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374A - Weapn station - Google Patents
Weapn s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0374A KR20160050374A KR1020140148385A KR20140148385A KR20160050374A KR 20160050374 A KR20160050374 A KR 20160050374A KR 1020140148385 A KR1020140148385 A KR 1020140148385A KR 20140148385 A KR20140148385 A KR 20140148385A KR 20160050374 A KR20160050374 A KR 201600503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ed
- pair
- link
- housing
- hoo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7/00—Arrangement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 B64D7/08—Arrangement of rocket launc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승하강 가능한 무장의 상부 원주면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부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무장걸이; 하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무장걸이의 상부가 입출될 수 있는 한 쌍의 무장 삽입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무장하우징; 상기 무장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어 정역 회전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축으로 구성되는 턴버클조립체; 상기 턴버클조립체에 연동되어 무장 장착시 무장하우징의 무장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무장걸이의 상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링크유닛;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의 사이에 대칭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각 무장걸이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제2링크유닛; 및 상기 제2링크유닛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1링크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무장걸이를 탄성적으로 밀어내어 무장의 투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추력기;를 포함하는 무장 장착대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비행속도에 따라 중력식 투하가 불충분할 경우, 탄성력으로 무장걸이를 밀어내어 공기 저항을 이겨내고 무장의 투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arming hook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med weapon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having through holes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respectively; An armed housing having a pair of armed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armed hooks can be input and output at regular intervals; A turnbuckle assembly supported in the arm housing and rotatable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movable shaft accommodat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and reciprocally movable symmetrically with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A pair of first link units interlocked with the turnbuckle assembly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armed hook inserted into the armed insertion holes of the armed housing when armed; A second link unit installed to be reciprocatable symmetrically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for moving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to restrain or release the respective armed hooks; And an actuator for restraining or restraining the second link unit; And a thruster for interlocking with the first link unit to resiliently push out the armed hook so as to secure the drop reliability of the armed weapon.
According to this, when the gravity type dropping is insufficient according to the flying speed, it is possible to push out the armed hook by elastic force to overcome the air resistance and secure the reliability of dropping of the a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장 장착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ming mount.
일반적으로 수송용이나 정찰용 헬리콥터를 개조해서 무기를 장착하여 엄호 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무장형 헬리콥터라 한다. 이러한 무장형 헬리콥터는 최초 개발당시에 공격능력 확보를 염두에 두지 않고 개발된 것을 이후에 다양한 임무 능력 확보를 위해 추가적인 개조를 통하여 공격능력을 확보하게 된다.In general, retrofitting helicopters for transport or reconnaissance and carrying weapons to cover them is called an armed helicopter. These armed helicopters were developed without considering the attack ability at the time of the first development, and afterwards they secured the attack ability through additional modifications to secure various mission capabilities.
무장형 헬리콥터와 같이 인원 내지 물자 수송을 위한 항공기 등에 미사일 등의 무장장착을 통해 공격능력을 확보하려는 경우에는 별도의 무장장착대 설치가 필요하다.Armed helicopters are required to install an armed weapon in order to secure attack capability through the use of armed weapons such as a missile in an aircraft for the transportation of personnel or goods.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무장 장착대의 한 종류로서 폭약식 카트리지를 이용해 폐쇄기 뭉치의 선단에 설치된 피스톤을 돌출시켜 이 피스톤에 편심된 크랭크를 회전시킴으로써 무장에 락된 후크를 해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one type of armed mount which is widely known in the art, a piston installed at the tip of a closure assembly is protruded using an explosive cartridge to rotate a crank eccentric to the piston, thereby releasing the arm-locked hook.
이러한 종래의 무장 장착대에 의하면, 폭약식 카트리지의 내부 화약이 폭발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연소가스와 함께 불순물이 각종 기구 내부면에 부착됨으로써 구성품을 오염시킴과 동시에, 부식시켜서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arming mount, impurities ar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s of various mechanisms together with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when the explosive of the explosive cartridge of the explosive cartridge is blown, thereby causing the components to be contaminated and corrosion resistance to deteriorate durability have.
또한, 폭약식 카트리지의 내부 화약이 폭발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서 항공기 및 구성품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fe of the aircraft and components can be shortened due to vibration and impact generated when the explosive of the explosive cartridge of the explosive cartridge explode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성품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무장 장착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ming mount capable of preventing durability deterioration of componen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장 장착대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승하강 가능한 무장(P)의 상부 원주면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부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무장걸이(10); A pair of armed hooks (10)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m (P)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having through holes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하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무장걸이(10)의 상부가 입출될 수 있는 한 쌍의 무장 삽입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무장하우징(20); An armed housing (20) having a pair of armed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armed hooks (10) can be input and outpu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지지되어 정역 회전가능한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양단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축(32)으로 구성되는 턴버클조립체(30); A
상기 턴버클조립체(30)에 연동되어 무장 장착시 무장하우징(20)의 무장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무장걸이(10)의 상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 A pair of first link units (40) interlocked with the turnbuckle assembly (3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upper part of the armed hook (10) inserted into the armed insertion holes of the armed housing (20) when armed;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의 사이에 대칭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을 이동시켜 상기 각 무장걸이(10)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제2링크유닛(50); And a pair of first link units (40) that are symmetrically reciprocatable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and that move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to restrain or release the respective armed hooks A second link unit (50);
상기 제2링크유닛(50)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60); 및 An actuator (60) for restraining or restraining the second link unit (50); And
상기 제1링크유닛(40)과 연동하여 상기 무장걸이(10)를 탄성적으로 밀어내어 무장(P)의 투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추력기(80);A thruster (80) for elastically pushing the armed hook (10) in interlock with the first link unit (40)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delivery of the armed weapon (P);
를 포함한다..
상기 턴버클조립체(30)는, The turnbuckle assembly (30)
상기 회전축(31)을 정역 회전시키도록 결합되는 베벨기어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상기 베벨기어부(33)는, The bevel gear portion (33)
상기 회전축(31)과 일체로 설치되며 브라켓(B)으로 지지되는 회전바(33-1)와, 상기 브라켓(B)에 지지되어 외부 작동력이 전달되는 제1기어(33-2)와, 상기 회전바(33-1)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기어(33-2)로부터 작동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3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tary bar 33-1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상기 각 제1링크유닛(40)은, Each of the first link units (40)
단부가 상기 각 이동축(32)에 연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부(41-1), 상기 각 연동부(41-1)와 수직을 이루도록 일체 연장되는 연장부(41-2), 상기 연동부(41-1)와 상기 연장부(41-2)의 연결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무장하우징(20)에 설치되는 고정축(41-3)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제1해제링크(41)와, An extension portion 41-2 integrally extend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interlocking portions 41-1; an interlocking portion 41-2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moving
일단이 상기 각 제1해제링크(41)의 연장부(41-2)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에 상기 각 무장걸이(10)의 관통홀에 대응될 수 있는 제1후크(42-1)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2해제링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irst hook (42-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extended portion (41-2) of each of the first release links (41) and has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of each armed hook And a pair of
상기 제2링크유닛(50)은, The second link unit (50)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 사이의 상기 무장하우징(20)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레치(51)와, A main latch (51) rotatably mounted on the armed housing (20)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일단이 상기 메인레치(51)의 양측에 각각 핀(52-1) 결합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연장링크(52)와, A pair of first extended
일단이 상기 제1연장링크(52)의 타단에 각각 핀(53-1)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해제링크(42)의 타단에 각각 핀(53-2) 결합되는 제2연장링크(53)와, And a second extension link 53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일단이 상기 각 고정축(41-3)에 지지되며 타단이 핀(53-1) 결합되는 지지링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상기 메인레치(51)는, The main latch (51)
그 상측으로 연장되는 레치걸이(5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latch hook 51-1 extending upward therefrom.
상기 액츄에이터(60)는,The actuator (60)
상기 무장하우징(20)에 지지 설치되는 전동부(61)와,A moving
일측이 상기 전동부(61)의 내부에 결합되어 왕복운동가능한 로드부(62)와,A
상기 로드부(62)의 타측과 인접한 상기 무장하우징(20)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로드부(62)와 연동되어 상기 메인레치(51)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는 보조래치(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상기 로드부(62)의 타단에는,At the other end of the
원판 형상의 로드플레이트(6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od-shaped rod plate 62-1 is provided.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는,Inside the
상기 로드플레이트(62-1)를 지지하는 블록(2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상기 보조래치(63)는,The auxiliary latch (63)
그 일측에 상기 로드부(62)에 핀결합되는 동력전달부(63-1)와, 그 타측에 상기 메인레치(51)의 레치걸이(51-1)와 대응하는 제2후크(6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hook 63-2 corresponding to the latch hook 51-1 of the
상기 동력전달부(63-1)에는,In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63-1,
상기 로드부(62)의 왕복운동시 상기 로드부(62)의 돌기(62-1)를 안내하는 슬롯홀(63-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lot hole 63-1a for guiding the projection 62-1 of the
본 발명은,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무장(P)의 원주면과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무장하우징(20)의 양측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진동 저감부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comprising a pair of vibration reduction members (70) coupled to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arm housing (20)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arm (P), respectively.
상기 진동 저감부재(70)는,The vibration reduction member (70)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체결되는 체결부(71)와, 상기 체결부(71)의 하부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러그부(72)와, 상기 각 러그부(72)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무장지지부(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ir of
상기 추력기(80)는, The thruster (80)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과 인접하여 설치되되 내부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81a)이 형성되는 추력기하우징(81)과, 상단이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내부 상측에 지지되는 탄성부재(82)와, 상기 탄성부재(82)의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가이드레일(81a)을 따라 승하강 가능한 상부 슬라이드(83)와,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가이드레일(81a)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되 상기 상부 슬라이드(83)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하부 슬라이드(84)와, 상기 하부 슬라이드(84)의 내측에 제1지점이 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삼각링크(85)와, 상단이 상기 상부 슬라이드(83)에 핀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삼각링크(85)의 제2지점에 핀결합되는 일자링크(86)를 포함한다.A
상기 삼각링크(85)의 제3지점은, The third point of the triangular link (85)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is located outside the thruster housing (8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장 장착대에 의하면, 기계식 링크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구성품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rmed mount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chanical link mechanism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durability of components, and is safe from vibration and impact.
아울러, 비행속도에 따라 중력식 투하가 불충분할 경우, 탄성력으로 무장걸이를 밀어내어 공기 저항을 이겨내고 무장의 투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gravity type drop is insufficient depending on the flying speed, it is possible to push out the armed hanger with elasticity to overcome the air resistance and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dropping of the weap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무장장착대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베벨기어부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액츄에이터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진동 저감부재를 상세히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의 무장지지부의 여러 형태의 회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에서 무장이 투하되는 작동도면,
도 9a는 도 8의 '①', '②'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
도 9b는 도 8의 '③', '④'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에서 무장이 장착되는 작동도면,
도 11a는 도 10의 '①'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
도 11b는 도 10의 '②'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
도 11c는 도 10의 '③', '④'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
도 11d는 도 10의 '⑤'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의 내부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2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1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의 무장 투하후의 도면,
도 14b는 도 14a에서 '①', '②', '③'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
도 14c는 도 14b에서 '④', '⑤'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 및
도 14d는 도 14c에서 '⑥', '⑦'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med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rmed mount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evel gear portion of FIG. 2 in detail,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uator of FIG. 2 in detail,
FIG. 6 is a detailed view of the vibration reduction member of FIG. 2,
7 is a view showing various states of rotation of the armed support of FIG. 6,
FIG. 8 is an operation drawing in which a weapon is dropped in an arming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n operation drawing of a state in which processes '1' and '2' in FIG. 8 are performed,
FIG. 9B is an operation drawing of the state in which the processes of '3' and '4' in FIG. 8 are performed,
FIG. 10 is an operational drawing in which a weapon is mounted in an arming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process < 1 > of Fig. 10 is performed,
FIG. 11B is an operation drawing of the state in which the '②' process of FIG. 10 is performed,
FIG. 11C is an operation drawing of the state in which the processes of '3' and '4' in FIG. 10 are performed,
FIG. 11D is an operation drawing of the state in which the '⑤' process of FIG. 10 is performe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arming mou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2,
FIG. 14A is a view after an armament of an armed mou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B is an operation drawing of the state in which the processes of '1', '2', and '3' are performed in FIG. 14A,
FIG. 14C is an operation drawing of the state in which the processes of '4' and '5' are performed in FIG.
FIG. 14D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state in which '⑥' and '⑦' processes are performed in FIG. 14C.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an arming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무장장착대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베벨기어부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액츄에이터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진동 저감부재를 상세히 보인 도면 및 도 7은 도 6의 무장지지부의 여러 형태의 회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m mount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rm mounting base of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details of the actuator of FIG. 2, FIG. 6 is a detailed view of the vibration reduction member of FIG. 2, and FIG. 7 is a view showing various states of rotation of the arm support portion of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는, 리프트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무장(P)의 상부 원주면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부에 관통홀(도시 생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무장걸이(10); 하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무장걸이(10)의 상부가 입출될 수 있는 한 쌍의 무장 삽입공(도면부호 생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무장하우징(20);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지지되어 정역 회전가능한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양단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축(32)으로 구성되는 턴버클조립체(30); 상기 턴버클조립체(30)에 연동되어 무장 장착시 무장하우징(20)의 무장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무장걸이(10)의 상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의 사이에 대칭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을 이동시켜 상기 각 무장걸이(10)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제2링크유닛(50); 및 상기 제2링크유닛(50)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armed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on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gun P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y a lift device (not shown) A pair of armed hooks 10 formed with holes (not shown), respectively; An armed housing 20 in which a pair of armed insertion hole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armed hooks 10 can be input / A movable shaft 32 which is supported inside the arm housing 20 and is capable of normal and reverse rotations and a movable shaft 32 which is reciprocated symmetrically with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31 and symmetrical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31, A turnbuckle assembly 30 comprising: A pair of first link units (40) interlocked with the turnbuckle assembly (3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upper part of the armed hook (10) inserted into the armed insertion holes of the armed housing (20) when armed; And a pair of first link units (40) that are symmetrically reciprocatable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and that move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to restrain or release the respective armed hooks A second link unit (50); And an actuator (60) for restraining or restraining the second link unit (50).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무장걸이(10)는 만곡된 금속편(F)을 이용해 상기 무장(P)의 상부 원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일체로 설치된다.Here, the pair of
상기 무장하우징(20)은 전·후면 커버(도면부호 생략)가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이 내부공간에 주요구성(도면부호 '20' 내지 '60')들이 설치된다.The
또한, 상기 턴버클조립체(30)는, 상기 회전축(31)을 정역 회전시키도록 결합되는 베벨기어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벨기어부(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1)과 일체로 설치되며 브라켓(B)으로 지지되는 회전바(33-1)와, 상기 브라켓(B)에 지지되어 외부 작동력이 전달되는 제1기어(33-2)와, 상기 회전바(33-1)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기어(33-2)로부터 작동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33-3)로 구성된다.The
상기 각 제1링크유닛(40)은, Each of the first link units (40)
단부가 상기 각 이동축(32)에 연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부(41-1), 상기 각 연동부(41-1)와 수직을 이루도록 일체 연장되는 연장부(41-2), 상기 연동부(41-1)와 상기 연장부(41-2)의 연결부를 회동 지지하도록 상기 무장하우징(20)에 설치되는 고정축(41-3)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제1해제링크(41)와, An extension portion 41-2 integrally extend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interlocking portions 41-1; an interlocking portion 41-2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moving
일단이 상기 각 제1해제링크(41)의 연장부(41-2)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에 상기 각 무장걸이(10)의 관통홀에 대응될 수 있는 제1후크(42-1)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2해제링크(42)를 포함한다.And a first hook (42-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extended portion (41-2) of each of the first release links (41) and has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of each armed hook And a pair of second release links 42 on which a pair of second release links 42 are installed.
또한, 상기 제2링크유닛(50)은,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 사이의 상기 무장하우징(20)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레치(51)와, 일단이 상기 메인레치(51)의 양측에 각각 핀(52-1) 결합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연장링크(52)와, 일단이 상기 제1연장링크(52)의 타단에 각각 핀(53-1)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해제링크(42)의 타단에 각각 핀(53-2) 결합되는 제2연장링크(53)와, 일단이 상기 각 고정축(41-3)에 지지되며 타단이 핀(53-1) 결합되는 지지링크(54)를 포함한다.The
상기 메인레치(51)는, 그 상측으로 연장되는 레치걸이(51-1)를 구비할 수 있다.The
아울러, 상기 액츄에이터(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장하우징(20)에 지지 설치되는 전동부(61)와, 일측이 상기 전동부(61)의 내부에 결합되어 왕복운동가능한 로드부(62)와, 상기 로드부(62)의 타측과 인접한 상기 무장하우징(20)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로드부(62)와 연동되어 상기 메인레치(51)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는 보조래치(63)를 포함한다.5, the
상기 로드부(62)의 타단에는, 원판 형상의 로드플레이트(6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드플레이트(62-1)는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록(21)에 의해 상기 상기 로드부(62)의 타단을 가이드하며 진동에 의해 후술할 제2후크(63-2)가 상기 레치걸이(5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e other end of the
상기 보조래치(63)는, 그 일측에 상기 로드부(62)에 핀결합되는 동력전달부(63-1)와, 그 타측에 상기 메인레치(51)의 레치걸이(51-1)와 대응하는 제2후크(6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63-1)에는, 상기 로드부(62)의 왕복운동시 상기 보조래치(63)의 회동에 따라 연동가능하도록 상기 로드부(62)의 돌기(62-1)를 안내하는 슬롯홀(63-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무장(P)의 원주면과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무장하우징(20)의 양측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진동 저감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 저감부재(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체결되는 체결부(71)와, 상기 체결부(71)의 하부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러그부(72)와, 상기 각 러그부(72)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무장지지부(73)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무장(P)의 원주면 곡률에 따라 상기 무장지지부(72)를 회전시켜 기밀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무장을 진동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무장 장착대의 작용(무장 투하 및 무장 장착)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rmed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med release and armed mount) will be described.
첫째,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무장 투하 과정을 살펴본다.First, the armed release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B.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에서 무장이 투하되는 작동도면이고, 도 9a는 도 8의 '①', '②'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이며, 도 9b는 도 8의 '③', '④'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이다.FIG. 8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weapon is dropped in the arming mou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state in which '1' and '2' 8 ',' ③ 'and' ④ '.
도 8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60)의 작동으로 로드부(62)가 우측으로 전진('①' 과정)하면 보조래치(63)가 반시계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게 된다('②' 과정).As shown in FIGS. 8 and 9A, when the
또한, 도 8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래치(63)로부터 구속 해제된 메인레치(5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연결된 제1연장링크(52), 제2연장링크(53), 지지링크(54)가 고정축(41-3)을 기준으로 회전한다('③' 과정). 따라서, 한 쌍의 제2해제링크(42)의 타단이 화살표 방향으로 대칭되게 당겨짐으로써 한 쌍의 무장걸이(10)는 구속 해제되고, 무장걸이(10)와 함께 무장(P)은 자유낙하 가능한 상태가 된다('④' 과정).8 and 9B, when the
둘째, 도 10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무장 장착 과정을 살펴본다.Second, the arm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1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에서 무장이 장착되는 작동도면이고, 도 11a는 도 10의 '①'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이며, 도 11b는 도 10의 '②'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이며, 도 11c는 도 10의 '③', '④'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 및 도 11d는 도 10의 '⑤' 과정이 실시된 상태의 작동도면이다.FIG. 10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the armor is mounted in the arming mou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state in which '1' 'process of FIG. 10 is performed, FIG. 11C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state in which '3' and '4' processes of FIG. 10 are performed, and FIG. 11D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process of ' to be.
도 10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장치에 의해 무장하우징(20)의 무장 삽입공(도면부호 생략)으로 한 쌍의 무장걸이(10)의 상부가 인입되어 위치고정된다('①' 과정).As shown in Figs. 10 and 11A,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이어서 도 10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부(33)의 시계방향 회전('②' 과정)으로 회전축(31)이 연동되어 이 회전축(31)의 단부에 각각 맞물린 이동축(32)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해제링크(41)와 제2해제링크(42)가 고정축(41-3)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제1후크(42-1)가 무장걸이(10)의 관통홀 외측에 배치된다.10 and 11B, the rotating
다음, 도 10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레치(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연결된 제1연장링크(52), 제2연장링크(53), 지지링크(54)가 고정축(41-3)을 기준으로 회전한다('③' 과정). 따라서, 한 쌍의 제2해제링크(42)의 타단이 화살표 방향으로 대칭되게 멀어짐으로써 각 제1후크(42-1)가 무장걸이(10)의 관통홀 내측에 배치된다. 연속으로 액츄에이터(60)의 작동으로 로드부(62)가 좌측으로 후진하면 보조래치(63)가 시계 방향으로 연동 회전('④' 과정)함으로써 메인레치(51)는 구속 상태가 된다.Next, as shown in Figs. 10 and 11C, when the
이 상태에서 도 10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부(33)의 반시계 방향 회전('⑤' 과정)으로 회전축(31)이 연동되어 이 회전축(31)의 단부에 각각 맞물린 이동축(32)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해제링크(41)와 제2해제링크(42)가 고정축(41-3)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제1후크(42-1)가 회동되어 한 쌍의 무장걸이(10)를 구속시키게 된다. 이때, 진동 저감부재(70)의 무장지지부(72)는 무장(P)의 상부 원주면에 밀착하게 되고 무장(P)을 진동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10 and 11D,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장 장착대에 의하면, 기계식 링크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구성품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rmed mount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chanical link mechanism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urability of components and is safe from vibration and impa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an armed mou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설명을 위한 필수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키로 한다.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one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essential configuration for explanation will be described.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는, 리프트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무장(P)의 상부 원주면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부에 관통홀(도시 생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무장걸이(10); 하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무장걸이(10)의 상부가 입출될 수 있는 한 쌍의 무장 삽입공(도면부호 생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무장하우징(20);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지지되어 정역 회전가능한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양단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축(32)으로 구성되는 턴버클조립체(30); 상기 턴버클조립체(30)에 연동되어 무장 장착시 무장하우징(20)의 무장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무장걸이(10)의 상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의 사이에 대칭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을 이동시켜 상기 각 무장걸이(10)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제2링크유닛(50); 상기 제2링크유닛(50)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60); 및 상기 제1링크유닛(40)과 연동하여 상기 무장걸이(10)를 탄성적으로 밀어내어 무장(P)의 투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추력기(80)를 포함한다.12, the armed mou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m P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y a lift device (not shown), and has a through hole A pair of arming hooks 10 each formed with a plurality of arcuate arms 10; An armed housing 20 in which a pair of armed insertion hole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armed hooks 10 can be input / A movable shaft 32 which is supported inside the arm housing 20 and is capable of normal and reverse rotations and a movable shaft 32 which is reciprocated symmetrically with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31 and symmetrical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31, A turnbuckle assembly 30 comprising: A pair of first link units (40) interlocked with the turnbuckle assembly (3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upper part of the armed hook (10) inserted into the armed insertion holes of the armed housing (20) when armed; And a pair of first link units (40) that are symmetrically reciprocatable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and that move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to restrain or release the respective armed hooks A second link unit (50); An actuator (60) for restraining or restraining the second link unit (50); And a thruster (80) for elastically pushing the armed hook (10)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link unit (40) to ensure the reliance of the delivery of the armed weapon (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된 구성인 상기 추력기(8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추력기(80)는,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과 인접하여 설치되되 내부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81a)이 형성되는 추력기하우징(81)과, 상단이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내부 상측에 지지되는 탄성부재(82)와, 상기 탄성부재(82)의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가이드레일(81a)을 따라 승하강 가능한 상부 슬라이드(83)와,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가이드레일(81a)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되 상기 상부 슬라이드(83)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하부 슬라이드(84)와, 상기 하부 슬라이드(84)의 내측에 제1지점이 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삼각링크(85)와, 상단이 상기 상부 슬라이드(83)에 핀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삼각링크(85)의 제2지점에 핀결합되는 일자링크(8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상기 삼각링크(85)의 제3지점은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외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 슬라이드(84)의 하단 일부는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The third point of the
이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장 장착대의 작용(무장 장착 및 무장 투하)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rming and unarming) of the armed mou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무장 장착][Armed Installation]
일 실시예에서 무장 투하 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크(42-1)가 회동된 상태이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hook 42-1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ok 42-1 is rotated, as shown in Fig.
이후, 도 14a 및 도 14b(도 11 참고)와 같이, 리프트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무장하우징(20)의 무장 삽입공(도면부호 생략)으로 한 쌍의 무장걸이(10)의 상부가 인입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s. 14A and 14B (see Fig. 11),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즉, 한 쌍의 무장걸이(10)의 상부가 무장하우징(20)의 무장 삽입공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하부 슬라이드(84)가 상승(①)하며, 이에 따라 삼각링크(85)와 일자링크(86)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②)하게 된다. 이때 상부 슬라이드(83)는 위치 고정되어 탄성부재(82)의 장력은 증가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어서, 제1후크(42-1)가 회동(③, 회동 메커니즘은 일 실시예 참고)되어 한 쌍의 무장걸이(10)의 인입상태를 지지하게 된다.That is, in the course of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계속하여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렌치공(R)에 렌치를 끼워 돌려 삼각링크(85)와 일자링크(86)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④)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일자링크(86)는 도 14a의 상태보다 더 회전하여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지지됨으로써 탄성부재(82)의 장력이 하부 슬라이드(84)로 전달된다. 따라서, 하부 슬라이드(84)가 제1후크(42-1)가 지지되어 위치고정되므로 상부 슬라이드(83)가 상승(⑤)하여 탄성부재(82)가 압축되고 장력이 증가한다.14C, the user inserts the wrench into the wrench R and rotates the
[무장 투하][Armed release]
이 상태에서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크(42-1)가 역회동(⑥)되면, 압축된 상태의 탄성부재(82)의 장력으로 상부 슬라이드(83) 및 하부 슬라이드(84)가 하강하여 무장걸이(10)를 밀어내어 공기 저항을 이겨내고 무장(P)의 투하를 가능케 한다. 이때 탄성부재(82)의 장력이 해제되면 삼각링크(85)와 일자링크(86)는 도 14a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14D, when the first hook 42-1 is reversely rotated (6),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장 장착대에 의하면, 비행속도에 따라 중력식 투하가 불충분할 경우, 탄성력으로 무장걸이를 밀어내어 공기 저항을 이겨내고 무장의 투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rmed mount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ravity type drop is insufficient depending on the flying speed, the armed hangers can be pushed out with the elastic force to overcome the air resistance and to secure the drop reliability of the arm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하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무장걸이(10)의 상부가 입출될 수 있는 한 쌍의 무장 삽입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무장하우징(20);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지지되어 정역 회전가능한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양단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축(32)으로 구성되는 턴버클조립체(30);
상기 턴버클조립체(30)에 연동되어 무장 장착시 무장하우징(20)의 무장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무장걸이(10)의 상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의 사이에 대칭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을 이동시켜 상기 각 무장걸이(10)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제2링크유닛(50);
상기 제2링크유닛(50)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60); 및
상기 제1링크유닛(40)과 연동하여 상기 무장걸이(10)를 탄성적으로 밀어내어 무장(P)의 투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추력기(80);
를 포함하는 무장 장착대.A pair of armed hooks (10)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m (P)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having through holes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An armed housing (20) having a pair of armed insertion holes through which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armed hooks (10) can be input and output at regular intervals;
A movable shaft 32 which is supported inside the arm housing 20 and is capable of normal and reverse rotations and a movable shaft 32 which is reciprocated symmetrically with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31 and symmetrical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31, A turnbuckle assembly 30 comprising:
A pair of first link units (40) interlocked with the turnbuckle assembly (3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upper part of the armed hook (10) inserted into the armed insertion holes of the armed housing (20) when armed;
And a pair of first link units (40) that are symmetrically reciprocatable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and that move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to restrain or release the respective armed hooks A second link unit (50);
An actuator (60) for restraining or restraining the second link unit (50); And
A thruster (80) for elastically pushing the armed hook (10) in interlock with the first link unit (40)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delivery of the armed weapon (P);
An armed mount that includes the.
상기 회전축(31)을 정역 회전시키도록 결합되는 베벨기어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The turnbuckle assembly (3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rnbuckle assembly (30)
Further comprising a bevel gear portion (33) coupled to rotate the rotary shaft (31)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상기 회전축(31)과 일체로 설치되며 브라켓(B)으로 지지되는 회전바(33-1)와, 상기 브라켓(B)에 지지되어 외부 작동력이 전달되는 제1기어(33-2)와, 상기 회전바(33-1)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기어(33-2)로부터 작동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3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The bevel gear portion (3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vel gear portion (33)
A rotary bar 33-1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rotary shaft 31 and supported by a bracket B, a first gear 33-2 supported by the bracket B to transmit an external actuating force, And a second gear (33-3)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rotary bar (33-1) and receiving operating force from the operating gear (33-2).
단부가 상기 각 이동축(32)에 연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부(41-1), 상기 각 연동부(41-1)와 수직을 이루도록 일체 연장되는 연장부(41-2), 상기 연동부(41-1)와 상기 연장부(41-2)의 연결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무장하우징(20)에 설치되는 고정축(41-3)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제1해제링크(41)와,
일단이 상기 각 제1해제링크(41)의 연장부(41-2)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에 상기 각 무장걸이(10)의 관통홀에 대응될 수 있는 제1후크(42-1)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2해제링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link units (40)
An extension portion 41-2 integrally extend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interlocking portions 41-1; an interlocking portion 41-2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moving shaft 32, A pair of first release links 41 constituted by a fixed shaft 41-3 installed in the arm housing 20 to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xtension 41-1 and the extension 41-2,
And a first hook (42-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extended portion (41-2) of each of the first release links (41) and has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of each armed hook And a pair of second release links (42) on which a pair of second release links (42) are installed.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 사이의 상기 무장하우징(20)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레치(51)와,
일단이 상기 메인레치(51)의 양측에 각각 핀(52-1) 결합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연장링크(52)와,
일단이 상기 제1연장링크(52)의 타단에 각각 핀(53-1)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해제링크(42)의 타단에 각각 핀(53-2) 결합되는 제2연장링크(53)와,
일단이 상기 각 고정축(41-3)에 지지되며 타단이 핀(53-1) 결합되는 지지링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cond link unit (50)
A main latch (51) rotatably mounted on the armed housing (20)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A pair of first extended links 52,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latch 51 by a pin 52-1,
And a second extension link 53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link 5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lease link 42 by a pin 53-2) )Wow,
And a support link (54) having one end supported by each fixed shaft (41-3) and the other end coupled with a pin (53-1).
그 상측으로 연장되는 레치걸이(5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ain latch (51)
And an upper latch hook (51-1) extending upward therefrom.
상기 무장하우징(20)에 지지 설치되는 전동부(61)와,
일측이 상기 전동부(61)의 내부에 결합되어 왕복운동가능한 로드부(62)와,
상기 로드부(62)의 타측과 인접한 상기 무장하우징(20)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로드부(62)와 연동되어 상기 메인레치(51)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는 보조래치(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7. The actua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ctuator (60)
A moving part 61 which is supported by the arm housing 20,
A rod portion 62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riving portion 61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An auxiliary latch 63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armed housing 20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rod portion 62 and interlocked with the rod portion 62 to restrain or restrain the main latch 51, And an armature mounted on the arm.
원판 형상의 로드플레이트(6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8.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t the other end of the rod portion (62)
And a rod-shaped load plate (62-1) is provided.
상기 로드플레이트(62-1)를 지지하는 블록(2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inside the armed housing (20)
And a block (21) for supporting the load plate (62-1) is installed.
그 일측에 상기 로드부(62)에 핀결합되는 동력전달부(63-1)와, 그 타측에 상기 메인레치(51)의 레치걸이(51-1)와 대응하는 제2후크(6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uxiliary latch (63)
And a second hook 63-2 corresponding to the latch hook 51-1 of the main latch 51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3-1, And an armature mounted on the armature.
상기 로드부(62)의 왕복운동시 상기 로드부(62)의 돌기(62-1)를 안내하는 슬롯홀(63-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11.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claim 10,
And a slot hole (63-1a) for guiding the projection (62-1) of the rod portion (62) when the rod portion (62) reciprocates.
상기 무장(P)의 원주면과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무장하우징(20)의 양측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진동 저감부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vibration reduction members (70) coupled to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arm housing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arm (P), respectively.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체결되는 체결부(71)와, 상기 체결부(71)의 하부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러그부(72)와, 상기 각 러그부(72)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무장지지부(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13.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vibration reduction member (70)
A pair of lugs 72 extending downwardly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71 and a pair of lugs 72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ortion 71, And an arm support portion (73)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portion.
상기 무장하우징(20)의 내부에 한 쌍의 제1링크유닛(40)과 인접하여 설치되되 내부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81a)이 형성되는 추력기하우징(81)과, 상단이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내부 상측에 지지되는 탄성부재(82)와, 상기 탄성부재(82)의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가이드레일(81a)을 따라 승하강 가능한 상부 슬라이드(83)와,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가이드레일(81a)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되 상기 상부 슬라이드(83)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하부 슬라이드(84)와, 상기 하부 슬라이드(84)의 내측에 제1지점이 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삼각링크(85)와, 상단이 상기 상부 슬라이드(83)에 핀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삼각링크(85)의 제2지점에 핀결합되는 일자링크(86)를 포함하는 무장 장착대.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thruster (80)
A thruster housing 81 provided adjacent to the pair of first link units 40 inside the armed housing 20 and having a pair of guide rails 81a formed therein, An upper slide 83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82 and i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81a of the thruster housing 81, A lower slide 84 which can be raised and lowered along a guide rail 81a of the thruster housing 81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lide 8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lat link (86) having an upper end pinned to the upper slide (83) and a lower end pinned to the second point of the triangular link (85) Mounting base.
상기 추력기하우징(81)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장착대.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third point of the triangular link (85)
And is located outside the thruster housing (8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8385A KR101657363B1 (en) | 2014-10-29 | 2014-10-29 | Weapn s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8385A KR101657363B1 (en) | 2014-10-29 | 2014-10-29 | Weapn st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0374A true KR20160050374A (en) | 2016-05-11 |
KR101657363B1 KR101657363B1 (en) | 2016-09-13 |
Family
ID=5602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8385A Active KR101657363B1 (en) | 2014-10-29 | 2014-10-29 | Weapn st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736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3070B1 (en) | 2020-10-12 | 2021-02-05 | 드래곤모터스 주식회사 | Mobile wastewater purifi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56623A (en) * | 1959-09-04 | 1962-10-02 | Bohanan Mfg Company | Store ejector rack |
US4202576A (en) * | 1977-12-30 | 1980-05-13 | R. Alkan & Cie | Device for locking to fixed supports loads carried under aircraft |
US4318561A (en) * | 1978-10-17 | 1982-03-09 | R. Alkan & Cie | Central-controlled devices for carrying and wedging loads under aircraft |
KR20120045578A (en) * | 2010-10-29 | 2012-05-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hockless separation device for space application |
-
2014
- 2014-10-29 KR KR1020140148385A patent/KR10165736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56623A (en) * | 1959-09-04 | 1962-10-02 | Bohanan Mfg Company | Store ejector rack |
US4202576A (en) * | 1977-12-30 | 1980-05-13 | R. Alkan & Cie | Device for locking to fixed supports loads carried under aircraft |
US4318561A (en) * | 1978-10-17 | 1982-03-09 | R. Alkan & Cie | Central-controlled devices for carrying and wedging loads under aircraft |
KR20120045578A (en) * | 2010-10-29 | 2012-05-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hockless separation device for space applica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3070B1 (en) | 2020-10-12 | 2021-02-05 | 드래곤모터스 주식회사 | Mobile wastewater purif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7363B1 (en) | 2016-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1146B1 (en) | Weapn station | |
US9644916B2 (en) | Modular weapon station system | |
KR101571521B1 (en) | Weight balance device for eliminating disparities of UAV wing | |
US9541361B2 (en) | Shell | |
KR101657363B1 (en) | Weapn station | |
US3216322A (en) | Bomb rack adapter | |
US11591112B2 (en) | Device for catching and launch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 |
KR102032555B1 (en) | Safety arming device and arming assembly having the same | |
KR20180045862A (en) | Fire support | |
CN113237395A (en) | Bullet fixing device based on lever mechanism | |
RU2725013C1 (en) | Catapult for launch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s | |
US2397507A (en) | Remote-control gun charger | |
CN214493348U (en) | Locking clearance eliminating device for airplane locking device | |
EA021655B1 (en) | Starting device | |
KR20140043405A (en) | Striking pin safety element | |
CN218431747U (en) | Airborne launcher and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 |
KR101873067B1 (en) | Weapn station | |
JP6027725B2 (en) | Fuze mounting mechanism | |
RU2587318C2 (en) | Device for fixation or release of solid bodies to superlight aircraft | |
KR20150034974A (en) | Guns of a warship movement device for the horizontally transport | |
CN103697753A (en) | Mechanical lock cylinder mechanism suitable for automatic loading | |
KR101331863B1 (en) | Apparatus for fixing cannon and cannon having the same | |
CN207759022U (en) | A kind of military unmanned air vehicle with monitoring function | |
US3001454A (en) | Rammer device for missile loading systems | |
KR101513101B1 (en) | Munitions safety and arming device for artillery ammunition, and artillery ammunition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