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49947A -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947A
KR20160049947A KR1020140147801A KR20140147801A KR20160049947A KR 20160049947 A KR20160049947 A KR 20160049947A KR 1020140147801 A KR1020140147801 A KR 1020140147801A KR 20140147801 A KR20140147801 A KR 20140147801A KR 20160049947 A KR20160049947 A KR 20160049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translated
local
unit
me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이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춘 filed Critical 이재춘
Priority to KR102014014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9947A/ko
Publication of KR2016004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9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42Data-driven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메시지 교환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인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대화 또는 통화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치 운용되는 번역앱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 분석하며 사용되는 지역언어를 확인 선택하고 단어 단위의 메시지 문자로 입력되는 입력언어를 선택된 지역언어로 변환하여 단어 단위의 메시지 문자로 각각 출력하는 스마트폰; 스마트폰의 요청에 의하여 스마트폰에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한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며 통신경로를 할당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된 스마트폰의 번역앱 운용상태를 분석하고 최신버전의 번역앱을 스트리밍 방식 다운로드로 제공하는 번역앱관리부; 및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된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위치정보로 확인된 지역에서 사용되는 지역언어를 입력언어 기준으로 변환하는 외국어사전을 다수 구비하고 검색에 의하여 스트리밍 방식 다운로드로 제공하는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사용 언어가 다른 외국인하고 현지 또는 특정 장소에서 문자메시지 방식으로 입력된 단어를 번역하여 실시간 출력하므로 언제 어디서나 외국인과 편하게 의사소통 하고 또한, 인터넷 등의 공중통신망이 정비되지 않은 오지에서도 외국인과 쉽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Message translation system with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메시지 교환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인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대화 또는 통화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과 소프트웨어와 통신기술 등의 발달에 의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인터넷에 의한 네트워크, 소설네트워크(SNS) 등의 확대로 세계 각국의 사람들과 쉽게 온라인상에서 음성신호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을 나눌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 등을 이용한 온라인 화상통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설치된 앱 또는 어플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대화 서비스 또는 단문 메시지 대화 서비스 등을 이용하면 누구든지 쉽게 저렴한 통신 비용으로 세계 각국의 선택된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공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쉽게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기술적 환경이 갖추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인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었다.
일례에 의한 종래 방식은 대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외국인과 이해 가능한 공통 언어를 선택하여 해당 언어로 의사소통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외국인과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어느 정도 극복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따르더라도 여전히 대화자가 공통 언어를 완벽하게 숙지하지 못함에 따라 의미 있는 깊은 내용의 대화를 계속 이어가기 어려운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즉, 한국어를 사용하는 제1외국인이 일어를 사용하는 제2외국인과 영어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대화를 나눈다고 가정했을 때,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양쪽 외국인은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서로 충분히 전달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대화에 참여하는 외국인의 숫자가 늘어날수록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공통의 대화 진행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10-2010-0137786호 “동시 통역 시스템 및 동시 통역 방법”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동시통역 시스템의 단말기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설명하면 관광지에서 외국인과 대화를 하게 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동시통역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기술은 사용자 모국어인 제1언어로 된 메시지를 상대방 사용 언어인 제2언어의 메시지로 번역하여 이동용 단말기상에 표시한다.
그러므로 일대일(1:1) 대화의 통역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통역서비스를 제공받으므로 데이터 통신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통역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이동용 단말기에서 특정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간단한 메시지를 번역하여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10-2010-0137786호 “동시 통역 시스템 및 동시 통역 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인과 현지 또는 특정 장소에서 문자 메시지 방식으로 입력된 단어를 신속하게 번역하여 실시간 출력하므로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인터넷이 포함되는 공중통신망 시설이 열악하거나 전무한 오지에서도 외국인과 쉽게 대화, 의사전달을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은 설치 운용되는 번역앱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 분석하며 사용되는 지역언어를 확인 선택하고 단어 단위의 메시지 문자로 입력되는 입력언어를 선택된 지역언어로 변환하여 단어 단위의 메시지 문자로 각각 출력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한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며 통신경로를 할당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상기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번역앱 운용상태를 분석하고 최신버전의 번역앱을 스트리밍 방식 다운로드로 제공하는 번역앱관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된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위치정보로 확인된 지역에서 사용되는 지역언어를 상기 입력언어 기준으로 변환하는 외국어사전을 다수 구비하고 검색에 의하여 스트리밍 방식 다운로드로 제공하는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이동통신망과 무선 접속하여 음성급 신호와 데이터급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무선부; 상기 이동통신무선부와 접속하고 상기 번역앱을 스트리빙 방식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와 운용하며 입력된 입력언어의 단어 메시지를 자동 선택된 지역언어와 수동 선택된 지역언어로 동시 번역하여 모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중앙번역제어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1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수신 분석하고 출력하는 위치정보분석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지역언어이며 지정된 단어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티티에스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입력된 입력언어를 1 가지 이상의 지정된 지역언어로 번역하고 상기 지역언어는 상기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순차 저장하는 단말번역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입력언어가 1 가지 이상의 지정된 지역언어로 번역되도록 상기 단말번역부를 반복 구동시키는 번역관리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과 실시간 동기되어 활성화된 문자 메시지 대화창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언어와 지역언어를 표시시키는 문자대화창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터치 방식으로 상기 입력언어를 입력하고 번역된 상기 지역언어가 표시되며 음성급 신호가 입출력되는 단말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분석부는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 분석하므로 현재 위치에서의 제 1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지피에스 위치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위치기반서비스 정보를 수신 분석하므로 현재 위치에서의 제 2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엘비에스 위치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내장된 관성항법장치로부터 현재 위치에서의 제 3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아이엔에스 위치부; 및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제 1 좌표정보와 상기 제 2 좌표정보와 상기 제 3 좌표정보를 입력하고 산술평균연산하여 산술평균값에 의한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산술평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아이엔에스 위치부는 기계식과 전자식의 관성항법장치를 각각 구비하고 각각 출력된 좌표정보를 산술평균연산하여 상기 제 3 좌표정보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번역제어부는 상기 단말표시부로부터 입력된 외부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수동 선택되어 번역할 지역언어가 추가 설정되며 상기 위치정보분석부가 분석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언어는 자동 선택되어 번역할 지역언어로 기본적 설정하고, 상기 수동 선택되어 번역할 지역언어는 1 개 이상의 다수일 수 있다.
상기 단말번역부는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입력언어를 선택된 지역언어 또는 입력언어로 번역하는 지역언어사전부를 1 개 이상 다수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번역제어부는 상기 단말표시부로부터 음성급 신호로 입력되는 하나 단위의 단어를 번역앱이 운용되는 상태에서 인식하여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티티에스부를 제어하여 지정된 지역언어의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이동통신부를 제어하여 지정된 상대방에 실시간으로 무선송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스마트폰, 이동통신망, 번역앱관리부,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 공중통신망을 포함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번역앱을 운용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망,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된 상기 번역앱관리부로부터 최신 버전의 번역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저장, 설치, 운용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현재 위치의 좌표정보를 1 가지 이상 방식으로 분석하고 산술평균연산으로 확인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언어를 번역할 언어로 자동설정하며 수동으로 선택된 1 개 이상 다수의 지역언어를 순차 번역할 언어로 선택되도록 설정하여 운용하는 제 2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자동과 수동으로 선택된 지역언어사전부를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지정된 상대방과 문자메시지 전용 대화창을 연동시켜 활성화하는 제 3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번역할 단어 메시지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자동과 수동 설정된 지역언어로 번역하고 순차 출력하여 활성화된 전용 대화창에 표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번역된 지역언어를 음성급 신호로 출력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지역언어에 의한 음성급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단계는 자동과 수동으로 설정되며 번역된 지역언어는 상대방 스마트폰과 실시간 연동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운용되어 번역된 지역언어를 출력 표시하는 과정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사용 언어가 다른 외국인하고 현지 또는 특정 장소에서 문자메시지 방식으로 입력된 단어를 번역하여 실시간 출력하므로 언제 어디서나 외국인과 편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공중통신망이 정비되지 않은 오지에서도 외국인과 쉽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동시통역 시스템의 단말기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세부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위치정보분석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단말번역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그리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을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세부 기능 구성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위치정보분석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단말번역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100)은 스마트폰(1000), 이동통신망(2000), 번역앱관리부(3000),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4000), 공중통신망(50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스마트폰(1000)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변복조 방식이 포함된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음성급과 데이테급 신호로 통신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데이터 전용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한편, 동일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통신하는 단말기는 향후 개발되는 모델의 경우 포함되며 이동통신망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폰(1000)은 번역앱관리부(300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고 운용되는 번역앱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 및 분석한다.
스마트폰(1000)은 분석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통상적으로, 법적으로 또는 다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지역언어라 하기로 하며, 지역언어를 확인 및 선택하고 단어 단위의 메시지 문자로 입력되는 입력언어를 선택된 지역언어로 변환하여 단어 단위의 메시지 문자로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지역언어는 스마트폰(1000)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선택 및 설정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번역앱은 일반적으로 앱(APP)으로 알려진 응용프로그램과 동일 유사한 구성을 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다양한 용도로 각각 개발된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이고, 이동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등과 같이 소형이면서 컴퓨팅을 위한 자원이 비교적 작은 전산장치에서 사용되도록 개발된 응용프로그램을 앱, 어플 등으로 호칭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응용의 목적에 적합한 명칭을 부여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0)은 이동통신무선부(1100), 중앙번역제어부(1200), 위치정보분석부(1300), 티티에스부(1400), 단말번역부(1500), 번역관리부(1600), 문자대화창부(1700), 단말표시부(18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동통신무선부(1100)는 이동통신망(2000)과 CDMA, W-CDMAS, TRS, SSB(single side band), 와이파이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무선접속하고 음성급 신호와 데이터급 신호와 멀티미디어급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변조, 복조하여 송수신하므로 통신한다.
중앙번역제어부(1200)는 이동통신무선부(1100)와 접속하고 번역앱을 스트리빙 방식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와 운용한다.
중앙번역제어부(1200)는 입력된 입력언어의 단어 메시지를 자동 선택된 지역언어와 다수의 수동 선택된 지역언어로 동시 번역하여 모두 순차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구성이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중앙번역제어부(1200)는 단말표시부(1800)로부터 입력된 외부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수동 선택되어 번역할 지역언어가 추가 설정되며, 위치정보분석부(1300)가 분석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언어는 자동 선택되어 번역할 지역언어가 되도록 기본적으로 설정하고, 수동 선택되어 번역할 지역언어는 1 개 이상의 다수를 입력하여 설정한다.
위치정보분석부(1300)는 중앙번역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1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수신 분석하고 출력한다.
위치정보분석부(1300)는 중앙번역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고 지피에스 방식으로 분석하므로 현재 위치에서의 제 1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지피에스 위치부(1310), 중앙번역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이동통신망(2000)으로부터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 방식의 정보를 수신 분석하므로 현재 위치에서의 제 2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엘비에스 위치부(1320), 중앙번역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내장된 관성항법장치(INS : inertial navigation system)로부터 현재 위치에서의 제 3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아이엔에스 위치부(1330), 중앙번역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제 1 좌표정보와 제 2 좌표정보와 제 3 좌표정보를 입력하고 산술평균연산 방식으로 연산하여 산술평균값에 의한 위치정보를 추출 및 출력하는 산술평균부(134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아이엔에스 위치부(1320)는 기계식과 전자식의 관성항법장치(INS)를 각각 구비하고 각각 출력된 좌표정보를 산술평균연산하여 상기 제 3 좌표정보로 출력하는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피에스(GPS) 방식의 위치정보는 지구궤도 상의 일정한 고도에 위치하는 다수의 정지궤도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위치정보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GPS정보는 현재 위치에서의 위도, 경도, 고도, 시간, 각속도, 이동방향 등으로 분석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위치기반정보(LBS: location based service) 방식은 이동통신망(7000)의 운용을 위하여 설치된 각 기지국의 정확한 위치정보와 서비스 지역에 위치한 각 스마트폰의 거리를 접속된 기지국으로부터의 직선거리를 연산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정밀하게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산술평균연산방식은 더하는 각각의 값을 더하는 총 개수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하는 일반적인 연산방식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티티에스부(TTS: text to speech)(1400)는 중앙번역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번역된 지역언어이면서 지정된 단어 메시지를 음성(audio)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티티에스부(1400)는 다수의 번역된 단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어를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며 일 예로, 다수의 단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순서에 따라 번역된 상태의 음성급 신호를 순차 출력한다.
단말번역부(1500)는 중앙번역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입력된 입력언어를 1 가지 이상의 지정된 지역언어로 번역하고 상기 지역언어는 상기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40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순차 저장한다.
단말번역부(1500)는 제 1 지역언어사전부(1510), 제 2 지역언어사전부(1520), 제 n 지역언어사전부(1530)를 포함하며, 각 지역언어사전부(1510, 1520, 1530)는 입력언어를 입력하면 동일한 의미의 지역언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며, 일반적인 사전찾기 구성에 의한 작용과 동일 유사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번역부(1500)는 지구상에 있는 모든 지역의 언어에 해당하는 지역언어사전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으나 한정된 크기, 자원(resource), 소모전력 등에 의하여 최소의 구성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비한다. 일예로 3 내지 5 개국 언어에 해당하는 지역언어사전부를 구비하며 3 개국어를 번역할 수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고,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며, 5 개국 언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의 지역언어사전부를 구비하는 경우 일반적인 여행객이 매우 안정되게 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해외 여행객의 경우 약 3 개국 정도 방문하는 경우 그 이후부터는 해외여행지가 반복되어, 한번 방문했던 장소를 다시 재방문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최대 5 개국 언어를 번역할 수 있으면 사용하기에 불편하지 않게 충분하다.
번역관리부(1600)는 중앙번역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입력언어가 1 가지 이상의 지정된 지역언어로 번역되도록 단말번역부(1500)를 반복하여 구동시킨다. 일예로 하나의 입력언어를 자동선택과 수동선택에 의하여 총 3 개국의 지역언어로 번역하도록 설정된 경우 번역관리부(1600)는 단말번역부(1500)를 3 회 반복 구동하여 지정된 3 개국 언어로 순차 번역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문자대화창부(1700)는 중앙번역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과 실시간 동기되어 활성화된 문자 메시지 대화 창(window)이 형성되고 입력된 입력언어와 번역된 지역언어를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한편, 문자대화창부(1700)는 송신측 스마트폰과 수신측 스마트폰에서 각각 문자 메시지 대화창이 동기된 상태로 활성화되고 입력언어와 지역언어가 표시되도록 하며, 선택에 의하여 송신측 스마트폰에서만 문자 메시지 대화창이 활성화되어 운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단말표시부(1800)는 중앙번역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터치 방식으로 입력언어를 입력하고 번역되어 출력된 지역언어가 표시되며 동일한 방식으로 음성급 신호와 멀티미디어급 신호를 입출력시킨다.
한편, 중앙번역제어부(1200)는 번역앱이 운용되는 상태에서 단말표시부(18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언어를 단어 단위 또는 하나의 단어씩 인식하여 문자로 변환한다.
중앙번역제어부(1200)는 이와같이 인식된 단어를 제어에 의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용되는 티티에스부에 입력하므로 지정된 지역언어에 의한 음성급 신호로 번역한다.
중앙번역제어부(1200)는 이와 같이 번역되어 출력되는 음성급 신호에 의한 지역언어를 이동통신무선부를 제어하여 지정된 상대방에게 무선으로 실시간 송신한다.
즉, 지정된 상대방과 이동통신 방식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음성급신호에 의하여 단어 단위로 또는 하나의 단어씩을 입력하여 지정된 지역언어에 의한 음성급 신호로 번역하고 번역된 지역언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므로 사용언어가 다른 외국인과 대화를 할 수 있다. 비록 단어 단위 이지만 의사 전달 또는 의사 소통은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 을 중심으로 첨부된 도면을 모두 포함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스마트폰(1000)에 의하여 번역앱을 운용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S1100) 이동통신망(2000), 공중통신망(5000)을 경유하여 접속된 번역앱관리부(3000)로부터 최신 버전의 번역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설치하며 활성화 시켜 운용한다(S1200).
스마트폰에 의하여 현재 위치의 좌표정보를 GPS, LBS, INS가 포함된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 또는 모든 방식을 포함시킨 방식으로 분석하고 산술평균연산으로 확인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언어를 번역할 언어로 자동설정하며 수동으로 선택된 1 개 이상 다수의 지역언어를 순차 번역할 언어로 선택되도록 설정하여 운용한다(S1300).
스마트폰에 의하여 자동과 수동으로 선택된 지역언어사전부를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40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S1400, S1500) 지정된 상대방과 문자메시지 전용 대화창을 연동시켜 활성화한다(S1600).
스마트폰(1000)에 의하여 번역할 단어 메시지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S1700) 자동과 수동 설정된 지역언어로 번역하고 순차 출력하여 활성화된 전용 대화창에 표시한다(S1800).
여기서 자동과 수동 설정되며 번역된 지역언어는 상대방 스마트폰과 실시간 연동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운용되어 번역된 지역언어를 출력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의하여 번역된 지역언어를 음성급 신호로 출력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S1900) 해당 지역언어에 의한 음성급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S2000).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1000 : 스마트폰 1100 : 이동통신무선부
1200 : 중앙번역제어부 1300 : 위치정보분석부
1310 : 지피에스위치부 1320 : 엘비에스위치부
1330 : 아이엔에스위치부 1340 : 산술평균부
1400 : 티티에스부 1500 : 단말번역부
1510 : 제1지역언어사전부 1520 : 제2지역언어사전부
1530 : 제n지역언어사전부 1600 : 번역관리부
1700 : 문자대화창부 1800 : 단말표시부
2000 : 이동통신망 3000 : 번역앱관리부
4000 :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 5000 : 공중통신망

Claims (8)

  1. 설치 운용되는 번역앱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 분석하며 사용되는 지역언어를 확인 선택하고 단어 단위의 메시지 문자로 입력되는 입력언어를 선택된 지역언어로 변환하여 단어 단위의 메시지 문자로 각각 출력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위치기반서비스에 의한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며 통신경로를 할당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상기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번역앱 운용상태를 분석하고 최신버전의 번역앱을 스트리밍 방식 다운로드로 제공하는 번역앱관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된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위치정보로 확인된 지역에서 사용되는 지역언어를 상기 입력언어 기준으로 변환하는 외국어사전을 다수 구비하고 검색에 의하여 스트리밍 방식 다운로드로 제공하는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이동통신망과 무선 접속하여 음성급 신호와 데이터급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무선부;
    상기 이동통신무선부와 접속하고 상기 번역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와 운용하며 입력된 입력언어의 단어 메시지를 자동 선택된 지역언어와 수동 선택된 지역언어로 동시 번역하여 모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중앙번역제어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1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수신 분석하고 출력하는 위치정보분석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지역언어이며 지정된 단어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티티에스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입력된 입력언어를 1 가지 이상의 지정된 지역언어로 번역하고 상기 지역언어는 상기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순차 저장하는 단말번역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입력언어가 1 가지 이상의 지정된 지역언어로 번역되도록 상기 단말번역부를 반복 구동시키는 번역관리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과 실시간 동기되어 활성화된 문자 메시지 대화창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언어와 지역언어를 표시시키는 문자대화창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터치 방식으로 상기 입력언어를 입력하고 번역된 상기 지역언어가 표시되며 음성급 신호가 입출력되는 단말표시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분석부는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 분석하므로 현재 위치에서의 제 1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지피에스 위치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위치기반서비스 정보를 수신 분석하므로 현재 위치에서의 제 2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엘비에스 위치부;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내장된 관성항법장치로부터 현재 위치에서의 제 3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아이엔에스 위치부; 및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제 1 좌표정보와 상기 제 2 좌표정보와 상기 제 3 좌표정보를 입력하고 산술평균연산하여 산술평균값에 의한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산술평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아이엔에스 위치부는
    기계식과 전자식의 관성항법장치를 각각 구비하고 각각 출력된 좌표정보를 산술평균연산하여 상기 제 3 좌표정보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번역제어부는
    상기 단말표시부로부터 입력된 외부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수동 선택되어 번역할 지역언어가 추가 설정되며
    상기 위치정보분석부가 분석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언어는 자동 선택되어 번역할 지역언어로 기본적 설정하고,
    상기 수동 선택되어 번역할 지역언어는 1 개 이상의 다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번역부는
    상기 중앙번역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입력언어를 선택된 지역언어 또는 입력언어로 번역하는 지역언어사전부를 1 개 이상 다수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번역제어부는
    상기 단말표시부로부터 음성급 신호로 입력되는 하나 단위의 단어를 번역앱이 운용되는 상태에서 인식하여 문자로 변환하고 상기 티티에스부를 제어하여 지정된 지역언어의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이동통신무선부를 제어하여 지정된 상대방에 실시간으로 무선송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7. 스마트폰, 이동통신망, 번역앱관리부,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 공중통신망을 포함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번역앱을 운용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망,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된 상기 번역앱관리부로부터 최신 버전의 번역앱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하여 저장, 설치, 운용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현재 위치의 좌표정보를 1 가지 이상 방식으로 분석하고 산술평균연산으로 확인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언어를 번역할 언어로 자동설정하며 수동으로 선택된 1 개 이상 다수의 지역언어를 순차 번역할 언어로 선택되도록 설정하여 운용하는 제 2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자동과 수동으로 선택된 지역언어사전부를 외국어사전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 받아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지정된 상대방과 문자메시지 전용 대화창을 연동시켜 활성화하는 제 3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번역할 단어 메시지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자동과 수동 설정된 지역언어로 번역하고 순차 출력하여 활성화된 전용 대화창에 표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번역된 지역언어를 음성급 신호로 출력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지역언어에 의한 음성급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자동과 수동으로 설정되며 번역된 지역언어는 상대방 스마트폰과 실시간 연동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운용되어 번역된 지역언어를 출력 표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40147801A 2014-10-28 2014-10-28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eased KR20160049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801A KR20160049947A (ko) 2014-10-28 2014-10-28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801A KR20160049947A (ko) 2014-10-28 2014-10-28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947A true KR20160049947A (ko) 2016-05-10

Family

ID=5602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801A Ceased KR20160049947A (ko) 2014-10-28 2014-10-28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99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9973A (zh) * 2020-02-28 2020-07-03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在电子终端中选择翻译工具的方法和设备
KR20210065804A (ko) 2019-11-27 2021-06-04 차명규 외국어 학습이 가능한 메신저 번역 시스템
WO2024117658A1 (ko) * 2022-11-29 2024-06-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언어 번역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5147003A1 (ko) * 2024-01-02 2025-07-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통역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저장 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804A (ko) 2019-11-27 2021-06-04 차명규 외국어 학습이 가능한 메신저 번역 시스템
CN111369973A (zh) * 2020-02-28 2020-07-03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在电子终端中选择翻译工具的方法和设备
WO2024117658A1 (ko) * 2022-11-29 2024-06-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언어 번역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5147003A1 (ko) * 2024-01-02 2025-07-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통역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99361B (zh) 翻译语言
US11029172B2 (en) Real scenario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80145941A1 (en) Personal information apparatus, sharing system and sharing system operating method for servicing map-based user generated contents for social network service
RU2637874C2 (ru) Генерирование диалоговых рекомендаций для чатовых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систем
EP28066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messenger
US103599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using inputted character in a user device
US11507758B2 (en) Vehicle-based sign languag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041727B2 (en) Mobile mapping and navigation
Ch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voice based navigation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US109502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616390B2 (ja) 応答生成装置、応答生成方法および応答生成プログラム
KR20160049947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화형 실시간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2000366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user communications using bots
EP3647729A1 (en) Navigation method, apparatus,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5608095B (zh) 多媒体播放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3838464B (zh) 盲人手机读屏图形控件自动适配方法
JP6378263B2 (ja) イメージを用いた翻訳文提供方法、ユーザ端末、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10065B1 (ko) 메시지 분석을 통한 일정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122771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0303776B2 (en) Multi-channel cross-modality system for providing language interpretation/translation services
US9462415B2 (en) Method of searching for contact number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EP27171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using inputted character in a user device
CN102957741A (zh) 用于访问基于位置的服务的方法和设备
US118544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interaction
CN106034154B (zh) 公交信息共享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