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726A - Stereoscopic nearing warning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Stereoscopic nearing warning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9726A KR20160049726A KR1020140147274A KR20140147274A KR20160049726A KR 20160049726 A KR20160049726 A KR 20160049726A KR 1020140147274 A KR1020140147274 A KR 1020140147274A KR 20140147274 A KR20140147274 A KR 20140147274A KR 20160049726 A KR20160049726 A KR 201600497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observer
- vehicle
- lenticular lens
- stereoscopic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5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는, 근접 경고를 표지하는 입체 이미지에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적용한 이차원의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 상기 좌안 이미지가 복수의 피스로 분할된 복수의 좌안 이미지 피스와 상기 우안 이미지가 복수의 피스로 분할된 복수의 우안 이미지 피스가 번갈아 배치된 이이미지 시트 및 상기 이미지 시트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시트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형성되는 가시 영역 내에 진입한 관찰자의 좌측 눈에 상기 복수의 좌안 이미지 피스가 조합된 상기 좌안 이미지의 상을 맺히게 하고, 상기 관찰자의 우측 눈에 상기 복수의 우안 이미지 피스가 조합된 상기 우안 이미지의 상을 맺히게 하여, 상기 관찰자에게 상기 입체 이미지를 표현하는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를 포함한다.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wo-dimensional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in which a binocular disparity is applied to a stereoscopic image for marking a proximity warn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in which the left eye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a plurality of right-eye image pieces, in which the right-eye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a plurality of right-eye image pieces, which are combined in one view of the image sheet, An image of the left eye image in which the plurality of left eye image pieces are combined is formed on the left eye of an entering observer so that an image of the right eye image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right eye image pieces is formed on the right eye of the observer, And a lenticular lens array expressing the stereoscopic image to the obser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 또는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근접 경고 이미지를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를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로 표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proximity warning image for preventing collision or access with a stereoscopic image using a lenticular lens.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기술 및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의 발달로 영화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휴대전화 등에도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이 적용되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display technology and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to apply 3D stereoscopic image technology to not only movies but also televisions, notebooks, mobile phone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 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약 65mm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양안시차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게 되고, 이 두 화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두 화상을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stereoscopic images representing three-dimensional images are made by the principle of stereoscopic vision through two eyes. The binocular disparity that appears due to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eyes,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yes is about 65 mm, . In other words, the left and right eyes see different two-dimensional images, and when these two images are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the retina, the brain fuses the two images to each other, and it is known that the three-dimensional image actually gives a sense of depth and real feeling.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3차원의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안경 방식와 무안경 방식이 알려져 있다.As a method for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using such a feature, a spectacle method and a non-spectacle method are known.
안경 방식은 좌우 눈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이다.The eyeglasses mode is to wear glasses that show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separately from the left and right eyes.
무안경 방식으로는 좌우 2화소마다 차폐판을 설치하여 양안 시차를 만들어 내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과,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여 양안 시차를 만들어 내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이 알려져 있다.In the non-eyeglass system, a parallax barrier system in which a shield plate is provided for each of right and left pixels to produce a binocular parallax, and a lenticular lens system in which a binocular parallax is produced using a lenticular lens is known.
일반적으로, 렌티큘러 렌즈는 아랫부분은 평평하고 윗부분은 볼록한 형태의 반원주형(半圓柱形)의 렌즈이다.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입체 영상 구현에는 복수 개의 렌티큘러 렌즈를 평행하게 판상(板狀)으로 형성한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다.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를 통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가 번갈아 인쇄된 이미지를 보게 되면 입체적인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Generally, a lenticular lens is a half-column-shaped lens having a flat bottom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at the top. A stereoscopic image using a lenticular lens uses a lenticular lens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lenticular lenses are formed in a plate shape in parallel. When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are alternately printed through a lenticular lens array, a three-dimensional image can be visually confirm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리 의도된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였을 때에만 입체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현 장치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해 충돌 또는 접근을 방지하는 근접 경고 이미지를 입체 영상으로 표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firming a stereoscopic image only when the stereoscopic image is positioned within an intended area and displaying a proximity warning image for preventing a collision or approach using stereoscopic images Dev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는, 근접 경고를 표지하는 입체 이미지에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적용한 이차원의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 상기 좌안 이미지가 복수의 피스로 분할된 복수의 좌안 이미지 피스와 상기 우안 이미지가 복수의 피스로 분할된 복수의 우안 이미지 피스가 번갈아 배치된 이이미지 시트 및 상기 이미지 시트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시트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형성되는 가시 영역 내에 진입한 관찰자의 좌측 눈에 상기 복수의 좌안 이미지 피스가 조합된 상기 좌안 이미지의 상을 맺히게 하고, 상기 관찰자의 우측 눈에 상기 복수의 우안 이미지 피스가 조합된 상기 우안 이미지의 상을 맺히게 하여, 상기 관찰자에게 상기 입체 이미지를 표현하는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two-dimensional left and right eye images in which a binocular disparity is applied to a stereoscopic image for marking a proximity warning, And a plurality of right-eye image pieces, in which the right-eye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a plurality of right-eye image pieces, which are combined on one surface of the image sheet, Eye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left-eye image pieces with the left eye of the observer who has entered the visible region formed in the right eye of the observer, The stereoscopic image is displayed on the stereoscopic image, Lens arr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는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고, 상기 관찰자는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타차량의 운전자이며, 상기 타차량이 상기 차량의 후방에 근접하여 상기 관찰자가 상기 가시 영역 내에 진입한 때에 상기 관찰자가 상기 입체 이미지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observer is a driver of another vehicle approaching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is close to the rear of the vehicle, So that the observer can recognize the stereoscopic image when entering the visible reg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시트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는 상기 가시 영역의 좌우 방향 거리가 상기 타차량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mage sheet and the lenticular lens array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ateral distance of the visible region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other vehic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시트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는, 상기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가 상기 타차량이 상기 차량의 후미에 인접하는 때의 상기 운전자와 상기 이미지 시트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mage sheet and the lenticular lens array are formed to include a dista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image sheet when the front-to-rear distance of the visible region is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vehicle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는 주차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관찰자는 상기 주차 구조물에 근접하여 주차하는 차량의 운전자이며,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구조물에 근접하여 상기 관찰자가 상기 가시 영역 내에 진입한 때에 상기 관찰자가 상기 입체 이미지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presentation device is mounted on a parking structure, the observer is a driver of a vehicle parked close to the parking structure, the vehicle is close to the parking structure, So that the observer can recognize the stereoscopic image when entering the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시트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는, 상기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가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구조물에 인접하는 때의 상기 운전자와 상기 이미지 시트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mage sheet and the lenticular lens array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ront-to-rear distance of the visible region includes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image sheet when the vehicle is adjacent the parking structure ha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시트의 이면에 결합되어 상기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를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acklight unit may further include a backlight unit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image sheet to provide illumination toward the lenticular lens arr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는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nticular lens array may have a plurality of semicircular convex lenses arranged in parall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를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orward-backward distance of the visible region can be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Equation &
(|SVD|: 상기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 BD: 양안 시차, So: 상기 이미지 시트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 사이의 거리, Si: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선단면과 상기 관찰자 사이의 거리, DW: 상기 입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폭)BD is the binocular parallax, S o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heet and the lenticular lens, S i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face of the lenticular lens and the observer, DW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lenticular lens and the observer, Width at which the stereoscopic image is displayed)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충돌 또는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근접 경고를 보행자 또는 운전자 등이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경고 이미지가 전달된다.The warning image can be transmitted more effectively since the proximity warning for preventing collision or access can be confirmed by the pedestrian or the driver in a stereoscopic manner.
또한, 미리 의도된 일정 영역 내에서만 근접 경고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 또는 운전자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위치에 있음을 효과적으로 인식하게 한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for the proximity warning can be confirm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intended area,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cognize that the pedestrian or the driver is in a position where attention should be pai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를 통해 관찰자가 인식하게 되는 근접 경고 입체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이미지의 좌안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이미지의 우안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의 이미지 시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에 의해 관찰자가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인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의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 및 이미지 시트의 형상 설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가 차량의 후미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경우에 후방 차량 운전자가 근접 경고 입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가 주차 구조물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경우에 차량 운전자가 근접 경고 입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expressing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that an observer perceives through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left eye image of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FIG.
4 is a view showing a right-eye image of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image sheet of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bserver perceives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by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design of the lenticular lens array and the image sheet of the apparatus for expressing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ear of a vehicle.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vehicle driver recognizes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in the case of FIG. 8;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arking structur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driver recognizes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in the case of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expressing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an apparatus for expressing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expressing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는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10)와 이미지 시트(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이미지 시트(20)는 근접 경고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에 의해 표현될 이미지를 포함한다. 해당 이미지는 이미지 시트(20)의 일면(렌티큘러 렌즈 어레이(10)와의 인접면) 상에 인쇄되거나 부착되는 등의 방법으로 이미지 시트(20) 상에 존재하게 된다.The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10)는 이미지 시트(20) 상의 근접 경고 이미지를 관찰자가 입체적으로 인식하도록 빛의 진행 경로를 굴절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10)는 복수 개의 렌티큘러 렌즈(11)가 평행하게 나열된 시트형의 부재이다. 각각의 렌티큘러 렌즈(11)는 아랫부분은 평평하고 윗부분은 볼록한 형태의 반원주형(半圓柱形)의 렌즈이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를 통해 관찰자가 인식하게 되는 근접 경고 입체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that an observer perceives through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 대문자 A를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가 표현하는 이미지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찰자에게 효과적인 근접 경고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I)를 관찰자가 입체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이미지(I)에 대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필요하다.As shown in Fig. 2,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for the image I are necessary for the observer to perceive the image I in three dimensions.
도 3은 도 2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이미지의 좌안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이미지의 우안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left eye image of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FIG. 2, and FIG. 4 is a right eye image of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I)에 대한 좌안 이미지(IL)는 실제 또는 가상으로 존재하는 이미지(I)에 대응하는 입체 구조물을 가상 관찰자가 좌측 안구를 통해 보게 되는 이미지와 대응한다.3, the left eye image I L for the image I corresponds to the image that the virtual observer sees through the left ey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mage I existing in real or virtual .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I)에 대한 우안 이미지(IR)는 실제 또는 가상으로 존재하는 이미지(I)에 대응하는 입체 구조물을 가상 관찰자가 우측 안구를 통해 보게 되는 이미지와 대응한다.And, as shown in Fig. 4, the right eye image I R for the image I includes an image in which the virtual observer views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mage I existing actually or virtually through the right eyeball Respectively.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이미지(IL)와 우안 이미지(IR)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에 의해 서로 다른 이차원 이미지를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좌안과 우안은 6cm ~ 7cm 의 거리를 갖게 되는데, 좌안과 우안의 거리에 따라 상이 다르게 맺히는 것을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라고 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left eye image I L and the right eye image I R have different two-dimensional images due to binocular disparity. In general,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person have a distance of 6 cm to 7 cm. Binocular disparity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의 이미지 시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an image sheet of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의 이미지 시트(20)에는 도 3의 좌안 이미지(IL, 21)와 우안 이미지(IR, 22)가 서로 교차하며 배치된다.As shown in FIG. 5, in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이미지(IL, 21)는 복수의 좌안 이미지 피스(21a, 21b, 21c, …, 21n)로 분할되고, 우안 이미지(IR, 22)는 복수의 우안 이미지 피스(22a, 22b, 22c, …, 22n)로 분할된다.As shown in Fig. 5, the left eye image I L , 2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eft
그리고, 이미지 시트(20)의 일면에는 복수의 좌안 이미지 피스(21a, 21b, 21c, …, 21n)와 복수의 우안 이미지 피스(22a, 22b, 22c, …, 22n)가 서로 번갈아 배치된다.A plurality of left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에 의해 관찰자가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인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bserver perceives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by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렌티큘러 렌즈(11)는 빛을 굴절시켜 관찰자의 좌안(eL)에는 좌안 이미지 피스(21a, 21b, 21c, …, 21n)의 상이 맺히도록 하고, 관찰자의 우안(eR)에는 우안 이미지 피스(22a, 22b, 22c, …, 22n)의 상이 맺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each
관찰자는 좌안(eL)을 통해 전달된 좌안 이미지(IL, 도 3 참고)와 우안(eR)을 통해 전달된 우안 이미지(IR, 도 3 참고)을 인식하게 되므로, 관찰자는 좌안 이미지(IL, 도 3 참고)와 우안 이미지(IR, 도 3 참고)이 융합된 도 2와 같은 입체 이미지(I)를 보게 된다.The observer recognizes the left eye image I L (see FIG. 3) transmitted through the left eye e L and the right eye image I R (see FIG. 3) transmitted through the right eye e R , (I L , see FIG. 3) and the right-eye image (I R , see FIG. 3).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의 렌티큘러 렌즈의 형상 설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design of a lenticular lens of an apparatus for expressing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의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 및 이미지 시트의 설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esigning the lenticular lens array and the image sheet of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렌티큘러 렌즈(11)의 직경(Φ)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된다.The diameter? Of the
[수학식 1]에서 f는 렌티큘러 렌즈(11)의 초점 거리이고, So는 이미지 시트(20)와 렌티큘러 렌즈(11) 사이의 거리이며, Si는 렌티큘러 렌즈(11)의 선단면(P2)과 관찰 위치 사이의 거리이고, δ는 렌티큘러 렌즈(11)의 선단면(P2)과 주단면(Principal plane, P1)사이의 거리이다.And the focal length of the Equation 1] f is the
[수학식 1]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11)의 직경(Φ)은 So와 Si 에 의해 그 근사값이 결정된다.As indicated by the formula (1), the diameter? Of the
이미지 시트(20)의 시점수(n)는 다음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된다.The number of viewpoints (n) of the
시점수(n)는 이미지 시트(20)에 배치되는 이미지 피스(21a, 21b, 21c, …, 21n, 22a, 22b, 22c, …, 22n)의 수이다.The number of viewpoints n is the number of
[수학식 2]에서 SZ는 가시 영역의 좌우 방향 거리이고, BD는 양안 시차이다. 가시 영역은 관찰자가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를 바라봤을 때 입체 이미치(I, 도 2 참고)를 관찰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In Equation (2), SZ is the lateral distance of the visible region, and BD is the binocular parallax. The visible region means an area where the observer can observe the stereoscopic image I (see Fig. 2) when he / she looks at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수학식 2]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시점수(n)는 가시 영역의 좌우 방향 거리의 설정값에 따라 결정된다(양안 시차(BD)는 일반적으로 60mm 내지 70mm 범위 내의 값을 사용하며, 주로 65mm의 값을 많이 사용한다.).(2), the number of viewpoints 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value of the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isible region (the binocular parallax BD generally uses a value within a range of 60 mm to 70 mm, Use a lot of values of 65mm).
한편, 이미지 피스(21a, 21b, 21c, …, 21n, 22a, 22b, 22c, …, 22n)의 선폭(a)은 다음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ne width a of the
[수학식 3]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선폭(a)은 So와 Si 에 의해 그 근사값이 결정된다.As indicated by the formula (3), the approximation value of the line width (a) is determined by S o and S i .
이미지 시트(20)의 유닛 길이(UL)은 다음 [수학식 4]에 의해 정의된다.The unit length UL of the
유닛 길이(UL)는 이미지 시트(20) 내에서 이미지 피스(21a, 21b, 21c, …, 21n, 22a, 22b, 22c, …, 22n)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길이이다.The unit length UL is a length in which th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에 의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폭(display width, DW)는 다음 [수학식 5]에 의해 정의된다.The width (display width) DW of the image displayed by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Resolution은 렌티큘러 렌즈(11)의 분해능(해상도)이다.Resolution is the resolution (resolution) of the
한편,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SVD)는 다음 [수학식 6]에 의해 정의된다.On the other hand, the forward-backward distance SVD of the visible regio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6).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하는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SVD)는 [수학식 6]의 |SVD|을 의미한다.The forward and backward distance SVD of the visible region referred 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eans | SVD | in [Equation 6].
그리고, 렌티큘러 렌즈(11)의 피치(LP)는 다음 [수학식 7]에 의해 정의된다.The pitch LP of the
상술한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10) 및 이미지 시트(20)의 설계 방법을 통해 가시 영역의 좌우 방향 거리(SZ) 및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SVD)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의 사용 목적에 부응하도록 가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The lateral distance SZ of the visible region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distance SVD of the visible region can be variously adjusted through the design method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사용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가 차량의 후미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ear of a vehicl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는 차량(110)의 후미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는 차량(110)이 주행 또는 정차한 상태에서 후방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 등에게 근접 경고 이미지(I)를 표현할 수 있다.8,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차량(110)의 트렁크(113) 후방면에 장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는 차량(110)의 리어 램프(111), 후방 윈도우(112), 후방 범퍼(114) 등에 부착될 수도 있다.8,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도 9는 도 8의 경우에 후방 차량 운전자가 근접 경고 입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vehicle driver recognizes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in the case of FIG.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량(110)의 후미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를 장착한 경우에, 후방 차량(120)의 운전자(200)는 전방 차량(110)으로 접근하는 중에, 운전자(200)가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의 가시 영역(SVD, SZ)에 들어오는 때부터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의 이미지(I, 도 2 참고)를 입체적으로 인식하게 된다.9, when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후방 차량(120)의 운전자(200)는 갑작스럽게 시야에 들어오는 입체 이미지(I)에 의해 전방 차량(110)에 대한 주의가 환기되므로, 전방 차량(110)과의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차량(110)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가시 영역의 좌우 방향 거리(SZ, 도 7 참고)는 일반적인 차량의 폭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또한,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SVD)는, 후방 차량(120)의 안정적인 제동을 위해 제동이 시작되는 거리(D2)로부터, 후방 차량(120)이 전방 차량(110)의 후미에 인접하게 되는 때에 후방 차량(120)의 운전자(200)가 위치하는 거리(D1) 사이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D1은 1m 내외로 설정될 수 있으며, D2는 5m 내외 또는 10m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Furth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stance (SVD) of the visible range, from the distance (D 2) which braking is started for stable braking of the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SVD)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종류,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의 근접 경고 목적 등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forward-and-backward distance SVD of the visible region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mage to be represented by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가 주차 구조물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arking structur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는 주차 구조물(3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는 주차 구조물(300)에 인접하여 주차하는 차량의 운전자 등에게 근접 경고 이미지(I)를 표현할 수 있다.10,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도 10에서는 주차 구조물(300)의 일례로서 주차장을 예시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주차장의 벽(301)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주차 구조물(300)은 주차 타워의 승강기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승강기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10 shows an example in which a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주차장 내에 복수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 라인(302)이 구획된 경우에는, 각각의 주차 라인(302)마다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구비되거나, 수 개의 주차 라인(302)에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0, when the
각각의 주차 라인(302)마다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시 영역의 좌우 방향 거리(SZ, 도 7 참고)를 일반적인 차량의 폭에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수 개의 주차 라인(302)마다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시 영역의 좌우 방향 거리(SZ, 도 7 참고)를 수 개의 주차 라인(302)을 연결한 길이에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도 11은 도 10의 경우에 차량 운전자가 근접 경고 입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driver recognizes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in the case of FI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30)의 운전자(200)는 주차 라인(302, 도 10 참고)에 차량(130)을 주차하는 과정에서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의 이미지(I, 도 2 참고)를 입체적으로 인식하게 된다.11, the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가 주차장에 적용되는 경우에,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SVD)는 차량(130) 전방 범퍼(미부호)가 주차장의 벽(301)에 인접하게 되는 때의 차량(130)의 운전자의 대략적인 위치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SVD)는 2m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SVD)는 주차장의 벽(301)과 주차 라인(302, 도 10 참고)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그리고,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SVD)는 후진 주차 차량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Further, the forward-backward distance SVD of the visible region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backward parking vehicle.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는 주차 구조물(300)에 구비되는 경우에, 운전자(200)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에 의해 표현되는 근접 경고 이미지(I)를 통해 주차장의 벽(301)과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위치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주차가 가능해진다.10 and 11,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expressing a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와 비교할 때, 백라이트 유닛(30)을 더 포함한다.12,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30)은 이미지 시트(20)의 이면에 결합되며, 렌티큘러 이미지 어레이(10)를 향해 조명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미지 시트(20)는 광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의 재료로 형성되어 백라이트 유닛(30)에서 제공된 조명이 이미지 시트(20)를 투과하여 렌티큘러 이미지 어레이(10)를 통해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12, the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1)는 주변광(자연광, 형광등, 가로등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별도의 광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관찰자가 입체 이미지(I, 도 2 참고)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주변광이 미약하거나 없는 환경에서는 관찰자가 입체 이미지(I)를 확인할 수 없다.In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2)는 이미지 시트(20)의 이면에 백라이트 유닛(30)을 포함하므로, 주변광이 미약하거나 없는 환경에서도 관찰자가 입체 이미지(I)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2: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
10: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
11: 렌티큘러 렌즈
20: 이미지 시트
21: 좌안 이미지
21a, 21b, 21c, 21n: 좌안 이미지 피스
22: 우안 이미지
22a, 22b, 22c, 22n: 우안 이미지 피스
30: 백라이트 유닛
eL: 좌안(左眼)
eR: 우안(右眼)
110, 120, 130: 차량
111: 리어 램프
112: 후방 윈도우
113: 트렁크
114: 후방 범퍼
200: 운전자
300: 주차 구조물
301: 벽
302: 주차 라인1, 2: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10: Lenticular lens array 11: Lenticular lens
20: Image Sheet 21: Left eye image
21a, 21b, 21c, 21n: left eye image piece 22: right eye image
22a, 22b, 22c, 22n: right eye image piece 30: backlight unit
e L : left eye (left eye) e R : right eye (right eye)
110, 120, 130: vehicle 111: rear lamp
112: rear window 113: trunk
114: rear bumper 200: driver
300: parking structure 301: wall
302: parking line
Claims (9)
상기 좌안 이미지가 복수의 피스로 분할된 복수의 좌안 이미지 피스와 상기 우안 이미지가 복수의 피스로 분할된 복수의 우안 이미지 피스가 번갈아 배치된 이이미지 시트 및
상기 이미지 시트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시트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형성되는 가시 영역 내에 진입한 관찰자의 좌측 눈에 상기 복수의 좌안 이미지 피스가 조합된 상기 좌안 이미지의 상을 맺히게 하고, 상기 관찰자의 우측 눈에 상기 복수의 우안 이미지 피스가 조합된 상기 우안 이미지의 상을 맺히게 하여, 상기 관찰자에게 상기 입체 이미지를 표현하는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Two-dimensional left and right eye images with binocular disparity applied to a stereoscopic image with close warning;
An image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left eye image pieces in which the left eye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a plurality of right eye image pieces in which the right eye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re alternately arranged,
An image of the left eye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left eye image pieces is formed on the left eye of an observer who has entered a visible region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mage sheet, And a lenticular lens array that forms an image of the right eye image in which the right eye is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right eye image pieces to represent the stereoscopic image to the observer.
상기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는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고,
상기 관찰자는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타차량의 운전자이며,
상기 타차량이 상기 차량의 후방에 근접하여 상기 관찰자가 상기 가시 영역 내에 진입한 때에 상기 관찰자가 상기 입체 이미지를 인식하도록 하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e observer is a driver of another vehicle approaching the rear of the vehicle,
And causes the observer to recognize the stereoscopic image when the other vehicle approaches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observer enters the viewing area.
상기 이미지 시트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는 상기 가시 영역의 좌우 방향 거리가 상기 타차량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mage sheet and the lenticular lens array are formed such that the lateral distance of the visible region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other vehicle.
상기 이미지 시트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는, 상기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가 상기 타차량이 상기 차량의 후미에 인접하는 때의 상기 운전자와 상기 이미지 시트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mage sheet and the lenticular lens array are configured to include a dista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image sheet when the distance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of the visible region is adjacent to the trailing edge of the vehicle, Device.
상기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는 주차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관찰자는 상기 주차 구조물에 근접하여 주차하는 차량의 운전자이며,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구조물에 근접하여 상기 관찰자가 상기 가시 영역 내에 진입한 때에 상기 관찰자가 상기 입체 이미지를 인식하도록 하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ximity warn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a parking structure,
The observer is a driver of a vehicle parked close to the parking structure,
Wherein the observer is allowed to recognize the stereoscopic image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parking structure and the observer enters the viewing area.
상기 이미지 시트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는, 상기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가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구조물에 인접하는 때의 상기 운전자와 상기 이미지 시트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mage sheet and the lenticular lens array are configured to include a dista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image sheet when the vehicle is in proximity to the parking structure, .
상기 이미지 시트의 이면에 결합되어 상기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를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cklight unit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image sheet to provide illumination toward the lenticular lens array.
상기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는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것인,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ticular lens array has a plurality of semicylindrical convex lenses arranged in parallel.
상기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를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근접 경고 입체 영상 표현 장치.
<수학식>
(|SVD|: 상기 가시 영역의 전후 방향 거리, BD: 양안 시차, So: 상기 이미지 시트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 사이의 거리, Si: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선단면과 상기 관찰자 사이의 거리, DW: 상기 입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폭)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of the visible regio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 Equation &
BD is the binocular parallax, S o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heet and the lenticular lens, S i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face of the lenticular lens and the observer, DW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lenticular lens and the observer, Width at which the stereoscopic image is display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7274A KR20160049726A (en) | 2014-10-28 | 2014-10-28 | Stereoscopic nearing warning imag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7274A KR20160049726A (en) | 2014-10-28 | 2014-10-28 | Stereoscopic nearing warning imag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9726A true KR20160049726A (en) | 2016-05-10 |
Family
ID=5602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7274A Withdrawn KR20160049726A (en) | 2014-10-28 | 2014-10-28 | Stereoscopic nearing warning imag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49726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24103A1 (en) * | 2016-11-22 | 2018-05-23 | odelo GmbH | Vehicle lamp with an illuminating function having an effect of depth |
WO2018192938A1 (en) * | 2017-04-21 | 2018-10-25 | HELLA GmbH & Co. KGaA | Elongate lights for vehicles |
WO2019118100A1 (en) | 2017-12-12 | 2019-06-20 |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 Backlit 3d lamp |
CN112462531A (en) * | 2020-04-20 | 2021-03-09 |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 Illumination module, car light, vehicle accessory equipment and vehicle of three-dimensional suspension formation of image |
WO2024100125A1 (en) * | 2022-11-10 | 2024-05-16 | Valeo Vision | Luminous device for a motor vehicle |
-
2014
- 2014-10-28 KR KR1020140147274A patent/KR20160049726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24103A1 (en) * | 2016-11-22 | 2018-05-23 | odelo GmbH | Vehicle lamp with an illuminating function having an effect of depth |
WO2018192938A1 (en) * | 2017-04-21 | 2018-10-25 | HELLA GmbH & Co. KGaA | Elongate lights for vehicles |
WO2019118100A1 (en) | 2017-12-12 | 2019-06-20 |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 Backlit 3d lamp |
EP3724030A4 (en) * | 2017-12-12 | 2021-02-17 |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 BACKLIT 3D LAMP |
CN112462531A (en) * | 2020-04-20 | 2021-03-09 |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 Illumination module, car light, vehicle accessory equipment and vehicle of three-dimensional suspension formation of image |
EP4116760A4 (en) * | 2020-04-20 | 2023-09-13 | Hasco Vision Technology Co., Ltd. | THREE-DIMENSIONAL SUSPENSION IMAGING LIGHTING MODULE, VEHICLE LAMP, VEHICLE ACCESSORY AND VEHICLE |
WO2024100125A1 (en) * | 2022-11-10 | 2024-05-16 | Valeo Vision | Luminous device for a mot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57868B2 (en) |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head-up display system, and vehicle | |
WO2009066408A4 (en) |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head-up display | |
EP3200005A1 (en) | Head-up display and moving body | |
JP2015194709A (en) | Image display device | |
KR20160049726A (en) | Stereoscopic nearing warning image display device | |
CN102253563A (en) | Electrically driven liquid crystal lens with optimized visual angl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thereof | |
CN108663807B (en) | Head-up display optical system and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 |
WO2011133140A3 (en) | Stereo vision viewing systems | |
US20160252739A1 (en)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CN219676374U (en) | Display device, head-up display device and vehicle | |
US9684166B2 (en) | Motor vehicle and display of a three-dimensional graphical object | |
KR20120059846A (en) | Head up display system | |
CN210666207U (en) | Head-up display device, imaging system and vehicle | |
WO2019107295A1 (en) | Head-up display device | |
CN111751988A (en) | Depth of field adjusting method and device and binocular near-to-eye display equipment | |
EP3193205A1 (en) |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KR101746719B1 (en) | Output method of view images in three-dimensional display by different distance between display panel and lens | |
WO2020031549A1 (en) |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 |
KR102687830B1 (en) | Head up display apparatus | |
CN210129073U (en) | Naked ey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ssembly, windshield with same and automobile | |
CN209297031U (en) | Head-up display device | |
CN204989647U (en) | Electric control type stereo grating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1831748B1 (en) | Autostereoscopic 3d display apparatus | |
JP2016051126A (en) | Head-up display system and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 |
KR101185787B1 (en) | Panel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