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46195A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195A
KR20160046195A KR1020140141945A KR20140141945A KR20160046195A KR 20160046195 A KR20160046195 A KR 20160046195A KR 1020140141945 A KR1020140141945 A KR 1020140141945A KR 20140141945 A KR20140141945 A KR 20140141945A KR 20160046195 A KR20160046195 A KR 2016004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wireless power
voltage
inverter
seri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호
김창익
박승원
박용운
이상범
신은영
성재석
조재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6195A/ko
Priority to US14/644,487 priority patent/US10027130B2/en
Priority to CN201510159004.9A priority patent/CN106160247A/zh
Publication of KR2016004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195A/ko
Priority to US16/011,916 priority patent/US10790675B2/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전력 수신부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OFF스위칭 동작을 조절하여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PPARATUS FOR TRANSMITING WIRELESS POWER}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기술은 데이터 전송에서 전력 전송까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최근에는 비접촉으로도 전자 기기의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전자 기기와 충전 기기의 물리적인 연결 없이 자유롭게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의 편리성 및 자유도가 높아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 대한 다양한 적용 및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전자 기기의 요구 전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로 인하여 전력 전송의 효율이 낮아지는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은 한국 등록특허 제 10-0820461호 및 한국 공개특허 제 2011-0034776호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0820461호 한국 공개특허 제 2011-003477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도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부 및 상기 승압부에서 출력된 승압 전압을 변환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승압부는 동일한 스위칭 소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제1 및 제2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출력하는 승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상기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승압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ON 스위칭에 의하여 활성되고, 상기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승압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1 스위치의 OFF 스위칭에 의하여 활성되고, 상기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제2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도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스위치를 공유하므로 소자의 개수를 줄이고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경로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2 경로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경로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9은 도 7의 제2 경로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출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제공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송신 코일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의 수신 코일과 공진 또는 공명하여 수신 코일에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송신 코일은 한 개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복수개의 송신 코일을 구비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서 제공된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수신한 무선 전력을 전자 기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특정한 표준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충전 시 통신 방식이 기 설정된 표준(예를 들어, A4WP)을 만족하며 동작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무선 충전 시 기 설정된 통신 방식이 존재하지 않는 표준(예를 들어, WPC, PMA)을 만족하며 동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승압부(110)와 인버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압부(110)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부(120)는 승압부(110)에서 출력된 승압 전압을 변환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인버터부(120)는 무선 전력 제공을 위한 공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승압부(110)와 인버터부(120)는 동일한 스위칭 소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승압부(110)와 인버터부(120)는 스위칭 소자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압부(110)는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고, 인버터부(120)는 하프 브리지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부스트 컨버터와 하프 브리지 인버터는 2개의 스위치에 의하여 교번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스위칭 제어를 별도로 수행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제어가 가능하며, 스위치 소자의 개수가 줄어들어 크기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풀 브리지 인버터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구성하였으나, 풀 브리지 인버터의 경우 4개의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2개의 드라이버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스위치의 개수가 많아져서 회로의 복잡도가 상승하고, 하나의 제어를 위하여 2개의 별도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제어의 복잡도도 상승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압부(110)와 인버터부(120)를 각각 포함하되, 두 승압부(110)와 인버터부(120)를 하나의 스위칭 제어를 이용하여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회로 구성과 제어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승압부(110)와 인버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압부(110)와 인버터부(120)는 각각 회로 경로를 구성하므로, 이하에서 사용되는 승압 회로 및 인버터 회로는 각각 승압부(110) 및 인버터부(120)에 대응될 수 있다.
승압부(110)는 제1 스위치 Q1과 제2 스위치 Q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승압부(110)는 부스트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승압부(110)는 입력 전원단과 직렬 연결되는 인덕터 L1, 인덕터 L1 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스위치 Q1, 스위치 Q1와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 C1 및 스위치 Q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Q2는 인덕터 L1와 스위치 Q1의 접점에 직렬 연결되고, 스위치 Q1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부(120)는 제1 스위치 Q1과 제2 스위치 Q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승압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인버터부(120)는 하프 브리지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인버터부(120)는 스위치 Q1, 스위치 Q2 및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는 스위치 Q1 및 스위치 Q2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공진 회로는 LC 공진 회로로 구현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LLC 공진 회로로서도 구현될 수 있다.
승압부(110)와 인버터부(120)는 같은 스위치 소자들, 즉, 도시된 제1 스위치 Q1과 제2 스위치 Q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 Q1과 제2 스위치 Q2는 50%의 시비율로 교번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인버터부(120)의 하프 브리지 인버터는 50%의 시비율로 구동되며, 따라서 승압부(110)의 부스트 컨버터 또한 50%의 시비율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2배로 승압되게 되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이하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Vo = 1/(1-D)*Vin
여기에서 D는 부스트 컨버터 및 하프 브리지 인버터 스위치 Q1과 Q2의 시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비율 D는 50%, 즉 0.5일 수 있다.
Vin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입력 전압, 즉 부스트 컨버터의 입력 전압을 의미하며, Vo는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 전압, 즉 커패시터 C1의 전압을 의미하며 이는 곧 하프 브리지 인버터의 입력 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결국, 부스트 컨버터의 50% 시비율 동작에 의하여 입력 전압이 2배로 승압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하프 브리지 인버터를 사용함에도 풀 브리지 인버터와 같이 구동될 수 있으며, 이를 각 경우 전압 파형의 푸리에 변환을 통해 수학적으로 증명하면 아래 수학식과 같다.
[수학식2]
4Vinsin(wt)/π = 2(2Vin)sin(wt)/π
즉, 기존의 입력 전압이 Vin이고 풀 브리지 인버터를 통해 발생되는 전압의 기본파 성분은 4Vinsin(wt)/π이고,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부스트 컨버터를 통해 입력 전압이 2Vin이고 하프 브리지 인버터를 통해 발생되는 전압의 기본파 성분은 2(2Vin)sin(wt)/π로 기존 방식과 동일하기 때문에 풀 브리지 인버터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종래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공진 탱크(C2, L2) 등을 재 설계하지 않고 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풀 브리지 인버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스위치 소자가 적고, 그 스위칭 제어가 간단한 장점을 가짐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도 3의 제1 경로를 설명하는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2 경로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도 3의 일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위치 Q1가 OFF 스위칭 되고, 스위치 Q2가 ON 스위칭되면 도 4와 같은 경로가 형성된다. 도 4의 경로에 의하여 동작하면, 인덕터 L1는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동시에 이전 주기에서 커패시터 C2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해 커패시터 C2와 송신 코일 L2는 공진을 수행하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이 전달된다.
이후 스위치 Q1가 ON 스위칭 되고, 스위치 Q2가 OFF 스위칭되면 도 5와 같은 경로가 형성된다. 도 5의 경로에 의하여 동작하면, 인덕터 L1에 축적된 에너지는 커패시터 C1을 통하여 공진 회로에 제공된다.
스위치 Q1와 스위치 Q2는 50%의 시비율로 교번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입력 전압이 5V이면 커패시터 C1에는 10V의 전압이 축전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패시터 C2 및 송신 코일 L2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는 10V의 전압을 이용하여 공진을 수행하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이 전달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는 승압부(110)와 인버터부(12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승압부(110)는 벅 부스트 컨버터로 구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도,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스위칭 제어를 통하여 구동 가능함은 자명하다. 결국, 본 발명의 승압부(110)는 부스트 컨버터, 벅 부스트 컨버터 외에도 다양한 DC-DC 컨버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스위치 Q1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전압이 가변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스위치 Q1와, 스위치 Q1의 ON 스위칭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제1 경로, 및 스위치 Q1의 OFF 스위칭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 Q1는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Q1는 입력 전압이 제1 값에 해당하면 ON 스위칭 동작하고, 입력 전압이 상기 제1값보다 큰 제2값에 해당하면 OFF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V 및 9V의 두 종류의 전압을 제공하는 스마트 어댑터로부터 입력 전압을 제공 받는 예의 경우, 5V가 입력되면 스위치 Q1는 ON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9V가 입력되면 스위치 Q1는 OFF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ON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제1 경로에서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동작하기 때문이다.
제1 경로는 스위치 Q1의 ON 스위칭에 의하여 활성되고,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생성하고 승압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경로는 스위치 Q1의 OFF 스위칭에 의하여 활성되고,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제1 경로를 설명하는 회로도이고, 도 9은 도 7의 제2 경로를 설명하는 회로도로서, 이하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제1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스위치 Q1이 ON 스위칭 동작함으로써 형성되는 경로이다. 제1 경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대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경로는 승압 회로(110)와 인버터 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압 회로(110)는 스위치 Q2 및 Q3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승압 회로(110)는 부스트 컨버터로 구현되었다.
인버터 회로(120)는 스위치 Q2 및 Q3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승압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인버터 회로(120)는 하프 브리지 인버터로 구현되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 Q2 및 Q3는 50%의 시비율로 교번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따라서 커패시터 C1에 축전되는 전압은 입력 전압 5V의 2배가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에 상응하므로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은 제2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은 도 7의 스위치 Q1이 OFF 스위칭 동작함으로써 형성되는 경로이다.
도시된 제2 경로는, 인버터 회로(120)로서 동작함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커패시터 C1에 축전되는 전압은 입력전압 9V에 해당한다. 따라서, 인버터 회로(120)는 입력 전압 9V를 이용한 하프 브리지 인버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버터 회로(120)는 스위치 Q2 및 Q3의 스위칭 주파수를 조절하여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경로에서 커패시터 C1에 축전되는 전압이 10V인 반면, 제2 경로에서 커패시터 C2에 축전되는 전압은 9V이므로 서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2 경로에서의 스위치 Q2 및 Q3의 스위칭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출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의 예는 입력전압이 5V이고 출력 전압이 5V인 예에 관한 것이다.
비교되는 대상은 종래에서 적용되는 풀-브리지 인버터를 사용하는 예로서, 이는 실선으로 표시되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본 그래프에 사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부스트 컨버터와 하프 브리지 인버터를 동일한 스위칭 제어로서 구동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인버터 단 이외의 공진탱크 및 무선충전 수신단의 시정수는 모두 동일한 값을 사용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브리지 인버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풀-브리지 인버터와 같은 코일 전류 및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는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해 입력 전압을 두 배로 증가시켜 하프 브리지 인버터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풀 브리지 인버터와 동일한 동작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풀 브리지 인버터에 비하여 적은 스위치 개수 및 간단한 회로 구성을 이용함에도, 풀 브리지 인버터에서 적용된 제어 기법, 제어 집적회로, FET 드라이버, 코일, 공진 캐패시터 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동등한 출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0 : 승압부
120 : 인버터부
20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300 : 전자 기기

Claims (15)

  1. 입력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부; 및
    상기 승압부에서 출력된 승압 전압을 변환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인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승압부는
    동일한 스위칭 소자에 의하여 제어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50%의 시비율로 동작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는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부는
    하프 브리지 인버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는
    입력 전원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 인덕터;
    상기 제1 인덕터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인덕터의 상기 일단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병렬 연결되는 공진 회로;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6. 제1 및 제2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출력하는 승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상기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승압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50%의 시비율로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는
    입력 전원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 인덕터;
    상기 제1 인덕터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인덕터의 상기 일단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병렬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병렬 연결되는 공진 회로;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ON 스위칭에 의하여 활성되고, 상기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승압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1 스위치의 OFF 스위칭에 의하여 활성되고, 상기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제2 경로;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입력 전압이 제1 값에 해당하면 ON 스위칭 동작하고, 입력 전압이 상기 제1값보다 큰 제2값에 해당하면 OFF 스위칭 동작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제2 및 제3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승압 전압을 출력하는 승압 회로; 및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의 상기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승압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인버터 회로;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는
    50%의 시비율로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회로는
    입력 전원단과 직렬 연결되는 제1 인덕터;
    상기 제1 인덕터의 일단에 직렬 연결되는 상기 제2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인덕터의 상기 일단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와 병렬 연결되는 제3 스위치;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제2 스위치;
    상기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와 병렬 연결되는 공진 회로;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0140141945A 2014-10-20 2014-10-20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eased KR20160046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945A KR20160046195A (ko) 2014-10-20 2014-10-20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4/644,487 US10027130B2 (en) 2014-10-20 2015-03-11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CN201510159004.9A CN106160247A (zh) 2014-10-20 2015-04-03 用于无线地发送电力的设备
US16/011,916 US10790675B2 (en) 2014-10-20 2018-06-19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945A KR20160046195A (ko) 2014-10-20 2014-10-20 무선 전력 송신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611A Division KR20180083833A (ko) 2018-07-11 2018-07-1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195A true KR20160046195A (ko) 2016-04-28

Family

ID=5574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945A Ceased KR20160046195A (ko) 2014-10-20 2014-10-20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027130B2 (ko)
KR (1) KR20160046195A (ko)
CN (1) CN10616024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543A (ko) * 2016-09-20 2018-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22514A (ko) * 2016-09-20 2018-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39535A (ko) 2016-10-10 2018-04-1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40468A (ko) 2016-10-12 2018-04-20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66006A (ko) 2016-10-12 2018-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73535A (ko) 2016-10-10 2018-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103036A (ko) 2016-11-29 2018-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0483803B2 (en) 2016-08-23 2019-11-19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7353B1 (en) 2014-06-03 2017-01-03 Apple Inc. Methods for detecting mated coils
US9685814B1 (en) 2014-06-13 2017-06-20 Apple Inc. Detection of coil coupling in an inductive charging system
US10014733B2 (en) 2014-08-28 2018-07-03 Apple Inc. Temperature management in a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
US10193372B2 (en) 2014-09-02 2019-01-29 Apple Inc. Operating an inductive energy transfer system
US10666084B2 (en) 2015-07-10 2020-05-26 Apple Inc.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an unpowered releasable charging device
US10644531B1 (en) 2016-09-22 2020-05-05 Apple Inc. Adaptable power rectifier for wireless charger system
CN107919737A (zh) * 2016-10-10 2018-04-17 三星电机株式会社 无线电力发送器及无线地发送电力的方法
US20180233955A1 (en) * 2017-02-15 2018-08-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0389274B2 (en) * 2017-04-07 2019-08-20 Apple Inc. Boosted output inverter for electronic devices
US10523063B2 (en) 2017-04-07 2019-12-31 Apple Inc. Common mode noise compensation in wireless power systems
KR20190051473A (ko) * 2017-11-07 2019-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453478B1 (ko) * 2017-12-06 2022-10-12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송신 장치
JP6919612B2 (ja) * 2018-03-27 2021-08-18 オムロン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CN114498787A (zh) * 2020-10-27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穿戴设备的无线充电器及无线充电系统
US20240072676A1 (en) * 2021-03-30 2024-02-29 Tdk Corporatio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power convers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61B1 (ko) 2006-07-10 2008-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디지털앰프 전원을 위한 dc/dc 컨버터 회로
KR20110034776A (ko) 2009-09-29 2011-04-0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1192A1 (en) 2008-02-15 2009-08-19 Nokia Siemens Networks Oy Interworking between messaging service domains
KR101168078B1 (ko) * 2010-12-17 2012-07-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중입력 양방향 dc-dc 컨버터
CN103270684B (zh) * 2010-12-22 2016-04-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驱动固态照明负载的功率转换器设备
KR101228767B1 (ko) 2010-12-24 2013-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CN102130515A (zh) 2011-04-08 2011-07-20 东南大学 带自适应功率因数校正的非接触电能传输装置及控制方法
KR101350323B1 (ko) * 2011-10-28 2014-02-1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직류-직류 컨버터
CN202364144U (zh) * 2011-11-24 2012-08-01 上海煦达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两级光伏逆变器旁路二极管及旁路dc/dc变换器
US20130249520A1 (en) * 2012-03-23 2013-09-2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Boost regulator with timing controlled inductor bypass
US9584044B2 (en) * 2013-03-15 2017-02-28 Sunpower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converter topologies
KR102082415B1 (ko) * 2013-05-27 2020-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WO2015008506A1 (ja) * 2013-07-19 2015-01-22 株式会社Ihi 給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9762068B2 (en) * 2013-09-26 2017-09-12 Fairchild Korea Semiconductor Lt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102187437B1 (ko) * 2014-03-11 202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 장치를 구비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61B1 (ko) 2006-07-10 2008-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디지털앰프 전원을 위한 dc/dc 컨버터 회로
KR20110034776A (ko) 2009-09-29 2011-04-0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3803B2 (en) 2016-08-23 2019-11-19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KR20180022543A (ko) * 2016-09-20 2018-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22514A (ko) * 2016-09-20 2018-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39535A (ko) 2016-10-10 2018-04-1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73535A (ko) 2016-10-10 2018-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0727684B2 (en) 2016-10-10 2020-07-28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80040468A (ko) 2016-10-12 2018-04-20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80066006A (ko) 2016-10-12 2018-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0944291B2 (en) 2016-10-12 2021-03-09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80103036A (ko) 2016-11-29 2018-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0418857B2 (en) 2016-11-29 2019-09-17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27130B2 (en) 2018-07-17
CN106160247A (zh) 2016-11-23
US20160111888A1 (en) 2016-04-21
US20180301910A1 (en) 2018-10-18
US10790675B2 (en)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0675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US10243408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US9391535B2 (en) Received power conversion device for resonant wireless charging system
CN103633841B (zh) 供电单元、半导体装置与无线通信装置
US20190304679A1 (en) Coupled inductor system having multi-tap coil
KR102453478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JPWO2013146017A1 (ja) 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送電装置
CN107947576B (zh) 具有降低的开关损耗的低降压转换率的开关电源
CN103731036A (zh) 双向dc/dc转换器
US8934272B2 (en) Ultrasonic image display apparatus power circuit and ultrasonic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7201854A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US9001102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multi-output pow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80083833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N107112803A (zh) 感应功率发射器及功率流控制方法
US20090116264A1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voltage converting circuit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6017257A1 (ja) 電力変換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WO2015063915A1 (ja) 共振型高周波電源装置及び共振型高周波電源装置用スイッチング回路
KR101405806B1 (ko) 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전력 공급 방법
JP2013106490A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ならびに電力信号の送信方法
US20170310223A1 (en) Power adapter and method for fixing dc voltage gain thereof
KR20100007171A (ko) 차지 펌프를 이용한 직류 전압 분배 장치
US9991708B2 (en) Power supply
KR20150052991A (ko)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기의 수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기
KR20170109278A (ko) 전압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JP2010088246A (ja) 部分共振型昇圧コンバータ及び部分共振型双方向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8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8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8060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8050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7101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7101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61118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71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90920

Appeal identifier: 2018101002949

Request date: 2018071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9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11

Effective date: 201909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09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80711

Decision date: 20190920

Appeal identifier: 2018101002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