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50037A -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evice compris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evice compris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037A
KR20160050037A KR1020167007011A KR20167007011A KR20160050037A KR 20160050037 A KR20160050037 A KR 20160050037A KR 1020167007011 A KR1020167007011 A KR 1020167007011A KR 20167007011 A KR20167007011 A KR 20167007011A KR 20160050037 A KR20160050037 A KR 20160050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state
display device
switched
neutral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2933B1 (en
Inventor
피터 바로스키
귀도 마이어-아렌트
롤프 아도마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5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93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B60K2350/2052
    • B60K2350/9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68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직선 조망 방향(38)으로 배치되어 있고 정상 작동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요소(8, 9, 10, 11)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표면(3)을 갖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3, 27, 29)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 작동 상태로부터 중립 상태로, 즉, 이미지 표면(3)의 하나 이상의 중앙 영역(3')이 비어 있고/비어 있거나 적어도 작동 상태에서 제공된 증강 현실 요소들(augmented reality elements)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중립 상태로 곧바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해서는, 조작자의 임의의 시선 전환을 가급적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해, 예를 들어 헤드-업-디스플레이(head-up-display)에서 디스플레이 요소(8, 9, 10, 11)의 디스플레이가 일시적으로 보이지 않게 되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에 매우 신속하게 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중립 상태로의 전이(transition)는, 검출된 운전 파라미터를 토대로 하여 분석 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운전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3) of an automobile having an image surface (3) arranged in the driver's straight viewing direction (38) and in normal operating condition on which one or more display elements (8, 9, 10, 11) , 27, 29), in which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switched from a normal operating state to a neutral state, that is, one or more central regions (3 ') of the image surface (3) Or at least in a neutral state in which the augmented reality elements provided in the operating state are not displayed.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display of the display elements 8, 9, 10, 11 in a head-up displa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ach the state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which is temporarily invisible very quickly. The transition to the neutral state can be made automatically by the analyzer based on the detected operating parameter or can be made by operation by the driver.

Description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EVICE COMPRIS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a device including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기 공학 및 제어 공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자동차, 보트 및 비행기와 같은 이동 수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분야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ntrol enginee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field of information display devices of mobile means such as, for example, automobiles, boats and planes.

현대의 차량 및 개인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다른 이동 수단, 하지만 예를 들어 레일과 결합 된 차량도 예를 들어 운전 계기(driving instrument), 회전 속도계(tachometer), 온도계 등과 같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개별 차량의 운전자에게 운전 파라미터에 대한 포괄적인 개관 및 기타 이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부분적으로,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요소는 차량 내부에서 소위 계기판 내에 배치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운전자가 직선 주행 방향으로 바람막이 창(wind screen)을 통해서 자신의 주변을 관찰할 수 있는 영역으로부터 별도로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부분적으로는 또한, 바람막이 창의 앞 또는 뒤에 있는 이미지 평면에서 가상의 이미지를 발생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향하고 있는 운전자 또는 조작자가 디스플레이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직선 주행 방향으로부터 시선을 돌릴 필요가 전혀 없거나 다만 최소로 돌리기만 하면 되는, 반사된 디스플레이 장치, 소위 헤드-업-디스플레이(Head-Up-Display)도 공지되어 있다.Modern vehicles and other means of transport that can be personally controlled, but for example vehicles associated with rails, also include a number of display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driving instrument, tachometer, Which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operating parameters and other available information to the driver of the individual vehicle. In part, such a display element is disposed within a so-called dashboard within the vehicle, that is, the driver is arranged separately from an area where the driver can observe his or her surroundings through a wind screen in a straight running direction. In part, however, it is also possible, by generating a virtual image in the image plane in front of or behind the windscreen, that the driver or operator facing the display has no need to turn his gaze from the straight running direction to identify the display element A reflected display device, a so-called head-up display, which is only required to turn at minimum, is also known.

회전 속도계, 회전수 측정기(revolution counter), 시계 등과 같은 통상의 디스플레이 요소에는 또한 소위 증강-현실-디스플레이(Augmented-Reality-Display)의 요소도 점점 더 많이 포함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의해서는 부분적으로 실제로 존재하는 대상물이 차량/이동 수단 외부에 나타난다. 이와 같은 대상물은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또한 차량 윈도우를 통해서도 볼 수 있지만, 증강-현실-디스플레이에서는 시각적인 식별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더욱 선명하게, 더욱 밝게, 확대된 상태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경된 상태로 나타난다.Conventional display elements, such as tachometers, revolution counters, clocks, etc., are also increasingly incorporating elements of the so-called Augmented-Reality-Display, An actual object appears outside the vehicle / vehicle. Such objects may appear partially parallel and also through a vehicle window, but appear to be more vivid, brighter, enlarged, or otherwise altered in order to improve visual identity in augmented-reality-display .

선행 기술의 다양한 문서들로부터는, 부분적으로 또한 헤드-업-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되어 있고 차량 운전자에 의해 예를 들어 차량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From various documents of the prior art, various display devices are known which are partly implemented as a head-up display and which can also be used, for example, by a vehicle operator to control a vehicle device.

따라서, 예를 들어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07 029 595 A1호에는, 헤드-업-디스플레이 및 상응하는 조작 요소를 이용해서 개별 차량 장치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Thus, for example, a German patent application DE 10 2007 029 595 A1 discloses a system which enables control of individual vehicle devices using a head-up display and a corresponding operating element.

유럽 공개 특허 출원서 EP 1 232 909 A2호에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에 배치된 조작 요소를 통해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menu navigation)을 이용해서 차량 장치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Europ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EP 1 232 909 A2 discloses a vehicle display system which enables control of a vehicle device using menu navigation via an operating element disposed on a steering wheel.

또한, 유럽 공개 특허 출원서 EP 1 679 221 A2호에는,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으로부터 개별 명령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커서(cursor) 제어부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In addition, European Patent Application EP 1 679 221 A2 discloses a display device with a cursor control which enables selection of individual commands from the display navigation shown on the display.

WO 2007/106092 A1호에는, 커서를 이용해서 명령이 선택될 수 있는 메뉴 및 헤드-업-디스플레이를 갖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메뉴는 스위치에 의해서 점점 밝게 나타날 수 있다.WO 2007/106092 A1 discloses a vehicle display device with a menu and a head-up display in which commands can be selected using a cursor, in which case the menu may appear increasingly bright by the switch.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을 배경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위험 상황에서 조작자/운전자의 시선 전환을 최소화하고 사고 및 오조작 위험을 최소화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that minimizes the change of eyes of an operator / driver and minimizes the risk of accident and erroneous operation, especially in a dangerous situation.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새로운 방법과 관련된 본 발명의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d to the novel method having the features of claim 1.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운전자의 직선 조망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정상 작동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요소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표면을 갖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며, 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 작동 상태로부터 중립 상태로, 즉, 이미지 표면의 하나 이상의 중앙 영역이 비어 있고/비어 있거나 적어도 작동 상태에서 제공된 증강 현실 요소들(augmented reality elements)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중립 상태로 곧바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an automobile, which is arranged in a driver's straight view direction and has an image surface on which one or more display elements are displayed in a normal operating state, The display device is switched from a normal operating state to a neutral state, that is, to a neutral state in which one or more central regions of the image surface are empty / empty or at least the augmented reality elements provided in the operating state are not displayed .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는, 객관적으로 또는 주관적으로 감지된 특별한 상황, 예를 들어 위험한 상황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중립 상태로, 즉, 이미지 표면에 소수의 또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요소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조작자/운전자의 주의력이 딴 데로 돌아가지 않거나 시야의 특정 영역이 디스플레이 요소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들을 스위치-오프시키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때 중요한 사실은, 전이(transition)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는, 데이터 처리 장치의 스위치-오프 시에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복잡한 과정들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장치를 다른 상태로 옮기지 않고, 오로지 이미지 표면에서의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중단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With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a neutral state in a special situation sensed objectively or subjectively, for example in a dangerous situation, that is to say that a small number or a large number of display elements are displayed on the image surface, It becomes possible to automatically or manually switch to a state in which the attention of the driver does not return to another position or a specific area of view is not blocked by the display element.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but not necessary, to switch of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or parts of this information display device. The important fact is that the transitions can be made very quickly, so that if necessary, the complex processes normally carried out at the time of switch-off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can be omitted. It is also conceivable to stop only the display function on the image surface, for example, without moving the control device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to another state.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작 요소의 작동에 의해서 곧바로 중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be switched to the neutral state immediate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element.

이 경우에, 조작자/운전자는 조작 요소의 작동에 의해서 그곳의 이미지 표면에 일시적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요소로부터 자신의 시야를 매우 신속하게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상응하는 조작 요소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잘 볼 수 있도록 그리고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만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되는,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한 몸짓 제어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와이핑(wiping) 동작이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시야는 직관적으로 손동작에 의해서 말끔하게 치워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or / driver can move his / her view very quickly out of the display element temporarily disposed on the image surface there by operation of the operating element. The corresponding operating elements must be arranged so that they are easily accessible, well visible and intuitive to operate. Further, gesture control for such a function, for example, which is photographed by a camera, can be considered.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 wiping operation can be provided, so that the view can be intuitively cleaned off by hand intentionally.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자동차의 보조 장치에 의해서 운전 상황의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고, 특정 파라미터 값에 따라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동으로 곧바로 중립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s of the driving situation can be continuously monitored by the auxiliary device of the vehicle, and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be automatically and immediately switched to the neutral state according to the specific parameter value have.

이 경우에,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립 상태로의 전환은 자동으로 그리고 객관적인 운전 상황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witching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to the neutral state can be made automatically and according to an objective driving situation.

당연히 두 가지 변형예가 대안적으로 가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중립 상태로의 전이를 위한 수동 조작은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실행될 수 있지만, 어떤 경우에든지 운전 상황에 따라서 중립 상태로 전환된다.Naturally, two alternatives are possible, so that a manual operation for transition to a neutral state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driver's will, but in any case it is switched to a neutral state depending on the driving situa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보조 장치에 의해서 운전 상황의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는 것, 그리고 특정 파라미터 값에 따라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준비 상태로, 즉,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작 요소의 작동에 의해 곧바로 중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도 제공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arameter of the operating condition is continuously monitored by the auxiliary device of the vehicle, and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set in the ready state, that is,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operated immediate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element, It can also be provided that the state can be switched to the neutral state.

이 경우에, 운전 파라미터 값이 상응하는 경우에는, 중립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수동 작동을 비로소 가능하게 하거나 이와 같은 수동 작동을 적어도 가속하거나 용이하게 하는 준비 상태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동으로 옮겨짐으로써, 중립 상태로의 자동 전환과 수동 전환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parameter value corresponds,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ready state in which the manual operation for switching to the neutral state is only enabled or at least the manual operation is accelerated or facilitated, It is possible to use a combination of automatic switching to the neutral state and manual switching.

그 경우에는, 정상 작동 상태로부터 뿐만 아니라 준비 상태로부터도 중립 상태로의 직접적인 전이가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전이 과정들이 예를 들어 상이한 조작 요소 또는 조작 기능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In that case, it is possible that a direct transition from a normal operating state as well as from a ready state to a neutral state is possible, but such transition processes can be achieved, for example, by different operating elements or operating functions.

또한, 본 발명은, 증가된 사고 위험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립 상태로 또는 준비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됨으로써도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formed by automatically switching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from a parameter value indicating an increased accident risk to a neutral state or a ready state.

특히 증가된 사고 위험을 의미하는 운전 상황에서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립 상태로 전이됨으로써 더 높은 안전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그 이유는 운전자/조작자가 디스플레이 요소에 의해서 시선을 돌리게 되는 경우 또는 방해를 받게 되는 경우가 더 적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운전자는 완전히 시각 접촉에 의해서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정보에 집중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해서 차량 운전과 관련된 자신의 결정에 도달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a driving situation, which means increased risk of acciden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transition to the neutral state to reach a higher safety state, because the driver / Or less likely to be disturbed. At this time,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 the information that can be directly accessed by the visual contact, and based on this, his / her decision related to driving the vehicle can be reached.

본 발명에 따라, 조작 요소를 작동시킴으로써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곧바로 중립 상태로 그리고 중립 상태로부터 정상 작동 상태로 역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도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ditionally possible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be switched directly from the neutral state to the normal operation state from the neutral state by operating the operating element.

특히 중립 상태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위치-오프를 야기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재차 정상 작동 상태로 역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예를 들어 중립 상태로의 전환을 야기할 수 있는 조작 요소와 동일한 조작 요소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 요소로서는, 예를 들어 작동 중에 교대로 두 가지 방향으로 중립 상태와 정상 작동 상태 사이에서 이리저리 전환되는 누름 키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한 번 중립 상태로 전환된 후에 특정 최소 시간 동안 조작 요소가 작동되지 않으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동으로 정지 상태로 전환되거나 완전히 스위치-오프 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In particular, if the neutral state does not cause switch-off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t can be reversed to the normal operating state again relatively quickly. Such a situation can be caused by, for example, the same operating element as the operating element which can cause the switch to the neutral state. As such an operation element, for example, a push key which is alternately switched between a neutral state and a normal operation state in two directions alternately during operation can be used. However, in this case, it may be provided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top state or completely switched off if the operating element is not operated for a certain minimum time after switching to the neutral state once.

그와 달리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는 바람직하게,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립 상태로 전환된 후에 그리고 부동 시간(dead time)을 통과한 후에 재차 정상 작동 상태로 자동으로 역으로 전환되는 것도 제공될 수 있다.Alternatively, it may also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preferably switched back to the normal operating state again after switching to the neutral state and after passing the dead time.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중립 상태로 전환된 후의 확정된 수 초 후에는 재차 정상 작동 상태로 역으로 전환이 이루어질 텐데, 특히 중립 상태로의 전환이 운전 상황 파라미터의 특정 값의 검출로 인해 수동으로 이루어졌는지 아니면 자동으로 이루어졌는지와 상관없이 역으로 전환이 이루어질 것이다.In such a case, for example, after a defined number of seconds after the transition to the neutral state, the transition to the normal operating state will again be performed, especially when the transition to the neutral state is detected manually Whether it has been done or not, it will be reversed.

이와 같은 부동 시간은 예를 들어 3초 또는 5초일 수 있거나 10초일 수도 있다.Such a floating time can be, for example, 3 seconds or 5 seconds or 10 seconds.

전술된 누름 키의 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또한 바람직하게, 조작 요소가 복원 기구를 갖춘 기계적인 작동 요소, 특히 누름 키인 것, 그리고 작동 요소를 누를 때마다 중립 상태와 정상 작동 상태 사이에서 교체가 이루어진다는 것도 제공될 수 있다.As already explained in the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push-key, it is generally also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element be a mechanical operating element with a restoring mechanism, in particular a push-button, and a neutral state and a normal operating state May also be provided.

누름 키 외에 또한 탄력적인 레버 또는 동일한 형태의 다른 조작 요소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요소가 하나 또는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몸짓 제어부의 시각적인 식별에 의해서 형성된 것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손 또는 팔에 의해 실행되는 상응하는 몸짓에 의해서,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다른 광학적인 검출 요소에 의해서 특정 동작이 식별되어 조작 명령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위해서는, 중립 상태로의 전환을 야기하는 와이핑 동작이 규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ush key, a resilient lever or other operating element of the same type may also be provided. It may also be provided that the operating element is formed by visual identification of the gesture control with one or more cameras. In this case, a specific motion can be identified and converted into a manipulation command by a corresponding gesture, for example by a hand or an arm, for example by a camera or other optical sensing element. For example, for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 wiping operation that causes a transition to a neutral state may be def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조작 요소가 특히 누름 키 또는 탄력적인 레버인 복원 기구를 갖춘 기계적인 작동 요소이며, 기계적인 작동 요소가 눌러진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이 작동 요소가 중립 상태로의 전환을 야기하고, 눌러진 상태가 해제된 후에는 정상 작동 상태로의 전환을 유발시키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chanical actuating element having a restoring mechanism in which the actuating element is a push-button or a resilient lever, in particular, while the mechanical actuating element is held in the depressed state, And to cause the switch to the normal operation state after the depressed state is released.

또한, 본 발명은, 정상 작동 상태가 다수의 개별화된 디스플레이 변형예를 가지며, 그 중에서 임의의 변형예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that the normal operating state has a plurality of individualized display variations, any of which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이로써, 예를 들어 자동차를 운전하는 다양한 조작자는 각각 스스로 소수의 디스플레이 옵션을 선택하여 하나의 프로파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 프로파일은 추후에 저장되어 의도한 바대로 호출될 수 있다. 상응하는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통해서 선택될 수 있거나 또한 차량 내에 있는 기계적인 스위치를 통해서도 선택될 수 있다.Thus, for example, various operators operating a car can each independently select a few display options and combine them into a single profile, which can later be stored and recalled as intended. The corresponding profile may be selected, for example, via a menu displayed within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tself, or may also be selected via a mechanical switch in the vehicle.

조작 명령 또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중립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조작 요소도 개인적으로 각각의 프로파일을 위해 개별적으로 상이하게 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조작자는 키를 눌러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립 상태에 도달하도록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정할 수 있는 한편, 또 다른 조작자는 몸짓 및 상응하는 몸짓 식별을 이와 같은 전환을 위해서 이용한다.The operating elements used to switch the operating command or information display device to the neutral state can also be individually defined differently for each profile personally. In this way, the first operator can se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to reach the neutral state of the display device by pressing the key, while another operator uses the gesture and corresponding gesture identification for this conver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는, 이 방법이 주차 속도 미만에서는 자동으로 비활성화되고, 주차 속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재차 활성화되는 것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method is automatically deactivated below the parking speed and is activated again when the parking speed is exceeded.

다름 아니라 주차하는 경우 또는 주차 공간을 찾는 경우에는, 차량 주변에 대한 가급적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하여,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용 가능한 모든 디스플레이를 활성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이와 같은 주차 동작 동안의 서행 운전 상태에서는 또한, 운전자가 모든 면을 둘러봄으로써, 결과적으로 한 조작 요소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동작 및 조작 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몸짓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립 상태로의 전환을 쉽게 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도 통상적이다. 느린 운전 속도 때문에 곧바로 사고 위험의 위협을 받지 않고, 이로써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립 상태로의 매우 신속한 전환이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에, 전술된 상태에서는 이와 같은 전환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case of parking or searching for a parking space, it would be reasonable to keep all available displays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tive, in order to obtain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about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In the slow running state during the park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looks around all the sides, and as a result, the gesture which does not pay attention to one operation element or the operation or the carelessness of the operation element is switched to the neutral state It is also common that it will be easy to create. It may be desirable to completely block such a switchover possibility in the above-described state, since it is not immediately threatened by accident risk due to the slow operation speed, and thus very fast switching to the neutral state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not essential.

본 발명은, 다양하고 바람직한 특징들을 갖는 전술된 유형의 방법 이외에 또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춘 장치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 장치는 정상 작동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요소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표면, 및 정상 작동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즉, 이미지 표면의 하나 이상의 중앙 영역이 비어 있고/비어 있거나 적어도 정상 작동 상태에서 제공된 증강 현실 요소들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정상 상태로 곧바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 요소를 구비한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pparatus with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n addition to the methods of the above-mentioned type having various preferred features, In which the display elements are displayed in a normal operating state, and a normal state from a normal operating state to a normal state, i.e., one or more central areas of the image surface are empty / empty or at least normal And an operation element for switching directly to the state.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직관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직접적이고 신속한 전환을 위해 중립 상태에서 필수적인 모든 요소를 간단하는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ll the essential elements in a simple manner in a neutral state for direct and quick switching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order to enable intuitive operation.

본 발명은 한 예에 도시되어 있고,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이미지 표면을 갖는 차량의 바람막이 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하나의 헤드-업-디스플레이 및 소수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갖춘 바람막이 창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술적인 요소들을 갖춘 차량을 위로부터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예로 든 조작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또 다른 하나의 예로 든 조작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헤드-업-디스플레이의 프로젝터, 이미지 표면 그리고 개략적으로 도시된 조작자를 갖는 차량을 측면도로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an exampl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schematically shows a windscreen of a vehicle having an image surface of a head-up display;
Figure 2 shows a windscreen with one head-up display and a few display elements;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vehicle with technical elements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from above;
Figure 4 shows an exemplary operating element;
Figure 5 shows another exemplary operating element;
Figure 6 is a side view of a vehicle having a projector, an image surface and an operator shown schematically in a head-up display; And
7 shows a flow diagram of a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은, 스티어링 휠(1)을 넘어 바람막이 창(2)을 향하는 자동차 운전자의 직선 조망을 보여주며, 이 경우 운전자의 직선 주행 방향 및 시선 방향에는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이미지 표면(3)이 비추어져 있다. 이미지를 이미지 표면(3)에 비추는 것은 예를 들어 프로젝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프로젝터는 계기판 내에 또는 계기판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그의 광학 수단은, 프로젝터 내에서 생성된 이미지가 특히 비스듬한 바람막이 창을 통해 조작자에게로 반사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미지 평면은 운전자 측에서 볼 때 통상 자동차 외부 영역에 있는 바람막이 창 뒤에 놓여 있다. 하지만, 이미지 평면을 바람막이 창 안에 또는 바람막이 창 앞에 놓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Fig. 1 shows a straight view of the driver of a motor vehicle passing over the steering wheel 1 and toward the windshield window 2. In this case, in the straight running direction and the sight direction of the driver, the image surface 3 of the head- It is illuminated. The projection of the image onto the image surface 3 can be done, for example, by means of a projector, which is arranged in the instrument panel or under the instrument panel, the optical means of which the image produced in the projector, To the operator, in which case the image plane lies behind the windscreen usually located outside the vehicle when viewed from the driver's side.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place the image plane in the windshield window or in front of the windshield window.

도 2에는 계기판(4), 중앙 콘솔(5), 조작반(6) 및 조이스틱(7)을 갖춘 자동차 실내의 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2 shows a part of the automobile interior with the instrument panel 4, the center console 5, the operating panel 6 and the joystick 7.

바람막이 창(2)의 방향으로는, 4개의 디스플레이 요소, 즉, 회전 속도계(8), 회전수 측정기(9), 시계(10) 및 온도 지시계(11)를 갖춘 이미지 표면(3)이 도시되어 있다.In the direction of the windscreen 2 is shown an image surface 3 with four display elements, namely a tachometer 8, a revolution meter 9, a clock 10 and a temperature indicator 11 have.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요소(8, 9, 10, 11)가 이미지 표면(3) 상에 각각 현재 측정되었거나 검출된 파라미터로써 표시되도록 보증해준다. 운전자는 바람막이 창(2)을 관통해서 보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요소(8, 9, 10, 11)를 볼 수 있고, 시선을 돌리지 않고서도 평가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ensures that the display elements 8, 9, 10, 11 are displayed on the image surface 3, respectively, with the currently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respectively. The driver can see the display elements 8, 9, 10, 11 while seeing through the windshield 2 and can evaluate without turning his or her eyes.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소수의 또는 모든 디스플레이 요소(8, 9, 10, 11)를 이미지 표면(3) 상에서 이동, 확대 및 축소 또는 페이드-아웃(fade-out) 및 페이드-인(fade-in)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조작반(6)의 소수의 조작 요소(12, 13, 14)가 제공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may for example move, scale and / or fade-out a few or all of the display elements 8, 9, 10, 11 on the image surface 3 and fade- -in). For this purpose, a small number of operating elements 12, 13, 14 of the operating panel 6 may be provided.

또한, 마찬가지로 이미지 표면(3)에 디스플레이되어 이동될 수 있는 텍스트 형태의 명령들이 메뉴 안에 편성될 수 있으며, 이 목적을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조작 요소(12, 13, 14)가 사용될 수 있다. 커서, 즉, 그래픽 피드백-요소(graphic Feedback-Element)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요소는 상응하게 각각 순간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어드레싱할 수 있는 명령을 메뉴에 디스플레이하고, 조작 요소를 이용한 수신 확인(acknowledge)에 의해서 각각 선택된 명령의 어드레싱을 가능하게 한다.Also, textual commands, which can likewise be displayed and moved on the image surface 3, can also be organized in menus, and for this purpose the operating elements 12, 13 and 14 can likewise be used. A cursor, i.e., a graphic feedback-element, may also be provided, which displays on the menu a corresponding / addressable command which can be reached instantaneously, to enable the addressing of the respective instruction selected by the acknowledge.

하나의 명령이 조작 요소(12, 13, 14)에 의해서 또는 예를 들어 조이 스틱에 의해서 선택되고/선택되거나 어드레싱되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가 디스플레이 요소(8, 9, 10, 11)를 디스플레이 요소(8, 9, 10, 11)를 이미지 표면상에서 새롭게 편성하거나 제어하게 될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의도한 바대로 이미지 표면의 특정한 변경에 도달하기 위하여, 소정의 산술 능력 및 선택적인 제어가 필요하다.When a single command is selected / selected or addressed by the operating elements 12, 13, 14 or by, for example, a joystick, the data processing device inside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elements 8, 9, 10, 11 to the new arrangement or control of the display elements 8, 9, 10, 11 on the image surface. For this purpose, certain arithmetic capabilities and optional control are required to arrive at a specific modification of the image surface as intended.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별한 조작 요소를 제공하며, 이 조작 요소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1)에 있는 누름 버튼(5)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거나 계기판에 있는 레버(16)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고, 이 조작 요소에 의해서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곧바로 중립 상태로, 즉, 이미지 표면(3) 상에서 또는 적어도 이미지 표면의 중앙 영역(3')에서 디스플레이 요소를 전혀 볼 수 없는 중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cial operating element, which may for example be formed by a push button 5 on the steering wheel 1, By means of which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immediately brought into a neutral state, i.e. on the image surface 3 or at least in the central region 3 'of the image surface, It can be switched to a neutral state that can not be achieved.

또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몸짓에 의해서, 다시 말해 운전자의 손, 팔 또는 머리의 동작에 의해서 중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운전자의 동작은 차량 실내에 있는 카메라(17)에 의해서 촬영될 수 있고, 이미지 처리 장치 내에서 해석된다.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be switched to the neutral state by gestures, that is,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r's hand, arm or head, and such operation of the driver is carried out by the camera 17 And interpreted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조작 요소(15, 16)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상적인 조작을 위해서 이용되는 조작 요소(12, 13, 14)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한 편으로는 조작 요소(15, 16)의 무작위(random) 작동이 전혀 발생할 수 없게 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의 조작 가능성과 중립 상태로의 직접적인 전환 간에 직관적으로 구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operating elements 15, 16 are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elements 12, 13, 14 which are used for the usual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are preferably spaced apart at sufficient intervals, The random operation of the operating elements 15 and 16 can not occur at all and on the other hand intuitive distinction can be made between the operability when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normally used and the direct conversion to the neutral state .

도 3에는, 방향 설정을 위한 4개의 휠(18, 19, 20, 21)을 갖춘 자동차 차체를 위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양한 센서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차량의 전방 단부에 있는 센서(22)는 간격 센서이고, 마찬가지로 전방 차량 단부에 배치된 센서(2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이며, 센서(24)는 주행 방향으로 정렬된 카메라이다. 이들 센서는, 차량의 후방 단부에 있고 간격 센서로서 형성된 센서(25) 및 온도 센서로서 형성될 수 있는 센서(26)와 마찬가지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장치(27)와 연결되어 있다.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록된 운전 파라미터 또는 카메라(24)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정보로 처리하며, 이 정보는 헤드-업-디스플레이 형태의 투영 장치(28)를 통해 운전자에게 비추어질 수 있다. 조작반(6)의 조작 요소는, 예를 들어 메뉴 내비게이션 및 커서 제어부를 통해서, 발생 된 이미지가 투영 장치(28)에 의해 나타나는 이미지 표면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페이드-인 및 페이드-아웃 하거나 배열하기 위해서, 확대하거나 디스플레이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 이용된다.3, there is shown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utomobile body with four wheels 18, 19, 20, 21 for direction setting from above. Various sensors are shown, of which the sensor 22 at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is an interval sensor and likewise the sensor 23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is,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 These sensors are connected to the processing device 27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like the sensor 25 which is formed as a gap sensor and the sensor 26 which may be formed as a temperature sensor.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processes the recorded operation parameters or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4 with information, which can be projected to the driver through the projection device 28 in the head-up-display form. The operating elements of the operating panel 6 are controlled by, for example, menu navigation and a cursor control, such that the generated image fades-in and fades-out or arranges display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image surface represented by the projection device 28 , It is used to enlarge or change the display method.

처리 장치(27) 내부에는 또한 상황 분석 장치(29)가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이 상황 분석 장치는 이 장치에 제공된 파라미터 또는 센서의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운전 상황을 검출하고, 특정 임계값을 참조해서 운전자의 주의력 증가를 요구하는 임계적인 운전 상황의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황 분석 장치(29)가 투영 장치(28)를 스위치-오프 또는 분리하거나, 디스플레이 요소가 이미지 표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다른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A situation analyzing device 29 is also optionally provided inside the processing device 27. The situation analyzing device detects the operating condition from the parameters or sensor parameter values provided to the device, The presence of a critical operating condition requiring increased attention of the driver. In such a situation, the situation analyzer 29 may switch off or separate the projection device 28, or otherwise remove the display element from being displayed on the image surface.

그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누름 버튼(15)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누름 버튼은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고, 단 한 가지 작동으로써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중립 상태로, 즉, 이미지 표면이 비어 있는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은 전환 동작은 예를 들어 파선(30)을 통해 지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그리고 투영 장치(28)를 처리 장치(27)로부터 분리시키는 스위치(31)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누름 버튼(15)의 작동에 의해서 처리 장치(27)가 곧바로 상응하는 중립 상태로 전환되는 것도 제공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통상적으로는 처리 장치(27)가 정지되지 않는데, 다시 말하자면 새로운 스타트에서 재차 이용하기 위한 유효 작동 파라미터가 통상적인 방식으로 저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과정은 통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스위치-오프를 야기하기에는 너무 길게 지속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처리 장치(27)의 강제적이고 즉각적이며 완전한 스위치-오프가 야기되거나, 투영 장치(28)로의 디스플레이 전달이 중단된다.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ush button 15 is provided, which can be operated by a driver, and with only one operation,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brought into a neutral state, that is, State. Such a switching operation may be accomplished, for example, by a switch 31, which directs the projection device 28 from the processing device 27,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30.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15 causes the processing device 27 to immediately switch to the corresponding neutral state. For this purpose, the processing device 27 is not normally stopped, that is to say, the effective operating parameters for re-use in the new start are not stored in a conventional manner. This process usually lasts too long to cause a direct and immediate switch-off of the display device. For this reason, a forced, immediate, and complete switch-off of the processing device 27 is caused, or display delivery to the projection device 28 is interrupted.

도 4는, 작동 방향(32)으로 눌러질 수 있는 누름 버튼(15)에 대한 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누름 버튼(15)이 눌러져 있는 동안에는 스프링(33)의 힘에 대항해서 이미지 표면(3)에 있는 디스플레이 요소가 제거되는 것, 그리고 누름 스위치(15)의 눌러진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이들 디스플레이 요소가 곧바로 재차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Fig. 4 shows an example of a push button 15 that can be pressed in the operating direction 32. Fig. For example, when the push button 15 is depressed, the display element on the image surface 3 is removed against the force of the spring 33, and when releasing the depressed state of the push switch 15, It may be provided that the display element is immediately displayed again.

도 5에는 스프링 하중을 받은 상태의 상응하는 레버(34)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미지 표면(3) 상에서의 디스플레이 요소의 디스플레이를 일시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이 레버가 스프링(35)의 힘에 대항해서 기울어질 수 있다. 레버(34)가 재차 릴리스 되면, 디스플레이 요소가 재차 이미지 표면 상에 나타난다.5 shows the corresponding lever 34 in a spring-loaded state and this lever is tilted against the force of the spring 35 in order to temporarily inhibit the display of the display element on the image surface 3 . When the lever 34 is released again, the display element again appears on the image surface.

도 6은 조작자, 즉, 직선 주행 방향(38)으로 바람막이 창(2)의 방향을 바라보는 운전자(37)가 탑승한 차량(36)을 측면도로 보여준다. 또한,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장치(27)에 의해서 제어되는 투영 장치(28)도 도시되어 있다. 투영 장치(28)는 광학 수단을 구비하며, 이 광학 수단은 이미지 평면이 운전자를 위해 이미지 표면(3)에 나타나도록, 발송된 광선을 포커싱한다. 본 경우에는 가상의 이미지 평면이 사용된다. 이로써, 운전자는 직선 주행 방향(38)을 주시할 때 자신의 구체적인 실제 주변을 인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미지 표면(3)에 있는 디스플레이 요소도 인식할 수 있게 된다.6 shows a side view of a vehicle 36 on which an operator, that is, a driver 37 looking in the direction of the windshield window 2 in the straight running direction 38 is mounted. Also shown is a projection device 28 that is controlled by the processing device 27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a manner not shown in this figure. The projection device 28 comprises optical means which focus the emitted light beam such that the image plane appears on the image surface 3 for the driver. In this case, a virtual image plane is used. This allows the driver not only to recognize his specific actual surroundings when viewing the straight running direction 38 but also to recognize the display elements on the image surface 3. [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흐름도에서 제1 단계(39)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 상태, 즉, 적어도 소수의 또는 모든 디스플레이 요소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예를 들어 헤드-업-디스플레이에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의 제2 단계(40)에서는, 복잡한 그리고/또는 임계적인 운전 상황의 존재 여부가 체크된다. 이와 같은 체크 과정은, 검출된 운전 파라미터를 참조해서 처리 장치(27) 내에 있는 상황 분석 장치(29)에 의해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요소의 스위치-오프 과정이 가급적 짧은 시간 간격 안에 유효하게 이루어져야만 하는 상황이 존재하면, 그 다음 단계로서 제3 단계(41)가 실행되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요소가 이미지 표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작이 즉각적으로 차단된다.7, there is shown a flow diagram of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step 39 is performed in which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in a steady state, i.e., at least a few or all of the display elem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Head-up " means that the display is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In the next second step 40, the presence of a complex and / or critical operating condition is checked. Such a check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situation analyzing device 29 in the processing device 27 with reference to the detected operating parameters. If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the switch-off process of the display element has to be effected as effectively as possible within a short time interval, then the third step 41 is carried out as the next step, whereby the action of the display element being displayed on the image surface is immediately .

제2 단계/분석 단계(40)에서 복잡한/임계적인 운전 상황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타나면, 디스플레이가 변경 없이 그대로 유지되는 제1 단계(39)로 되돌아간다.If the second / analysis step 40 indicates that there is no complex / critical operating condition, the process returns to the first step 39 where the display remains unchanged.

시스템이 제3 단계(41)로 이동했다면, 그 다음의 제4 단계(42)에서, 임계적인 운전 상황을 통과한 후에 재차 비임계적인 단순한 운전 상황의 존재 여부가 체크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5 단계(43)로 넘어가고, 이 제5 단계는 제1 단계(39)로의 복귀 및 이와 더불어 헤드-업-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 요소의 완전하고도 변경되지 않은 디스플레이를 유도한다.If the system has moved to the third step 41, then in the next fourth step 42 the existence of a non-critical simple driving situation is again checked after passing the critical operating condition. If this is the case, then proceed to a fifth step 43 where the fifth step is to return to the first step 39 and in addition to the complete and unaltered display element of the display element in the head-up display Thereby inducing the display.

분석 단계(42)에서 '계속 임계적인 운전 상황이 존재한다'는 결과가 유도되면, 점프 화살표(44)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분석 결과가 운전 파라미터를 참조해서 '비임계적인 상황이 존재한다'는 평가를 내릴 때까지 분석 단계(42)가 규칙적으로 반복해서 실행된다.If the result of the 'continue critical operating situation is present' is derived in the analysis step 42, as indicated by the jump arrow 44, there is a non-critical situation with the analysis result referring to the operating parameters The analysis step 42 is executed repeatedly and regularly until an evaluation is made.

본 출원서에 도시된 도 7의 흐름도와 병행하여, 누름 버튼(15)이 작동되거나 객실 내에 있는 내부 카메라(17)에 의해서 검출되어 디스플레이의 즉각적인 차단, 예를 들어 단계(41)를 유도하는 상응하는 몸짓이 실행됨으로써, 언제든지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 흐름에 관여할 수 있다.In parallel with the flow chart of Fig. 7 show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ush button 15 is activated or detected by the internal camera 17 in the cabin, so that the immediate block of the display, for example the corresponding By executing the gesture, you can engage in this flow manually at any time by the driver.

본 발명에 의해서는, 상응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정된 정지 상태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차단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and directly block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without mov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to the designated stationary state.

Claims (12)

운전자(37)의 직선 조망 방향(38)으로 배치되어 있고 정상 작동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요소(8, 9, 10, 11)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표면(3)을 갖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3, 27, 29)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 작동 상태로부터 중립 상태로, 즉, 상기 이미지 표면(3)의 하나 이상의 중앙 영역(3')이 비어 있고/비어 있거나 적어도 정상 작동 상태에서 제공된 증강 현실 요소들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중립 상태로 곧바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3, 4) of an automobile having an image surface (3) arranged in a straight viewing direction (38) of a driver (37) and in a normal operating state on which one or more display elements (8, 9, 10, 11) 27, 29)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switched from a normal operating state to a neutral state, that is, when one or more central regions 3 'of the image surface 3 are empty / empty or at least in a normal operating state, State of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작 요소(15, 16)의 작동에 의해서 곧바로 중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be switched to a neutral state immediate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element (15,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보조 장치(22, 23, 24, 25, 26, 27)에 의해서 운전 상황의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고, 특정 파라미터 값에 따라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동으로 곧바로 중립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3.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arameters of the driving situation are continuously monitored by the auxiliary devices (22, 23, 24, 25, 26, 27) Wherein the display is switched to a neutral state immediatel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보조 장치(22, 23, 24, 25, 26, 27)에 의해서 운전 상황의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며, 특정 파라미터 값에 따라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준비 상태로, 즉,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작 요소의 작동에 의해 곧바로 중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4.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arameters of the driving situation are continuously monitored by the auxiliary devices (22, 23, 24, 25, 26, 27)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is switched to the ready state, i. E.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switched to a state in which it can be switched to the neutral state immediate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element.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증가된 사고 위험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립 상태로 또는 준비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5. A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a parameter value indicating an increased risk of an accident to a neutral state or a ready stat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15, 16)를 작동시킴으로써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곧바로 중립 상태로 그리고 중립 상태로부터 정상 작동 상태로 역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6.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be switched directly from the neutral state to the normal operating state from the neutral state by operating the operating element (15, 16)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the vehicl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립 상태로 전환된 후에 그리고 상기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동 시간을 통과한 후에는 재차 정상 작동 상태로 자동으로 역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after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s switched to the neutral state and after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has passed the floating time,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back to the normal operating state again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15, 16)가 복원 기구를 갖춘 기계적인 작동 요소, 특히 누름 키이거나 탄력적인 레버이며, 상기 작동 요소를 누를 때마다 중립 상태와 정상 작동 상태 사이에서 교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3. A device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element (15, 16) is a mechanical actuating element with a restoring mechanism, in particular a push-button or resilient lever,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소(15, 16)가 특히 누름 키 또는 탄력적인 레버인 복원 기구를 갖춘 기계적인 작동 요소이며, 상기 기계적인 작동 요소가 눌러진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작동 요소가 중립 상태로의 전환을 야기하고, 눌러진 상태가 해제된 후에는 정상 작동 상태로의 전환을 유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3. Machine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ting element (15, 16) is a mechanical actuating element with a restoring mechanism, in particular a push-button or a resilient lever, To the neutral state, and to switch to the normal operating state after the depressed state is released.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작동 상태가 다수의 개별화된 디스플레이 변형예를 가지며, 그 중에서 임의의 변형예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10.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characterized in that the normal operating state has a plurality of individualized display variants, of which any variant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주차 속도 미만에서는 자동으로 비활성화되고, 주차 속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재차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11.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is automatically deactivated below the parking speed and activated again when the parking speed is exceeded Way.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정상 작동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요소(8, 9, 10, 11)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표면, 및 정상 작동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즉, 상기 이미지 표면의 하나 이상의 중앙 영역이 비어 있고/비어 있거나 적어도 정상 작동 상태에서 제공된 증강 현실 요소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정상 상태로 곧바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 요소(15, 16)를 구비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12.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n imag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elements 8, 9, 10, 11 are displayed in a normal operating state and a normal state from a normal operating state, i.e. one or more central areas of the image surface are empty / (15, 16) for switching directly to a steady state in which the augmented reality element provided in the display is not displayed.
KR1020167007011A 2013-09-03 2014-09-02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evice compris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tive KR1023229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310217558 DE102013217558A1 (en) 2013-09-03 2013-09-03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evice with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DE102013217558.2 2013-09-03
PCT/EP2014/068555 WO2015032731A1 (en) 2013-09-03 2014-09-02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evice compris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037A true KR20160050037A (en) 2016-05-10
KR102322933B1 KR102322933B1 (en) 2021-11-05

Family

ID=5148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011A Active KR102322933B1 (en) 2013-09-03 2014-09-02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evice compris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22933B1 (en)
DE (1) DE102013217558A1 (en)
WO (1) WO2015032731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488A (en) * 2017-09-12 2019-03-20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n augmented-reality-display-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190068596A (en) * 2017-01-18 2019-06-18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Methods and assemblies for interacting with proposed systems with automated operational behavi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0114A (en) * 2017-01-15 2017-05-31 上海云剑信息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automobile man-machine interactive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DE102018128633A1 (en) * 2018-11-15 2020-05-2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about at least part of an environment, computer program produc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12030577B2 (en) 2021-09-30 2024-07-09 Snap Inc. AR based performance modulation of a personal mobility system
CN114132175B (en) * 2021-12-13 2023-10-2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Automobile virtual instrument emergency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12175605B2 (en) 2022-03-22 2024-12-24 Snap Inc. Situational-risk-based AR display
DE102022111784A1 (en) 2022-05-11 2023-11-16 Man Truck & Bus Se Motor vehicle, with a camera display system, preferably to support driving past an obstacle, especially in urban traffic
US12106580B2 (en) 2022-06-14 2024-10-01 Snap Inc. AR assisted safe cycl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553A (en) * 1999-10-21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arking assistance device
JP2005199992A (en) * 2003-12-17 2005-07-28 Denso Corp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20080049449A (en) * 2006-11-30 2008-06-0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ar Steering Wheel
KR20130012629A (en) * 2011-07-26 2013-02-05 한국과학기술원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head-up display
JP2013071601A (en) * 2011-09-28 2013-04-22 Nippon Seiki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the same
US20130194110A1 (en) * 2012-02-01 2013-08-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utomotiv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1154B2 (en) 2001-02-19 2003-05-27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vehicle systems
GB2422184A (en) 2005-01-11 2006-07-19 Mssdesign Ltd Actual or virtual dial on a vehicle steering wheel for display indicator movement and selection
EP2005409A4 (en) 2006-03-16 2012-04-25 Emile Mimran Portable adaptor and software for use with a heads-up display unit
US8988399B2 (en) 2006-06-28 2015-03-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ular interface including steering wheel control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553A (en) * 1999-10-21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arking assistance device
JP2005199992A (en) * 2003-12-17 2005-07-28 Denso Corp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20080049449A (en) * 2006-11-30 2008-06-0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ar Steering Wheel
KR20130012629A (en) * 2011-07-26 2013-02-05 한국과학기술원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head-up display
JP2013071601A (en) * 2011-09-28 2013-04-22 Nippon Seiki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the same
US20130194110A1 (en) * 2012-02-01 2013-08-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utomotive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596A (en) * 2017-01-18 2019-06-18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Methods and assemblies for interacting with proposed systems with automated operational behavior
CN110167818A (en) * 2017-01-18 2019-08-23 大众汽车有限公司 The method and component interacted with the suggesting system for wearing with automatic operation processing
US10960898B2 (en) 2017-01-18 2021-03-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teracting with a suggestion system having automated operations
KR20190029488A (en) * 2017-09-12 2019-03-20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n augmented-reality-display-device for a motor vehicle
US10766498B2 (en) 2017-09-12 2020-09-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n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for a transportatio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933B1 (en) 2021-11-05
DE102013217558A1 (en) 2015-03-05
WO2015032731A1 (en)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0037A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evice comprising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1071777B1 (en) Handling device for vehicle
US8872639B2 (en) In-vehicle system
US8050858B2 (en) Multiple visual display device and vehicle-mounted navigation system
JP6413207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2007302116A (en) Operation device for on-vehicle equipment
CN1037485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lessly detecting objects and/or persons and gestures and/or operating procedures made and/or carried out thereby
US10019069B2 (en) Vehicular display input apparatus
US2019009635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in-vehicle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06091645A (en) Display device
EP1518742B1 (en) Operation device
US20100181171A1 (en) Operating device and operating system
US101399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80203517A1 (en) Method and operator control system for operating at least one function in a vehicle
WO2012026402A1 (en) Operating device for vehicle
KR101928637B1 (en)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system in a vehicle
US12243205B2 (en) Method for avoiding a field of view disturbance for an operator of an object,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s well as vehicle and computer program
KR20140080789A (en) Method for display in vehicle using head up display and apparatus thereof
US20100188198A1 (en) Function display device
US20170330383A1 (en) Display unit and method for representing information
JP5136948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05313722A (en) Operation display device of on-vehicle equipment and operation display method thereof
JP6390380B2 (en) Display operation device
US12175021B2 (en) Display system
US20220258760A1 (en) Rearview System for a Vehicle with Collision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