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643A -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4643A KR20160044643A KR1020140138915A KR20140138915A KR20160044643A KR 20160044643 A KR20160044643 A KR 20160044643A KR 1020140138915 A KR1020140138915 A KR 1020140138915A KR 20140138915 A KR20140138915 A KR 20140138915A KR 20160044643 A KR20160044643 A KR 201600446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layer
- light
- emitting device
- transparent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8 photonic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ZOKIJILZFXPFTO-UHFFFAOYSA-N 4-methyl-n-[4-[1-[4-(4-methyl-n-(4-methylphenyl)anilino)phenyl]cyclohexyl]phenyl]-n-(4-methyl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N(C=1C=CC(C)=CC=1)C=1C=CC(C)=CC=1)C1=CC=C(C)C=C1 ZOKIJILZFXPFT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BHBKWKFFTZAHE-UHFFFAOYSA-N n-[4-[4-(n-naphthalen-1-ylanilino)phenyl]phenyl]-n-phenylnaphthalen-1-amine Chemical group C1=CC=CC=C1N(C=1C2=CC=CC=C2C=CC=1)C1=CC=C(C=2C=CC(=CC=2)N(C=2C=CC=CC=2)C=2C3=CC=CC=C3C=CC=2)C=C1 IBHBKWKFFTZA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OILWHVDKZOXJZ-ARJAWSKDSA-M (z)-4-oxopent-2-en-2-olate Chemical compound C\C([O-])=C\C(C)=O POILWHVDKZOXJZ-ARJAWSKDSA-M 0.000 description 1
- WCXKTQVEKDHQIY-UHFFFAOYSA-N 3-[3-[3-(3,5-dipyridin-3-ylphenyl)phenyl]-5-pyridin-3-ylphenyl]pyridine Chemical compound C1=CN=CC(C=2C=C(C=C(C=2)C=2C=NC=CC=2)C=2C=C(C=CC=2)C=2C=C(C=C(C=2)C=2C=NC=CC=2)C=2C=NC=CC=2)=C1 WCXKTQVEKDHQ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CPGBPKLXYETTA-UHFFFAOYSA-N 3-methylphenanthro[9,10-b]pyrazine Chemical compound C1=CC=C2C3=NC(C)=CN=C3C3=CC=CC=C3C2=C1 DCPGBPKLXYET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WXGSYPUMWKTBR-UHFFFAOYSA-N 4-carbazol-9-yl-n,n-bis(4-carbazol-9-yl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2=CC=CC=C2C2=CC=CC=C2N1C1=CC=C(N(C=2C=CC(=CC=2)N2C3=CC=CC=C3C3=CC=CC=C32)C=2C=CC(=CC=2)N2C3=CC=CC=C3C3=CC=CC=C32)C=C1 AWXGSYPUMWKTB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000837344 Homo sapiens T-cell leukemia translocation-altered gene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2266 Poly(ether sulfone) P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8692 T-cell leukemia translocation-altered gene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ELAVSIYCCQNGG-UHFFFAOYSA-N n-(4-cyclohexylphenyl)-4-methyl-n-(4-methyl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C1 CELAVSIYCCQNG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제1 발광소자, 제1 발광소자 상의 제2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는 차례로 적층되는 제1 기판, 제1 투명전극, 제1 발광층, 제2 투명전극 및 캐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소자는 제2 기판, 제3 투명전극, 제2 발광층 및 반사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는 제1 기판 또는 제1 투명전극 상에 형성된 제1 광추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소자는 제2 기판 또는 제3 투명전극 상에 형성된 제2 광추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on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a capping layer sequentially stacke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second substrate,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and a reflective electrode.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or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or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색가변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or variable light emitting device.
발광 소자, 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anode) 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홀(hole)과 캐소드(cathode) 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electron)가 유기발광층에서 엑시톤(exciton)을 형성한 후,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발광하는 소자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스스로 발광하는 소자로서 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및 높은 색재현율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응용 및 개발되어 왔다. 적층형 발광소자는 고휘도, 장수명의 소자를 얻기 위해 제안되었으나, 백색광에서 효율이 감소하고, 시야각에 따라 스펙트럼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xamp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hole supplied from an anode electrode and an electron supplied from a cathode electrode form an exciton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t is a device that emits light in the proces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display devices due to their wide viewing angle, fast response speed and high color recall ratio. A stacked light emitting device has been proposed for obtaining a device with high brightness and long life, but the efficiency is reduced in white light and the spectrum varie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 특성을 안정화시키고, 광추출효율이 개선된 색가변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lor variable light emitting device which stabilizes color chan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and has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은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광소자는 차례로 적층된 제1 기판, 제1 투명전극, 제1 파장의 빛을 방사하는 제1 발광층, 제2 투명전극 및 캐핑층(capping layer)을 포함하는 제1 발광소자, 상기 캐핑층 상에 배치되고, 차례로 적층된 제2 기판, 제3 투명전극, 제2 파장의 빛을 방사하는 제2 발광층 및 반사전극을 포함하는 제2 발광소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1 발광층 사이에 적층되는 제1 광추출층 및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2 발광층 사이에 적층되는 제2 광추출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광추출층은 상기 제1 파장의 빛 및 상기 제2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광추출층은 상기 제2 파장의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including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a first wavelength light,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a capping layer, A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on the capping layer and including a second substrate,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and a reflective electrode stacked in sequence, And a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laminat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may include a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and a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may transmit the light of the second wavelength.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장의 빛은 상기 제2 파장의 빛과 보색관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of the first wavelength may be in a complementary relation with the light of the second wavelength.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추출층은 랜덤나노구조(random scattering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may include a random scattering lay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광추출층은 광결정(photonic crystal),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 및 광산란층(scattering layer)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a photonic crystal, a microcavity, and a scattering lay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추출층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광추출층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3 투명전극은 애노드이고, 상기 제2 투명전극 및 상기 반사전극은 캐소드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an an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reflective electrode may be a cath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발광층 및 상기 제2 발광층은 유기발광층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may b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장은 적색파장이고, 상기 제2 파장은 청색파장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wavelength may be a red wavelength and the second wavelength may be a blue wavelength.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투명전극은 Al 및 Ag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may include Al and A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핑층은 상기 제1 파장의 빛을 반사시키고, 상기 제2 파장의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pping layer may reflect light of the first wavelength and transmit light of the second wavelength.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제1 파장의 빛 및 제2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제1 광추출층과 제2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제2 광추출층을 포함하여,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특성 안정화 및 높은 광추출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for transmitting light of a first wavelength and a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and a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for transmitting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Characteristics stabilization and hig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provided.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신뢰성 있는 색가변 성능을 제공한다.A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to provide reliable color variable performance.
도 1은 일반적인 유기발광소자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1 발광층의 개략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2 발광층의 개략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다양한 색온도들에서의 스펙트럼 특성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다양한 색온도들에서의 색좌표이다.
도 7(a)는 일반적인 유기발광소자의 시야각에 따른 스펙트럼 특성 그래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시야각에 따른 스펙트럼 특성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시야각에 따른 배광결과 그래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of spectral characteristics at various color temperature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lor coordinate diagram at various color temperature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 is a graph of spect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iewing angles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7 (b) is a graph of spect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iewing angle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of ligh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개념이 어떤 적합한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any suitable environm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is used herein to mean excluding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I never do that.
본 명세서에서 어떤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When a layer is referred to herein as being on another layer or substrate,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another layer or substrate, or a third layer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도 1은 일반적인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유기발광소자는 기판(110) 상에 차례로 제공된 제1 전극(120), 유기발광층(130) 및 제2 전극(140)을 포함할 수 있다. 1 shows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기판(110)은 유기발광소자의 기구적 강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투명 창의 역할을 한다. 기판(110)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성질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의 경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또는 PI(Polyimide)가 사용될 수 있다. The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40)은 각각 애노드(anode) 또는 캐소드(cathode)가 될 수 있다.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40)은 투명전극으로,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140)은 제1 전극(120)와는 반대극성을 갖는다.The
도 1을 참조하여, 유기발광층(130)은 제1 전극(120)과 제2 전극(140) 사이에 제공된다. 유기발광층(130)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층(130)은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시 생성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방사한다.Referring to FIG. 1, an organic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제1 발광소자(200), 제1 발광소자(200) 상의 제2 발광소자(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00)는 차례로 적층되는 제1 기판(210), 제1 투명전극(230), 제1 발광층(240), 제2 투명전극(250) 및 캐핑층(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소자(300)는 제2 기판(310), 제3 투명전극(330), 제2 발광층(340) 및 반사전극(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200)는 제1 기판(210) 또는 제1 투명전극(230) 상에 형성된 제1 광추출층(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소자(300)는 제2 기판(310) 또는 제3 투명전극(330) 상에 형성된 제2 광추출층(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제1 기판(210)은 유리기판일 수 있다.The
제1 광추출층(220)은 랜덤나노구조(random scattering layer)를 가질 수 있다. 랜덤나노구조는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요철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철구조물은 일정한 주기를 갖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랜덤나노구조는 회절효과를 발생하여 광산란층으로 작용한다. The first
제1 투명전극(230) 및 제2 투명전극(250)은 각각 애노드(anode) 또는 캐소드(cathode)가 될 수 있다. 제1 투명전극(230)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투명전극(250)은 제1 투명전극(230)과 반대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투명전극(250)은, 예를 들어, Al 및/또는 Ag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제1 발광층(240)은 제1 투명전극(230)과 제2 투명전극(250)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발광층(240)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발광층(240)은 차례로 적층된 정공운송층(241), 방사층(242), 전자운송층(243) 및 전자주입층(2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캐핑층(260)은 NPB(4,4'-bis(N-(1-naphthyl)-N-phenylamino)biphenyl)를 포함할 수 있다. 캐핑층(260)은 제1 발광층(240)에서 생성된 제1 파장의 빛(410)은 반사시키고, 제2 발광층(340)에서 방사된 제2 파장의 빛(420)은 투과시킬 수 있다. The
제2 기판(310)은 유리기판일 수 있다.The
제2 광추출층(320)은 광결정(photonic crystal),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 또는 광산란층(scattering layer)을 가질 수 있다. 광결정(photonic crystal)은 유전상수가 다른 두 물질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나노미터 스케일로 배열되어, 특정 파장의 빛만을 투과하거나 반사시킬 수 있다. 광결정은 유기발광소자의 내부에 형성되는 평면광도파로를 따라 평면 방향으로 빛이 통과할 수 없도록 하여, 빛이 도파모드를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는 미세한 진동효과를 이용해 빛의 방출속도를 향상시키는 구조다. 마이크로 캐비티는 스페이서층(spacer layer)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브래그 미러(bragg mirror)나 금속 미러층을 형성하여 공진을 일으킨다. 특정 파장대역의 빛이 강하게 나오므로 마이크로 캐비티는 단색광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광산란층(scattering layer)은 산란효과를 이용하여 빛을 추출하는 구조다. 광산란층을 적용하면 광추출 효율이 증가하고, 시야각에 따른 색상 변화가 더 적으며, 패널의 밝기가 균일하다.The second
제3 투명전극(330) 및 반사전극(350)은 애노드(anode) 또는 캐소드(cathode)가 될 수 있다. 제3 투명전극(330)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를 가질 수 있다. 반사전극(350)은 제3 투명전극(330)과 반대극성을 가질 수 있다. 반사전극(350)은 반사전극방향의 빛을 모두 반사시키는 반사층이다. 반사전극(350)은 전반사가 가능한 두꺼운 금속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g, Al, Mg, Mo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제2 발광층(340)은 제3 투명전극(330)과 반사전극(350) 사이에 형성된다. 제2 발광층(340)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발광층(340)은 차례로 적층된 정공주입층(341), 정공운송층(342), 방사층(343), 전자운송층(344) 및 전자주입층(34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제1 발광층(240)에서 방사되는 제1 파장의 빛(410)은 제2 발광층(340)에서 방사되는 제2파장의 빛(420)과 보색관계일 수 있다. The light 410 of the first wavelength emitted from the firs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형성방법이 예를 들어 설명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기판(210)이 준비된다. 제1 기판(210)은 유리기판 일 수 있다. 제1 기판(210) 상에 랜덤나노구조(random scattering layer)를 200 nm ~ 500 nm 두께로 적층하여 제1 광추출층(220)을 형성한다. 제1 광추출층(220) 상에 ITO(Indium Tin Oxide)를 100 nm 증착하여 제1 투명전극(230)을 형성한다.A method of 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s. 2 to 4, a
도 3을 참조하여, 제1 투명전극(230) 상에 HTL(Hole Transport Layer, 정공운송층)(241), EML(Emissive Layer, 방사층)(242), ETL(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운송층)(243) 및 EIL(Electron Injection Layer, 전자주입층)(244)을 적층하여 제1 발광층(24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투명전극(230) 상에 LG101(LG 화학에서 생산되는 정공운송층 구성물질) 10 nm, TAPC(1-Bis[4-[N,N-di(4-tolyl)amino]phenyl]-cyclohexane) 45 nm, LG101 5 nm, TAPC 45 nm, LG101 5 nm 및 TAPC 50 nm를 적층하여 HTL(241)을 형성한다. HTL(241) 상에 Dczppy(2,6-bis(3-(9H-carbazol-9-yl)phenyl)pyridine) : Ir(MDq)2acac(Bis(2-methyldibenzo[f,h]quinoxaline) (acetylacetonate) iridium (III)) 를 10 nm 증착하여 적색광을 방사하는 RED EML(242)을 형성한다. RED EML(242) 상에 ETL(243)을 55 nm 형성한다. ETL(243)은 BmPyPB(1,3-bis(3,5-dipyrid-3-yl-phenyl)benzene)다. ETL(243) 상에 LiF를 1 nm 적층하여 EIL(244)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3, an HTL (Hole Transport Layer) 241, an EML (Emissive Layer) 242, an ETL (Electron Transport Layer) ) 243 and an EIL (electron injection layer, electron injection layer) 244 are stacked to form a first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제1 발광층(240) 상에 Al을 1.5 nm 및 Ag를 20 nm 적층하여 제2 투명전극(250)을 형성한다. 제2 투명전극(250) 상에 NPB(4,4'-bis(N-(1-naphthyl)-N-phenylamino)biphenyl)를 10 nm ~ 140 nm 증착하여 캐핑층(260)을 형성한다.Referring again to FIG. 2, a second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캐핑층(260) 상에 제2 기판(310)을 형성한다. 제2 기판(310)은 유리기판일 수 있다. 제2 기판(310) 상에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를 200 nm ~ 500 nm 적층하여 제2 광추출층(320)을 형성한다. 제2 광추출층(320) 상에 ITO(Indium Tin Oxide)를 100 nm 증착하여 제3 투명전극(330)을 형성한다.Referring again to FIG. 2, a
도 4를 참조하여, 제3 투명전극(330) 상에 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주입층)(341), HTL(342), EML(Emissive Layer, 방사층)(343), ETL(344), 및 EIL(345)을 적층하여 제2 발광층(34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3 투명전극(330) 상에 차례로 NPB / TCTA(Tris(4-carbazoyl-9-ylphenyl)amine)를 각각 110 nm / 10 nm 적층하여 HIL(341) / HTL(342)을 형성한다. HTL(342) 상에 SH03:SD1을 20 nm 증착하여 청색광을 방사하는 BLUE EML(343)을 형성한다. BLUE EML(343) 상에 차례로 BmPyPB / LiF를 30 nm / 1 nm 적층하여 ETL(344) / EIL(345)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4, a HIL (Hole Injection Layer) 341, an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제2 발광층(340) 상에 Al을 100 nm 적층하여 반사전극(350)을 형성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2,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색온도 및 색좌표값 조절이 예를 들어 설명된다.The adjustment of the color temperature and the color coordinate valu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다양한 색온도들에서의 스펙트럼 특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다양한 색온도들에서의 색좌표를 나타낸다. FIG. 5 shows spectral characteristics at various color temperature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the color coordinates in various color temperature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제1 발광소자 및 제2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밀도비를 조절하여 본 발명의 색온도 및 색좌표를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 temperature and color coordin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by adjusting the current density ratio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도 5에서 JTOLED는 제1 발광소자의 전류밀도이다. JBOLED는 제2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밀도이다. JTOLED:JBOLED=10:0일 때, 색온도는 ORANGE/RED에 해당한다. 색온도는 JBOLED가 JTOLED에 비해 커질수록 상승한다. JTOLED:JBOLED=0:10일 경우, 그래프는 BLUE에 해당하는 색온도를 가진다. 5, J TOLED is the current density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J BOLED is a current density applied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J TOLED : When J BOLED = 10: 0, the color temperature corresponds to ORANGE / RED. The color temperature rises as J BOLED becomes larger than J TOLED . J TOLED : If J BOLED = 0: 10, the graph has a col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BLUE.
도 6의 각 점은 도 5의 색온도와 대응되는 색좌표값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Each point in FIG. 6 is a color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lor temperature of FIG. The results are as follows.
따라서, 색온도 및 색좌표값은 전류밀도로써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the color temperature and the color coordinate value can be adjusted by the current dens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 문제 및 광추출효율 개선이 예를 들어 설명된다.The color change problem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도 7의 (a)는 일반적인 유기발광소자의 0°~ -70°시야각에 따른 빛의 세기 그래프이다. EL intensity(빛의 세기)가 시야각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진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덤나노구조(random scattering layer)가 적용된 경우의 그래프이다. 시야각에 따른 EL intensity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 문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 랜덤나노구조가 적용됨으로써 개선된다. 7A is a graph of light intensity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f 0 ° to -70 ° of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 EL intensity (intensity of light) has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FIG. 7 (b) is a graph when a random scatter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re is little change in EL intensity with viewing angle. Therefore, the problem of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s improved by applying the random nano structure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일반적인 경우(a)와 랜덤나노구조(random scattering layer)가 적용되었을 때(b)의 백색광 배광결과 그래프다. 랜덤나노구조가 적용된 경우(b)의 배광결과가 일반적인 경우(a)의 배광결과보다 높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서 랜덤나노구조를 배치하여 모든 각도에서 배광 개선으로 전력 효율 및 외부 양자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IG. 8 is a graph of a white light distribution result of (b) when a general case (a) and a random scattering layer are applied. When the random nano structure is applied, the light distribution result of (b) is higher than that of (a). Therefore, it can be seen from FIG. 8 that the random nanostructure is dis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power efficiency an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by improving the light distribution at all angles.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exper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210, 310 ... 기판
120 ... 제1 전극
130 ... 발광층
140 ... 제2 전극
200 ... 제1 발광소자
220, 320 ... 광추출층
230, 250, 330 ... 투명전극
240, 340 ... 발광층
241, 342 ... 정공운송층
242, 343 ... 방사층
243, 344 ... 전자운송층
244, 245 ... 전자주입층
260 ... 캐핑층
300 ... 제2 발광소자
341 ... 정공주입층
350 ... 반사전극
410 ... 제1 파장의 빛
420 ... 제2 파장의 빛
110, 210, and 310, a
130 ... light emitting
200: first
230, 250, and 330,
241, 342 ...
243, 344
260 ... capping
341 ...
410 ... light of the
Claims (1)
상기 캐핑층 상에 배치되고, 차례로 적층된 제2 기판, 제3 투명전극, 제2 파장의 빛을 방사하는 제2 발광층 및 반사전극을 포함하는 제2 발광소자;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1 발광층 사이에 적층되는 제1 광추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제2 발광층 사이에 적층되는 제2 광추출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추출층은 상기 제1 파장의 빛 및 상기 제2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광추출층은 상기 제2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발광소자.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first substrate,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light of a first wavelength,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a capping layer stacked in order;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on the capping layer and including a second substrate,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light of a second wavelength, and a reflective electrode sequentially stacked; And
And a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including a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laminat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being laminat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Wherein the first light extracting layer transmits the light of the first wavelength and the light of the second wavelength,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transmits the light of the second waveleng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8915A KR20160044643A (en) | 2014-10-15 | 2014-10-15 | Light Emit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8915A KR20160044643A (en) | 2014-10-15 | 2014-10-15 | Light Emit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4643A true KR20160044643A (en) | 2016-04-26 |
Family
ID=5591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8915A Ceased KR20160044643A (en) | 2014-10-15 | 2014-10-15 | Light Emit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44643A (en) |
-
2014
- 2014-10-15 KR KR1020140138915A patent/KR20160044643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93096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rr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 |
Chen et al. | Recent developments in top‐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
Manders et al. | High efficiency and ultra‐wide color gamut quantum dot LEDs for next generation displays | |
US8309947B2 (en) | High efficiency hybrid light-emitting diode | |
KR102515676B1 (en) | OLED microcavity design and optimization method | |
US9923031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rr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 |
Zhang et al. | Color-tunable, spectra-stable flexible white top-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based on alternating current driven and dual-microcavity technology | |
US10403841B2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Jesuraj et al. | Recombination zone control without sensing layer and the exciton confinement in green phosphorescent OLEDs by excluding interface energy transfer | |
US898798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emission utilizing an OLED with a microcavity | |
CN105826480B (en) | Light emitting diode with quantum dot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 emitting diode with quantum dots | |
US10674573B2 (en) | Light emission device with anisotropic properties | |
JP2011507196A (en) | Improved external efficiency of light emitting diodes | |
KR102738348B1 (en) | Nano-objects for purcell enhancement, out-coupling and engineering radiation pattern | |
KR20130006937A (en) |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 |
Park et al. | High efficiency red top-emitting micro-cavit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
KR10267491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WO2016188042A1 (en) | Electroluminescent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 |
Yu et al. | Suppression of efficiency roll-off in TADF-OLEDs using Ag-island nanostructures with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effect | |
KR20160044643A (en) | Light Emitting Device | |
Kim et al. | The suppression of viewing angle dependence of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having strong microcavity characteristics by applying concave patterned anode | |
Deva et al. | EXPLORING QUANTUM WELLS IN OLED TECHNOLOGIES: A COMPREHENSIVE REVIEW OF APPLICATIONS AND ADVANCEMENTS. | |
Gamal et al. | Improving fwhm and extraction efficiency of rgb oleds with mqw structure | |
Ho et al. | Efficient and color-saturated inverted bottom-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a semi-transparent metal-assisted electron injection layer | |
Wang et al. | Manipulating the microcavity structure for highly efficient inverted top-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Simulation and experi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