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기 위한 관련 규정들이 기재된 약관을 제공하고 제공된 약관에 관한 동의를 요청한다(S311).
그 후, 발송자의 주소 및 소지한 무선 단말기의 번호 등과 같은 발송자의 정보가 입력된다(S312).
그 후, 해당 우편물이 수령될 수 있는 무인 우체국을 설정하고, 만일 해당 무인 우체국으로 우편물이 배달되지 않는 경우, 다른 배달 장소로 우편물이 배달될 수 있는 배달 장소를 선택한다(S313). 여기서 다른 배달 장소는 해당 무인 우체국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장소가 되며, 다른 배달 장소가 2 곳 이상인 경우, 배달 장소들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S312 단계에서 입력된 발송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발송자의 본인 여부를 인증한다(S314).
그 후, 해당 우편물을 수령자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S315). 여기서, 수령자에 관한 정보 역시 발송자 정보와 마찬가지로, 수령자가 소지한 무선 단말기의 번호 및 이메일 주소 등이 될 수 있다.
그 후, 발송자에게 무선 우체국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회원번호가 부여된다(S316).
이 후,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는 발송자들의 회원 데이터로 상기 발송자의 정보 및 상기 회원번호가 등록된다(S317).
앞서 설명한 무인 우체국의 회원 가입 과정은 회원등록 및 인증을 처리하는 구성을 통해 무인 우체국 이용 약관이 제공되어 발송자의 동의를 획득한 후, 우편물의 수령자의 주소의 입력 및 주소 검색/등록기를 통해서 우편물이 배달될 무인우체국의 주소와 우편번호를 배정받을 수 있다. 만일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는 회원가입자 수와 그들의 배달물량 및 접수물량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에는 발송자의 회원가입이 자동으로 승인되지만, 무인 우체국이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이 초과된 경우, 해당 무인 우체국에 인접한 다른 무인 우체국의 주소 및 우편번호가 사용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령자의 경우, 발송자가 지정할 수 있고, 수령자 자신을 포함하여 그의 가족 등도 우편물의 수령자으로 지정하여 등록될 수 있으며, 그들의 무선 단말기 번호, 이메일 등의 정보가 입력된 경우, 해당 우편물의 배달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해당 무선 단말기 및 이메일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S313 단계에서 선택된 무인 우체국의 배달함이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초과되어 우편물의 배달이 곤란할 경우, 배달이 가능한 다른 무인 우체국 또는 배달 장소를 등록할 수 있으며, 그와 함께, 배달된 우편물에 대한 보관일, 초과 보관 요청 및 초과 보관 요청시 이용료 결제 방법(일괄결제 또는 발생시 결제 후 수령) 등을 발송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송자의 정보뿐만 아니라 수령자의 정보도 회원관리 데이터에 등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의 우편물 배달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편물 배달 단계는 S391 단계 내지 S398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배달함의 사용현황을 조회하여 현재 해당 무인 우체국으로 우편물이 배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91).
S391단계에서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해당 무인 우체국으로 우편물의 배달이 가능한 경우, 무인 우체국으로 우편물을 배달(S398)하고, 해당 무인 우체국으로 우편물의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무인 우체국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배달 장소(2차 또는 3차 배송지)를 조회한다(S393).
그 후, 다른 배달 장소에 우편물의 배달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94).
S394단계에서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른 배달 장소로 우편물의 배달이 가능한 경우, 해당 다른 배달 장소로 우편물을 배달(S398)하고, 다른 배달 장소로 우편물의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수령자 또는 발송자에게 우편물의 배송지를 변경하도록 요청한다(S395). 여기서, 수령자 또는 발송자에게 우편물의 배송지를 변경하도록 요청할 때, 수령자 또는 발송자가 소지한 무선 단말기 및 이메일 등을 통해서 우편물의 배송지를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 후, S395 단계를 통해서 배송지가 변경된 경우, 우편물은 변경된 배송지로 배달되고, 배송지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우편물은 처음 무인 우체국 사용을 위해 접수된 우체국에 보관된다(S397).
앞서 설명한 배달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편물이 배달될 무인 우체국을 관리하는 우체국에 배달할 우편물이 도착하면, 무인 우체국 별로 등기바코드를 판독하거나 또는 자동분류 작업(예를 들어, 회원번호 바코드 판독)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등기바코드 판독결과에 의해 무인 우체국을 특정하는 주소의 앞 4자리 숫자와 우편물 크기 별로 정렬하여 해당 무인 우체국에 배달될 배달물량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우체국 별로 배달함의 사용 현황(배달함 크기별, 배달가능 함의 수)을 조회한 경우, 만일 우편물의 크기 기준으로 배달함이 부족한 경우, 배달 가능한 우편물의 크기 조건을 고려하여 배달물량에서 배달이 가능한 우편물을 선택하고, 이후 해당 우편물을 배송하고자 하는 발송자가 회원 또는 비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한 분류작업을 수행한 다음, 분류 작업과정에서 획득된 등기바코드 및 회원정보 판독결과를 기반으로 배달을 위한 정보가 생성되어 배달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만일 무인 우체국 배달함으로 배달되는 우편물량이 많아 배달이 곤란한 경우, 발송자가 요청한 다른 배달 장소인 다른 무인 우체국 또는 수취인 주소로 배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배달이 불가능한 우편물에 대하여 회원번호 기준으로 배달조건을 회원관리 데이터로부터 조회하고, 2차 배달지역이 수령자의 주소 또는 우체국인 경우는 담당 집배원이 선택되고, 등기바코드를 판독하여 배달준비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과를 우편 물류 시스템에 구비된 배달 준비 데이터 관리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인 우체국 배달함으로 배달을 요청한 경우에는 배달조건에 적합한 무인 우체국의 배달함 현황을 배달함 관리기로부터 조회하고, 우편물의 크기와 구비된 배달함 수를 고려하여 배달원이 해당 우편물의 등기코드 또는 회원번호 바코드를 판독 또는 입력하여 배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일 2차 배달 장소 역시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3차 배달 장소로 배송되어야 할 배달정보를 생성한 후 해당 우편물이 3차 배달 장소로 배달될 수 있다.
무인 우체국에 여유가 있는 배달함의 현황을 조회하여 무인 우체국에 배달될 예정인 배달물량과 비교하여 여유 배달함 수가 부족한 경우, 우편물 접수 순번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배달 불가 우편물에 대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배달이 가능한 우편물에 대하서는 배달준비 완료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3차까지 무인 우체국에 배달이 불가능 할 경우에는 해당 우편물은 수취인 주소로 배달되거나 또는 우체국에 보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배달증이 생성되면, 발송자 또는 수령자에게 SMS, E-mail, Push 메시지로 해당 우편물이 배달되고 있는 준비임을 통지할 수 있고, 통지되는 내용은 배달될 우편물 건 별이 아닌 수령자 별로 1건의 메시지로 작성된 내용에 대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분류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등기번호에 회원번호를 포함한 바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2 또는 3차 배달 장소로 우편물이 배달되어야 할 경우, 지정된 당일에 해당 우편물의 배송이 가능한지 식별하고, 당일 배송이 가능하지 않은 지역일 경우에는 발송자 또는 수령자에게 SMS, E-mail, Push 메시지로 이를 통지하고, 다음 날 재배달을 원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배달작업 수행될 수 있다. 배달장소 확인 여부는 부재중인 고객의 응답결과에 의한 배달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고객의 회신 결과에 따라 배달장소로 배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발송자 또는 수령자의 데이터를 조회하여 무선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전화)로 배달 장소(우체국, 수취인 주소)에 대한 승인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결과에 의해 배달장소가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의 우편물 수령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편물 수령 단계는 S401 단계 내지 S410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배달된 우편물을 수령하고자 하는 수령자가 무인 우체국 시스템의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1). 여기서, 수령자의 회원여부는 무인 우체국의 회원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S401 단계에서의 파난 결과, 수령자의 회원번호가 존재하여 회원인 경우, 회원번호를 통해서 수령자 본인 확인을 인증한다(S402). 그러나 수령자의 회원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비회원인 경우, 우편물을 수령하기 위한 임시ID 및 비밀번호를 비회원 수령자에게 전달(S403)하고, 전달된 임시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서 수령자 본인 확인을 인증한다(S404).
그 후, 무인 우체국 배달함에 배달된 우편물의 물량 및 보관 내역을 확인한다.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인증된 수령자에게 우편물의 물량 및 보관 내역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
그 후, 수령자의 제어에 따라 우편물이 배달된 배달함이 선택(S406)되고, 우편물이 해당 수령자에게 제공된다.
이 후, 선택된 배달함에 구비된 문이 닫힌 상태인지 여부 및 해당 배달함 내부에 수령된 우편물 외에 다른 우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S407).
S407 단계에서 식별한 결과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해당 우편물이 안전하게 의도된 수령자에게 수령되었으므로 발송자 및 수령자의 정보가 삭제되고, 우편물이 수령자에게 수령된 정보는 저장된다(S409).
이와 달리, S407 단계에서 식별한 결과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 수령자 또는 무인 우체국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해당 배달함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린다(S410). 여기서, 해당 배달함 내부에 수령된 우편물 외에 다른 우편물이 존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 동작이 수행된다.
S41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달함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별도의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령자가 배달함 문을 연 이후 미리 설정된 3분이 경과한 뒤에도 배달함의 문이 여전히 열린 상태인 경우,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발송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배달함 문이 열린 상태임을 수령자에게 알릴 수 있다. 3분 정도의 시간이면, 수령자는 여전히 무인 우체국 주변에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 후, 3분을 넘어 미리 설정된 5분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여전히 배달함의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수령자의 무선 단말기로 해당 배달함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즉, 5분 정도의 시간이면 수령자는 무인 우체국 주변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 후, 5분을 넘어 미리 설정된 10분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여전히 배달함의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해당 무인 우체국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즉, 10분 정도의 시간이 흐른 뒤라면, 수령인보다는 해당 dan인 우체국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우편물 수령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편물을 수령하고자 하는 수령자가 회원 또는 비회원인 경우, 예를 들어, 회원은 가입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하거나, 회원바코드 또는 카드가 인식되면, 우편 물류 시스템의 회원데이터를 조회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비회원의 경우에는 비회원 수령자의 휴대전화 또는 이메일로 수신된 임시ID와 비밀번호를 통하여 무인 우편국 운영관리 장치에 저장된 임시ID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우편물의 수령이 가능한 고객으로 인증되면 우편물의 수령방법이 수령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인증이 완료된 수령자에 대하여 수령이 가능한 우편물의 목록이 제공되며, 수령하고자 하는 배달함을 선택하여 배달함을 열고자 하면, 통합 제어 시스템을 통해서 해당 배달함의 문을 자동으로 연 후, 해당 우편물의 수령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배달된 우편물을 수령자가 수령한 후 수령자에 의해 배달함의 문이 닫히게 되면 배달함 문을 닫힌 상태로 식별되고, 배달함 내에 우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배달함내에 우편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달함과 결합된 등기번호는 수령이 완료된 것으로 저장된다. 만일 여러 우편물이 배달된 배달함의 경우, 배달함 내에 우편물 존재여부가 정확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배달함 크기별로 설치된 복수의 센서 중에서 1개 이상의 센서가 on 상태로 식별되면 배달함에 우편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된다.
부가적으로 우편물 수령 물량을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달함에 부착된 바코드 판독기로 수령자가 수령한 우편물의 등기바코드를 판독하면, 판독된 등기번호의 우편물의 수령은 완료된 것으로 처리하여 저장될 수 있다. 배달이 완료된 등기번호를 제외한 우편물은 여전히 해당 배달함에 보관 중 상태로 우편 물류 시스템의 운영결과에 등록될 수 있다. 한편 수령자가 비회원인 경우, 수령될 우편물이 모두 수령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비회원 수령자에게 전송된 임시ID 및 비밀번호는 삭제된다.
그리고 우편물 수령 중에 배달함이 정상적으로 닫혀지지 않은 경우에 배달함에 우편물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제공 및 배달함 내에 우편물 분실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수령 중 배달함에서 우편물만 수령하고, 일정시간(미리 설정된 시간: 3분) 뒤에도 배달함의 문이 여전히 닫혀진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배달함 내에 우편물 감지결과에 의해 우편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계속 우편물을 수령여부를 음성 또는 발송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령자에게 제공한다.
이후, 5분 이내에도 해당 문이 닫힘 상태(354)가 아니거나 또는 배달함 내에 우편물이 존재할 경우, 수령자의 휴대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미수령된 우편물이 존재함을 알릴 수 있다. 그 후의 일정시간 뒤에도 배달함의 문이 닫혀진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수령자 외의 다른 수령자 또는 관리자를 통해서라도 해당 배달함의 문을 닫혀야 다른 우편물의 수령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즉, 배달함이 계속 열려있는 상태면, 관리자에 SMS 메시지를 통하여 배달함 문이 열린 상태임을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은 앞서 설명한 단계들과 더불어, 우편물 배달과 관련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발송자 또는 수령자는 무인 우체국의 배달함에 배달된 우편물에 대하여 보관일 연장, 다른 장소로의 전송 신청, 반품 신청 및 우편물 이미지 제공 서비스 등에 관한 부가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발송자 또는 수령자에게 제공되는 우편물 목록에서 위와 같은 부가서비스를 선택되도록 한다. 이후, 해당 부가서비스에 대한 입력 요소인 보관일, 반품요청일, 전송요청일 등이 입력되면, 부가서비스에 소요되는 요금의 결제를 요청하고, 요금결제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전송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에는 입력된 전송주소를 포함하여 서비스 요청 내역이 등록될 수 있고, 부가서비스 요청 내역에 따른 요금 결제방법도 데이터로 등록될 수 있다. 우편물 이미지 조회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원하는 우편물을 선택하면 우편물 영상이 화면에 제공되며, 우편물의 이미지를 확인한 후, 다시 필요한 부가서비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보관일 연장 우편물에 대한 부가서비스는 고객이 수령하지 않음으로 인해서, 보관 연장일이 초과된 경우에는 고객에게 보관일이 만료되었음을 통지하고, 이후에도 수령하지 않은 경우 반품처리 대상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후의 이용료를 산정하여 결제내역이 수령인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송자에 의해 배달이 요청된 우편물을 수집하기 위해 수집 작업자 또는 배달작업자가 로그인하면, 발송자에 의해 요청된 부가서비스 내역은 우편물의 등기번호를 통해서 부가서비스 관리기로부터 부가서비스 처리결과 관리기에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고객에 의해 선택된 부가서비스가 요청된 우편물에 부가 서비스와 관련하여 출력된 라벨을 부착하고, 라벨에 인쇄된 등기바코드 판독결과가 획득되면 부가 서비스 접수가 완료된 것으로 결과가 등록될 수 있다. 요청 서비스 우편물에 대한 결과 등록이 완료되면,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사용된 정보데이터는 삭제될 수 있다. 반품처리 요청된 우편물은 배달함을 선택하여 바코드 판독기에 의해 등기바코드를 판독하여 반품처리가 시작됨을 등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은 고객 정보 관리부(711), 우편물 분류부(720) 및 수령자 인증부(731)을 포함한다.
고객 정보 관리부(711)는 발송 무인 우체국(7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우편물 발송자의 이름, 연락처 등과 같은 정보와 우편물 수령자의 이름, 연락처, 수령 장소와 같은 정보를 입력받고, 저장하며, 관리한다.
우편물 분류부(720)는 고객 정보 관리부(711)에서 입력받은 수령자의 정보 및 발송 무인 우체국의 주소를 통해서 의뢰된 우편물을 다른 우편물들과 구분하여 특정하고, 우편물의 크기에 따라 우편물을 정렬하고 분류하여 수령 무인 우체국에 배달될 배달물량을 생성한다.
수령자 인증부(731)는 수령 무인 우체국(7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입력된 수령자의 정보를 통해서 우편물을 수령하는 자의 신분을 인증하여 우편물의 진정한 수령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수령자 인증부(731)는 수령자의 수령 무인 우체국의 회원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령자의 회원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회원번호를 통해서 수령자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수령자의 회원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령자에게 우편물을 수령하기 위한 임시ID 및 비밀번호를 전달하고, 전달된 임시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서 수령자를 인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객정보 관리부(811)는 인터페이스기(812), 수령 장소 선택기(813) 및 회원 데이터 관리기(814)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기(812)는 발송자로부터 발송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기 위한 약관을 제공하여 무인 우체국 사용을 설명하고, 발송자의 정보 및 수령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수령 장소 선택기(813)는 수령 무인 우체국에 배송 가능한 경우가 아닌 경우를 대비하여, 수령 무인 우체국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배달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회원 데이터 관리기(814)는 우편물을 발송하는 발송자를 다른 사람들과 구분하여 특정하는 회원번호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기(812)를 통해서 입력된 발송자의 정보 및 회원번호를 발송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는 발송자들을 관리하는 회원 데이터로서 등록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은 단순히 우편물을 배송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부가 서비스 제공부(840)을 통하여 발송자 또는 수령자에게 우편물과 관련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결재 관리부(850)를 통하여 부가 서비스 중 별도의 요금이 발생되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결제를 발송자 또는 수령자에게 요청하고, 해당 결재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는 수령 무인 우체국의 배달함에 배달된 우편물에 대한 보관일 연장, 다른 배달 장소로의 전송 신청, 반품 신청, 우편물의 이미지의 제공 요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제공부(840)는 발송자 또는 수령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인터넷과 연동될 수 있고, 연동된 무선 단말기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우편물의 이미지 제공을 위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부(840)는 우편물의 이미지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영상 획득기(841) 및 발송자 또는 수령자의 요청에 따라 획득된 이미지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발송자 또는 수령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관리기(8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은 배당 가능 여부 판단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당 가능 여부 판단부(860)는 수령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배달함의 사용현황을 조회하고, 조회된 결과를 바탕으로 우편물의 제1 배달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제1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수령 무인 우체국을 제외한 다른 배달 장소에 우편물의 제2 배달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달 가능 여부 판단부(86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우편물 분류부(820)는 우편물의 제1 배달이 가능한 경우, 우편물을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의 배달물량으로 분류하고, 제2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우편물의 제2 배달이 가능한 경우, 우편물을 해당 다른 배달 장소의 배달물량으로 분류하고, 제2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우편물의 제2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수령자 또는 발송자에게 해당 우편물의 배송지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요청에 따라 배송지가 변경된 경우, 우편물을 상기 변경된 배송지의 배달물량으로 분류하고, 배송지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우편물을 일반 우체국에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지 변경의 요청은 수령자 또는 발송자의 무선 단말기 및 이메일을 통해서 요청될 수 있다.
그리고, 수령 무인 우체국(830)은 우편물 정보 출력부(832)를 포함할 수 있고, 우편물 정보 출력부(832)는 수령자 인증부(831)를 통해서 인증된 수령자에게 보관된 우편물의 물량 및 보관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은 배달함 상태 식별부(833) 및 배달함 관리부(8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된 후, 배달함 상태 식별부(833)는 우편물이 배달된 배달함에 구비된 문이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우편물 외에 다른 우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배달함 상태 식별부(833)의 식별 결과,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배달함 관리부(834)는 우편물의 수령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발송자 및 수령자의 정보를 삭제하고, 해당 우편물이 수령자에게 수령된 정보를 저장한다. 그러나,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 배달함 관리부(834)는 수령자 또는 무인 우체국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배달함의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 배달함 관리부(834)는 미리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수령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배달함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그 후에도 계속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 배달함 관리부(834)는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한 뒤에, 수령자의 무선 단말기로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고, 미리 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한 뒤에, 관리자에게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 제2 시간 및 제3 시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제1 시간이 가장 짧은 시간이고, 제3 시간이 가장 긴 시간이며, 제2 시간은 제1 시간과 제2 시간 사이의 시간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주소체계를 무인 우체국에 적용하여 배달 준비 작업이 용이하고, 1차 배송지의 무인 우체국 배달함이 부족한 경우, 2차 및 3차 무인 우체국 또는 배달 가능 주소로 우편물을 배달할 수 있기 때문에, 우편물의 분실 및 도난 등의 우려가 없도록 하고, 배달함의 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설치 공간 최소화에 도움이 되어 설치비용 또한 최소화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laims (20)

  1. 발송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배달함에 우편물을 배송하고자 하는 발송자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의 수령자의 정보 및 상기 발송 무인 우체국의 주소를 통해서 상기 우편물이 특정되고, 우체국으로 발송되는 단계;
    상기 주소를 통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우체국의 다른 복수의 우편물과 함께 분류되어 수령 무인 우체국에 배달될 배달물량에 포함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으로 배달되는 단계; 및
    상기 수령자의 정보의 인증을 통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또는 수령 무인 우체국의 주소는,
    "N 자리의 정수 - M 자리의 정수"로 구성되고, 상기 N 및 M은 자연수이며,
    상기 N 자리의 정수는 상기 발송 또는 수령 무인 우체국이 설치된 위치의 위치번호 및 관리번호이고,
    상기 M 자리의 정수는 상기 발송자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에서 상기 발송자에게 부여되는 회원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는,
    상기 발송자에게 상기 발송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기 위한 약관에 관한 동의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송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발송 무인 우체국을 설정하고,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배달 장소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발송자의 정보를 통해서 상기 발송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우편물의 수령자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발송자에게 부여되는 회원번호가 상기 발송자에게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발송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는 발송자들의 회원 데이터로 상기 발송자의 정보 및 상기 회원번호가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의 정보 및 상기 수령자의 정보 각각은,
    상기 발송자 및 수령자가 소지하는 무선 단말기의 정보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 또는 상기 수령자에게 상기 우편물과 관련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배달함에 배달된 우편물에 대한 보관일 연장, 다른 배달 장소로의 전송 신청, 반품 신청, 상기 우편물의 이미지의 제공 요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으로 배달되는 단계는,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배달함의 사용현황을 조회하여 상기 우편물의 제1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우편물의 배달이 가능한 경우,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으로 상기 우편물을 배달하고, 상기 우편물의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배달 장소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다른 배달 장소에 상기 우편물의 제2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우편물의 배달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다른 배달 장소로 상기 우편물을 배달하고, 상기 우편물의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수령자 또는 상기 발송자에게 상기 우편물의 배송지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지가 변경된 경우, 상기 우편물은 상기 변경된 배송지로 배달되고, 상기 배송지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우편물은 상기 우체국에 보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되는 단계는,
    상기 수령자의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의 회원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령자의 회원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회원번호를 통해서 상기 수령자를 인증하고, 상기 수령자의 회원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령자에게 상기 우편물을 수령하기 위한 임시ID 및 비밀번호를 전달하고, 상기 임시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서 상기 수령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수령자에게 상기 우편물의 물량 및 보관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우편물이 배달된 배달함이 선택되고,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된 후,
    상기 배달함에 구비된 문이 닫힌 상태인지 여부 및 상기 우편물 외에 다른 우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발송자 및 상기 수령자의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수령자 또는 상기 무인 우체국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수령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배달함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수령자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관리자에게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시간 중 상기 제1 시간이 가장 짧은 시간이고, 상기 제3 시간이 가장 긴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10. 발송 무인 우체국에 구비되고, 우편물 발송자의 정보 및 상기 우편물 수령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관리하는 고객 정보 관리부;
    상기 수령자의 정보 및 상기 발송 무인 우체국의 주소를 통해서 상기 우편물을 특정하고, 상기 우편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우편물을 정렬하고 분류하여 수령 무인 우체국에 배달될 배달물량을 생성하는 우편물 분류부; 및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에 구비되고, 상기 수령자의 정보를 통해서 상기 우편물의 상기 수령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수령자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 또는 수령 무인 우체국의 주소는,
    "N 자리의 정수 - M 자리의 정수"로 구성되고, 상기 N 및 M은 자연수이며,
    상기 N 자리의 정수는 상기 발송 또는 수령 무인 우체국이 설치된 위치의 위치번호 및 관리번호이고,
    상기 M 자리의 정수는 상기 고객정보 관리부를 통해서 상기 발송자에게 부여되는 회원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 관리부는
    상기 발송자에게 상기 발송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기 위한 약관을 제공하고, 상기 발송자의 정보 및 상기 수령자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기;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다른 배달 장소를 선택하는 수령 장소 선택기; 및
    상기 발송자를 특정하는 회원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발송 무인 우체국을 이용하는 발송자들의 회원 데이터로 상기 발송자의 정보 및 상기 회원번호를 등록하는 회원 데이터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 또는 상기 수령자에게 상기 우편물과 관련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부가 서비스 중 별도의 요금이 발생되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결재를 처리하는 결재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배달함에 배달된 우편물에 대한 보관일 연장, 다른 배달 장소로의 전송 신청, 반품 신청, 상기 우편물의 이미지의 제공 요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우편물의 이미지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영상 획득기; 및
    상기 발송자 또는 상기 수령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발송자 또는 상기 수령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발송자 또는 상기 수령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인터넷과 연동되고, 상기 무선 단말기 또는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배달함의 사용현황을 조회하여 상기 우편물의 제1 배달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을 제외한 다른 배달 장소에 상기 우편물의 제2 배달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배당 가능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편물 분류부는,
    상기 제1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우편물의 제1 배달이 가능한 경우, 상기 우편물을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의 배달물량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2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우편물의 제2 배달이 가능한 경우, 상기 우편물을 상기 다른 배달 장소의 배달물량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2 배달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우편물의 제2 배달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수령자 또는 상기 발송자에게 상기 우편물의 배송지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배송지가 변경된 경우, 상기 우편물을 상기 변경된 배송지의 배달물량으로 분류하고, 상기 배송지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우편물을 우체국에 보관되는 보관물량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분류부는 상기 수령자 또는 상기 발송자의 무선 단말기 및 이메일을 통해서 상기 우편물의 배송지 변경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령자 인증부는,
    상기 수령자의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의 회원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령자의 회원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회원번호를 통해서 상기 수령자를 인증하고, 상기 수령자의 회원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령자에게 상기 우편물을 수령하기 위한 임시ID 및 비밀번호를 전달하고, 상기 임시 ID 및 비밀번호를 통해서 상기 수령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된 수령자에게 상기 우편물의 물량 및 보관 내역을 제공하는 우편물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된 후,
    상기 우편물이 배달된 배달함에 구비된 문이 닫힌 상태인지 여부 및 상기 우편물 외에 다른 우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배달함 상태 식별부; 및
    상기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발송자 및 상기 수령자의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우편물이 상기 수령자에게 수령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수령자 또는 상기 무인 우체국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는 배달함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함 문이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배달함 관리부는,
    미리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수령 무인 우체국에 구비된 수령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배달함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고,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수령자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고, 미리 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관리자에게 상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알리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시간 중 상기 제1 시간이 가장 짧은 시간이고, 상기 제3 시간이 가장 긴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우편물 배달 시스템.
KR1020140152310A 2014-11-04 2014-11-04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Ceased KR20160052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310A KR20160052249A (ko) 2014-11-04 2014-11-04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US14/630,175 US20160125351A1 (en) 2014-11-04 2015-02-24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postal mail automatic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310A KR20160052249A (ko) 2014-11-04 2014-11-04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49A true KR20160052249A (ko) 2016-05-12

Family

ID=5585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310A Ceased KR20160052249A (ko) 2014-11-04 2014-11-04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25351A1 (ko)
KR (1) KR201600522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70873A1 (ko) * 2023-09-27 2025-04-03 쿠팡 주식회사 통지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36092A1 (en) * 2016-02-15 2017-08-17 Wal-Mart Stores, Inc. Cargo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DE102016115388A1 (de) * 2016-08-18 2018-02-22 F.N. Wächtler UG (haftungsbeschränkt) Verfahren und Sendungsinformationssystem zur Auslieferung von Postsendungen
CN110517415B (zh) * 2019-08-29 2021-12-2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50165916A1 (en) * 2023-11-22 2025-05-22 Motorola Mobility Llc Secure package delivery without a target recipi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70873A1 (ko) * 2023-09-27 2025-04-03 쿠팡 주식회사 통지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5351A1 (en) 2016-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676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rming an identity of an individual
US98987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ipping and delivering parcels to a virtual address
US20220215331A1 (en) Induction unit and label generator
US20140258168A1 (en) Automated Pickup & Delivery System
US20170352122A1 (en) Postal system of recognition of physical correspondence
KR101307239B1 (ko) 무인 택배보관함을 갖는 통합 택배정보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와 무인 택배보관함의 연계 등록방법
CN104616403A (zh) 智能物流装置及智能物流系统
JP6278523B2 (ja) 物品収受ボックスを利用する配送システム
KR20160052249A (ko)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6305A (ko) 리얼 타임 택배 위치 추적 방법 및 그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60053681A (ko) 무인 택배 보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96296B1 (ko) 무인 택배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배송 방법
KR101796147B1 (ko) 무인 접수기의 물품 집하 대행 서비스를 통한 무인 우편/택배 서비스 방법 및 이의 시스템
US114435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to a secured building
KR20190074520A (ko) 무인 택배보관함을 갖는 통합 택배정보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와 무인 택배보관함의 연계 등록 방법
KR20140131046A (ko) 무인택배함 설치장소를 공동주소로 한 무인택배 배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93523A (ko) 우편물 통합 운영관리장치, 무인우편장비 및 이를 이용한 통합 물류서비스 제공방법
KR20170059327A (ko) 무인배달장치, 배달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배달 시스템
KR101959639B1 (ko) 우편/소포 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0180A (ko)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WO20202373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to a secured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