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958A - Forklift Having Movable Tool Box - Google Patents
Forklift Having Movable Tool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1958A KR20160051958A KR1020140149361A KR20140149361A KR20160051958A KR 20160051958 A KR20160051958 A KR 20160051958A KR 1020140149361 A KR1020140149361 A KR 1020140149361A KR 20140149361 A KR20140149361 A KR 20140149361A KR 20160051958 A KR20160051958 A KR 201600519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l box
- forklift
- pair
- side frame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공구박스에 다양한 공구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공구박스를 차체 측면 프레임에 설치하면서도 차량 정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하는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체인(Lift Chain)(5)과,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 구비되어 하물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포크(Fork)(6)와, 차체 프레임(1)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전륜(10)및 후륜(11)과, 상기 후륜(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측면 프레임(1a) 상부에 안착되고, 필요시 지게차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와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구박스(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lift having a movable tool box, which can store various tools in a tool box so a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to prevent the maintenance of the vehicle from being hindered while installing the tool box on the side frame .
A mast rail 3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frame 1 and a plurality of mast rails 3 extending along the mast rails 3, A lift chain 5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riage 4 and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mean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rriage 4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go 4, A pair of front wheels 10 and rear wheels 11 respectively provided on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body frame 1 and a counterweight provided on the rear wheel 11, (10) of the side frame (1a) of the vehicle body frame (1) and is rotatable, if necessary,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orklift, And a tool box (20) for bringing it into a horizontal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 측면 프레임 상부의 공간에 공구박스를 장착하고, 필요 시 공구박스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구박스에 다양한 공구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공구박스를 측면 프레임 상에 설치하면서도 차량 정비에는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lift having a movable tool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klift equipped with a tool box in a space above a side frame of a vehicle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lift having a movable tool box that can store various tools in a vehicle so a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prevent the maintenance of the vehicle from being hindered while installing the tool box on the side frame.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려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실내 작업장에서 하물을 적재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A forklift truck is an industrial vehicle used to lift and transport heavy loads. It is widely used for transporting cargo in close proximity to a construction site or for loading cargo in an indoor workshop.
일반적인 지게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1)을 구비하며, 상기 차체(1)의 전방에는 마스트(Mast) 조립체(2)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a general forklift has a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 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틸트 실린더(Tilt Cylinder)에 의해 운전석 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The
상기 캐리지(4)는 리프트 체인(Lift Chain)(5)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4)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6)가 좌우로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The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상부에는 운전실 구조물인 캐빈(Cabin)(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캐빈(7)의 상부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가 설치되어 있다. A
또한 지게차는 한 쌍의 전륜(10)과 후륜(11)을 구비하고 있고, 차체 프레임(1)의 후방에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가 구비되어 있다. The forklift has a pair of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게차는, 공구박스를 보관할 장소가 마땅하지 않아 다양한 공구를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orklift constructed as abov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store various tools because the place for storing the tool box is not enough.
지게차는 차량의 정비를 위해 다양한 공구가 필요한데 종래의 지게차 구조에서는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Forklifts require a variety of tools for vehicle maintenance, but conventional forklift structures are not meeting these consumer needs.
한편, 국내공개특허 제10-2007-69228호에는 지게차의 공구박스 겸용 풋 스텝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7-69228 discloses a footstep for both a tool box and a forklift truck.
상기한 종래 기술은, 조립식 공구박스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식 공구박스를 닫았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지게차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풋 스텝(Foot Step)의 역할을 하고 있다.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enables a product to be stored in a prefabricated tool box, and serves as a foot step for the driver to climb up and down the forklift when the prefabricated tool box is closed.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발판의 하부 공간에 물건을 보관하는 구조이므로 다양한 종류의 공구를 보관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tore various kinds of tools because it is a structure for storing articles in the lower space of the foot plat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 국내 공개특허 제10-2007-0069228호(2007. 7. 3. 공개)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69228 (Published on July 3, 2007)
특허문헌 2 :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066007호(2005. 6. 30. 공개)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0066007 (published on June 30, 2005)
특허문헌 3 :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0060510호(2008. 7. 2. 공개) 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60510 (Published on July 2, 200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차체의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 공구박스를 장착하여 다양한 종류의 공구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l box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side frame of a vehicle body to store various kinds of too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의 측면 프레임에 공구박스를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차량의 폭의 증가되지 않도록 하면서 필요 시 용이하게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l box movable on a side frame of a vehicle body so that the width of the vehicle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width of the vehicle, and can be easily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when necessar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체의 측면 프레임에 대형의 공구박스를 장착하면서도 차량의 정비 시 공구박스로 인해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tool box from being damaged during maintenance of a vehicle while mounting a large tool box on a side frame of the vehicle bod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레일과, 상기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 하로 승강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체인과, 상기 캐리지의 전방에 구비되어 하물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포크와, 차체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전륜및 후륜과, 상기 후륜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 상부에 안착되고, 필요시 지게차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와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구박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a vehicle body frame having an engine mounted thereon; a mast rail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frame; a carriage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mast rail; A pair of fork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rriage to lift and lower the load, a pair of front and rear wheel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body frame, and a counterweigh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wheel,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forklift further comprising a tool box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side frame of the vehicle body frame and normally rotatable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orklift, .
또한, 상기 이동식 공구박스는, 공구박스 본체 및 커버와, 차체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공구박스 본체와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각각 조립되어 상기 브라켓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링크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able tool box includes a tool box body and a cover, a pair of brackets mounted on the upper side frame of the body frame, one end assembled with the tool box body, and the other end assembled with the pair of brackets And a pair of link bars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racket.
또한, 상기 링크 바는,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공구박스 본체의 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공구박스 본체의 측면 상부 내부에서 상기 제2 절곡부의 단부와 결합되어 제2 절곡부의 회동을 허용하면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nk bar may include a first bent portion inserted into the bracket and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 second bent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tool box body, And a support member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bent portion to support the second bent portion while allow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bent portion.
또한, 상기 링크 바의 길이는, 공구박스 본체를 차량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회전시켰을 때 공구박스 커버와 측면 프레임의 상부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측면 단부로부터의 브라켓 설치위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ngth of the link bar is longer tha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racket from the side en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tool box cover and the side frame are horizontal when the tool box body is rota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width direction .
또한,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bearing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bracket.
또한, 상기 공구박스는 차체 측면 프레임의 양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tool box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side frame.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의 측면 프레임 양쪽에 공구박스를 장착하여 다양한 종류의 공구 및 각종 소모품들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tools and various consumables can be stored by mounting tool boxes on both sides of the side frame of the vehicle body,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vehicle maintenance.
또한, 차체의 측면 프레임에 공구박스를 장착하면서도 차폭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필요시 공구박스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ool box can be easily moved, if necessary, without affecting the width of the vehicle while mounting the tool box on the side frame of the vehicle body.
또한, 차체의 측면 프레임에 공구박스를 장착하면서도 차량의 정비 시 공구박스에 의해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ool box is mounted on the side fram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tool box is not obstructed by the maintenance of the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종래 지게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에서 공구박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에서 공구박스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구박스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구박스의 회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forklif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ol box is mounted on a fork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ol box is moved in a fork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movable to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tating state of the movable to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orklift having a movable to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하는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체인(Lift Chain)(5)과,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 구비되어 하물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포크(Fork)(6)와, 차체 프레임(1)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전륜(10)및 후륜(11)과, 상기 후륜(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측면 프레임(1a) 상부에 안착되고, 필요시 지게차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와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구박스(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and 3, a forklift having a movable to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이동식 공구박스(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박스 본체(21)와 커버(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Here, the
상기 커버(22)는 일측에 힌지부(22a)를 구비하여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공구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시건장치(22d)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또한, 차체 프레임(1)의 측면 프레임(1a) 상부에는 한 쌍의 브라켓(24)이 장착되고,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와 브라켓(24)은 한 쌍의 링크 바(Link Bar)(23)에 의해 연결된다.A pair of
상기 링크 바(Link Bar)(23)는, 일단이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브라켓(24)과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One end of the
이에 따라 공구박스(20)를 브라켓(24)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링크 바(23)는, 상기 브라켓(24)에 삽입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제1 절곡부(23a)와,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절곡부(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상기 제1 절곡부(23a) 및 제2 절곡부(23b)는, 공구박스(20)가 브라켓(2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이를 위해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링크 바(23)의 제2 절곡부(23b)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21a)이 형성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an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홀(21a)은, 가급적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는 공구박스(20)가 완전히 바깥쪽을 향해 젖혀졌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a)과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공구박스(20)의 폭 방향 돌출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This is to minimize the protrusion of the
상기 공구박스(20)가 완전히 바깥쪽을 향해 젖혀지게 되면, 공구박스는 브라켓(24)에 대해 외팔보 형태가 되어 브라켓(24)에 작용하는 힘도 증가하게 된다.When the
이에 따라 공구박스 본체(21)에 형성되는 삽입홀(21a)은, 최대한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삽입홀(21a)이 모서리에 너무 근접하면 링크 바(23) 제2 절곡부(23b)의 단부에 지지부재(23c)를 조립하기가 곤란해진다.The
따라서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삽입홀(21a)은 지지부재(23c)를 조립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모서리 쪽에 인접하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 내부에는, 상기 제2 절곡부(23b)의 단부와 결합되는 지지부재(23c)가 조립된다.In addition, a
상기 지지부재(23c)는, 제2 절곡부(23b)의 회동을 허용하면서 링크 바(23)가 공구박스 본체(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The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23c)에는 이탈방지 핀(도시 생략) 등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 핀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바(23)의 길이(L)는, 측면 단부로부터의 브라켓(24) 설치위치(d)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5,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L of the
상기한 구조에 의해, 공구박스 본체(21)를 차량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회전시켰을 때, 공구박스(20)를 완전히 젖힐 수가 있다. 즉, 공구박스 커버(22)와 측면 프레임(1a)의 상부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킬 수가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이때 상기 링크 바(23)는 수평상태가 되어 측면 프레임(1a) 상부에 밀착되므로, 젖혀진 공구박스(20)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또한, 상기 브라켓(24)의 내부에는 공구박스(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베어링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공구박스(20)를 차체 측면 프레임(1a)의 양쪽에 구비하여 다양한 공구 외에 각종 소모품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구박스의 조립과정 및 사용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assembling process and a use state of the too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한 쌍의 브라켓(24)을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에 설치한다. First, a pair of
상기 브라켓(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바(23)의 길이를 고려하여 공구박스(20)가 바깥쪽으로 완전히 젖혀질 수 있는 위치(d)에 설치한다.The
이어서 링크 바(23)의 제1 절곡부(23a)를 상기 브라켓(24)의 홀에 각각 삽입한다.Then, the first
그리고 공구박스 본체(21)를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링크 바(23)의 제2 절곡부(23b)를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삽입홀(21a)에 삽입한다.The second
이때 상기 공구박스 본체(21)는, 링크 바(23)의 제2 절곡부(23b)의 곡선부에 의해 세로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공구박스 본체(21)를 옆으로 움직여 가면서 측면 양측에 링크 바(23)의 제2 절곡부(23b)를 삽입할 수가 있다. Since the
상기 공구박스 본체(21) 양쪽 측면에 링크 바(23)의 조립이 완료되면, 공구박스 본체(21)의 내부에서 제2 절곡부(23b)의 단부에 지지부재(23c)를 결합한다.The
상기 지지부재(23c)는, 공구박스 본체(21)에 삽입된 제2 절곡부(23b)가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제2 절곡부(23b)를 지지한다. The
링크 바(23)와 공구박스 본체(21)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에 공구박스를 안착시킨다.When the assembly of the
이때 상기 공구박스(20)에 보관된 공구들의 자중에 의해 상기 공구박스(20)는 지게차의 주행 중에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due to the weight of the tools stored in the
즉, 사용자가 공구박스(20)를 인위적으로 옆으로 젖히지 않는 이상 공구박스(20)는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될 염려가 없다.In other words, the
만일, 측면 프레임(1a)의 상부를 오픈시킬 필요가 있거나 엔진 후드를 개폐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공구박스(20)를 잡고 차량의 폭 방향으로 회전시킨다.If it is necessary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그러면 공구박스(20)는 브라켓(24)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링크 바(23)에 의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n, the
상기 공구박스(20)를 계속 회전시켜 링크 바(23)가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에 안착되면, 공구박스(2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a)의 상부가 완전히 오픈된 상태가 되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Then, as shown in FIG. 3,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 측면 프레임의 빈 공간에 공구박스를 설치하여 다양한 종류의 공구 및 각종 소모품 들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정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tools and various consumables can be stored by providing a tool box in the empty space of the vehicle body side fram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특히 공구박스를 측면 프레임의 양쪽에 설치하게 되면 더욱 많은 공구 및 소모품들을 보관할 수가 있다.In particular, the toolbox can b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side frame to store more tools and consumables.
또한 측면 프레임에 공구박스를 설치하면서도 차량의 폭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고, 공구박스를 폭 방향으로 완전히 젖히면 공구박스가 안착되었던 측면 프레임의 상부가 원래의 상태대로 완전히 오픈된다.Further, the width of the vehicle is not increased while the tool box is installed in the side frame, and when the tool box is fully pull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frame on which the tool box is seated is completely opened in its original state.
이에 따라 공구박스를 추가로 설치하더라도 차량의 정비에는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Accordingly, even if a tool box is additionally installed, maintenance of the vehicle is not hinder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차체 프레임(Frame) 1a: 측면 프레임
2: 마스트(Mast) 조립체 3: 마스트 레일(Mast Rail)
4: 캐리지(Carriage) 5: 리프트 체인(Lift Chain)
6: 포크(Fork) 7: 캐빈(Cabin)
8: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 9: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10: 전륜 11: 후륜
20: 공구박스
21: 공구박스 본체
21a: 삽입홀
22: 공구박스 커버
23: 링크 바(Link Bar)
23a: 제1 절곡부
23b: 제2 절곡부
23c: 지지부재
24: 브라켓(Bracket)1: Body frame (Frame) 1a: Side frame
2: Mast assembly 3: Mast rail
4: Carriage 5: Lift Chain
6: Fork 7: Cabin
8: Overhead guard 9: Counterweight
10: front wheel 11: rear wheel
20: Tool box
21: Tool box body
21a: insertion hole
22: Tool box cover
23: Link Bar
23a: a first bent portion
23b: a second bent portion
23c: support member
24: Bracket
Claims (6)
평상시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측면 프레임(1a) 상부에 안착되고, 필요시 지게차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1a)의 상부와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구박스(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A motorcy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frame (1) on which an engine is installed, a mast rail (3) arranged vertically in front of the body frame (1) A lift chain 5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riage 4 and a pair of forks (not shown)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rriage 4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go 6 and a pair of front wheels 10 and rear wheels 11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body frame 1 and a counterweight 9 provided on the rear wheel 11 In the forklift,
A tool box 20 which is normally seated on the side frame 1a of the vehicle body frame 1 and which is turned on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orklift truck if necessary to be horizontal with the upper side of the side frame 1a Wherein the forklift has a movable tool box.
상기 이동식 공구박스(20)는,
공구박스 본체(21) 및 커버(22)와,
차체 프레임(1)의 측면 프레임(1a) 상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브라켓(24)과,
일단이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와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24)과 각각 조립되어, 상기 브라켓(24)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링크 바(Link Bar)(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ool box (20)
A tool box body 21 and a cover 22,
A pair of brackets 24 mounted on the upper side frame 1a of the vehicle body frame 1,
A pair of link bars (one pair of which is assembled with the tool box body 21 and the other end is assembled with the pair of brackets 24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4) 23. A forklift comprising a removable tool box.
상기 링크 바(23)는,
상기 브라켓(24)에 삽입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제1 절곡부(23a)와,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절곡부(23b)와,
상기 공구박스 본체(21)의 측면 상부 내부에서 상기 제2 절곡부(23b)의 단부와 결합되어 제2 절곡부의 회동을 허용하면서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ink bar (23)
A first bent portion 23a inserted into the bracket 24 and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 second bent portion 23b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tool box body 21,
And a support member (23c) coupled with an end of the second bent portion (23b) inside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tool box body (21) to support the second bent portion while allow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bent portion Forklift with box.
상기 링크 바(23)의 길이(L)는, 공구박스 본체(21)를 차량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회전시켰을 때 공구박스 커버(22)와 측면 프레임(1a)의 상부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측면 단부로부터의 브라켓(24) 설치위치(d)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ngth L of the link bar 23 is set such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tool box cover 22 and the side frame 1a become horizontal when the tool box body 21 is rota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width direction. , And a mounting position (d) of a bracket (24) from a side end portion of the forklift (24).
상기 브라켓(24)의 내부에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earing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bracket (24).
상기 공구박스(20)는 차체 측면 프레임(1a)의 양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ool box (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side frame (1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9361A KR102299047B1 (en) | 2014-10-30 | 2014-10-30 | Forklift Having Movable Tool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9361A KR102299047B1 (en) | 2014-10-30 | 2014-10-30 | Forklift Having Movable Tool Box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1958A true KR20160051958A (en) | 2016-05-12 |
KR102299047B1 KR102299047B1 (en) | 2021-09-06 |
Family
ID=5602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9361A Active KR102299047B1 (en) | 2014-10-30 | 2014-10-30 | Forklift Having Movable Tool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904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1941U (en) * | 2016-12-20 | 2018-06-28 | 주식회사 두산 | Side Step for Forklift |
EP3652495B1 (en) | 2017-07-11 | 2022-04-06 |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 Storage box for an armored vehicle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6538Y2 (en) * | 1976-02-13 | 1985-08-09 | 株式会社デンソー | Signal generator for non-contact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KR960010211U (en) * | 1994-09-10 | 1996-04-12 | Hinge Type Toolbox | |
JPH0948286A (en) * | 1995-08-09 | 1997-02-18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Car body structure of industrial vehicle |
KR19980054711A (en) * | 1996-12-27 | 1998-09-25 | 박병재 | Tool box structure in the upper part of the car trunk room |
KR19990030349U (en) * | 1997-12-30 | 1999-07-26 | 추호석 | Jack up device of forklift |
JP2001341994A (en) * | 2000-06-05 | 2001-12-11 | Nippon Yusoki Co Ltd | Forklift |
KR20050066007A (en) | 2003-12-26 | 2005-06-30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Over head guard for forklift truck |
KR20070069228A (en) | 2005-12-28 | 2007-07-0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Forklift's Tool Box Foot Step |
KR20080060510A (en) | 2006-12-27 | 2008-07-02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Body of forklift |
US8636182B1 (en) * | 2009-11-09 | 2014-01-28 | Joel Gordon | Pickup truck storage device |
-
2014
- 2014-10-30 KR KR1020140149361A patent/KR1022990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6538Y2 (en) * | 1976-02-13 | 1985-08-09 | 株式会社デンソー | Signal generator for non-contact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KR960010211U (en) * | 1994-09-10 | 1996-04-12 | Hinge Type Toolbox | |
JPH0948286A (en) * | 1995-08-09 | 1997-02-18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Car body structure of industrial vehicle |
KR19980054711A (en) * | 1996-12-27 | 1998-09-25 | 박병재 | Tool box structure in the upper part of the car trunk room |
KR19990030349U (en) * | 1997-12-30 | 1999-07-26 | 추호석 | Jack up device of forklift |
JP2001341994A (en) * | 2000-06-05 | 2001-12-11 | Nippon Yusoki Co Ltd | Forklift |
KR20050066007A (en) | 2003-12-26 | 2005-06-30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Over head guard for forklift truck |
KR20070069228A (en) | 2005-12-28 | 2007-07-0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Forklift's Tool Box Foot Step |
KR20080060510A (en) | 2006-12-27 | 2008-07-02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Body of forklift |
US8636182B1 (en) * | 2009-11-09 | 2014-01-28 | Joel Gordon | Pickup truck storage devic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특허문헌]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1941U (en) * | 2016-12-20 | 2018-06-28 | 주식회사 두산 | Side Step for Forklift |
EP3652495B1 (en) | 2017-07-11 | 2022-04-06 |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 Storage box for an armored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9047B1 (en) | 2021-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6135693A (en) | Lifter | |
US20200262689A1 (en) | Forklift side door | |
JP2008221963A (en) |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of load of wing type truck | |
KR20160092223A (en) | Table lifting apparatus | |
KR20160051958A (en) | Forklift Having Movable Tool Box | |
JP5312661B1 (en) | Attachment / detachment mechanism of box-type container to dump truck | |
JP6735483B2 (en) | Loading device | |
JP2008062725A (en) | Load support bed locking device for folding cart | |
KR102623226B1 (en) | Caterpillar type foldable forklift with center of gravity movement | |
JP5874650B2 (en) | Wheel crane | |
JP2006321598A (en) | Three-direction stacking truck | |
KR20090068717A (en) | Cabin rotator of industrial vehicle | |
KR20140005809U (en) | A folklift | |
JP5517703B2 (en) | Fall prevention stopper for floor plate such as tailgate | |
JP5522849B2 (en) | Cargo stand lifting device and vehicle mounted with the cargo carrier lifting device | |
JP2013132911A (en) | Cargo receiving platform elevating device | |
JP3228865U (en) | Storage box | |
JP4023618B2 (en) | Cargo stand storage type lifting platform lifting device | |
JP6335034B2 (en) | Loading platform lifting device | |
JP2002087786A (en) | Picking forklift truck | |
KR101605480B1 (en) | Container for weight transportation | |
JP4041578B2 (en) | Container chassis transfer plate | |
JP4056959B2 (en) | Cargo stand storage type lifting platform lifting device | |
JP3217580U (en) | Loading device | |
KR20150029894A (en) | Sliding Door Structure of Forklif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