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48674A - 연소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연소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674A
KR20160048674A KR1020150147092A KR20150147092A KR20160048674A KR 20160048674 A KR20160048674 A KR 20160048674A KR 1020150147092 A KR1020150147092 A KR 1020150147092A KR 20150147092 A KR20150147092 A KR 20150147092A KR 20160048674 A KR20160048674 A KR 20160048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lame hole
hole portion
holes
di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67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4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 F23D14/145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combustion being stabilised at a screen or a perforated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4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4Preventing flame lift-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82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5Radiant burn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 F23D2203/102Flame diffusing means using perforated plates
    • F23D2203/1023Flame diffusing means using perforated plates with specific free passage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12/00Burner material specifications
    • F23D2212/10Burner material specifications ceram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00003Fuel or fuel-air mixtures flow distribution devices upstream of the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과제) 플레이트 본체에 화염구멍이 존재하지 않는 무화염구멍부(33)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무화염구멍부로 둘러싸이는 플레이트 본체의 각 영역을 복수의 화염구멍이 밀집하여 형성되는 집합화염구멍부(34)로 하는 연소 플레이트에 있어서, 내역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집합화염구멍부(34)의 무화염구멍부(33)에 인접하는 주변 부분에 형성하는 주변화염구멍(32a)의 직경을 집합화염구멍부(34)의 주변 부분으로부터 내측의 부분에 형성하는 중앙화염구멍(32b)의 직경보다 작게 한다. 또, 무화염구멍부(33)의 각 측부에, 집합화염구멍부(34)의 화염구멍 사이 피치(P)보다도 넓은 피치(P′)로 외측화염구멍(32′)을 형성할 경우에는, 외측화염구멍(32′)도 중앙화염구멍(32b)보다 작은 직경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 플레이트{COMBUSTION PLATE}
본 발명은 주로 급탕용이나 난방용의 열원기에 설치되는 전일차(全一次) 연소식 버너에서 이용하는 연소 플레이트이며, 세라믹제의 플레이트 본체에 예비혼합가스를 분출하는 다수의 화염구멍을 형성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연소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 본체에 화염구멍이 존재하지 않는 무(無)화염구멍부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무화염구멍부로 둘러싸이는 플레이트 본체의 각 영역을 복수의 화염구멍이 밀집되어 형성되는 집합화염구멍부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것에서는, 무화염구멍부에 인접하는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의 화염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예비혼합가스의 일부가 무화염구멍부 위에 소용돌이치도록 하여 환류된다. 그리고 무화염구멍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의 화염구멍으로부터 환류되는 예비혼합가스가 서로 간섭하여 무화염구멍부 위로 리프트되기 어려운 안정된 화염이 형성되어 보염(保炎)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집합화염구멍부의 무화염구멍부에 인접하는 주변 부분의 화염구멍의 일부에서 화염의 리프트를 발생하면, 그곳이 기점이 되어 주변 부분의 다른 화염구멍의 화염도 끌려서 리프트되기 쉬워진다. 특히, 예비혼합가스의 공기과잉율(일차공기량/화학양론적 공기량)을 높게 할 경우에는, 주변 부분의 화염구멍에서의 화염 리프트를 발생하기 쉬워지고, 이것에 기인하여 집합화염구멍부 전체에서의 화염 리프트를 발생하는 일이 있다. 
그래서, 종래, 특허문헌 1에 의해, 집합화염구멍부의 무화염구멍부에 인접하는 주변 부분에 형성하는 화염구멍을 표면측의 구멍 직경보다도 이면측의 구멍 직경을 작게 한 감속화염구멍으로 하는 연소 플레이트가 알려져 있다. 감속화염구멍에서는 이면측의 작은 직경 부분으로부터 유입된 예비혼합가스의 유속이 표면측의 직경 확대 부분에서 감속되어 화염 리프트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에서의 화염 리프트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저부하 연소시에 역화(逆火)되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무화염구멍부에서는, 화염구멍에 흐르는 예비혼합가스에 의한 플레이트 본체의 냉각 효과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저부하 연소로 화염이 짧아져 플레이트 표면 부근에서 연소하면, 무화염구멍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무화염구멍부에 인접하는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의 온도도 상승하고, 주변 부분의 화염구멍이 감속화염구멍으로서 예비혼합가스의 유속이 감속되는 것과 더불어서 역화되기 쉬워진다.
또, 종래,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의 화염구멍을 감속화염구멍으로 하지 않고, 주변 부분에서의 화염 리프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소 플레이트로서, 특허문헌 2에 의해, 무화염구멍부의 각 집합화염구멍부에 인접하는 각 측부에, 무화염구멍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화염구멍이 형성되며, 이 소정의 간격은 집합화염구멍부에 형성하는 화염구멍 사이의 무화염구멍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간격보다도 넓게 설정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에서는,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의 화염구멍에 있어서의 저부하 연소시의 내역화(耐逆火) 성능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보다도 향상하지만, 저부하 연소시에 무화염구멍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에 변화는 없어 내역화 성능을 충분하게는 향상시킬 수 없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평7-1271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12-180988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감안하여 내역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소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세라믹제의 플레이트 본체에 예비혼합가스를 분출하는 다수의 화염구멍을 형성한 전일차 연소식 버너용의 연소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 본체에 화염구멍이 존재하지 않는 무화염구멍부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무화염구멍부로 둘러싸이는 플레이트 본체의 각 영역을 복수의 화염구멍이 밀집하여 형성되는 집합화염구멍부로 하는 것에 있어서, 집합화염구멍부의 무화염구멍부에 인접하는 주변 부분에 형성하는 화염구멍의 직경을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으로부터 내측의 부분에 형성하는 화염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의 화염구멍(주변화염구멍)의 직경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주변화염구멍으로부터 분출하는 예비혼합가스량을 감소시켜서, 이 예비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한 무화염구멍부의 가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주변화염구멍의 직경을 작게 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저부하 연소시에 있어서의 무화염구멍부의 온도를 낮추어서 내역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무화염구멍부의 각 집합화염구멍부에 인접하는 각 측부에, 무화염구멍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화염구멍을 형성하며, 이 소정의 간격을 집합화염구멍부에 형성하는 화염구멍 사이의 무화염구멍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간격보다도 넓게 설정하면,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에서의 화염 리프트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무화염구멍부의 각 측부의 화염구멍(외측화염구멍)은 개수가 적기 때문에, 외측화염구멍을 작은 직경으로 하지 않아도, 주변화염구멍을 작은 직경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저부하 연소시에 있어서의 무화염구멍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측화염구멍의 직경도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으로부터 내측의 부분에 형성하는 화염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따르면, 외측화염구멍으로부터 분출하는 예비혼합가스량을 감소시켜서, 이 예비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한 무화염구멍부의 가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저부하 연소시에 있어서의 무화염구멍부의 온도를 더욱 낮추어서 내역화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일차 연소식 버너의 절단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연소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연소 플레이트 일부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다른 실시형태의 연소 플레이트 일부의 확대 평면도. 
도 1을 참조하여, “1”은 전일차 연소식 버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버너 (1)는 상향으로 개구하는 상자형으로 형성된 버너 본체(2)와, 버너 본체(2)의 상부에 장착한 연소 플레이트(3)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버너(1)의 폭 방향을 가로 방향. 버너(1)의 깊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버너 본체(2)의 상면 외주부에는 급탕용이나 난방용의 열교환기를 내장하는 연소하우징(도시생략)의 하단을 결합하는 플랜지부(2a)가 설치되어 있다. 또, 버너 본체(2) 내에는 연소 플레이트(3)의 하면에 면하는 분포실(4)과, 분포실(4)에 대해 버너 본체(2)에 일체의 마루벽(2b)으로 칸막이된 하측의 혼합실(5)이 설치되어 있다. 또, 혼합실(5)의 하측에는 급기실(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기실(6)의 바닥면(61)에 개설(開設)한 급기구(62)에 연소 팬(7)을 접속하고, 급기실(6)에 연소 팬(7)으로부터 1차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분포실(4)의 바닥면인 마루벽(2b)의 후부에는, 혼합실(5)에 연통하는 가로로 긴 개구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분포실(4)은 칸막이판(42)에 의해 상하 2개의 공간으로 칸막이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실(5)로부터 개구부(41)를 통하여 분포실(4)의 하부 공간으로 유입된 예비혼합가스가 칸막이판(42)에 형성한 다수의 분포구멍(42a)과 분포실(4)의 상부 공간을 통하여 연소 플레이트(3)로 이끌리도록 하고 있다.
혼합실(5)의 전면(51)은 버너 본체(2)에 일체의 세로벽(2c)으로 폐색되어 있다. 이 전면(51)에는 세로벽(2c)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노즐구멍(52)이 가로 방향의 간격을 두고서 복수 병설되어 있다. 또, 세로벽(2c)의 외면에는 복수의 노즐구멍(52)에 연통하는 노즐통로(52a)를 세로벽(2c)과의 획성하는 칸막이판 (81)을 통하여 가스 매니폴드(8)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판(81)에는 가스 매니폴드(8) 내의 가스통로(82)와 노즐통로(52a)를 연통하는 개구(도시생략)가 형성되고, 가스 매니폴드(8)에는 이 개구를 개폐하는 전자밸브(83)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밸브(83)를 개방시켰을 때에, 노즐통로(52a)에 연료가스가 공급되고, 각 노즐구멍(52)으로부터 연료가스가 분사되도록 하고 있다. 
혼합실(5)의 바닥면(53)에는 혼합실(5)의 전면(51)에 통기 간극(54)을 두고서 대향하고, 각 노즐구멍(52)으로부터 분출하는 연료가스가 충돌하는 벽판(55)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벽판(55)은 상방으로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 혼합실(5)의 바닥면(53)의 통기 간극(54)에 임하는 부분에는 급기실(6)로부터의 1차 공기를 혼합실(5)로 도입하는 가로로 긴 공기도입구(56)가 개설(開設)되어 있다. 그리고 각 노즐구멍(52)으로부터 분출하는 연료가스가 벽판(55)에 충돌하여 확산하고, 통기 간극(54)으로 흐르는 1차 공기에 확산한 연료가스가 혼입되어 연료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이 촉진되어 균질(均質)인 예비혼합가스가 생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 통기 간극(54)에는 각 노즐구멍(52)의 하측에 위치시켜서 전후방향으로 긴 통 형상의 방해판(57)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연료가스의 분출량을 소량으로 하는 약한 연소시에도 연료가스를 일차 공기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확실하게 벽판(55)에 충돌시킬 수 있다. 
연소 플레이트(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믹제의 플레이트 본체 (31)에 다수의 화염구멍(3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예비혼합가스가 이들 화염구멍(32)으로부터 분출하여 전일차 연소한다. 이하, 연소 플레이트(3)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화염구멍(32)을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 본체(31)에 화염구멍(32)이 존재하지 않는 무화염구멍부(33)를 마름모꼴의 격자 형상으로 설치하고, 무화염구멍부(33)로 둘러싸이는 플레이트 본체(31)의 각 영역을 복수의 화염구멍(32)이 밀집하여 형성되는 집합화염구멍부(34)로 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집합화염구멍부(34)의 무화염구멍부(33)에 인접하는 주변 부분의 화염구멍(이하, 주변화염구멍이라고 기재한다, 32a)에 외접하는 마름모꼴의 1변의 길이(L)를 8.9㎜, 이들 마름모꼴 사이의 무화염구멍부(33)의 폭(W)을 3.6㎜로 하고, 집합화염구멍부(34)에 무화염구멍부(33)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상기 마름모꼴의 각 변에 평행한 방향)의 화염구멍 사이의 간격(중심간 거리, p)이 1.6㎜가 되도록 화염구멍(32)을 합계 36개 형성하고 있다. 
또, 무화염구멍부(33)의 각 집합화염구멍부(34)에 인접하는 각 측부에, 무화염구멍부(33)의 길이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화염구멍(이하, 외측화염구멍이라고 기재한다, 32′)을 형성하고 있다. 이 소정의 간격, 즉, 외측화염구멍(32′)의 무화염구멍부(33)의 길이 방향의 중심간 거리(P′)는 집합화염구멍부(34)에 형성하는 화염구멍(32)의 무화염구멍부(33)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중심간 거리(P)보다도 넓게 설정된다. 여기서, P′는 2P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p′=3P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화염구멍부(33)의 폭 방향 일측의 외측화염구멍 (32′)과 타측의 외측화염구멍(32′)이 무화염구멍부(33)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겹치지 않게 비켜서 배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화염구멍부(33)의 폭 방향 각 측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외측화염구멍(32′, 32′)의 중심을 묶는 선을 저변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대기점에 무화염구멍부(33)의 폭 방향 반대측의 외측화염구멍(32′)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무화염구멍부(33)의 폭 방향 일측의 외측화염구멍(32′)과 타측의 외측화염구멍(32′)의 위치를 무화염구멍부(33)의 길이 방향으로 겹치지 않게 비켜 있다. 이에 따라, 무화염구멍부(33)의 폭 방향 양측의 외측화염구멍(32′, 32′) 사이의 거리가 모두 동등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집합화염구멍부(33)의 주변 부분의 외측의 곳곳에 외측화염구멍(32′)이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외측화염구멍(32′)에서 무화염구멍부(33) 위로 환류하는 예비혼합가스에 대해, 무화염구멍부(33)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집합화염구멍부(34)의 주변화염구멍(32a)에서 무화염구멍부(33) 위로 환류하는 예비혼합가스가 간섭할 뿐만 아니라, 외측화염구멍(32′)과 같은 측에 위치하는 집합화염구멍부(34)의 주변화염구멍(32a)에서 무화염구멍부(33) 위로 환류하는 예비혼합가스가 간섭하여 외측화염구멍(32′)의 보염 효과가 높아진다. 따라서, 집합화염구멍부(33)의 주변화염구멍(32a)의 일부에서의 화염 리프트를 발생해도, 외측화염구멍(32′)에서의 보염에 의해, 외측화염구멍(32′)에 가까운 주변화염구멍(32a)에서의 화염 리프트가 방지된다. 그 결과, 예비혼합가스의 공기과잉율을 높게 해도, 주변화염구멍(32a) 전체에서의 화염 리프트, 나아가서는, 이것에 기인하여 집합화염구멍부(34) 전체에서 화염 리프트를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무화염구멍부(33)의 폭 방향 일측의 외측화염구멍(32′)과 타측의 외측화염구멍(32′)이 무화염구멍부(33)의 길이 방향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무화염구멍부(33)의 폭이 그 양측의 외측화염구멍(32′, 32′) 사이의 부분에서 꽤 좁아져 버려, 이 부분에서는 예비혼합가스가 잘 환류하지 않게 되어, 외측화염구멍 (32′)의 보염 효과가 저하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화염구멍부(33)의 폭 방향 일측의 외측화염구멍(32′)과 타측의 외측화염구멍(32′)이 무화염구멍부(33)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겹치지 않게 비켜서 배치되기 때문에, 각 외측화염구멍(32′)에 대해 무화염구멍부(33)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집합화염구멍부(34)의 주변화염구멍(32a)이 대치(對峙)하여 무화염구멍부(33)의 폭이 외측화염구멍(32′, 32′) 사이에서 과소로 좁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화염구멍부(33)의 양측의 외측화염구멍(32′, 32′)에서 무화염구멍부(33) 위로 환류하는 예비혼합가스끼리도 서로 간섭하게 되어, 외측화염구멍(32′)의 보염 효과가 한층 향상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화염구멍부(33)의 폭 방향 양측의 외측화염구멍(32′, 32′) 사이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모든 외측화염구멍(32′)에서 높은 보염 효과가 얻어져 화염 리프트를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단, 이대로는, 저부하 연소로 화염이 짧아져서 플레이트 표면 부근에서 연소하면, 무화염구멍부(33)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내역화 성능을 충분하게는 향상시킬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집합화염구멍부(34)의 주변화염구멍(32a)의 직경을 집합화염구멍부(34)의 주변 부분으로부터 내측의 부분에 형성하는 화염구멍(이하, 중앙화염구멍이라고 기재한다, 32b)의 직경보다 작게 하고, 또한, 외측화염구멍(32′)의 직경도 중앙화염구멍(32b)의 직경보다 작게 하고 있다. 주변화염구멍(32a) 및 외측화염구멍(32′)의 직경과 중앙화염구멍(32b)의 직경의 비는 1:1.2∼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화염구멍 (32b)의 직경을 1.1㎜, 주변화염구멍(32a) 및 외측화염구멍(32′)의 직경을 O.9㎜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주변화염구멍(32a)의 직경을 작게 하면, 주변화염구멍(32a)으로부터 분출하는 예비혼합가스량을 감소시켜서, 이 예비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한 무화염구멍부(33)의 가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주변화염구멍(32a)의 직경을 작게 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저부하 연소시에 있어서의 무화염구멍부(33)의 온도를 낮추어서 내역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화염구멍(32′)은 개수가 적기 때문에, 외측화염구멍(32′)을 작은 직경으로 하지 않아도, 주변화염구멍(32a)을 작은 직경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저부하 연소시에 있어서의 무화염구멍부(33)의 온도를 낮출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외측화염구멍(32′)도 작은 직경으로 하면, 저부하 연소시에 있어서의 무화염구멍부(33)의 온도를 더욱 낮추어서 내역화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집합화염구멍부(34)의 주변화염구멍(32) 중 무화염구멍부(33)에 접하는 최외측 열의 화염구멍을 작은 직경의 주변화염구멍(32a)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같이, 최외측의 열과 그 내측의 열의 2열의 화염구멍을 작은 직경의 주변화염구멍(32a)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측화염구멍(32′)을 폐지하여 무화염구멍부 (33)에 염구(炎口)를 전혀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무화염구멍부(33)에 외측화염구멍(32′)을 형성하고 있지만, 집합화염구멍부(34)의 형상을 마름모꼴로 하고 있지만, 이 형상은 마름모꼴 이외의 삼각∼육각의 다각형이라도 좋다. 
3: 연소 플레이트
31: 플레이트 본체
32: 화염구멍
32a: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에 형성하는 화염구멍
32b: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으로부터 내측의 부분에 형성하는 화염구멍
32′: 무화염구멍부의 측부에 형성하는 화염구멍
33: 무화염구멍부
34: 집합화염구멍부

Claims (3)

  1. 세라믹제의 플레이트 본체에 예비혼합가스를 분출하는 다수의 화염구멍을 형성한 전일차 연소식 버너용의 연소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 본체에 화염구멍이 존재하지 않는 무화염구멍부가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무화염구멍부로 둘러싸이는 플레이트 본체의 각 영역을 복수의 화염구멍이 밀집하여 형성되는 집합화염구멍부로 하는 것에 있어서,
    집합화염구멍부의 무화염구멍부에 인접하는 주변 부분에 형성하는 화염구멍의 직경을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으로부터 내측의 부분에 형성하는 화염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플레이트 .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화염구멍부의 상기 각 집합화염구멍부에 인접하는 각 측부에, 무화염구멍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화염구멍이 형성되고, 이 소정의 간격은 집합화염구멍부에 형성하는 화염구멍 사이의 무화염구멍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간격보다도 넓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플레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화염구멍부의 각 측부에 형성되는 화염구멍의 직경도 상기 집합화염구멍부의 주변 부분으로부터 내측의 부분에 형성하는 화염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플레이트.
KR1020150147092A 2014-10-24 2015-10-22 연소 플레이트 Ceased KR20160048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6857 2014-10-24
JP2014216857A JP2016084955A (ja) 2014-10-24 2014-10-24 燃焼プレ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674A true KR20160048674A (ko) 2016-05-04

Family

ID=5436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092A Ceased KR20160048674A (ko) 2014-10-24 2015-10-22 연소 플레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1187B2 (ko)
EP (1) EP3012526B1 (ko)
JP (1) JP2016084955A (ko)
KR (1) KR201600486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3937B (zh) * 2014-11-13 2017-04-12 艾欧史密斯(中国)热水器有限公司 燃气预混燃烧器及燃气热水器
JP6530275B2 (ja) * 2015-08-18 2019-06-12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USD787041S1 (en) * 2015-09-17 2017-05-16 Whirlpool Corporation Gas burner
US10837651B2 (en) 2015-09-24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Oven cavity connector for operating power accessory trays for cooking appliance
US11777190B2 (en) 2015-12-29 2023-10-03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including an antenna using a portion of appliance as a ground plane
US10145568B2 (en) 2016-06-27 2018-12-04 Whirlpool Corporation High efficiency high power inner flame burner
US10551056B2 (en) 2017-02-23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Burner base
US10451290B2 (en) 2017-03-07 2019-10-22 Whirlpool Corporation Forced convection steam assembly
US10660162B2 (en) 2017-03-16 2020-05-19 Whirlpool Corporation Power delivery system for an induction cooktop with multi-output inverters
NL2020282B1 (nl) * 2018-01-17 2019-07-25 Atag Heating B V Branderplaat voor een cv-ketel
US12338993B2 (en) 2018-02-23 2025-06-24 Fulton Group N.A., Inc. Compact flat plate premix fuel combustion system, and fluid heating system and packaged burner system including the same
EP3755946A1 (en) 2018-02-23 2020-12-30 Fulton Group N.A., Inc. Inward-firing premix fuel combustion burner
US10627116B2 (en) 2018-06-26 2020-04-21 Whirlpool Corporation Ventilation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US10619862B2 (en) 2018-06-28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Frontal cooling towers for a ventilation system of a cooking appliance
US10837652B2 (en) 2018-07-18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secondary door
CN113357630B (zh) * 2021-06-17 2023-05-23 徐建波 一种用于燃烧器上的炉板
WO2023028129A1 (en) * 2021-08-25 2023-03-02 Fulton Group N.A., Inc. Compact flat plate premix fuel combustion system, and fluid heating system and packaged burner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1396A (en) * 1963-08-20 1966-05-17 Corning Glass Works Ceramic burner plate
CA969088A (en) * 1971-12-21 1975-06-10 Firma Schwank G.M.B.H. Burner-plate for infra-red radiators
US4083673A (en) * 1976-05-11 1978-04-11 General Time Corporation Portable heating apparatus
WO1982002711A1 (en) * 1981-02-03 1982-08-19 Mihara Toshihiro Ceramic burner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R2534353A1 (fr) * 1982-10-11 1984-04-13 Vaneecke Solaronics Plaquette a face rayonnante alveolee pour bruleur radiant
JPS643407A (en) * 1987-04-16 1989-01-09 Rinnai Kk Combustion plate
JP2768182B2 (ja) * 1992-11-11 1998-06-25 三浦工業株式会社 予混合バーナ
JPH0712713U (ja) * 1993-06-09 1995-03-03 エイケン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ーナ用炎口面板
JPH0712713A (ja) 1993-06-21 1995-01-1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透過光測定用フローセル
JP3298270B2 (ja) * 1993-10-19 2002-07-02 三浦工業株式会社 予混合式バーナ
JPH10160121A (ja) * 1996-11-29 1998-06-19 Sanyo Electric Co Ltd 元混合式面状火炎型バーナ
JPH10332113A (ja) * 1997-05-30 1998-12-15 Gastar Corp ガスバーナおよび炎口形成用記憶媒体
JP3695201B2 (ja) * 1998-04-08 2005-09-14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用バーナプレート
US6896512B2 (en) * 2001-09-19 2005-05-24 Aztec Machinery Company Radiator element
WO2003069225A1 (de) * 2002-02-12 2003-08-21 Voith Paper Patent Gmbh Als flächenstrahler ausgebildeter infrarot-strahler
KR100778716B1 (ko) * 2006-07-07 2007-11-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버너의 염공부 구조
JP5106983B2 (ja) * 2007-10-25 2012-12-26 株式会社パロマ 全一次空気式バーナ
JP5507966B2 (ja) * 2009-11-09 2014-05-28 東邦瓦斯株式会社 燃焼プレート
CA136106S (en) * 2009-12-25 2011-03-14 Rinnai Kk Burner plate
TWI570362B (zh) * 2010-12-20 2017-02-11 索拉羅尼克斯股份有限公司 具有浮凸屏之氣體加熱輻射發射體
JP5513425B2 (ja) 2011-03-02 2014-06-04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プレート
ITBG20110030U1 (it) * 2011-07-25 2013-01-26 Polidoro Spa Bruciatore iperstechiometrico perfezionato
US8827693B2 (en) * 2011-10-17 2014-09-09 Rinnai Corporation Totally aerated combustion burner
US9777921B2 (en) * 2014-12-05 2017-10-03 Rinnai Corporation Combustion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2526A1 (en) 2016-04-27
JP2016084955A (ja) 2016-05-19
US20160116160A1 (en) 2016-04-28
US9841187B2 (en) 2017-12-12
EP3012526B1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8674A (ko) 연소 플레이트
JP5300579B2 (ja) バーナ
US10184658B2 (en) Combustion apparatus
US20110053105A1 (en) Bunsen burner using lean-rich combustion type
JP5667159B2 (ja) 燃焼装置
JP2011252671A (ja) 燃焼装置
CN112113327B (zh) 一种实现浓淡燃烧的火排、燃烧器及热水器
JP6038632B2 (ja) 燃焼装置
KR101747290B1 (ko) 연소 플레이트
JP6174450B2 (ja) 燃焼装置
JP5513425B2 (ja) 燃焼プレート
CN216114029U (zh) 风机后预混浓淡燃烧器
JP2010261619A (ja) バーナ
JP2020522669A (ja) バーナー及びバーナーを含むガス給湯器
JP2017156043A (ja) ラインバーナ
CN110145861B (zh) 一种透风挡板、壁挂炉及壁挂炉传火性能改善方法
CN216307782U (zh) 浓淡燃烧装置和火排
JP5280330B2 (ja) 燃焼装置
CN213513873U (zh) 一种燃烧器及热水器
JPH02106608A (ja) ラジアントガスバーナ
JP4813242B2 (ja) 全一次燃焼式バーナ
JP5368386B2 (ja) 全一次燃焼式バーナ
CN113606578A (zh) 风机后预混浓淡燃烧器
CN113531522A (zh) 一种燃烧器及燃气灶
CN119245028A (zh) 火盖组件、燃烧器及燃气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